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391A -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391A
KR20220050391A KR1020200134015A KR20200134015A KR20220050391A KR 20220050391 A KR20220050391 A KR 20220050391A KR 1020200134015 A KR1020200134015 A KR 1020200134015A KR 20200134015 A KR20200134015 A KR 20200134015A KR 20220050391 A KR20220050391 A KR 2022005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ase body
palette
cas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689B1 (ko
Inventor
정인용
최선영
이원의
엄인영
강경호
이유정
박다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케이
Priority to KR102020013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89B1/ko
Priority to PCT/KR2020/015666 priority patent/WO2022080558A1/ko
Publication of KR2022005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가 담겨지는 팔레트를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서 뚜껑을 열지 않고도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면으로 하나 이상의 노출 공간(112)을 가지도록 구획틀(114)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으로 갖추어진 힌지(122)를 통해 열고 닫히는 뚜껑(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로는 장착공간(130)이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장착공간(130)의 일측으로는 받침요구(132)가 형성되고, 타 측으로는 로킹 턱(134)이 형성되며, 상기 창작공간으로는 구획벽(142)에 의해 화장료(200)가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144)을 갖는 팔레트(140)를 교체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팔레트(140)로는 상기 받침요구(132)에 걸림 받침되는 받침턱(146)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또 상기 로킹 턱(134)에 대해 로킹 홈(148a)을 탄성 걸림 및 해제 조작하기 위한 탄성 조작편(148)이 형성되어진 구성이다.

Description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Cosmetic case with lower replaceable pallet}
본 발명은 화장료가 담겨지는 팔레트를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서 뚜껑을 열지 않고도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의 경우, 대부분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서 팔레트를 조립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화장품 케이스의 경우,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뚜껑이 닫혀진 상태로 제품이 입고가 되면, 뚜껑을 열고, 팔레트 내부에 화장료를 충전하거나, 또는 화장료가 충전된 접시를 팔레트에 별도로 부착한 다음 다시 뚜껑은 닫아 포장해야 함에 따른 포장작업의 번거로움을 비롯하여 임가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포장시, 화장료가 충전되는 접시가 팔레트에 대해 양면 테이프나 본드 접착, 또는 함 멜트방식 등으로 접착되어 짐에 따라 팔레트의 교체 사용, 즉 리필 사용이 불 가능하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비롯하여 환경 오염 등의 여러가지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또한, 접시가 팔레트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수거 역시 매우 어렵고 곤란할 뿐 아니라 분리 수거에 따른 별도의 인력이나 시간, 비용 등이 소요되는 문제 역시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1. KR2020090010381 U(2009.10.13.공개) 2. KR200474872 Y1(2014.10.22.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서 팔레트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뚜껑이 닫혀진 상태로 입고되더라도 뚜껑을 열지 않고서도 팔레트의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포장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또, 포장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임 가공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화장료가 담겨진 접시가 팔레트에 대해 별도로 부착되지 않고 단순히 수납된 상태에서 포장이 이루어짐에 따라 팔레트의 리필이나 접시의 분리 수거가 매우 용이하여 친환경적인 제품으로서 전혀 손색이 없게 되는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는, 상면으로 하나 이상의 노출 공간을 가지도록 구획틀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힌지를 통해 열고 닫히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로는 장착공간이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으로는 받침요구가 형성되고, 타 측으로는 로킹 턱이 형성되며, 상기 창작공간으로는 구획벽에 의해 화장료가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을 갖는 팔레트를 교체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팔레트로는 상기 받침요구에 걸림 받침되는 받침턱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또 상기 로킹 턱에 대해 로킹 홈이 탄성 걸림 및 해제 조작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 조작편이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힌지는 케이스 본체 및 뚜껑 사이에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지거나, 또는 사출핀 형태로 조립되어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팔레트의 수납공간에 대해 수납되는 화장료는 직접 충전되거나, 또는 별도의 접시에 