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567B1 -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567B1
KR102409567B1 KR1020210002671A KR20210002671A KR102409567B1 KR 102409567 B1 KR102409567 B1 KR 102409567B1 KR 1020210002671 A KR1020210002671 A KR 1020210002671A KR 20210002671 A KR20210002671 A KR 20210002671A KR 102409567 B1 KR102409567 B1 KR 10240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ackaging
container
coup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용
최선영
이원의
엄인영
강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케이
Priority to KR102021000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술이나 눈 화장에 주로 사용되는 도포유닛의 도포용기에 충전된 화장액의 포장 기밀성이 확보되면서도 포장유닛의 포장 케이스로부터 리필에 따른 도포유닛의 분리 교체가 매우 신속 용이하고, 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도포유닛의 리필 사용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구입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자원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Application unit and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술이나 눈 화장에 주로 사용되는 도포유닛의 포장 기밀성이 확보되면서도 포장 케이스로부터 리필에 따른 도포유닛의 분리 교체가 매우 신속 용이하고, 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도포유닛의 리필 사용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구입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자원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눈 화장이나 입술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품용기는, 뚜껑에 일체로 조립 구성되어진 도포로드의 단부에 구비된 각종 형태의 도포팁에 대해 용기에 담겨진 화장액을 묻혀 화장하게 되고, 용기의 주입구 내부에 구비된 와이퍼를 통해 도포로드나 도포팁에 과도하게 묻혀진 화장액을 적정하게 닦아 사용하게 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 제공되고 있는 화장품 용기는 재 사용이나 리필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하고 난 후 그대로 버려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고, 또 그로 인한 제품의 구매 비용이 증가되고, 분리 배출에 따른 어려움을 비롯하여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종래, 일부 제품의 경우에는, 제품의 사용 편의성이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도포 팁을 교체 사용하는 구조의 용기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1. KR200433200 Y1(2006.12.08. 공고) 2. KR200439672 Y1(2008.04.25.공고) 3. KR101193771 B1(2012.10.23.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술이나 눈 화장에 주로 사용되는 도포유닛의 리필 포장 기밀성이 확보되면서도 포장 케이스로부터 리필에 따른 도포유닛의 분리 교체가 매우 신속 용이하고, 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도포유닛의 리필 사용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구입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자원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포유닛을 구성함에 있어서, 개방단 내부에 걸림단턱을 가지며, 화장액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공간을 갖는 도포용기와; 상기 도포용기의 걸림단턱에 걸림날개가 걸림되는 상태로 장착되고, 또 결합 지지관이 도포용기의 충전공간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결합 지지관의 내부에 와이퍼가 구비된 패킹부재와; 상기 패킹부재의 와이퍼를 통해 화장액이 닦여지는 도포팁이 구비된 도포로드가 도포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헤드부가 상기 패킹부재의 걸림날개 상면에 걸림 받침되는 상태로 장착되어지고, 상기 헤드부로는 내주면으로 결합요구가 일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도포부재와; 상기 도포용기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되는 기밀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포유닛에 따르면, 상기 기밀덮개부재는, 도포용기에 대하여 걸림 턱 결합 방식, 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개폐 조작되는 캡 형태의 구조이거나, 또는 씰링라벨 구조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포유닛에 따르면, 상기 상기 도포부재의 헤드부 하면으로는, 상기 패킹부재의 걸림날개 상면과 밀착되는 기밀날개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포유닛에 따르면, 상기 패킹부재의 결합 지지관 외주면으로는 상기 도포용기의 내주면에 대한 기밀 결합을 위한 기밀 테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에 기재된 도포유닛과, 상기 도포유닛을 리필용도로 포장하는 포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유닛은, 내부에 도포유닛의 도포용기가 넣어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포장 케이스와, 상기 포장 케이스의 목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포장덮개와, 상기 포장덮개와 함께 도포용기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상기 도포유닛의 도포부재를 인위적으로 분리 가압하기 위한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포장덮개는, 상기 포장 케이스의 목부에 결합되도록 수평격벽으로 차단되어 있는 개폐 조작관과, 상기 개폐 조작관의 상부로 수직 연장되는 보호관과, 상기 분리 조작공이 형성된 상기 수평격벽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도포부재의 헤드부로 형성된 결합요구에 대해 상호 걸림 결합되는 결합단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는, 상기 포장덮개의 보호관 내부로 끼워지는 분리 가압부와, 상기 분리 가압부의 내측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격벽에 형성된 분리 조작공에 대해 상하 이동 조작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분리 조작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리 조작봉의 외주면으로는 상기 분리 조작공(224a)에 형성된 이탈 방지턱(224a-1)에 대해 상호 탄성 걸림되는 이탈 방지턱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도포부재의 헤드부로 형성된 결합요구에 대해 상호 걸림 결합되는 포장덮개의 결합단관은, 상기 결합요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결합단관의 외주면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걸림홈의 탄성 결합에 의해 상호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포장유닛의 포장 케이스에 끼워지는 도포유닛의 도포용기는 상기 포장 케이스 및 상기 도포용기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제1결합홈 및 제1결합돌기의 상호 걸림 결합에 의해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포장 케이스의 수용공간 바닥으로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도포용기를 강제로 취출하기 위한 이젝트수단이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이젝트수단은, 일방이 힌지 결합되어 지도록 원주 둘레가 슬롯 홈 형태로 절제 형성된 커버 조작편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포장 케이스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상태로 바닥에 관통 형성된 취출구멍 형태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도포유닛을 구성함에 있어서, 개방단 내부에 걸림단턱을 가지며, 화장액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공간을 갖는 도포용기와; 상기 도포용기의 걸림단턱에 걸림날개가 걸림되는 상태로 장착되고, 또 결합 지지관이 도포용기의 충전공간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결합 지지관의 내부에 와이퍼가 구비된 패킹부재와; 상기 패킹부재의 와이퍼를 통해 화장액이 닦여지는 도포팁이 구비된 도포로드가 도포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끼워지고, 또, 헤드부의 제1턱부가 상기 패킹부재의 걸림날개 상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장착되되 상기 제1턱부의 상부로 제2턱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도포부재(130)와; 상기 도포용기의 개방단 상면과, 상기 패킹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진 도포부재의 제1턱부 사이의 틈새를 기밀 차단하기 위하여 접합되는 씰링라벨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기밀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에 따르면, 상기 패킹부재의 결합 지지관 외주면으로는 상기 도포용기의 내주면에 대한 기밀 결합을 위해 하나 이상의 기밀 테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에 따르면, 상기 도포부재의 헤드부는 