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418B1 -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418B1
KR102545418B1 KR1020210006776A KR20210006776A KR102545418B1 KR 102545418 B1 KR102545418 B1 KR 102545418B1 KR 1020210006776 A KR1020210006776 A KR 1020210006776A KR 20210006776 A KR20210006776 A KR 20210006776A KR 102545418 B1 KR102545418 B1 KR 10254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dish
case body
cosmetic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456A (ko
Inventor
정인용
이원의
엄인영
강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케이
Priority to KR102021000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4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45D2040/223Means for closing the lid comprising a latch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화장품 수납접시를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하나의 접시 받침틀 내측에 화장 용도나 기능에 맞추어 적정한 수 및 배열 형태로 배치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장착공간(111)을 가짐과 동시에 구획면(112)으로는 화장품의 도포 사용을 위한 구획공간(113)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 대해 개폐 조작 가능하게 제1힌지부(121)로 결합되는 덮개(120)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장착공간(111)에 대하여 하부에서 완전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일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짐과 동시에 바닥면(131)으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132)가 돌출 형성되어진 접시 받침틀(130)과; 상기 접시 받침틀의 바닥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착돌기(132)에 상호 결합되는 안착홈(141)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적정한 수 및 배열 형태로 배치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Cosmetic case that allows proper placement of cosmetics storage dish}
본 발명은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화장품 수납접시를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하나의 접시 받침틀 내측에 화장 용도나 기능에 맞추어 적정한 수 및 배열 형태로 배치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용도나 기능에 따라 화장품을 별도의 수납접시나 팔레트에 각각 나누어 담은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색조 화장품의 경우가 그렇다. 색조 화장품은 화장 용도나 기호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별도로 수납하지 않는 경우, 오염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도 색조 화장품을 종류나 색상별로 별도 수납하는 팔레트가 제안되고 있고, 또는 접시가 장착되는 리필형 팔레트를 갖는 화장품 용기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종래 제공되고 있는 화장품 팔레트나 화장품 용기들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에는 화장품을 분할하여 담을 수 있도록 해주는 다수의 제 1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본체의 일측에 절첩 가능케 설치되고, 접힌 상태에서 본체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화장품을 분할하여 담을 수 있도록 해주는 다수의 제 2홈이 형성되어 있는 속뚜껑 및 본체의 일측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속뚜껑이 접힌 상태에서 속뚜껑을 바깥쪽에서 덮어주는 바깥뚜껑 및 바깥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또 2층구조를 취하지 않더라도 많은 종류의 색조화장료나 기초화장료 등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머니와 그 표면에 설치된 붓꽂이로 인해 화장에 필요한 붓, 연필, 분첩 등의 각종 소도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화장품 팔레트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색조 화장료와 화장솔과 같은 화장용품이 수납되도록 구획된 본체에 일회용 팔레트를 구비하여 다양한 색상의 색조 화장료를 혼합하여 조색할 때 본체에 구비된 일회용 팔레트에서 조색하고 사용을 마친 일회용 팔레트는 낱장으로 폐기함으로써 별도의 조색용 팔레트가 필요하지 않은 일회용 팔레트를 구비한 색조 화장품 용기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ㄷ”자형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의 내측면에는 오목하게 걸림홈부가 형성된 본체과,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면에서 각각 상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측면으로 이루어져 화장품이 수용된 적어도 둘의 접시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면에는 천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둘의 손잡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의 외측면에는 상기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는 적어도 둘의 걸림돌기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리필형 팔레트부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팔레트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제공되고 있는 팔레트나 화장품 용기들은 획일적인 크기나 형태로 구획되어진 팔레트나 접시에 색조 화장품을 수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화장품의 용도나 기능에 따른 적정한 배분이나 분배 공급이 어렵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소비자에 따라 소비량이 다른 화장품이 하나의 팔레트 내에 일률적이고 획일적으로 수용되어져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화장품의 수납이나 사용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종래 팔레트나 접시들은 덮개를 최종적으로 닫아주어야만, 팔레트 내부에 수납되어진 접시의 안정된 수납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주의로 덮개가 덜 닫히거나, 덮개가 닫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화장품 용기가 뒤집어 지더라도 수납접시의 임의적인 이탈이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수납접시를 별도의 부착 작업을 통해 고정해야 하는 작업상의 추가 공정 및 번거로움이 있었다.
