KR20220057746A - 플러그, 소켓 및 플러그-소켓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러그, 소켓 및 플러그-소켓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746A
KR20220057746A KR1020200142716A KR20200142716A KR20220057746A KR 20220057746 A KR20220057746 A KR 20220057746A KR 1020200142716 A KR1020200142716 A KR 1020200142716A KR 20200142716 A KR20200142716 A KR 20200142716A KR 20220057746 A KR20220057746 A KR 20220057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electrode
housing
conductiv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073B1 (ko
Inventor
이지환
Original Assignee
이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환 filed Critical 이지환
Priority to KR102020014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0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플러그, 소켓 및 그들의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플러그는 전력이 공급되는 소켓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전원선의 끝단에 연결되며, 원통 형상의 플러그 하우징, 플러그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러그 하우징의 일단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제1 전극, 제1 전극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전극, 제2 전극보다 플러그 하우징의 내측에서 제1 전극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3 전극과, 제1 내지 제3 전극 각각과 전원선에 내장된 배선을 연결하는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소켓 하우징, 중공의 끝면에 형성된 원반 형상의 제1 접촉부를 구비한 제1 도전 단자, 중공의 내측면부를 둘러싸는 곡면의 판 형상의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도전 단자와, 제2 도전 단자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중공의 내측면부를 둘러싸는 곡면의 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 도전 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소켓 및 플러그-소켓 조립체{Plug, Socket, and Plug-Socket Assembly}
본 발명은 플러그, 소켓 및 플러그-소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소켓과 플러그는 통상 서로 접속되어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배선 연결용 기구이다. 이러한 소켓에는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선이 연결되며, 플러그의 한 쌍의 전극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전극홈이 구비된다. 그리고, 플러그는 전기장치의 전원선에 구비됨으로써 소켓의 한 쌍의 전극홈에 삽입되며 전원선과 통전되는 한 쌍의 전극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소켓과 플러그는 전기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고, 전기장치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서로 분리된다.
상기 소켓과 플러그는 핀 형상으로 구비되는 플러그의 한 쌍의 전극을 소켓의 한 쌍의 전극홈에 삽입하는 형태로 연결되고, 한 쌍의 전극을 한 쌍의 전극홈에서 뽑는 형태로 분리되는데, 핀 형상의 단자가 한 면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플러그의 크기가 작아지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두 개의 전극이 한번에 뽑혀야 하므로, 적지않은 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어느 한 쪽이 잘못 꽂힐 경우 원하지 않은 시점에 분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부피를 축소시킴과 동시에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체결력이 향상된 플러그-소켓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방법 및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플러그와 소켓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플러그, 소켓 및 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성 및 기밀성 향상을 통해 이물질이 전극으로 침투하지 않도록함으로써 단락,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플러그, 소켓 및 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력이 공급되는 소켓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전원선의 끝단에 연결된 플러그는, 원통 형상의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단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보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전극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 각각과 상기 전원선에 내장된 배선을 연결하는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소켓 하우징; 상기 중공의 끝면에 형성된 원반 형상의 제1 접촉부를 구비한 제1 도전 단자; 상기 중공의 내측면부를 둘러싸는 곡면의 판 형상의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도전 단자; 및 상기 제2 도전 단자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측면부를 둘러싸는 곡면의 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 도전 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과 상기 소켓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전원선의 끝단에 연결된 플러그를 포함하는 플러그-소켓 조립체에서, 상기 플러그는, 원통 형상의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단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보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전극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끼임 결합하는 중공, 외측면부에 형성된 제1 나사산 및 상기 소켓의 하우징의 일단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체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소켓 하우징; 상기 제1 전극이 접촉되며, 상기 중공의 끝면에 형성된 원반 형상의 제1 접촉부를 구비한 제1 도전 단자; 상기 제2 전극이 접촉되며, 상기 중공의 내측면부를 둘러싸는 곡면의 판 형상의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도전 단자; 상기 제3 전극이 접촉되고, 상기 제2 도전 단자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측면부를 둘러싸는 곡면의 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 도전 단자; 및 상기 중공의 내측면부에 형성된 제2 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나사산 및 상기 제2 나사산이 맞물림 결합함에 따라 조립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플러그의 측면부에 전극을 배치시킴으로써 플러그와 소켓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플러그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플러그가 소켓에 결합가능하도록 하여 공간 활용 및 전선의 정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플러그와 소켓 내부의 각 전극을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배치하면서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및 소켓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플러그가 체결 장치를 구비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체결 