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309A -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309A
KR20220057309A KR1020200142435A KR20200142435A KR20220057309A KR 20220057309 A KR20220057309 A KR 20220057309A KR 1020200142435 A KR1020200142435 A KR 1020200142435A KR 20200142435 A KR20200142435 A KR 20200142435A KR 20220057309 A KR20220057309 A KR 20220057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point
mixture layer
thickness
electrod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김민환
양정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309A/ko
Priority to JP2021161823A priority patent/JP2022073989A/ja
Priority to US17/496,585 priority patent/US20220140303A1/en
Priority to CN202111188404.4A priority patent/CN114430020A/zh
Priority to EP21202198.4A priority patent/EP3993087A1/en
Publication of KR2022005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은,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상기 양극 합제층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코팅부,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서 상기 코팅부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 합제층이 형성되지 않는 미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와 상기 미코팅부 사이에서 상기 양극 합제층이 상기 코팅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은 코팅부와 미코팅부의 연신율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양극 압연시에 발생하는 주름, 파단 등을 최소화함으로써 전극의 불량율을 개선하여 양질의 양극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AN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양극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양극 압연 공정 시 연신율 편차에 따라 발생하는 불규칙적인 주름 또는 접힘, 및 전극 파단 등을 최소화하는 이차전지 양극 구조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 또는 보조 전력장치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거리를 늘리기 위해서 더욱 고에너지 밀도의 이차전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제조 방법에 따라 스택형, 폴딩형 및 스택-폴딩형 등으로 구분된다.
전극조립체의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금속 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전극 시트를 제조한 후, 전극 시트를 압연하고, 단위 전극 간격으로 슬릿팅(slitting)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양극 집전체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될 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팅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양극 합제층이 도포되지 않는 미코팅부로 이루어져 있고, 집전체의 코팅부에는 양극 합제층이 도포되며, 도포된 양극 합제층은 소망하는 두께로 압연된다.
이 때, 압연 과정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압연 롤러를 사용하여 전극 시트를 연속적으로 압연하며, 소망하는 전극 두께 및 전극 밀도를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고에너지 밀도의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높은 압연율로 전극을 압연하게 된다.
그러나 전극 시트가 압연 롤러에 의해 압연될 때, 특히 높은 압연율로 전극이 압연될 때에서는, 집전체의 미코팅부에는 거의 압력이 인가되지 않아 코팅부와 미코팅부 사이의 집전체 연신율 차이로 인해 집전 체 상에 너울 또는 주름이 발생하게 되고, 심하면 파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너울, 주름이 전극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양극 합제층과 집전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쉽고, 이러한 간극은 양극 합제층의 이탈을 초래하여 전극의 성능을 상당히 저해할 수 있다. 또한, 너울, 주름 발생이 심하면 압연 공정 중 전극 전체의 파단을 유발하게 되고, 파단 발생 시 생산성 및 수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소망하는 두께로 압연 공정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IHA 가열을 통하여 미코팅부를 연질화함으로써 압연 과정에서 코팅부와 미코팅부의 연신율 차이를 감소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으나, 파단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IHA 출력을 높여야 하는데, 이 경우 집전체의 연질화가 너무 심하게 되어 웰딩(Welding)과 같은 후속 공정에서 더 큰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KR 10-2016-014144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팅부와 미코팅부의 연신율 차이를 최소화하여 파단 발생이 최소화된 압연 과정 이후의 집전체 길이방향으로의 활물질층의 두께의 최적화를 구현하고, 압연 과정 이전에 코팅부와 미코팅부 사이의 완충부의 최적설계를 통해 압연 과정에서의 코팅부와 미코팅부의 연신율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은,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상기 양극 합제층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코팅부,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서 상기 코팅부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 합제층이 형성되지 않는 미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와 상기 미코팅부 사이에서 상기 양극 합제층이 상기 코팅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에서, 상기 완충부의 두께는, 상기 미코팅부와 상기 완충부의 경계인 제1 지점에서 상기 완충부와 상기 코팅부의 경계인 제2 지점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에서, 상기 완충부의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에 제3 지점이 존재하고, 상기 완충부 내의 제3 지점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 대비 30% 내지 8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에서, 상기 제3 지점은, 상기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길이 대비 20% 내지 60% 만큼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은, 상기 완충부의 