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188A -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 Google Patents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188A
KR20220049188A KR1020200132495A KR20200132495A KR20220049188A KR 20220049188 A KR20220049188 A KR 20220049188A KR 1020200132495 A KR1020200132495 A KR 1020200132495A KR 20200132495 A KR20200132495 A KR 20200132495A KR 20220049188 A KR20220049188 A KR 20220049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material
weight
smoking
flavored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394B1 (ko
Inventor
이철희
차광호
김한진
정내오
이장미
임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13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394B1/ko
Priority to CN202180006568.2A priority patent/CN114727644A/zh
Priority to EP21880330.2A priority patent/EP4042883A4/en
Priority to JP2022524688A priority patent/JP2023503231A/ja
Priority to US17/791,042 priority patent/US20230043392A1/en
Priority to PCT/KR2021/012546 priority patent/WO2022080682A1/ko
Publication of KR20220049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2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 A24B15/14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made of tobacco and a binding agent not derived from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3/00Tobacco for pipes, for cigars, e.g. cigar inserts, or for cigarettes; Chewing tobacco; Snuf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5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comprising as heat source a carbon fuel or an oxidized or thermally degraded carbonaceous fuel, e.g. carbohydrates,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2Steaming, curing, or flavouring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7/00Cutting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9/00Control of the moisture content of tobacco products, e.g. cigars, cigarettes, pipe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향료를 베이스 용액에 희석하여 흡연재료에 첨가하는 단계와, 가향료가 첨가된 흡연재료를 항온항습조건에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CASING AND AGING METHOD OF SMOKING MATERIAL AND A SMOKING ARTICL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흡연물품 대비 긍정적 관능품질과 차별화된 향 발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향숙성 잎담배 및 상기 가향숙성 잎담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연 시 느껴지는 담배 맛은 흡연물질부, 필터부 및 궐련지의 구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나, 근본적으로는 흡연물질부(예를 들어, 연소부)를 구성하는 흡연재료로서의 잎담배, 판상엽 등의 구성 종류, 향기성분 등의 첨가물 및 이들의 숙성방식에 의하여 그 맛이 결정 또는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궐련에 사용되는 잎담배는 그 종류가 다소 한정적이며, 궐련에 첨가될 수 있는 가향물질의 함량은 담배의 제한된 크기, 일부 법적규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첨가량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에, 흡연자들의 기호에 맞는 담배 맛의 구현 및 향기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흡연재료의 숙성 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담배의 맛과 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향료를 베이스 용액에 희석하여 상기 흡연재료에 첨가하는 단계; 상기 가향료가 첨가된 상기 흡연재료를 항온항습조건에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향료 첨가 단계에서, 상기 가향료와 상기 베이스 용액의 합산 중량은 상기 흡연재료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향료의 중량 및 상기 베이스 용액의 중량 각각은 상기 흡연재료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일 수 있다.
한편,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은 상기 가향료 첨가 단계 및 상기 숙성 단계 사이에서, 상기 흡연재료의 수분이 15중량% 내지 35중량%가 되도록 상기 흡연재료의 수분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성 단계는, 내부 온도가 60℃ 내지 80℃이며 내부 상대습도가 20% 내지 40%인 조건에서 7일 내지 25일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연재료는 전당 함량이 20중량% 내지 40중량%인 잎담배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가향료는 바닐라 농축물, 초코렛 농축물, 메이플 시럽, 건오얏(prune) 농축물, 코코아 농축물, 솔(pine) 향액, 계피 향액 및 레드와인 향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향료는 상기 바닐라 농축물이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알코올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가향료는 상기 초코렛 농축물이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물일 수 있다.