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내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러그-소켓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플러그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뎁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 및 해당 플러그(1)가 삽입가능한 소켓(2)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1)는 전력이 공급되는 소켓(2)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전원선(미도시됨)의 끝단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선에 연결된 전자 장치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와 해당 플러그(1)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소켓(2)의 형상 및 내부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는 플러그 하우징(11) 및 플러그 하우징(11)에 수용된 제1 내지 제3 전극(12, 13, 14)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1)은 절연체 재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일단이 전원선(미도시됨)에 연결되고, 타단이 소켓(2)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되도록 전극들이 노출된 형상일 수 있다. 즉, 플러그 하우징(11)은 타단에서 제1 내지 제3 전극(12, 13, 14)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2)이 노출되는 개구는 플러그 하우징(11)의 끝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전극(13, 14)이 노출되는 개구는 플러그 하우징(11)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2)은 플러그(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을 갖는 소켓 하우징(21), 벽면, 멀티탭 등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2a, 22b) 및 제1 내지 제3 도전 단자(23, 24, 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및 제3 도전 단자(24, 25)는 중공의 내측면부의 곡면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플러그(1)가 소켓(2)의 중공으로 삽입되면 플러그 하우징(11)의 측면부에 배치된 제2 및 제3 전극(13, 14)이 제2 및 제3 도전 단자(24, 25) 각각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플러그(1) 및 소켓(2)은 측면부를 활용하여 전극 및 도전 단자를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플러그 대비 크기를 축소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통 형상의 플러그(1) 및 소켓(2)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형상의 플러그(6)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의 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13)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1)는 원통 형상의 플러그 하우징(11) 및 제1 내지 제3 전극(12, 13, 14)을 포함한다. 먼저, 제1 전극(12)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1)의 중심축(C)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러그 하우징(11)의 끝단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2)은 접지 전극으로서, 소켓(2)에 연결되어 접지할 수 있다.
제2 전극(13)은 제1 전극(12)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플러그 하우징(11)의 측면을 따라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3 전극(14)은 제2 전극(13)과 이격되어 제2 전극(13)보다 플러그 하우징(11)의 내측에서 제1 전극(12)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제2 전극(13)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하우징(11)의 측면을 따라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및 제3 전극(13, 14)은 전원 전극으로, 소켓(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극일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전극(12, 13, 14)은 플러그(1)의 일단에 연결된 전원선(미도시됨)에 내장된 배선과 연결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연장부(12', 13', 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2')는 제1 전극(12)과 연결되며, 제1 전극(12)과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의 도체로서, 플러그 하우징(11)의 중심축(C)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2')의 지름(d2)은 제1 전극(12)의 지름(d1)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연장부(12')는 플러그(1)의 일단에서 전원선의 접지 배선과 연결되어, 제1 전극(12)을 접지할 수 있다.
제2 연장부(13')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13)의 내측에서 제2 전극(13)과 연결되며, 플러그 하우징(11)의 중심축(C)을 향해 절곡 성형되어 중심축(C)에 배치된 제1 연장부(12')의 일부를 둘러싸는 곡면으로 성형된 판형의 도체일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13')는 중심축(C)을 향해 절곡 성형됨으로써, 제3 전극(14)이 배치될 공간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연장부(13')는 전기적 안정성 및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제2 전극(13) 측의 너비(w1)를 중심축(C) 측의 너비(w2)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제3 연장부(14')는, 제2 연장부(13')와 마찬가지로, 제3 전극(14)의 내측에서 제3 전극(14)과 연결되며, 플러그 하우징(11)의 중심축(C)을 향해 절곡 성형되어 제1 연장부(12')의 일부를 둘러싸는 곡면으로 성형된 판형의 도체일 수 있다. 이때, 제2 연장부(13')와 제3 연장부(14')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제1 연장부(12')의 다른 부분을 둘러싸는 곡면일 수 있다. 한편, 제3 연장부(14')의 형상은 도 2c의 제2 연장부(13')의 방향만 상이할 뿐 형상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위 설명에서는 제1 내지 제3 연장부(12', 13', 14')가 제1 내지 제3 전극(12, 13, 14)과 구분되어 접합 및/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예에 따라 제1 내지 제3 연장부(12', 13', 14')는 제1 내지 제3 전극(12, 13, 14) 각각과 일체로 성형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11)의 내부는 절연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전극(12, 13, 14)과 제1 내지 제3 연장부(12', 13', 14')는 상기 절연물질에 의해 절연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위 설명에서는, 전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플러그(1)의 중심축(C)에 원통으로 형성된 제1 전극(12)을 접지 전극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현예에 따라, 제2 전극(13) 또는 제3 전극(14)이 접지 전극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전극(12, 13) 또는 제1 및 제3 전극(12, 14)이 전원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플러그(1)가 체결 장치(3)를 구비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체결 장치(3)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플러그(1)는 일단에서 소켓(2)과 체결되는 체결 장치(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장치(3)는 플러그 하우징(11)에 끼임 결합하는 중공(32), 소켓(2)과 결합하는 결합부(31) 및 소켓 하우징(21)의 일단을 덮는 덮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공(32)의 지름은 플러그 하우징(11)의 지름에 대응하며, 내측면에 플러그 하우징(11)과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35)는, 비한정적인 예로서, 오링(oring)일 수 있다.