제2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사이에 제4 지점이 존재하고, 상기 제3 지점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 대비 20% 내지 50%이며,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4 지점까지 상기 완충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의 두께 차이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 두께의 30%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은, 상기 완충부의 제2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사이에 제4 지점이 존재하고, 상기 제3 지점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 대비 50% 내지 60%로 이며,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4 지점까지 상기 완충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의 두께 차이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의 20%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은, 상기 완충부의 제2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사이에 제4 지점이 존재하고, 상기 제3 지점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 대비 60% 내지 70%이고,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4 지점까지 상기 완충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의 두께 차이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의 15%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에서, 상기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의 거리는, 상기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의 거리 대비 20% 내지 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에서, 상기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3 지점의 거리는, 상기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의 거리 대비 10%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에서,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밀도는 3.5g/cc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에서,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로딩은 16.0mg/cm2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에서,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는 15u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에서, 상기 미코팅부에 해당하는 상기 집전체의 인장 강도는 12 kgf/mm2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 방법은, 양극 집전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 영역 상에 양극 합제층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코팅부,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서 상기 코팅부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 합체증이 형성되지 않는 미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와 상기 미코팅부 사이에서 상기 코팅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상기 양극 합제층이 도포된 완충부를 포함하는 양극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양극 합제층 도포 이후 상기 코팅부 및 완충부를 동일 크기의 압력으로 압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은 코팅부와 미코팅부의 연신율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양극 압연시에 발생하는 주름, 파단 등을 최소화함으로써 전극의 불량율을 개선하여 양질의 양극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연 과정 이후의 이차전지용 양극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이차전지용 양극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연 과정 이후의 이차전지용 양극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2의 이차전지용 양극의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연 과정 이후의 이차전지용 양극의 실측 입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고에너지 밀도의 이차전지를 위해서는 고밀도의 양극 적용이 필수적이다. 고밀도의 양극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양극 합제층(20)이 코팅된 양극 집전체(10)을 압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압연 과정에서 양극 합제층(20)을 고밀도로 압연함과 동시에 집전체(10)에서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이차전지 전극(1)의 압연 이후의 형상과 이차전지 전극(1)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은 압연 과정이 끝난 이후의 이차전지용 양극과 압연 과정 이전의 이차전지용 양극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첫번째로 압연과정이 끝난 이후의 이차전지용 양극은, 집전체에 파단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 설계된 양극을 압연한 결과물로서,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 1과 2에 해당한다. 두번째로 압연 과정 이전의 이차전지용 양극은, 압연 이전에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을 코팅시킨 상태의 양극으로서, 이하의 실시예 3에서 설명될 이차전지용 양극 제조 방법에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은 양극 집전체와 양극 합제층으로 구성된다. 양극 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텔,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양극 합제층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전재로는 통상적으로 도전성 탄소가 사용이 되며, 예를 들면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캐첸 블랙, 수퍼-P, 탄소 나노 튜브 등 다양한 도전성 탄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전극(1)에 대해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은, 양극 집전체(10) 및 상기 양극 집전체(10) 상에 양극 합제층(20)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1)에 있어서, 상기 양극 합제층(20)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코팅부(100), 상기 양극 집전체(10) 상에서 상기 코팅부(10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 합제층(20)이 형성되지 않는 미코팅부(200) 및 상기 코팅부(100)와 상기 미코팅부(200) 사이에서 상기 양극 합제층(20)이 상기 코팅부(10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완충부(300)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보면, 본 발명의 양극(1)은 양극 집전체(10)와 집전체(10) 위에 코팅되어 있는 양극 합제층(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극(1)은 코팅부(100), 미코팅부(200), 완충부(300)로 구분된다. 