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343A - 모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343A
KR20220053343A KR1020200137693A KR20200137693A KR20220053343A KR 20220053343 A KR20220053343 A KR 20220053343A KR 1020200137693 A KR1020200137693 A KR 1020200137693A KR 20200137693 A KR20200137693 A KR 20200137693A KR 20220053343 A KR20220053343 A KR 20220053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nnection
stator
conductor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항
이정구
김용대
홍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3343A/ko
Priority to TW110124993A priority patent/TWI793664B/zh
Priority to US17/390,329 priority patent/US11855518B2/en
Priority to EP21190775.3A priority patent/EP3989412A1/en
Priority to AU2021254606A priority patent/AU2021254606B2/en
Publication of KR2022005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2Connections between slip-rings an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7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with openings in the casing specially adapted for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02K7/145Hand-held machine to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일 측에 구비되고, 복수의 코일부를 가지는 스테이터; 상기 임펠러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래킷; 및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각 일 단부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션링;을 포함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코일의 복수의 코일부의 연결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조립체{ELECTRIC MOTORY ASSEMBLY}
본 발명은,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모터(전동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터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절연을 위한 인슐레이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모터 조립체 중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소위 핸드헬드 장치, 예를 들면, 헤어드라이어 또는 청소기에 적용되는 모터는 크기 및 무게를 줄이는게 요구된다.
상기 핸드헬드장치의 모터는 임펠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드헬드장치의 모터 조립체는 사용 편의를 고려하여 크기 및 무게를 줄여 제작되므로 동일한 풍량 및/또는 풍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터 조립체의 고속 운전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핸드헬드장치의 모터 조립체는 고속 운전 시 진동 증가 및 진동증가에 기인한 소음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모터 조립체의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경우, 중성선연결부 및 전원선연결부의 상기 스테이터코어의 티스 사이의 간격이 작아져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권선이 곤란하게 되므로, 상기 모터 조립체의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일부에서는 상기 스테이터코어를 요크부 및 티스부로 분할하여 제작되는 분할코어로 구성하고, 상기 티스부에 상기 스테이터코일을 권선한 후 상기 티스부를 상기 요크부에 결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할코어를 구비한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코일부를 구비한 스테이터코일의 전원선 및 중성선이 임펠러의 회전 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통로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어, 공기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분할코어를 구비한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전원선 및 중성선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의 유로 중에 배치되기 때문에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일부 분할코어를 구비한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일 단부(전원선)는 티스를 절연하는 티스인슐레이터에 전원선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타 단부(중성선)는 요크를 절연하는 요크인슐레이터에 형성되는 중성선연결부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요크에 상기 복수의 티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각 중선선을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중성선연결부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상기 중성선의 연결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분할코어를 구비한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중성선연결부는 상기 전원선연결부 사이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원선연결부 및 중성선연결부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상기 전원선연결부 및 중성선연결부의 내측 공간의 방열이 곤란하게 되어 상기 전원선연결부 및 중성선연결부의 내측 공간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분할코어를 구비한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중성선의 결선을 위해 중성선연결부의 내부에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각 코일부의 일 단부(중성선)를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중성선연결부의 내부에 중성선연결도체를 삽입하여 상기 각 코일의 일 단부가 상기 중성선연결도체의 슬릿의 내부로 삽입(압입)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중성선의 연결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반경방향을 따라 관통된 슬롯을 형성하고, 스테이터조립체를 상기 프레임의 슬롯에 반경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스테이터(스테이터코어)의 내측 단부와 로터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의 편차가 증가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기인하여,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불평형이 발생될 수 있어 진동 및 소음이 증가될 수 있고, 모터 조립체의 출력이 저하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축방향을 따라 양 축에 서로 이격되게 베어링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 임펠러, 베어링 및 상기 로터의 결합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성선의 결선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펠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이터코일의 방열이 증대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성선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고, 부품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 및 베어링수용부의 동심도가 제고될 수 있어 베어링의 강제마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조립체는, 스테이터코일의 복수의 코일부의 중성선이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는 커넥션링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코일의 복수의 코일부의 중성선의 연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복수의 코일부의 각 일 단부(중성선)를 연결하는 상기 커넥션링은 임펠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되지 아니하는 비통과영역에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커넥션링에 기인한 공기 유동 저항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방향을 따라 임펠러 및 스테이터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는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통과영역 및 통과되지 아니하는 비통과영역을 구비하게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비통과영역에 상기 스테이터의 복수의 코일부의 일 단부를 동시에 연결하는 커넥션링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커넥션링에 의해 공기의 유동 저항이 증가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와 상기 커넥션링의 접촉 시, 상기 커넥션링의 진동에 기인한 소음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 및 스테이터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 후 상기 하우징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조립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일 측에 구비되고, 복수의 코일부를 가지는 스테이터; 상기 임펠러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래킷; 및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각 일 단부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션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복수의 코일부의 중성선의 연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을 구비하되, 상기 스테이터코어는, 링 형상의 요크 및 상기 요크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코일은 상기 복수의 티스의 둘레에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가 상기 요크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복수의 코일부가 상기 복수의 티스에 각각 권선되므로,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권선을 위해 상기 복수의 티스간 간격을 확보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의 요크의 외경의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어 초소형화가 가능한 모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통과영역 및 상기 공기가 통과되지 아니하는 비통과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션링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의 비통과영역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커넥션링에 기인한 공기 유동 저항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션링은, 원 형상을 이루는 원형도체 및 일 측은 상기 복수의 코일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원형도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각 단부(중성선)가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도체는 상기 선형도체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일 영역이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원형도체의 외면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어링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 및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스포크부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의 단부에는 링 형상의 림부가 구비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림부의 일 측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하우징결합부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경이 축소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삽입부)과 상기 브래킷(하우징결합부)이 상호 동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베어링이 상호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 상기 베어링의 편심에 기인한 강제 마모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베어링의 내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베어링수용부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의 일 측에는 공기가 통과하지 아니하는 비통과영역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과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원형도체는 상기 베어링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원형도체 및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와 접촉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에는 축방향을 따라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게 관통된 고정부재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고정부재삽입부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커넥션링의 원형도체는 상기 브래킷의 베어링수용부에 밀착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에 각각 밀착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션링에 의해 상기 브래킷이 지지되어 상기 브래킷의 변형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도체는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원형도체의 내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어링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부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도체는 상기 림부에 배치되고, 상기 선형도체는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커넥션링의 원형도체 및 복수의 선형도체에 의해 상기 브래킷의 강성(지지강도)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브래킷에 구비된 베어링의 변위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의 변위 발생에 기인한 상기 베어링의 강제 마모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에는 축방향을 따라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게 관통된 고정부재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도체 및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고정부재결합부와 연통될 수 있게 고정부재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도체는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내측원형도체 및 외측원형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내측원형도체 및 외측원형도체를 연결하게 반경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어링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부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원형도체는 상기 베어링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원형도체는 상기 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커넥션링의 내측원형도체, 외측원형도체 및 복수의 선형도체에 의해 상기 브래킷의 지지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브래킷은 동일한 강성(지지강도)을 유지할 경우, 상기 커넥션링에 의해 지지강도가 증대되는 만큼 상기 브래킷의 베어링수용부, 스포크부 및 림부의 재료투입량을 저감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의 림부와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의 경계영역에는 축방향을 따라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게 고정부재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원형도체와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고정부재결합부와 연통되게 고정부재삽입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커넥션링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에는 축방향을 따라 돌출된 연결핀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과 상기 커넥션링의 