결합부(31)의 지름(d3)은 소켓 하우징(21)의 내부 지름(도 4b의 d5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1)는 소켓 하우징(21)의 내측면의 나사산(도 4b의 26 참조)에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산을 구비하지 않고 소켓 하우징(21)의 내측면으로 끼임 결합될 수도 있다.
덮개부(34)의 지름(d4)은 소켓 하우징(21)의 외부 지름(도 4b의d6)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4)는 소켓 하우징(21)에 맞닿는 일면에 실링 부재(33)를 포함함으로써, 소켓 하우징(21)과의 결합을 통해 밀폐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켓 하우징(21)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먼지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덮개부(34) 및 소켓 하우징(21)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체결 장치(3)는 플러그 하우징(11)의 일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나, 구현예에 따라서는, 플러그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2)의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2)의 내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2)은 플러그(1)가 삽입되는 중공(27)과 중공(27)의 내측면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도전 단자(23, 24, 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도전 단자(23, 24, 25)는 플러그(1)와 접촉하는 접촉부(23', 24', 25')와, 상기 접촉부(23', 24', 25')로부터 연장되어 소켓 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23", 24", 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연결부(23", 24", 25")는 소켓 하우징(21)의 외부에서 전원 공급선(미도시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도전 단자(23)는 소켓 하우징(21)의 중공(27)의 끝면에 형성된 원반 형상의 제1 접촉부(23') 및 제1 접촉부(23')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소켓 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연결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부(23') 및 제1 연결부(23")는 도전체이며, 접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23')는 플러그(1)의 제1 전극(12)과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도전체로 형성된 돌출부(2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1 연결부(23")는 판형 또는 원통형의 도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도전 단자(24)는 소켓 하우징(21)의 중공(27)의 내측면부를 둘러싸는 곡면의 판 형상의 제2 접촉부(24')와, 제2 접촉부(24')의 외측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소켓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소켓 하우징(21)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연결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4")는 곡면으로 형성된 판형의 도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도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도전 단자(24)로는 교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제3 도전 단자(25)는 소켓 하우징(21)의 중공(27)의 내측면부를 둘러싸는 곡면의 판 형상의 제3 접촉부(25') 및 제3 접촉부(25')의 외측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소켓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소켓 하우징(21)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3 연결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부(25")는 곡면으로 형성된 판형의 도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도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도전 단자(25)로는, 제2 도전 단자(24)와 마찬가지로, 교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부(24')는 제1 개구(O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접촉부(24')는 소켓 하우징(21)의 내측면부를 전체로 둘러싸지 않고 일부분을 오픈할 수 있다. 이때, 제3 연결부(25")가 연장되는 위치는 제1 개구(O1)에 대응할 수 있다. 이는, 제3 도전 단자(25)의 제3 연결부(25")가 제2 도전 단자(24)로부터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일 수 있다. 한편, 도 4c에서는, 제2 및 제3 도전 단자(24, 25) 간의 균형을 위해 제3 접촉부(25')도 제2 개구(O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구현예에 따라 제1 내지 제3 연결부(23", 24", 25")는 생략되거나 소켓 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 소켓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전원 공급선이 제1 내지 제3 접촉부(23', 24', 25')와 직접 연결되거나, 소켓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제1 내지 제3 연결부(23", 24", 25")가 전원 공급선과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켓(2)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1)의 바깥 내측면부에 나사산(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나사산(26)은 플러그(1)의 체결 장치(3)에 구비된 나사산(도 3b의 31 참조)과 체결됨으로써 플러그(1)를 소켓(2)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러그(1)-소켓(2)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 및 소켓(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방면에서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체결 장치(3)의 제1 및 제2 실링 부재(33, 35)는 플러그(1)와 소켓(2) 간의 결합을 통해 밀폐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소켓(2)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6)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내지 도 5에서 설명한 플러그(1)와 달리,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플러그가 