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284A -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 - Google Patents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284A
KR20210142284A KR1020200058923A KR20200058923A KR20210142284A KR 20210142284 A KR20210142284 A KR 20210142284A KR 1020200058923 A KR1020200058923 A KR 1020200058923A KR 20200058923 A KR20200058923 A KR 20200058923A KR 20210142284 A KR20210142284 A KR 20210142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tobacco
added
leaf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607B1 (ko
Inventor
이동현
오성주
김대영
노동길
양철남
황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58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6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2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mouth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은, 건강 증진성 물질과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질과, 흡연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래퍼(wrapper)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 증진성 물질은 베텔(betel), 자무(jamu) 또는 인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 물품에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됨으로써, 흡연자에게 이로운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SMOKING ARTICLE CONTAINING HEALTH PROMOTING MATERIAL}
본 개시는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건강 증진성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흡연자에게 이로운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흡연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연 물품은 가장 널리, 그리고 가장 보편적으로 애용되는 기호 물품이다. 흡연자들의 다양한 니즈(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해 흡연 물품에는 다양한 종류의 첨가물이 들어가며, 매해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진 세태를 반영하여, 건강 증진성 물질을 첨가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건강 증진성 물질이 첨가물로 투입되면 흡연 물품 본연의 맛이 떨어지기 쉬워, 이러한 물품들이 제품화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강 증진성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흡연자에게 이로운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흡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흡연 물품 본연의 맛을 유지하면서 흡연자의 건강에 유익한 흡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은, 베텔(betel) 물질과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질과, 상기 흡연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래퍼(wrappe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연 물질은 상기 담배 물질 대비 1% 내지 30%의 베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연 물품은 필터를 포함하지 않고, 하류 단부의 단면적이 상류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은 세장형의 물품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담배 물질은 잎담배를 절각하여 생성된 각초를 포함하고, 상기 베텔 물질은 베텔잎을 절각하여 생성된 절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연 물질은 소리 발생 인자로 작용하는 클로브(clove)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연 물질은 소리 발생 인자로 작용하는 다당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담배 물질은 잎담배 각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은, 자무(jamu) 물질과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질과, 상기 흡연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래퍼(wra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연 물질은 상기 담배 물질 대비 1% 내지 30%의 자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담배 물질은 잎담배 각초를 포함하고, 상기 자무 물질은 상기 잎담배 각초의 가향 공정 동안 액상 추출물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은, 인삼 물질과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질과, 상기 흡연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래퍼(wra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연 물질은 상기 담배 물질 대비 1% 내지 30%의 인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담배 물질은 잎담배 각초를 포함하고, 상기 인삼 물질은 상기 잎담배 각초의 가향 공정 동안 액상 추출물의 형태로 첨가되며, 상기 인삼 물질 첨가 시 상기 액상 추출물의 용매로 알코올이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삼 물질은 과립 형태로 첨가되되, 상기 인삼 물질의 첨가량은 0.03g 내지 0.15g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 조립체는, 흡연 물품과 상기 흡연 물품에 장착되는 중공형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삼, 자무, 베텔과 같은 건강 증진성 물질이 흡연 물질의 일부를 구성함으로써, 흡연자에게 이로운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건강 증진성 물질이 적절한 양으로 흡연 물질에 포함됨으로써, 흡연 물품 본연의 맛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소리 발생 인자로 작용하는 클로브 물질, 다당류 물질이 흡연 물질에 포함됨으로써, 흡연 시 청각적 효과가 더해지고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에서 