연결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은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핀은 일 단부가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은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를 구비한 스테이터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일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이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중성선연결부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복수의 코일부 및 상기 커넥션링의 연결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중성선연결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중성선연결부의 내측공간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성선연결부에는 상기 연결핀과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일 측이 개구된 원호 형상의 연결핀수용부를 구비한 중성선연결도체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복수의 코일부의 각 일 단부(중성선)가 상기 커넥션링의 연결핀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성선연결도체 및 상기 연결핀이 상호 탄성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중성선연결도체 및 상기 연결핀의 접촉 불량 발생이 억제될 수있고, 상기 중성선연결도체 및 상기 연결핀의 밀착 접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다른 일 단부(전원선)가 연결될 수 있게 복수의 전원선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전원선연결부는 상기 중성선연결부의 일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원선연결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원선연결부 및 중성선연결부의 내측공간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원선연결부에는 피씨비(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씨비연결단자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피씨비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의 일 측에 구비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피씨비 사이에 상기 브래킷이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스테이터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상기 브래킷이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을 통과한 상기 피씨비연결단자에 상기 피씨비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의 일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코일부와 연결되는 절곡연결핀이 각각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에 상기 절곡연결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상기 커넥션링의 제작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절곡연결핀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중성선이 각각 삽입될 수 있게 중성선삽입슬롯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를 구비한 스테이터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일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절곡연결핀이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중성선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부에는 상기 절곡연결핀 및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일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절곡연결핀 및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일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성선연결도체가 구비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도체는, 상기 절곡연결핀이 삽입될 수 있게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양 측벽부를 구비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양 측벽부 중 어느 하나의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연결핀이 상기 바디의 양 측벽부 중 다른 하나의 측벽부에 접촉되게 상기 절곡연결핀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절곡연결핀의 삽입방향을 따라 상기 양 측벽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절곡연결핀의 삽입 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절곡연결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지고, 상기 절곡연결핀의 삽입 완료 시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절곡연결핀을 가압하여 상기 절곡연결편이 상기 중성선연결도체의 측벽부에 밀착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연결핀에는 상기 가압부와 접촉되어 상기 절곡연결핀의 분리방향에 대해 구속이 발생되게 걸림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절곡연결핀의 삽입 완료 후 상기 절곡연결핀이 상기 바디로부터 불시에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절곡연결핀의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절곡연결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절곡연결핀의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커넥션링이 삽입될 수 있게 축방향을 따라 함몰된 커넥션링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커넥션링은 상기 브래킷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커넥션링이 상기 스테이터의 중성선연결부에 자연스럽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중성선 결선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 조립체의 전체 조립 공수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커넥션링이 내부에 삽입되게 인서트 사출 성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커넥션링과 상기 브래킷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고, 상기 브래킷의 강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브래킷이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의 중성선연결부에 상기 커넥션링이 자연스럽게 연결(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 조립체의 전체 조립 공수가 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터의 복수의 코일부의 각 일 단부(중성선)를 전기전도체로 형성되는 커넥션링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스테이터코일의 중성선의 연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코일의 복수의 코일부의 각 일 단부(중성선)를 동시에 연결하는 커넥션링이 임펠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하지 아니하는 브래킷의 비통과영역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커넥션링의 설치에 기인한 공기 유동 저항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넥션링과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접촉이 억제되어 커넥션링의 진동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상기 커넥션링의 진동에 기인한 소음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커넥션링은 원형도체 및 복수의 선형도체를 구비함으로써, 임펠러의 회전 시 공기가 통과하지 아니하는 브래킷의 비통과영역의 하류측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션링의 원형도체는 브래킷의 베어링부에 구비되고 커넥션링의 복수의 선형도체는 브래킷의 스포크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금속부재로 형성되는 커넥션링에 의해 상기 브래킷의 강성(지지강도)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브래킷에 구비된 베어링의 변위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상기베어링의 변위 발생에 기인한 상기 베어링의 강제 마모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션링의 원형도체는 복수의 선형도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원형도체의 내면에 각각 연결되게 구성됨으로써, 임펠러의 회전시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하지 아니하는 브래킷의 비통과영역의 하류측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션링은,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내측원형도체, 외측원형도체 및 상기 내측원형도체와 상기 외측원형도체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를 구비함으로써, 공기와 접촉이 억제되어 공기의 유동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브래킷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커넥션링이 축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함몰된 커넥션링수용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브래킷 및 커넥션링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고, 상기 커넥션링과 상기 브래킷의 결합에 의해 상기 브래킷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션링은 상기 브래킷의 내부에 삽입되어 인서트 사출 성형됨으로써, 상기 브래킷의 결합 시 상기 커넥션링이 상기 스테이터에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 조립체의 전체 조립 공수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우징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브래킷이 상호 동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에는 하우징결합부 및 베어링수용부가 동심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래킷 및 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베어링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모터 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테이터 및 커넥션링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스테이터의 중성선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스테이터의 요크 및 티스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티스의 피씨비연결단자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커넥션링의 연결핀의 결합 영역의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8의 연결핀영역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연결핀영역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브래킷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스테이터 및 커넥션링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도 17의 커넥션링 및 중성선연결도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8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
도 22는 도 20의 커넥션링 및 스테이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브래킷의 요부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요부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
도 29는 도 27의 커넥션링 및 스테이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터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100a)는, 하우징(110),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로터(420), 브래킷(500) 및 커넥션링(60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 측(도면상 하부)에는 상기 스테이터(210)가 수용되는 스테이터수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수용부(112)에는 내부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관통된 복수의흡입공(119)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다른 일 측(도면상 상부)에는 상기 임펠러(130)가 수용되는 임펠러수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상기 임펠러수용부(114)의 일 측에는 후술할 가이드베인(150)이 수용될 수 있게 가이드베인수용부(116)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가이드베인(150)이 상호 동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일 단부(도면상 하단부)에는 상기 브래킷(5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25)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10)의 외경에 비해 축소된 외경을 구비하게 절취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0)는, 허브(131) 및 상기 허브(131)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33)를 구비한다. 상기 허브(131)에는 후술할 회전축(430)이 결합될 수 있게 회전축공(132)이 구비된다. 상기 허브(131)의 회전축공(132)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430)이 삽입될 수 있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130)는, 예를 들면,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토출하는 사류형 임펠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터(210)는 상기 임펠러(130)의 상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의 공기가 상기 스테이터(210)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210)의 냉각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임펠러(130)는 상기 스테이터(210)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130)의 일 측에는 상기 임펠러(130)를 회전 구동시키는 임펠러구동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구동부(200)는, 예를 들면, 스테이터(210) 및 상기 스테이터(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4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210)는, 예를 들면, 스테이터코어(220),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사이에 구비되는 인슐레이터(300)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예를 들면,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티스(250)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예를 들면, 3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은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둘레에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29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요크(230) 및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예를 들면, 서로 분할되어 제작된 후 서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둘레에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이 권선된 후 상기 복수의 티스(250)가 상기 요크(230)에 결합이 가능하므로,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권선을 위해 상기 복수의 티스(250)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요크(230) 및 복수의 티스(250)의 크기를 더욱 현저하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초소형화된 모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은 3상 교류 전원이 인가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는 3개로 구현된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는 3상 교류 전원의 각 상(U상, V상, W상)에 각각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일 단부는 상기 3상 교류 전원의 각 상(U상, V상, W상)에 연결되고, 각 타 단부는 상기 커넥션링(600)에 동시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일 단부 중 전원에 연결되는 일 단부는 전원선(293)으로 지칭되고, 상기 커넥션링(600)에 연결되는 타 단부는 중성선(294)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부에는 로터(420)가 구비된다.
