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066A -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 Google Patents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066A
KR20220055066A KR1020200139162A KR20200139162A KR20220055066A KR 20220055066 A KR20220055066 A KR 20220055066A KR 1020200139162 A KR1020200139162 A KR 1020200139162A KR 20200139162 A KR20200139162 A KR 20200139162A KR 20220055066 A KR20220055066 A KR 2022005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aid system
voice
learning aid
educational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8893B1 (en
Inventor
원성희
Original Assignee
원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성희 filed Critical 원성희
Priority to KR102020013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893B1/en
Publication of KR2022005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066A/en
Priority to KR1020220112490A priority patent/KR202201267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09B19/025Counting; Calculating with electrically operated apparatus or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aid system fo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zzle-type teaching aid system for education comprises: a board plate divided by color, including number blocks made into pieces by the size of the number and a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number blocks, and visually or audibly providing whether the number blocks placed in the groove are completed; and a control part recognizing the number blocks inserted in a number matching part to generate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determined result in an audio or video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blocks are separated by the size of numbers so that children learning numbers for the first time can have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numbers, and affinity can be provided through puzzle-type play as well as the principles of numbe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nguage is output as a voic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letter puzzle, the understanding of the letters can be increased, and effects on the children's concentration, thinking, and fine muscle development can be promoted through the learning play proces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children to learn orthographic characters according to the order of strokes using words or word cards, and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children can be improved through natural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Description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본 발명은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퍼즐 또는 카드 형태의 학습 교구를 이용하여 쓰기, 듣기, 읽기를 통한 인지활동으로 글자 또는 숫자의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aid system for education, and more particularly, an educational teaching aid that enables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letters or numbers through cognitive activities through writing, listening, and reading using a learning aid in the form of a puzzle or card. It's about the system.

놀이방,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에는 두뇌발달 및 언어 촉진을 위하여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구가 사용되고 있다. In the case of playrooms, kindergartens,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various educational tools are used for brain development and language promotion.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학습교구는 문자나 동식물 등의 그림을 종이 위에 인쇄한 카드 형태로 제공되거나 블록 형태로 제공된다. In general, widely used learning aid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cards or blocks in which characters, animals and plants, etc. are printed on paper.

카드 형태의 학습교구는 여러 가지 사물과 자연 현상 및 낱말 학습 등과 같이 기초적인 내용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취학 아동의 부모 또는 교육자의 주도하에 학습이 이루어진다. The learning aids in the form of cards are mainly composed of basic contents such as learning various objects, natural phenomena, and words, and learning is carried ou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parents or educators of preschool children.

블록 형태의 학습교구는 문자 또는 동식물의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만을 제공할 수도 있고, 블록과 동일한 형상의 홈을 포함하는 보드판을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block-type learning aid may provide only blocks formed in the shape of characters or animals and plants, or may additionally comprise a board including a groove of the same shape as the block.

최근에는 블록을 보드판에 올려놓으면 그에 대응하는 언어 또는 의성으로 음성으로 출력하므로 아이들 스스로 학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었다. Recently, if a block is placed on the board, it is outputted with a corresponding language or onomatopoeia, so children can learn on their own.

그러나, 종래의 블록을 이용한 학습교구는 개념 및 원리를 깨우치는 효과보다는 단순 놀이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However, the learning aids using the conventional blocks had a limitation in that it was merely a play rather than an effect to awaken the concepts and principle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501062호(2015.03.04.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01062 (published on March 4, 2015).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퍼즐 또는 카드 형태의 학습 교구를 이용하여 쓰기, 듣기, 읽기를 통한 인지활동으로 글자 또는 숫자의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that enables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letters or numbers through cognitive activities through writing, listening, and reading using a learning aid in the form of a puzzle or card.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퍼즐 형태의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에 있어서, 색상 별로 구분되며, 숫자의 크기만큼 조각화된 퍼즐 형태의 숫자 블록, 상면에 숫자 블록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홈이 형성되며, 홈 내에 놓여지는 숫자 블록의 완성 여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보드판, 그리고 상기 숫자 매칭부에 삽입되는 숫자 블록을 인식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생성된 정보에 따라 숫자의 완성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task, in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in the form of a puzzle, the number blocks in the puzzle form that are separated by color and fragmented by the size of the number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number block on the upper surface The groove is formed, a board board that visually or aurally provides whether or not the number block placed in the groove is complete, and the number block inserted into the number matching unit is recognized to generate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generated information, the number of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mpletion is completed, and outputting the determined result as audio or video.