상기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은, 상기 가향료가 첨가된 후 숙성처리된 상기 흡연재료를 습점처리하는 단계;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습점처리된 상기 흡연재료를 1차적으로 보습하는 단계; 1차 보습된 상기 흡연재료를 절각하는 단계; 절각된 상기 흡연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상기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건조된 상기 흡연재료를 2차적으로 보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점처리 단계는 90℃ 내지 110℃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고, 상기 건조 단계는 100℃ 내지 120℃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며, 상기 1차 보습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의 중량은 상기 1차 보습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 글리세린의 중량보다 작되, 상기 2차 보습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의 중량은 상기 2차 보습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 글리세린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상술한 가향숙성방법에 의해 가향숙성된, 가향숙성 잎담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향숙성 잎담배로 충진된 흡연물질부; 및 상기 흡연물질부보다 하류에 위치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연물질부에는 상기 가향숙성 잎담배 15중량% 내지 35중량%, 비-가향숙성 잎담배 5중량% 내지 25중량%, 토스트엽 15중량% 내지 35중량%, 판상엽 1중량% 내지 20중량% 및 팽화주맥 15중량% 내지 35중량%가 배합되어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재료 가향숙성방법에 의할 경우 흡연재료에 차별화된 향 캐릭터를 부여할 수 있으며, 향 지속성이 우수하고 전체적인 담배 맛 또한 증진된 흡연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흡연재료의 가향 및 숙성처리를 통해 가향된 향미성분의 향 발현 특성을 극대화하여, 흡연 시 발생할 수 있는 자극성과 이취미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가향숙성된 잎담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각각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의 흡연 관능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흡연 물품"(smoking article)이란, 담배, 담배 파생물, 팽화처리 담배(expanded tobacco),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또는 담배 대용물에 기반하느냐에 상관없이 흡연 가능한 임의의 제품 또는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은 궐련, 엽궐련(cigar) 및 작은 엽궐련(cigarillo) 등 같은 흡연 가능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흡연 물질"(smoking material)이란, 흡연 물품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류"(upstream) 또는 "상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downstream) 또는 "하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흡연 물품의 길이 방향 축에 상응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흡연물품'은 담배(궐련), 시가 등과 같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건을 의미할 수 있다. 흡연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품은 판상엽 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질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은 가향료를 베이스 용액에 희석하여 흡연재료에 첨가하는 단계(S10), 가향된 흡연재료의 수분을 조정하는 단계(S20), 수분조정된 흡연재료를 항온항습조건에서 숙성시키는 단계(S30), 숙성된 흡연재료를 습점처리하는 단계(S40), 습점처리된 흡연재료를 1차적으로 보습처리하는 단계(S50), 1차 보습처리된 흡연재료를 절각하는 단계(S60), 절각된 흡연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S70) 및 건조된 흡연재료를 2차적으로 보습처리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가향숙성된 흡연재료는 비-가향숙성 잎담배, 판상엽, 토스트엽 및 팽화주맥 등과 배합된 후,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로 충진될 수 있다.
가향료를 베이스 용액에 희석하여 흡연재료에 첨가하는 단계(S10)에서, 흡연재료에 첨가되는 상기 가향료는 다양한 향미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용액은 알코올 또는 물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가향료는 바닐라 농축물, 초코렛 농축물, 메이플 시럽, 건오얏(prune) 농축물, 코코아 농축물, 솔(pine) 향액, 계피 향액 및 레드와인 향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 용액은 상기 가향료에 따라 알코올 및 물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향료는 바닐라 농축물 또는 초코렛 농축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향료는 바닐라 농축물이고, 이 경우 상기 베이스 용액은 알코올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가향료는 초코렛 농축물이고, 이 경우 상기 베이스 용액은 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가향료와 상기 베이스 용액의 합산 중량은 상기 흡연재료의 총 중량 대비 대략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연재료의 총 중량 대비 약 5% 내지 15%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향료의 중량 및 상기 베이스 용액의 중량 각각은 상기 흡연재료의 총 중량 대비 대략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6%일 수 있다. 상기 가향료 및 베이스 용액은 1:2 내지 2:1의 비율(예를 들어, 약 1:1)로 희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흡연재료의 총 중량 대비 약 4%의 가향료와 약 4%의 베이스 용액이 상기 흡연재료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가향숙성 공정에서의 잎담배 물리성 악화를 방지하고 양산에 충분한 수율 확보를 위해, 상기 흡연재료는 전당 함량이 약 20중량% 내지 40중량%인 잎담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흡연재료는 전당 함량이 약 25중량% 내지 35중량%인 황색종 본엽일 수 있다.
가향된 흡연재료의 수분을 조정하는 단계(S20)에서, 가향된 흡연재료는 수분 함량이 대략 10중량% 내지 3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5중량% 내지 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7중량% 내지 23중량%가 되도록 수분조정될 수 있다.