상기 로터(420)는 미리 설정된 공극(air gap)을 두고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로터(420)는, 예를 들면, 회전축(430), 상기 회전축(43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영구자석(44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440)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자극(N극, S극)이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30)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440)의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되게 구현될 수 있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44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엔드링(44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440)의 일 측에 상기 엔드링(442)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엔드링(442)은 상기 영구자석(44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430)의 일 단부(도면상 상부)에는 상기 임펠러(130)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430)의 타 단부(도면상 하부)에는 상기 영구자석(440)이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430)은 복수의 베어링(450)에 의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어링(450)은, 예를 들면, 2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어링(450)은, 예를 들면, 볼 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주비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베어링(450)은, 외륜(451), 상기 외륜(451)의 내측에 동심적으로 결합되는 내륜(452) 및 상기 외륜(451)과 상기 내륜(452)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볼(453)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어링(450)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44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어링(450)의 외측에는 베어링홀더(455)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홀더(455)의 외면에는 실링부재(45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457)는, 예를 들면, 오링(O r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임펠러(130)의 하류측(도면상 상측)에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베인(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150)은,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제1가이드베인(151) 및 제2가이드베인(15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베인(151)에는 상기 복수의 베어링(450) 중 하나의 베어링(450)이 수용될 수 있게 베어링수용부(155)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베인(151)의 외경면과 상기 베어링수용부(155)는 상호 동심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베인(151)이 상기 하우징(110)의 가이드베인수용부(116)의 내부에 결합될 때, 상기 베어링수용부(155)의 내부에 수용된 베어링(450)은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10)의 상류측(도면상 하측)에는 브래킷(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의 중앙에는 상기 복수의 베어링(450) 중 다른 하나의 베어링(450)이 구비된다.
상기 브래킷(500)은,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450)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510)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포크부(5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는,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 사이에는 후술할 관통부(530)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는, 예를 들면, 3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은,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각 단부(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540)를 구비한다.
상기 림부(540)는 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림부(54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와 동심적으로 배치도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500)이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단부에 상기 림부(540)가 구비되어 상기 림부(540)가 상기 하우징(110)의 단부에 결합되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림부(540)가 구비되지 아니하고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가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직접 결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브래킷(50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씨비(PCB: Printed Circuit Board)(490)가 구비된다.
상기 피씨비(490)는, 예를 들면, 기판(491) 및 상기 기판(491)에 구비되는 복수의 회로부품(495)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판(491)은, 예를 들면, 원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판(491)에는 고정부재(122)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부재삽입부(492)가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삽입부(492)는 상기 하우징(110), 상기 브래킷(500)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재결합부와 각각 연통되게 축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다.
상기 기판(491)에는 후술할 피씨비연결단자(385)가 결합되는 복수의 피씨비연결단자삽입부(493)가 구비된다.
상기 피씨비(49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500)과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브래킷(500)과 상기 피씨비(490) 사이에는 공기의 이동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공기는 상기 기판과 상기 브래킷(500) 사이로 흡입되어 상기 브래킷(500)의 스포크부(52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스테이터(210)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500)에는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공기가 통과되는 통과영역(A1) 및 공기가 통과되지 아니하는 비통과영역(A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490)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에 3상 교류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전기회로(예를 들면, 인버터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1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일 단부(중성선(294))를 연결하는 커넥션링(600)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500)과 상기 스테이터(210) 사이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복수의 코일부(291)의 일 단부(중성선(294))를 서로 전기적으로 동시에 연결하는 커넥션링(600)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션링(600)은 전기 전도체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션링(600)은, 예를 들면, 동(Cu) 또는 동합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은, 예를 들면, 원 형상을 이루는 원형도체(610) 및 일 측은 상기 원형도체(61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복수의 코일부(291)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를 구비한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션링(600)은 상기 브래킷(500)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은 상기 브래킷(500)의 하류측 중에서 공기가 통과되지 아니하는 비통과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와 상기 커넥션링(600)의 접촉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커넥션링(600)에 기인한 공기 유동 저항이 증가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션링(600)과 상기 공기와의 접촉이 억제되므로 상기 커넥션링(600)의 진동에 기인한 소음이 증가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스테이터 및 커넥션링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스테이터의 중성선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스테이터의 요크 및 티스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티스의 피씨비연결단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에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250)를 구비한다.
상기 요크(230)는 링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티스(250)가 축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티스결합부(235)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티스결합부(235)는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게 각각 형성된다.
상기 요크(230)는, 예를 들면, 링 형상의 복수의 전기강판(232)을 절연 적층하여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반경방향을 따라 일 측(도면상 외측)에 상기 요크(230)의 티스결합부(235)에 축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삽입단부(255)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반경방향을 따라 타 측(도면상 내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양 측으로 확장된 슈(258)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전기강판(252)을 절연 적층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300)는, 예를 들면, 상기 요크(230)를 절연하는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상기 복수의 티스(250)를 각각 절연하는 복수의 티스인슐레이터(3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는,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는, 예를 들면, 상기 요크(230)의 일 단부(도면상 하단부)를 절연하는 단부절연부(312) 및 상기 요크(230)의 내면을 절연하는 요크내면절연부(31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는, 예를 들면, 상기 요크(230)의 타 단부(도면상 상단부)를 절연하는 단부절연부(34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일 측(하측)에서 삽입되어 타 측(상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는 상기 요크(230)의 타 측(도면상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요크내면절연부(314)가 내측으로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0)는, 상기 티스(250)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티스(250)의 양 측에서 결합되는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370)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70)는 상기 티스(250)의 4면(상면부, 저면부 및 양 측면부)를 차단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0)는 상기 요크(230)에 삽입되는 삽입단부(255) 및 상기 슈(258)의 일부가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0)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일 단부(전원선(293))가 연결되는 전원선연결부(380)가 구비된다.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0)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타 단부(중성선(294))가 연결되는 중성선연결부(39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80) 및 중성선연결부(390)는, 예를 들면,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80) 및 중성선연결부(390)는 각각 축방향을 따라 일 측(도 1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80) 및 중성선연결부(390)는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일 측(도 1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80)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코일부(291)의 전원선(293)이 결합될 수 있게 절개된 절개부(382)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80)의 절개부(382)는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상기 전원선(293)이 축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80)에는 일 측은 상기 전원선(293)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피씨비(490)에 연결되는 피씨비연결단자(385)가 수용 결합된다.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85)는 전기 전도체인 금속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85)는, 예를 들면, 상기 전원선연결부(38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385a) 및 상기 바디(385a)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피씨비(490)에 연결되는 연결편(385c)을 구비한다. 상기 바디(385a)에는 상기 전원선(293)이 삽입될 수 있게 절개된 슬릿(385b)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선(293)은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85)의 슬릿의 내부에 압입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선(293)은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85)의 슬릿(385b)의 내부에 압입 시 상기 전원선(293)의 도체와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85)가 직접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에는 축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392)가 구비된다.
