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639A - 특정 3차원 입체곡선 형태의 햅틱부를 갖는 인공수정체 - Google Patents

특정 3차원 입체곡선 형태의 햅틱부를 갖는 인공수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639A
KR20220054639A KR1020227010210A KR20227010210A KR20220054639A KR 20220054639 A KR20220054639 A KR 20220054639A KR 1020227010210 A KR1020227010210 A KR 1020227010210A KR 20227010210 A KR20227010210 A KR 20227010210A KR 20220054639 A KR20220054639 A KR 20220054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optic
intraocular lens
optical axis
mai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044B1 (ko
Inventor
스테파니 뮐러
Original Assignee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filed Critical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5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02Corrective lenses for use in addition to the natural lenses of the eyes or for pseudo-phakic eyes
    • A61F2/161Posterior chamber lenses for use in addition to the natural lenses of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3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filiform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9Surrounding o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901Supporting structure conforms to shape of capsular ba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95Saddle-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옵틱부(2), 상기 옵틱부(2)에 커플링 결합된 햅틱부(5), 및 상기 옵틱부(2)의 전면(3) 및 후면(4)을 통과하는 주 광축(A)을 갖는 인공수정체(1)에 관한 것으로, 햅틱부(5)는 제1 고리(6) 형태이며 옵틱부(2)를 중심으로 뻗어 나온 제1 지지 부분 및 제2 고리(11) 형태이며 옵틱부(2)를 중심으로 뻗어 나와 있고 상기 제1 지지 부분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지지 부분을 가지며, 2개의 고리(6, 11) 중 적어도 한 고리는 주 광축(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요철 형태이고, 2개의 고리(6, 11) 중 적어도 한 고리는 정확히 2개의 고리 골(8, 17, 12, 13)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9, 10, 14, 15)을 갖는다.

Description

특정 3차원 입체곡선 형태의 햅틱부를 갖는 인공수정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나의 옵틱부와 상기 옵틱부에 커플링 결합된 햅틱부로 이루어진 그리고 상기 옵틱부의 전면 및 후면을 통과하는 주 광축을 갖는 인공수정체(또는 안내렌즈)에 관한 것으로, 햅틱부는 제1 고리 형태이며 옵틱부를 에워싸는 제1 지지 부분 및 제2 고리 형태이며 옵틱부를 에워싸고 상기 제1 지지 부분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지지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2개의 고리 중 적어도 한 고리는 주 광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요철 형태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형태의 인공수정체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인공수정체는, 주 광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며 반경방향으로 옵틱부와 잇닿아 있도록 형성된 2개 이상의 개별 햅틱부를 갖는다. 이러한 개별 햅틱부가 2개보다 많이, 예를 들면 3개의 햅틱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눈 속의 여러 정해진 위치에, 눈의 본연의 수정체 대신 인공수정체가 이식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특정 인공수정체를 눈의 전(안)방(anterior chamber)에 삽입하는 것에 착안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전방 렌즈를 전방 홍채각막각에 고정시킬 수 있다.
홍채 고정 렌즈라 불리는 인공수정체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공수정체는 동공에 고정되며, 구체적으로는 동공 개구에 물려 고정된다. 이러한 인공수정체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DE 10 2007 057 122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렇게 눈 속의 특정 삽입 부위에 놓이는 인공수정체에는 2개의 대향 햅틱부가 있다. 즉, 각 햅틱부는 2개의 L자형 지지 아암부를 갖는다. 이들 지지 아암부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은 인공수정체의 주 광축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되, 서로 접촉하거나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형성된 지지 아암부들에 의해, 지지 아암부들의 단부들 사이의, 주 광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홍채 상에 물려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렌즈는 눈의 수정체낭에 삽입하기 위한 용도가 아닐 뿐더러 적합하지도 않다.
이와 관련하여, 눈의 수정체낭에 삽입되는, 후방 렌즈로 불리기도 하는 특정 인공수정체가 또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DE 103 10 961 B4는 후방 렌즈에 해당하는 인공수정체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후방 렌즈의 경우, 옵틱부의 양쪽 영역에는 2개의 개별 햅틱부가 반경방향으로 잇닿아 형성된다. 각각의 햅틱부는 2개의 지지 부분으로 형성된다. 햅틱부의 두 지지 부분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이를 위해, 서로 연결된 지지 부분들 사이의 기정 연결 부위에 예를 들면 일체형 힌지 형태의 소정의 꼬임점이 형성된다. 이런 식으로, 햅틱부의 반경방향 외부측 지지 부분은 옵틱부에 직접 잇닿아 있는 제1 지지 부분에 대해 피봇 이동되거나 포개질 수 있다. 이러한 피봇 이동은 광축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서만 가능하다. 이는 햅틱부들로 인한 수정체낭 내부의 자극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체 인공수정체의 반경방향 너비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러한 후방 렌즈는 어느 정도 평면 구조를 갖는다. 그 결과, 삽입술 이후 수축되는 수정체낭이 옵틱부의 후면과 접촉하게 된다. 접촉 영역에서 세포들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후방 수정체낭이 혼탁해질 수 있다. 인공수정체의 옵틱부의 후면을 안방수(aqueous humor)로 세척하면 후방 수정체낭의 이러한 혼탁화가 방지되거나 최소한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인공수정체 옵틱부의 후면과 후방 수정체낭 사이에 간격이 있어야 한다.
