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597A -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 Google Patents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597A
KR20220056597A KR1020200141319A KR20200141319A KR20220056597A KR 20220056597 A KR20220056597 A KR 20220056597A KR 1020200141319 A KR1020200141319 A KR 1020200141319A KR 20200141319 A KR20200141319 A KR 20200141319A KR 20220056597 A KR20220056597 A KR 20220056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game
player
unit
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454B1 (ko
Inventor
서정운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4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는, 영역 확보 놀이를 위한 그래픽을 표시하는 그래픽표시부와, 상부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며, 상부에 기 설정된 면적의 게임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에 얹어 플레이어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게임용 스톤,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처리하는 그래픽처리부,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정보를 통해 상기 게임용 스톤의 이동 궤적을 인식하는 터치패턴인식부 및 상기 터치패턴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게임용 스톤의 이동 궤적에 따라 임의의 플레이어가 영역을 확보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영역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그래픽처리부가 변화된 영역 그래픽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Gaming Apparatus for Securing Territory Game}
본 발명은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거에 널리 보급되어 다양한 사람들이 즐겨 왔던 영역 확보 놀이를 재현하여 누구나 간편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이 더딘 과거에는 전자제품을 이용한 유희거리가 부족했기 때문에, 외부에서 친구들끼리 모여 놀 경우에는 환경을 이용한 특정 룰을 가지는 다양한 놀이를 고안하여 즐기곤 하였다.
그 중에서도 일명 '땅따먹기'라 불리던 일종의 영역 확보 대전 놀이는 소규모의 공간만 있다면 어디서나 손쉽게 즐길 수 있었으며, 돌 등과 같은 각자 소유한 하나의 말을 운용하여 전략적인 대전이 가능하여 당시 어린이들 또는 학생들 사이에서는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자주 행해지던 놀이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퍼스널 컴퓨터, 콘솔 게임기 등과 같은 유희용 전자제품이 눈부시게 발전하였기 때문에, 위와 같은 구전 놀이는 현재 거의 즐기는 사람이 없는 상황이다.
다만, 땅따먹기와 같은 놀이는 비교적 간단한 룰을 가지며, 몸보다는 두뇌를 사용하는 전략적인 부분이 많기 때문에 현대에 구현되어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는 놀이로 판단되며, 이에 이와 같은 놀이를 현대에서도 손쉽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410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과거에 널리 보급되어 다양한 사람들이 즐겨 왔던 영역 확보 놀이, 일명 '땅따먹기 놀이'를 전자식으로 재현하여 누구나 간편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는, 영역 확보 놀이를 위한 그래픽을 표시하는 그래픽표시부와, 상부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며, 상부에 기 설정된 면적의 게임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에 얹어 플레이어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게임용 스톤,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처리하는 그래픽처리부,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정보를 통해 상기 게임용 스톤의 이동 궤적을 인식하는 터치패턴인식부 및 상기 터치패턴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게임용 스톤의 이동 궤적에 따라 임의의 플레이어가 영역을 확보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영역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그래픽처리부가 변화된 영역 그래픽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그래픽처리부는, 게임을 최초 시작한 상태에서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n명의 플레이어에 대한 각각의 베이스 소유영역을 표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임의의 플레이어에 대해, 상기 터치패턴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게임용 스톤의 기 설정된 횟수만큼의 이동 궤적 중 종착지점이 해당 플레이어의 소유영역 내에 위치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해당 플레이어가 상기 게임용 스톤의 이동 궤적 내측의 영역을 확장 소유영역으로서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그래픽처리부가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해당 플레이어가 기 보유한 소유영역에 상기 확장 소유영역을 포함한 갱신 소유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산부는, 임의의 플레이어의 갱신 소유영역이 다른 플레이어의 소유영역을 침범한 경우, 상기 그래픽처리부가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해당 플레이어가 침범한 면적을 다른 플레이어의 기 보유한 소유영역에서 제하여 다른 플레이어의 갱신 소유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는, 임의의 플레이어가 보유한 갱신 소유영역의 임의 지점이 상기 게임 영역 최외곽 둘레의 임의 지점과 기 설정된 거리 이하를 가지는 경우, 갱신 소유영역의 임의 지점과 상기 게임영역 최외곽 둘레의 임의 