코팅부(100)는 양극 집전체(10) 상에 양극 합제층(20) 일정 두께로 코팅된 부분을 말하며, 도 1을 보면 코팅부(100)가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미코팅부(200)는 코팅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코팅부(100)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미코팅부(200)는 집전체(10) 상에 양극 합제층(20)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다. 완충부(300)는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도 1을 보면, 완충부(300)는 코팅부(100)와 미코팅부(200) 사이에 위치하여, 전극(1) 압연시에 코팅부(100)와 미코팅부(200) 사이의 연신율 차이를 최소화하게 한다. 완충부(300)는 양극 합제층(20)의 두께의 기울기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완충부(300)의 두께의 기울기가 2개로 형성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완충부(300)의 두께의 기울기가 3개로 형성되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비율이 정확히 표현되어 있지는 않으나, 완충부(300)의 두께보다 완충부(300) 길이가 훨씬 크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완충부(300)의 두께가 110um이라면 완충부의 길이가 5mm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완충부(300)는 두께보다 코팅부(100)와 미코팅부(200) 사이의 너비 길이를 훨씬 더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코팅부(100)와 미코팅부(200)의 연실율 차이를 최소화하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에서, 상기 완충부(300)의 두께는, 상기 미코팅부(200)와 상기 완충부(300)의 경계인 제1 지점(310)에서 상기 완충부(300)와 상기 코팅부(100)의 경계인 제2 지점(320)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미코팅부(200)와 완충부(300)의 경계를 제1 지점(310)으로 지칭한다. 즉, 제1 지점은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형성된 부분의 경계이며, 따라서 제1 지점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0이다. 제2 지점은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가 일정한 곳과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보다 두께가 작은 완충부(300)의 경계이며, 따라서 제2 지점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코팅부(2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와 일치한다.
제1 지점(31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 대비 0%로 형성되고, 제2 지점(32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 대비 100%로 형성된다. 따라서 완충부(3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제1 지점(310)에서 제2 지점(320)으로 갈수록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의 0% 에서 100%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에서, 상기 완충부의 제1 지점(310)과 상기 제2 지점(320) 사이에 제3 지점(330)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a는 양극 집전체(10) 평면 상에서의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의 간격을 의미하고, c는 양극 집전체(10) 평면 상에서의 제2 지점(320)과 제3 지점(330)의 간격을 의미한다. x는 양극 집전체(1)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의 두께차를 의미하고, z는 양극 집전체(1)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 지점(320)과 제3 지점(330)의 두께차를 의미한다.
  압연 이후의 전극(압연 전극) a/(a+c) (x/(x+z)
a(mm) c(mm) x(um) z(um)
제1
실시예
1-1번 1 4 55 56 0.2 0.50
1-2번 1 4 84 27 0.2 0.76
1-3번 1 4 41 69 0.2 0.37
1-4번 1 2 60 49 0.33333 0.55
1-5번 4 3 47 64 0.57143 0.42
비교예 1 0 97 14 1.00 0.87
제1' 실시예 1'-2'번 1 4 98 12 0.20 0.89
1'-3'번 1 4 20 90 0.20 0.18
1'-4'번 1 10 55 55 0.09 0.50
1'-5'번 9 2 55 55 0.82 0.50
  양극 로딩 밀도 집전체두께 집전체 인장강도 2000m 주행 중 파단 횟수
mg/cm2 g/cc mm kgf/mm2
제1
실시예
1-1번 18.39 3.71 12 16.8 0
1-2번 18.33 3.70 12 17.3 0
1-3번 18.27 3.72 12 16.2 0
1-4번 18.26 3.75 12 17.5 0
1-5번 18.36 3.69 12 17.2 0
비교예 18.33 3.70 12 16.5 2
제1' 실시예 1'-1'번 18.26 3.73 12 17 2
1'-2'번 18.35 3.74 12 17 0
1'-3'번 18.32 3.74 12 17 2
1'-4'번 18.32 3.74 12 17 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실시예는 1-1 내지 1-5번으로,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실시예는 1'-1' 내지 1'-4'으로 명명하였다.
비교예는 본 발명의 완충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실험결과로서,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파단의 횟수가 많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완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양극의 파단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에서, 상기 완충부(300)의 제1 지점(310)과 상기 제2 지점(320) 사이에 제3 지점(330)이 존재하고, 상기 완충부(300) 내의 제3 지점(33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 대비 30% 내지 8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에서, 상기 제3 지점(330)은, 상기 집전체(10)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310)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320)까지의 길이 대비 20% 내지 60% 만큼 상기 제1 지점(3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보면, 집전체(10) 상에서의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 간의 간격 거리를 a, 집전체(10) 상에서의 제3 지점(330)과 제2 지점(320) 간의 간격 거리를 c라고 할 때, 0.2 ≤ a/(a+c) ≤ 0.6 의 조건을 만족한다.