도포용기의 개방단으로 형성된 걸림단턱 내주면과 적어도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1턱부와, 상기 제1턱부 보다 적은 크기를 갖도록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턱부로 구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의 제2턱부는, 그 외주면이 비 원형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의 제1턱부 하면으로는 패킹부재의 걸림날개 상면에 대한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한 밀날개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의 제1턱부 하면으로는 도포용기에 대한 도포부재의 결합시, 상기 패킹부재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기밀리브가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에 따르면, 상기 기밀리브의 하단 외주면은, 내측으로 좁아지도록 만곡지게 형성하여 상기 패킹부재에 대한 기밀리브의 끼움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포유닛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의 제2턱부 외주면 둘레로는 제2결합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2실시 예에 기재된 도포유닛과, 상기 도포유닛을 포장하는 포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유닛은, 내부에 도포유닛의 도포용기가 넣어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포장 케이스와, 상기 포장 케이스의 목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포장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포장덮개로는 씰링라벨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포유닛의 결합시, 도포부재의 헤드부를 구성하는 제2턱부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으로는 제2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결합홈에는 상기 헤드부의 제2턱부 외주면으로 형성된 제2결합돌기가 서로 끼워지도록 결합 구성하여 상기 포장덮개 및 도포부재가 일체로 결합 및 개폐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도포부재는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헤드부의 제2턱부를 인위적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상기 포장덮개의 관통공으로 부터 분리되어 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포장유닛의 포장 케이스에 끼워지는 도포유닛의 도포용기는 상기 포장 케이스 및 상기 도포용기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제1결합홈 및 제1결합돌기의 상호 걸림 결합에 의해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포장 케이스의 수용공간 바닥으로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도포용기를 강제로 취출하기 위한 이젝트수단이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이젝트수단은, 일방이 힌지 결합되어 지도록 원주 둘레가 슬롯 홈 형태로 절제 형성된 커버 조작편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포장 케이스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상태로 바닥에 관통 형성된 취출구멍 형태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르면, 도포유닛의 포장 기밀성이 확보되면서도 포장 케이스로부터 리필에 따른 도포유닛의 분리 교체 및 배출이 매우 신속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리필 사용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구입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자원의 재활용이나 재사용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포장덮개로 부터 도포부재의 분리 작업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포유닛과 포장유닛 및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도포유닛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1”부분 확대 발췌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캡 형태의 기밀덮개부재 구조를 보인 발췌 단면도들,
도 6은 씰링라벨 형태의 기밀덮개구조 구조를 보인 발췌 단면도,
도 7은 포장유닛의 분리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이젝트수단의 각 실시 구조예를 보인 발췌 저면 사시도,
도 10은 리필용 포장용기 구조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2”부분 확대 발췌 단면도,
도 12는 도포부재가 결합된 포장덮개가 도포용기가 장착된 포장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포장덮개의 내부에 결합된 분리 조작구를 가압하여 도포부재를 포장덮개로부터 강제로 분리하는 상태를 보인 발췌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도포유닛과 포장유닛 및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4는 도포유닛의 조립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조립 측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B1”부분 확대 발췌 단면도,
도 17은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조립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조립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B2”부분 확대 발췌 단면도,
도 20은 포장유닛의 조립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조립 측 단면도,
도 22 및 도 23은 이젝트수단의 각 실시 구조 예를 보인 발췌 저면 사시도,
도 24는 도포부재가 결합된 포장덮개가 도포용기가 장착된 포장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25는 포장덮개로부터 도포부재를 분리하기 전의 발췌 사시도,
도 26은 포장덮개로부터 도포부재를 가압하여 분리한 상태를 보인 발췌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포유닛(100A), 포장유닛(200A) 및 리필용 화장품 케이스(300A)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포유닛(100A)은, 도포용기(110)와, 패킹부재(120), 도포부재(130) 및 기밀덮개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포용기(110)는 개방단(112)을 통해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화장액(C)이 충전되는 충전공간(114)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포용기의 개방단(112) 내주면으로는 일정 깊이의 걸림단턱(116)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도포용기(110)의 개방단(112) 하부 외주면으로는 제1결합돌기(118)가 더 돌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20)는, 도포용기(110)의 걸림단턱(116)에 걸림되는 걸림날개(122)를 가지며, 상기 걸림날개로 부터 일방으로 연장된 결합 지지관(124)과, 상기 결합 지지관의 내부에 형성되는 와이퍼(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관(124)은 그 외주면에 상기 도포용기(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질 수 있다. 도포용기(10)의 내주면에 대한 기밀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 지지관(124)의 외주면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밀 테(128)가 더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도포부재(130)는, 헤드부(132)와, 상기 헤드부의 일방으로 연장된 도포로드(134)와, 상기 도포로드의 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도포 팁(1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있다.
상기 도포 팁(136)은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장 용도나 기능에 따라 브러시 형태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2)로는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결합요구(131)가 형성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요구의 내주면으로는 걸림턱(131a)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31a)은 결합요구의 내주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132)는 결합시, 그 하면이 상기 패킹부재(120)의 걸림날개(122) 상면과 상호 밀착되는 상태로 걸림 결합되어 질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20)의 걸림날개(122) 상면과 밀착되는 헤드부(132)의 하면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밀날개(132a-1)가 더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기밀날개(132a-1) 구성을 통해 도포부재(130)와의 결합시, 패킹부재(120)에 대한 높은 기밀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도포부재(130)는, 도포용기(110)에 결합시, 도포로드(134)가 상기 패킹부재(120)의 와이퍼(126)에 밀착 관통되는 상태로 끼워지게 되고, 상기 헤드부(132)는 그 하면이 상기 패킹부(120)의 걸림날개(122) 상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도포로드(134)의 단부에 결합된 도포 팁(136)은 도포용기(110)의 충전공간(114)에 수용된 화장액(C)에 잠겨있게 된다.