수분조정된 흡연재료를 항온항습조건에서 숙성시키는 단계(S30)는, 내부 온도가 대략 60℃ 내지 80℃이며 내부 상대습도가 대략 20% 내지 40%인 조건에서 약 7일 내지 25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숙성 단계(S30)는 내부 온도가 대략 65℃ 내지 75℃이며 내부 상대습도가 대략 25% 내지 35%인 조건에서 약 10일 내지 18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숙성된 흡연재료를 습점처리하는 단계(S40)는 9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고, 절각된 흡연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S70)는 상기 습점처리 단계(S40)보다 높은 온도, 예를 들어 10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15℃의 온도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숙성 단계(S30) 이후, 흡연재료에는 적어도 한번의 보습처리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한번의 보습처리 단계에서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가 흡연재료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한번의 보습처리 단계는 숙성 단계(S30)와 절각 단계(S60) 사이에서 수행되는 1차 보습처리 단계(S50)와, 건조 단계(S70) 이후에 수행되는 2차 보습처리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1차 보습처리 단계(S50)에서는 프로필렌 글리콜의 첨가 중량이 글리세린의 첨가 중량보다 작고, 2차 보습처리 단계(S80)에서는 프로필렌 글리콜의 첨가 중량이 글리세린의 첨가 중량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 1차 보습처리 단계(S50)에서는 흡연재료의 총 중량 대비 약 0.8% 내지 1.2%의 프로필렌 글리콜과 약 1.3% 내지 1.7%의 글리세린이 첨가되며, 2차 보습처리 단계(S80)에서는 흡연재료의 총 중량 대비 약 0.1% 내지 0.5%의 프로필렌 글리콜과 약 0.01% 내지 0.05%의 글리세린이 첨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연재료를 절각하는 단계(S60)에서 잎담배 등의 흡연재료는 폭이 대략 0.5mm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0.7mm 내지 1.1mm인 담배 가닥들로 세절될 수 있다.
상기한 공정조건들에 의해 가향숙성된 흡연재료를 사용하여 흡연물품을 제조 시, 후술할 것과 같이 흡연재료 내 향미성분 구성을 보다 바람직하게 개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향 발현특성 및 향 지속성이 우수하고 자극성과 이취미가 감소되어 전체적인 담배 맛 또한 증진된 흡연물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가향숙성된 흡연재료는 비-가향숙성 잎담배, 판상엽, 토스트엽 및 팽화주맥 등과 배합된 후,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로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비-가향숙성 잎담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향숙성 처리가 되지 않은 잎담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비-가향숙성 잎담배는 예를 들면 가향 및 숙성이 처리되지 않은 원료 잎담배, 가향공정만 처리된 잎담배, 또는 숙성공정만 처리된 잎담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할 흡연물질부(110)에 충진되는 흡연물질은 상기 가향숙성 잎담배 약 15중량% 내지 35중량%, 비-가향숙성 잎담배 약 5중량% 내지 25중량%, 토스트엽 약 15중량% 내지 35중량%, 판상엽 약 1중량% 내지 20중량% 및 팽화주맥 약 15중량% 내지 35중량%가 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가향숙성된 잎담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1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흡연물품(100)이 연소형 궐련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연물품(100)은 전자담배기기 등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미도시)와 함께 사용되는 가열식 궐련 등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흡연물품(100)은 흡연물질 래퍼(110a)가 감싸진 흡연물질부(110), 필터 래퍼(120a)가 감싸진 필터부(120) 및 상기 흡연물질부(110)와 필터부(120)를 결합시키는 팁페이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질부(110)는 길게 연장된 로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그 길이, 둘레 및 직경은 다양할 수 있다.
흡연물질부(11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가향숙성된 잎담배, 비-가향숙성 잎담배, 판상엽, 토스트엽 및 팽화주맥이 배합된 혼합물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흡연물질부(110)에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이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흡연물질부(1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아세테이트 화합물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미제는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윤제는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연물질부(110)는 상기 가향숙성된 잎담배와 판상엽, 토스트엽, 팽화주맥 등을 분쇄한 후 용매 및 다양한 첨가물을 혼합하여 슬러리 형태로 제조하고 건조시켜 시트를 형성한 후, 이러한 시트를 가공하여 막대 등과 같은 조각 형태로 형성된 재구성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연물질부(110)는 복수 개의 재구성 담배 물질 가닥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가닥 1개는 길이가 대략 10mm 내지 14mm (예를 들면, 12mm), 폭이 대략 0.8mm 내지 1.2mm (예를 들면, 1mm) 및 두께가 대략 0.08mm 내지 0.12mm (예를 들면, 0.1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흡연물질부(110)는 흡연물질 래퍼(110a)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상기 흡연물질 래퍼(110a)에는 글리세린과, 촉매 작용 등에 의해 흡연 물질의 완전 연소를 촉진시키기 위한 K-citrate 및/또는 NA-citrate 등의 조연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나아가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산화마그네슘 등의 충진제(filler)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연물질 래퍼(110a)는 이중 권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흡연물질 래퍼(110a)는 흡연물질부(110)에 접하며 흡연물질부(110)를 감싸는 이너 래퍼(inner wrapper) 및 상기 이너 래퍼와 접하며 상기 이너 래퍼의 외부를 감싸는 아우터 래퍼(outer wrapp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질 래퍼(110a)는 하나 이상의 저발화성(Low Ignition Propensity, LIP) 밴드(미도시)가 형성된 저발화성 궐련지일 수도 있다.