상기 절개부(392)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중성선(294)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션링(600)과 연결되는 중성선연결도체(395)가 수용 결합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는, 예를 들면, 전기 전도체인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는, 예를 들면, 후술할 상기 커넥션링(600)의 연결핀(630)이 삽입될 수 있게 연결핀수용부(395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는, 예를 들면, 판 상의 바디(395a) 및 상기 바디(395a)의 양 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핀수용부(395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핀수용부(395b)는, 예를 들면, 2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연결핀수용부(395b)는 일 측이 개구된 원형 고리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는, 예를 들면, 상기 바디(395a)의 양 단부를 원호 단면 형상을 구비하도록 각각 말아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의 단부와 상기 바디(395a)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간격(W)으로 이격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의 내경은 상기 연결핀(630)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의 단부는 상기 연결핀(630)의 삽입 시 외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의 단부는 상기 연결핀(630)이 삽입됨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고, 상기 연결핀(630)의 삽입 완료 시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핀(630)의 외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는 탄성변형 시 축적된 탄성력이 상기 연결핀(630)의 외면에 밀착되게 하는 접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연결핀(630) 및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는 접촉(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디(395a)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중성선(294)이 삽입될 수 있게 절개된 슬릿(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상기 중성선(294)이 압입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성선(294) 및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는 상기 바디(395a)의 슬릿의 내부 압입 결합 시, 상기 중성선(294)의 도체와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의 도체가 직접 접촉될 수 있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00)은, 베어링(450)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510),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포크부(520)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5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베어링(450)이 수용될 수 축방향을 따라 함몰된 베어링수용공간(512)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링수용공간(512)은,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홀더(455)가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공간(512)은,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양 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에는 상기 베어링수용공간(512)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5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베어링수용공간(512)의 내부에 상기 베어링(450)이 수용 결합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513)에 의해 상기 베어링(450)의 방열이 촉진될 수있다.
상기 관통공(513)은,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공간(512)의 입구(내경)에 비해 축소된 내경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413)의 내경은,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450)의 외륜(451)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는, 예를 들면, 3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210)의 복수의 티스(250) 사이에 각각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는, 예를 들면, 동일한 두께(축방향)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림부(54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림부(540)에는 축방향을 따라 일 측(도면상 상측)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 및 스포크부(520)로부터 돌출된 하우징결합부(5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림부(540)(하우징결합부(545))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 영역(상기 삽입부(125))이 미리 설정된 깊이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브래킷(500)이 서로 동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테이터(210) 및 로터(420), 상기 브래킷(500) 및 베어링(450)의 동심도가 제고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사이에는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부(53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부(530)는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통과영역(A1)을 형성한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어링수용부(510),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 및 상기 림부(540) 각각의 하류측에는 공기가 통과되지 아니하는 비통과영역(A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상기 피씨비(49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보스부(5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에는 상기 피씨비(490)를 통과한 고정부재(122)가 수용 결합될 수 있게 고정부재결합부(555)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결합부(555)는,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보스부(550)를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은, 원형도체(610) 및 상기 원형도체(6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를 구비한다.
상기 원형도체(610)는, 예를 들면, 상기 브래킷(500)의 베어링수용부(51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도체(61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베어링수용공간(51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는 상기 원형도체(610)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는, 예를 들면, 축방향으로 돌출된 연결핀(63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핀(630)은, 예를 들면,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핀(630)은, 예를 들면, 전기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630)은, 예를 들면, 원통 형상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630)은,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의 일 판면(도면상 상부면)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630)은 상기 브래킷(500)과 결합 시 상기 연결핀(630)이 상기 스테이터(210)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630)은,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630)과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의 경계영역에는 용접부(6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는, 예를 들면, 상기 림부(540)를 향해 연장되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선형도체(620)는 두께에 비해 큰 폭을 구비하게 각각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는, 예를 들면, 상기 브래킷(500)의 고정부재결합부에 대응되게 고정부재삽입부(640)를 각각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삽입부(640)는 상기 고정부재결합부(555)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22)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삽입부(640)는, 예를 들면, 원형 고리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에는 축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부(52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각 함몰부(525)는, 예를 들면, 상기 커넥션링(600)의 연결핀(63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의 각 연결핀(630) 및 상기 브래킷(500)의 함몰부(525)는, 예를 들면, 상기 커넥션링(600) 및 상기 브래킷(500)의 결합 시 상기 각 연결핀(630)이 해당 함몰부(525)에 대응되게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커넥션링의 연결핀의 결합 영역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연결핀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션링(600)의 연결핀(630)은 상기 스테이터(210)의 중성선연결부(390)에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핀(630)은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의 내부에 구비된 중성선연결도체(395)의 일 측의 연결핀수용부(395b)에 각각 삽입 결합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 및 연결핀(6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커넥션링(600)의 연결핀(630)과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의 연결핀수용부(395b)가 상호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는 외측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연결핀(630)의 삽입 후,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는 축적된 탄성력으로 상기 연결핀(630)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요크(230) 및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결합 전에,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둘레에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370)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0)의 둘레에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가 각각 권선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전원선(293)은 상기 전원선연결부(380)에 삽입되고,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85)가 상기 전원선연결부(380)에 삽입결합됨으로서,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전원선(293)은 해당 피씨비연결단자(38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중성선(294)은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의 내부에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가 각각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은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에는 상기 커넥션링(600)의 연결핀(630)이 각각 삽입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의 각 연결핀수용부(395b)는 해당 연결핀(630)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밀착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핀(630)과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가 미리 설정된 크기의 접압력을 가지게 되어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권선 및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의 티스(250)를 상기 요크(230)와 축방향을 따라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요크(230)와 상기 티스(25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 측(스테이터수용부(112))에 상기 스테이터(210)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부에는 상기 로터(420)가 수용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터(420)의 회전축(430)의 하단부에 상기 베어링(450)이 결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에 상기 스테이터(210)의 피씨비연결단자(385)가 상기 브래킷(500)의 관통부(530)에 대응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고정부재결합부(120)와 상기 브래킷(500)의 고정부재결합부(555)가 상호 연통되게 상기 브래킷(500)을 배치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입구에 상기 베어링(450)을 대응 배치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브래킷(500)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브래킷(500)의 하우징결합부(545)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110)의 삽입부(125)가 삽입 결합된다(도 1 참조).
다음, 상기 브래킷(500)의 하측에 상기 피씨비(490)를 배치하고,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85)를 상기 피씨비연결단자삽입부(493)에 각각 삽입되게 상기 피씨비(490)를 가압한다.
상기 피씨비(490)의 고정부재삽입부(492)에 고정부재(122)를 각각 삽입한다. 상기 각 고정부재(122)는 상기 브래킷(500)의 고정부재결합부(555), 상기 커넥션링(600)의 고정부재삽입부(640)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해당 고정부재결합부(120)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피씨비(490), 상기 브래킷(500), 상기 커넥션링(600)이 모두 상기 고정부재(122)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타 측(도면상 상측)에 상기 임펠러(130)를 삽입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430)의 상단부에 상기 베어링(450)이 결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가이드베인(151)의 베어링수용부(155)에 상기 베어링(450)이 삽입 결합되게 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기 제2가이드베인(152)이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운전이 개시되고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에 의해 형성된 자계와 상기 로터(420)의 자계가 상호 작용함으로써, 상기 로터(420)는 상기 회전축(430)과 함께 회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축(430)에 결합된 상기 임펠러(130)가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210) 및 로터(4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흡입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에 의해 직접 냉각되므로, 상기 스테이터(210) 및 로터(420)의 냉각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21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에 의해 지속적으로 냉각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되어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전기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모터 조립체(100a)의 출력이 제고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로터(420), 브래킷(500a) 및 커넥션링(60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임펠러(130)가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타 측에는 상기 스테이터(210)가 수용된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10)는 상기 임펠러(130)의 상류측에 구비된다.
