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997A -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 Google Patents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997A
KR20220055997A KR1020200140640A KR20200140640A KR20220055997A KR 20220055997 A KR20220055997 A KR 20220055997A KR 1020200140640 A KR1020200140640 A KR 1020200140640A KR 20200140640 A KR20200140640 A KR 20200140640A KR 20220055997 A KR20220055997 A KR 20220055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opening
air pressur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902B1 (ko
Inventor
배서경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9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3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025Closure members opened by lever action and maintained closed by spr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용기를 개폐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단부(15)를 갖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단부(15)에 밀착 가능하고, 중앙에 원형홈(22)을 구비하는 뚜껑(20); 및 상기 뚜껑(20)에 통기공(37)을 갖춘 반구형의 연질판(31)을 결합하고, 연질판(31)의 중앙에 통기공(37)의 개폐를 유발하는 밸브판(35)을 구비하는 진공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식품 등을 저장하는 용기에 기밀용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비교적 적은 힘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노인분들의 불편을 덜고 안전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ir pressure}
본 발명은 용기 개폐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식품 등을 저장하는 용기에 기밀용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식사할 때 늘 접하게 되는 각종 반찬 용기가 실질적으로 사용할 때 젊은 사람이라도 무겁고 용기뚜껑을 여닫을 때 어려움을 겪는다. 하물며 신체적인 노화가 진행되고 있는 노인분들의 경우에는 편리성이 다소 떨어지거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러한 폐단의 해소와 관련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하기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76018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는 덮개 테두리 저면에 밀폐용 패킹이 끼워지는 요입홈을 구성하고, 덮개 양측부에는 덮개 개폐를 위한 개폐구를 구성하며, 덮개 상면 중앙부에는 진공밸브를 구성하여 용기의 내부수장실을 진공화하거나, 진공을 해지시킨 다음 덮개개폐구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를 개방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러나,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하지만 별도의 진공흡입구를 부가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수반된다.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40056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는 뚜껑에 외부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와,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도하는 누름판과, 용기의 진공 여부를 알려주는 튜브로 구성토록 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펌프를 배제하고 누름판을 손으로 누름으로써 진공상태가 되어 저장된 음식이 장기간 보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용기 뚜껑의 누름부를 반복적으로 연속해서 눌러야 하므로 다소의 불편을 초래할 여지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76018호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된 식품진공보관용기" (공개일자 : 2014.06.20.)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40056호 "용기뚜껑에 진공을 유도하는 진공수단이 구비된 밀폐용기" (공개일자 : 2016.04.1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식품 등을 저장하는 용기에 기밀용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비교적 적은 힘과 노력이 소요되는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용기를 개폐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단부를 갖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밀착 가능하고, 중앙에 원형홈을 구비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에 통기공을 갖춘 반구형의 연질판을 결합하고, 연질판의 중앙에 통기공의 개폐를 유발하는 밸브판을 구비하는 진공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연질판은 밸브판과 조임편을 연결하는 관통공에 통기공을 구비하고, 보조적으로 관통공과 이격된 위치에 통기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연질판은 상하방향의 신축운동을 조력하도록 주름부 및 탄성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는 측면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한 복수의 손잡이를 더 구비하고, 손잡이는 요철부를 개재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식품 등을 저장하는 용기에 기밀용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비교적 적은 힘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노인분들의 불편을 덜고 안전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용기를 개폐하는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용기는 다양한 식품을 저장하는 것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용기는 식품 외에 다른 물품을 저장할 수 있고, 식품의 저장 외에 조리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가 상단부(15)를 갖춘 구조를 적용한다. 본체(10)는 재질이나 크기에 제한이 없으나 상측의 개구에 상단부(15)를 갖추도록 한다. 상단부(15)는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기밀성 측면에서 평편도가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에 원형홈(22)을 구비하는 뚜껑(20)이 상기 본체(10)의 상단부(15)에 밀착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뚜껑(20)을 구성하는 경질판(21), 원형홈(22) 등이 나타난다. 경질판(21)은 인체 무해성은 물론 강도, 내열성, 내한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한다. 경질판(21)은 중심에 원형홈(22)을 갖추고 있으며, 본체(10)의 용도에 따라서 복수로 적층할 수 있다.