상기 보드판은, 상기 숫자 블록에 삽입되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내측에 상기 조각화된 숫자 블록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센서를 설치된 숫자 매칭부, 상기 숫자 블록의 완성에 따라 음성을 출력시키는 스피커, 그리고 완성된 숫자를 이미지 형태로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 및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ard plate has a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number block, and a number matching unit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ragmented number blocks inside the groove, and outputs a voic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number block It may include a speaker, and a display unit that outputs the completed number in the form of an image and a led lamp.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입력모듈, 상기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각화된 숫자 블록이 숫자 매칭부에 일부 또는 전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그리고 상기 조각화된 숫자 블록이 전부 안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되는 숫자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시키거나, 해당 숫자만큼 led를 점등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input module for obt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a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ragmented number block is partially or entirely seated in a number matching unit using the obtained data, and the fragmented numb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ll the blocks are seated, th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 corresponding number as an audio or video or generates a signal to light an LED as much as the corresponding number.

상기 판단모듈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조각화된 숫자 블록이 전부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모듈은, 해당 숫자을 완성시키기 위한 알람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When th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at all of the fragmented number blocks have not been seated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 module may output an alarm signal for completing the corresponding number as a vo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형태의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에 있어서, 낱말 또는 단어가 인쇄되며, RFID 태그가 부착된 제1 카드 및 상기 낱말 또는 단어의 형상에 따라 음각화된 제2 카드를 포함하는 카드, 상기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상단부와, 필기가 가능한 하단부로 나뉘어지며, 사용자로 하여금 카드에 인쇄된 단어를 이용하여 듣기 및 읽기 활동을 수행하도록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보드판, 그리고 카드 슬롯부에 위치하는 카드에 포함된 문자와 필기부에 입력된 문자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in the form of a card, a word or word is printed, a first card to which an RFID tag is attached, and a second engraved word or wor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ord A card containing a card, an upper part that can recognize the card, and a lower part that can take notes, and a board includ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listening and reading activities using the words printed on the card;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card positioned in the card slot with the characters input to the writing unit, an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as voic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숫자 블록의 경우, 숫자의 크기만큼 분리하여 숫자를 처음 배우는 아이들로 하여금 수에 대하여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고, 수에 대한 원리뿐만 아니라 퍼즐 형태의 놀이를 통해 친밀감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number blocks, the number blocks are separated by the size of the number so that children learning numbers for the first time can intuitively understand numbers, and intimacy can be gained through puzzle-type play as well as the principle of numbers. can prov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퍼즐 완성에 따라 언어는 음성으로 출력하므로 문자에 대한 이해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학습 놀이 과정을 통하여 아이의 집중력, 사고력 향상 및 소근육 발달에 대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nguage is output as voic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character puzz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and through the learning and play process, the effect on the concentration, thinking ability and fine muscle development of the child can be promot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낱말 또는 단어 카드를 이용하여 아이들로 하여금 획순에 따라 정자체 습득이 가능하게 하고, 자연스러운 쓰기, 듣기 및 말하기 활동으로 아이들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words or word cards, it is possible for children to acquire the correct character according to the stroke order,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through natural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숫자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드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S54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드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S102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eaching aid system for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number block shown in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ard shown in FIG. 1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illustrated in FIG. 1 .
5 is a flowchart of a learning method using an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540.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eaching aid system for edu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ard shown in FIG. 7 .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illustrated in FIG. 7 .
10 is a flowchart of a learning method using an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ritten by a user in step S102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숫자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number block shown in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100)은 숫자 블록(110), 보드판(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umber block 110 , a board board 120 , and a control unit 130 .

먼저, 숫자 블록(110)은 숫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록을 나타낸다. 숫자 블록(110)은 각각 상이한 색으로 구분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의 크기에 따라 조각화된다.First, the number block 110 represents a block made of a number shape. Each of the number blocks 110 is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or fragmen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number as shown in FIG. 2 .

그 다음, 보드판(120)는 상면에 숫자 블록(11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홈이 형성되며, 홈 내에 놓여지는 숫자 블록(110)의 완성 여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도록 보드판(120)의 일측에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함)를 포함한다. 한편, 보드판(120)과 숫자 블록(110)은 자석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Next, the board board 120 has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number block 110, and to visually or aurally provide whether the number block 110 placed in the groove is complete or not. A speaker or display unit (not shown) is included on one side. On the other hand, the board plate 120 and the number block 11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a magnet.