필터부(120)는 흡연물질부(110)의 하류에 배치되어, 흡연물질부(110)에서 발생한 에어로졸 물질을 사용자가 흡입하기 직전 통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필터부(1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필터부(12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부(120)는 향료 물질이 가향처리되지 않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터부(120)는 향료 물질이 가향처리된 TJNS(transfer jet nozzle system) 필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터부(120)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120)는 내부(예를 들어, 중공)에 동일 혹은 이형의 재질의 필름, 튜브 등의 구조물을 삽입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부(120)는 단일 필터로 이루어진 모노 필터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터부(120)는 필터 효율을 높이기 위해 2개의 아세테이트 필터를 구비한 듀얼 필터 또는 삼중 필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나아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터부(120)의 내부에는 캡슐(미도시)이 포함될 수도 있다. 캡슐은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캡슐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캡슐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는 천연소재, 전분 및/또는 겔화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캡슐의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 chain fatty acid triglyceride; MCTG)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은 색소, 유화제(乳化劑), 증점제(增粘劑) 등의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캡슐의 내용액에는 멘톨, 식물의 정유(精油) 등의 향료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필터부(120)는 필터 래퍼(120a)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터 래퍼(120a)는 내유성(耐油性)을 갖는 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필터 래퍼(120a)는 흡연자에 의해 필터부(120)에 포함될 수 있는 캡슐이 파쇄됨으로써 캡슐 외부로 방출되는 캡슐 내용액이 필터 래퍼(120a)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내유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래퍼(120a)의 안쪽 면에는 알루미늄 호일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필터 래퍼(120a)에 의해 포장된 필터부(120) 및 흡연물질 래퍼(110a)에 의해 포장된 흡연물질부(110)는 팁페이퍼(130)에 의해 결합 포장될 수 있다. 즉, 팁페이퍼(130)는 흡연물질 래퍼(110a)의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어, 하류 일부 영역) 및 필터 래퍼(120a)의 외곽에 둘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팁페이퍼(130)는 불연성 물질을 포함하여 흡연물질부(110)의 연소에 따라 필터부(120) 또한 연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를 위하여 시험용으로 제조된 궐련의 흡연물질부를 제거하고, 가향숙성 잎담배 약 20중량%, 비-가향숙성 잎담배 약 20중량%, 토스트엽 약 25중량%, 판상엽 약 10중량% 및 팽화주맥 약 25중량%가 배합하여 흡연물질부를 충전하였다.
배합에 사용된 가향숙성 잎담배는, 전당 함량이 약 30중량%인 국산 황색종 본엽을 가향숙성 처리하여 제조하였으며, 가향숙성 공정은 바닐라 농축물 약 4kg을 알코올 약 4kg에 희석하여 잎담배 약 100kg에 첨가하고, 잎담배의 수분 ?t량이 약 20%가 되도록 수분조정 후 내부 온도가 약 70℃이며 내부 상대습도가 약 30%인 조건에서 약 14일간 숙성하여 진행되었다. 숙성된 잎담배는 약 100℃의 온도에서 습점 처리 후, PG 약 1000g과 글리세린 약 1500g을 첨가하여 1차 보습되고, 약 0.9mm의 폭으로 절각되어 약 110℃의 온도에서 건조 후 PG 약 300g과 글리세린 약 30g을 첨가하여 2차 보습처리되었다.
실시예 2
가향숙성 공정에서 초코렛 농축물을 가향료로 사용하고 물을 베이스 용액으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가향숙성 공정에서 건오얏 농축물을 가향료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가향숙성 공정에서 메이플 시럽을 가향료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가향숙성 공정에서 코코아 농축물을 가향료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를 위하여 시험용으로 제조된 궐련의 흡연물질부를 제거하고, 숙성 잎담배 약 20중량%, 비-가향숙성 잎담배 약 20중량%, 토스트엽 약 25중량%, 판상엽 약 10중량% 및 팽화주맥 약 25중량%가 배합하여 흡연물질부를 충전하였다.
배합에 사용된 숙성 잎담배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잎담배를 가향료가 첨가되지 않은 상태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숙성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를 위하여 시험용으로 제조된 궐련의 흡연물질부를 제거하고, 가향처리된 잎담배 약 20중량%, 비-가향숙성 잎담배 약 20중량%, 토스트엽 약 25중량%, 판상엽 약 10중량% 및 팽화주맥 약 25중량%가 배합하여 흡연물질부를 충전하였다.
