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251A - 바 보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바 보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251A
KR20220051251A KR1020227009977A KR20227009977A KR20220051251A KR 20220051251 A KR20220051251 A KR 20220051251A KR 1020227009977 A KR1020227009977 A KR 1020227009977A KR 20227009977 A KR20227009977 A KR 20227009977A KR 20220051251 A KR20220051251 A KR 20220051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eceiving
support surface
moving
receiv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브로 조르지오 델
Original Assignee
엠.이.피. 머신 일레트로니쉐 피에가트리치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이.피. 머신 일레트로니쉐 피에가트리치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엠.이.피. 머신 일레트로니쉐 피에가트리치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5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42Storage devices mechanical for elong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65G41/002Pivot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65G47/510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 B65G47/5109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 B65G47/5113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Abstract

지지면(11), 상기 지지면(11)의 각 대향단부(18, 19)와 연관되는 번들공급존(12)과 바전달존(1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11)은 적어도 상기 번들공급존(12)으로부터 상기 바배달존(13)으로의 이동방향(Z)로 상기 바(B) 이동시키는 유닛(14)를 포함하는 바(B) 보관 장치.

Description

바 보관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바를 보관하는, 특히 번들로 그룹화된 바를 보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바 번들의 창고로부터의 특정 번들을 수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후속적으로 전달존에 상응하여, 하류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계에 그들이 공급되는 동안에, 번들의 바들이 균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직경 또는 다른 특성에 따라서, 보관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원형, 다각형, 평평한 단면을 갖는 와이어로드, 보강바, 원형 조각, 정사각형 조각 등과 같은 장방형 제품을 의미한다.
굽힘 기계, 등자 제조 기계, 용접 기계, 절단 또는 계수 플랜트 등과 같은 사용자 기계에는 바를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절단 또는 바를 계수하는 플랜트의 경우, 브릿지 크레인, 크레인 등의 수단을 통해서 적절한 창고로부터 또는 이송수단으로부터 직접 바들을 가져와, 상기 플랜트를 공급하는 공급 스테이션에 그들을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얻을 수 있는 최종 제품에 따라서, 사용자 기계에 공급되는 바는 여러가지 타입, 예를 들어 다양한 직경, 재료, 모양, 표면 가공 등의 타입일 수 있다. 바를 이동시키는 것을 어렵고 복잡하게 만드는 주요 문제 중 하나는 바가 최대 30m 이상까지의 매우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고, 바는 그 무게로 인해 구부러지고 장방형 형태로 인해 함께 비틀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바의 각 타입은 번들로 공급되고, 그래서 첫번째 번들은 첫번째 유형의 바들에 의해, 두번째 번들은 두번째 유형의 바들에 의하는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각각의 바 번들은 그것들이 위치한 해당 창고로부터 브릿지 크레인 또는 운송수단에 의해 픽업되어 공급스테이션으로 배달된다. 공급스테이션은 번들이 위치된 공급면이 제공될 수 있다. 지지면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핸들링 장치에 의해 후속적으로 픽업되고 사용자 기계에 공급되도록 공급면은 바가 서로 흩어지게 할 수 있다.
사용자 기계에 의해서 제품의 특정 범위의 실행이 완료되면, 공급면에 흩어진 나머지 바가 재조립되고 잔여 바의 번들을 형성하도록 묶이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번들은 브릿지 크레인에 의해 픽업되고 창고로 반환된다.
브릿지 크레인과 함께, 또 다른 바 번들이 픽업되고, 예를 들어 다른 유형으로 공급면에 전달되며, 사이클은 이전처럼 다시 시작된다.
그러므로 창고로부터 공급면으로 또는 그 반대로 바를 전달하는 과정은 전용 구조의 사용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각 경우에 창고로부터 작업면으로의 바의 이동을 안내하고 바를 적절히 위치시키는 작업자의 존재를 요구하기 때문에 극도로 복잡하다.
더욱이, 바의 유형을 변경하는 이러한 작업은 시간 면에서 매우 비쌀 수 있고, 또한 고려되는 공급장치의 하류에 위치한 사용자 기계의 가동중지시간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기술의 단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극복할 수 있는 바 보관 장치를 완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질서 있게,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번들의 형태로 공급된 바를 보관할 수 있는 바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것들을 관리하기 위해 제한된 수의 작업자를 요구하도록 완전 자동화된 바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의 유형을 변경하는 작업을 허용하기 위한 기계의 가동중지시간을 방지하면서, 예를 들어 절단 플랜트와 같이 하류에 위치하는 사용자 기계에 바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바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창고와 사용자 기계 사이에서의 바의 이동을 자동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바 보관 방법을 완성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현재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이들 및 기타의 목적과 장점을 얻고자, 본 발명을 연구, 시험 및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독립항에 기재되고 특정된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또는 주요 발명 아이디어에 대한 변형을 설명한다.
상기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 보관 장치는 지지면, 번들공급존 및 지지면의 각 대향단부에 연관되는 바배달존을 포함한다.
지지면은 적어도 위와 같이 번들공급존으로부터 바배달존으로의 이동방향으로 바를 이동시키는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 보관 장치는 이동방향에 대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수용 및 병진유닛을 포함한다.