특허문헌 DE 103 10 961 B4에 의해서는, 인공수정체가 수정체낭에 삽입된 상태일 때 인공수정체 옵틱부의 후면과 수정체낭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는 상기 문헌의 후방 렌즈로도 해결되지 않는다.
특허문헌 US 2007/0100444 A1은 브레이드 구조의 3차원 입체곡선 형태 햅틱부를 갖는 인공수정체를 개시하고 있다. 햅틱부는 주 광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뻗어 나온 다수의 아치를 갖는다. 이들 아치는 두 단부를 가지며 인공수정체의 주 광축 방향으로 여러 위치에 배치된다. 이들 아치의 한 단부는 의도된 방식으로 인공수정체 옵틱부의 한 원주 측면에 자리한다. 이들 아치의 제2 단부는 옵틱부 너머로 축방향 전방측 방향으로 뻗어 나와 햅틱부의 환형체에 고정된다. 상기 환형체는 옵틱부에서 이격된 그리고 인공수정체의 광축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된 평면(flat plane)에 완전 배치된다.
특허문헌 US 8 043 372 B2는 마찬가지로 3차원 입체구조 형태이면서 그 형상이 평면 내에서 연장되지 않는 햅틱부를 갖는 인공수정체를 개시하고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햅틱부는 주 광축을 에워싸는 2개의 고리를 갖는다. 각 고리는 구불구불한 형태의 파상(wavy)이다. 많은 루프를 갖는 이러한 구불구불한 형태는 주 광축을 에워싸도록 설계된 것이다. 상기 2개의 고리는 파형의 변곡점들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고, 고리 산들은 반경방향으로 더 안쪽으로 자유로이 뻗어 나와 서로 마주보고 있거나 주 광축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입체구조의 햅틱부는 인공수정체를 수정체낭에 안정적으로 더 잘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햅틱부는 형태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형태의 복잡성은 인공수정체를 수정체낭에 삽입하는 시술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아울러, 이들 햅틱부는 주 광축에 대해 대칭 구조이기 때문에, 수정체낭 안에서, 여러 영역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상당한 압축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눈의 수정체낭에서의 위치결정이 개선된 인공수정체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따른 인공수정체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나의 옵틱부를 갖는 인공수정체에 관한 것이다. 옵틱부는 렌즈이다. 옵틱부는 소정의 광학적 영상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옵틱부를 통해 시각적 결함의 특정 보정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인공수정체는 옵틱부에 커플링 결합된 햅틱부를 포함한다. 인공수정체는 옵틱부의 전면 및 후면을 통과하는, 특히 옵틱부의 중앙에서 중심 방향으로 통과하는 광축 또는 주 광축을 갖는다. 햅틱부는 제1 고리 형태인 제1 지지 부분을 갖는다. 제1 고리는 옵틱부를 에워싸도록 형성된다. 햅틱부는 제2 고리 형태인 하나 이상의 제2 지지 부분을 갖는다. 제2 고리는 옵틱부를 에워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2개의 지지 부분은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2개의 고리 중 적어도 한 고리는 주 광축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원주 방향으로 요철 형태를 갖는다. 이는 고리의 종축을 따라 보았을 때, 그리고 이에 따라 고리 형상을 따라 보았을 때, 고리가 한 평면 내에 놓여있는 것이 아니라 이와 관련하여 요철형 단면 곡선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2개의 고리 중 적어도 한 고리는 정확히 2개의 고리 골(valley)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peak)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분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기하학적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제조 관점에서 장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예 덕분에 인공수정체를 수정체낭 안에 더 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정체낭 안에서의 인공수정체의 원치 않는 회전은 물론 옵틱부의 원치 않는 기울어짐 현상을 최소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는 수정체낭 안에서의 인공수정체의 위치 고정 개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정확히 2개의 고리 골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과 관련하여, 이러한 높이 지정은 옵틱부의 중심 평면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중심 평면은 특히 중심 방향으로 옵틱부를 통과해 연장되며 주 광축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된다. 고리 골이 고리 산보다 이 중심 평면에 더 가까이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 덕분에, 인공수정체를 수정체낭 안에 축방향으로, 즉 주 광축 방향으로 제위치에 보다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확히 2개의 고리 골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을 갖는 적어도 한 고리는 에지 고리 형상이나 또는 안장 형태의 테두리를 갖도록 구성된다. 안장 형태에서 이어지는, 말하자면 이와 관련하여 고리는 이러한 안장 형태의 테두리 또는 가장자리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고리를 안장형 에지 고리라고도 부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양에 의해 2개의 고리 골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을 갖는 구성이 특정된다.
정확히 2개의 고리 골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을 갖는 이러한 고리의 형상은 한 평면에 놓인 고리가 주 광축에 대해 직각인 축을 중심으로 만곡되면서 3차원 입체 형상의 고리를 만든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축을 중심으로 고리가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축은 특히 옵틱부의 중심 평면 내에 위치한다.