1. KR200230127 Y1(2001.07.30. 공고) 2. KR2020090010381 U(2009.10.13. 공개) 3. KR200474872 Y1(2014.10.2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하나의 접시 받침틀 내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화장품 수납접시를 적정한 수 및 배열형태로 배치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장품의 용도나 기능에 따른 효율적인 수납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에 따르면,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장착공간을 가짐과 동시에 구획면으로는 화장품의 도포 사용을 위한 구획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 대해 개폐 조작 가능하게 제1힌지부로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장착공간에 대하여 하부에서 완전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일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짐과 동시에 바닥면으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진 접시 받침틀과; 상기 접시 받침틀의 바닥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착돌기에 상호 결합되는 안착홈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접시 받침틀의 내부에 적정한 수 및 배열 형태로 배치되는 화장품 수납접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의 구획면으로 형성되는 구획공간은 상기 접시 받침틀의 내부에 배치되는 화장품 수납접시의 배치 수 및 배열 형태에 맞추어 대응되게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따르면, 상기 접시 받침틀의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화장품 수납접시는, 케이스 본체의 장착공간에 결합시, 그 상단 둘레면이 구획면에 의해 전체적으로 걸림 차단되어 임의적인 분리 이탈이 방지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시 받침틀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장착공간 내부 일 측면으로 형성된 받침요구에 대해 접시 받침틀에 형성된 받침편이 걸림 받침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 타 측면으로 형성된 로킹홈에 대해 접시 받침틀에 형성된 탄성 조작편의 로킹턱이 탄성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장착공간으로부터 완전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시 받침틀은, 케이스 본체에 대해 일 측이 제2힌지부로 연결 지지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 타 측면으로 형성된 로킹홈에 대해 접시 받침틀에 형성된 탄성 조작편의 로킹턱이 탄성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장착공간에 대해 일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품 수납접시의 바닥으로는 상기 접시 받침틀의 바닥면에 대한 진공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홈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하나의 접시 받침틀 내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화장품 수납접시를 적정한 수 및 배열 형태로 배치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장품의 용도나 기능에 따른 효율적인 수납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시 받침틀 내부에 적정한 수 및 형태로 배치되는 각 화장품 수납접시들은 별도의 부착 고정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케이스 본체의 구획벽에 의해 전체적으로 걸림 장착되어 짐에 따라 덮개가 닫혀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장품 수납접시의 임의적인 분리 이탈이 방지되어 제품의 사용 안정성이 크게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접시 받침틀에 대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화장품 수납접시를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로 배치 사용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만큼 제품의 사용 및 화장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접시 받침틀에 대하여 화장품 수납접시만을 리필 용도로 교체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그만큼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재 활용률을 높일 수 있어서 환경 친화적이며, 또 소비자 입장에서는 화장품 구입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이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평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시 받침틀 및 화장품 수납접시의 발췌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접시 받침틀 및 화장품 수납접시의 조립 전 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선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덮개가 닫혀진 상태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본체에 장착되는 접시 받침틀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리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 본체의 구획홈 형태에 대응하여 화장품 수납접시가 접시 받침틀에 각각 대응 안착된 상태를 보인 각 분리 사시도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 받침틀이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힌지 방식으로 일방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평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 받침틀이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힌지 방식으로 일방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접시 받침틀이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힌지 방식으로 닫혀진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시 받침틀이 힌지 방식으로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닫혀지기 전의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 받침틀이 힌지 방식으로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완전히 닫혀진 상태의 조립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 덮개(120), 접시 받침틀(130), 화장품 수납접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10)는,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장착공간(111)을 갖는다. 구획면(112)으로는 화장품의 도포 사용을 위한 구획공간(113)이 개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획공간(113)은 이후 설명되는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장착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배치 수나 배열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획되어 질 수 있다.