소켓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전력선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도 6의 플러그(6)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플러그(1)와 연관되므로, 도 1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은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6)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러그 하우징(61), 플러그 하우징(61)에 내장된 제1 내지 제3 전극(62, 63, 64) 및 소켓에 체결되는 체결 장치(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하우징(61)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의 일부가 일단부터 타단까지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함몰부의 바깥면으로 제2 및 제3 전극(63, 64)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및 제3 전극(63, 64)은 소켓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전극일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61)의 상기 두 개의 측면 이외에 다른 측면에서 일부가 노출된 제1 전극(6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극(62)은 접지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전극(62, 63, 64)은 플러그 하우징(61)의 내부에서 제1 내지 제3 연장부(미도시됨)를 통해 전원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체결 장치(65)는 플러그(6)를 소켓에 끼움 체결하기 위한 실링 부재(도 7의 71 참조)를 외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체결 장치(65)의 지름은 소켓의 내측의 지름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 장치(65)는 플러그 하우징(61)과 별개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체결 장치(65)는 외측면부에 나사산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위 설명에서는 두 개의 전극이 하우징의 함몰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두 개의 전극은 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돌출부, 일 측면 또는 서로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의 플러그(6)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 장치(65)는 플러그 하우징(61)이 구비된 면과 반대면에 사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손잡이(7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72)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장치(65)는 사용자의 사용이 빈번한 체결 장치(65)에서 전선이 꺾임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단한 재질의 전선 하우징(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6)는 사용 기한을 연장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앞서 설명한 도 1내지 도 5의 플러그(1)가 일면에 형성되고, 다른 플러그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 및/또는 접지 전극이 삽입될 수 있는 된 소켓 구조가 타면에 형성된 제1 커넥터(8)와, 상기 제1 커넥터 장치(8)에 결합가능한 도 1 내지 도 5의 소켓(2)이 일면에 형성되고, 다른 플러그 구조가 타면에 형성된 제2 커넥터(9)를 포함한다. 즉, 제1 커넥터 장치(8)의 앞단에 구비된 접지 전극(도 1의 12 참조) 및 전원 전극(도 1의 13, 14 참조)이 전원선에 연결되는 대신에, 도전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장치(8)의 접지 전극(12)은 제1 커넥터 장치(8)의 끝단에서 분기하여 접지 단자(81a, 81b)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전원 전극(13, 14)은 이격 형성된 두 개의 중공(82a, 82b)의 내측면을 감싸는 판형의 도전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 장치(9)의 앞단에 구비되는 또 다른 플러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제1 커넥터 장치(8) 및 제2 커넥터 장치(9)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플러그 형상 및 소켓 형상을 갖는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커넥터 장치(8) 및 제2 커넥터 장치(9)는 플러그 결합시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8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플러그
2: 소켓
3: 체결 장치
11: 플러그 하우징
12: 제1 전극
12': 제1 연장부
13: 제2 전극
13': 제2 연장부
14: 제3 전극
14': 제3 연장부
21: 소켓 하우징
23: 제1 도전 단자
24: 제2 도전 단자
25: 제3 도전 단자
26: 나사산
27: 중공

Claims (11)

  1. 전력이 공급되는 소켓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전원선의 끝단에 연결된 플러그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단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보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전극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 각각과 상기 전원선에 내장된 배선을 연결하는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된 원통 형상의 도체이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전극의 내측에서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해 절곡 성형되어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곡면으로 성형된 판형의 도체이며,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3 전극의 내측에서 상기 제3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해 절곡 성형되어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곡면으로 성형된 판형의 도체인 플러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지름은 상기 제1 전극의 지름보다 작은 것인 플러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접지 전극이고, 상기 제2 및 제3 전극은 전원 전극인 플러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체결하는 체결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끼임 결합하는 중공;
    외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에 결합하는 나사산; 및
    상기 소켓의 하우징의 일단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인 플러그.