적어도 한 고리가 정확히 2개의 고리 골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을 갖는다는 이러한 특정 형상을 통해, 앞서 언급한 이점들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매우 단순한 구조이기는 해도 여전히 옵틱부를 대상으로 한 선택적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특히 고리 산들의 영역에서 해당 고리의 상당한 개별적 변형 능력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동시에 옵틱부로의 충분한 기계적 연결을 형성한다.
특히, 적어도 한 고리는, 정확히 2개의 고리 골이 옵틱부와 결합되도록 그리고 고리 산들이 옵틱부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정확히 2개의 고리 골을 갖는 고리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 위치에서 옵틱부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 이를테면 고리와 옵틱부 사이에는, 특히 2개의 대향하는 고리 골을 통해, 단 2곳의 직접적인 기계적 연결 지점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고리와 옵틱부 사이에 대칭적인 기계적 연결이 구현된다. 그 결과, 옵틱부로의 원치 않는 비대칭 연결을 막을 수 있다. 고리와 옵틱부 사이에 단 2곳의 기계적 연결 지점을 제공함으로써 인공수정체의 제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동시에, 이는 또한 전체 인공수정체의 형태 복잡성을 낮춘다.
인공수정체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햅틱부와 옵틱부를 개별 구성요소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이 경우 햅틱부가 옵틱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옵틱부의 가장자리 영역과 햅틱부 사이에 클램핑 연결, 플러그-인 연결, 또는 스냅-인 연결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햅틱부의 내부 측면에, 특히 고리 골들에, 요홈들이 마련되어, 옵틱부의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요홈들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접착제 결합을 통한 연결도 가능하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 광축 방향으로 투영하여 본 경우 고리 골들이 주 광축을 기준으로 제1 반경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마찬가지로 주 광축 방향의 투영하여 본 경우 고리 산들이 상기 제1 반경보다 비교적 큰 제2 반경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투영도에서, 단부 위치에서의 고리는 투영면 내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 점에 있어서는 오히려 변형된다. 이와 관련하여, 고리 골들은 고리 산들보다 더 안쪽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고리 산들은 고리 골들보다 주 광축에서 반경방향으로 더 멀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는 특히 투영면에서의 관찰에 적용된다. 이는 특히 고리 산들에서 고리의 탄성 이동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수정체낭의 실시예에 보다 개별적인 끼워맞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수정체낭 내에서 인공수정체를 훨씬 더 미세하게 위치 조정하고 더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고리 산들이 반경방향 외부 측으로 더 멀리 뻗어 있고 또한 옵틱부로부터 자유로이 뻗어 있되 옵틱부와 접촉하지는 않도록 구현되어 있고, 주 광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중심 평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고리 산들이 고리 골들보다 크므로, 전술한 변형 사양 및 변형 특성들이 훨씬 더 개선된다. 이러한 이점 덕분에, 다양한 구현예의 수정체낭에 대한 변형 끼워맞춤이 또한 개선될 수 있고, 그 결과로, 다양한 수정체낭 내 인공수정체의 위치 결정이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고리 골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을 갖는 적어도 한 고리가 제1 고리 골로부터 제1 고리 산 위로 제2 고리 골까지 뻗어 있는 제1 고리 부분을 갖도록 구성된다. 고리 골들 사이로서 측정되는, 고리 부분의 공간 폭(clear width)은 옵틱부 직경의 90% 이상이다. 특히, 상기 공간 폭은 옵틱부 직경의 100%, 또는 100%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1 고리 골에서 제2 고리 골까지 상기 폭 범위로 연장되는 고리 부분을 생성하며,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U자형 아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 U자형 아치는 제1 반쪽 원주 영역에서 옵틱부를 둘러싸거나, 상기 옵틱부를 포위한다. 특히, 이는 앞서 언급한 투영면에서도 명백하다.
바람직하게는, 고리의 종축 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에서 고리 산에 바로 이어진 2개의 연속적 고리 골은 주 광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180도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이들 고리 골은 이 방위각 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에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고리 골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을 갖는 적어도 한 고리가 제1 고리 골로부터 제1 고리 산 위로 그 다음 제2 고리 골까지 뻗어 있는 제1 고리 부분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고리 부분은 주 광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부 측을 향해 만곡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절반 고리를 나타내는 제1 고리 부분의 만곡 방향은 특히 전체 길이에 걸쳐 옵틱부의 원주의 곡률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만곡 방향들은 동일한 방향이지만 크기 면에서는 상이하다. 특히, 고리 부분은 요철 U자형 아치로 형성된다. U자형 개구가 주 광축을 향한다.