다당류 물질이 흡연 물질부에 첨가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흡연 물품"(smoking article)이란, 담배, 담배 파생물, 팽화처리 담배(expanded tobacco),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또는 담배 대용물에 기반하느냐에 상관 없이 흡연 가능한 임의의 제품 또는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은 궐련, 엽궐련(cigar) 및 작은 엽궐련(cigarillo) 등 같은 흡연 가능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흡연 물질"(smoking material)이란,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거나 흡연에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또는 이들로부터 가공된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담배 물질은 분쇄된 담배의 잎, 분쇄된 재구성 담배, 팽화주맥, 잎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시트(e.g. 판상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류"(upstream) 또는 "상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downstream) 또는 "하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류 및 하류라는 용어는 흡연 물품의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흡연 물품(1)에서, 필터부(11)는 흡연 물질부(12)의 하류에 위치하고, 흡연 물질부(12)는 필터부(11)의 상류에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흡연 물품의 길이 방향 축에 상응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1)은 필터부(11)와 흡연 물질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 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흡연 물품(1)의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1)은 필터부(11)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흡연 물품(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터부(11)는 연기/에어로졸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 물질과 이를 래핑(wrapping)하고 있는 필터 래퍼(wrapper)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1)는 흡연 물질부(12)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1)와 흡연 물질부(12)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길이 축 방향으로 정렬되며, 필터부(11)의 상류 단부가 흡연 물질부(12)의 하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1)와 흡연 물질부(12)는 티핑 래퍼(tipping wrapper)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티핑 래퍼는 필터부(11)의 적어도 일부와 흡연 물질부(12)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래핑하여 필터부(11)와 흡연 물질부(12)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필터부(11)는 마우스피스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필터 물질은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터 물질은 탄소를 포함하는 흡착제, 활성탄 등과 같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필터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필터 물질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이 섬유고, 필터의 제조 공정 중에 클로브 추출물에 기반한 가소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친환경/천연 가소제를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연구 결과 놀랍게도 클로브 추출물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를 가소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본 발명자들은 클로브 추출물이 첨가된 필터는 인공 가소제(e.g. 트리아세틴)가 첨가된 필터에 비해 생분해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 또한 확인하였다. 필터의 생분해성 향상은 클로브 추출물이 클로브 식물에서 추출된 천연 물질이라는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클로브 추출물은 베타-카리오필렌(beta-caryophyllene), 유게놀(eugenol), 메틸-벤조산(methyl-benzoate), 카리오필렌 옥시드(caryophyllene oxide) 및 유게닐 아세테이트(eugenyl acetate)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브 추출물을 가소제로 이용함으로써, 생분해성이 우수한 필터가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유게놀과 유게닐 아세테이트 기반의 클로브 추출물이 가소제로 이용되면, 흡연 시 유게놀 이행량이 증대되어, 흡연자에게 전달되는 클로브향의 풍미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가소제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클로브 추출물과 인공 가소제의 조성물이 필터 물질의 가소제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인공 가소제는 예를 들어 트리아세틴이 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로브 추출물과 인공 가소제의 조성비는 예를 들어 1:1 내지 5:1 또는 2:1 내지 3:1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가소화 성능과 필터의 생분해성이 동시에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조성비는 가소화 성능과 생분해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클로브향의 풍미를 더하기 위해 클로브 추출물(e.g. 클로브 오일)이 과립 형태로 필터부(11)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로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미 과립이 필터부(11) 전체, 필터부(11)의 특정 세그먼트(e.g. 상류 세그먼트), 캐비티(cavity) 등에 첨가될 수 있다. 향미 과립은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공성 구조는 구조적 특성 상 휘발성을 갖는 클로브 추출물의 휘발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향미 과립의 향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향미 과립이 필터부(11)에 첨가됨에 따라 클로브향의 풍미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클로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미 과립은 흡연 물질부(12) 또는 각종 래퍼에 첨가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클로브향의 풍미를 더하기 위해 클로브 추출물(e.g. 