기밀덮개부재(140)는, 도포용기(110)의 상면을 비롯하여 이의 내부에 결합되는 패킹부재(120) 및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1)를 전체적으로 기밀 차단하여 제품의 유통이나 보관 과정에서 도포용기(110)의 충전공간(114)에 충전되어진 화장액((C)의 외부 누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패킹부재(120) 및 도포부재(130)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밀덮개부재(140)는, 추후, 도포유닛(100A)이 리필용도로 결합 사용되는 경우, 도포용기(110)의 충전공간(114)에 충전된 화장액(C)의 사용을 위해 분리 제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기밀덮개부재(140)는, 다양한 기밀 결합 방식으로 도포용기(110)에 대하여 기밀 결합되어 질 수 있다.
예컨대, 기밀덮개부재(140)는,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포용기(110)에 대하여 걸림 턱(140a-1) 결합 방식, 또는 나사(140a-2) 결합 방식으로 개폐 조작되는 캡(140a) 형태의 구조일 수 있고, 또,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씰링라벨(140b)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기밀덮개부재(140)로서 사용되는 씰링라벨(140b)은 점착 방식을 비롯하여 소재의 특성에 따라 초음파 접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 예의 도포유닛(100A)은 도포용기(110)의 충전공간(114)에 화장액(C)이 수용된 상태에서 도포용기의 개방단(112)에 대해 와이퍼(126)를 갖는 패킹부재(120)가 장착되어 지고, 이때 패킹부재(120)는 결합 지지관(124)에 형성된 기밀 테(128)가 도포용기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도포로드(134)는 와이퍼(136)에 끼워질때 탄성적으로 끼워짐에 따라 기밀성이 확보되어지며, 상기 도포용기(110)에 대하여 패킹부재(120) 및 도포부재(130)는 패킹부재의 걸림날개(122) 상면과 밀착되도록 헤드부(132)의 하면으로 형성된 기밀날개(132a-1)를 비롯하여 기밀덮개부재(140)에 의해 기밀 결합되어 짐에 따라 유통이나 보관 과정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면서도 도포용기(110)의 충전공간(114)에 충전된 화장액(C)의 외부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도포유닛(100A) 및 포장유닛(200A)을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A)는,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도포유닛(100A)을 리필용도로 장착하여 휴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포장유닛(200A)을 포함한다.
상기 포장유닛(200A)은, 내부에 제1실시 예의 도포유닛(100A)의 도포용기(110)가 넣어지는 수용공간(212)을 갖는 포장 케이스(210)와, 상기 포장 케이스의 목부(214)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포장덮개(220a) 및 상기 포장덮개에 대해 도포부재(130)의 분리시, 가압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장 케이스(210)의 개방단부 내측으로는 도포유닛(100A)의 도포용기(110)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18)가 상호 걸림 결합되어지는 제1결합홈(216)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포유닛(100A)을 포장유닛(200A)에 결합시, 포장 케이스(210)에 끼워지는 도포용기(110)는 상기 제1결합홈(216) 및 제1결합돌기(118)의 구성을 통해 상호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16) 및 제1결합돌기(118)의 구성은 서로 위치를 바꾸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포장덮개(220a)는, 상기 포장 케이스(210)의 목부(214)에 결합되도록 수평격벽(221a)으로 차단되어 있는 개폐 조작관(222a)과, 상기 개폐 조작관의 상부로 수직 연장되는 보호관(223a)과, 상기 분리 조작공(224a)이 형성된 상기 수평격벽(221a)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결합단관(225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단관(225a)은, 도포유닛(100A)과의 결합시,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에 형성된 결합요구(131)에 상호 끼움 결합되어 지며, 그 외주면으로는 상기 결합요구(131)에 형성된 걸림턱(131a)에 대해 상호 탄성 결합되는 걸림홈(225a-1)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리 조작공(224a)의 내주면으로는 이탈 방지턱(224a-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포장덮개(220a)의 개폐 조작관(222a)은 포장 케이스(210)의 목부(214)에 대하여 나사 결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포장덮개(220a)의 보호관(223a) 내부로는,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230)가 장착되어 진다.
상기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230)는, 상기 포장덮개(220a)의 보호관(223a) 내부로 끼워지는 분리 가압부(231)와, 상기 분리 가압부의 내측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격벽(221a)에 형성된 분리 조작공(224a)에 대해 상하 이동 조작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분리 조작봉(23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리 조작봉(232)의 외주면으로는 상기 분리 조작공(224a)의 이탈 방지턱(224a-1)에 대해 상호 탄성 걸림되는 상태로 끼워지는 이탈 방지턱(232a)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230)의 분리 조작봉(232)은 상기 결합단관(225a)에 끼움 장착시, 분리 조작봉(232)에 형성된 이탈 방지턱(232a)이 결합단관(225a)의 분리 조작공(224a)에 형성된 이탈 방지턱(224a-1)에 상호 걸림되는 상태로 끼워짐에 따라 임의적인 분리 이탈은 방지되면서도 상하 이동 조작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장덮개(220a)의 결합단관(225a)이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로 형성된 결합요구(131)에 대해 탄성 결합되어 짐에 따라 상기 도포부재(130)는 상기 포장 케이스(210)에 대해 포장덮개(220a)의 개폐 조작시, 함께 인출 및 인입 조작 가능하게 된다.
한편, 포장 케이스(210)의 하면으로는, 상기 포장 케이스의 수용공간(212)에 넣어지는 도포유닛(100A)의 도포용기(11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분리해내기 위한 버튼 방식 또는 비 버튼 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는 이젝트수단(240)이 더 갖추어 질 수 있다.