특히, 이는 제1 고리 부분의 두 이웃하는 고리 골들 사이의 전체 아치 범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고리 산들은, 주 광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옵틱부의 중심 평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고리 골들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 고리는 제2 고리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들 2개의 고리는 옵틱부의 중심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구체적으로, 고리 골들이 서로 직접 접해 있고, 고리 산들은 각 경우에 주 광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방위각의 위치에 배치되며 서로 최대로 이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 광축 방향으로 측정되는 거리가 주 광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변동되며, 2개 고리의 고리 골 위치들에서 최소값을, 그리고 2개 고리의 고리 산 위치들에서 최대값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옵틱부는 특히 중심 두께를 갖는다. 상기 중심 두께는 주 광축을 따라 측정되며 옵틱부의 최대 두께를 나타낸다. 주 광축을 따라 보았을 때, 옵틱부의 만곡된 전면의 최대값 및/또는 옵틱부의 만곡된 후면의 최대값과 옵틱부의 중심 평면 사이를 측정하여 얻는 값이 옵틱부의 두께에 해당한다. 특히, 이 두께는 옵틱부의 중심 두께의 절반이다. 특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인공수정체의 경우, 중심 평면으로부터 고리 산까지의 이격 거리(중심 평면에 직각으로 측정됨에 따라, 주 광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해당됨)는 상기 옵틱부의 두께보다 크다. 이 덕분에 특히 유리하게 달성되는 점은, 눈 안에 삽입된 상태일 때, 특히 옵틱부의 상부 측, 구체적으로는 옵틱부의 후면이 수정체낭 벽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특히 후방 수정체낭 벽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주 광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2개의 햅틱 고리는 각자의 2개 고리 골이 동일한 방위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2개의 햅틱 고리, 즉 제1 고리와 제2 고리는 각자의 2개 고리 산이 주 광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방위각의 위치에 있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리들은, 고리 산들의 영역에서, 반경방향 외부 측을 향하는 죠(jaw) 형상 또는 개방 죠를 나타내도록 서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반경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죠는 반경방향 최외측 단부에서 가장 크게 열린 상태가 된다. 각 고리 골에서 시작하여, 주 광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보았을 때 이들 2개 고리의 반경은 그 다음 다른 고리 골에 이를 때까지 증가하며, 주 광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이들 2개 고리 사이의 거리는 2개의 고리 산에 이를 때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이들 고리 산으로부터 각자의 다음 제2 고리 골에 이를 때까지 다시 감소한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리들은 각자의 고리 골들을 통해 옵틱부의 한 원주방향 벽에서 옵틱부에 직접 연결되도록, 특히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들 2개 고리의 이웃하는 고리 골들은, 특정 방위각의 위치에서 겹쳐지지 않고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또는 서로 겹쳐지는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리들은 또한 하나의 고리 집합체로서 서로 일체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리들은 2차원적 형상으로만 보여지는 한 평면으로 펼쳐졌을 때 환형체 형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차원으로 보았을 때 고리들이 한 평면에서 타원형 고리 형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고리 중 적어도 한 고리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완전히 폐쇄된 방식으로 형성된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옵틱부의 중심 평면으로부터 한 고리의 고리 산까지의 축방향 거리는 중심 평면으로부터 옵틱부의, 특히 중심에 있는 최대 아치형까지의 거리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인공수정체를 수정체낭에 위치시킬 때 옵틱부가 수정체낭 벽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옵틱부의 후면에 대해 유리하다. 이로써 수정체낭 안에서 후면은 후방 수정체낭 벽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안방수가 후방 수정체낭 벽과 후면 사이에 이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세포들의 이동을 막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후방 수정체낭의 혼탁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본 인공수정체는 눈의 수정체낭 안에 삽입하기 위한 후방 렌즈이다.
이와 관련하여 인공수정체는 포개질 수 있으며 축방향으로의 변위 발생 없이 수정체낭 안에서 대칭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명시된 햅틱부들은 개선된 방식으로 수정체낭의 공간 조건에 맞게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인공수정체의 광학 부분의 위치 또는 옵틱부의 위치가 원치 않게 변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햅틱부를 통해 수정체낭 내 인공수정체의 회전 안정성도 개선된다.
특히, 인공수정체는 폴리머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인공수정체는 수정체낭에 삽입되는 인공수정체 형태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수정체낭-삽입형 인공수정체라고도 불릴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인공수정체는 눈의 수정체낭에 삽입하기 위한 후방 렌즈이다. 이는 본 인공수정체의 용도가 오로지 눈의 수정체낭 안에 삽입하기 위한 것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은 청구범위, 도면 및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위의 설명에서 언급된 특징들 및 특징들의 조합, 그리고 이하 도면의 설명에 언급되고/되거나 도면에 단독으로 도시되는 특징들 및 특징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각각 명시된 조합에서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조합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도면에 명백하게 도시되지 않고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설명된 세부사항으로부터의 특징들을 개별 조합하여 얻어지고 생성될 수 있는 실시예들을 포함하고 개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원래 표현된 독립항의 모든 특징을 포괄하지는 않는 여러 실시예 및 특징 조합까지 확대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특히 전술된 실시예들을 통해, 청구범위의 종속성 참조에 기재된 특징 조합을 넘어서거나 벗어나는 여러 실시예 및 특징 조합까지 확대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매개변수에 대해 문서에 표시된 구체적인 값들 및 매개변수들의 비율에 관한 표시 또는 대안 렌즈의 예시적 실시예의 정의에 대한 매개변수 값은 예를 들어 측정 오류, 시스템 오류, DIN 허용 오차 등으로 인한 편차와 관련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 부수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는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값 및 표시들에 관한 설명도 이런 식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첨부된 개략도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수정체의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인공수정체용 햅틱부의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인공수정체의 개략도로서, 인공수정체의 주 광축 방향으로 본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2차원 기본 형상의 햅틱부 고리의 개략도로서, 환형체인 고리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도면으로서, 기본 형상 타원형 고리를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로 나타낸다.