각 수용 및 병진유닛은 이하를 포함한다.
- 각각의 바 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하고 지지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위치에서부터, 지지면에 바를 해제하기 위해 지지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위치로 통과하도록, 서로 조정되고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동방향을 가로지르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및 정렬되는 적어도 두개의 수용요소;
- 지지면과 평행하고 바의 이동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강상태로부터, 각 수용요소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승된 적어도 하나의 상승상태를 통과하도록 서로 조정되고, 수용요소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수용요소와 상응하여 위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이동장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장치는 각 수용요소에 대해서 분리되고 자율적인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이동장치는 하강상태로부터 상승상태로, 그리고 수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가능하게는 각 중간 상태 및 위치를 통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각 수용요소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이동장치는 각 수용요소와 함께, 단일의 이동체를 구성하고, 이는 이동장치에 상응하는 그것의 제1부분이 하강상태로부터 상승상태로, 가능하게는 가능한 중간상태를 통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수용요소에 상응하는 그것의 제2부분이 수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가능하게는 가능한 중간위치를 통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또한, 이동유닛 수단에 의해서, 지지면의 각 대향단부와 연관되는 적어도 번들공급존과 바배달존 사이에서의 이동방향으로, 바를 지지면 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공하는 바 보관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 방법은 이동방향에 대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수용 및 병진유닛에서 바를 보관하는 것을 제공한다. 각각의 수용 및 병진유닛은 이하를 제공한다:
- 바 번들을 지지하고 지지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수용위치, 및 바를 지지면에 해제하고 지지면의 상측에 위치되는 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조정된 방식으로 이동되고,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및 정렬되는 수용 및 병진유닛의 적어도 두개의 수용요소,
- 지지면과 평행하고 바를 이동시키는 하강상태로부터, 각 수용요소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승된 상승상태로 조정된 방식으로 이동되고, 수용요소와 연관되며, 수용요소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수용 및 병진유닛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장치.
본 발명에 따른 바 보관 장치는 질서 있게,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번들의 형태로 공급되는 바를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과 다른 측면,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시로 주어지는 다음의 일부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 보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 장치 기능의 가능한 작동 순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도 1 장치 기능의 또 다른 가능한 작동 순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여기 설명된 수용 및 병진 유닛의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도 15 내지 도 17의 수용 및 병진 유닛이 제공되는 도 1 장치 기능의 가능한 작동 순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바 보관 장치의 가능한 작동 배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동일하게 공통되는 요소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가 사용되었다. 편의상 일 실시예의 요소 및 특징은 추가적인 설명 없이도 다른 실시예로 통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하나 이상의 예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각각의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의 일부일 정도로 설명되거나 도시된 특성은 또 다른 실시예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채택되거나,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전에,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 설명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구성의 배치 및 상세 구조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을 분명히 해야한다. 본 설명은 다른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획득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용어나 어구는 오직 설명 만을 위한 것이고,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해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B)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고,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되었다.
바(B)는 주로 장방형으로 신축되고, 예를 들어 약 30m와 같이 심지어 수미터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바(B)는 일반적으로 장치(10)에 번들(F)의 형태로 즉, 함께 묶여서 균질하게 그룹화되어 공급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바(B) 보관 장치(10)는, 지지면(11), 지지면(11)의 각 대향단부(18, 19)와 연관되는 번들공급존(12)과 바배달존(13)을 포함한다.
지지면(11)은 바(B)를 적어로 번들공급존(12)로부터 바배달존(13)으로 이동방향(Z)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유닛(14)를 포함한다.
지지면(11)은 바(B)가 중력에 의해서 원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지지면(11)은 제1단부(18)와 제2단부(19) 사이의 두개의 측부모서리를 포함한다.
제1단부(18) 및 제2단부(19)는 처리될 바(B)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실제로, 바(B)는 이하에서 설명될 모드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제1단부(18) 및 제2단부(19)의 길이 신장 방향과 평행하게 지지면으로 로드되게 된다.