덮개(120)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대해 개폐 조작 가능하도록 일 측이 제1힌지부(121)로 상호 연결 조립되어 진다.
상기 덮개(120)의 개폐 조작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구획면(112)으로 개방 형성된 구획공간(113)은 안전하게 커버 또는 개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대하여 개폐 조작되는 덮개(120)는 도 10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의 제1힌지부(121)를 중심으로 타 측이 언더컷 방식으로 탄성 결합 및 해제 조작되어 질 수 있다. 즉, 덮개(120)에 형성된 개폐 조작편(122)의 언더컷 돌기(122a)가 케이스 본체(110)의 개폐조작요구(114)에 형성된 언더컷 돌기(114a)에 대해 서로 탄성 걸림 및 해제되는 방식으로 개폐 조작되어 질 수 있다.
접시 받침틀(130)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장착공간(111)에 대하여 하부에서 완전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거나, 일방으로 개폐조작하는 것을 통해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리필 교체를 얼마든지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바닥면(131)으로는 안착돌기(132)가 돌출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안착돌기(132)는 접시 받침틀의 내부에 별도 안착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안정된 안착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배치 수나 배열 형태를 고려하여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적정한 위치에 분포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별도 안착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로는,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안착시, 그 바닥면(131)으로 형성된 안착돌기(132)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호 결합되어 지는 안착홈(141)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품 수납접시(140)에 형성되는 안착홈(141)은,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안착시, 접시 받침틀(130)의 바닥면(131)으로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착돌기(132)와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품 수납접시(140)는,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안착시, 안착홈(141)과 안착돌기(132)가 상호 끼워 맞춤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짐에 따라 안정적인 안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안착돌기(132)와, 수납접시(140)에 형성되는 안착홈(141)은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바닥면(131)으로 형성된 안착돌기(132) 및 화장품 수납접시(140)로 형성된 안착홈(141)을 이용하여 상기 접시 받침틀 내부에 화장품 수납접시를 화장품의 용도나 기능에 맞추어 다양한 수 및 배열 형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구획면(112)으로 형성되는 구획공간(113)의 모양이나 형태에 맞추어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 내지 도 15에 각각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의 구획면(112)으로 형성된 구획공간(113)이 1개, 2개, 3개, 4개로 각각 형성되어 진 경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 역시, 이에 맞추어 1개, 2개, 3개, 4개로 각각 대응되게 구획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케이스 본체(110)의 구획공간(113)과, 접시 받침틀(130)에 안착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배치 형태를 서로 일치되게 구성함으로써, 외관적으로도 화장품 수납접시에 충전된 화장품의 노출이 그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해당 화장품을 해당 구획공간(113)을 통해 인출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구획면(112)에 형성되는 구획공간(113)과,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장착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배치 형태가 동일하게 맞추어 짐에 따라 화장품 수납접시(140)에 충전된 각 화장품의 도포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장착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는,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에 결합시, 그 상단 둘레면이 이와 동일한 형태로 구획되어진 구획공간(113)의 구획면(112)에 의해 전체적으로 걸림 차단되어 짐에 따라 임의적인 분리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접시 받침틀(130)에 장착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는, 케이스 본체(110)의 구획면(112)에 의해 그 상단 둘레가 각각 전체적으로 걸림되어지기 때문에 사용도중, 케이스 본체(110)가 넘어지는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거나, 부주의로 인해 덮개(120)가 완전히 닫혀지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임의적인 분리 이탈이 방지될 수 있음으로 인해 그만큼 제품의 사용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에 대해 완전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접시 받침틀(130)의 경우에는, 도 8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 내부 일 측면으로 형성된 받침요구(115)에 대해, 상기 접시 받침틀로 형성되는 받침편(133)이 걸림 받침되는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간(111)의 내부 타 측면으로 형성된 로킹홈(116)에 대해 접시 받침틀로 형성되는 탄성 조작편(134)의 로킹 턱(134a)을 탄성적으로 걸림 및 