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719A -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719A
KR20220056719A KR1020200141555A KR20200141555A KR20220056719A KR 20220056719 A KR20220056719 A KR 20220056719A KR 1020200141555 A KR1020200141555 A KR 1020200141555A KR 20200141555 A KR20200141555 A KR 20200141555A KR 20220056719 A KR20220056719 A KR 20220056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sensor
recording mod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균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719A/ko
Priority to US17/333,984 priority patent/US11589016B2/en
Priority to CN202110655971.XA priority patent/CN114495321A/zh
Priority to DE102021115983.0A priority patent/DE102021115983A1/de
Publication of KR2022005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16
    • H04N5/23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차량 주변으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녹화 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주차 시 레이더를 이용한 영상 녹화를 실시할 때, 눈 또는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영상 녹화 모드를 제어하여 소비전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RECORD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차 중에도 지속적으로 차량 주변 영상을 녹화하는 경우, 차량의 소비전력이 증가하여 차량의 방전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녹화에 사용되는 소비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 물체의 모션을 감지하고, 차량 주변 물체의 모션이 감지되면 카메라를 동작시켜 영상을 녹화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레이더는 유전물이 있는 물체에 반응하기 때문에, 비 또는 눈이 내리는 동안에 물체의 모션이 계속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비 또는 눈이 내리는 동안 카메라를 동작시켜 영상을 녹화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주차 시 레이더를 이용한 영상 녹화를 실시할 때, 눈 또는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영상 녹화 모드를 제어하여 소비전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차량 주변으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녹화 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1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2 시간 이상 감지되고, 상기 제3 센서가 상기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한 경우, 상기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가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물방울의 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동작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물방울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동작 시간을 줄이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가 줄어든 동작 시간동안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휴지 상태에서 상기 제2 센서가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휴지 상태에서 상기 제2 센서가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면, 충격 감지 후 제3 시간동안 상기 영상을 녹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감지 후, 영상 녹화 모드에 따라 와이퍼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소정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움직임이 종료된 이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은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영상 녹화 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 및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1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의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2 시간 이상 감지되고, 상기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한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가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표면의 물방울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의 동작 시간을 줄이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가 줄어든 동작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의 휴지 상태에서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의 휴지 상태에서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면, 충격 감지 후 제3 시간동안 상기 영상을 녹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격 감지 후, 영상 녹화 모드에 따라 와이퍼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소정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움직임이 종료된 이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은 주차 시 레이더를 이용한 영상 녹화를 실시할 때, 눈 또는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영상 녹화 모드를 제어하여 소비전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눈 또는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눈 또는 비를 적절히 제거하여 주변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 녹화 모드의 제어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기 녹화 모드에 따른 와이퍼 동작 모드를 개략적으로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100)는 센서(110), 카메라(120), 전원공급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 및 차량 주변으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1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유전율이 있는 물체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센서(110)는 레이더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는 차량 내 장착되어 있는 빌트인 카메라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ADAS(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레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더가 ADAS용 레이더를 사용할 경우, ADAS에 이용되는 레이더의 어레이(예, 4*4) 보다 적은 어레이(2*2)만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서 소정 거리 내의 영역만을 감지하도록 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차량 주변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해 충격 감지 센서(G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인 센서는 적외선의 반사를 이용하여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레인 센서는 적외선이 정반사되는 경우 물방울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적외선이 난반사되는 경우 물방울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레인 센서는 난반사 정도에 따라 물방울의 양을 단계별로 구분할 수 있고, 물방울의 변화량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인 센서는 감지한 물방울의 양을 5단계로 구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레인 센서는 물방울의 양이 증가하거나 변화량이 클수록 단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카메라(120)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주변의 영상은 주행중 영상, 주차중 영상, 이벤트 영상, 전후방 및 좌우 측방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120)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될 수 있으머, 좌측방 및 우측방에 구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 동작 시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차량의 보조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각종 명령의 연산이나 실행을 수행 가능한 반도체 칩 등을 내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녹화 모드에 따라 카메라 및 센서(레이더)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이 주차 상태인 경우,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는 카메라는 휴지 상태이고, 센서(레이더)만 동작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차량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레이더만 동작하는 상태에서 차량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되, 레인 센서가 있는 경우에는 레이더 및 레인 센서를 함께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레인 센서가 없는 경우에는 레이더만을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레인 센서가 없는 경우와 레인 센서가 있는 경우로 나누어 제어부(14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레인 센서가 없는 경우의 제어부(14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진입하여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주차 영상 녹화 시 제어부(140)는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카메라의 동작을 시작하고 움직임이 종료된 이후 일정 시간(예, 10초) 동안 카메라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A 시간 이상 감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A 시간(예, 10분) 미만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판단(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A 시간(예, 10분) 이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외부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리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A 시간(예, 10분) 이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카메라 및 센서의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레이더)의 동작이 A 시간(예, 10초)동안 실행된 후 A 시간동안 휴지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레이더의 동작이 A 시간동안 실행될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레이더의 동작이 A 시간동안 실행될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레이더의 동작이 A 시간동안 실행될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외부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리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레이더의 동작이 A 시간동안 실행될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인 것으로 판단하면,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여 카메라가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가 A 시간동안 휴지상태일 때, 충격 감지 센서가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레이더)가 A 시간동안 휴지상태일 때,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면, 충격감지후 C 시간(예, 20초)동안 카메라가 영상 녹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레이더)가 A 시간동안 휴지상태일 때,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지 않으면, 주기 녹화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시동이 ON 이거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를 해제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다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레인 센서가 없는 경우의 제어부(14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경우,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진입하여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2 시간(예, 5분) 