특히, 바(B)는 번들공급존(12)에 상응하여 지지면(11)에 로드되고, 바배달존(13)에 상응하여 지지면(11)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동유닛(14)의 존재 덕분에, 지지면(11)으로 로드되지 않은 바(B)는 겹쳐지거나 얽혀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지지면(11) 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그들 특성에 따라서, 전용 수집존으로 균질하게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치(10)는 이동방향(Z)에 대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수용 및 병진유닛(15)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경우에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수는 6개이지만, 예를 들어 더 높거나 낮은 다른 숫자들도 배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각각의 바(B) 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하고 지지면(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위치에서부터, 지지면(11)에 바(B)를 해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해제위치를 통과하도록, 서로 조정되고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동방향(Z)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L)을 따라 이격 및 정렬되는 적어도 두개의 수용요소(16)를 포함한다.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또한, 지지면(11)과 평행하고 바(B)의 이동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강상태로부터, 각 수용요소(16)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승된 적어도 하나의 상승상태를 통과하도록 서로 조정되고, 길이방향(L)을 따라 정렬되며, 수용요소(16)에 상응하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이동장치(17)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장치(17)는 각 수용요소(16)에 대해서 별개로 자율적인 구성이다. 이동장치(17)는 하강상태로부터 상승상태로 그리고 수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가능하게는 각각의 중간 상태 및 위치를 통해서, 독립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각 수용요소(16)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장치(17)는 각 수용요소(16)에 대해 오프셋된 구성으로 위치된다. 특히, 각 이동장치(17)는 그들의 상호 독립적인 이동 중에 가능한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수용요소(16)와 관련하여 길이방향(L)으로 오프셋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제1전달샤프트(20) 및 제2전달샤프트(21)를 포함한다. 양자는 길이방향(L)을 따라서 평행하고, 이동장치(17) 및 수용요소(16)와 연관된다.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일측에서 제1전달샤프트(20)와 인접한 것과 타측에서 제2전달샤프트(21)와 인접한 것과 공유한다. 이하에서는 오직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수용 및 병진유닛(15)을 위해서, 도 3 및 도 4의 예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20) 및 제2전달샤프트(21)를 언급한다. 예를 들어, 수용 및 병진유닛(15)에 인접하여 공유되는 제2전달샤프트(21)는 제1전달샤프트(20)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장치(17)는 제1전달샤프트에 대해 피봇되는 제1단부를 갖고, 이에 대해 이동장치(17)는 하강상태로부터 상승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통과하도록 회전하기에 적합하다.
각 이동장치(17)는 제1단부의 반대측에서 제2전달샤프트에 상응하게 위치되는 제2단부를 가지고, 제2단부는 수용요소(16)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각 제2전달샤프트(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각 수용요소(16)는 제2전달샤프트(21)에 대해 피봇되는 피봇부(34)를 갖고, 이에 대해 수용위치에서 해제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통과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각 수용요소(16)는 각 이동장치(17)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4, 도 6 내지 도 7, 도 9 및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장치(17)는 지지면(11)에 대해서 약 1도 내지 약 90도 사이의 회전각으로 회전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지지면(11)에 바를 언로드하도록 수용요소(16)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또는 바(B)가 지지면(11)로부터 수용요소(16) 안으로 언로드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바(B)를 지지면(11)에 이동시키기 위해서 이동장치(17)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각 제1작동유닛(29)과, 이동장치(17)가 하강상태로부터 상승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작동유닛(30)과, 수용요소(16)가 수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작동유닛(31)과 연관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작동유닛(29), 제2작동유닛(30) 및 제3작동유닛(31)은 서로 개별적이고 분리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작동/비작동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각각 바(B)의 이동방향(Z)으로의 균일하고 평행한 이동을 보장하고, 이동장치(17)의 균일한 각도로 동시적인 상승/하강 보장하기 위해서, 제1작동유닛(29)와 제2작동유닛(30)과 연관되는 각각의 동기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수용요소(16)를 동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작동유닛(31)과 연관되는 다른 동기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해결책에 따르면, 작동유닛(29, 30, 31)은 잭, 선형 엑추에이터, 슬라이딩 가이드, 체인 메커니즘, 랙 또는 웜나사 메커니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작동유닛(29)은 구동장치(27) 및 예를 들어 체인 유형의 전달장치(28)를 포함한다.
전달장치(28)는 조정되고 동시적인 방식으로 이동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구동장치(27)로부터 생성된 운동을 제1전달샤프트(2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전달장치(28)는 일측에서 제1전달샤프트(20)와 연관되고, 타측에서 제1전달샤프트(20)와 평행한 보조샤프트(23)와 연관되며, 동일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장치(17)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작동유닛(20)는 이동장치(17)를 상승/하강시키기 위하여 보조샤프트(23)와 연관된 작동 단부를 갖는 선형 엑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3작동유닛(31)은 제1단부에 대해 제2전달샤프트(21)에 연결되고, 제1단부에 대향되는 제2단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모터(46)로 회전하는 모터샤프트(45)에 연결되는 체인메커니즘(24)을 포함한다. 모터샤프트(45)는 제2전달샤프트(21)과 평행하고, 그 아래에서 유리하게 위치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이동장치(17)는 서로에 대해 개별적으로 자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동일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각 이동장치(17)에는 각 제1작동유닛(29) 및 각 제2작동유닛(20)이 연관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용요소(16)은 서로에 대해 개별적으로 자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동일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각 수용요소(16)에는 각 제3작동유닛(31)이 연관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각 이동장치(17) 및 각 수용요소(16)의 구별되고 분리된 이동은 장치(10)를 매우 다용도로 효율적이게 한다. 예를 들어, 매우 짧은 길이의 바(B)를 픽업하고 보관해야 할 경우, 픽업/보관된 바(B)에 상응하게 이동장치(17)만을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장치(10)에는 이동장치(17)에 접촉한 바(B) 중 하나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장치(17)는 각 수용요소(16)와 함께 단일의 이동체(47)를 구성한다. 이동체(47)는 그 제1부분이 이동장치(47)에 상응하여 하강상태로부터 상승상태로 가능하게는 가능한 중간 상태를 통해서 통과할 수 있고, 그 제2부분이 수용요소(16)에 상응하여 수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가능하게는 가능한 중간 위치를 통해서 통과할 수 있다.