상기 이젝트수단(240)은, 도 8과 같이 일방이 힌지(240a-1) 결합되어 지도록 원주 둘레가 슬롯 홈(240a-2) 형태로 절제 형성된 커버 조작편(240a) 형태로 이루어진 버튼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커버 조작편(240a)은 힌지(240a-1)를 중심으로 나머지 부분이 슬롯 홈(240a-2) 형태로 절제 형성된 구성이기 때문에 임의적으로 분리가 방지되면서도 반복적인 취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젝트수단(240)은, 도 9와 같이 포장 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2)과 연통되는 상태로 바닥에 관통 형성된 취출구멍(240b) 형태의 비 버튼 방식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이젝트수단(240)을 구성하는 취출구멍(240b)은 그 기능상, 하나로 형성될 수 도 있고, 여러개로 나누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 예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A)는, 도 10과 같이, 도포유닛(100A)을 리 리필 포장하는 포장유닛(200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기 때문에 상기 리필용 도포유닛(100A)을 포장 케이스(210)에 포장하여 리필 용도로 휴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좀더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포장유닛(200A)의 포장 케이스(210) 내부에 도포유닛(100A)을 리필 용도로 포장하여 휴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포장 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2)에 대해 도포유닛(100A)의 도포용기(110)를 끼운 다음, 기밀덮개부재(140)를 제거하여 준다. 그런 다음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에 형성된 결합요구(131)에 대해 포장덮개(220a)의 결합단관(225a)를 상호 끼움 결합하여 준다. 그러면, 상기 헤드부(132)의 결합요구(131)에 결합되어지는 포장덮개(220a)의 결합단관(225a)은 걸림턱(131a) 및 걸림홈(225a-1)의 상호 탄성 걸림에 의해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결합되지고, 또 상기 결합단관(225a)에 관통 설치된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230)의 분리 조작봉(232)은 그 단부가 상기 헤드부(132)의 결합요구(131) 바닥에 근접한 상태로 결합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포장유닛(200A)에 대한 리필 결합이 완료되어진 도포유닛(100A)을 이용하여 화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포장 케이스(210)로부터 포장덮개(220a)를 개방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포부재(130)가 동시에 인출 조작되어지고, 또 인출 조작되는 과정에서 패킹부재(120)의 와이퍼(126)를 통해 도포로드(134) 및 도포 팁(136)에 묻은 화장액(C)의 적정한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화장이 완료되면, 다시 포장덮개(220a)를 포장 케이스(210)에 대해 닫아주는 것에 의해 도포부재(130)의 도포 팁(136)은 다시 도포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지게 된다.
한편, 기밀덮개부재(140)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포유닛(100A)을 포장 케이스(210)에 리필 결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도포용기(110)의 충전공간(114)에 충전된 화장액(C)은, 포장덮개(220a)의 닫음 조작시, 패킹부재(120)의 결합 지지관(124)에 형성된 기밀 테(128)를 비롯하여 헤드부(132)의 하면에 형성된 기밀 테(132a-1)에 의해 도포용기(110)의 내주면을 비롯하여 도포로드(132)가 관통되어진 패킹부재(120)의 와이퍼(126)를 통한 외부 누설이 방지되어 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포유닛(100A)의 도포용기(110)에 충전된 화장액(C)을 다 사용하고 난 후, 다시 새로운 도포유닛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포장유닛(200A)의 포장 케이스(210)로부터 포장덮개(220a)를 완전히 분리 개방한 다음, 도 13과 같이 보호관(223a)의 내부에 장착된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230)의 분리 가압부(231)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그 내측 하부로 연장된 분리 조작봉(232)이 동시에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포부재(130)를 강제로 밀어내게 되고, 이러한 도포부재의 강제 밀림 동작을 통해 상기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는 상기 포장덮개(220a)의 결합단관(225a)으로부터 강제 분리되어 지게 된다.
또한, 포장 케이스(210)의 바닥으로 형성된 이젝트수단(240)을 이용하여 상기 포장 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2)에 넣어진 도포용기(110)의 바닥을 강제로 밀어올려 주는 것에 의해 상기 도포용기(110)는 패킹부재(120)를 포함하여 포장 케이스(2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취출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유닛(200A)에 포장되어 사용되고 있던 도포유닛(100A)은, 상기와 같은 분리 방식에 의해 도포부재(130) 및 패킹부재(120)를 포함한 도포용기(110)가 간편하게 분리 제거되어 질 수 있는 것이며, 포장 케이스(210)의 내부에 새로운 도포유닛(100A)을 결합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A)에 따르면, 도포유닛(100A)의 도포부재(130)는 그 헤드부(132)가, 포장유닛(200A)의 포장덮개(220a)로부터 분리 조작구(230)에 의해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도포부재(130)는 재 활용 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도포유닛(100B), 포장유닛(200B) 및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B)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도포유닛(100B)과, 포장유닛(200B) 및 리필용 화장품 케이스(300B)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의 도포유닛(100A)과, 포장유닛(200A) 및 리필용 화장품 케이스(300A)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유사한 구성은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2실시 예의 도포유닛(100B)은, 도포용기(110)와, 패킹부재(120), 도포부재(30) 및 기밀덮개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포용기(110)는 개방단(112)을 통해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화장액(C)이 충전되는 충전공간(114)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포용기의 개방단(112) 내주면으로는 일정 깊이의 걸림단턱(116)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도포용기(110)의 개방단(112) 하부 외주면으로는 제1결합돌기(118)가 더 돌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패킹부재(120)는 도포용기(110)의 걸림단턱(116)에 걸림되는 걸림날개(122)를 가지며, 상기 걸림날개로 부터 일방으로 연장된 결합 지지관(124)과, 상기 결합 지지관의 내부에 형성되는 와이퍼(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관(124)은 그 외주면에 상기 도포용기(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질 수 있다. 도포용기(110)의 내주면에 대한 기밀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 지지관(124)의 외주면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밀 테(128)가 더 마련되어 질 수 있다.