표 1을 보면, 제1 실시예의 a/a+c 항목이 0.2와 0.6 사이 범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해당 값을 기준으로 압연을 위해 2000m 주행할 때 파단이 발생하지 않고 양극(1)의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2000m 주행 중 파단 횟수는 0이고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양극 합제층(20)이 충분한 압축이 되었음과 동시에 집전체(10)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1'-3'번과 1'-4'번을 보면, a/a+c 항목이 각각 0.09와 0.82로 형성되어 있다. 1'-4'번과 같이 a값이 커져서 a/a+c 값이 0.6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양극 합제층(20)의 용량이 매우 감소할 수 있으며, 반대로 1'-3'번과 같이 c 값이 커져서 a/a+c 값이 0.2 미만인 경우에는 파단이 억제되는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따라서 a/a+c 값이 0.2 내지 0.6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전지 용량 및 밀도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 간의 상기 양극 합제층의 두께 차이를 x, 제3 지점(330)과 제2 지점(320) 간의 두께 높이 차이를 z라고 할 때, 0.3 ≤ x/(x+z) ≤ 0.8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의 x/(x+z) 값은 0.3 내지 0.8 사이 범위를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해당 값을 기준으로 압연을 위해 2000m 주행할 때 파단이 발생하지 않고 양극(1)의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 1을 보면, 제1 실시예의 x/(x+z) 항목이 0.3과 0.8 사이 범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2000m 주행 중 파단 횟수는 0이고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양극 합제층(20)이 충분한 압축이 되었음과 동시에 집전체(10)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1'-1'번과 1'-2'번을 보면, x/(x+z) 항목이 각각 0.089와 0.018로 형성되어 있는데, 1'-1'번과 같이 x/(x+z) 비율이 지나치게 크면 완충부(300)의 로딩되는 양극 합제층(20)이 두꺼워져 연신율 차이를 최소화하는 개선점이 없어짐에 따라 파단이 발생(2000m 주행시 2회 발생)하고, 1'-2'번과 같이 x/(x+z) 비율이 지나치게 작으면 양극 합제층(20)을 지나치게 얇게 코팅하여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이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1'-1'번과 1'-2'번와 달리, x/(x+z) 비율이 0.3과 0.8 범위 사이에 있는 것이 2000m 주행 중 파단 횟수를 0으로 유지하게 하면서, 코팅의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은, 완충부(300)는 서로 다른 세 개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300)의 제2 지점(320)과 상기 제3 지점(330) 사이에 제4 지점(340)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a는 양극 집전체(10) 평면 상에서의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의 간격을 의미하고, b는 양극 집전체(10) 평면 상에서의 제3 지점(330)과 제4 지점(340)의 간격을 의미하며, c는 양극 집전체(10) 평면 상에서의 제4 지점(340)과 제2 지점(320)의 간격을 의미한다. x는 양극 집전체(10)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의 두께차를 의미하고, y는 양극 집전체(10)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3 지점(330)과 제4 지점(340)의 두께차를 의미하며, z는 양극 집전체(10)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4 지점(340)과 제2 지점(320)의 두께차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연 과정 이후의 이차전지용 양극(1)의 실측 입체 단면도이다. 도 5의 입체 도면에서도 양극 합제층(20)의 두께가 달라짐에 따라 양극 합제층(20)의 기울기가 달라지면서 제1 지점(310), 제2 지점(320), 제3 지점(330), 제4 지점(340)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양극(1) 구조가 실제로 생산 가능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압연 이후의 전극(압연 전극) a/(a+b+c) b/(a+b+c) c/(a+b+c)
a(mm) b(mm) c(mm) x(um) y(um) z(um)
제2 실시예 2-6번 1 6 1 52 26 32 0.125 0.75 0.125
2-7번 1 6 1 76 11 23 0.125 0.75 0.125
2-8번 1 4 3 28 32 50 0.125 0.5 0.375
2-9번 2 4 2 58 22 31 0.25 0.5 0.25
  x/(x+y+z) y/(x+y+z) z/(x+y+z) 양극 로딩 밀도 집전체두께 집전체 인장강도 2000m 주행 중
파단 횟수
mg/cm2 g/cc mm kgf/mm2
제2 실시예 6번 0.472727 0.23636 0.2909 18.2 3.714286 12 16.5 0
7번 0.690909 0.1 0.20909 18.33 3.740816 12 17.1 0
8번 0.254545 0.290909 0.454545 18.27 3.728571 12 16.6 0
