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053A -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053A
KR20220050053A KR1020210133161A KR20210133161A KR20220050053A KR 20220050053 A KR20220050053 A KR 20220050053A KR 1020210133161 A KR1020210133161 A KR 1020210133161A KR 20210133161 A KR20210133161 A KR 20210133161A KR 20220050053 A KR20220050053 A KR 20220050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b head
golf club
rib
iron
cir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705B1 (ko
Inventor
후미야 사이토
야스하루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Strengthening ri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 A63B53/0425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the face insert compris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타감을 충분히 높이는 것이 가능한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10)는 페이스부(1) 및 이 페이스부(1)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부(2)를 구비하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10)로서, 솔부(2)에 연결되고, 또한 페이스부(1)의 배면에 배치되는 리브(8)를 구비하고, 리브(8)가 솔부(2)로부터 페이스부(1)의 배면(1b)의 도심 또는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도심을 배면(1b)에 투영한 투영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의 제 1 원과, 골프 클럽 헤드(10)의 무게중심을 배면(1b)에 투영한 투영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의 제 2 원과, 제 1 원 및 제 2 원에 외접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이는 타원 형상의 영역 내까지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IRON-TYPE GOLF CLUB HEAD}
본 발명은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에 요구되는 품질로서 타감(打感)의 좋음을 들 수 있다. 타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페이스부의 진동을 제어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페이스부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반발 계수가 높아진 골프 클럽 헤드에서는 페이스부의 배면측에 리브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미국특허출원공개 2017/028270호 명세서 참조).
미국특허출원공개 2017/028270호 명세서
특허문헌 1에는 페이스부의 배면측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한 쌍의 리브가 페이스부와는 떨어진 위치에서 페이스부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걸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리브에 따라서는 타감을 충분히 높이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과제는 타감을 충분히 높이는 것이 가능한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는 페이스부 및 이 페이스부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부를 구비하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로서, 상기 솔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페이스부의 배면에 배치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가 상기 솔부로부터 상기 페이스부의 배면의 도심 또는 상기 페이스부의 전방면의 도심을 상기 배면에 투영한 투영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의 제 1 원과,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중심을 상기 배면에 투영한 투영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의 제 2 원과, 상기 제 1 원 및 상기 제 2 원에 외접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이는 타원 형상의 영역 내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는 횡관성 모멘트가 4000g·㎠ 이상이면 좋다.
상기 페이스부의 전방면의 면적이 36.7㎠ 이상이면 좋다.
상기 리브의 상단부가 상기 타원 형상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상기 리브의 상단부가 상기 제 1 원의 중심과 상기 제 2 원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가상 직선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상기 제 1 원의 중심과 상기 리브의 최소 거리가 상기 제 2 원의 중심과 상기 리브의 최소 거리 이하이면 좋다.
상기 리브가 상기 솔부로부터 상기 타원 형상의 영역을 향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경사져 있으면 좋다.
상기 리브가 상기 솔부와 토우측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타원 형상의 영역 내에 있어서의 상기 리브의 높이로서는 5㎜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부가 토우·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갖고 있으며, 상기 리브가 상기 홈의 저면 및 측면에 연결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이란 타격하는 측을 의미하고, 「후」란 그 반대측을 의미한다. 「페이스부의 전방면」이란 골프 클럽 헤드의 전방면 중 힐부의 토우측의 경계선보다 토우측의 영역을 의미한다(도 5의 굵은 테두리 내의 영역 참조). 「페이스부의 배면」이란 페이스부의 전방면과 대향하는 평탄면을 의미한다(도 6의 굵은 실선과 굵은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참조). 또한, 「평탄면」이란 높이 또는 깊이가 0.5㎜ 이하인 요철을 갖는 형상을 포함한다.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중심을 배면에 투영한 투영점」이란 페이스부의 배면에 대해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중심을 페이스부의 전방면의 법선 방향으로 투영한 투영점을 의미한다. 「횡관성 모멘트」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로프트각 및 라이각이 되도록 상기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를 수평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연직축 주위의 관성 모멘트를 의미한다. 