충전 수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팔레트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획벽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노출공간을 형성하는 구획틀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킹 턱의 전면 하단 및 탄성 조작편의 로킹 홈 상부로는 경사 지지면을 더 형성하여 장착공간에 대한 팔레트의 결합시, 상시 경사지지면의 대응 접촉에 의해 받침요구에 대해 팔레트의 받침턱이 상호 걸림 받침된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를 상부로 밀어 끼우면 상기 경사 지지면의 상호 접촉 이동을 통해 상기 탄성 조작편의 로킹 홈이 상기 로킹 턱에 자연적으로 탄성 걸림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노출공간에 비하여 팔레트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의 면적을 더 크게 형성하여 이에 수납되는 화장료의 가장자리나 접시가 상기 구획틀의 하면에 걸려져 상부로의 이탈이 자연적으로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케이스 본체의 하부로 개방 형성된 장착공간을 통해 팔레트의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신속한 포장이 가능하고, 또 포장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서 탄성 조작편의 조작을 통해 팔레트의 리필 교체 사용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팔레트의 수납부에 대해 화장료가 직접 충전되거나 또는 회장료가 충전된 접시가 단순히 수납되어져 사용됨에 따라 화장료의 사용 후 분리 수거가 용이하게 되어 자원의 재활용이나, 재 사용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고, 또 그로 인한 환경 오염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1-B1”선 단면을 기준으로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1-A1”선 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1-B1”선 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탄성 조작편을 이용하여 장착공간의 내부로 밀어올려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발췌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100)는, 상면으로 하나 이상의 노출 공간(112)을 가지도록 구획틀(114)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힌지(122)를 통해 열고 닫히는 뚜껑(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로는 장착공간(130)이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장착공간(130)의 일측으로는 받침요구(132)가 형성되고, 타 측으로는 로킹 턱(134)이 형성되며, 상기 창작공간으로는 구획벽(142)에 의해 화장료(200)가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144)을 갖는 팔레트(140)를 교체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팔레트(140)로는 상기 받침요구(132)에 걸림 받침되는 받침턱(146)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또 상기 로킹 턱(134)에 대해 로킹 홈(148a)을 탄성 걸림 및 해제 조작하기 위한 탄성 조작편(148)이 형성되어진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대하여 뚜껑(120)을 열고 닫히게 하는 힌지(12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힌지는 케이스 본체(100) 및 뚜껑(120)과 동일한 소재로 하나의 사출물로 성형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힌지(122) 구성을 통해 케이스 본체(110) 및 뚜껑(120)은 하나의 사출물로 성형되어 짐에 따라 관련 금형제작 비용의 절감을 비롯하여 부품의 조립이 전혀 필요없게 되어 제품의 제작단가를 현저하게 낮출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122)는 사출핀 타입으로 조립 구성될 수도 있다. 사출핀 타입으로 힌지를 구성하더라도 사출핀이 종래와 같이 금속 소재가 아니기 때문에 분리 수거에 따른 불편이나 번거로움이 없고, 그냥 폐기하더라도 환경 오염 등의 우려가 없어 친환경적이다.
케이스 본체(110)에 대하여 열고 닫히는 뚜껑은, 케이스 본체 및 뚜껑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턱(116)(124)의 상호 걸림 결합에 의해 임의적인 개방이 방지되도록 결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6)(124)은 그 기능의 대체가 가능한 것이라면, 그 외에도 다양한 결합 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킹 턱(134)의 전면 하단 및 탄성 조작편(148)의 로킹 홈(148b) 상부로는 경사 지지면(134a)(148b)을 더 형성하여 상기 장착공간(130)에 대한 팔레트(140)의 결합시, 상시 경사 지지면(134a)(148b)의 대응 접촉에 의해 받침요구(132)에 대해 팔레트의 받침턱(146)이 상호 걸림 받침된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140)를 상부로 밀어 끼우면 상기 경사 지지면(134a)(148b)의 상호 접촉을 통해 상기 탄성 조작편(148)의 로킹 홈(148a)이 상기 로킹 턱(134)에 자연적으로 탄성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로킹 턱(134)의 전면 하단 및 탄성 조작편(148)의 로킹 홈(148b) 상부로 형성된 경사 지지면(134a)(148b) 구성을 통해 장착공간(130)에 대한 팔레트(140)의 결합을 보다 신속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팔레트(140)의 수납공간(144)에 대해 수납되는 화장료(200)는 직접 충전되거나, 또는 별도의 접시(210)에 충전 수납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접시(210)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담아 수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시는 분리수거나 재활용 등의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팔레트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가 이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팔레트(140)의 수납공간(144)을 형성하는 구획벽(142)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노출공간(112)을 