클로브 오일)이 액상 형태로 필터 물질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필터 물질은 벌크(bulk)가 기준치 이상인 셀룰로오스 물질(e.g. 종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물질의 벌크는 1.0cm3/g, 2.0cm3/g, 2.5cm3/g 또는 3.0cm3/g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벌크는 두께를 평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는데, 고벌크의 셀룰로오스 물질은 내부에 많은 공극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량의 향액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필터에 다량의 향액 첨가가 가능해져 향 발현성이 배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벌크의 셀룰로오스 물질은 복잡한 공극 구조를 통해 클로브 추출물과 같은 휘발성 향액의 급격한 휘산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향 지속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부(11)는 단일 필터 또는 다중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터부(11)는 다중 필터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부(11)의 내부(e.g. 캐비티)에는 향미 물질이 함유된 캡슐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11)의 세부 구조는 실시예에 따라 변형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특정 필터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흡연 물질부(12)는 흡연 물질과 이를 래핑하는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 물질부(12)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과 건강 증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판상엽과 같은 재구성 담배, 잎담배 각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 증진성 물질은 예를 들어 인삼, 자무(jamu), 베텔(betel)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건강 증진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과 베텔(betel)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잎담배 각초의 제조 공정 중에 베텔 물질이 첨가되거나, 제조된 잎담배 각초와 베텔 물질을 혼합하여 흡연 물질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베텔 물질은 베텔 식물의 잎, 줄기 또는 이들의 가공물(e.g. (e.g. 액상 추출물, 절각물, 과립 등)과 부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베텔 물질(e.g. 베텔 식물의 잎)은 건위 및 거담제로 이용되는 건강 증진성 물질일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 효과 또한 갖고 있다. 따라서, 흡연 물질에 베텔 물질이 포함되면, 흡연으로 인한 치아 변색이 예방될 수 있으며, 흡연자에게 이로운 효과를 줄 수 있다.
흡연 물질의 베텔 함량은 건강 증진 효과 및 담배 맛과 연관되므로 베텔 물질의 함량을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베텔 물질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건강 증진 효과는 강화될 것이나, 담배 물질의 함량이 줄어들어 담배 맛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 대비 약 1% 내지 30%의 베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 대비 5% 내지 25%, 10% 내지 30%, 10% 내지 25%, 5% 내지 20%, 10% 내지 20%, 15% 내지 25% 또는 20% 내지 30%의 베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에서, 담배 맛뿐만 아니라 건강 증진 효과도 보장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2 실시예에서,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과 자무(jamu)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잎담배 각초의 제조 공정 중에 자무 물질이 첨가되거나, 제조된 잎담배 각초와 자무 물질을 혼합하여 흡연 물질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자무 물질은 자무 식물의 잎, 줄기 또는 이들의 가공물(e.g. 액상 추출물, 절각물, 과립 등)과 부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자무 식물은 인도네시아의 약용 식물을 일컫는 것으로, 다양한 건강 증진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흡연 물질에 자무 물질이 포함되면, 자무 식물에 함유된 건강 증진 성분이 흡연 중에 발현되어 흡연자에게 이로운 효과를 줄 수 있다.
흡연 물질의 자무 함량은 건강 증진 효과와 및 담배 맛과 연관되므로 자무 물질의 함량을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자무 물질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건강 증진 효과는 강화될 것이나, 담배 물질의 함량이 줄어들어 담배 맛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 대비 약 1% 내지 30%의 자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 대비 5% 내지 25%, 10% 내지 30%, 10% 내지 25%, 5% 내지 20%, 10% 내지 20%, 15% 내지 25% 또는 20% 내지 30%의 자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에서, 담배 맛뿐만 아니라 건강 증진 효과도 보장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3 실시예에서,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과 인삼(ginseng)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삼 물질의 액상 추출물의 형태로 잎담배 각초에 첨가되거나, 시트 형태로 가공된 인삼 물질이 잎담배 각초와 함께 흡연 물질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삼 물질은 인삼 잎, 인삼 열매, 또는 이들의 가공물(e.g. 액상 추출물, 절각물, 과립 등)과 부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인삼 물질은 면역력 향상 등과 같은 다양한 건강 증진 효과를 갖고 있다. 따라서, 흡연 물질에 인삼 물질이 포함되면, 인삼에 함유된 건강 증진 성분이 흡연 중에 발현되어 흡연자에게 이로운 효과를 줄 수 있다.