「리브가 솔부와 토우측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다」란 페이스부의 배면에 있어서의 토우·힐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리브가 솔부와 토우측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토우·힐 방향」이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로프트각 및 라이각이 되도록 상기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를 수평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과 수직한 수평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는 페이스부의 진동하기 쉬운 부분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를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전방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의 모식적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의 리브의 배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부의 전방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부의 배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와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를 나타내는 모식적 배면도이다.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도 1로부터 도 4의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10)(이하, 단지 「골프 클럽 헤드(10)」라고도 함)는 페이스부(1)와, 페이스부(1)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부(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페이스부(1)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톱부(3)와, 페이스부(1)의 토우측(선단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토우부(4)와, 페이스부(1)의 힐측(선단측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힐부(5)와, 힐부(5)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호젤부(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솔부(2)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페이스부(1)의 배면(1b)으로부터 이간하여 상방으로 융기하는 후벽부(7)를 구비한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솔부(2)에 연결되고, 또한 페이스부(1)의 배면(1b)에 배치되는 리브(8)를 구비한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호젤부(6)에 샤프트(9)가 접속된 상태에서 아이언형 골프 클럽(X)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철,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바람직하게는 타구의 방향성을 높이는 것을 의도하여 설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페이스부(1)의 두께(페이스부의 전방면(1a)과 배면(1b)의 거리)를 작게 하면서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즉, 토우·힐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횡관성 모멘트를 높인 설계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골프 클럽 헤드는 페이스부의 두께의 박육화에 기인하여 페이스부의 강성이 작아지고, 타감이 나빠진다. 이것에 대해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페이스부(1)의 배면(1b)에 리브(8)를 배치함으로써 타감을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의 횡관성 모멘트의 하한으로서는 4000g·㎠가 바람직하고, 4100g·㎠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횡관성 모멘트가 상기 하한 이상임으로써 타구의 방향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이렇게 큰 관성 모멘트를 구비하는 경우이어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브(8)의 배치를 제어함으로써 골프 클럽 헤드(10) 전체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횡관성 모멘트의 증대와 타감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횡관성 모멘트의 증대와 타감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는 것이며, 횡관성 모멘트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골프 클럽의 구성상 현실적으로는 상기 횡관성 모멘트의 상한으로서는, 예를 들면 4600g·㎠로 할 수 있다.
(페이스부)
페이스부(1)는 타격면을 구성하는 전방면(1a)(도 5의 굵은 테두리 내의 영역 참조)과, 전방면(1a)의 반대측의 배면(1b)(도 6의 굵은 실선과 굵은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참조)을 갖는다. 전방면(1a)에는 복수의 스코어 라인(11)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스코어 라인(11)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토우·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면적의 하한으로서는 36.7㎠가 바람직하고, 37.7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면적이 상기 하한 이상임으로써 횡관성 모멘트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면적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했을 경우, 페이스부(1)가 박육화함으로써 페이스부(1)가 진동하기 쉬워져 타감의 악화를 초래하기 쉽다. 이것에 대해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리브(8)의 배치를 제어함으로써 골프 클럽 헤드(10) 전체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타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 타감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며,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면적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골프 클럽의 구성상 현실적으로는 상기 면적의 상한으로서는, 예를 들면 40.7㎠로 할 수 있다.
(솔부)
솔부(2)는 페이스부(1)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토우측의 단부에서 토우부(4)와 접속되고, 또한 힐측의 단부에서 힐부(5)와 접속되어 있다. 솔부(2)는 토우·힐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또한 전후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는 박판 형상이다.
도 2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부(2)는 토우·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a)을 갖고 있다. 솔부(2)는 홈(2a)을 가짐으로써 페이스부(1)의 휨성을 높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2a)은 페이스부(1)의 배면(1b)과 직결하여 있어도 좋다. 즉, 홈(2a)의 전방측의 측면은 페이스부(1)의 배면(1b)을 겸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솔부(2)가 페이스부(1)의 휨을 방해하기 어렵다.