도포부재(130)는, 헤드부(132)와, 상기 헤드부의 일방으로 연장된 도포로드(134)와, 상기 도포로드의 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도포 팁(1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있다.
상기 도포 팁(136)은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장 용도나 기능에 따라 브러시 형태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는 도포용기(110)의 개방단으로 형성된 걸림단턱(116) 내주면과 적어도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1턱부(132a)와, 상기 제1턱부 보다 적은 크기를 갖도록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턱부(132b)로 구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2)의 제2턱부(132b)는, 그 외주면이 비 원형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타원 형태를 비롯하여 다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20)의 걸림날개(122) 상면과 밀착되는 헤드부(132)의 제1턱부(132a) 하면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밀날개(132a-1)가 더 형성되어 질 수 있고, 상기 기밀날개(132a-1) 구성을 통해 도포부재(130)의 결합시, 패킹부재(120)에 대한 높은 기밀 결합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부(132)의 제1턱부(132a) 하면으로는 도포용기(110)에 대한 도포부재(130) 결합시, 상기 패킹부재(120)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기밀리브(133)가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기밀리브(133)에 의해 패킹부재(120)는 도포부재(130)의 결합시, 도포용기(110)의 내주면으로 더욱 밀리면서 강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더욱 확실한 기밀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밀리브(133)의 하단 외주면(133a)은, 내측으로 좁아지도록 만곡지게 형성하여 상기 패킹부재(120)에 대한 기밀리브(133)의 끼움 조작이 보다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32)의 제2턱부(132b) 외주면 둘레로는 제2결합돌기(138)가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도포부재(130)는, 도포용기(110)에 결합시, 도포로드(134)가 상기 패킹부재(120)의 와이퍼(126)에 밀착 관통되는 상태로 끼워지게 되고, 상기 헤드부(132)는 제1턱부(132a)의 하면이 상기 패킹부(120)의 걸림날개(122) 상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도포로드(134)의 단부에 결합된 도포 팁(136)은 도포용기(110)의 충전공간(114)에 수용된 화장액(C)에 잠겨있게 된다.
기밀덮개부재(140)는, 씰링라벨(140b)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씰링라벨(140b)은 도포용기(110)에 대하여 도포부재(130)의 결합시, 제1턱부(132a)의 상면 및 도포용기(110)의 개방단(112) 상면에 대해 전체적으로 씰링 접합되도록 하여, 상기 도포용기(110)에 대하여 도포부재(130)가 유통이나 보관 단계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상기 도포용기(110) 및 도포부재(130)의 틈새를 차단하여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화장액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씰링라벨(140b)은 점착 방식을 비롯하여 소재의 특성에 따라 초음파 접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포유닛(100B)은, 도포용기(110)의 충전공간(114)에 화장액(C)이 수용된 상태에서 도포용기의 개방단(112)에 대해 와이퍼(126)를 갖는 패킹부재(120)가 장착되어 있고, 이때 패킹부재(120)는 결합 지지관(124)이 도포부재(130)의 기밀리브(133)에 의해 내측으로 강제 밀리면서 그 외주면이 도포용기(110)의 내주면에 강제 밀착되어지고 동시에 걸림날개(122)의 상면은 헤드부(132)의 제1턱부(132a)와 밀착시, 그 하면에 형성된 기밀 날개(132a-1)에 의해 더욱 기밀 결합되어 짐은 물론 상기 도포로드(134)는 와이퍼(126)에 끼워질때 탄성적으로 끼워짐에 따라 기밀성이 확보되어지며, 상기 도포용기(110)에 대하여 도포부재(130)는 기밀덮개부재(140)를 구성하는 씰링라벨(140b)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씰링되어 짐에 따라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면서도 도포용기(110)의 충전공간(114)에 충전된 화장액(C)의 외부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도포유닛(100B) 및 포장유닛(200B)을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B)는, 도 14 내지 도 16에 예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제2실시 예의 도포유닛(100B)을 넣고 휴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포장유닛(20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유닛(200B)은, 내부에 도포유닛(100B)의 도포용기(110)가 넣어지는 수용공간(212)을 갖는 포장 케이스(210)와, 상기 포장 케이스의 목부(214)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포장덮개(2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장 케이스(210)의 개방단부 내측으로는 도포유닛(100B)의 도포용기(110)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18)가 상호 걸림 결합되어지는 제1결합홈(216)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포유닛(100B)을 포장유닛(200B)에 리필용도로 결합시, 포장 케이스(210)에 끼워지는 도포용기(110)는 상기 제1결합홈(216) 및 제1결합돌기(118)의 구성을 통해 상호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16) 및 제1결합돌기(118)의 구성은 서로 위치를 바꾸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포장 케이스(210)에 대하여 개폐 조작되는 포장덮개(220b)는 나사 결합 방식을 비롯하여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포장덮개(220b)로는 도포유닛(100B)의 포장시,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를 구성하는 제2턱부(132b)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끼워지는 관통공(2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22b)의 내주면은 제2턱부(132b)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포장덮개(220)의 개폐 조작시, 관통공(222b)에 끼워진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가 걷돌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포장덮게(220b)의 관통공(222b) 내주면으로는 도포부재(130)를 구성하는 헤드부(132)의 제2턱부(132b) 외주면 둘레로 형성된 제2결합돌기(138)와 대응되는 제2결합홈(224b)이 더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관통공(222b)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제2결합홈(224)과 제2턱부(132b)의 외주면 둘레로 형성된 제2결합돌기(138)의 상호 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포장덮개(220b)의 개폐 조작시, 도포부재(130)가 함께 인출 조작 가능하게 된다.
한편, 포장 케이스(210)의 하면으로는, 상기 포장 케이스의 수용공간(212)에 넣어지는 도포유닛(100B)의 도포용기(11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분리해내기 위한 이젝트수단(240)이 더 갖추어 질 수 있다.