해제하는 동작을 통해 완전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에 대해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접시 받침틀(130)의 경우에는, 도 17 내지 도 2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대해 일 측이 제2힌지부(135)로 연결 지지되고, 또 상기 장착공간(111)의 내부 타 측면으로 형성된 로킹홈(116)에 대해 접시 받침틀에 형성된 탄성 조작편(134)의 로킹턱(134a)을 탄성적으로 걸림 및 해제하는 동작을 통해 일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접시 받침틀(130)을 분리 또는 개방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로킹홈(116)에 탄성적으로 걸림되어 있는 로킹턱(134a)이 빠져나오도록 탄성 조작편(134)의 단부를 내측으로 밀어 준 다음 상기 탄성 조작편(134) 부분을 하방으로 잡아 당겨주는 동작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시 받침틀(130)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에 대해 하부에서 완전 분리방식으로 장착하거나, 또는 일방이 제2힌지부(135)로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타 방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덮개(12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장착공간(111)의 하부 측으로 접시 받침틀(130)을 분리하거나 개방 조작한 다음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리필이 가능하게 되는 제품의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바닥으로는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바닥면(131)에 대한 진공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홈(142)이 더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요철홈(142) 구성을 통해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대해 화장품 수납접시(140)를 리필 교체하는 경우, 접시 받침틀(130)의 바닥면(131)에 대한 부분적인 밀착을 통해 신속한 분리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접시 받침틀(130) 및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안착돌기(132) 및 안착홈(141) 구성을 통해 상기 접시 받침틀에 대한 화장품 수납접시를 화장품의 용도 및 기능에 맞추어 다양한 수 및 배열 형태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고, 또 케이스 본체의 하부로 장착되는 접시 받침틀의 하부 분리 및 개방 조작을 통해 덮개(120)를 일일이 개방하지 않고서도 화장품 수납 접시의 리필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시 받침틀(130)에 대하여 화장품 수납접시(140) 만을 리필 용도로 교체 사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률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고, 특히 소비자는 화장품이 충전된 화장품 수납접시 만을 구입하여 교체 사용하면 됨에 따라 그만큼 화장품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의 장착공간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방식의 접시 받침틀(130)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화장품 수납접시를 포함하여 그 전체를 리필용도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110: 케이스 본체 111: 장착공간
112: 구획면 113: 구획공간
115: 받침요구 116: 록킹홈
120: 덮개 121: 제1힌지부
130: 접시 받침틀 131: 바닥면
132: 안착돌기 133: 받침편
134: 탄성 조작편 134a: 로킹턱
135: 제2힌지부 140: 화장품 수납접시
141: 안착홈 142: 요철홈

Claims (6)

  1.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장착공간(111)을 가짐과 동시에 구획면(112)으로는 화장품의 도포 사용을 위한 구획공간(113)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대해 개폐 조작 가능하게 제1힌지부(121)로 결합되는 덮개(12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에 대하여 하부에서 완전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짐과 동시에 바닥면(131)으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132)가 돌출 형성되어진 접시 받침틀(130)과;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바닥면(131)으로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착돌기(132)에 상호 결합되는 안착홈(141)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적정한 수 및 배열 형태로 배치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시 받침틀(130)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 내부 일 측면으로 형성된 받침요구(115)에 대해 접시 받침틀(130)에 형성된 받침편(133)이 걸림 받침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간(111)의 내부 타 측면으로 형성된 로킹홈(116)에 대해 접시 받침틀(130)에 형성된 탄성 조작편(134)의 로킹턱(134a)이 탄성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으로부터 완전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구획면(112)으로 형성되는 구획공간(113)은,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배치 수 및 배열 형태에 맞추어 대응되게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화장품 수납접시(140)는,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에 결합시, 그 상단 둘레면이 구획면(112)에 의해 전체적으로 걸림 차단되어 임의적인 분리 이탈이 방지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4. 삭제