상기 로터(420)는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1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상기 브래킷(500a)이 구비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500a)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상기 피씨비(49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임펠러(130)의 하류측에는 가이드베인(150)이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210)는, 스테이터코어(220),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예를 들면, 링 형상의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2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은,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의 복수의 티스(250)에 각각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291)를 구비한다.
상기 인슐레이터(300)는, 상기 요크(230)를 절연하는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상기 티스(250)를 절연하는 티스인슐레이터(350)를 포함한다.
상기 인슐레이터(300)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전원선(293)이 연결되는 복수의 전원선연결부(380) 및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이 연결되는 복수의 중성선연결부(390)를 구비한다.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성선연결도체(395)가 삽입 된다.
상기 커넥션링(600)은, 원형도체(610) 및 일 측은 상기 원형도체(61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연결핀(630)이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브래킷(500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450)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510) 및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포크부(520)를 구비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베어링수용공간(5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공간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공(513)이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500a)은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540)를 구비한다.
상기 림부(54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브래킷(500a)은 상기 커넥션링(600)이 수용 결합되는 커넥션링수용부(56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션링수용부(5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00a)의 일 면(도면상 상측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구성된다.
상기 커넥션링수용부(560)는 상기 커넥션링(60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깊이)를 구비하거나 상기 커넥션링(600)의 두께보다 큰 두께(깊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브래킷(500a)에 상기 커넥션링(600)이 수용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500a)이 상기 하우징(110)의 단부에 결합되면, 상기 복수의 연결핀(630)이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에 각각 자연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의 연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수용부(560)는, 예를 들면, 상기 브래킷(500a)의 일 측(도면상 상측)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수용부(560)는, 예를 들면, 상기 원형도체(610)가 수용되는 원형도체수용부(561) 및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가 수용되는 복수의 선형도체수용부(56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형도체수용부(561)는 상기 브래킷(500a)의 베어링수용부(510)의 상면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수용부(562)는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상면에 함몰되게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수용부(562) 및 상기 원형도체수용부(561)는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500a)에는 상기 피씨비(490)를 통과한 고정부재(122)가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고정부재결합부(555)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커넥션링(600)의 복수의 선형도체(620)에는 상기 고정부재(122)가 삽입될 수 있게 고정부재삽입부(64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삽입부(640)는, 예를 들면, 원형 고리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a)의 고정부재결합부(555)의 둘레에는 상기 커넥션링(600)의 고정부재삽입부(640)가 수용 결합될 수 있게 고정부재삽입부수용부(566)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삽입부수용부(566)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재삽입부(640)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삽입부수용부(566)는 축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에는 상기 커넥션링(600)의 연결핀(630)에 대응되게 축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525)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는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핀(630)의 양 측영역이 지지되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핀(630)의 일 측(도면상 하측)영역이 상기 브래킷(500a)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연결핀(630)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500a)과 상기 하우징(110)의 결합 시, 상기 연결핀(630)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의 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핀(630)의 일 측(도면상 하측)의 함몰부(525)에 의해 이격되어 있어 축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스프링 작용)하게 되어 상기 연결핀수용부(395b)의 탄성변형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연결핀(630) 및 연결핀수용부(395b)는 상호 적절한 접압력을 구비하게 되어 접속이 원활하고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연결핀영역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로터(420), 브래킷(500b) 및 커넥션링(60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임펠러(130)가 수용되고 타 측에는 상기 스테이터(210)가 수용된다.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부에는 상기 로터(42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임펠러(13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터(210)는 상기 임펠러(130)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10)의 일 측(하측)에는 상기 브래킷(500b)이 구비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500b)의 일 측(하측)에는 피씨비(490)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210)는, 스테이터코어(220),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300)를 가진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링 형상의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250)를 가진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은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둘레에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291)를 포함한다.
상기 인슐레이터(300)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전원선(293)이 연결되는 전원선연결부(380) 및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이 연결되는 중성선연결부(390)가 마련된다.
상기 커넥션링(600)은, 원형도체(610) 및 상기 원형도체(6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연결핀(630)을 각각 구비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의 브래킷(500b)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션링(600)이 내부에 배치(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b)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부재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500b)은 금형의 내부에 상기 커넥션링(600)이 인서트(insert)된 후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의 원형도체(610)는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의 복수의 선형도체(620)는 상기 브래킷(500b)의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핀(630)은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외부로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기 스테이터(210)가 수용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부에 상기 로터(420)가 수용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30)의 일 단부(하단부)에 상기 베어링(450)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 단부(하단부)에 상기 브래킷(500b)이 결합될 수 있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500b)을 상기 하우징(110)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 상기 베어링(450)이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핀(630)은 상기 스테이터(210)의 중성선연결부(390)에 각각 자연스럽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5)의 연결핀수용부(395b)는 해당 연결핀(630)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연결핀(630) 및 연결핀수용부(395b)의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b)의 하측에 상기 피씨비(490)를 결합하고, 상기 피씨비(490)의 고정부재삽입부(492)에 고정부재(122)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고정부재결합부(120)에 각각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타 측(내부 상부)에는 상기 임펠러(130)가 수용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베인(150)이 차례로 수용 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10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로터(420), 브래킷(500c) 및 커넥션링(600a)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임펠러(130) 및 스테이터(210)가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터(210)는 상기 임펠러(130)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부에는 상기 로터(42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스테이터(210)는, 스테이터코어(220),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300)를 포함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상기 브래킷(500c)이 구비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500c)의 하측에는 피씨비(490)가 배치된다.
상기 스테이터(210)와 상기 브래킷(500c) 사이에는 상기 커넥션링(600a)이 배치된다.
도 15는 도 14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브래킷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4의 스테이터 및 커넥션링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션링(600a)은, 전기전도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일 단부(중성선(294))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500c)은, 베어링(450)이 수용결합되는 베어링수용부(510),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포크부(5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베어링수용공간(5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공간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공(513)이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500c)은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단부에 연결되는 림부(540)를 가진다.
상기 림부(540)는 링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림부(54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c)에는 고정부재(122)가 결합될 수 있게 고정부재결합부(555)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에는 축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부(525)가 각각 형성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링 형상의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250)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은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둘레에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291)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는, 3상 교류 전원의 각 상(U상, V상, W상)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300)는, 상기 요크(230)를 절연하는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상기 티스(250)를 절연하는 티스인슐레이터(350)를 구비한다.
상기 인슐레이터(300)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일 단부(전원선(293))가 연결되는 전원선연결부(380) 및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타 단부(중성선(294))가 연결되는 중성선연결부(39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80) 및 중성선연결부(390)는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0)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80) 및 중성선연결부(390)는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커넥션링(600a)은, 원형도체(610) 및 일 측은 상기 원형도체(61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형도체(610)는, 예를 들면, 상기 브래킷(500c)의 베어링수용부(510)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원형도체(6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형도체(610)는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개구의 둘레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원형도체(610)는 내경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베어링수용공간(51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게 구성된다.
상기 원형도체(610)는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a)는 상기 원형도체(610)의 외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a)는 상기 브래킷(500c)의 복수의 스포크부(520)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a)는 축방향으로 절곡되어 중성선연결부(390)에 연결되는 절곡연결핀(650)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a)는, 상기 원형도체(610)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구간(621), 상기 제1구간(621)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구간(622) 및 상기 절곡구간(62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구간(62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곡연결핀(650)은 상기 제2구간(623)으로부터 절곡되어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절곡연결핀(650)은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655)를 구비한다.