상기 이젝트수단(240)은, 도 22와 같이 일방이 힌지(240a-1) 결합되어 지도록 원주 둘레가 슬롯 홈(240a-2) 형태로 절제 형성된 커버 조작편(240a)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커버 조작편(240a)은 힌지(240a-1)를 중심으로 나머지 부분이 슬롯 홈(240a-2) 형태로 절제 형성된 구성이기 때문에 임의적으로 분리가 방지되면서도 반복적인 취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젝트수단(240)은, 도 23와 같이 포장 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2)과 연통되는 상태로 바닥에 관통 형성된 취출구멍(240b)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이젝트수단(240)을 구성하는 취출구멍(240b)은 그 기능상, 하나로 형성될 수 도 있고, 여러개로 나누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B)는, 도 18과 같이 도포유닛(100B)을 포장하는 포장유닛(200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기 때문에 상기 도포유닛(100B)을 포장 케이스(210)에 포장하여 리필 용도로 휴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좀더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포장 케이스(210)의 내부에 도포유닛(100B)을 포장하여 휴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포장 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2)에 대해 도포유닛(100B)의 도포용기(110)를 끼운 다음, 씰링라벨(140b)을 제거하여 준다. 그런 다음 도포부재(130)의 헤드부재(132)에 대해 포장덮개(220b)를 상호 결합하여 준다. 그러면, 상기 포장덮개(220b)의 관통공(222b)으로는 상기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를 구성하는 제2턱부(132b)가 끼워지게되고, 이때 상기 관통공(222b)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제2결합홈(224b)과 상기 제2턱부(132b)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제2결합돌기(138)가 서로 걸림 결합되어져 일체가 된다. 아울러, 상기 포장 덮개(220b)의 관통공(222b)은 헤드부(132)의 제2턱부(132b)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걷돌지 않는 상태로 결합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포장유닛(200B)에 대한 리필 결합이 완료되어진 도포유닛(100B)을 이용하여 화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4와 같이, 포장 케이스(210)로부터 포장덮개(220b)를 개방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포부재(130)가 동시에 인출 조작되어지고, 인출 조작되는 과정에서 패킹부재(120)의 와이퍼(126)를 통해 도포로드(134) 및 도포 팁(136)에 묻은 화장액(C)의 적정한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화장이 완료되면, 다시 포장덮개(220b)를 포장 케이스(210)에 대해 닫아주는 것에 의해 도포부재(130)의 도포 팁(136)은 다시 도포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지게 된다.
한편, 기밀덮개부재(140)를 구성하는 씰링라벨(140b)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포유닛(100B)을 포장 케이스(210)에 리필 결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도포용기(110)의 충전공간(114)에 충전된 화장액은, 포장덮개(220b)의 닫음 조작시, 패킹부재(120)의 결합 지지관(124)에 형성된 기밀 테(128)를 비롯하여 제1턱부(132a)의 하면에 형성된 기밀날개(132a-1) 및 기밀리브(133)에 의해 도포용기(110)의 내주면을 비롯하여 도포로드(132)가 관통되어진 패킹부재(120)의 와이퍼(126)를 통한 외부 누설이 방지되어 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포유닛(100B)의 도포용기(110)에 충전된 화장액(C)을 다 사용하고 난 후, 다시 새로운 도포유닛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포장유닛(200B)의 포장 케이스(210)로부터 포장덮개(220b)를 완전히 개방 조작한 다음, 도 25 및 도 2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22b)의 외부로 노출된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를 강제로 밀어내는 것을 통해 상기 포장덮개의 관통공(222b)으로부터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가 강제로 이탈 제거되어지게 되며, 포장 케이스(210)의 바닥으로 형성된 이젝트수단(240)을 이용하여 상기 포장 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2)에 넣어진 도포용기(110)의 바닥을 강제로 밀어올려 주는 것에 의해 상기 도포용기(110)는 패킹부재(120)를 포함하여 포장 케이스(2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취출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유닛(200B)에 포장되어 사용되고 있던 도포유닛(100B)은, 상기와 같은 이젝트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분리 제거되어 질 수 있는 것이며, 포장 케이스(210)의 내부에 새로운 도포유닛(100B)을 결합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B)에 따르면, 도포유닛(100B)의 도포부재(130)는 그 헤드부(132)가, 포장유닛(200B)의 포장덮개(220b)에 형성된 관통공(222b)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도포부재(130)는 재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B) 구성을 통해 포장유닛(200B)에 대해 도포유닛(100B)의 리필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도포유닛의 휴대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포장유닛(200B)의 반복적인 사용을 통해 도포유닛(100B)만 간편하게 교체 사용하면 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고, 제품의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여러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2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A)(300B)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실시 예의 도포유닛(100A)(100B) 및 포장유닛(200A)(200B)의 재질을 친환경 소재로 하거나, 또는 일부 구성을 친환경소재로 하더라도, 각 구성 부품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성 부품의 분리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재 사용이나 재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친환경 제품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A,100B: 도포유닛 110: 도포용기
112: 개방단 114: 충전공간
116: 걸림단턱 118: 제1결합돌기
120: 패킹부재 122: 걸림날개
124: 결합 지지관 126: 와이퍼
128: 기밀 테 130: 도포부재
131: 결합요구 131a: 걸림턱
132: 헤드부 132a,132b: 제1 및 제2턱부
132a-1: 기밀날개 133: 기밀리브
133a: 기밀리브의 하단 외주면 134: 도포로드
136: 도포팁 138: 제2결합돌기
140: 기밀덮개부재 140a: 캡
140b: 씰링라벨 200A,200B: 포장유닛
210: 포장 케이스 212: 수용공간
214: 목부 216: 제1결합홈
220a,220b: 포장덮개 221a: 수평격벽
222a: 개폐 조작관 223a: 보호관
224a: 분리 조작공 224a-1: 분리 조작공
225a: 결합단관 225a-1: 걸림홈
222b: 관통공 224b: 제2결합홈
230: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 231: 분리 가압부
232: 분리 조작봉 232a: 이탈 방지턱
240: 이젝트수단 240a: 커버 조작편
240b: 취출구멍 300A, 300B: 리필용 화장품 용기

Claims (22)

  1. 도포유닛(100A)을 구성함에 있어서,