  5.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장착공간(111)을 가짐과 동시에 구획면(112)으로는 화장품의 도포 사용을 위한 구획공간(113)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대해 개폐 조작 가능하게 제1힌지부(121)로 결합되는 덮개(12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에 대하여 하부에서 일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짐과 동시에 바닥면(131)으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132)가 돌출 형성되어진 접시 받침틀(130)과;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바닥면(131)으로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착돌기(132)에 상호 결합되는 안착홈(141)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내부에 적정한 수 및 배열 형태로 배치되는 화장품 수납접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시 받침틀(130)은, 케이스 본체(110)에 대해 일 측이 제2힌지부(135)로 연결 지지되고, 상기 장착공간(111)의 내부 타 측면으로 형성된 로킹홈(116)에 대해 접시 받침틀(130)에 형성된 탄성 조작편(134)의 로킹턱(134a)이 탄성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장착공간(111)에 대해 일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수납접시(140)의 바닥으로는 상기 접시 받침틀(130)의 바닥면(131)에 대한 진공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홈(142)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KR1020210006776A 2021-01-18 2021-01-18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KR102545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76A KR102545418B1 (ko) 2021-01-18 2021-01-18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76A KR102545418B1 (ko) 2021-01-18 2021-01-18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456A KR20220104456A (ko) 2022-07-26
KR102545418B1 true KR102545418B1 (ko) 2023-06-21

Family

ID=8260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776A KR102545418B1 (ko) 2021-01-18 2021-01-18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4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921Y1 (ko) * 2004-10-26 2005-01-14 주식회사 태평양 콤팩트 리필용기 착탈구조
KR200375845Y1 (ko) * 2004-11-23 2005-03-11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용기
JP2014104146A (ja) * 2012-11-27 2014-06-09 Yakult Honsha Co Ltd コンパク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8517Y2 (ja) * 1993-11-19 1999-08-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
KR200230127Y1 (ko) 2000-12-14 2001-07-03 이상규 화장품 팔레트
KR20090010381U (ko) 2008-04-08 2009-10-13 (주)아모레퍼시픽 일회용 팔레트를 구비한 색조 화장품 용기
KR200474872Y1 (ko) 2014-05-16 2014-10-22 (주)민진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921Y1 (ko) * 2004-10-26 2005-01-14 주식회사 태평양 콤팩트 리필용기 착탈구조
KR200375845Y1 (ko) * 2004-11-23 2005-03-11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용기
JP2014104146A (ja) * 2012-11-27 2014-06-09 Yakult Honsha Co Ltd コンパ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456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579B2 (en) Cup with a pill shelf
US20190059557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removable palette
US4555020A (en) Compact
US3187757A (en) Plural dispensing units and toilet kit with central compartmented storage member
US11344090B2 (en) Multi-layer multi-compartment cosmetic and personal items container for holding both flat and tall items
US20160194115A1 (en) Customizable Caddy
US20200260833A1 (en) Cosmetics carry system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42207Y1 (ko) 멀티 팔레트와 다이얼 회전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545418B1 (ko)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KR200490093Y1 (ko) 다수개의 수납부와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079452B1 (ko) 듀얼 타입의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10213072B2 (en) Method of forming a toilet caddy assembly
KR102493081B1 (ko)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KR200230127Y1 (ko) 화장품 팔레트
KR200191357Y1 (ko) 다단의 수납함을 갖는 입술화장용 연지세트
KR102610086B1 (ko) 리필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369558B1 (ko) 바인더형 팔레트
KR20230167827A (ko) 듀얼 어플리케이터 파우더 팩트 용기
KR20240072584A (ko) 화장품 용기
KR100979331B1 (ko) 채색용 봉체 수납케이스
KR20150001416U (ko) 손잡이를 구비한 리필용기가 장착된 화장품용기
JP2004180875A (ja) パウダー容器
JPH03895Y2 (ko)
US20230240430A1 (en) Makeup palette with removable brush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