비록, 이동체(47)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단일의 구성이지만, 그러나 이하에서는 이동장치(17)에 상응하는 제1부분과 수용요소(16)에 상응하는 제2부분을 언급할 것이고, 양자는 기능적인 수준에서 구별되고 분리되는 즉, 다른 작업의 수행을 계속한다.
특히, 상승상태에서, 이동장치(17)에 상응하는 제1부분은 지지면(11)에 대해서 약 30도 내지 약 50도의 사이에서 변하는 회전각으로 상측으로 경사질 수 있고, 그래서 여전히 수용위치에 있는 각 수용요소(16)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게 된다(도 18).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요소(16)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 각 이동장치(17)는 지지면(11)에 대해서 대략 180도의 회전각도로 경사지게 되고, 실질적으로 하강상태에 대해서 반전된 위치에서의 자신을 찾게 되며, 지지면(11)으로의 바(B)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장치(17)와 협력한다(도 17 및 도 20).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인접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체(47)가 길이방향(L)으로 서로에 대해서 오프셋되는 것이 필요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14에 설명된 예시와 유사하게,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길이방향(L)을 따라 평행한 제1전달샤프트(20)과 제2전달샤프트(21)를 포함한다.
특히, 각 이동체(47)는 이동장치(17)에 상응하는 제1부분과 수용요소(16)에 상응하는 제2부분의 사이에서, 이동체(47)가 각 제1전달샤프트(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관되는 중간피봇부(48)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용요소(16)는 장치(10)의 프레임에 부착되고, 수용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요소(16)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지지체(50)를 포함할 수 있고, 그래서 수용요소(16)에 가해지는 바(B)의 과도한 중량이 중간피봇부(48)에 과도한 토크를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체(47)는 예를 들어, 기계적 전기적 동기화 장치의 도움으로 서로 조정된 방식으로 이동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수용 및 병진유닛(15)에는 바(B)를 지지면(11)에 이동시키기 위해서 이동장치(17)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각 제1작동유닛(29), 그리고 이동체(47)를 회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고 작동유닛(29)과는 독립되는 작동어셈블리(49) 중 적어도 하나가 연관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어셈블리(49)는 예를 들어, 제1단부에 대해 제1전달샤프트(20)에 연결되고 제2단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모터(46)에 의한 모터샤프트에 연결되는 체인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분명하게는, 이는 단지, 예를 들어, 유압리프팅장치, 웜나사 또는 다른 적절한 이동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작동어셈블리(49)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일 뿐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4 및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체(17)은 리턴부재(26)의 주위의 폐쇄루프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전달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재(25)는 리턴부재(26) 사이에서 리턴세그먼트를 정의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면(11)에 놓여있고 이동방향(Z)를 따라서 배치된다.
특히, 리턴부재(26) 사이에 포함되는 리턴세그먼트는 외부를 향하고 지지면(11) 상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표면을 가지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전달부재(25)의 각각의 리턴세그먼트는 지지면(11)의 적어도 일부에서 바(B)의 이동과 분포를 결정하기 위해서 바(B)의 일부분과 접촉되어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두개의 인접한 이동장치(17)의 사이에서 바(B)가 지지되지 않는 사이 공간이 정의되게 된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사이 공간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사이 공간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부재(25)는 체인, 벨트 또는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 및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부재(25)는 예를 들어 롤러 타입과 같은 체인을 포함한다. 롤러체인의 선택은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에 의해 정의되는 지지면의 불규칙성 덕분에, 지지면(11) 즉 그것의 일부 상에서의 균일한 분포를 유도하는 것과 같이 바(B)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리턴부재(26)는 전달부재(25)가 그들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합한 휠, 풀리, 치형 크라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해결책에 따르면, 리턴부재(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체인의 링크가 맞물리는 치형 크라운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리턴부재(26)과 전달부재(25) 사이의 상호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예를 들어 상이한 크기, 상이한 길이, 상이한 재료 타입 등의 바(B)의 상이한 타입들을 각각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3내지 도 4 및 도 15 내지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용요소(16)는 다른 수용요소(16)와의 협력으로 바(B)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오목부를 갖는 오목한 형태를 갖는다.
각 수용요소(16)에는 사용하는 동안에 상측으로 개방되고 바(B)의 일부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하우징시팅(32)을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각 하우징시팅(32)은 바(B)가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지지되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들 전체의 길이에서 지지되도록 바(B)를 지지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하우징시팅(32)는 실질적으로 U형태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하우징시팅(32)은 실질적으로 L형태이고, 부분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바(B)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약간 굴곡된 말단부가 제공된다.
동일한 수용 및 병진 유닛(15)의 수용요소(16)는 각 하우징시팅(32)이 바(B)를 지지하는 불연속적인 하우징면(P)을 정의하도록 동일한 높이에서 위치된다(도 1).