흡연 물질의 인삼 함량은 건강 증진 효과 및 담배 맛과 연관되므로 인삼 물질의 함량을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인삼 물질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건강 증진 효과는 개선될 것이나, 담배 물질의 함량이 줄어들어 담배 맛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연 물질은 인삼 물질 대비 약 1% 내지 30%의 자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 대비 5% 내지 25%, 10% 내지 30%, 10% 내지 25%, 5% 내지 20%, 10% 내지 20%, 15% 내지 25% 또는 20% 내지 30%의 인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에서, 담배 맛뿐만 아니라 건강 증진 효과도 보장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4 실시예에서, 흡연 물질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을 포함하고 자무, 베텔 및 인삼 중 적어도 두가지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베텔, 자무 및 인삼 등의 건강 증진성 물질은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증진성 물질은 각초 등과 같은 절각물의 형태, 분말, 가루 등과 같은 분쇄물의 형태, 과립, 시트(sheet), 액상 추출물 등과 같은 형태로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건강 증진성 물질은 절각물의 형태로 담배 물질(e.g. 잎담배 각초, 판상엽, 판상엽 각초 등)과 함께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이를테면, 베텔잎 또는 자무 식물의 절각물이 잎담배 각초와 함께 혼합되어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절각물의 절각폭과 잎담배 각초의 절각폭 차이는 잎담배 절각폭의 20%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이는 15%, 13% 또는 10% 이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이는 9%, 7% 또는 5%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에서 흡연 물질부(12) 내부의 통기성이 확보되어 흡연 시 연소성과 무화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각물과 잎담배 각초가 유사한 크기를 가질수록, 흡연 물질부(12) 내부의 통기성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고, 흡연 시 연소성과 무화량이 보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건강 증진성 물질은 시트 형태로 가공되어 담배 물질(e.g. 잎담배 각초, 판상엽, 판상엽 각초 등)과 함께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이를테면, 가공된 인삼 시트가 잎담배 각초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되거나, 절각된 상태로 잎담배 각초와 혼합되어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공된 인삼 시트(121)가 판상엽과 같은 담배 시트(123)와 함께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도 있다. 인삼 시트(21)와 담배 시트(123)는 절각된 형태, 둘둘 말린 형태, 인삼 시트(21)가 절각된 담배 시트(123)를 감싸고 있는 형태 또는 그 반대의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건강 증진성 물질은 분말 또는 과립의 형태로 가공되어 담배 물질(e.g. 잎담배 각초, 판상엽, 판상엽 각초 등)과 함께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베텔, 자무 또는 인삼 과립이 잎담배 각초와 혼합되어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과립의 첨가량은 약 0.01g 내지 0.2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03g 내지 0.15g 또는 약 0.03g 내지 0.10g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4g 내지 0.08g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건강 증진성 물질과 담배 물질의 맛과 풍미가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건강 증진성 물질은 액상 추출물의 형태로 가공되어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베텔, 자무 또는 인삼 물질은 액상 추출물의 형태로 가향 공정 동안 잎담배 각초에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가향 공정은 1차 가향 공정(casing)과 2차 가향 공정(top flavo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추출물은 용매와 혼합되어 잎담배 각초에 첨가될 수 있는데, 베텔과 자물 추출물의 용매로는 프로필렌글리콜이 이용될 수 있고 인삼 추출물의 용매로는 알코올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알코올의 농도가 약 90% 내지 99%인 경우에 용매로서의 성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차 가향 공정 동안 베텔 물질을 첨가할 때, 베텔 추출물 약 80g 내지 150g을 프로필렌글리콜 약 400g 내지 600g과 섞어서 첨가할 때(잎담배 각초 100kg 당) 균형 잡힌 풍미가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차 가향 공정 동안 자무 물질을 첨가할 때, 자무 추출물 약 1 내지 5g을 프로필렌글리콜 약 0.2g 내지 2g과 섞어서 첨가할 때(잎담배 각초 100kg 당) 균형 잡힌 풍미가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차 가향 공정 동안 인삼 물질을 첨가할 때, 인삼 추출물 약 1g 내지 10g을 알코올 약 5g 내지 20g과 섞어서 첨가할 때(잎담배 각초 100kg 당) 균형 잡힌 풍미가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은 소리 발생 인자로 작용하는 클로브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클로브 물질은 예를 들어 클로브 식물(e.g. 