(후벽부)
후벽부(7)는 골프 클럽 헤드(10)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의 중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의 횡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는 데 기여한다. 후벽부(7)의 전방면은 솔부(2)에 형성되는 홈(2a)의 후방측의 측면을 겸하고 있다. 후벽부(7)는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의 토우측에, 다른 부분에 대해 강성이 큰 고강성부(7a)를 갖고 있다. 고강성부(7a)는, 예를 들면 토우·힐 방향에 수직한 단면적이 확장된 확장부이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후벽부(7)가 고강성부(7a)를 가짐으로써 횡관성 모멘트를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리브)
도 2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8)는 솔부(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8)는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도심(G1)을 배면(1b)에 투영한 투영점(G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의 제 1 원(C1)과, 골프 클럽 헤드(10)의 무게중심을 페이스부(1)의 배면(1b)에 투영한 투영점(G2')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의 제 2 원(C2)과, 제 1 원(C1) 및 제 2 원(C2)에 외접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선분(L1, L2)으로 둘러싸이는 타원 형상의 영역(R1) 내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원(C1)은 투영점(G1')을 중심으로 하여 페이스부(1)의 배면(1b)에 그려지는 가상 원이다. 또한, 제 2 원(C2)은 투영점(G2')을 중심으로 하여 페이스부(1)의 배면(1b)에 그려지는 가상 원이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골프 클럽 헤드(10) 전체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타감을 높이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리브(8)는 타감을 높이는 데 적합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리브(8)는 페이스부(1) 중 진동하기 쉬운 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샤프트(9) 및 이 샤프트(9)로부터 연속하는 힐부(5)를 축으로 하여 페이스부(1)가 휘는 경우,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도심(G1)은 페이스부(1) 중에서 가장 진동하기 쉬운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타구의 임팩트 시에 있어서의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타구와의 접촉 범위는 통상 반경 10㎜ 정도의 원형이 된다. 그 때문에, 제 1 원(C1)은 타구의 임팩트 시에 가장 진동하기 쉬운 영역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횡관성 모멘트를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투영점(G2') 근방의 강성이 비교적 작아지기 쉽다. 이 때문에, 제 2 원(C2)은 페이스부(1)가 진동하기 쉬운 영역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의 사항으로부터, 제 1 원(C1)과, 제 2 원(C2)과, 이들 2개의 원(C1, C2)에 끼이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타원 형상의 영역(R1)은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에 있어서 페이스부(1)의 진동하기 쉬운 영역에 대응하고 있다. 그 때문에, 리브(8)가 솔부(2)로부터 타원 형상의 영역(R1) 내까지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리브(8)에 의해 페이스부(1)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골프 클럽 헤드(10) 전체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타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리브(8) 이외에 다른 리브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단,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골프 클럽 헤드(10) 전체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는 1개의 리브(8)만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8)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페이스부(1)의 배면(1b)에 접속되어 있다. 리브(8)는 토우·힐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판 형상이다. 리브(8)의 두께는 균일해도 좋다. 리브(8)의 상단부는 톱부(3)까지는 이르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브(8)의 상단부와 톱부(3)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리브(8)의 상하 방향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리브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골프 클럽 헤드(10) 전체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리브(8)는 타원 형상의 영역(R1) 내까지 연장되어 있는 한, 타원 형상의 영역(R1)을 초과하여 타원 형상의 영역(R1)보다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리브가 「타원 형상의 영역 내까지 연장되어 있다」란 리브가 타원 형상의 영역을 초과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단, 리브(8)의 상단부는 타원 형상의 영역(R1)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솔부(2)에 고정된 리브(8)가 타원 형상의 영역(R1) 내까지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이 타원 형상의 영역(R1)의 진동을 억제하여 타감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리브(8)의 상단부가 타원 형상의 영역(R1) 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타감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 내에서 리브(8)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 전체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리브(8)의 상단부는 제 1 원(C1)의 중심과 제 2 원(C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 직선(V)보다 하방에 위차하고 있어도 좋다. 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8)의 상단부는 제 1 원(C1)의 중심과 제 2 원(C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 직선(V) 상에 위치하고 있거나 또는 가상 직선(V)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구의 임팩트 시에 있어서의 페이스부(1)의 진동을 보다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어 타감을 높이기 쉽다.
또한, 리브(8)의 상단부가 가상 직선(V) 상에 위치하고 있거나 또는 가상 직선(V)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리브(8)는 제 1 원(C1)의 중심과 제 2 원(C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원(C1)과 제 2 원(C2)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 리브(8)는 제 1 원(C1) 및 제 2 원(C2)의 양방에 포함되는 영역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구의 임팩트 시에 있어서의 페이스부(1)의 진동을 보다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어 타감을 높이기 쉽다.