지점을 이은 연장선 내측 영역을 추가 소유영역으로서 해당 플레이어가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그래픽처리부가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해당 플레이어가 기 보유한 소유영역에 상기 추가 소유영역을 포함한 갱신 소유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임용 스톤은, 상기 터치패턴인식부에 의해 인식 가능한 피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는, 과거에 널리 보급되어 다양한 사람들이 즐겨 왔던 영역 확보 놀이를 전자식으로 재현하여 누구나 간편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그대로 게임 영역을 제공하게 되며, 게임 영역에서의 게임용 스톤의 궤적을 터치패턴인식부를 통해 인식하여 송출되는 그래픽을 자동으로 처리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본 게임에만 집중하여 쾌적한 유희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에 있어서, 갱신 소유영역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에 있어서, 게임용 스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에 있어서, 게임용 스톤의 이동 궤적을 인식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그래픽처리부(122)와, 터치패턴인식부(140)와, 연산부(150)와, 게임용 스톤(2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세부적으로 영역 확보 놀이를 위한 그래픽을 표시하는 그래픽표시부(122)와, 상부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패널(124)을 포함하며, 상부에 기 설정된 면적의 게임 영역을 제공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전체 면적이 그대로 게임 영역을 제공하게 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둘레에는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10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베젤(110)이 형성된다.
다만,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100)의 외관은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처리부(130)는 그래픽표시부(122)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터치패턴인식부(140)는 터치패널(124)의 터치 정보를 통해 게임용 스톤(200)의 이동 궤적을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연산부(150)는 터치패턴인식부(140)에 의해 인식된 게임용 스톤(200)의 이동 궤적에 따라 임의의 플레이어가 영역을 확보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플레이어가 영역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래픽처리부(130)가 변화된 영역 그래픽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게임용 스톤(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부에 얹어 플레이어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요소로, 게임에 참가하는 플레이어의 수만큼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 색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난 게임용 스톤(200)은 전체적으로 납작한 원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이며 게임용 스톤(200)의 형상은 본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게임용 스톤(200)을 게임 영역인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상부에 얹은 상태에서, 손가락 등으로 게임용 스톤(200)을 튕겨 자신의 영역(R)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 진행 과정에서 각 구성요소는 이하와 같은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게임을 최초로 시작할 경우, 그래픽처리부(130)는 그래픽표시부(122)에 n명의 플레이어에 대한 각각의 베이스 소유영역(R0)을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베이스 소유영역(R0)의 최초 위치 및 그 형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플레이어의 베이스 소유영역(R0)을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최초 배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또한 베이스 소유영역(R0)의 형태는 반원형인 것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플레이어는 자신의 베이스 소유영역(R0)에 게임용 스톤(200)을 위치시키고, 자신의 순서에 게임용 스톤(200)을 튕겨 영역을 확보하여 소유영역을 확보해 나가게 된다.
이때 연산부(150)는 임의의 플레이어에 대해, 터치패턴인식부(140)에 의해 인식된 게임용 스톤(200)의 기 설정된 횟수만큼의 이동 궤적 중 종착지점이 해당 플레이어의 소유영역 내에 위치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해당 플레이어가 게임용 스톤(200)의 이동 궤적 내측의 영역을 확장 소유영역으로서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연산부(150)는 그래픽처리부(130)가 그래픽표시부(122)에 해당 플레이어가 기 보유한 소유영역에 확장 소유영역을 포함한 갱신 소유영역(R1)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난 예시에서는 플레이어가 자신의 순서에 게임용 스톤(200)을 총 3회 튕겨 영역을 확보하는 것으로 룰을 설정하였으며, 임의의 플레이어가 총 3회에 걸쳐 게임용 스톤(200)을 이동시킨 후 그 이동 궤적(T1~T3)의 종착지점이 자신의 베이스 소유영역(R0)의 경계선(B) 내측에 위치되었기 때문에, 연산부(150)는 해당 플레이어가 게임용 스톤(200)의 이동 궤적 내측(T1~T3)의 영역을 확장 소유영역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산부(150)는 그래픽처리부(130)가 그래픽표시부(122)에 해당 플레이어가 기 보유한 소유영역에 확장 소유영역을 포함한 갱신 소유영역(R1)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되고, 해당 플레이어의 소유영역의 경계선(B)이 갱신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영역을 확장해 나갈 수 있다.