9번 0.522523 0.198198 0.279279 18.3 3.69697 12 16.6 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은, 상기 완충부의 제2 지점(320)과 상기 제3 지점(330) 사이에 제4 지점(340)이 존재하고, 상기 제3 지점(33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 대비 20% 내지 50%이며, 상기 제3 지점(330)에서 상기 제4 지점(340)까지 상기 완충부(3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3 지점(330)과 상기 제4 지점(340)의 두께 차이는 상기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 두께의 30%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미코팅부(200)와 완충부(300)의 경계를 제1 지점(310)으로, 상기 완충부(300)와 상기 코팅부(100)의 경계를 제2 지점(320)으로 지칭할 수 있다. 즉, 제1 지점은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형성된 부분의 경계이며, 따라서 제1 지점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0일 수 있다. 제2 지점은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가 일정한 곳과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보다 두께가 작은 완충부(300)의 경계이며, 따라서 제2 지점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코팅부(2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와 일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은, 0.2 ≤ x/(x+y+z) ≤ 0.5 의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제3 지점(330)에서 제4 지점(340)까지의 두께의 변화(y)가 y/(x+y+z) ≤ 0.3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표 4에서 제2 실시예의 2-6번과 2-8번 데이터를 보면, x/(x+y+z) 항목이 0.2와 0.5 사이 범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때의 y/(x+y+z) 항목이 0.3 이하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6번과 8번 데이터에서 2000m 주행 중 파단 횟수는 0이고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양극 합제층(20)이 충분한 압축이 되었음과 동시에 집전체(10)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20)의 두께 차이가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 두께의 20 내지 50%에 해당할 때에는, 완충부(300)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지점(330)과 제 4지점(340) 간의 두께 차이가 코팅부(100)의 30%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의미한다. 완충부(300)의 주요 역할인 양극(1) 압연 시의 파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완충부(300)의 두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면 안되므로,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 사이의 두께 변화가 따라 제3 지점(330)에서 제4 지점(340)까지의 두께의 변화에 제한을 두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은, 상기 완충부(300)의 제2 지점(320)과 상기 제3 지점(330) 사이에 제4 지점(340)이 존재하고, 상기 제3 지점(33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 대비 50% 내지 60%로 이며, 상기 제3 지점(330)에서 상기 제4 지점(340)까지 상기 완충부(3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3 지점(330)과 상기 제4 지점(340)의 두께 차이는 상기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의 20%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은, 0.5 ≤ x/(x+y+z) ≤ 0.6 의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제3 지점(330)에서 제4 지점(340)까지의 두께의 변화(y)가 y/(x+y+z) ≤ 0.2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표 4에서 제2 실시예의 2-9번 데이터를 보면, x/(x+y+z) 항목이 0.5와 0.6 사이 범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때의 y/(x+y+z) 항목이 0.2 이하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2-9번 데이터에서 2000m 주행 중 파단 횟수는 0이고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양극 합제층(20)이 충분한 압축이 되었음과 동시에 집전체(10)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20)의 두께 차이가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 두께의 50 내지 60%에 해당할 때에는, 완충부(300)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지점(330)과 제 4지점(340) 간의 두께 차이가 코팅부(100)의 20%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의미한다. 완충부(300)의 주요 역할인 양극(1) 압연 시의 파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완충부(300)의 두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면 안되므로,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 사이의 두께 변화가 따라 제3 지점(330)에서 제4 지점(340)까지의 두께의 변화에 제한을 두는 것이다. 