제 1 원(C1)의 중심과 리브(8)의 최소 거리는 제 2 원(C2)의 중심과 리브(8)의 최소 거리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8)가 페이스부(1) 중에서 가장 진동하기 쉬운 부분이 될 수 있는 제 1 원(C1)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타구의 임팩트 시에 있어서의 페이스부(1)의 진동을 보다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원(C1)의 중심과 리브(8)의 최소 거리가 제 2 원(C2)의 중심과 리브(8)의 최소 거리 이하인 경우, 제 1 원(C1)의 중심과 리브(8)의 최소 거리는 0이어도 좋다. 즉, 리브(8)는 제 1 원(C1)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리브(8)는 솔부(2)로부터 타원 형상의 영역(R1)을 향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과 같이,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후벽부(7)의 토우측에 고강성부(7a)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리브(8)가 솔부(2)로부터 타원 형상의 영역(R1)을 향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 리브(8)는 고강성부(7a)에 연결되거나, 적어도 고강성부(7a)에 근접하는 위치에 연결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8)를 골프 클럽 헤드(10)에 있어서 진동하기 어려운 부분에 연결할 수 있어(즉, 리브(8)를 골프 클럽 헤드(10)에 있어서 진동하기 어려운 부분으로부터 진동하기 쉬운 부분으로 연장시킬 수 있어)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의 타감을 높이기 쉽다.
리브(8)는 그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에 걸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8)의 길이를 작게 하여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타감을 효과적으로 높이기 쉽다.
리브(8)는 솔부(2)와 토우측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브(8)는 고강성부(7a)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8)를 골프 클럽 헤드(10)에 있어서 진동하기 어려운 부분에 연결할 수 있어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의 타감을 높이기 쉽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8)는 솔부(2)의 홈(2a)에 연결되어 있다. 리브(8)는 홈(2a)의 저면 및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리브(8)의 하단부는 홈(2a)에 감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리브(8)는 홈(2a)의 전방측의 측면(즉, 페이스부(1)의 배면(1b))과, 홈(2a)의 저면(즉, 솔부(2)의 상면)과, 홈(2a)의 후방측의 측면(즉, 후벽부(7)의 전방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리브(8)가 홈(2a)의 저면 및 측면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리브(8)의 진동을 억제하기 쉽다. 그 결과, 타감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높이기 쉽다.
타원 형상의 영역(R1) 내에 있어서의 리브(8)의 높이(페이스부(1)의 배면(1b)에 대한 수직 방향의 길이)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타원 형상의 영역(R1) 내에 있어서의 리브(8)의 최소 높이로서는 5㎜가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가 상기 하한에 만족하지 않으면, 타구의 임팩트 시에 리브(8)가 진동하기 쉬워져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의 타감을 충분히 높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타원 형상의 영역(R1) 내에 있어서의 리브(8)의 높이의 상한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리브(8)의 중량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10㎜가 바람직하고, 7㎜가 보다 바람직하다.
홈(2a)에 연결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리브(8)의 최대 높이(페이스부(1)의 배면(1b)에 대한 수직 방향의 최대 길이)는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대 높이가 상기 하한에 만족하지 않으면, 타구의 임팩트 시에 리브(8)가 진동하기 쉬워져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의 타감을 충분히 높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홈(2a)에 연결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리브(8)의 최대 높이의 상한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리브(8)의 중량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12㎜가 바람직하고, 10㎜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8)의 높이는 그 상단부로부터 홈(2a)에 연결되는 측(높이가 최대가 되는 측)을 향해 점증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구의 임팩트 시에 있어서의 리브(8)가 진동을 억제하면서 리브(8)의 중량을 작게 하여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점>
상기 골프 클럽 헤드(10)는 페이스부(1)의 진동하기 쉬운 부분의 배면(1b)에 선택적으로 리브(8)를 형성함으로써 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골프 클럽 헤드>