  6.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에 있어서,
    플러그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소켓 하우징;
    상기 중공의 끝면에 형성된 원반 형상의 제1 접촉부를 구비한 제1 도전 단자;
    상기 중공의 내측면부를 둘러싸는 곡면의 판 형상의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도전 단자; 및
    상기 제2 도전 단자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측면부를 둘러싸는 곡면의 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 도전 단자를 포함하는 소켓.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 단자는 상기 판 형상의 일부에 제1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소켓.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단자는 상기 제1 접촉부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 단자는 상기 제2 접촉부의 외측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 단자는 상기 제3 접촉부의 외측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연결부가 연장되는 위치는 상기 제1 개구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인 소켓.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단자는 접지로 사용되며, 상기 제2 및 제3 도전 단자는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인 소켓.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중공의 내측면부에서 상기 플러그와 체결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인 소켓.
  11. 소켓과 상기 소켓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전원선의 끝단에 연결된 플러그를 포함하는 플러그-소켓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단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이격하여 둘러싸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보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전극을 이격하여 둘러싸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소켓의 하우징의 일단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소켓 하우징, 상기 제1 전극이 접촉되는 제1 접촉부를 구비한 제1 도전 단자, 상기 제2 전극이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도전 단자, 상기 제3 전극이 접촉되는 제3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 도전 단자, 및 상기 중공의 내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소켓을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 및 소켓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함에 따라 조립되는 플러그-소켓 조립체.
KR1020200142716A 2020-10-30 2020-10-30 플러그-소켓 조립체 KR10265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716A KR102654073B1 (ko) 2020-10-30 2020-10-30 플러그-소켓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716A KR102654073B1 (ko) 2020-10-30 2020-10-30 플러그-소켓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46A true KR20220057746A (ko) 2022-05-09
KR102654073B1 KR102654073B1 (ko) 2024-04-08

Family

ID=8158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716A KR102654073B1 (ko) 2020-10-30 2020-10-30 플러그-소켓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0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36Y1 (ko) * 1999-07-31 2000-02-15 백춘심 최소직경다극플러그
US20050208812A1 (en) * 2003-08-09 2005-09-22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Electronic plug with short-length screw locking
US8215962B1 (en) * 2011-05-27 2012-07-10 Manuel Machado Waterproof swiveling electric cord slip coupling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36Y1 (ko) * 1999-07-31 2000-02-15 백춘심 최소직경다극플러그
US20050208812A1 (en) * 2003-08-09 2005-09-22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Electronic plug with short-length screw locking
US8215962B1 (en) * 2011-05-27 2012-07-10 Manuel Machado Waterproof swiveling electric cord slip couplin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073B1 (ko) 202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7591B2 (en) Electric terminal assembly
US9077105B2 (en)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6749449B2 (en) Safety receptacle with jacketed internal switches
JP6517615B2 (ja) 電気コネクタ
US8512069B2 (en) Flat plug electrical connector
US10992087B2 (en) Contact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or
KR20020087404A (ko) 전원코드 접속세트
US6884125B2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US6604954B2 (en) Power plug with safety feature
US7588451B2 (en) Plug with a spark meltdown-proof structure
CN109792118B (zh) 连接器
KR101810127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ES2753255T3 (es) Conjunto de un cable de conexión y un dispositivo de conexión y método de ensamblado del mismo
KR20220057746A (ko) 플러그, 소켓 및 플러그-소켓 조립체
KR101810128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US20170353022A1 (en) Connector
JPH05347162A (ja) 絶縁電気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63550Y1 (ko)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KR20200029254A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압착장치
CN213401713U (zh) 电连接器公端、母端、电连接器及供电或耗电设备
CN218867453U (zh) 防护组件、母插头和电连接器
KR200258721Y1 (ko) 시일드 커넥터
KR101185347B1 (ko) 콘센트 손상방지용 전기플러그
JPH0914800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等用コネクター
JP200133873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