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959A - 실리콘 안대 - Google Patents

실리콘 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959A
KR20220056959A KR1020200141659A KR20200141659A KR20220056959A KR 20220056959 A KR20220056959 A KR 20220056959A KR 1020200141659 A KR1020200141659 A KR 1020200141659A KR 20200141659 A KR20200141659 A KR 20200141659A KR 20220056959 A KR20220056959 A KR 2022005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eyes
eye
eye protection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264B1 (ko
Inventor
남윤혜
Original Assignee
남윤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혜 filed Critical 남윤혜
Priority to KR102020014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2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4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kin contacting layer, e.g. air-vapo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61F13/12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specially adapted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97Plasters use eye pa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697Plasters adhesive elastomer-, e.g. rubber- based
    • A61F2013/00702Plasters adhesive elastomer-, e.g. rubber- based silicon-ba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r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안대에 관한 것으로서, 눈을 가려주는 눈보호부가 구비되고, 눈보호부의 외곽으로는 눈 주변에 실리콘 접착액에 의해 부착되기 위한 접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실리콘 재질의 안대로 구성하므로서,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눈보호부가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눈을 압박하지 않게되어 수술 후 회복기간 동안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접착부에는 이격홀을 형성하면서 이격홀 사이를 통공이 구비된 연결부를 형성함에 따라 통공을 통해 실리콘 접착액이 연결부 외부로 노출되면서 경화되어 접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안대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통홀을 통해 외부의 외부의 공기가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눈에 땀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실리콘 안대를 눈에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샤워 등을 하는 과정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실리콘 안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격홀에 의해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눈보호부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눈보호부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크기를 확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리콘 안대{Silicone eye patch}
본 발명은 실리콘 안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눈을 가려주는 눈보호부가 구비되고, 눈보호부의 외곽으로는 눈 주변에 실리콘 접착액에 의해 부착되기 위한 접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실리콘 재질의 안대로 구성하므로서,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눈보호부가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눈을 압박하지 않게되어 수술 후 회복기간 동안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접착부에는 이격홀을 형성하면서 이격홀 사이를 통공이 구비된 연결부를 형성함에 따라 통공을 통해 실리콘 접착액이 연결부 외부로 노출되면서 경화되어 접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안대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통홀을 통해 외부의 외부의 공기가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눈에 땀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실리콘 안대를 눈에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샤워 등을 하는 과정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실리콘 안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격홀에 의해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눈보호부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눈보호부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크기를 확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실리콘 안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대는 수술 후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수술 후에는 눈에 바이러스와 같은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눈에 외부 충격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눈을 보호하기 위해 안대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안대는 대부분이 섬유재로 이루어진 안대의 양단에 귀걸이끈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섬유재의 안대는 귀걸이끈으로 귀에 걸어 사용함에 따라 안대가 눈을 눌러주게되어 눈에 필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 20-2011-0009999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8-0050489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눈을 가려주는 눈보호부가 구비되고, 눈보호부의 외곽으로는 눈 주변에 실리콘 접착액에 의해 부착되기 위한 접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실리콘 재질의 안대로 구성하므로서,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눈보호부가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눈을 압박하지 않게되어 수술 후 회복기간 동안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접착부에는 이격홀을 형성하면서 이격홀 사이를 통공이 구비된 연결부를 형성함에 따라 통공을 통해 실리콘 접착액이 연결부 외부로 노출되면서 경화되어 접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안대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통홀을 통해 외부의 외부의 공기가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눈에 땀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실리콘 안대를 눈에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샤워 등을 하는 과정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실리콘 안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격홀에 의해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눈보호부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눈보호부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크기를 확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실리콘 안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눈을 가려주는 눈보호부(10)가 구비되고, 눈보호부(10)의 외곽으로는 눈 주변 피부에 실리콘 접착액에 의해 부착되기 위한 접착부(20)로 이루어지고, 눈보호부와 접착부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되,