형성하는 구획틀(114)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팔레트(140)의 구획벽(142)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144) 및 케이스 본체(110)의 구획틀(114)에 의해 형성되는 노출공간(112)은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분할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팔레트(140)의 수납공간(144)에 수납되는 화장료(200)는, 뚜껑(1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노출공간(112)을 통해 도포구를 이용하여 화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노출공간(112)에 비하여 팔레트(14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44)의 면적을 더 크게 형성하여 이에 수납되는 화장료(200)의 가장자리나 화장료가 담겨지는 접시(210)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구획틀(114)의 하면에 걸려져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4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팔레트(140)의 수납공간(144)에 수납되는 화장료(200)가, 특히 접시(210)에 담겨진 상태에서 수납되는 경우, 접시(210)를 팔레트의 수납공간(144) 바닥이나 기타 부분에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별도로 접착하지 않아도 안정된 수납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접시(210)가 별도의 부착 수단 없이 필레트의 수납공간에 수납됨에 따라 화장료의 전부 사용 후,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팔레트(140) 및 접시(210)의 분리 및 수거가 그 만큼 신속 용이하고 편리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장착공간(130)에 대해, 팔레트(140)를 장착하면, 일측은 장착공간(130)에 형성된 받침요구(132)에 대하여 받침턱(146)이 받침되는 상태로 결합되고, 동시에 탄성 조작편(148)의 로킹 홈(148a)이 케이스 본체(110)로 형성된 로킹 턱(134)에 대해 탄성 걸림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공간(130)에 대해 팔레트(140)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우선 팔레트(140)의 일측으로 형성된 받침턱(146)을 케이스 본체(110)의 받침요구(132)에 받침되는 상태로 결합한 다음 탄성 조작편(140)이 형성된 타측을 강제로 밀어 올리는 것에 의해 탄성 조작편(148)의 경사 지지면(148b)이 로킹 턱(134)의 대응 경사 지지면(134a)에 강제로 접촉되면서 내측으로 밀리면서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로킹 홈(148a)이 상기 로킹 턱(134)에 강제로 탄성 걸림되어지는 동작을 통해 간편하게 결합되어 진다.(도 6참조)
따라서,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30)에 결합되어지는 팔레트(140)는 그 결합이 매우 신속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질 뿐 아니라, 상기 탄성 조작편(148)을 개방 위치로 임의 조작하지 않는 이상 탄성 걸림된 상태를 상시 유지하게 됨에 따라 화장료(200)의 사용 도중에는 임의적으로 분리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장착공간(130)에 대하여 팔레트(140)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본체(110)에 대하여 뚜껑(120)이 닫힌 상태로 1차 납품된 상태에서 2차로 팔레트를 결합한 다음 포장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뚜껑(120)을 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 만큼 제품의 포장 작업을 신속 용이하고, 또 수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임가공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장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뚜껑(120)을 개방하여 준다. 그러면, 케이스 본체의 상면으로 형성된 노출공간(112)을 통해 팔레트(140)의 수납공간(144)에 수납되어진 화장료(200)가 외부로 노출되어지고, 상기 노출공간을 이용하여 도포구를 이용하여 화장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팔레트(140)의 수납공간(144)에 수납된 화장료(200)를 다 사용한 경우,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100)를 그대로 버리거나, 또는 팔레트를 새로운 것으로 리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100)를 그대로 버리는 경우에는 추후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팔레트(140)를 분리하여 필요한 부품을 재 활용하거나 재 사용하면 되고, 이때 팔레트가 탄성 조작편(148)의 간단한 개방 조작을 통해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30)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되어 짐에 따라 분리 수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특히, 케이스 본체(110) 및 뚜껑(120)은 그대로 사용하고, 팔레트(140)만을 새것으로 교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탄성 조작편(148)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통해 로킹 홈(148a)이 로킹 턱(134)으로부터 이탈되어 지고 동시에 탄성 조작편의 탄성력 상실로 인해 타측의 받침턱(146) 역시 장착공간(130)의 받침요구(132)로부터 분리 이탈되어지는 것에 의해 사용이 완료된 팔레트를 분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새로운 팔레트를 상기 장착공간(130)에 집어 넣어 결합하는 것에 의 신구 팔레트의 분리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장착공간(130)에 대한 팔레트(140)의 결합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일부 구성은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팔레트(140) 만을 분리 교체 사용함으로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자원의 재 사용이나 재 활용율을 현저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게 되어 매우 친환경적이다.