그리고 특정 플레이어의 영역 총 면적이 승리 조건으로 설정된 면적에 도달했을 경우, 또는 특정 플레이어가 일정하게 설정된 시간 내에 가장 넓은 면적의 영역을 차지하였을 경우 해당 플레이어는 승리한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한 턴 내에서의 게임용 스톤(200)의 조작 횟수, 승리 조건 등은 다양하게 바뀌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연산부(150)는 임의의 플레이어의 갱신 소유영역(R1)이 다른 플레이어의 소유영역을 침범한 경우, 그래픽처리부(130)가 그래픽표시부(122)에 해당 플레이어가 침범한 면적을 다른 플레이어의 기 보유한 소유영역에서 제하여 다른 플레이어의 갱신 소유영역(R1)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자신의 턴을 수행한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의 소유영역을 빼앗는 룰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였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연산부(150)는, 임의의 플레이어가 보유한 갱신 소유영역(R1)의 임의 지점이 게임 영역 최외곽 둘레의 임의 지점과 기 설정된 거리 이하를 가지는 경우, 갱신 소유영역(R1)의 임의 지점과 게임 영역 최외곽 둘레의 임의 지점을 이은 연장선 내측 영역을 추가 소유영역으로서 해당 플레이어가 확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연산부(150)는 그래픽처리부(130)가 그래픽표시부(120)에 해당 플레이어가 기 보유한 소유영역에 상기 추가 소유영역을 포함한 갱신 소유영역(R1)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자신의 턴을 수행한 플레이어가 특정 조건에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룰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룰들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플레이어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에 있어서, 게임용 스톤(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게임용 스톤(200)은 터치패턴인식부(140)에 의해 인식 가능한 피인식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피인식부(210)는 터치패널(124)의 터치 감지 방식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터치패널(124)은 감압식, 정전식, 적외선식, 표면 초음파 방식 등과 같은 터치 감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피인식부(210)는 터치패널(124)에 적용된 방식에 대응되어 피인식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감지 방식 및 원리, 피인식부(210)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피인식부(210)는 게임용 스톤(200)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중앙 피인식부(210)와, 게임용 스톤(200)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곽 피인식부(210b)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100)에 있어서, 게임용 스톤(200)의 이동 궤적을 인식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에서, 게임용 스톤(200)의 첫 번째 이동 궤적(T1)은 게임 영역 최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터치패턴인식부(140)중앙 피인식부(210)만을 기준으로 하여 게임용 스톤(200)의 이동 궤적(T1)을 판단할 경우, 게임 영역 최외곽 둘레와의 사이에 게임용 스톤(200)의 반경만큼의 미처리 영역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게임용 스톤(200)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곽 피인식부(210b)를 추가적으로 배치하였으며, 이에 따라 게임용 스톤(200)의 전체 면적을 이동 궤적으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게임용 스톤(200)의 두 번째 이동 궤적(T2)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먼저 터치패턴인식부(140)는 게임용 스톤(200)의 중앙 피인식부(210)의 궤적을 인식하고, 이를 기준으로 이동 궤적을 그리는 직선에 대해 90°를 이루는 연장선 양측에 가장 근접한 한 쌍의 외곽 피인식부(210b)의 궤적을 추가적으로 인식한다.