가향처리된 잎담배는 바닐라 농축물 약 4kg을 알코올 약 4kg에 희석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잎담배 약 100kg에 첨가한 후, 숙성공정을 생략하고 습점처리, 보습처리, 절각 및 건조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 3
초코렛 농축물을 가향료로 사용하고 물을 베이스 용액으로 사용하여 잎담배를 가향처리한 점을 제외하고, 비교예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가향 및 숙성유무에 따른 향미성분분석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각각에 사용된 가향숙성 잎담배, 숙성 잎담배, 가향처리된 잎담배들의 엽중 향미성분을 SPME-GC/MS(Solid Phase Micro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측정 방법으로 분석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2는 실시예 1 및 2 각각에서의 숙성공정 이후 공정들(습점, 보습, 절각, 건조 등) 전후 향미성분 소실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향미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의 각 성분별 수치는 SPME-GC/MS 측정에 따라 분석된 peak area ratio(상대값)을 나타낸다.
구분 비교1
(미가향 숙성)
실시1
(바닐라
숙성)
비교2
(바닐라
미숙성)
실시2
(초코
숙성)
비교3
(초코
미숙성)
실시3
(건오얏
숙성)
실시4
(메이플
숙성)
실시5
(코코아
숙성)
특성 성분
R
o
a
s
t
e
d
3,6-Dimethyl-4H-furo[3,2-c]
pyran-4-one
- 79 8 23 - - - -
2(3H)-Furanone, dihydro-5-propyl- 209 2,358 6,460 292 209 4.7 5.6 5.8
3-Furaldehyde 45 145 46 151 45 242.4 320.4 159.3
5-Methylfurfural 18 99 23 104 18 98.2 119.7 88.5
Furfuryl alcohol 16 40 15 32 16 42.8 71.3 29.9
gamma-Nonalactone 71 4,518 6,110 479 71 18.4 28.3 18.0
2,3'-Dipyridyl 64 100 60 96 64 65.0 74.2 56.2
S
w
e
e
t
Piperonal 72 1,367 5,445 186 72 111.3 130.5 135.2
Piperonyl alcohol 208 103 187 109 208 - - -
Anisyl acetate 1,025 1,111 2,536 6,753 18,816 78.3 64.5 50.8
Anise alcohol 1,116 55 55 706 1,116 50.6 44.6 26.4
p-Anisaldehyde 58 37 18 275 58 22.2 22.1 19.9
T
o
b
a
c
c
o

L
i
k
e
Ionene 10 52 10 48 10 14.2 - 85.3
Safranal 5 7 9 7 5 - - 6.1
4-Oxoisophorone 12 25 13 25 12 28.6 38.9 29.4
Solanone 342 538 360 541 342 185.7 560.4 558.6
Megastigmatrienone 98 219 90 210 98 112.1 178.8 210.5
neophytadiene 1,563 1,991 1,354 2,016 1,563 1,250.0 1,154.8 1,600.8
F
l
o
r
a
l
p-Methylacetophenone 39 103 329 35 39 - - -
Geranyl acetone 116 110 121 104 116 40.4 99.5 98.2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 모두에서, 대다수 향미성분들이 미가향 숙성(비교예 1) 대비 증가하고 일부 향미성분들은 감소하였으며, 각 향미성분별 증가 또는 감소 정도가 실시예별로 상이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가향처리여부, 가향처리시 가향료의 종류 및/또는 숙성처리 여부에 따라 잎담배의 향미성분 개질에 뚜렸한 차이가 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2 내지 3의 결과를 상호참조할 때, '3,6-Dimethyl-4H-furo[3,2-c] pyran-4-one', '3-Furaldehyde', '5-Methylfurfural', 'Furfuryl alcohol' 등의, 대부분의 잎담배 내 향미성분들은 단순히 가향처리만으로 증가하지 않고 가향처리 후 숙성공정에 의해 더욱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들 각각의 가향숙성 잎담배들 모두에서 '5-Methylfurfural', '4-Oxoisophorone', 'Piperonal' 등의 담배맛에 긍정적인 향미성분이 증가하였고, 실시예 1의 가향숙성 잎담배에서는 '2(3H)-Furanone dihydro-5-propyl-', 'gamma-Nonalactone', '3,6-Dimethyl-4H-furo[3,2-c]pyran-4-one', 'Furfryl alcohol'등과 같은 Roasted 향특성을 지닌 당분해산물이 특히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2의 가향숙성 잎담배에서는 'p-Anisaldehyde', 'Anisyl acetate'등과 같은 Sweet 향특성을 지닌 semi-volatile 화합물이 특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별도의 실시예 내지 비교예로 상기 표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약 1주간 숙성된 가향숙성 잎담배는 숙성에 따른 향미성분 개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약 4주간 숙성된 가향숙성 잎담배 및 전당함량이 약 15중량%인 잎담배를 사용한 가향숙성 잎담배는 잎담배의 물리성 악화 및 수율 악화가 나타났고, 전당함량이 약 40중량%인 잎담배를 사용한 가향숙성 잎담배는 기준치 미만의 니코틴량이 검출되어,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서 제외하였다.