그 다음, 제어부(130)는 보드판(120)내에 놓여지는 숫자 블록(110)을 인식하여 생성된 정보에 따라 숫자의 완성 여부를 판단한다.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30)는 완성된 숫자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n, the control unit 130 recognizes the number block 110 placed in the board 1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the completed number as an audio or image.

이하에서는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판(12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oard plat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드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ard shown in FIG. 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판(120)은 숫자 매칭부(121), 스피커(122), 디스플레이부(123), led 램프(124) 및 전원 입력부(125)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 the board board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umber matching unit 121 , a speaker 122 , a display unit 123 , an led lamp 124 and a power input unit 125 . includes

먼저, 숫자 매칭부(121)는 보드판(120)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숫자 블록(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또한, 숫자 매칭부(121)는 홈의 내측에 조각화된 숫자 블록(110)의 개수에 대응하여 센서가 설치된다. First, the number matching unit 121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plate 120 , and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number block 110 are formed. In addition, the number matching unit 121 is provided with a senso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number block 110 fragmented inside the groove.

그 다음, 스피커(122)는 숫자 매칭부(121)의 일측에 위치하며, 후술되는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한다. Next, the speaker 122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number matching unit 121 and outputs a vo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디스플레이부(123)는 완성된 숫자를 이미지 형태로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123 outputs the completed number in the form of an image.

led 램프(124)는 숫자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숫자가 완성될 경우 해당되는 숫자의 크기만큼 점등된다. A plurality of led lamps 124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number, and when the number is completed, it is lit as much as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number.

전원 입력부(125)는 센서, 스피커(122), 디스플레이부(123) 및 led 램프(124)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원 입력부(125)를 손으로 올리거나 내리거나 누르거나 틀어서 작동시키면, 보드판(120)은 전자적으로 전환되어 동작된다. The power input unit 125 serves as a switch for controlling on/off of the sensor, the speaker 122 , the display unit 123 and the led lamp 124 . Accordingly, when the user raises, lowers, presses, or turns the power input unit 125 by hand to operate, the board 120 is electronically converted and operated.

이하에서는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illustrated in FIG. 1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입력모듈(131), 판단모듈(132) 및 제어모듈(133)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module 131 , a determination module 132 , and a control module 133 .

먼저, 입력모듈(131)은 숫자 매칭부(121)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First, the input module 131 receives data sensed from a sensor attached to the number matching unit 121 .

판단모듈(132)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각화된 숫자 블록(110)의 완성 여부를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the fragmented number block 110 is completed by using the received data.

부연하자면, 숫자 블록(110)은 숫자의 크기에 따라 조각화된다. 예를 들어, 숫자 "3"은 세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조각을 숫자 매칭부(121)의 홈에 끼워 넣으면, 판단모듈(132)은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 개의 조각이 전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other words, the number block 110 is fragmen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number. For example, the number "3" is split into three pieces. And when the separated piec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number matching unit 121, the determination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all three pieces are inserted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마지막으로 제어모듈(133)은 판단모듈(132)로부터 전달받은 판단 결과에 따라 스피커(122), 디스플레이부(123) 및 led 램프(124)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Finally, the control module 133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peaker 122 , the display unit 123 , and the led lamp 124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determination module 132 .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100)을 이용한 학습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learning method using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learning method using an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100)은 숫자 매칭부(121)에 숫자 블록(110)이 삽입 여부를 판단한다(S510).5,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block 110 is inserted into the number matching unit 121 (S510).

숫자 매칭부(121)의 홈에는 복수개의 센서가 설치된다. 센서는 홈에 삽입되는 숫자 블록(110)을 센싱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는 입력모듈(131)에 전달된다. A plurality of sensors are installed in the groove of the number matching unit 121 . The sensor generates data by sensing the numeric block 110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genera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input module 131 .

그러면, 판단모듈(132)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숫자 블록(110)의 완성여부를 판단한다(S520).Then, the determination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block 110 is completed using the received data (S520).

판단모듈(132)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조각화된 숫자 블록이 숫자 매칭부(121)의 홈에 전부 안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all of the number blocks fragmented for a preset time are seated in the groove of the number matching unit 121 .

그리고, S420 단계에서 숫자를 완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33)은 해당 숫자를 완성시키기 위한 알람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시킨다(S530).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has not been completed in step S420, the control module 133 outputs an alarm signal for completing the corresponding number as a voice (S530).