상기 절개부(655)는 상기 중성선(294)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연결핀(650)의 절개부(655)는 상기 중성선(294)의 삽입 시 상기 절곡연결핀(650)의 도체와 상기 중성선(294)의 도체가 직접 접촉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연결핀(650)에는 판면으로부터 함몰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657)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57)는 축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500c)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션링(600a)이 결합될 수 있게 축방향을 따라 함몰된 커넥션링수용부(560c)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션링수용부(560c)는, 상기 원형도체(610)를 수용하는 원형도체수용부(561c) 및 상기 선형도체(620a)를 수용하는 선형도체수용부(565c)를 구비한다.
상기 선형도체수용부(565c)는,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a)의 제1구간(621), 절곡구간(622) 및 제2구간(623)이 각각 수용될 수 있게 제1구간수용부(565c1), 절곡구간수용부(565c2) 및 제2구간수용부(565c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18은 도 17의 커넥션링 및 중성선연결도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의 내부에는 중성선연결도체(396)가 구비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6)는, 일 측은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일 단부(중성선(294))와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절곡연결핀(650)과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중성선(294)이 상기 커넥션링(600a)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6)는, 상기 절곡연결핀(650)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바디(396a) 및 상기 바디(396a)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절곡연결핀(65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396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396a)는, 내부에 상기 절곡연결핀(650)이 삽입될 수 있게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양 측벽부(396a1) 및 상기 양 측벽부(396a1)를 연결하는 연결부(396a2)를 구비하여 "U"단면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396b)는 상기 양 측벽부(396a1) 중 어느 하나의 측벽부(396a1)의 입구측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96b)는, 예를 들면, 상기 측벽부(396a1)와 미리 설정된 내각(θ)을 이루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각(θ)은, 예를 들면, 30 내지 60도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396b)는 일 측벽부(396a1)로부터 타 측벽부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396b)의 단부와 상기 측벽부(396a1) 사이에는 상기 절곡연결핀(650)의 두께보다 작은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396a)에는 상기 중성선(294)이 삽입될 수 있게 절개된 절개부(396a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96a3)는 상기 바디(396a)의 입구의 대향측에 상기 양 측벽부(396a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절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96a3)는, 예를 들면, 상기 중성선(294)이 압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96a3)는, 상기 중성선(294)의 삽입 시 상기 중성선(294)의 피막(도막)이 탈피되어 상기 중성선(294)의 도체와 상기 바디(396a)의 도체가 직접 접촉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기 스테이터(210)가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부에 상기 로터(420)가 수용결합된다.
상기 커넥션링(600a)은 상기 브래킷(500c)의 커넥션링수용부(560c)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로터(420)의 회전축(430)의 베어링(450)이 상기 브래킷(500c)의 베어링수용부(510)에 대응되게 배치하고, 상기 브래킷(500c)을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베어링(450)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브래킷(500c)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커넥션링(600a)의 각 절곡연결핀(650)은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각 절곡연결핀(650)은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6)의 가압부(396b)의 외면을 따라 상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6)의 바디(396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연결핀(650)은 상기 가압부(396b)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바디(396a)의 측벽부(396a1)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96b)는 상기 절곡연결핀(650)에 의해 가압되어 벌어지고, 상기 절곡연결핀(650)이 상기 바디(396a)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절곡연결핀(650)의 절개부(655)의 내부에는 상기 바디(396a)의 절개부(396a3)의 내부에 삽입결합된 중성선(294)이 삽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중성선(294),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6) 및 상기 절곡연결핀(650)(커넥션링(600a))이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곡연결핀(650)의 삽입 시 탄성변형된 가압부(396b)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이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396b)의 단부는 상기 절곡연결핀(650)의 걸림부(657)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절곡연결핀(650)이 상기 바디(396a)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삽입방향과 반대방향)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절곡연결핀(650)은 걸림부(657)가 상기 가압부(396b)의 단부에 의해 구속되므로 분리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브래킷(500c)이 결합되면 상기 스테이터(210)로부터 돌출된 피씨비연결단자(385)에 상기 피씨비(490)가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피씨비(490)의 고정부재삽입부(492)에 고정부재(122)를 삽입하여 상기 피씨비(490), 상기 브래킷(500c) 및 상기 하우징(110)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이며, 도 22는 도 20의 커넥션링 및 스테이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100c)는, 하우징(110),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로터(420), 브래킷(500) 및 커넥션링(600b)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임펠러(130) 및 상기 스테이터(210)가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터(210)는 상기 임펠러(130)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상기 임펠러(130)의 일 측에는 상기 임펠러(130)를 경유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베인(150)이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210)는, 스테이터코어(220),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250)를 가진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은,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티스(250)에 각각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291)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부에는 상기 로터(42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일 단부에는 상기 브래킷(500)이 결합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50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피씨비(49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스테이터(210)와 상기 브래킷(500) 사이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중성선(294)을 연결하는 커넥션링(600b)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션링(600b)은 전기 전도체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션링(600b)은, 원형도체(610) 및 일 측은 상기 원형도체(61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복수의 코일부(291)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션링(600b)은 상기 브래킷(500)의 일 측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은, 베어링(450)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510),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부(520)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5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베어링수용공간(5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공간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513)이 형성된다.
상기 림부(54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림부(540)의 일 측에는 상기 베어링수용부(510) 및 복수의 스포크부(520)에 비해 축방향을 따라 더 돌출된 하우징결합부(545)가 구비된다.
상기 림부(540)(상기 하우징결합부(545))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단부(삽입부(125)가 미리 설정된 깊이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에는 상기 고정부재(122)가 축방향을 따라 삽입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고정부재결합부(555)가 축방향을 따라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커넥션링(600b)의 원형도체(610b)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부(5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션링(600b)(원형도체(610b))의 외경은 상기 림부(54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림부(54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도체(610b)의 내경은 상기 림부(54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형도체(610)의 내경은 상기 림부(540)의 내경보다 약간 크거나 약간 작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원형도체(610b)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b)의 일 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원형도체(610b)와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b)의 연결영역에는 상기 브래킷(500)의 고정부재결합부(555)와 대응되게 고정부재삽입부(6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삽입부(660)는 축방향을 따라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b)는 상기 원형도체(610b)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를 구비하게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b)는 각 단부가 상기 브래킷(500)의 함몰부(525)의 일 측에 배치되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b)의 단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절곡된 절곡연결핀(65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연결핀(650)은 상기 브래킷(500)의 함몰부(52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절곡연결핀(650)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10)의 중성선연결부(39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각 절곡연결핀(650)은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에 구비된 중성선연결도체(396)에 삽입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절곡연결핀(650)은 해당 함몰부(525)에 의해 선형도체(620a)의 일 측이 상기 브래킷(500)과 접촉되어 외팔보 형태로 지지됨으로써, 해당 선형도체(620a)가 축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커넥션링(600b)은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와 결합 시, 상기 브래킷(500)에 의해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는 상기 선형도체(620a)의 탄성변형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96)와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브래킷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로터(420), 브래킷(500d) 및 커넥션링(600c)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션링(600c)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도체(610c) 및 상기 원형도체(610c)의 내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c)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c)는, 예를 들면, 상기 브래킷(500d)의 함몰부(525)에 대응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c)는, 예를 들면, 상기 원형도체(610c)의 내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구간(620c1), 상기 제1구간(620c1)으로부터 상기 함몰부(525)에 대응되게 축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구간(620c2), 상기 절곡구간(620c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구간(620c3)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c)에는 축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연결핀(65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각 절곡연결핀(650)은 상기 제2구간(620c3)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c)에는 고정부재(122)가 축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고정부재삽입부(660)가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삽입부(660)는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c)와 상기 원형도체(610c)의 연결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연결핀(650)의 단부에는 중성선(294)이 삽입 결합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65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각 절곡연결핀(650)에는 중성선연결도체(396)의 가압부(396b)의 단부가 수용 결합되는 걸림부(657)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500d)은, 베어링(450)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510) 및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포크부(520)를 구비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베어링수용공간(5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공간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513)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단부에는 링 형상의 림부(540)가 구비된다.