구분 실시예1
(바닐라 숙성)
실시예2
(초코 숙성)
특성 성분 공정前 공정後 공정前 공정後
Roasted 3,6-Dimethyl-4H-furo[3,2-c] pyran-4-one 86 79 22 23
2(3H)-Furanone, dihydro-5-propyl- 3,259 2,358 232 292
3-Furaldehyde 248 145 238 151
5-Methylfurfural 141 99 138 104
Furfuryl alcohol 44 40 39 32
gamma-Nonalactone 5,319 4,518 319 479
2,3'-Dipyridyl 79 100 92 96
Sweet Piperonal 1,602 1,367 114 186
Piperonyl alcohol 132 103 111 109
Anisyl acetate 1,538 1,111 7,110 6,753
Anise alcohol 45 55 705 706
p-Anisaldehyde 29 37 313 275
Tobacco
like
Ionene 94 52 15 48
Safranal 9 7 8 7
4-Oxoisophorone 30 25 28 25
Solanone 630 538 548 541
Megastigmatrienone 217 219 236 210
neophytadiene 2,035 1,991 2,265 2,016
Floral p-Methylacetophenone 179 103 21 35
Geranyl acetone 116 110 110 104
표 2를 참조하면, 가향숙성 처리 후 증가했던 향미성분들 대부분이 후속공정(습점, 보습, 절각, 건조 등) 이후 소폭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성분량 감소폭이 크지 않으며, 나아가 '2(3H)-Furanone, dihydro-5-propyl-', 'gamma-Nonalactone', 'Piperonal', 'Ionene', '2,3'-Dipyridyl', 'Anise alcohol', 'p-Anisaldehyde', 'Megastigmatrienone' 및 'p-Methylacetophenone' 등의 일부 당분해산물 및 담배 고유의 향미성분들의 경우 오히려 후속공정 이후 성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가향 및 숙성유무에 따른 관능평가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각각의 흡연물품의 끽미 강도, 향 강도, 향 만족도, 자극성, 이취미, 뒷맛 깨끗함 및 전체적인 담배맛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특성 평가는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 각각을 이용하여 27명의 평가 패널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7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도 3은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각각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의 흡연 관능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들 대부분이 비교예들 대비 동등 혹은 그 이상의 끽미강도, 향 강도 및 향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이취미가 감소하였으며, 전체적인 담배맛 또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바닐라 농축물이 가향된 실시예 1 및 초코 농축물이 가향된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들 및 다른 실시예들 대비 높은 향 강도, 향 만족도, 뒷맛 깨끗함 및 전체적인 담배맛 특성을 보였으며, 이취미와 자극성 감소 효과 또한 다른 실시예들 대비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평가 패널원들의 항목 외 흡연평가결과를 통해, 가향숙성 잎담배가 배합된 흡연물품이 비숙성 잎담배 또는 비가향 잎담배가 배합된 흡연물품보다 인위적인 맛과 향이 적으며, 매운맛과 코팅감 등 흡연 시 느껴지는 부정적 속성이 감소한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흡연물품
110: 흡연물질부
110a: 흡연물질 래퍼
120: 필터부
120a: 필터 래퍼
130: 팁페이퍼

Claims (14)

  1.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으로서,
    가향료를 베이스 용액에 희석하여 상기 흡연재료에 첨가하는 단계;
    상기 가향료가 첨가된 상기 흡연재료를 항온항습조건에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향료 첨가 단계에서,
    상기 가향료와 상기 베이스 용액의 합산 중량은 상기 흡연재료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향료의 중량 및 상기 베이스 용액의 중량 각각은 상기 흡연재료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향료 첨가 단계 및 상기 숙성 단계 사이에서,
    상기 흡연재료의 수분이 15중량% 내지 35중량%가 되도록 상기 흡연재료의 수분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단계는, 내부 온도가 60℃ 내지 80℃이며 내부 상대습도가 20% 내지 40%인 조건에서 7일 내지 25일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재료는 전당 함량이 20중량% 내지 40중량%인 잎담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향료는 바닐라 농축물, 초코렛 농축물, 메이플 시럽, 건오얏(prune) 농축물, 코코아 농축물, 솔(pine) 향액, 계피 향액 및 레드와인 향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향료는 상기 바닐라 농축물이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향료는 상기 초코렛 농축물이고, 상기 베이스 용액은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향료가 첨가된 후 숙성처리된 상기 흡연재료를 습점처리하는 단계;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습점처리된 상기 흡연재료를 1차적으로 보습하는 단계;
    1차 보습된 상기 흡연재료를 절각하는 단계;
    절각된 상기 흡연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상기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건조된 상기 흡연재료를 2차적으로 보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습점처리 단계는 90℃ 내지 110℃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고,
    상기 건조 단계는 100℃ 내지 120℃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며,
    상기 1차 보습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의 중량은 상기 1차 보습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 글리세린의 중량보다 작되, 상기 2차 보습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의 중량은 상기 2차 보습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 글리세린의 중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12.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가향숙성 잎담배로서,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가향숙성된, 가향숙성 잎담배.