    개방단(112) 내부에 걸림단턱(116)을 가지며, 화장액(C)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공간(114)을 갖는 도포용기(110)와;
    상기 도포용기(110)의 걸림단턱(116)에 걸림날개(122)가 걸림되는 상태로 장착되고, 또 결합 지지관(124)이 도포용기의 충전공간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결합 지지관의 내부에 와이퍼(126)가 구비된 패킹부재(120)와;
    상기 패킹부재(120)의 와이퍼(126)를 통해 화장액(C)이 닦여지는 도포팁(136)이 구비된 도포로드(134)가 도포용기(1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헤드부(132)가 상기 패킹부재(120)의 걸림날개(116) 상면에 걸림 받침되는 상태로 장착되어지고, 상기 헤드부(132)로는 내주면으로 결합요구(131)가 일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도포부재(130)와:
    상기 도포용기(11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되는 기밀덮개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덮개부재(140)는, 도포용기(110)에 대하여 걸림 턱(140a-1) 결합 방식, 또는 나사(140a-2) 결합 방식으로 개폐 조작되는 캡(140a) 형태의 구조이거나, 또는 씰링라벨(140b) 구조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 하면으로는, 상기 패킹부재(120)의 걸림날개(122) 상면과 밀착되는 기밀날개(132a-1)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120)의 결합 지지관(124) 외주면으로는 상기 도포용기(110)의 내주면에 대한 기밀 결합을 위한 기밀 테(128)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5.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A)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도포유닛(100A)과,
    상기 도포유닛(100A)을 리필용도로 포장하는 포장유닛(200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유닛(200A)은, 내부에 도포유닛(100A)의 도포용기(110)가 넣어지는 수용공간(212)을 갖는 포장 케이스(210)와, 상기 포장 케이스의 목부(214)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포장덮개(220a)와,
    상기 포장덮개(220a)와 함께 도포용기(110)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상기 도포유닛(100A)의 도포부재(130)를 인위적으로 분리 가압하기 위한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덮개(220a)는, 상기 포장 케이스(210)의 목부(214)에 결합되도록 수평격벽(221a)으로 차단되어 있는 개폐 조작관(222a)과, 상기 개폐 조작관의 상부로 수직 연장되는 보호관(223a)과, 분리 조작공(224a)이 형성된 상기 수평격벽(221a)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로 형성된 결합요구(131)에 대해 상호 걸림 결합되는 결합단관(225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포부재 분리 조작구(230)는, 상기 포장덮개(220a)의 보호관(223a) 내부로 끼워지는 분리 가압부(231)와, 상기 분리 가압부의 내측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격벽(221a)에 형성된 분리 조작공(224a)에 대해 상하 이동 조작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분리 조작봉(23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리 조작봉(232)의 외주면으로는 상기 분리 조작공(224a)에 형성된 이탈 방지턱(224a-1)에 대해 상호 탄성 걸림되는 이탈 방지턱(232a)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로 형성된 결합요구(131)에 대해 상호 걸림 결합되는 포장덮개(220a)의 결합단관(225a)은, 상기 결합요구(13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31a)과 상기 결합단관(225a)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걸림홈(225a-1)의 탄성 결합에 의해 상호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유닛(200A)의 포장 케이스(210)에 끼워지는 도포유닛(100A)의 도포용기(110)는 상기 포장 케이스 및 상기 도포용기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제1결합 홈(216) 및 제1결합돌기(118)의 상호 걸림 결합에 의해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2) 바닥으로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도포용기(110)를 강제로 취출하기 위한 이젝트수단(240)이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수단(240)은, 일방이 힌지(240a-1) 결합되어지도록 원주 둘레가 슬롯 홈(240a-2) 형태로 절제 형성된 커버 조작편(140a)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포장 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2)과 연통되는 상태로 바닥에 관통 형성된 취출구멍(140b) 형태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11. 도포유닛(100B)을 구성함에 있어서,
    개방단(112) 내부에 걸림단턱(116)을 가지며, 화장액(C)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공간(114)을 갖는 도포용기(110)와;
    상기 도포용기(110)의 걸림단턱(116)에 걸림날개(122)가 걸림되는 상태로 장착되고, 또 결합 지지관(124)이 도포용기의 충전공간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결합 지지관의 내부에 와이퍼(126)가 구비된 패킹부재(120)와;
    상기 패킹부재(120)의 와이퍼(126)를 통해 화장액(C)이 닦여지는 도포팁(136)이 구비된 도포로드(134)가 도포용기(1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끼워지고, 또, 헤드부(132)의 제1턱부(132a)가 상기 패킹부재(120)의 걸림날개(122) 상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장착되되 상기 제1턱부의 상부로 제2턱부(132b)가 단차지게 형성된 도포부재(130)와:
    상기 도포용기(110)의 개방단(112) 상면과, 상기 패킹부재(120)의 상부에 장착되어진 도포부재(130)의 제1턱부(132a) 사이의 틈새를 기밀 차단하기 위하여 접합되는 씰링라벨(140b)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기밀덮개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120)의 결합 지지관(124) 외주면으로는 상기 도포용기의 내주면에 대한 기밀 결합을 위한 기밀 테(128)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는 도포용기(110)의 개방단(112)으로 형성된 걸림단턱(116) 내주면과 적어도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1턱부(132a)와, 상기 제1턱부 보다 적은 크기를 갖도록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턱부(132b)로 구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32)의 제2턱부(132b)는, 그 외주면이 비 원형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32)의 제1턱부(132a) 하면으로는 패킹부재(120)의 걸림날개(122) 상면에 대한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한 기밀날개(132a-1)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32)의 제1턱부(132a) 하면으로는 도포용기(110)에 대한 도포부재(130)의 결합시, 상기 패킹부재(120)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기밀리브(133)가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리브(133)의 하단 외주면은, 내측으로 좁아지도록 만곡지게 형성하여 상기 패킹부재(120)에 대한 기밀리브(133)의 끼움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32)의 제2턱부(132b) 외주면 둘레로는 제2결합돌기(138)가 더 돌출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유닛.