예를 들어, 숫자 "3"을 학습하고자 할 경우, 판단모듈(132)은 세 개로 조각화된 숫자 블록(110)이 숫자 매칭부(121)의 홈에 전부 안착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때,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세 개의 조각이 전부 안착되지 않고 일부의 조각만 안착되면, 제어모듈(133)은 특정 음을 출력시키거나, "완성 전입니다"와 같은 안내 음성을 출력시킨다. For example, when learning the number “3”, the determination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all three-piece number blocks 110 are seated in the grooves of the number matching unit 121 . At this time, if all three pieces are not seated for a preset time and only some of the pieces are seated, the control module 133 outputs a specific sound or a guide voice such as “before completion”.

반면에, S520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해당되는 숫자를 완성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모듈(133)은 해당 숫자를 음성과 영상으로 각각 출력시킨다(S54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20 that the corresponding number is completed within the preset time, the control module 133 outputs the corresponding number in audio and video, respectively (S540).

도 6은 S54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54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3"을 구성하는 숫자 블록(110)이 해당하는 숫자 매칭부(121)에 삽입되면, 제어모듈(133)은 스피커를 통해 "삼" 또는 "three"라는 음성을 출력시킨다. 또한, 제어모듈(133)은 디스플레이부(123)를 통해 숫자 "3"을 출력시키고, 3개의 led 램프(124)를 점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number block 110 constituting the number "3"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number matching unit 121, the control module 133 is "three" or "three" through the speaker. output the voice.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33 outputs the number "3" through the display unit 123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lighting the three led lamps 124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100)은 숫자 크기만큼 조각화된 숫자 블록을 제공하여 숫자의 의미와 형성되는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100)은 완성된 숫자에 대해 한글 또는 다른 국적의 언어로 음성 출력하므로 아이들로 하여금 수에 대한 이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umber block fragmented by the size of the number so that the meaning of the number and the principle of formation can be intuitively understood. In addition,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100 allows children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numbers by outputting voices in Korean or other nationalities for the completed numbers.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eaching aid system for edu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700)은 카드(710), 보드판(720) 및 제어부(7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7 ,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d 710 , a board plate 720 , and a control unit 730 .

먼저, 카드(710)는 낱말 또는 단어가 인쇄된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조각을 나타내며, 제1 카드(711) 및 제2 카드(712)를 포함한다. First, the card 710 represents a word or a piece formed of paper or plastic on which the word is printed, and includes a first card 711 and a second card 712 .

제1 카드(711)는 사각형상으로 일측에 RFID 태그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카드(712)는 인쇄된 문자의 형상에 따라 음각화된다. 또한, 제2 카드(712)는 음각화된 문자의 일측에 획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ard 711 includes an RFID tag on one side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econd card 712 is engrav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inted character. In addition, the second card 712 may further include a stroke order on one side of the engraved character.

그 다음, 보드판(720)은 제1 카드(711)를 인식할 수 있는 상단부와, 필기가 가능한 하단부로 나뉘어지며, 사용자로 하여금 카드(710)에 인쇄된 단어를 이용하여 읽기 및 듣기 활동을 수행하도록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한다. Next, the board 720 is divided into an upper part that can recognize the first card 711 and a lower part that can write notes, and allows the user to read and listen using the words printed on the card 710 . Includes speakers and microphones.

제어부(730)는 상단부에 놓여진 제1 카드(710)와 필기된 문자를 상호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730)는 출력된 음성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획득할 경우, 출력된 음성과 발화된 음성을 상호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출력시킨다. The control unit 730 compares the first card 710 placed on the upper end with the handwritten characters,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as a vo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lso, when acquiring the voice utter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output voice, the controller 730 compares the output voice with the uttered voice, and outputs the comparison result.

이하에서는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판(72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oard plate 7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드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ard shown in FIG. 7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판(720)은 필기부(721), 카드 슬롯부(722), 스피커(723), 마이크(724) 및 전원 입력부(725)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 the board 720 includes a writing unit 721 , a card slot unit 722 , a speaker 723 , a microphone 724 , and a power input unit 725 .

먼저, 필기부(721)는 사용자로 하여금 펜을 이용하여 글씨를 쓰고 지울 수 있는 공간을 나타내며, 보드판(720)의 하단에 위치한다. 한편, 필기부(721)의 내측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전원 입력부(725)를 통해 전원을 입력되면, 센서는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표기되는 형상을 센싱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First, the writing unit 721 represents a space in which a user can write and erase writing using a pen,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oard 720 . Meanwhile, a plurality of sensors are included inside the writing unit 721 . Accordingly, when power is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725 to be described later, the sensor senses a shape marked by the user's handwriting and generates data.