한편, 팔레트(140)의 수납공간(144)에 대해 화장료(200)가 담겨진 접시(210)를 수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접시만을 교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팔레트 역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자원의 재활용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케이스 본체 112: 노출공간
114: 구획틀 120: 뚜껑
122: 힌지 126: 거울
130: 장착공간 132: 받침요구
134: 로킹 턱 134a, 148b: 경사 지지면
140: 팔레트 142: 구획벽
144: 수납공간 146: 받침턱
148: 탄성 조작편 148a: 로킹 홈
200: 화장료 210: 접시

Claims (6)

  1. 상면으로 하나 이상의 노출공간(112)을 가지도록 구획틀(114)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힌지(122)를 통해 열고 닫히는 뚜껑(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로는 장착공간(130)이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장착공간(130)의 일측으로는 받침요구(132)가 형성되고, 타 측으로는 로킹 턱(134)이 형성되며,
    상기 창작공간으로는 구획벽(142)에 의해 화장료가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144)을 갖는 팔레트(140)를 교체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팔레트(140)로는 상기 받침요구(132)에 걸림 받침되는 받침턱(146)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또 상기 로킹 턱(134)에 대해 로킹 홈(148a)이 탄성 걸림 및 해제 조작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 조작편(148)이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22)는 케이스 본체 및 뚜껑 사이에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지거나, 또는 사출핀 형태로 조립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140)의 수납공간(144)에 대해 수납되는 화장료(200)는 직접 충전되거나, 또는 별도의 접시(210)에 충전 수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140)의 수납공간(144)을 형성하는 구획벽(142)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노출공간(112)을 형성하는 구획틀(114)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턱(134)의 전면 하단 및 탄성 조작편(148)의 로킹 홈(148a) 상부로는 경사 지지면(134a)(148b)을 더 형성하여 장착공간(130)에 대한 팔레트(140)의 결합시, 상시 경사 지지면의 대응 접촉에 의해 받침요구(132)에 대해 팔레트(140)의 받침턱(146)이 상호 걸림 받침된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140)를 상부로 밀어 끼우면 상기 경사 지지면의 상호 접촉을 통해 상기 탄성 조작편(148)의 로킹 홈(148a)이 상기 로킹 턱(134)에 자연적으로 탄성 걸림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노출공간(112)에 비하여 팔레트(14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44)의 면적을 더 크게 형성하여 이에 수납되는 화장료의 가장자리나 접시가 구획틀(114)의 하면에 걸려져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20200134015A 2020-10-16 2020-10-16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241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015A KR102418689B1 (ko) 2020-10-16 2020-10-16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PCT/KR2020/015666 WO2022080558A1 (ko) 2020-10-16 2020-11-10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015A KR102418689B1 (ko) 2020-10-16 2020-10-16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391A true KR20220050391A (ko) 2022-04-25
KR102418689B1 KR102418689B1 (ko) 2022-07-08

Family

ID=8120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015A KR102418689B1 (ko) 2020-10-16 2020-10-16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8689B1 (ko)
WO (1) WO202208055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921Y1 (ko) * 2004-10-26 2005-01-14 주식회사 태평양 콤팩트 리필용기 착탈구조
KR20090010381U (ko) 2008-04-08 2009-10-13 (주)아모레퍼시픽 일회용 팔레트를 구비한 색조 화장품 용기
KR200474872Y1 (ko) 2014-05-16 2014-10-22 (주)민진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117A (ja) * 1998-04-14 1999-10-26 Shiseido Co Ltd 化粧料容器
KR101638813B1 (ko) * 2014-09-03 2016-07-13 (주)투쿨포스쿨 인출식 팔레트를 갖춘 화장품용기
KR102090222B1 (ko) * 2018-06-22 2020-03-18 (주)톨리코리아 이종 화장료가 함께 내장된 콤팩트 용기
KR102222155B1 (ko) * 2018-09-19 2021-03-03 주식회사 탭코리아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누액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921Y1 (ko) * 2004-10-26 2005-01-14 주식회사 태평양 콤팩트 리필용기 착탈구조
KR20090010381U (ko) 2008-04-08 2009-10-13 (주)아모레퍼시픽 일회용 팔레트를 구비한 색조 화장품 용기
KR200474872Y1 (ko) 2014-05-16 2014-10-22 (주)민진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689B1 (ko) 2022-07-08
WO2022080558A1 (ko)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5382053U (zh) 推压式重填型化妆品容器
KR102418689B1 (ko) 하부 교체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2216642B1 (ko) 화장품 용기
KR102438835B1 (ko) 팔레트의 탈착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JP7351690B2 (ja) レフィル中皿
KR102404259B1 (ko) 다중 후크 구조를 갖는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102428751B1 (ko) 뚜껑의 개방 각도 조정을 통해 화장 내용물 수납접시의 탈리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2409567B1 (ko)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2386272B1 (ko)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JP3871409B2 (ja) 密閉容器
KR102570165B1 (ko) 팔레트의 리필 교체 사용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JPS6211530Y2 (ko)
KR200487348Y1 (ko) 재활용 가능한 생활쓰레기 수거용 쓰레기통
JP3838701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240044207A (ko) 휴대용 화장품 리필 케이스
KR0129524Y1 (ko) 물티슈 수납용기
JP7321640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102545418B1 (ko)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KR20230071890A (ko) 압축 형태의 화장재료가 담지된 금속 리필용기 및 그 휴대용 케이스
JP3853877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2022138324A (ja) パウチパックが収容された付け替え容器、パウチパック及び容器体
JPS6213535Y2 (ko)
JPH068815Y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246178Y1 (ko) 자동 보충 기능을 갖는 접착제 용기
JPH1191287A (ja) 替芯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