특히,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동일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수용요소(16)가 수용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시팅(32)은 지지면(11)의 하측에 있고, 하우징면(P)은 실질적으로 지지면(11)과 평행하다. 동일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수용요소(16)가 해제위치에 있을 대, 하우징시팅(32)은 지지면(11)의 상측에 있고, 바(B)가 지지면(11)에서 언로드되도록 하우징면(P)은 실질적으로 지지면(11)에 대해 경사지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는 각각 제1단부(18)과 제2단부(29)에 상응하여 각각 위치되는 보조이동장치(38, 39)를 포함한다. 특히, 보조이동장치(38)는 번들공급존(12)로부터 수용 및 병진유닛(15)를 향하여 바(B)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동장치(39)는 수용 및 병진유닛(15)로부터 바배달존(13)을 향하여 바(B)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보조장치(38)는 이동방향(Z)를 따라서 가장 가까운 수용유닛(15)에 수용되는 바(B)의 언로딩을 허용하기에 적합하고, 그 안에서 바(B)의 언로딩을 허용하는 것에 적합한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가능한 해결책에 따르면, 보조이동장치(38, 39)는 상기에서 설명된 이동장치(17)와 같이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가능하게는, 보조이동장치(38, 39)는 기초 위치에서 수용요소(16)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단부(18)에 상응하여 지지면(11)으로부터 바(B)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한 기울기를 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동장치(17)와 유사한 방식으로 그것의 하강/상승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는 번들공급존(12)에 상응하여 위치되고 예를 들어 브릿지 크레인과 함께 이동되는 바(B) 번들(F)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지지면(11)으로 그것들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로딩수단(36)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로딩수단(36)은 길이방향(L)을 따라 균일하게 이격된 제1단부(18)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각 로딩수단(36)은 예를 들어 브릿지 크레인 또는 다른 공지된 픽업 및 이동장치에 위치된 바(B)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수용시팅(37)을 포함한다. 수용시팅(37)은 지지면(11)에 위치된 바(B)를 지지하는 불연속적인 지지면을 정의한다.
로딩수단(36)은 바(B)를 지지하기 적합한 지지면(11)의 외측의 수용위치와 지지면(11)으로 바를 언로드하기 위해 지지면(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언로딩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로딩수단(36)은 수용위치와 언로딩위치의 사이에서 로딩수단(36)을 동시에 취하도록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공통회전샤프트(4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로딩수단(36)은 잭, 선형 엑추에이터, 슬라이딩 가이드, 체인 메커니즘, 랙 또는 웜나사 메커니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공지의 리프팅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는 번들(F)을 정의하는 바(B)를 조이는 금속케이블로부터 로딩수단(36)에 위치된 바(B) 번들(F)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로딩수단(36)에 상응하여 위치되며, 가능하게는 로봇화된 자동화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는 각 경우에 지지면(11)으로부터 바(B)를 픽업하고 바배달존(13)으로 배달하는 핸들링장치(41)를 포함한다.
핸들링장치(41)는 예를 들어 자석과 같은 홀딩요소가 구비된 복수 개의 전달팔을 포함한다. 홀딩요소는 지지면(11)과 바배달존(13) 사이에서 전달을 시키는 동안 자기적으로 바(B) 중의 일부를 잡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에 따르면, 바배달존(13)은 지지면(11)에 대해 하측으로 경사진 배달면을 정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B)가 바배달존(13)으로 배달될 때, 바(B)는 중력에 의해서, 예를 들어 전달기계와 같은 사용자 기계를 향해서 언로드 되거나, 절단기계에 직접 언로드 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장치(10)를 설치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바공급존(12)에 대해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이동방향(Z)를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또한 바(B)를 보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B) 보관 방법은 이동유닛(14)에 의해서 지지면(11)의 각 대향단부(18, 19)와 연관되는 적어도 번들공급존(12)과 바배달존(13)의 사이로의 이동방향(Z)을 따라서 바(B)를 지지면(11)에 이동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방법은 이동방향(Z)를 따라서 서로 인접한 복수 개의 수용 및 병진유닛(15)에 바(B)를 보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는 다음을 제공한다:
-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적어도 두개의 수용요소(16)는 이동방향(Z)을 가로지르고, 길이방향(L)을 따라 이격 및 정렬되며, 바(B) 번들을 지지하고 지지면(11)의 하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위치 및 바(B)를 지지면(11)으로 해제하고 지지면(11)의 상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위치 사이에서, 조정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 적어도 두개의 이동장치(17)는 수용요소(16)들과 연관되고, 길이방향(L)을 따라서 정렬되며, 지지면(11)과 평행하고 바(B)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하강상태로부터 수용요소(16)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승된 적어도 하나의 상승상태로 조정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1 장치의 기능상 가능한 작동 순서가 도시되어 있고, 이동장치(17)와 각 수용요소(16)는 서로 구별 및 분리된다.
바(B) 번들(F)을 보관할 필요가 있을 때, 바(B) 번들(F)은 브릿지 크레인(43) 등의 도움을 받아 수용위치에 있는 로딩수단(36)의 수용시팅(37)에 배치된다(도 5).
바(B) 번들(F)이 위치되면, 작업자는 번들(F)을 정의하는 바(B)를 클램프하는 금속케이블로부터 번들(F)을 해제하는 것을 제공한다. 가능하게는, 장치(10)에 자동절단장치가 장착되는 경우, 그것은 번들(F)을 풀고 바(B)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자동절단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도 5의 수용위치 및 도 6의 언로딩위치 사이에서, 수용시팅(37)으로부터 지지면(11)을 향해서 바(B)가 미끄러지는 것에 상응하여, 로딩수단(36)이 회전 이동된다. 특히, 바(B)는 이동방향(Z)를 따라 그들을 이동시키는 것을 제공하는 보조이동수단(38)에 상응하여 언로드 된다.