한편, 뚜껑(20)의 경질판(21)의 저면에는 본체(10)의 상단부(15)와 대향하도록 요홈(23)이 형성된다. 요홈(23)에는 기밀성이 양호한 패킹재(25)가 긴밀하게 수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뚜껑(20)에 통기공(37)을 갖춘 반구형의 연질판(31)을 결합한 진공부재(30)가 연질판(31)의 중앙에 통기공(37)의 개폐를 유발하는 밸브판(35)을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진공부재(30)를 구성하는 연질판(31), 밸브판(35), 통기공(37) 등이 나타난다. 연질판(31)은 인체 무해성은 물론 강도, 내열성, 내한성, 신축성(탄성) 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한다. 연질판(31)은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경질판(21)의 외면 또는 중심에 긴밀하게 결합된다. 통기공(37)은 밸브판(35)과 연계하여 본체(10)의 공기를 빼거나 넣는 통로로서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밸브판(35)은 경질판(21)의 원형홈(22)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하고 동심의 조임편(36)을 개재하여 경질판(21)의 중심에 고정한다. 밸브판(35)은 경질판(21)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조임편(36)은 밸브판(35)의 저면에 결합되며 양자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연질판(31)은 밸브판(35)과 조임편(36)을 연결하는 관통공에 통기공(37)을 구비하고, 보조적으로 관통공과 이격된 위치에 통기공(3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연질판(31)의 중앙에 위치하는 원형의 관통공에서 2방향으로 반구형 관통공이 연장된다. 이와 더불어 중앙의 관통공에서 이격된 위치에 2방향으로 또 다른 보조적 통기공(37)이 형성될 수도 있다. 통기공(37)의 크기와 수량은 본체(10)의 용도에 따라 변동적으로 적용된다. 예컨대, 용기가 조리용도로 사용되어 높은 기밀성이 요구되는 경우 통기공(37)의 크기와 수량을 축소하거나 보조적 통기공(37)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밸브판(35)은 적어도 일부의 통기공(37)과 대응하는 플러그(38)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통기공(37)과 플러그(38)는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연질판(31)은 상하방향의 신축운동을 조력하도록 주름부(32) 및 탄성체(33)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연질판(31)에 형성되는 주름부(32)와 탄성체(33)를 동시에 나타낸다. 주름부(32)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요철이 동심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주름부(32)는 경질판(21)의 외면 및 내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한다. 탄성체(33)는 연질판(31)의 외면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내면에 수용되는 것이 좋다. 탄성체(33)는 하나의 도너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질판(31)은 손으로 누르면 탄성적으로 하향하지만 탄성체(33)에 의하여 복원력을 받는다. 주름부(32)는 연질판(31)의 상하방향 신축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노인 등의 사용자가 밸브판(35)을 사용하여 본체(10)에 뚜껑(20)을 착탈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a)처럼 밸브판(35)을 눌러 대략 뚜껑(20)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하면 공기가 통기공(37)으로 배출된 상태라 진공압이 유지된다. 뚜껑(20)과 밸브판(35)이 동일한 높이이므로 용기를 적층하여 보관하기도 용이하다. 도 3(b)처럼 밸브판(35)을 일측으로 기울이거나 약간 회전시키면 통기공(37)이 노출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물론 도 3(a)처럼 밸브판(35)을 누를 때에도 약간 기울이면 공기의 배출이 신속하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10)는 측면에 힌지부(43)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한 복수의 손잡이(40)를 더 구비하고, 손잡이(40)는 요철부(45)를 개재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측면에 2개의 손잡이(4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손잡이(40)는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하여 상측의 파지부(41)에 손가락을 넣기 편리하다. 손잡이(40)에서 힌지부(43)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요철부(45)가 형성된다. 요철부(45)는 상호 맞물림 가능한 2개의 요홈과 하나의 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파지부(41)를 외측으로 당기면 손잡이(40)의 상단부가 뚜껑(20)에서 이격되고, 파지부(41)를 내측으로 밀면 손잡이(40)의 상단부가 뚜껑(20)에 밀착되어 임의적 개방을 구속한다. 손잡이(40)가 2위치에 머무는 것은 요철부(45)의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는 뚜껑(20), 진공부재(30), 손잡이(40)가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노인이 사용하기 편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5: 상단부
20: 뚜껑 21: 경질판
22: 원형홈 23: 요홈
25: 패킹재 30: 진공부재
31: 연질판 32: 주름부
33: 탄성체 35: 밸브판
36: 조임편 37: 통기공