카드 슬롯부(722)는 제1 카드(711)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RFID 태그로부터 제1 카드(711)에 인쇄된 문자 정보를 획득한다. The card slot unit 722 recognizes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first card 711 and acquires text information printed on the first card 711 from the recognized RFID tag.

그 다음, 스피커(723)는 카드 슬롯부(722)의 일측에 위치하며, 후술되는 제어부(7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한다. Next, the speaker 723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card slot unit 722 and outputs a vo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30 to be described later.

마이크(724)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전기적신호를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730)에 전달한다. The microphone 724 converts the voice uttered by the us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ler 730 .

전원 입력부(725)는 센서, 스피커(723), 및 마이크(724)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원 입력부(725)를 손으로 올리거나 내리거나 누르거나 틀어서 작동시키면, 보드판(720)은 전자적으로 전환되어 동작된다. The power input unit 725 serves as a switch for controlling on/off of the sensor, the speaker 723 , and the microphone 724 . Accordingly, when the user raises, lowers, presses, or turns the power input unit 725 by hand to operate, the board 720 is electronically converted and operated.

이하에서는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3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trol unit 7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illustrated in FIG. 7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30)는 제1 문자 정보 획득모듈(731),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732), 판단모듈(733), 음성 출력모듈(734) 및 제어모듈(735)를 포함한다. 9, the control unit 7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x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1, a second tex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2, a determination module 733, and a voice output module. 734 and a control module 735 .

먼저, 제1 문자 정보 획득모듈(731)은 카드 슬롯부(722)로부터 획득한 문자 정보를 획득한다. 즉, 제1 문자 정보 획득모듈(731)은 제1 카드(711)에 인쇄된 문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First, the first tex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1 acquires text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ard slot unit 722 . That is,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1 acquires information on characters printed on the first card 711 .

그리고,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732)은 필기부(721)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필기된 문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tex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2 acquires information on the handwritten text by collecting data sensed from a sensor installed in the writing unit 721 .

판단모듈(733)은 제1 문자 정보 획득모듈(731)에서 획득한 문자 정보와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732)에서 획득한 문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module 733 compares the text information obtained by the first text information obtaining module 731 with the text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cond text information obtaining module 732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음성 출력모듈(734)은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시킨다. 즉, 제1 카드(711)로부터 획득한 문자 정보와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획득한 문자 정보가 일치하면, 음성 출력모듈(734)은 해당되는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한다The voice output module 734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as vo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at is, when the text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first card 711 matches the tex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user's handwriting, the voice output module 734 outputs the corresponding text as a voice.

제어모듈(735)은 해당되는 문자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735)는 해당 문자와 수신된 발화 음성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 control module 735 determines whether a voice uttered from the user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tex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message is received, the control module 735 compares the corresponding text with the received spoken voice, and outputs the comparison result as a voice.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700)을 이용한 학습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learning method using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of a learning method using an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700)의 카드슬롯부(722)는 제1 카드(711)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제1 문자 정보를 획득한다(S1010). As shown in Fig. 10, the card slot unit 722 of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first card 711 to receive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Acquire (S1010).

카드 슬롯부(722)는 사용자에 의해 놓여진 제1 카드(711)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한다. 그리고, 카드 슬롯부(722)는 인식된 RFID 태그로부터 제1 카드(711)에 인쇄된 문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문자에 대한 정보는 제1 문자 정보 획득모듈(731)에 전달된다. The card slot unit 722 recognizes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first card 711 placed by the user. Then, the card slot unit 722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s printed on the first card 711 from the recognized RFID tag,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acquired characters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1 . .

그 다음, 사용자가 필기부(721)에 문자를 필기하면, 필기부(721)는 표기된 형상을 인식하고, 인식된 형상에 대한 정보를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732)에 전달한다(S1020).Then, when the user writes a character on the writing unit 721, the writing unit 721 recognizes the marked shape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shape to the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obtaining module 732 (S1020) .

도 11은 S102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ritten by a user in step S102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필기부(721)에 제1 카드(711)에 인쇄된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필기한다. 이때, 사용자는 필기부(721)에 제1 카드(712)를 부착할 수도 있고 부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카드(712)를 부착할 경우, 사용자는 제1 카드(712)의 내측 홈에 따라 필기한다. 11 , the user writes the same characters as the characters printed on the first card 711 in the writing unit 721 . In this case, the user may or may not attach the first card 712 to the writing unit 721 . When the first card 712 is attached, the user writes according to the inner groove of the first card 712 .