상기 림부(54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에는 축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부(525)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브래킷(500d)에는 상기 커넥션링(600c)이 수용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함몰된 커넥션링수용부(560d)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션링수용부(560d)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부(540)의 내측에 상기 림부(540)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함몰 형성되는 원형도체수용부(561d) 및 상기 원형도체수용부(561d)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선형도체수용부(565d)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수용부(565d)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간이 수용되는 제1구간수용부(565d1), 상기 제1구간수용부(565d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구간수용부(565d2) 및 상기 절곡구간수용부(565d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구간수용부(565d3)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커넥션링(600c)은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의 결합 전에 상기 브래킷(500d)에 먼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션링(600c)은 상기 브래킷(500d)의 커넥션링수용부(560d)에 수용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브래킷(500d)의 결합 시,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에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의 연결이 상기 커넥션링(600c)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로터(420), 브래킷(500e) 및 커넥션링(600c)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600c)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00e)의 내부에 매립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c)은, 예를 들면, 원형도체(610c) 및 일 측은 상기 원형도체(610c)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e)은,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450)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510),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포크부(520)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는 림부(5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베어링수용공간(5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공간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513)이 형성된다.
상기 림부(54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c)의 원형도체(610c)는 상기 림부(540)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원형도체(610c)는 상기 브래킷(500e)의 림부(5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c)는 상기 원형도체(610c)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c)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c)에는 상기 브래킷(500e)의 고정부재결합부(555)에 대응되게 고정부재삽입부(660)가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c)은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에 연결되는 절곡연결핀(650)을 구비한다.
상기 절곡연결핀(650)은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c)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함몰부(525))의 외부로 돌출되게 각각 구성된다.
상기 각 절곡연결핀(650)에는 내부에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이 삽입 결합될 수 있게 절개부(65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655)는 상기 각 절곡연결핀(650)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깊이로 절개되게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넥션링(600c)은 상기 하우징(110)의 단부에 상기 브래킷(500e)이 결합될 때, 상기 브래킷(500e)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각각 돌출된 절곡연결핀(650)이 해당 중성선연결부(390)에 자연스럽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의 연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이며, 도 29는 도 27의 커넥션링 및 스테이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100d)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로터(420), 브래킷(500) 및 커넥션링(600d)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임펠러(130) 및 상기 스테이터(21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터(210)는 상기 임펠러(130)의 상류측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130)의 일 측에는 상기 임펠러(13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베인(150)이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부에는 상기 로터(42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스테이터(210)는, 스테이터코어(220),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300)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예를 들면, 링 형상의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250)를 구비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일 단부(도면상 하단부)에는 브래킷(500)이 결합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50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피씨비(49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은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둘레에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291)를 구비한다.
상기 인슐레이터(300)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전원선(293)이 연결되는 전원선연결부(380)가 형성된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80)의 일 측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이 연결되는 중성선연결부(390)가 마련된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80) 및 상기 중성선연결부(390)는 상기 인슐레이터(300)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터(210)와 상기 브래킷(500) 사이에는 커넥션링(600d)이 구비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00)은, 베어링(450)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510),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부(520)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5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베어링수용공간(5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공간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513)이 형성된다.
상기 림부(54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림부(540)의 일 측에는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 및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에 비하여 일 영역이 축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하우징결합부(545)가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500)에는 고정부재(122)가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부재결합부(555)가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500)의 복수의 스포크부(520)에는 축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부(52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커넥션링(600d)은, 원형도체(610d) 및 일 측은 상기 원형도체(610d)에 연결되고 타 측은 스테이터코일(290)의 중성선(294)에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d)를 구비한다.
상기 원형도체(610d)는, 예를 들면,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내측원형도체(610d1) 및 외측원형도체(610d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원형도체(610d1)는,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외측원형도체(610d2)는 상기 림부(540)의 내측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커넥션링(600d)에는 고정부재(122)가 삽입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고정부재삽입부(660)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삽입부(660)는 상기 외측원형도체(610d2) 및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c)의 경계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d)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중성선연결부(390)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핀(630)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연결핀(630)은,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구비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핀(630)은, 원통형상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100d)에서,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의 요크(230)와 복수의 티스(25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중성선연결부(390)에 상기 커넥션링(600d)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d)의 각 연결핀(630)이 해당 중성선연결부(390)의 내부의 연결핀수용부(395b)의 내부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기 스테이터(210) 및 로터(420)가 수용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상기 브래킷(5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의 일 측에 상기 피씨비(490)가 결합되고,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85)와 상기 피씨비(49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결합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로터(420), 브래킷(500f) 및 커넥션링(600d)을 구비한다.
상기 브래킷(500f)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450)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510),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부(520)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5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베어링수용공간(5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공간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513)이 형성된다.
상기 림부(54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d)은, 원형도체(610d) 및 일 측은 상기 원형도체(610d)에 연결되고 타 측은 스테이터코일(290)의 중성선(294)에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d)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d)에는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중성선연결부(390)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핀(63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원형도체(610d)는, 예를 들면,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내측원형도체(610d1) 및 외측원형도체(610d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커넥션링(600d)은 상기 브래킷(500f)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500f)에는 상기 커넥션링(600d)이 축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함몰된 커넥션링수용부(560f)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션링수용부(560f)는, 상기 원형도체(610d)가 수용되는 원형도체수용부(561f) 및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d)가 수용되는 복수의 선형도체수용부(565f)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형도체수용부(561f)는,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에 상기 내측원형도체(610d1)가 수용되게 형성되는 내측원형도체수용부(561f1) 및 상기 외측원형도체(610d2)가 수용되는 외측원형도체수용부(561f2)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원형도체수용부(561f2)는 상기 브래킷(500f)의 림부(540)에 축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에서, 상기 커넥션링(600d)은 상기 브래킷(500f)에 먼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상기 브래킷(500f)이 결합되면 상기 커넥션링(600d)의 연결핀(630)은 자연스럽게 해당 중성선연결부(39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의 연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션링 및 브래킷의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로터(420), 브래킷(500g) 및 커넥션링(600d)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션링(600d)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00g)의 내부에 매립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0g)은, 베어링(450)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510),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부(520)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520)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5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베어링수용공간(5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수용공간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513)이 형성된다.