접착부(20)에는 접착부를 외측과 내측으로 양분하는 이격홀(22)을 형성하고, 이격홀(22)의 사이에는 다수의 통공(24)을 구비한 연결부(23)를 얇은 막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눈을 가려주는 눈보호부가 구비되고, 눈보호부의 외곽으로는 눈 주변에 실리콘 접착액에 의해 부착되기 위한 접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실리콘 재질의 안대로 구성하므로서,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눈보호부가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눈을 압박하지 않게되어 수술 후 회복기간 동안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접착부에는 이격홀을 형성하면서 이격홀 사이를 통공이 구비된 연결부를 형성함에 따라 통공을 통해 실리콘 접착액이 연결부 외부로 노출되면서 경화되어 접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안대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홀을 통해 외부의 외부의 공기만이 유동되기 때문에 상기 눈에 땀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실리콘 안대를 눈에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샤워 등을 하는 과정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리콘 안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격홀에 의해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눈보호부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눈보호부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크기를 확대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리콘 안대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 실리콘 안대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 1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 2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눈을 가려주는 눈보호부(10)가 구비되고, 눈보호부(10)의 외곽으로는 눈 주변 피부에 실리콘 접착액에 의해 부착되기 위한 접착부(20)로 이루어지고, 눈보호부와 접착부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되,
접착부(20)에는 접착부를 외측과 내측으로 양분하는 이격홀(22)을 형성하고, 이격홀(22)의 사이에는 다수의 통공(24)을 구비한 연결부(23)를 얇은 막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눈보호부(10)의 중앙부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다수의 제 1 주름부(11)를 형성하여 눈보호부(10)를 돔 형태로 돌출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눈보호부(10)와 접착부(20)의 중간부에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제 2 주름부(12)를 형성하여 실리콘안대를 좌우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한 안대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안대(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이외에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타원형, 직사각형 등으로 형성됨을 밝히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리콘안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눈을 가려주는 눈보호부(10)가 중앙에 구비되고, 이 눈보호부(10)의 외곽으로는 눈 주변 피부에 접착되기 위한 접착부(20)로 구성된다.
눈보후부(10)와 접착부(20)는 모두 실리콘 재질로서 형성된다.
접착부(20)의 바닥부에는 피부에 접촉되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진 접착면(21)을 구비하며, 접착부(20)의 중간부에는 접착부(20)를 외측부와 내측부로 구획하기 위한 이격홀(22)이 형성되고, 이격홀(22)의 사이에는 얇은 막 형태의 연결부(23)를 형성하여 이격홀(22)에 의해 이격된 접착부의 외측부와 내측부를 연결부(23)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연결부(23)에는 다수의 통공(24)을 형성한다.
연결부(23)에 형성되는 통공(24)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같이 격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c 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공(24)을 원형 또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연결부(23)에 다수의 미세한 통공(24)을 형성하게 되면 실리콘안대를 피부에 부착할 때 도포하는 실리콘 접착액이 통공(24)을 통해 연결부(23) 외부로 노출되면서 경화되므로 보다 강력한 접착력으로 안대를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게되어 안대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실리콘 안대를 사용할 때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리콘 안대의 접착면(21)에 실리콘 접착액을 도포한 상태에서 눈 주변의 피부에 접착면(21)을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게되며, 본 발명의 실리콘 안대를 사용하면 접착부(20)가 피부에 강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되므로 수술 후 눈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보호부(10)가 눈을 보호하게 되므로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눈보호부(10)의 중앙부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다수의 제 1 주름부(11)를 형성하여 눈보호부(10)를 돔 형태로 돌출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주름부(11)를 환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실리콘 안대를 사용할 때 도 3c 와 같이 제 1 주름부(11)를 외측으로 펴서 눈보호부(10)가 돔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함에 따라 눈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리콘 안대를 사용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눈보호부(10)와 접착부(20)의 중간부에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제 2 주름부(12)를 형성하여 실리콘안대를 좌우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4 와 같이 실리콘 안대를 이루는 눈보호부(10)와 접착부(20)의 중간부에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제 2 주름부(12)를 형성하게되면, 안대의 크기를 확장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4c 와 같이 제 2 주름부(12)를 좌우로 확장시켜 실리콘 안대(1)의 크기를 크게하여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확장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정상적인 크기의 경우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어른의 경우 실리콘 안대의 크기의 좌우로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게된다.
도 4 에는 제 2 주름부(12)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일예로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 2 주름부(12)를 가로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1: 실리콘 안대, 10: 눈보호부,
11: 제 1 주름부, 12: 제 2 주름부,
21: 접착면, 22: 이격홀,
23: 연결부, 24: 통공,