이후 터치패턴인식부(140)는 이와 같은 한 쌍의 외곽 피인식부(210b)의 이동 궤적 사이에 형성된 면적을 게임용 스톤(200)의 이동 궤적으로 인식하게 되며, 연산부(150)는 이를 기준으로 영역에 대한 처리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게임용 스톤(200)의 이동 과정에서 미처리 영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110: 베젤
120: 디스플레이 모듈
122: 그래픽표시부
124: 터치패널
130: 그래픽처리부
140: 터치패턴인식부
150: 연산부
200: 게임용 스톤
210: 피인식부
210a: 중앙 피인식부
210b: 외곽 피인식부

Claims (6)

  1. 영역 확보 놀이를 위한 그래픽을 표시하는 그래픽표시부와, 상부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며, 상부에 기 설정된 면적의 게임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에 얹어 플레이어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게임용 스톤;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처리하는 그래픽처리부;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정보를 통해 상기 게임용 스톤의 이동 궤적을 인식하는 터치패턴인식부; 및
    상기 터치패턴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게임용 스톤의 이동 궤적에 따라 임의의 플레이어가 영역을 확보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영역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그래픽처리부가 변화된 영역 그래픽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처리부는,
    게임을 최초 시작한 상태에서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n명의 플레이어에 대한 각각의 베이스 소유영역을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임의의 플레이어에 대해, 상기 터치패턴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게임용 스톤의 기 설정된 횟수만큼의 이동 궤적 중 종착지점이 해당 플레이어의 소유영역 내에 위치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해당 플레이어가 상기 게임용 스톤의 이동 궤적 내측의 영역을 확장 소유영역으로서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그래픽처리부가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해당 플레이어가 기 보유한 소유영역에 상기 확장 소유영역을 포함한 갱신 소유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임의의 플레이어의 갱신 소유영역이 다른 플레이어의 소유영역을 침범한 경우,
    상기 그래픽처리부가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해당 플레이어가 침범한 면적을 다른 플레이어의 기 보유한 소유영역에서 제하여 다른 플레이어의 갱신 소유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임의의 플레이어가 보유한 갱신 소유영역의 임의 지점이 상기 게임 영역 최외곽 둘레의 임의 지점과 기 설정된 거리 이하를 가지는 경우, 갱신 소유영역의 임의 지점과 상기 게임영역 최외곽 둘레의 임의 지점을 이은 연장선 내측 영역을 추가 소유영역으로서 해당 플레이어가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그래픽처리부가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해당 플레이어가 기 보유한 소유영역에 상기 추가 소유영역을 포함한 갱신 소유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용 스톤은,
    상기 터치패턴인식부에 의해 인식 가능한 피인식부를 포함하는,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KR1020200141319A 2020-10-28 2020-10-28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KR10246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19A KR102460454B1 (ko) 2020-10-28 2020-10-28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19A KR102460454B1 (ko) 2020-10-28 2020-10-28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97A true KR20220056597A (ko) 2022-05-06
KR102460454B1 KR102460454B1 (ko) 2022-10-27

Family

ID=8158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319A KR102460454B1 (ko) 2020-10-28 2020-10-28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4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102A (ko) * 2010-07-10 2012-01-18 (주)어스텝퍼더 멀티터치용 게임들을 활용한 아케이드 게임장치
KR101326868B1 (ko) * 2012-03-20 2013-11-12 (주) 골프존 골프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14101B1 (ko) 2012-10-22 2014-07-01 이형곤 사방치기 놀이용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102A (ko) * 2010-07-10 2012-01-18 (주)어스텝퍼더 멀티터치용 게임들을 활용한 아케이드 게임장치
KR101326868B1 (ko) * 2012-03-20 2013-11-12 (주) 골프존 골프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14101B1 (ko) 2012-10-22 2014-07-01 이형곤 사방치기 놀이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454B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78594B2 (ja) 手の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ルを有するゲーム
US9033795B2 (en) Interactive music game
JP2006034708A (ja)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及び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
JP2006014956A (ja)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及び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
JP2010273867A (ja) ゲーミングマシン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460454B1 (ko) 영역 확보 놀이용 게임장치
AU2013237648A1 (en) Touch interface detection control system and touch interface detection control method
TWI661854B (zh) 遊戲系統及記錄有使用於遊戲系統的電腦程式之記錄媒體
JP6553384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2008113858A (ja) ゲームシステム
JP6708540B2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4029668A (ja) ゲームプログラム
KR102272850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멀티 테이블형 인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어 인식방법
US8678925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 dice application
KR10226109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트 게임 시스템
WO2002011085A3 (en) Gaming apparatus
JP6421218B2 (ja) プログラム及び端末
JP2020116178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698277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6872657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R102400844B1 (ko) 치매 예방 게임시스템.
JP4376708B2 (ja)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及び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
GB2351547A (en) Touch screen display board for computer games
JP749856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7408857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