도 7의 골프 클럽 헤드(20)는 페이스부(1) 및 페이스부(1)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부(2)를 구비한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20)는 솔부(2)에 연결되고, 또한 페이스부(1)의 배면(1b)에 배치되는 리브(18)를 구비한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20)는 리브(18)의 배치가 상위해 있는 것 이외,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10)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리브(18)의 배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리브)
리브(18)는 페이스부(1)의 배면(1b)의 도심(G1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의 제 1 원(C11)과, 골프 클럽 헤드(20)의 무게중심을 페이스부(1)의 배면(1b)에 투영한 투영점(G2')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의 제 2 원(C2)과, 제 1 원(C11) 및 제 2 원(C2)에 외접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선분(L11, L12)으로 둘러싸이는 타원 형상의 영역(R11)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원(C11)은 도심(G11)을 중심으로 하여 페이스부(1)의 배면(1b)에 그려지는 가상 원이며, 제 2 원(C2)은 투영점(G2')을 중심으로 하여 페이스부(1)의 배면(1b)에 그려지는 가상 원이다. 즉,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10)의 제 1 원(C1)이 페이스부(1)의 전방면(1a)의 도심(G1)을 배면(1b)에 투영한 투영점(G1')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것에 비해, 상기 골프 클럽 헤드(20)의 제 1 원(C11)은 페이스부(1)의 배면(1b)의 도심(G11)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20)에 있어서, 리브(18)는 페이스부(1) 중 진동하기 쉬운 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골프 클럽 헤드(20)에 있어서, 페이스부(1)의 배면(1b)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솔부(2), 톱부(3), 토우부(4) 및 힐부(5)가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페이스부(1)는 배면측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서 솔부(2), 톱부(3), 토우부(4) 및 힐부(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페이스부(1)의 배면(1b)의 도심(G11)은 페이스부(1) 중에서 가장 진동하기 쉬운 부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원(C11)과, 제 2 원(C2)과, 이들 2개의 원(C11, C2)에 끼이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타원 형상의 영역(R11)은 상기 골프 클럽 헤드(20)에 있어서 페이스부(1)의 진동하기 쉬운 영역에 대응하고 있다. 그 때문에, 리브(18)가 솔부(2)로부터 타원 형상의 영역(R11) 내까지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리브(18)에 의해 페이스부(1)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골프 클럽 헤드(20) 전체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타감을 높일 수 있다.
제 1 원(C11)의 중심이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10)와는 상위해 있는 것 이외, 리브(18)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1의 리브(8)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원 형상의 영역(R11)에 대한 리브(18)의 상단부의 위치, 리브(18)의 경사 방향, 리브(18)와 솔부(2)의 연결 위치, 리브(18)의 높이 등은 도 1의 리브(8)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이점>
상기 골프 클럽 헤드(20)는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10)와 마찬가지로 페이스부(1)의 진동하기 쉬운 부분의 배면(1b)에 선택적으로 리브(18)를 형성함으로써 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의 기재 및 기술 상식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형태 각 부의 구성요소의 생략, 치환 또는 추가가 가능하며,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리브가 상기 타원 형상의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는 한, 상기 제 1 원의 중심과 상기 리브의 최소 거리를 상기 제 2 원의 중심과 상기 리브의 최소 거리보다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솔부에 대한 상기 리브의 연결 위치는 골프 클럽 헤드의 구체적인 구성 등에 의거하여 설정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리브는 상기 솔부와 힐측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솔부로부터 상기 타원 형상의 영역을 향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경사지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솔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솔부는 토우·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솔부가 홈을 갖는 경우이어도 이 홈은, 예를 들면 상기 페이스부의 배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페이스부의 배면에는 상기 리브 이외의 보강 부재나 완충 부재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타감의 향상 효과를 단적으로 발휘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상기 페이스부의 배면에는 상기 리브 이외의 보강 부재는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이스부의 배면에는 상기 리브 이외의 완충 부재는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는 타감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하다.