상기 림부(54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수용부(51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션링(600d)은, 원형도체(610) 및 일 측은 상기 원형도체(610d)에 연결되고 타 측은 스테이터코일(290)의 중성선(294)에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620d)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620d)에는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중성선연결부(390)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핀(63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원형도체(610d)는, 예를 들면,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내측원형도체(610d1) 및 외측원형도체(610d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원형도체(610d1), 외측원형도체(610d2) 및 복수의 선형도체(620)는 모두 상기 브래킷(500g)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630)은 일 영역이 상기 브래킷(500g)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커넥션링(600d)에는 상기 브래킷(500g)의 고정부재결합부(555)와 연통되게 복수의 고정부재삽입부(660)가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기 스테이터(210) 및 로터(420)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상기 브래킷(500g)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500g)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연결핀(630)은 상기 스테이터(210)의 중성선연결부(390)에 각각 삽입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하우징
112: 스테이터수용부
114: 임펠러수용부
116: 가이드베인수용부
130: 임펠러
131: 허브
133: 블레이드
150 : 가이드베인
200: 임펠러구동부
210: 스테이터
220: 스테이터코어
230: 요크
250: 티스
290: 스테이터코일
291 : 코일부
293: 전원선
294 : 중성선
300: 인슐레이터
301: 요크인슐레이터
310: 제1요크인슐레이터
340: 제2요크인슐레이터
350: 티스인슐레이터
360: 제1티스인슐레이터
370: 제2티스인슐레이터
380: 전원선연결부
385: 피씨비연결단자
390: 중성선연결부
395: 중성선연결도체
420 : 로터
430: 회전축
450 : 베어링
455 : 베어링홀더
457: 실링부재
490: 피씨비
491 : 기판
495: 회로부품
500 : 브래킷
510: 베어링수용부
520: 스포크부
540: 림부
545: 하우징결합부
555: 고정부재결합부
600: 커넥션링
610: 원형도체
620: 선형도체
630: 연결핀
640: 고정부재삽입부

Claims (2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일 측에 구비되고, 복수의 코일부를 가지는 스테이터;
    상기 임펠러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래킷; 및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각 일 단부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션링;을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통과영역 및 상기 공기가 통과되지 아니하는 비통과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션링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의 비통과영역에 배치되는 모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모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링은, 원 형상을 이루는 원형도체 및 일 측은 상기 원형도체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복수의 코일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선형도체를 구비하는 모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도체는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일 영역이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원형도체의 외면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모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베어링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 및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포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도체는 상기 베어링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에 배치되는 모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축방향을 따라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게 관통된 고정부재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고정부재삽입부가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도체는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원형도체의 내면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모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베어링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부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도체는 상기 림부에 배치되고, 상기 선형도체는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에 배치되는 모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축방향을 따라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게 관통된 고정부재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도체 및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고정부재결합부와 연통될 수 있게 고정부재삽입부가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도체는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내측원형도체 및 외측원형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내측원형도체 및 외측원형도체를 연결하게 반경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은, 베어링이 수용되는 베어링수용부,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부 및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원형도체는 상기 베어링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원형도체는 상기 림부에 배치되는 모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림부와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의 경계영역에는 축방향을 따라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게 고정부재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원형도체와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고정부재결합부와 연통되게 고정부재삽입부가 각각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에는 축방향을 따라 돌출된 연결핀이 각각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를 구비한 스테이터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일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이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중성선연결부가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선연결부에는 상기 연결핀과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일 측이 개구된 원호 형상의 연결핀수용부를 구비한 중성선연결도체가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16.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는 상기 복수의 선형도체의 일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코일부와 연결되는 절곡연결핀이 각각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를 구비한 스테이터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일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절곡연결핀이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중성선연결부가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선연결부에는 상기 절곡연결핀 및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일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절곡연결핀 및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일 단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성선연결도체가 구비되고,
    상기 중성선연결도체는, 상기 절곡연결핀이 삽입될 수 있게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양 측벽부를 구비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양 측벽부 중 어느 하나의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연결핀이 상기 바디의 양 측벽부 중 다른 하나의 측벽부에 접촉되게 상기 절곡연결핀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모터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절곡연결핀의 삽입방향을 따라 상기 양 측벽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모터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연결핀에는 상기 가압부와 접촉되어 상기 절곡연결핀의 분리방향에 대해 구속이 발생되게 걸림부가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21.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커넥션링이 삽입될 수 있게 축방향을 따라 함몰된 커넥션링수용부가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22.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커넥션링이 내부에 삽입되게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모터 조립체.
KR1020200137693A 2020-10-22 2020-10-22 모터 조립체 KR20220053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693A KR20220053343A (ko) 2020-10-22 2020-10-22 모터 조립체
TW110124993A TWI793664B (zh) 2020-10-22 2021-07-07 電動馬達組件
US17/390,329 US11855518B2 (en) 2020-10-22 2021-07-30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motor assembly used for driving an impeller
EP21190775.3A EP3989412A1 (en) 2020-10-22 2021-08-11 Electric motor assembly
AU2021254606A AU2021254606B2 (en) 2020-10-22 2021-10-21 Electric mo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693A KR20220053343A (ko) 2020-10-22 2020-10-22 모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43A true KR20220053343A (ko) 2022-04-29

Family

ID=7730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693A KR20220053343A (ko) 2020-10-22 2020-10-22 모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55518B2 (ko)
EP (1) EP3989412A1 (ko)
KR (1) KR20220053343A (ko)
AU (1) AU2021254606B2 (ko)
TW (1) TWI793664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041A (en) 1988-07-27 1990-06-19 Nidec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brushless electric motors
US20180363679A1 (en) 2017-06-20 2018-12-20 Dyson Technology Limited Brushless mo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3786A (ja) 2007-07-24 2009-02-12 Mabuchi Motor Co Ltd バスバーを内蔵したインナーロータブラシレスモータ
KR101463817B1 (ko) * 2008-03-10 2014-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및 팬-모터 조립체
FR3015795B1 (fr) 2013-12-20 2017-08-25 Valeo Equip Electr Moteur Interconnecteur pour stator de machine electrique et stator de machine electrique comportant un tel interconnecteur
JP2015133772A (ja) 2014-01-09 2015-07-2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バスバーモジュールおよび回転電機
CN107614890B (zh) * 2015-05-29 2019-03-15 日本电产株式会社 送风装置以及吸尘器
JP2018125950A (ja) 2017-01-31 2018-08-09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送風装置
US11085454B2 (en) * 2017-03-16 2021-08-10 Lg Electronics Inc. Fan motor having a motor mount defining a cooling flow path inlet and a diffuser body defining a cooling flow path outlet with the cooling flow path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otor mount
CN108506236A (zh) * 2018-05-11 2018-09-07 宁波生久散热科技有限公司 增压型散热风扇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041A (en) 1988-07-27 1990-06-19 Nidec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brushless electric motors
US20180363679A1 (en) 2017-06-20 2018-12-20 Dyson Technology Limited Brushless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54606B2 (en) 2023-08-17
US20220131439A1 (en) 2022-04-28
TW202218294A (zh) 2022-05-01
US11855518B2 (en) 2023-12-26
EP3989412A1 (en) 2022-04-27
TWI793664B (zh) 2023-02-21
AU2021254606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696486B (zh) 电动机组件
KR20210133633A (ko) 모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KR20220053343A (ko) 모터 조립체
TWI776366B (zh) 風扇馬達
JP2022131442A (ja) ステータ及びモータ
US20230094078A1 (en) Motor assembly
US20230270226A1 (en) Motor assembly and hair dryer having same
US20240106296A1 (en) Motor assembly
US11728706B2 (en) Electric motor assembly
US20240063678A1 (en) Motor assembly connection 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motor assembly
JP2020088982A (ja)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送風装置
KR102327896B1 (ko) 모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KR20210131166A (ko) 팬모터
KR20210133008A (ko) 팬모터
EP4339465A1 (en) Fan motor
KR20230119914A (ko) 모터 및 이를 구비한 팬-모터 조립체
KR20230133064A (ko) 팬-모터 조립체
KR20240059284A (ko) 팬 모터
JP2023150084A (ja) 回転電機
KR20210133632A (ko) 모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