바(B)가 로딩수단(36)에 의해서 이동되는 동안,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면(11)에 막 로딩된 바(B)를 보관하도록 사용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장치(17)는 도 5의 하강상태로부터 도 6의 상승상태로 이동된다.
그 후, 보관에 사용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상류에 위치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수단(17)이 구동된다. 이동수단(17)은 지지면(11)에 바(B)를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그것들을 수용요소(16)에 떨어지게 할 때까지 그들을 이동방향(Z)으로 이동시킨다(도 7).
바(B)의 이동이 끝나면, 다음 스테이지에서 사용되기 위해 이동되는 것을 대기하면서, 바(B)가 수용요소(16)에 특히, 수용요소(16)의 하우징시팅(32)에 위치되게 된다. 그러한 이동이 끝나면, 바(B)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장치(17)는 도 7의 상승상태로부터 도 8의 하강상태로 이동되게 된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도 1 장치의 기능상 가능한 또 다른 작동 순서는 도시되어 있고, 이동장치(17) 및 각 수용요소(16)는 서로 구별되고 분리된다.
장치(10)의 하류에 위치한 사용자 기계(10)가 공급되기 위해서 특정 수용 및 병진유닛(15) 안에 위치되는 정해진 수의 바(B)를 요하는 경우, 상응하는 이동장치(17)는 각 수용요소(16)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강상태로부터 상승상태로 이동된다(도 9). 수용요소(16)는 그들 안에 수용된 바(B)가 지지면(11)으로 특히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상류에서 그 면의 일부로 언로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의 상승상태로 취해진다. 동시에, 도 9와 같이, 픽업을 위해 사용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상류에 있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수단(17)은, 바(B)를 균일하게 펼치고 지지면(11) 상에 이동방향(Z)과 직각으로 배열하도록 바(B)를 이동방향(Z)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된다.
지지면(11)에 바(B)가 언로딩되는 것이 끝나면, 수용요소(16)는 해제상태로부터 수용상태로 취해지고, 각 이동수단(17)은 상승상태로부터 하강상태로 취해진다(도 10).
그 후에, 이동유닛(14), 즉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장치(17)의 전체는, 예를 들어 절단 기계(미도시)와 같이 하류에 위치하는 사용자 기계로 보내지기 위해서 바(B)가 픽업되는 바배달존(13)으로 바(B)를 이동시킨다(도 11).
사용자 기계로 보내지지 않은 나머지 바(B)는 방금 픽업된 상응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에 재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나머지 바(B)는 나머지 바(B)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을 지나가기 위해서 지지면(11)으로 후퇴된다(도 12).
그 후에, 나머지 바(B)를 수용할 수용요소(16)에 상응하는 각 이동수단(17)은 하강상태로부터 상승상태로 취해진다(도 13). 그리고, 나머지 바(B)를 보관하도록 사용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상류에 위치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수단(17)은 지지면(11)에 있는 나머지 바(B)를 이동방향(Z)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되고, 이는 그들이 그것들을 수용위치에 있는 수용요소(16)에 떨어지게 할 때까지 계속된다.
나머지 바(B)를 수용요소(16)로 언로딩하는 것이 끝나면, 각 이동수단(17)은 상승상태로부터 하강상태로 취해진다(도 14).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도1 장치에서 바(B) 번들(F)을 보관하기 위한 가능한 작동 순서가 도시되고, 여기서 이동장치(17)와 각 수용요소(16)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각 이동체(47)를 정의한다.
바(B) 번들(F)은 브릿지 크레인(미도시) 등의 도움으로, 먼저는 수용위치에서 그 다음은 지지면(11)에 바(B)를 해제하는 언로딩위치에서 있는 로딩수단(36)의 수용시팅(37)에 배치된다.
바(B)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장치(17)에 의해서 보관에 사용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상류로 이동된다. 특히, 이동장치(17)에 상응하는 제1부분은 지지면(11)에 대하여 상측으로 약 45도의 회전각으로 경사지게 되고, 회전되었지만 여전히 바(B)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위치에서 있는 각 수용요소(16)으로의 접근을 허용한다(도 18).
바(B)의 이동이 끝나면, 다음 단계에서 사용되도록 이동되는 것을 대기하기 위해, 바(B)는 수용요소(16)의 하우징시팅(32)에 위치된다. 바(B)를 보관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바(B)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장치(17)는 상승상태로부터 하강상태로 이동된다(도 19).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수용 및 병진유닛(15)에 수용된, 정해진 수의 바(B)를 지지면(11)으로 공급하기 위한 가능한 작동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처리될 바(B)를 수용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체(47)는 회전되고, 그래서, 수용요소(16)는 해제위치에 있게 되며, 각 이동장치(17)는 지지면(11)과 동일평면 상에서 평행하도록 지지면(11)에 대해서 180도 반전되게 된다. 그러한 이동장치(17)는 지지면(11) 상에 있는 바(B)의 바배달존(13)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하류에 위치하는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이동장치(17)와 협력한다(도 20).