한편, 필기부(721)에 제2 카드(712)가 부착될 경우, 필기부(721)는 제2 카드(712)의 내부 통공을 형상을 인식하고, 인식된 통공의 형상과 펜에 의해 입력된 형상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732)에 전달한다.Meanwhile, when the second card 712 is attached to the writing unit 721 , the writing unit 721 recognizes the shape of the internal hole of the second card 712 , and inputs the recognized shape of the hole and the pen Information on the shap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obtaining module 732 .

그 다음,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732)은 통공의 형상과 펜에 의해 입력된 형상이 일치할 경우에 문자로 인식하고, 해당되는 문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Then, when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matches the shape input by the pen, the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2 recognizes the character as a character and acquire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1020단계가 완료되면, 판단모듈(733)은 제1 문자 정보 획득모듈(731)에서 획득한 문자 정보와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732)에서 획득한 문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1030).When step S1020 is completed, the determination module 733 compares the text information acquired in the first tex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1 with the text information acquired in the second tex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2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 S1030).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라는 문자가 인쇄된 제1 카드(711)를 카드 슬롯부(722)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필기부(721)에 필기한다. 그러면, 판단모듈(733)은 제1 카드(711)로부터 획득한 "가"와 필기부(721)에 필기된 문자를 비교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 the user writes on the writing unit 721 while placing the first card 711 on which the letter “A” is printed on the card slot unit 722 . . Then, the determination module 733 compares "A" obtained from the first card 711 with the character written in the writing unit 721 .

그리고, 음성 출력모듈(734)는 비교된 결과를 스피커(723)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S1040).Then, the audio output module 734 outputs the comparison result as audio through the speaker 723 (S1040).

부연하자면, 1 문자 정보 획득모듈(731)에서 획득한 문자 정보와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732)에서 획득한 문자 정보가 일치하면, 음성 출력모듈(734)는 해당되는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시킨다. 즉, 사용자가 제1 카드(711)에 대응하여 "가"라는 글자를 필기부(721)에 필기하면, 음성 출력모듈(734)는 해당되는 문자 "가"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In other words, when the tex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irst tex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1 matches the tex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cond tex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2 , the voice output module 734 outputs the corresponding text as a voice. . That is, when the user writes the letter "A" in the writing unit 721 in response to the first card 711 , the voice output module 734 outputs the corresponding letter "A" as a voice.

반면에, 1 문자 정보 획득모듈(731)에서 획득한 문자 정보와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732)에서 획득한 문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음성 출력모듈(734)는 "다시 입력하세요"라는 안내음성을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ex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irst tex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1 and the tex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cond tex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2 do not match, the voice output module 734 prompts “Please input again” output the voice

S1040 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어모듈(735)는 사용자의 발화된 음성을 획득 여부를 판단한다(S1050).In a state in which step S1040 is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735 determines whether to acquire the user's uttered voice (S1050).

사용자는 보드판(720)에 설치된 마이크(724)를 이용하여 출력된 음성에 대응하는 문자를 발화한다. The user utter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ice using the microphone 724 installed on the board 720 .

그러면, 제어모듈(735)는 해당되는 문자와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한다(S1060).Then, the control module 735 compares the corresponding text with the voice uttered by the user, and outputs the comparison result as a voice (S1060).

S1040단계에서 "가"라는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제어모듈(735)은 마이크(724)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한다. 이때, 사용자가 "가"라고 발음하였을 경우, 제어모듈(735)은 해당되는 문자 "가"와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문자"가"가 동일한지 판단한다. 그리고, 동일한 문자로 판단되면, 제어모듈(735)는"가"라는 문자를 다시 음성으로 출력한다. In a state in which the character "a" is output as a voice in step S1040 , the control module 735 acquires the user's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724 . At this time, when the user pronounces "a", the control module 735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haracter "a" and the character "a" uttered by the user are the sam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character is the same, the control module 735 outputs the character "a" as a voice again.