도 6a는 수정체낭에 삽입되는 인공수정체의 예시적 실시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6a의 것보다 더 큰 수정체낭에 인공수정체가 삽입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c는 도 6a 및 도 6b에 따른 도면으로서, 훨씬 더 큰 수정체낭에 인공수정체가 삽입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등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기호)로 표시하였다.
도 1은 인공수정체(1)의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인공수정체(1)는 눈의 수정체낭에 삽입되는 후방 렌즈이다. 이에 따라, 수정체낭-삽입형 인공수정체라고도 불린다. 인공수정체(1)는 옵틱부(2)를 포함한다. 옵틱부(2)는 렌즈 형태이다. 옵틱부는 인공수정체(1)의 소정의 광학적 영상화 특성을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인공수정체(1)는 광축 또는 주 광축(A)을 갖는다. 주 광축은 옵틱부(2)의 중앙에서 중심 방향으로, 옵틱부(2)의 전면(3) 및 후면(4)을 통과한다.
인공수정체(1)는 햅틱부(5)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햅틱부(5)는 2개의 고리(6, 7)로 형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의 제1 고리(6)는 최소한 여러 영역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제1 고리(6)는 주 광축(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요철 형태를 갖는다. 이는 제1 고리(6)의 전체 형상 또는 전체 기하학적 구조가 한 평면 내에 놓여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제1 고리(6)는 3차원 입체 형상의 고리로 형성된다. 3차원 입체 형상과 관련하여, 제1 고리(6)는 정확히 2개의 고리 골(8, 17)을 갖는다. 또한, 제1 고리(6)는 정확히 2개의 고리 산(9, 10)을 갖는다. 고리 골들(8, 17)과 고리 산들(9, 10)은 특히 옵틱부(2)의 중심 평면(M)(도 6a 내지 도 6c)을 기준으로 보아야 한다. 렌즈 형태 옵틱부(2)의 상기 중심 평면(M)은 특히 중심 방향으로 옵틱부(2)를 통과해 연장되며 주 광축(A)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주 광축(A) 방향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2개의 고리 골(8, 17)이 고리 산(9, 10)보다 중심 평면(M)에 더 가까이 있다. 특히, 원주 방향으로, 고리 골들(8, 17)은 주 광축(A)을 중심으로 서로 180도 오프셋되어 배치되게 구성된다. 해당 실시예가 바람직하게는 고리 산들(9, 10)에도 적용된다. 고리 산들(9, 10)은 제1 고리(6)의 종축(B)을 따라 2개의 고리 골(8, 17)로부터 동일한 이격 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특히, 제1 고리(6)는 안장 형태의 에지 고리 형상을 갖는다. 완전한 최종 상태의 인공수정체(1)가 제위치에 놓였을 때의 제1 고리(6)는 환형체 또는 타원형 고리 형태로서, 중심 평면(M)에 위치된 그리고 주 광축(A)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된 축을 중심으로 곡선 모양을 이룬다. 그 결과로 안장 형태가 만들어진다. 또한 제1 고리(6)의 이러한 단부 위치가 중공 실린더의 측벽으로부터의 고리 형상 절취부로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공 원주렌즈(cylinder)의 실린더 축은 중심 평면(M)에 위치된 그리고 주 광축(A)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된 원주렌즈 축이다.
원주 측에서, 제1 고리(6)는 고리 골들(8, 17)을 통해 옵틱부(2)에 커플링 결합된다. 특히, 제1 고리는 옵틱부(2)에 직접 연결된다. 제1 고리(6)의 고리 산들(9, 10)은 옵틱부(2)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주 광축(A)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고려할 때, 고리 산들(9, 10)은 이러한 반경방향 외부 측으로 자유로이 뻗어 나온다.
도 1의 예에서 더 명백히 보이듯이,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햅틱부(5)는 제2 고리(11)를 갖는다. 상기 제2 고리(11)도 마찬가지로, 주 광축(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형태이면서 주 광축(A)를 완전히 에워싸는 형태이다. 특히, 제2 고리(11)도 마찬가지로 정확히, 2개의 고리 골(12, 13)과 2개의 고리 산(14, 15)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2 고리(11)가 바람직하게는 제1 고리(6)에 대해 배치됨에 따라, 주 광축(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2개의 고리 골(8, 12)이 동일한 방위각의 위치에 배치되고 2개의 고리 골(17, 13) 또한 동일한 방위각의 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2개의 고리(6, 11)는, 고리 산들(9, 14)이 동일한 방위각의 위치에 그리고 고리 산들(10, 15)이 동일한 방위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옵틱부(2)에 대한 형상 및 배치와 관련하여 제1 고리(6)에 관한 위의 설명이 제2 고리(11)에도 적용된다.