실시예 2의 2-6번과 2-8번의 경우와 비교해보면, 2-9번의 경우는 x/(x+y+z)의 값이 더 커지게 되어 완충부(300)의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 두께 변화가 커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완충부(300)의 두께 변화가 급격해 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y/(x+y+z) 값의 범위를 더 작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은, 상기 완충부(300)의 제2 지점(320)과 상기 제3 지점(330) 사이에 제4 지점(340)이 존재하고, 상기 제3 지점(33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 대비 60% 내지 70%이고, 상기 제3 지점(330)에서 상기 제4 지점(340)까지 상기 완충부(3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3 지점(330)과 상기 제4 지점(340)의 두께 차이는 상기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의 15%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은, 0.6 ≤ x/(x+y+z) ≤ 0.7 의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제3 지점(330)에서 제4 지점(340)까지의 두께의 변화(y)가 y/(x+y+z) ≤ 0.15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표 4에서 제2 실시예의 7번 데이터를 보면, x/(x+y+z) 항목이 0.6와 0.7 사이 범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때의 y/(x+y+z) 항목이 0.15 이하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7번 데이터에서 2000m 주행 중 파단 횟수는 0이고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양극 합제층(20)이 충분한 압축이 되었음과 동시에 집전체(10)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20)의 두께 차이가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 두께의 60 내지 70%에 해당할 때에는, 완충부(300)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지점(330)과 제 4지점(340) 간의 두께 차이가 코팅부(100)의 15%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의미한다. 완충부(300)의 주요 역할인 양극(1) 압연 시의 파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완충부(300)의 두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면 안되므로,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 사이의 두께 변화가 따라 제3 지점(330)에서 제4 지점(340) 까지의 두께의 변화에 제한을 두는 것이다. 실시예 2의 2-9번의 경우와 비교해보면, 2-7번의 경우는 x/(x+y+z)의 값이 더 커지게 되어 완충부(300)의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 두께 변화가 커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완충부(300)의 두께 변화가 급격해 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y/(x+y+z) 값의 범위를 더 작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에서, 상기 집전체(10) 상에서의 상기 제3 지점(330)과 상기 제4 지점(340)의 거리는, 상기 집전체(10)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310)과 상기 제2 지점(320)의 거리 대비 40% 내지 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에서, 상기 집전체(10)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310)과 상기 제3 지점(330)의 거리는, 상기 집전체(10)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310)과 상기 제2 지점(320)의 거리 대비 10% 내지 30%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은,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 간의 간격 거리를 a, 제3 지점(330)과 제4 지점(340) 간의 간격 거리를 b, 제 4지점(340)과 제2 지점(320) 간의 간격 거리는 c라고 할 때, 0.2≤ b/(a+b+c) ≤ 0.8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표 3을 보면, 제2 실시예 6번 내지 9번의 b/(a+b+c) 항목이 0.2와 0.8 사이 범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의 b/(a+b+c) 항목이 0.2와 0.8을 기준으로 압연을 위해 2000m 주행할 때 파단이 발생하지 않고 양극(1)의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2000m 주행 중 파단 횟수는 0이고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양극 합제층(20)이 충분한 압축이 되었음과 동시에 집전체(10)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b/(a+b+c)의 범위가 0.2과 0.8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은, 제1 지점(310)과 제3 지점(330) 간의 간격 거리를 a, 제3 지점(330)과 제4 지점(340) 간의 간격 거리를 b, 제 4지점(340)과 제2 지점(320) 간의 간격 거리는 c라고 할 때, 0.1≤ a/(a+b+c) ≤ 0.3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표 3을 보면, 제2 실시예 6번 내지 9번의 a/(a+b+c) 항목이 0.1와 0.3 사이 범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의 a/(a+b+c) 항목이 0.1와 0.3을 기준으로 압연을 위해 2000m 주행할 때 파단이 발생하지 않고 양극(1)의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2000m 주행 중 파단 횟수는 0이고 밀도가 3.69 g/cc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양극 합제층(20)이 충분한 압축이 되었음과 동시에 집전체(10)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a/(a+b+c)의 범위가 0.1과 0.3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1)은, 상기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밀도는 3.5g/cc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의 로딩은 16.0mg/cm2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양극 집전체(10)의 두께는 15um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미코팅부(200)에 해당하는 상기 집전체(10)의 인장 강도는 12 kgf/mm2 이상일 수 있다.