반면에, 사용자가 "가"가 아닌 다른 문자를 발음할 경우, 제어모듈(735)은 "다시 말씀해주세요"라는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onounces a character other than "a", the control module 735 outputs the text "please tell me again" as a vo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700)은 낱말 또는 단어가 인쇄된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드판에 올바르게 입력할 경우, 해당되는 낱말 또는 단어를 정확한 발음으로 읽어주는 기능을 구현한다. 사용자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700)을 이용하여 쓰기, 읽기 및 듣기 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문자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unction of reading the word or word with correct pronunciation when the user correctly inputs the word or word on the board using a printed card. . The user may improve his/her cognitive ability for characters by performing writing, reading, and listening activities using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700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은 숫자 블록의 경우, 숫자의 크기만큼 분리하여 숫자를 처음 배우는 아이들로 하여금 수에 대하여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고, 수에 대한 원리뿐만 아니라 퍼즐 형태의 놀이를 통해 친밀감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number blocks by the size of the number so that children who learn numbers for the first time can intuitively understand the number, as well as the principle of number, as well as puzzle-type play. can provide intima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은 문자 퍼즐 완성에 따라 언어는 음성으로 출력하므로 문자에 대한 이해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학습 놀이 과정을 통하여 아이의 집중력, 사고력 향상 및 소근육 발달에 대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language as a voic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character puzzle,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and through the learning and play process, the effect on the concentration, thinking ability and fine motor development of the child can make it happe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은 낱말 또는 단어 카드를 이용하여 아이들로 하여금 획순에 따라 정자체 습득이 가능하게 하고, 자연스러운 쓰기, 듣기 및 말하기 활동으로 아이들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hildren to acquire the correct character according to the stroke order by using words or word cards, and can improve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through natural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110 : 숫자 블록 120 : 보드판
121 : 숫자 매칭부 122 : 스피커
123 : 디스플레이부 124 : led 램프
125 : 전원 입력부 130 : 제어부
131 : 입력모듈 132 : 판단모듈
133 : 제어모듈
700 :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710 : 카드 711 : 제1 카드
712 : 제2 카드 720 : 보드판
721 : 필기부 722 : 카드 슬롯부
723 : 스피커 724 : 마이크
725 : 전원 입력부 730 : 제어부
731 : 제1 문자 정보 획득모듈 732 :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
733 : 판단모듈 734 : 음성 출력모듈
735 : 제어모듈
100: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110: number block 120: board board
121: number matching unit 122: speaker
123: display unit 124: led lamp
125: power input unit 130: control unit
131: input module 132: judgment module
133: control module
700 : Teaching learning aid system
710: card 711: first card
712: second card 720: board board
721: writing unit 722: card slot unit
723: speaker 724: microphone
725: power input unit 730: control unit
731: first charact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2: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733: judgment module 734: voice output module
735: control module

Claims (11)