도 2의 사시도에는 옵틱부(2)가 없는 인공수정체(1)의 햅틱부(5)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 2개의 고리(6, 7)를 갖는 햅틱부(5)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파선은 이 경우 각 고리(6, 7)의 기하학적 구조를 명시하는 보조선으로만 이해해야 한다. 고리(6, 7)는 또한 별도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예시 목적으로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는 주 광축(A) 방향으로 인공수정체(1)를 본 경우의 도면으로서, 제1 고리(6)의 고리 골들(8, 17)이 주 광축(A)을 기준으로 제1 반경(r1)에 배치된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상기 반경(r1)은 반경(r2)보다 작다. 이러한 제2 반경(r2)은 주 광축(A)으로부터 고리 산들(9, 10)의 반경방향 거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1 고리(6)의 고리 산들(9, 10)은 고리 골들(8, 17)보다 주 광축(A)에서 반경방향으로 더 멀리 이격되어 있다. 제2 고리(11)의 고리 산들(14, 15)과 고리 골들(12, 13)을 비교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제1 고리(6)는 제1 고리 골(8)로부터 제1 고리 산(9) 위로 제2 고리 골(17)까지 뻗어 있는 제1 고리 부분(6a)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고리 부분(6a)의 만곡 또는 만곡 방향은 주 광축(A)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부 측을 향한다. 따라서, 도 3에 따른 투상도에서, 제1 고리 부분(6a)은 U자형 아치를 나타낸다. 제1 고리 부분은 옵틱부(2)의 한 원주 지점에서 옵틱부(2)의 다른 원주 지점까지 연장되며, 이때 이들 원주 지점은 서로 180도 오프셋된 지점들이다. 해당 설명은 제1 고리(6)의 제2 고리 부분(6b)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2개의 고리 부분(6a, 6b)이 함께 제1 고리(6)를 구성한다. 제2 고리(11)의 제1 고리 부분(11a)과 제2 고리 부분(1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고리 골들(8, 17) 사이에 직선 형태로 이어져 있고 주 광축(A)을 통과하는 공간 폭(L)을 측정한 결과, 옵틱부(2) 직경의 90% 이상, 특히 100% 이상이다. 고리 골들(12, 13) 사이의 공간 폭도 마찬가지이다.
제1 고리 부분(6a)은 주 광축(A)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부 측을 향해 만곡되어 있다. 제2 고리 부분(6b)도 마찬가지이다. 해당 설명은 고리 부분들(11a, 11b)의 만곡 또는 만곡 방향에도 적용된다.
삽입되지 않은 기본 상태의 인공수정체(1)의 경우, 주 광축(A) 방향으로 측정하였을 때 고리 산들(9, 14)간에 거리(a1)가 존재한다. 상기 거리(a1)는 주 광축(A) 방향으로 측정하였을 때의 고리 골들(8, 12) 및/또는 고리 골들(17, 13) 사이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거리보다 크다. 특히, 고리 산(10, 15) 사이에도 동일한 거리(a1)가 형성된다. 주 광축(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보았을 때, 2개의 고리(6, 11) 사이의 거리는 최소값 혹은 고리 골들(8, 12 및 17, 13)에서의 거리 0과 고리 산들(9, 14) 및/또는 고리 산들(10, 15) 사이의 거리(a1)로 형성되는 각각의 최대값 범위 내에서 변동된다.
또한, 제1 고리(6)의 고리 산들(9, 10)은 주 광축(A) 방향으로 보았을 때 옵틱부(2)의 중심 평면(M)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고리 골들(8, 17)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이격 거리는 상기 거리(a1)의 절반이다. 특히, 해당 설명은 중심 평면(M)으로부터의 고리 산들(14, 15)의 이격 거리를 특히 고리 골들(12, 13)과 관련하여 비교할 때에도 적용된다.
특히, 2개의 고리(6, 11)는 중심 평면(M)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4는 제1 고리(6)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제1 고리(6)를 평면도로 예시하였으며 도 1과 비교하여 제1 고리가 펼쳐진 상태로, 따라서 평면 방식으로 도시하였다. 이렇게 펼쳐진 평면도로 보았을 때 제1 고리는 환형체 모양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제1 고리(6)의 대안적 실시예를 평면도로 예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최종 위치에서의 인공수정체(1)와 비교하여 제1 고리가 펼쳐진 상태로, 따라서 2차원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 펼쳐진 기본 형상은 평면도로 보면 타원형 고리일 수 있다. 도 4와 도 5에서 제1 고리(6)의 2차원적 펼쳐진 기본 형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고리(11)도 해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는 인공수정체(1)가 수정체낭(16)에 이식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경우, 수정체낭(16)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고리 산들(9, 10, 14, 15)이 서로를 향해 상당히 이동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산들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옵틱부(2)는 중심 두께(D)를 갖는다. 상기 중심 두께(D)는 주 광축(A)을 따라 측정되며 옵틱부(2)의 최대 두께를 나타낸다. 주 광축(A)을 따라 중심 평면(M)과 전면(3) 사이로서 측정된 두께는 상기 중심 두께(D)의 절반에 해당한다. 특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인공수정체(1)의 경우, 주 광축(A) 방향으로 보았을 때, 중심 평면(M)으로부터 고리 산(9, 10)까지의 이격 거리는 전술한 거리(D/2)보다 크다.