38: 플러그 40: 손잡이
41: 파지부 43: 힌지부
45: 요철부

Claims (4)

  1. 공기압을 이용하여 용기를 개폐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단부(15)를 갖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단부(15)에 밀착 가능하고, 중앙에 원형홈(22)을 구비하는 뚜껑(20); 및
    상기 뚜껑(20)에 통기공(37)을 갖춘 반구형의 연질판(31)을 결합하고, 연질판(31)의 중앙에 통기공(37)의 개폐를 유발하는 밸브판(35)을 구비하는 진공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질판(31)은 밸브판(35)과 조임편(36)을 연결하는 관통공에 통기공(37)을 구비하고, 보조적으로 관통공과 이격된 위치에 통기공(3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질판(31)은 상하방향의 신축운동을 조력하도록 주름부(32) 및 탄성체(33)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측면에 힌지부(43)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한 복수의 손잡이(40)를 더 구비하고, 손잡이(40)는 요철부(45)를 개재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KR1020200140640A 2020-10-27 2020-10-27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KR102411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640A KR102411902B1 (ko) 2020-10-27 2020-10-27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640A KR102411902B1 (ko) 2020-10-27 2020-10-27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97A true KR20220055997A (ko) 2022-05-04
KR102411902B1 KR102411902B1 (ko) 2022-06-23

Family

ID=8158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640A KR102411902B1 (ko) 2020-10-27 2020-10-27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9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74776A (zh) * 2000-12-08 2004-02-11 具有容器盖的食品储存容器
KR100780813B1 (ko) * 2006-05-30 2007-11-29 주식회사 락앤락 잠금날개 결착식 진공 밀폐용기
KR20140076018A (ko) 2012-12-12 2014-06-20 이복규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된 식품진공보관용기
KR20160040056A (ko) 2014-10-02 2016-04-12 김진란 용기뚜껑에 진공을 유도하는 진공수단이 구비된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74776A (zh) * 2000-12-08 2004-02-11 具有容器盖的食品储存容器
KR100780813B1 (ko) * 2006-05-30 2007-11-29 주식회사 락앤락 잠금날개 결착식 진공 밀폐용기
KR20140076018A (ko) 2012-12-12 2014-06-20 이복규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된 식품진공보관용기
KR20160040056A (ko) 2014-10-02 2016-04-12 김진란 용기뚜껑에 진공을 유도하는 진공수단이 구비된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902B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97761S1 (en) Vacuum flask lid with straw and handle
US5944211A (en) Container system including an air evacuation valve
US7048136B2 (en)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AU2003230991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6675982B2 (en) Lid with a pump/bellows device
KR100759487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US20030116572A1 (en) Sealing cover for a container
US20190233177A1 (en) Vacuum insulated food storage container and lid
KR20090031063A (ko) 셀러드볼 밀폐용기의 뚜껑
US10737866B2 (en) Bottle cap structure
KR20140064716A (ko)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KR101214817B1 (ko)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JP7265088B2 (ja) バルブ付き食品保存調理容器
US3426935A (en) Container
USD985760S1 (en) Inhalation device
KR102411902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용기 개폐 기구
KR20190002991A (ko) 분리형 진공 텀블러
WO2020039336A1 (en) Sealable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JP3180743U (ja) 弁体付き密閉容器
WO2008131583A1 (fr) Récipient étanche à pompage sous vide
WO2008077294A1 (fr) Boîte de conservation sertie sous vide à pression manuelle
JP3225210U (ja) 真空鮮度保存容器
USD981212S1 (en) Handle
TWI720795B (zh) 保鮮蓋
CN113955319B (zh) 一种负压发生结构和保鲜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