  13. 적어도 일부가 제12 항의 상기 가향숙성 잎담배로 충진된 흡연물질부; 및
    상기 흡연물질부보다 하류에 위치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부에는 상기 가향숙성 잎담배 15중량% 내지 35중량%, 비-가향숙성 잎담배 5중량% 내지 25중량%, 토스트엽 15중량% 내지 35중량%, 판상엽 1중량% 내지 20중량% 및 팽화주맥 15중량% 내지 35중량%가 배합되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KR1020200132495A 2020-10-14 2020-10-14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KR10257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95A KR102571394B1 (ko) 2020-10-14 2020-10-14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CN202180006568.2A CN114727644A (zh) 2020-10-14 2021-09-15 吸烟材料的加香熟成方法及使用该方法制备的吸烟制品
EP21880330.2A EP4042883A4 (en) 2020-10-14 2021-09-15 PROCESSES FOR FLAVORING AND AGING SMOKING MATERIAL AND SMOKING ARTICLES MADE THEREOF
JP2022524688A JP2023503231A (ja) 2020-10-14 2021-09-15 喫煙材料の加香熟成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喫煙物品
US17/791,042 US20230043392A1 (en) 2020-10-14 2021-09-15 Method of flavoring and aging smoking material and smoking articl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PCT/KR2021/012546 WO2022080682A1 (ko) 2020-10-14 2021-09-15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95A KR102571394B1 (ko) 2020-10-14 2020-10-14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188A true KR20220049188A (ko) 2022-04-21
KR102571394B1 KR102571394B1 (ko) 2023-08-25

Family

ID=8120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495A KR102571394B1 (ko) 2020-10-14 2020-10-14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43392A1 (ko)
EP (1) EP4042883A4 (ko)
JP (1) JP2023503231A (ko)
KR (1) KR102571394B1 (ko)
CN (1) CN114727644A (ko)
WO (1) WO2022080682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1988B2 (ja) * 1973-10-05 1984-10-11 バイエ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1−プロピル−1,2,4−トリアゾリル誘導体およびそれらの塩の製造法
KR900013887A (ko) * 1989-03-07 1990-10-22 홍두표 담배 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KR910006520A (ko) * 1989-09-06 1991-04-29 박원희 다단회전원판전극 및 고체고분자전해질전극형 전해조
KR200325864Y1 (ko) 2003-04-23 2003-09-06 고운맘 구강향료담배연초구
KR20040001744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삼아벤처 한국산 버어리엽담배의 끽미개선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담배
KR100480428B1 (ko) 2002-01-22 2005-04-06 주식회사 윈코포레이션 두충엽을 주원료로한 끽연물 제조방법
KR100851254B1 (ko) 2006-01-12 2008-08-08 (주)드림씨가텍 뽕잎을 주성분으로 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30031A (ko) * 2007-03-09 2009-12-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재구성 담배 시트의 제조방법
JP2016534716A (ja) * 2013-10-31 2016-11-10 ブリティッシュ・アメリカン・タバコ・(インベストメンツ)・リミテッド タバコ処理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577A (en) * 1982-08-20 1987-04-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Dry pre-mix for moist snuff
US4832059A (en) * 1987-12-08 1989-05-23 Lorillard, Inc. Citrus-flavored tobacco articles
US20050039767A1 (en) * 2002-11-19 2005-02-24 John-Paul Mua Reconstituted tobacco sheet and smoking article therefrom
KR20030063312A (ko) * 2003-07-09 2003-07-28 김명호 도토리를 함유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EP2798966B1 (en) * 2011-12-26 2018-02-14 Japan Tobacco Inc. Method for producing tobacco material containing enriched ester aroma components and components contributing to tobacco flavor, and tobacco product comprising tobacco material produced thereby
EP2891408B1 (en) 2012-08-31 2019-10-09 Japan Tobacco Inc. Flavor component-carrying member and tobacco product
EP2967131A4 (en) * 2013-03-14 2016-11-09 Celanese Acetate Llc DEVICES,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FOR FORMING POROUS MASSES FOR FLAVORED FLUE FILTERS
JP6129964B2 (ja) * 2013-06-19 2017-05-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原料の製造方法
KR20150023137A (ko) * 2013-08-23 2015-03-05 한승희 당류로 코팅된 향 성분을 함유하는 담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향 담배