1 페이스부
1a 전방면
1b 배면
2 솔부
2a 홈
3 톱부
4 토우부
5 힐부
6 호젤부
7 후벽부
7a 고강성부
8, 18 리브
9 샤프트
10, 20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골프 클럽 헤드)
11 스코어 라인
C1, C11 제 1 원
C2 제 2 원
L1, L2, L11, L12 선분
G1 페이스부의 전방면의 도심
G11 페이스부의 배면의 도심
G1' 페이스부의 전방면의 도심을 페이스부의 배면에 투영한 투영점
G2'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중심을 페이스부의 배면에 투영한 투영점
R1, R11 타원 형상의 영역
V 제 1 원의 중심과 제 2 원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 직선
X 아이언형 골프 클럽

Claims (10)

  1. 페이스부 및 이 페이스부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부를 구비하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로서,
    상기 솔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페이스부의 배면에 배치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가 상기 솔부로부터 상기 페이스부의 배면의 도심 또는 상기 페이스부의 전방면의 도심을 상기 배면에 투영한 투영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의 제 1 원과,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중심을 상기 배면에 투영한 투영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의 제 2 원과, 상기 제 1 원 및 상기 제 2 원에 외접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이는 타원 형상의 영역 내까지 연장되어 있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횡관성 모멘트가 4000g·㎠ 이상인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부의 전방면의 면적이 36.7㎠ 이상인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단부가 상기 타원 형상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단부가 상기 제 1 원의 중심과 상기 제 2 원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가상 직선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의 중심과 상기 리브의 최소 거리가 상기 제 2 원의 중심과 상기 리브의 최소 거리 이하인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상기 솔부로부터 상기 타원 형상의 영역을 향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경사져 있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상기 솔부와 토우측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 형상의 영역 내에 있어서의 상기 리브의 높이가 5㎜ 이상인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가 토우·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갖고 있으며,
    상기 리브가 상기 홈의 저면 및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KR1020210133161A 2020-10-15 2021-10-07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KR102629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74069 2020-10-15
JP2020174069A JP2022065468A (ja) 2020-10-15 2020-10-15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053A true KR20220050053A (ko) 2022-04-22
KR102629705B1 KR102629705B1 (ko) 2024-01-29

Family

ID=8131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161A KR102629705B1 (ko) 2020-10-15 2021-10-07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065468A (ko)
KR (1) KR102629705B1 (ko)
CN (2) CN21667689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65468A (ja) * 2020-10-15 2022-04-27 ヤマハ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521A (ja) * 1999-07-16 2001-02-06 Bridgestone Sports Co Ltd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170028270A (ko) 2015-09-01 2017-03-13 존슨 일렉트릭 에스.에이. 단상 영구 자석 모터 및 그 고정자 코어
JP2018015564A (ja) * 2016-07-26 2018-02-01 アクシネット・カンパニー ゴルフクラブにおける打撃面撓み構造
JP3224026U (ja) * 2019-08-16 2019-11-21 復盛應用科技股▲分▼有限公司 不等厚プレート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026B2 (ja) * 1999-08-23 2001-10-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電源強制遮断機能つきコンピュータ
KR100482427B1 (ko) * 2003-12-19 2005-04-14 박장원 성형몸체와 내부 공동구조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가교발포성형체와 그 성형방법
CN102794003A (zh) * 2011-05-23 2012-11-28 普利司通运动株式会社 高尔夫球杆头
JP2022065468A (ja) * 2020-10-15 2022-04-27 ヤマハ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521A (ja) * 1999-07-16 2001-02-06 Bridgestone Sports Co Ltd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170028270A (ko) 2015-09-01 2017-03-13 존슨 일렉트릭 에스.에이. 단상 영구 자석 모터 및 그 고정자 코어
JP2018015564A (ja) * 2016-07-26 2018-02-01 アクシネット・カンパニー ゴルフクラブにおける打撃面撓み構造
JP3224026U (ja) * 2019-08-16 2019-11-21 復盛應用科技股▲分▼有限公司 不等厚プレート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25146B (zh) 2023-05-02
JP2022065468A (ja) 2022-04-27
CN216676899U (zh) 2022-06-07
CN114425146A (zh) 2022-05-03
KR102629705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9642B2 (en) Golf club head
JP5349006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989509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US9522310B2 (en) Golf club head
JP200430533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0252964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
JP6892771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561908B2 (en) Golf club head
US20200406109A1 (en) Golf club head
KR102400750B1 (ko) 중공 골프 클럽 헤드
KR20220050053A (ko)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JP535978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0126337A (ja) アイアンの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5107074B2 (ja) ゴルフクラブ
JP666196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107073B2 (ja) ゴルフクラブ
JP5447914B2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
JP2010029544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28973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H07204297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2000084126A (ja) アイアンクラブヘッド
KR20220115045A (ko)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KR20230139320A (ko) 우드형 골프 클럽 헤드 및 우드형 골프 클럽
US20080227565A1 (en)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JP2024072510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