바(B)의 이동이 끝나면, 각 수용요소(16)가 수용위치로 리턴되고 각 이동장치(17)가 하강상태로 취해질 때까지 이동체(47)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분야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바 보관 장치 및 방법에 대해 부품 또는 단계의 수정 및/또는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확하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이 몇 가지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청구범위에 제시된 특징을 갖는 바 보관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등가 형태를 이룰 수 있음이 명백하며, 전부 정의된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다음 청구범위에서, 괄호 안 참조의 유일한 목적은 읽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특정 청구항에서 청구된 보호 범위와 관련하여 제한요소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10 : 바 보관 장치
11 : 지지면
12 : 번들공급존
13 : 바배달존
14 : 이동유닛
15 : 수용 및 병진유닛
16 : 수용요소
17 : 이동장치
18 : 제1단부
19 : 제2단부
20 : 제1전달샤프트
21 : 제2전달샤프트
23 : 보조샤프트
24 : 체인 메커니즘
25 : 전달부재
26 : 리턴부재
27 : 구동장치
28 : 전달장치
29, 30, 31 : 작동유닛
B : 바
F : 번들

Claims (14)

  1. 지지면(11), 상기 지지면(11)의 각 대향단부(18, 19)와 연관되는 번들공급존(12)과 바전달존(1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11)은 상기 바(B)를 적어도 상기 번들공급존(12)으로부터 상기 바배달존(13)으로의 이동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유닛(14)을 포함하며, 번들의 형태로 공급되는 바(B)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Z)에 대하여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수용 및 병진유닛(15)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 바(B) 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지지면(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위치에서부터, 상기 지지면(11)에 상기 바(B)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지지면(11) 상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위치로 통과하도록, 서로 조정되고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동방향(Z)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L)을 따라 이격 및 정렬되는 적어도 두개의 수용요소(16),
    - 상기 지지면(1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바(B)의 이동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강상태로부터, 상기 각 수용요소(16)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승된 적어도 하나의 상승상태로 통과하도록 서로 조정되고, 상기 수용요소(16)와 연관되며, 상기 길이방향(L)을 따라 정렬되는 적어도 두개의 이동장치(17)를 포함하는 바(B) 보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17)는
    상기 각각의 수용요소(16)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하강상태로부터 상기 상승상태로, 그리고 상기 수용위치에서부터 상기 해제위치로, 가능하게는 각각의 중간 조건 및 위치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통과하기 위해서 상기 각각의 수용요소(16)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바(B) 보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상기 길이방향(L)에 평행하고 서로 마주보는 제1전달샤프트(20) 및 제2전달샤프트(21)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17)와 상기 수용요소(16)는 각각 연관되는 바(B) 보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장치(17)는 상기 제1전달샤프트(20)에 대해 피봇되는 제1단부(25)를 갖고, 이에 대해 상기 이동장치(17)는 상기 하강상태로부터 상기 상승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통과하도록 회전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각 수용요소(16)는 상기 제2전달샤프트(21)에 대해 피봇되는 피봇부(34)를 갖고, 이에 대해 상기 이동장치(17)의 회전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수용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바(B) 보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상기 지지면(11)에 상기 바(B)를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장치(17)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제1작동유닛(29)과, 상기 하강 상태로부터 상기 상승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이동장치(17)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제2작동유닛(30)과,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수용요소(16)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제3작동유닛(31)에 연관되는 바(B) 보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작동유닛(29),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작동유닛(3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작동유닛(31)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적으로 작동/비작동 될 수 있는 바(B) 보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장치(17)는 상기 각 수용요소(16)와 함께 단일의 이동체(47)를 구성하고, 상기 이동체(47)는 그 제1부분이 상기 이동장치(17)에 상응하여 상기 하강 상태로부터 상기 상승 상태로 가능하게는 가능한 중간 상태를 통해서 통과할 수 있고, 그 제2부분이 상기 수용요소(16)에 상응하여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가능하게는 가능한 중간 위치를 통해서 통과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바(B) 보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상기 길이방향(L)과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제1전달샤프트(2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47)는 상기 이동체(17)에 상응하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수용요소(16)에 상응하는 상기 제2부분 사이에서, 상기 이동체(47)가 회전 가능하게 연관되는 중간피봇부(48)를 가지는 바(B) 보관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상기 바(B)를 상기 지지면(11)에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이동장치(17)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제1작동유닛(29)와, 상기 작동유닛(29)과 독립적으로 상기 이동체(47)를 회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작동조립체(49)에 연관되는 바(B) 보관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용요소(16)는 사용하는 동안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바(B)의 세그먼트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하우징시팅(3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보관된 바(B)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각 하우징시팅(32)이 불연속적인 하우징면(P)을 정의하도록 동일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상기 수용요소(16)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바(B) 보관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상기 수용요소(16)가 상기 수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시팅(32)은 상기 지지면(11)의 하측에 있고, 상기 하우징면(P)은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면(11)과 평행하며,
    동일한 수용 및 병진유닛(15)의 상기 수용요소(16)가 상기 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시팅(32)은 상기 지지면(11)의 상측에 있고, 상기 하우징면(P)은 상기 지지면(11)으로의 상기 바(B)의 언로딩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면(1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경사지고 입사하는 바(B) 보관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B) 번들(F)을 수용하고 상기 바(B)를 상기 지지면(11)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번들공급존(12)과 상응하여 위치되는 로딩수단(36)을 포함하는 바(B) 보관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수용 및 병진 유닛(15)의 상기 이동장치(17)는 상기 하강상태에서 상기 이동유닛(14)을 정의하는 바(B) 보관 장치.