클로브 잎)을 분쇄 또는 가공하여 생성된 클로브 분말, 클로브 식물 절편(조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흡연 중에 타닥타닥(또는 크리텍-크리텍)하는 크래클링 사운드(crackling sound)가 발생하기 때문에, 클로브향과 풍미에 청각적인 효과가 더해져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은 소리 발생 인자로 작용하는 다당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당류 물질이 연소 시 소리가 발생된다는 놀라운 사실은 본 발명자들의 지속적인 연구 과정 중에 밝혀진 것인데, 본 발명자들은 실험을 통해 다당류 물질이 연소될 때 결정 구조가 깨지면서 일정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당류 물질은 클로브 물질을 대신하여 첨가될 수 있고, 클로브 물질과 함께 첨가될 수도 있다. 다당류 물질은 예를 들어 입자(particle), 시트(sheet) 및 세장형 물체(e.g. 이쑤시개 형상)로 가공되어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입자 형태의 다당류 물질은 흡연 물질부(12) 또는 흡연 물질을 래핑하는 래퍼에 첨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트 형태의 다당류 물질은 담배 시트(e.g. 판상엽)와 함께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되거나, 상기 래퍼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세장형 물체 형태의 다당류 물질은 흡연 물질부(12)에 절각된 상태 또는 절각되지 않은 상태로 흡연 물질부(12)에 첨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연 물품(1)의 소리 발생 효과가 증대되어, 흡연자에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당류 물질(e.g. 스타치)은 일반적으로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흡연 물품(1)의 재료비가 더욱 절감될 수 있다. 나아가, 다당류 물질(e.g. 스타치)은 사람이 음식으로 섭취하는 안전한 물질이기 때문에, 흡연 물품(1)의 안전성이 담보되어 안전성 시험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은 습윤제, 향미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첨가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윤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습윤제는 담배 물질 내의 수분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고유의 맛을 부드럽게 하고, 무화량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향미제는 예를 들어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isosweet),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클로브 추출물(또는 클로브 물질)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2)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명세서의 명료함을 위해,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2)은 하류 단면의 직경(d1) 또는 면적이 상류 단면의 직경(d2) 또는 면적보다 작은 원뿔 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흡연 물품(2)은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필터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건강 증진성 물질이 보다 직접적으로 흡연자에 전달되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흡연 물품(2)은 필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품(2)은 손으로 말아서 제조된 수궐련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연 물품(2)은 흡연 물질과 이를 래핑하고 있는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과 건강 증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2)의 하류 단부(즉, 마우스피스 부위)에 장착 가능한 마우스피스(21)가 흡연 물품(2)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21)는 흡연 물품(2)의 하류 단부에 장착되어 흡연 물품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21)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중공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원뿔 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우스피스(21)는 흡연자의 땀, 타액, 외부 습기 등으로 인해 흡연 물품(2)의 마우스피스 부위 래퍼가 젖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21)는 일회용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공형 마우스피스의 재질(소재)는 다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중공형 마우스피스는 흡연 물품(2)의 래퍼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형 