특히, 본 실시예는 상기 인공수정체(1)가 수정체낭(6)에 삽입된 상태일 때, 인공수정체(1)의 옵틱부(2)가 수정체낭 벽들로부터, 구체적으로는 후방 수정체낭 벽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안방수가 수정체낭(16)의 후방 수정체낭 벽과 후면(4) 사이에 이를 수 있게 된다.
도 6b는 수정체낭(16')에 삽입된 상태의 인공수정체(1)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수정체낭(16')은 전술된 수정체낭(16)과 크기 및/또는 형상 면에서 상이하다. 또한, 햅틱부(5)의 탄성 및 특정 형상으로 인해, 수정체낭 내에서의 위치적으로 확실히 고정되는 및/또는 회전적으로 안정적인 및/또는 기울어지지 않는 위치 결정이 용이하다. 도 6c는 이와 관련하여 역시 상이한 수정체낭(16")에 삽입된 상태의 인공수정체(1)의 또 다른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Claims (10)

  1. 하나의 옵틱부(2)와 상기 옵틱부(2)에 커플링 결합된 햅틱부(5)로 이루어진 그리고 상기 옵틱부(2)의 전면(3) 및 후면(4)을 통과하는 주 광축(A)을 갖되, 햅틱부(5)는 제1 고리(6) 형태이며 옵틱부(2)를 에워싸는 제1 지지 부분 및 제2 고리(11) 형태이며 옵틱부(2)를 에워싸고 상기 제1 지지 부분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지지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고리(6, 11) 중 적어도 한 고리는 주 광축(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요철 형태를 갖는 것인, 인공수정체(1)로서,
    2개의 고리(6, 11) 중 적어도 한 고리는 정확히 2개의 고리 골(valley)(8, 17, 12, 13)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peak)(9, 10, 14, 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체(1).
  2. 제1항에 있어서,
    정확히 2개의 고리 골(valley)(8, 17, 12, 13)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peak)(9, 10, 14, 15)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한 고리(6, 11)는 안장 형태의 에지 고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체(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고리(6, 11)는 원주 측을 따라 고리 골들(8, 17, 12, 13)을 통해 옵틱부(2)와 결합되며, 고리 산들(9, 10, 14, 15)은 옵틱부(2)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체(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광축(A) 방향으로 투영하여 본 경우 고리 골들(8, 17, 12, 13)이 주 광축(A)을 기준으로 제1 반경(r1)에 배치되고, 주 광축 방향으로 투영하여 본 경우 고리 산들(9, 10, 14, 15)이 상기 제1 반경(r1)보다 비교적 큰 제2 반경(r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체(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확히 2개의 고리 골(8, 17, 12, 13)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9, 10, 14, 15)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한 고리(6, 11)는 제1 고리 골(8, 12)로부터 제1 고리 산(9, 10, 14, 15) 위로 제2 고리 골(17, 13)까지 뻗어 있는 제1 고리 부분(6a, 6b, 11a, 11b)을 가지며, 고리 골들(8, 17, 12, 13) 사이로서 측정되는, 고리 부분(6a, 6b, 11a, 11b)의 공간 폭(clear width)(L)이 옵틱부(2) 직경의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체(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확히 2개의 고리 골(8, 17, 12, 13)과 정확히 2개의 고리 산(9, 10, 14, 15)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한 고리(6, 11)는 제1 고리 골(8, 12)로부터 제1 고리 산(9, 10, 14, 15) 위로 제2 고리 골(17, 13)까지 뻗어 있는 제1 고리 부분(6a, 6b, 11a, 11b)을 가지며, 제1 고리 부분(6a)은 주 광축(A)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부 측을 향해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체(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리 산들(9, 10, 14, 15)은 주 광축(A)을 따라 보았을 때 옵틱부(2)의 중심 평면(M)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고리 골들(8, 17, 12, 1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체(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고리(6)는 제2 고리(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고리들(6, 11)은 옵틱부(2)의 중심 평면(M)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체(1).
  9. 제8항에 있어서,
    고리들(6, 11)은 각자의 고리 골들(8, 7, 12, 13)을 통해 옵틱부(2)의 한 원주방향 벽에서 옵틱부(2)에 직접 연결되는, 특히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체(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눈의 수정체낭(16, 16', 16") 내부에 삽입시키기 위한 후방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정체(1).