감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2 시간 미만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판단(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주차 영상 녹화 시 제어부(140)는 움직임이 감지된 후 카메라의 영상 녹화를 시작하여, 움직임이 종료된 이후 10초 동안 카메라의 영상 녹화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2 시간(예, 5분)이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주변의 물체가 지속적으로 움직이고 있거나, 비가 내리는 상황으로 유추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레인 센서가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레인 센서가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한 경우, 차량 외부의 움직임의 원인을 비 또는 눈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레인 센서가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진입하여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레인 센서가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카메라 및 센서(레이더)의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인 센서가 감지한 차량 표면의 물방울의 양 또는 변화량에 따라 주기 녹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레인 센서가 감지한 차량 표면의 물방울의 양 또는 변화량에 따라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로 구분하고, 각 모드 별로 카메라 및 레이더의 동작 시간 및 휴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40)는 레인 센서가 감지한 차량 표면의 물방울의 양 또는 변화량이 증가할수록 카메라 및 레이더의 동작 시간을 줄이고, 카메라 및 레이더가 줄어든 동작 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 녹화 모드의 제어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레인 센서가 감지한 물방울 양이 제3 단계(물방울의 양 또는 물방울의 변화량: 중간)인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 및 레이더가 A 시간(예, 10초)동안 동작 및 A 시간동안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레인 센서가 감지한 물방울 양이 제4 단계(제3 단계보다 증가한 양)인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 및 레이더가 B 시간(예, 5초)동안 동작 및 A 시간동안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레인 센서가 감지한 물방울 양이 제5 단계(제4 단계보다 증가한 양)인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 및 레이더가 C 시간(예, 3초) 동안 동작 및 A 시간동안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지 시간을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변경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레이더가 동작 상태일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레이더의 동작이 A 시간 동안 실행될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레이더의 동작이 A 시간 실행될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외부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리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레이더의 동작이 A 시간 실행될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인 것으로 판단하면,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에 진입하여 카메라가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가 A 시간동안 휴지 상태일 때, 충격 감지 센서가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레이더)가 A 시간동안 휴지 상태일 때,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면, 충격 감지 후 C 시간(예, 20초) 동안 카메라가 영상 녹화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전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와이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주기 녹화 모드에 따라 와이퍼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기 녹화 모드에 따른 와이퍼 동작 실시예를 개략적으로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 감지 시 전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주기 녹화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와이퍼를 동작하지 않고, 주기 녹화 모드가 제2 모드 및 제3 모드인 경우 와이퍼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 감지 시 전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주기 녹화 모드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인 경우 와이퍼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3 모드인 경우에만 와이퍼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를 동작시켜 비교적 많은 전류를 소모하는 와이퍼 동작이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경우,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10). 제어부(140)는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진입하면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할 수 있다(S120). S120에서 제어부(140)는 일반 주차 영상 녹화 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카메라의 동작을 시작하고, 움직임이 종료된 후 일정 시간(예, 10초) 동안 카메라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1 시간(예, 10분) 이상 감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S130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1 시간 미만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면(N),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저전력 주 모드로 판단하고,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할 수 있다(S110, S120).
S130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1 시간 이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면(Y), 차량 외부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리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카메라 및 센서의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0). S140에서 일 예로,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레이더)의 동작이 실행될 때(예, A 시간(예, 10초)동안 동작이 실행될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레이더의 동작이 A 시간동안 실행될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0).
S150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N), 차량 외부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리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인 것으로 판단하면(Y),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여 카메라가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S110, S120).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가 휴지상태일 때(예, A시간(예, 10초) 동안 휴지상태일 때), 충격 감지 센서가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60). S160에서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레이더)가 A 시간동안 휴지상태일 때,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면(Y), 충격 감지후 C 시간(예, 20초)동안 카메라가 영상 녹화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70). 한편, S160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지 않으면(N), 주기 녹화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0).
제어부(140)는 시동이 ON 이거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80). S180에서 제어부(140)는 시동 on 이거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Y),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를 해제할 수 있으며(S190), S180에서 시동 on 상태가 아니거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면(N),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다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경우,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210). 제어부(140)는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진입하면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할 수 있다(S220). S220에서 제어부(140)는 일반 주차 영상 녹화 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카메라의 동작을 시작하고, 움직임이 종료된 후 일정 시간(예, 10초) 동안 카메라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2 시간(예, 5분) 이상 감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S230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2 시간 미만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면(N),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저전력 주 모드로 판단하고,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할 수 있다(S210, S220).
S230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2 시간 이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면(Y), 레인 센서가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S240에서 제어부(140)는 물방울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면(Y),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카메라 및 센서의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50). S250에서 제어부(140)는 레인 센서가 감지한 차량 표면의 물방울의 양 또는 변화량이 증가할수록 카메라 및 레이더의 동작 시간을 줄이고, 카메라 및 레이더가 줄어든 동작 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의 설명을 참조한다. S240에서 제어부(140)는 물방울을 감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N), S210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레이더가 동작 상태일 때,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60). S260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0회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외부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리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유지)할 수 있다(S250).
한편, S260에서 제어부(140)는 레이더 작동 중 움직임 감지가 0회인 것으로 판단하면,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진입하여 카메라가 일반 주차 영상 녹화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10, S220).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가 휴지 상태일 때, 충격 감지 센서가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및 센서가 휴지 상태일 때,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면, 충격 감지 후 C 시간(예, 20초) 동안 카메라가 영상 녹화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80). S280에서 제어부(140)는 영상 녹화 시 전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와이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주기 녹화 모드에 따라 와이퍼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와이퍼 동작 모드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한다.
제어부(140)는 시동이 ON 이거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90). S290에서 제어부(140)는 시동 on 이거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를 해제할 수 있으며(S300), S290에서 시동 on 상태가 아니거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면(N),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다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1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차량의 주행 제어 장치 100
센서 110
카메라 120
전원공급부 130
제어부 140