  19. 리필용 화장품 용기(300B)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도포유닛(100B)과,
    상기 도포유닛을 포장하는 포장유닛(200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유닛(200B)은, 내부에 도포유닛(100B)의 도포용기(110)가 넣어지는 수용공간(212)을 갖는 포장 케이스(210)와, 상기 포장 케이스의 목부(214)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포장덮개(2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포장덮개(220b)로는 씰링라벨(140b)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포유닛(100B)의 결합시, 도포부재(130)의 헤드부(132)를 구성하는 제2턱부(132b)가 끼워지는 관통공(222b)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22b)으로는 제2결합홈(224b)을 형성하고, 상기 제2결합홈(224b)에는 상기 헤드부(132)의 제2턱부(132b) 외주면으로 형성된 제2결합돌기(138)가 서로 끼워지도록 결합 구성하여 상기 포장덮개(220b) 및 도포부재(130)가 일체로 결합 및 개폐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도포부재(130)는 관통공(222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헤드부(132)의 제2턱부(132b)를 인위적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상기 포장덮개(220b)의 관통공(222b)으로 부터 분리되어 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유닛(200B)의 포장 케이스(210)에 끼워지는 도포유닛(100B)의 도포용기(110)는 상기 포장 케이스 및 상기 도포용기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제1결합 홈(216) 및 제1결합돌기(118)의 상호 걸림 결합에 의해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2) 바닥으로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도포용기(110)를 강제로 취출하기 위한 이젝트수단(240)이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수단(240)은, 일방이 힌지(240a-1) 결합되어지도록 원주 둘레가 슬롯 홈(240a-2) 형태로 절제 형성된 커버 조작편(140a)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포장 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2)과 연통되는 상태로 바닥에 관통 형성된 취출구멍(140b) 형태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20210002671A 2021-01-08 2021-01-08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2409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671A KR102409567B1 (ko) 2021-01-08 2021-01-08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671A KR102409567B1 (ko) 2021-01-08 2021-01-08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567B1 true KR102409567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671A KR102409567B1 (ko) 2021-01-08 2021-01-08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731B1 (ko) * 2022-08-26 2023-04-28 주식회사 씨티케이 립글로스용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필어블 립글로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80Y1 (ko) * 1994-11-23 1996-10-21 강성일 카트리지(cartridge)식 마스카라(mascara)용기
JPH09103322A (ja) * 1995-05-15 1997-04-22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塗布具付き容器
KR200267503Y1 (ko) * 2001-09-25 2002-03-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박막형 와이퍼를 사용하는 마스카라 용기
KR200433200Y1 (ko) 2006-07-21 2006-12-08 (주)아모레퍼시픽 립글로스 솔대
KR200439672Y1 (ko) 2006-12-15 2008-04-25 강성일 도포 팁 교체 사용이 가능한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KR101193771B1 (ko) 2011-12-19 2012-10-23 황재광 립글로스의 와이핑 장치
KR101648772B1 (ko) * 2014-11-19 2016-08-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교체 가능한 마스카라 브러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80Y1 (ko) * 1994-11-23 1996-10-21 강성일 카트리지(cartridge)식 마스카라(mascara)용기
JPH09103322A (ja) * 1995-05-15 1997-04-22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塗布具付き容器
KR200267503Y1 (ko) * 2001-09-25 2002-03-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박막형 와이퍼를 사용하는 마스카라 용기
KR200433200Y1 (ko) 2006-07-21 2006-12-08 (주)아모레퍼시픽 립글로스 솔대
KR200439672Y1 (ko) 2006-12-15 2008-04-25 강성일 도포 팁 교체 사용이 가능한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KR101193771B1 (ko) 2011-12-19 2012-10-23 황재광 립글로스의 와이핑 장치
KR101648772B1 (ko) * 2014-11-19 2016-08-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교체 가능한 마스카라 브러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731B1 (ko) * 2022-08-26 2023-04-28 주식회사 씨티케이 립글로스용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필어블 립글로스
WO2024043568A1 (ko) * 2022-08-26 2024-02-29 주식회사 씨티케이 립글로스용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필어블 립글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661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610025B1 (ko) 어플리케이터를 푸시버튼으로 사용하는 리필타입의 콤팩트 용기 및 이에 결합 사용되는 화장품 저장 토출 유닛
AU680618B2 (en) Replaceable stick deodorant package
US20130068796A1 (en)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US8807147B2 (en) Cosmetic powder container
RU2613598C2 (ru) Переносной пополняемый диспенсер крема
US20170043365A1 (en)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CA2728151C (en) Single-use cosmetic sampler
KR101663927B1 (ko) 누름 작동식 화장품 용기
JP2011526183A (ja) 一体成型ワイパを備えた化粧品パッケージ
KR102409567B1 (ko) 도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20090087074A (ko) 화장용 브러시의 토출구조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10006269U (ko) 화장품 용기
KR101459017B1 (ko) 에어 쿠션 화장품이 직접 수납 사용되는 리필 타입의 콤팩트 케이스
JP2023507781A (ja) 二重容器
KR102519731B1 (ko) 립글로스용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필어블 립글로스
KR200469107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2501294B1 (ko) 한손으로 사용가능한 상향 토출식 액상화장품 도포 겸용 보관용기
KR20200013301A (ko) 듀얼 타입의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386272B1 (ko)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JP2012071867A (ja) 塗布容器
JP5806051B2 (ja) 注出キャップ
KR102479321B1 (ko) 실링이 필요 없는 화장 내용물 리필용 용기
JP7486402B2 (ja) 塗布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