KR1020227010210A 2019-08-30 2020-08-07 특정 3차원 입체곡선 형태의 햅틱부를 갖는 인공수정체 KR102626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23295.3 2019-08-30
DE102019123295.3A DE102019123295B4 (de) 2019-08-30 2019-08-30 Intraokularlinse mit spezifischer, dreidimensional gekrümmter Haptik
PCT/EP2020/072215 WO2021037523A1 (de) 2019-08-30 2020-08-07 Intraokularlinse mit spezifischer, dreidimensional gekrümmter hapti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639A true KR20220054639A (ko) 2022-05-03
KR102626044B1 KR102626044B1 (ko) 2024-01-17

Family

ID=7199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210A KR102626044B1 (ko) 2019-08-30 2020-08-07 특정 3차원 입체곡선 형태의 햅틱부를 갖는 인공수정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183820A1 (ko)
EP (1) EP4021346B1 (ko)
JP (1) JP7302096B2 (ko)
KR (1) KR102626044B1 (ko)
CN (1) CN114302696A (ko)
AU (1) AU2020339623B2 (ko)
DE (1) DE102019123295B4 (ko)
ES (1) ES2967046T3 (ko)
WO (1) WO2021037523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361A (en) * 1984-06-25 1989-02-14 Anis Aziz Y Flexible one-piece posterior chamber lens
DE10016929A1 (de) * 2000-04-05 2001-10-31 Acrimed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Intraokularlinse
US20050113914A1 (en) * 2001-06-22 2005-05-26 David Mille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70100444A1 (en) * 2005-10-28 2007-05-03 Brady Daniel G Haptic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KR20110030696A (ko) * 2008-07-15 2011-03-23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토릭 옵틱 및 확장된 초점 심도를 갖는 조절성 iol
US20150142108A1 (en) * 2013-05-13 2015-05-21 Frontier Vision Co., Ltd.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KR20160045129A (ko) * 2013-08-20 2016-04-26 오큘런티스 홀딩 비.브이. 안구내 렌즈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9859A5 (en) * 1975-06-06 1979-03-30 Inprohold Ets Lens as a substitute for the natural lens surgically removed from the eye of a living being
US6027531A (en) * 1997-10-14 2000-02-22 Tassignon; Marie-Joseb. R. Intraocular lens and method for preventing secondary opacification
DE10310961B4 (de) 2003-03-13 2006-12-28 Aixmed Gmbh Hinterkammerlinse
US20130053955A1 (en) * 2004-09-17 2013-02-28 Gene Currie Intraocular lens (iol)
DE102007057122A1 (de) * 2006-12-22 2008-06-26 Dr. Schmidt Intraocularlinsen Gmbh Intraokularlinse
US8608799B2 (en) * 2007-01-24 2013-12-17 Tekia, Inc. Umbrella-shaped accommodating artificial ocular lens (AAOL) device
US8043372B2 (en) * 2008-10-14 2011-10-25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and capsular ring
US9968442B2 (en) 2013-12-13 2018-05-15 Mirai Eye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361A (en) * 1984-06-25 1989-02-14 Anis Aziz Y Flexible one-piece posterior chamber lens
DE10016929A1 (de) * 2000-04-05 2001-10-31 Acrimed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Intraokularlinse
US20050113914A1 (en) * 2001-06-22 2005-05-26 David Mille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70100444A1 (en) * 2005-10-28 2007-05-03 Brady Daniel G Haptic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KR20110030696A (ko) * 2008-07-15 2011-03-23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토릭 옵틱 및 확장된 초점 심도를 갖는 조절성 iol
US20150142108A1 (en) * 2013-05-13 2015-05-21 Frontier Vision Co., Ltd.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KR20160045129A (ko) * 2013-08-20 2016-04-26 오큘런티스 홀딩 비.브이. 안구내 렌즈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3820A1 (en) 2022-06-16
EP4021346B1 (de) 2023-10-04
KR102626044B1 (ko) 2024-01-17
CN114302696A (zh) 2022-04-08
AU2020339623A1 (en) 2022-03-17
DE102019123295A1 (de) 2021-03-04
ES2967046T3 (es) 2024-04-25
JP7302096B2 (ja) 2023-07-03
JP2022545509A (ja) 2022-10-27
DE102019123295B4 (de) 2021-04-15
WO2021037523A1 (de) 2021-03-04
EP4021346A1 (de) 2022-07-06
AU2020339623B2 (en)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58025A1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US6152958A (en) Foldable thin intraocular membrane
RU2599591C2 (ru) Интраокулярная линза
JP2002507451A (ja) 柔軟なモノブロックの眼内レンズ
BRPI0805400A2 (pt) lentes intraoculares multifocais refratora zonal
EP3043743B1 (en) Intraocular lens having partly overlapping additional optical active sectors on opposite sides
WO2008079671A1 (en) Multi-element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EP3463187B1 (en) Hybri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ssemblages
KR20090041390A (ko) 원근 조절용 다구면 안내 렌즈
JP7440417B2 (ja) 眼内レンズ、及び周縁部の安定化方法
US10849737B2 (en) Intraocular lens having hinged haptic structures
KR20220054639A (ko) 특정 3차원 입체곡선 형태의 햅틱부를 갖는 인공수정체
EP3446659B1 (en) Intraocular lens and haptic for intraocular lens
JP7276754B2 (ja) 眼内レンズ
US20210121286A1 (en) Intraocular lenses having closed-loop ring haptic structures
US10792148B2 (en) Intraocular lens with single lens telescope integrated in the optical part thereof
RU2020108181A (ru) Интраокулярная линза
EP3873383B1 (en) Hybri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ssemblages including discrete lens unit with segmented lens haptics
US11103343B2 (en) Intraocular lenses having open-loop haptic structures
RU2777928C2 (ru) Интраокулярные линзы и стабилизация периферической части
CN114945343A (zh) 眼内屈光有晶状体镜片和方法
CN114340560A (zh) 包括作为袢件的可调节长度的臂的人工晶状体
BR112018072422B1 (pt) Conjunto de lente intraocular de acomodação híbrido para implantação em um olho humano póscapsulorex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