퍼즐 형태의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에 있어서,
색상 별로 구분되며, 숫자의 크기만큼 조각화된 퍼즐 형태의 숫자 블록,
상면에 숫자 블록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홈이 형성되며, 홈 내에 놓여지는 숫자 블록의 완성 여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보드판, 그리고
상기 숫자 매칭부에 삽입되는 숫자 블록을 인식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생성된 정보에 따라 숫자의 완성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In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in the form of a puzzle,
Number blocks in the form of puzzles that are separated by color and are fragmented by the size of the number;
A board having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number block, and providing a visual or auditory indication of whether the number block placed in the groove is complete; and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by recognizing the number block inserted into the number match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is complete according to the generated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determined result as an audio or an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은,
상기 숫자 블록에 삽입되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내측에 상기 조각화된 숫자 블록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센서를 설치된 숫자 매칭부,
상기 숫자 블록의 완성에 따라 음성을 출력시키는 스피커,
완성된 숫자를 이미지 형태로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 및 led 램프를 포함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oard is
A number matching unit in which a groov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number block, and a plurality of sensors are installed inside the groove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fragmented number blocks;
A speaker that outputs a voic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number block;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n LED lamp that outputs the completed number in the form of an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입력모듈,
상기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각화된 숫자 블록이 숫자 매칭부에 일부 또는 전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그리고
상기 조각화된 숫자 블록이 전부 안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되는 숫자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시키거나, 해당 숫자만큼 led를 점등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n input module for acquiring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A determination module for judging whether the fragmented number block is partially or entirely seated in the number matching unit using the obtained data,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ll of the fragmented number blocks are seated, an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comprising a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 corresponding number as an audio or image, or generates a signal to light an LED by the corresponding nu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조각화된 숫자 블록이 전부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모듈은,
해당 숫자을 완성시키기 위한 알람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If th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at all of the fragmented number blocks have not been seated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 module is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that outputs an alarm signal to complete the corresponding number by voice.
카드 형태의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에 있어서,
낱말 또는 단어가 인쇄되며, RFID 태그가 부착된 제1 카드 및 상기 낱말 또는 단어의 형상에 따라 음각화된 제2 카드를 포함하는 카드,
상기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상단부와, 필기가 가능한 하단부로 나뉘어지며, 사용자로 하여금 카드에 인쇄된 단어를 이용하여 듣기 및 읽기 활동을 수행하도록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보드판, 그리고
카드 슬롯부에 위치하는 카드에 포함된 문자와 필기부에 입력된 문자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In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in the form of a card,
A card comprising a first card on which words or words are printed and to which an RFID tag is attached and a second card engrav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ords or words;
A board that is divided into an upper part that can recognize the card and a lower part that can take notes, and includes a speaker and a microphone so that the user can listen and read using the words printed on the card, and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mpares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card positioned in the card slot with the characters input in the writing unit,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as voic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은,
상기 카드가 부착되며,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표기되는 형상을 인식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필기부,
상기 필기부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슬롯부,
완성된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그리고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oard is
A writing unit to which the card is attached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recognizing a shape marked by a user's handwriting;
A card slot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riting unit and configured to recognize the card;
A speaker that outputs the completed text as a voice, and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including a microphone for recognizing the user's vo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드는,
상기 필기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card is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material to be detachable from the writ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제2 카드는,
문자에 대한 획순이 표기된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card is
A learning aid system for education in which the stroke order for letters is mark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카드에 인쇄된 문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 문자 정보 획득모듈,
상기 필기부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필기된 문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
상기 제1 카드로부터 획득한 문자 정보와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획득한 문자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문자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그리고
동일한 문자로 판단되면, 해당 문자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음성 출력모듈를 포함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is
a first charact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characters printed on the first card using an RFID tag;
a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written character by collecting data sensed from a sensor installed in the writing unit;
a determination module that compares the tex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card with the text information obtained by the user's handwriting to determine whether the text is the sam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character,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comprising a voic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 as a vo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할 경우, 상기 해당 문자와 수신된 발화 음성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is
When receiving a voice uttered from the user, th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module for comparing the text and the received uttered voice with each other, and outputting the comparison result as a vo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부의 상면에 제2 카드가 부착되면,
상기 제2 문자 정보 획득모듈은,
제2 카드의 내부 통공의 형상을 인식하고, 인식된 통공의 형상과 펜에 의해 입력된 형상이 동일할 경우에만 문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second car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riting unit,
The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Educational learning aid system for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inner hole of the second card, and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 only when the shape of the recognized hole and the shape input by the pen are the same.
KR1020200139162A 2020-10-26 2020-10-26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KR102488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62A KR102488893B1 (en) 2020-10-26 2020-10-26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KR1020220112490A KR20220126701A (en) 2020-10-26 2022-09-06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62A KR102488893B1 (en) 2020-10-26 2020-10-26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490A Division KR20220126701A (en) 2020-10-26 2022-09-06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66A true KR20220055066A (en) 2022-05-03
KR102488893B1 KR102488893B1 (en) 2023-01-16

Family

ID=815909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162A KR102488893B1 (en) 2020-10-26 2020-10-26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KR1020220112490A KR20220126701A (en) 2020-10-26 2022-09-06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490A KR20220126701A (en) 2020-10-26 2022-09-06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889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2790A (en) * 2011-12-05 2013-06-13 (주)세스넷 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2790A (en) * 2011-12-05 2013-06-13 (주)세스넷 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893B1 (en) 2023-01-16
KR20220126701A (en)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berman et al. Speech, the alphabet, and teaching to read.
US7110945B2 (en) Interactive book
US6405167B1 (en) Interactive book
CN201993924U (en) Reading material learning machine
US7351062B2 (en) Education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WO1995022134A1 (en) Interactive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graphemes, grapheme names, phonemes, and phonetics
KR100940299B1 (en) Educational Toy For Outputting Combination Information
CN109272808B (en) Interactive system for music beat rhythm teaching and science popularization
KR101378362B1 (en) Robot controlled by optical identification
KR200425379Y1 (en) Learning apparatus for a preschool education
KR20220055066A (en) Educational learning tool system
CN207637321U (en) The sound accessory of Aided English Teaching
KR20100136203A (en) Customized interactive typ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by levels and method thereof
CN114613206A (en) Intelligent multi-sense organ language spelling and learning device for children with read-write disorder
JP3137590U (en) Chinese teaching materials that are pronounced by automatic recognition
KR100491947B1 (en) Apparatus for studying letter
KR200291781Y1 (en) language instruction device using a character card
KR201400744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word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syllable of a word and image data
KR200279383Y1 (en) Language school system using barcode
KR102400962B1 (en) System for recognize musical note
KR20120014854A (en) Language learnning device
Conklin Wholes and parts in teaching
KR100375936B1 (en) Device for educating musical study of children through playing
KR200417889Y1 (en) Voice device for presswork information cognition using UV coating of RGB code
KR20220146145A (en) Method for self play study using AI education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