마우스피스(21)도 종이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자에게 친숙한 느낌이 전달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21)가 종이 재질로 구현되는 경우, 마우스피스(21)의 평량은 150g/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21)의 평량은 180g/m2, 210g/m2, 230g/m2 또는 250g/m2 이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에서 중공형 마우스피스(21)가 습기에 강인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마우스피스(21)의 외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 코팅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코팅층은 흡연자의 타액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여 중공형 마우스피스(21)가 젖거나 훼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코팅 물질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수성 또는 방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21)의 외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는 경우, 마우스피스(21)는 흡연 물품(2) 래퍼와 유사한 평량을 갖는 종이로 제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코팅층 외면에 유색 물질(e.g. 흰색 잉크) 및/또는 스위트너(sweetener)가 더 도포될 수도 있다. 유색 물질은 종이 재질의 마우스피스(21)가 수분 또는 코팅 물질(e.g. 아크릴 수지)로 인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령, 예를 들어, 종이 재질의 마우스피스(21)가 젖었다가 마르면서 누렇게 변색되거나,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코팅 물질에 의해 마우스피스(21)가 투명하게 변할 수 있는데, 유색 물질은 이를 방지함으로써 외관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위트너는 흡연자에게 감미로운 맛을 더 전달함으로써 이취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마우스피스(21) 내부에 필터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21)는 개방된 상류 단부를 갖고 하류 측 내부에 필터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우스피스(21)는 흡연 물품(2)의 필터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필터 물질은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가 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2)과 흡연 물품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상술한 흡연 물품(1, 2)의 구성 및 효과들에 대하여 보다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흡연 물품(1, 2)의 일부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개시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뿔 유사 형상을 갖고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흡연 물품(e.g. SKT 담배와 같은 수궐련)을 제조하였다. 잎담배 각초를 투입하여 흡연 물질부를 제조하였고, 잎담배 각초에 대한 2차 가향 공정(top flavoring) 동안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베텔 물질과 향료들을 첨가하였다.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중량은 약 100kg의 잎담배 각초를 기준으로 첨가량을 기재해 놓은 것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베텔 추출물(g) 400 100 100 100
프로필렌글리콜(g) 650 680 880 500
유게놀(g) 300 300 200 300
기타 향료(g) 650 820 720 600
총 중량(g) 2000 1900 1900 1500
실시예 5 내지 8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뿔 유사 형상을 갖고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흡연 물품(e.g. SKT 담배와 같은 수궐련)을 제조하였다. 잎담배 각초를 투입하여 흡연 물질부를 제조하였고, 잎담배 각초에 대한 2차 가향 공정(top flavoring) 동안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무 물질과 향료들을 첨가하였다.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중량은 약 100kg의 잎담배 각초를 기준으로 첨가량을 기재해 놓은 것이다.
구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자무 추출물(g) 4.45 2.05 2.1 4.29
프로필렌글리콜(g) 0.41 1.2 1.05 0.39
유게놀(g) 0.13 0.30 0.30 0.20
기타 향료(g) 1.01 0.45 0.55 1.12
총 중량(g) 6.00 4.00 4.00 6.00
실시예 9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뿔 유사 형상을 갖고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흡연 물품(e.g. SKT 담배와 같은 수궐련)을 제조하였다. 잎담배 각초를 투입하여 흡연 물질부를 제조하였고, 잎담배 각초에 대한 2차 가향 공정(top flavoring) 동안 약 96% 농도의 알코올 용매 약 6g과 인삼 추출물 약 3g을 혼합하여 첨가하였다(약 100kg의 잎담배 각초 기준).