CN105286080B (zh) * 2015-11-12 2021-05-28 贵州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口含型无烟气烟草制品及其制备方法
US11717018B2 (en) * 2016-02-24 2023-08-0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comprising aerogel
KR20180110504A (ko) *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스위프트 스테비아잎을 포함하는 금연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64524B (zh) * 2018-03-29 2020-10-23 四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深色雪茄茄衣的制作方法
KR102413848B1 (ko) * 2020-02-21 2022-06-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1988B2 (ja) * 1973-10-05 1984-10-11 バイエ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1−プロピル−1,2,4−トリアゾリル誘導体およびそれらの塩の製造法
KR900013887A (ko) * 1989-03-07 1990-10-22 홍두표 담배 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KR910006520A (ko) * 1989-09-06 1991-04-29 박원희 다단회전원판전극 및 고체고분자전해질전극형 전해조
KR100480428B1 (ko) 2002-01-22 2005-04-06 주식회사 윈코포레이션 두충엽을 주원료로한 끽연물 제조방법
KR20040001744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삼아벤처 한국산 버어리엽담배의 끽미개선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담배
KR200325864Y1 (ko) 2003-04-23 2003-09-06 고운맘 구강향료담배연초구
KR100851254B1 (ko) 2006-01-12 2008-08-08 (주)드림씨가텍 뽕잎을 주성분으로 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30031A (ko) * 2007-03-09 2009-12-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재구성 담배 시트의 제조방법
JP2016534716A (ja) * 2013-10-31 2016-11-10 ブリティッシュ・アメリカン・タバコ・(インベストメンツ)・リミテッド タバコ処理
US20190174813A1 (en) * 2013-10-31 2019-06-13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Tobacco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2883A1 (en) 2022-08-17
CN114727644A (zh) 2022-07-08
KR102571394B1 (ko) 2023-08-25
JP2023503231A (ja) 2023-01-27
WO2022080682A1 (ko) 2022-04-21
US20230043392A1 (en) 2023-02-09
EP4042883A4 (en)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77221B (zh) 包含再造可可壳纤维材料的气溶胶产生材料
KR102386078B1 (ko) 클로브 부산물이 함유된 판상엽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US20200253266A1 (en) Reconstituted Cocoa Material For Generating Aerosol
KR102413848B1 (ko)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KR20190127940A (ko) 흡연 가능한 물질의 시트
RU2721352C1 (ru) Фильтр для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в котором используется технология уменьшения запаха на руках и неприятного запаха изо рта, а также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 таким фильтром
KR102571394B1 (ko)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US20220287360A1 (en) Smoking article filter and smoking article including the same
RU2798317C1 (ru) Способ ароматизации и выдержки кур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курительный материал и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US20230172260A1 (en) Smoking article from which sound is generated
US20220218019A1 (en) Cigarillo
US1995069A (en) Method of making cigarette-cigar
KR102450720B1 (ko) 생분해성이 증진된 흡연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20200136483A (ko) 흡연 물품
RU2806390C1 (ru) Обертка кур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которую добавлено ароматизирующее вещество на основе бальзама, и содержащее ее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RU2819361C2 (ru) Сигарилл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2466512B1 (ko) 흡연물품 필터 및 이를 위한 보조 필터
KR102640562B1 (ko) 담배 냄새가 저감된 흡연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58971B1 (ko) 열수침적된 잎담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SU1623555A3 (ru) Сигарета
US20230157350A1 (e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230100309A (ko) 발삼계 향이 첨가된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20210142284A (ko)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