고밀도의 양극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양극 합제층(20)의 밀도가 높아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최소 양극 합제층(20)의 밀도가 3.5g/cc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양극 합제층(20)의 로딩이란, 집전체(10) 넓이에 대비하여 양극활물질이 얼마나 코팅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인데, 본 발명의 양극(1)은 고밀도 뿐만 아니라 일정 이상의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양극 합제층(20)의 로딩이 16.0mg/cm2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양극 집전체(10)의 두께는 15um 이하일 수 있으며, 압연 과정 이후 웰딩(Welding) 과정에서 융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집전체(10)의 인장 강도를 12 kgf/mm2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의 제조 방법은, 양극 집전체(1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양극 집전체(10) 상에 양극 합제층(20)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합제층(20)을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양극 집전체(10)의 일 영역 상에 양극 합제층(20)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코팅부(100), 상기 양극 집전체(10) 상에서 상기 코팅부(10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 합체증(20)이 형성되지 않는 미코팅부(200) 및 상기 코팅부(100)와 상기 미코팅부(200) 사이에서 상기 코팅부(10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상기 양극 합제층(20)이 도포된 완충부(300)를 포함하는 양극(1)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1)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양극 합제층(20) 도포 이후 상기 코팅부(100) 및 완충부(300)를 동일 크기의 압력으로 압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극 합제층(20)을 도포하는 단계 이후에는 전극(1)을 압연하는 단계가 시행될 수 있다. 코팅부(100)와 완충부(300)를 동일한 힘으로 압연하는바, 압연 이후에도 완충부(300)의 두께가 코팅부(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코팅 방법에 따라 완충부(300)의 양극 합제층(20)은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거나 계단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 압연하는 단계 이후에 양극(1)은 양극 집전체(10)의 적어도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한 미코팅부(200)에서 코팅부(100)에 가까워질수록 완충부(300)의 양극 합제층(20)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양극 합제층(20)을 도포하는 단계는,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을 형성시키는 코팅부 슬러리 배출구와 완충부(300)의 양극 합제층(20)을 형성시키는 완충부 슬러리 배출구를 각각 배치하여, 2개의 슬러리 배출구를 통해 양극 집전체(10) 상에 양극 합제층(20)을 코팅하는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슬러리 배출구가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양극 합제층(20)을 도포하는 단계는, 1개의 슬러리 배출구에 의해 코팅부(100)의 양극 합제층(20)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양극 합제층(20)이 형성된 코팅층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의 양극 합제층(20) 일부를 제거하여 완충부(300)의 양극 합제층(20)이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거나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이차전지용 양극 10 : 양극 집전체
20 : 양극 합제층 100 : 코팅부
200 : 미코팅부 300 : 완충부
310 : 제1 지점 320 : 제2 지점
330 : 제3 지점 340 : 제4 지점

Claims (15)

  1.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상기 양극 합제층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코팅부;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서 상기 코팅부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 합제층이 형성되지 않는 미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와 상기 미코팅부 사이에서 상기 양극 합제층이 상기 코팅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두께는,
    상기 미코팅부와 상기 완충부의 경계인 제1 지점에서 상기 완충부와 상기 코팅부의 경계인 제2 지점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이차전지용 양극.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에 제3 지점이 존재하고,
    상기 완충부 내의 제3 지점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 대비 30% 내지 80%로 형성되는, 이차전지용 양극.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점은, 상기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길이 대비 20% 내지 60% 만큼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양극.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제2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사이에 제4 지점이 존재하고,
    상기 제3 지점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 대비 20% 내지 50%이며,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4 지점까지 상기 완충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의 두께 차이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 두께의 30% 이내로 형성되는, 이차전지용 양극.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제2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사이에 제4 지점이 존재하고,
    상기 제3 지점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 대비 50% 내지 60%로 이며,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4 지점까지 상기 완충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의 두께 차이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의 20% 이내로 형성되는, 이차전지용 양극.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제2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사이에 제4 지점이 존재하고,
    상기 제3 지점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 대비 60% 내지 70%이고,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4 지점까지 상기 완충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의 두께 차이는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두께의 15% 이내로 형성되는, 이차전지용 양극.