실시예 10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뿔 유사 형상을 갖고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흡연 물품(e.g. SKT 담배와 같은 수궐련)을 제조하였다. 잎담배 각초를 투입하여 흡연 물질부를 제조하였고, 잎담배 각초에 대한 1차 가향 공정(casing) 동안 약 20% 의 인삼 물질을 포함하는 향액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11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뿔 유사 형상을 갖고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흡연 물품(e.g. SKT 담배와 같은 수궐련)을 제조하였다. 잎담배 각초를 투입하여 흡연 물질부를 제조하였고, 인삼 물질을 과립 형태로 제조한 다음 약 0.15g의 과립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12
인삼 물질의 첨가량이 약 0.05g인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흡연 물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베텔 물질을 함유한 흡연 물품에 대한 풍미 평가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흡연 물품에 대해, 그 풍미를 관능적으로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총 25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담배 맛과 풍미를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만점 기준은 5점으로 설정되었다. 관능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구분 전반적인 담배맛 비고
실시예 1 3.78 베텔향이 강함
실시예 2 3.96 풍미가 약간 조화롭지 않음
실시예 3 3.98 풍미가 약간 조화롭지 않음
실시예 4 4.12 대체로 조화로움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4에 따른 흡연 물품의 풍미가 대체로 조화롭고 전반적인 담배 맛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베텔 추출물이 과하게 첨가되어 오히려 풍미가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고, 실시예 2 및 3의 경우에는 기타 향료의 높은 첨가량으로 풍미의 균형이 약간 무너지고 이로 인해 전반적인 담배맛이 약간 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자무 물질을 함유한 흡연 물품에 대한 풍미 평가
실시예 5 내지 8에 따른 흡연 물품에 대해, 그 풍미를 관능적으로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관능 평가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구분 전반적인 담배맛 비고
실시예 5 3.78 자무향이 강함
실시예 6 3.87 자무향이 약간 약함
실시예 7 3.88 대체로 조화로우나, 강도가 약간 약함
실시예 8 4.01 대체로 조화로움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8에 따른 흡연 물품의 풍미가 대체로 조화롭고 전반적인 담배 맛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의 경우에는 자무 추출물이 과하게 첨가되어 오히려 풍미가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고, 실시예 6의 경우에는 자무 추출물이 약간 적게 첨가되어 풍미가 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인삼 물질을 함유한 흡연 물품에 대한 풍미 평가
실시예 9 내지 12에 따른 흡연 물품에 대해, 그 풍미를 관능적으로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관능 평가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5에 기재되어 있다.
구분 전반적인 담배맛 비고
실시예 9 3.91 대체로 조화로움
실시예 10 3.83 대체로 조화롭고 은은한 풍미가 발현되나, 강도가 약간 약함
실시예 11 3.81 인삼향이 강함
실시예 12 4.01 대체로 조화로움
표 5를 참조하면, 인삼 물질을 1차 가향 공정 동안 첨가하는 경우(실시예 10)에는 은은한 풍미가 발현되나 강도가 약간 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차 가향 공정 이후로 추가적인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향이 약간 날아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진한 풍미를 발현하고 싶은 경우에는 2차 가향 공정에 건강 증진성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잎담배 각초의 2차 가향 공정 동안, 알코올을 용매로 이용하여 인삼 물질을 첨가하는 경우, 대체로 조화로운 풍미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0 참조).
또한, 실시예 12에 따른 흡연 물품이 실시예 11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는데, 이를 통해 인삼 물질을 과립 형태로 첨가할 때에는 과립의 첨가량이 약 0.15g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술한 흡연 물품(1, 2)의 구성 및 효과들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흡연 물품
11: 필터부
12: 흡연 물질부
21: 마우스피스

Claims (15)

  1. 베텔(betel) 물질과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질과, 상기 흡연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래퍼(wrapper)을 포함하고,
    상기 흡연 물질은 상기 담배 물질 대비 1% 내지 30%의 베텔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품은 필터를 포함하지 않고, 하류 단부의 단면적이 상류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은 세장형의 물품인,
    흡연 물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물질은 잎담배를 절각하여 생성된 각초를 포함하고,
    상기 베텔 물질은 베텔잎을 절각하여 생성된 절각물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베텔잎의 절각폭과 상기 잎담배의 절각폭의 차이는 상기 잎담배의 절각폭의 20% 이하인,
    흡연 물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질은 소리 발생 인자로 작용하는 클로브(clove) 물질을 더 포함하는,
    흡연 물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질은 소리 발생 인자로 작용하는 다당류 물질을 더 포함하는,
    흡연 물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물질은 잎담배 각초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베텔 물질은 상기 잎담배 각초의 가향 공정 동안 액상 추출물의 형태로 첨가되는,
    흡연 물품.