  14. 이동유닛(14)에 의해서 상기 바(B)를 상기 지지면(11)의 대향단부(18, 19)와 연관되는 적어도 번들공급존(12)과 바전달존(13) 사이로의 이동방향(Z)을 따라서 지지면(11)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공하는 바(B) 보관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방향(Z)에 대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수용 및 병진유닛(15)에 상기 바(B)를 보관하는 것을 제공하고, 상기 각각의 수용 및 병진유닛(15)은:
    - 바(B) 번들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면(11)의 하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위치, 및 상기 바(B)를 상기 지지면(11)에 해제하고 상기 지지면(11)의 상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조정된 방식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방향(Z)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L)을 따라 이격 및 정렬되는 적어도 두개의 수용요소(16),
    - 상기 지지면(11)과 평행하고 상기 바(B)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하강상태로부터, 상기 각 수용요소(16)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승된 적어도 하나의 상승상태로 조정되는 방식으로 이동되고, 상기 길이방향(L)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수용요소(16)와 연관되는 적어도 두개의 이동장치(17)
    를 제공하는 바(B) 보관 방법.
KR1020227009977A 2019-08-28 2020-08-20 바 보관 장치 및 방법 KR20220051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9000015165 2019-08-28
IT102019000015165A IT201900015165A1 (it) 2019-08-28 2019-08-28 Apparato e metodo per l'immagazzinamento di barre
PCT/IT2020/050207 WO2021038608A1 (en) 2019-08-28 2020-08-20 Apparatus and method to store ba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251A true KR20220051251A (ko) 2022-04-26

Family

ID=6915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977A KR20220051251A (ko) 2019-08-28 2020-08-20 바 보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220348416A1 (ko)
EP (1) EP4021657B1 (ko)
JP (1) JP2022546425A (ko)
KR (1) KR20220051251A (ko)
CN (1) CN114599594B (ko)
AU (1) AU2020339119A1 (ko)
BR (1) BR112022002846A2 (ko)
DK (1) DK4021657T3 (ko)
ES (1) ES2963475T3 (ko)
FI (1) FI4021657T3 (ko)
HU (1) HUE063671T2 (ko)
IT (1) IT201900015165A1 (ko)
PL (1) PL4021657T3 (ko)
PT (1) PT4021657T (ko)
WO (1) WO20210386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42355B4 (de) * 1991-12-20 2009-01-08 Advanced Technik Gmbh Verfahrbare Krananlage
IT1400246B1 (it) * 2010-05-14 2013-05-24 Danieli Off Mecc Apparato e processo per la formazione di fasci di barre laminate
ITBO20120507A1 (it) * 2012-09-21 2014-03-22 Dante Bruno Priuli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il carico di profilati metallici in barre
ITUA20164323A1 (it) * 2016-06-13 2017-12-13 M E P Macch Elettroniche Piegatrici Spa Apparato e procedimento di manipolazione di prodotti metallici
CN106185277B (zh) * 2016-08-29 2019-04-02 山西创奇实业有限公司 一种移动式棒材接落料装置
AR122922A1 (es) * 2017-12-22 2022-10-19 M E P Macch Elettroniche Piegatrici Spa Aparato y método de provisión de barras
CN110027865B (zh) * 2019-05-13 2024-03-19 张家港长力机械有限公司 成品棒材捆转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48416A1 (en) 2022-11-03
CN114599594B (zh) 2024-03-08
JP2022546425A (ja) 2022-11-04
BR112022002846A2 (pt) 2022-05-10
PL4021657T3 (pl) 2024-02-05
FI4021657T3 (fi) 2023-11-01
IT201900015165A1 (it) 2021-02-28
DK4021657T3 (da) 2023-10-30
EP4021657B1 (en) 2023-07-26
AU2020339119A1 (en) 2022-03-03
PT4021657T (pt) 2023-10-30
HUE063671T2 (hu) 2024-01-28
WO2021038608A1 (en) 2021-03-04
CN114599594A (zh) 2022-06-07
ES2963475T3 (es) 2024-03-27
EP4021657A1 (en)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4553B1 (en) Plant for bending metal bars with automatic loading of the bars, and loading method used in said plant
RU27649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рутков
US116486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bars
TWI788492B (zh) 用於提供棒料的裝置及方法
KR20220051251A (ko) 바 보관 장치 및 방법
RU2812938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для хранения прутков
EP38805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bars
KR20220051252A (ko) 바 공급 장치 및 방법
RU27894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мещения прокатных профилей
RU27779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ачи прутко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