Claims (19)

  1.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차량 주변으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녹화 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1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2 시간 이상 감지되고, 상기 제3 센서가 상기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한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가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물방울의 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동작 시간을 변경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물방울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동작 시간을 줄이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가 줄어든 동작 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휴지 상태에서 상기 제2 센서가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센서의 휴지 상태에서 상기 제2 센서가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면, 충격 감지 후 제3 시간동안 상기 영상을 녹화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감지 후, 영상 녹화 모드에 따라 와이퍼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소정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움직임이 종료된 이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11.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카메라의 영상 녹화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영상 녹화 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 및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1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의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제2 시간 이상 감지되고, 상기 차량 표면의 물방울을 감지한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주기 녹화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가 동작 및 휴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량 표면의 물방울의 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의 동작 시간을 변경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차량 표면의 물방울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의 동작 시간을 줄이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가 줄어든 동작 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의 휴지 상태에서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의 휴지 상태에서 차량 주변으로부터 충격을 감지하면, 충격 감지 후 제3 시간 동안 상기 영상을 녹화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후, 영상 녹화 모드에 따라 와이퍼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움직임이 소정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경우, 상기 영상 녹화 모드를 저전력 주차 녹화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움직임이 종료된 이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영상 녹화 방법.


KR1020200141555A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KR20220056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55A KR20220056719A (ko)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US17/333,984 US11589016B2 (en) 2020-10-28 2021-05-28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video in vehicle
CN202110655971.XA CN114495321A (zh) 2020-10-28 2021-06-11 用于在车辆中记录视频的设备和方法
DE102021115983.0A DE102021115983A1 (de) 2020-10-28 2021-06-21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zeichnen eines videos in einem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55A KR20220056719A (ko)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719A true KR20220056719A (ko) 2022-05-06

Family

ID=8107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555A KR20220056719A (ko)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89016B2 (ko)
KR (1) KR20220056719A (ko)
CN (1) CN114495321A (ko)
DE (1) DE102021115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5225B (zh) * 2022-08-12 2024-05-1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摄像头的使用寿命延长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6926B2 (ja) * 2004-01-15 2009-01-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10848670B2 (en) * 2017-06-19 2020-11-24 Amazon Technologies, Inc. Camera systems adapted for installation in a vehicle
KR101888671B1 (ko) * 2018-07-09 2018-08-16 김재운 차량전방 확인 보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115983A1 (de) 2022-04-28
CN114495321A (zh) 2022-05-13
US20220132077A1 (en) 2022-04-28
US11589016B2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579B1 (ko) 차선 변경 장치,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248627B2 (en) Method for storing image of vehicle black box
CN110636224B (zh) 摄像头启动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056719A (ko) 차량의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JP2009001066A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誤操作検出装置
JP2018046343A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516644B (zh) 除雾方法和除雾系统以及车辆、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0701717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esh rate of memory
RU2018109491A (ru) Способ, компьютер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боковых зеркал заднего вида в автоном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ах
KR101963712B1 (ko) 센서를 이용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장치 및 부팅 방법
JP4984479B2 (ja) 車両検知装置、および、車両検知方法
JP2006002715A (ja) エンジン制御回路
JP7472817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20210132315A (ko) 차량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JP7465541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JP2011214485A (ja) 車両用始動制御装置
JP2011183838A (ja) ワイパ制御システム及びワイパ制御装置
US20140145652A1 (en) Motor control device and program
RU2764472C1 (ru)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контроллер и носитель,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долго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US117603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of vehicle
JP4078107B2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2417172B1 (ko) 차량용 영상기록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113122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recording of vehicle
JP2002030988A (ja) 電子制御装置
JP2024048196A (ja) 画像記録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