  8.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의 거리는,
    상기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의 거리 대비 20% 내지 80%인, 이차전지용 양극
  9.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3 지점의 거리는,
    상기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의 거리 대비 10% 내지 30%인, 이차전지용 양극.
  10.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밀도는 3.5g/cc 이상인, 이차전지용 양극.
  11.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의 양극 합제층의 로딩은 16.0mg/cm2 이상인, 이차전지용 양극.
  12.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는 15um 이하인, 이차전지용 양극.
  13.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코팅부에 해당하는 상기 집전체의 인장 강도는 12 kgf/mm2 이상인, 이차전지용 양극.
  14. 양극 집전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 영역 상에 양극 합제층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코팅부,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서 상기 코팅부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 합체증이 형성되지 않는 미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와 상기 미코팅부 사이에서 상기 코팅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상기 양극 합제층이 도포된 완충부를 포함하는 양극을 형성시키는,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양극 합제층 도포 이후 상기 코팅부 및 완충부를 동일 크기의 압력으로 압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 방법.
KR1020200142435A 2020-10-29 2020-10-29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7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435A KR20220057309A (ko) 2020-10-29 2020-10-29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JP2021161823A JP2022073989A (ja) 2020-10-29 2021-09-30 二次電池用正極及びその製造方法
US17/496,585 US20220140303A1 (en) 2020-10-29 2021-10-07 Cath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2111188404.4A CN114430020A (zh) 2020-10-29 2021-10-12 用于二次电池的正极及其制造方法
EP21202198.4A EP3993087A1 (en) 2020-10-29 2021-10-12 Cath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435A KR20220057309A (ko) 2020-10-29 2020-10-29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309A true KR20220057309A (ko) 2022-05-09

Family

ID=7813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435A KR20220057309A (ko) 2020-10-29 2020-10-29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40303A1 (ko)
EP (1) EP3993087A1 (ko)
JP (1) JP2022073989A (ko)
KR (1) KR20220057309A (ko)
CN (1) CN114430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984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압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48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연에 따른 전극 시트의 너울 또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 압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6675B2 (ja) * 2006-06-16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258228B2 (ja) * 2007-08-21 2013-08-0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EP3211695B1 (en) * 2014-10-21 2020-01-08 Envision AESC Energy Devic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JP6571331B2 (ja) * 2014-12-26 2019-09-04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6705126B2 (ja) * 2015-06-04 2020-06-03 株式会社Gsユアサ 電極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48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연에 따른 전극 시트의 너울 또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 압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984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압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30020A (zh) 2022-05-03
JP2022073989A (ja) 2022-05-17
US20220140303A1 (en) 2022-05-05
EP3993087A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07800A1 (en) Negative electrode shee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ithium ion battery containing the same
CN111987285B (zh) 一种正极片及包含该正极片的锂离子电池
KR100903474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 제조방법
US7960050B2 (en) Secondary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3335260B1 (en) Method of preparing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thereby
KR20090019734A (ko) 비수 2차 전지
CN112713258A (zh) 一种锂离子电池
CN112701250A (zh) 一种锂离子电池
KR20100108458A (ko) 비수성 전지용 음극판, 비수성 전지용 전극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원통형 비수성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0610A (ko) 버 방지 특성을 갖는 전착된 구리 호일
KR20170094983A (ko)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상기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KR102227311B1 (ko) 양극재의 재활용 방법
KR102103895B1 (ko) 무지 부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4365306A (zh) 使用激光制造二次电池的电极的设备和方法及通过其制造的二次电池的电极
KR20220057309A (ko)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JP2006278265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24822B1 (ko) 널링부가 형성된 전극 탭을 포함하는 전극 가공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WO2019082575A1 (ja) 集電体電極シートの製造方法、圧縮ローラ、集電体電極シート、および電池
JP3969189B2 (ja) 角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US10573893B2 (en) Electrodes with directionally restrained active materials and methods of restraint
EP4280328A1 (en) Electrode assemblly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4009395B1 (en) All solid state battery
KR10265568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975877B (zh) 二次电池用电极的制造方法
CN114975876B (zh) 二次电池用电极的制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