Claims (3)

  1. 눈을 가려주는 눈보호부(10)가 구비되고, 눈보호부(10)의 외곽으로는 눈 주변 피부에 실리콘 접착액에 의해 부착되기 위한 접착부(20)로 이루어지고, 눈보호부와 접착부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되,
    접착부(20)에는 접착부를 외측과 내측으로 양분하는 이격홀(22)을 형성하고, 이격홀(22)의 사이에는 다수의 통공(24)을 구비한 연결부(23)를 얇은 막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안대.
  2. 제 1 항에 있어서,
    눈보호부(10)의 중앙부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다수의 제 1 주름부(11)를 형성하여 눈보호부(10)를 돔 형태로 돌출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안대.
  3. 제 1 항에 있어서,
    눈보호부(10)와 접착부(20)의 중간부에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제 2 주름부(12)를 형성하여 실리콘안대를 좌우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안대.
KR1020200141659A 2020-10-29 2020-10-29 실리콘 안대 KR102467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659A KR102467264B1 (ko) 2020-10-29 2020-10-29 실리콘 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659A KR102467264B1 (ko) 2020-10-29 2020-10-29 실리콘 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59A true KR20220056959A (ko) 2022-05-09
KR102467264B1 KR102467264B1 (ko) 2022-11-25

Family

ID=8158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659A KR102467264B1 (ko) 2020-10-29 2020-10-29 실리콘 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2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781Y1 (ko) * 1994-10-20 1999-03-30 김동해 안대
KR200275080Y1 (ko) * 2002-02-26 2002-05-09 박영기 상처보호용 방수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781Y1 (ko) * 1994-10-20 1999-03-30 김동해 안대
KR200275080Y1 (ko) * 2002-02-26 2002-05-09 박영기 상처보호용 방수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264B1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5868B2 (ja) ストーマ開口部に適合するように伸縮が可能なオストミーパウチ
US20100236028A1 (en) Button cover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21511082A (ja) 一体型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
JPH0372301B2 (ko)
KR101987583B1 (ko) 마스크
KR20220056959A (ko) 실리콘 안대
KR102095295B1 (ko) 착용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US6149615A (en) Opto-cupped pedia patch
US7058992B1 (en) Ski goggles with opening for ears
KR101855114B1 (ko) 마스크 및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200480276Y1 (ko) 눈보호대
KR20170028685A (ko) 안경용 기능성 보조기구
JP6502710B2 (ja) 防護マスク
JP6315862B1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JP6690879B2 (ja) 使い捨て防塵マスク
KR200487330Y1 (ko) 안구 보호용 캡
JP4866574B2 (ja) マスク
KR200486922Y1 (ko) 수경 보호 패드
JP6898002B2 (ja) 指用治療材
KR102221198B1 (ko) 착용끈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면 마스크
KR102551797B1 (ko) 안구 보호용 방수 패치
CN114248886B (zh) 潜水面罩
JP2007014577A5 (ko)
JPH0641558Y2 (ja) 水泳帽
KR200427730Y1 (ko) 끈 없는 방한용 귀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