  9. 자무(jamu) 물질과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질과, 상기 흡연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래퍼(wrapper)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 물질은 상기 담배 물질 대비 1% 내지 30%의 자무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물질은 잎담배 각초를 포함하고,
    상기 자무 물질은 자무 식물을 절각하여 생성된 절각물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물질은 잎담배 각초를 포함하고,
    상기 자무 물질은 상기 잎담배 각초의 가향 공정 동안 액상 추출물의 형태로 첨가되는,
    흡연 물품.
  12. 인삼 물질과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질과, 상기 흡연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래퍼(wrapper)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 물질은 상기 담배 물질 대비 1% 내지 30%의 인삼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물질은 잎담배 각초를 포함하고,
    상기 인삼 물질은 상기 잎담배 각초의 가향 공정 동안 액상 추출물의 형태로 첨가되며,
    상기 인삼 물질 첨가 시 상기 액상 추출물의 용매로 알코올이 이용되는,
    흡연 물품.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물질은 과립 형태로 첨가되되,
    상기 인삼 물질의 첨가량은 0.03g 내지 0.15g인,
    흡연 물품.
  15. 제2 항에 기재된 흡연 물품과 상기 흡연 물품에 장착되는 중공형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조립체.
KR1020200058923A 2020-05-18 2020-05-18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 KR102513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923A KR102513607B1 (ko) 2020-05-18 2020-05-18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923A KR102513607B1 (ko) 2020-05-18 2020-05-18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84A true KR20210142284A (ko) 2021-11-25
KR102513607B1 KR102513607B1 (ko) 2023-03-24

Family

ID=7874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923A KR102513607B1 (ko) 2020-05-18 2020-05-18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6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527Y1 (ko) * 2000-04-11 2000-10-02 이성실 담배가루를 필터화한 궐련필터
JP2003313107A (ja) * 2002-04-23 2003-11-06 Osaka Yakuhin Kenkyusho:Kk 高麗人参サポニン類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WO2016174013A1 (en) * 2015-04-28 2016-11-03 Philip Morris Products S.A. Clove-containing flavourant material
US9826776B1 (en) * 2010-10-06 2017-11-28 Blunt Wrap U.S.A., Inc. Smoking articl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527Y1 (ko) * 2000-04-11 2000-10-02 이성실 담배가루를 필터화한 궐련필터
JP2003313107A (ja) * 2002-04-23 2003-11-06 Osaka Yakuhin Kenkyusho:Kk 高麗人参サポニン類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US9826776B1 (en) * 2010-10-06 2017-11-28 Blunt Wrap U.S.A., Inc. Smoking article and method
WO2016174013A1 (en) * 2015-04-28 2016-11-03 Philip Morris Products S.A. Clove-containing flavourant materia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kcsns님의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9.01.15. [2022.08.30. 검색], 인터넷:<URL : https://blog.naver.com/akcsns/221442374774>* *
Journal of herbal medicine, Vol.4, pages.51-73 (20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607B1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078B1 (ko) 클로브 부산물이 함유된 판상엽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20220113454A (ko) 전달 시스템들
KR102450713B1 (ko)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KR102386075B1 (ko) 생분해성 향상을 위한 가소제,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102386074B1 (ko)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KR102450712B1 (ko)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KR102391290B1 (ko) 흡연 물품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조립체와 흡연 물품 패키지
KR102513607B1 (ko)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
KR102386081B1 (ko) 흡연 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102458970B1 (ko)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KR102402070B1 (ko) 마우스피스 주변의 래퍼가 강화된 흡연 물품
KR102386080B1 (ko) 클로브향 증진을 위한 흡연 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102386079B1 (ko) 클로브향 증진을 위한 흡연 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WO2020201716A1 (en) Smoking article
KR102466512B1 (ko) 흡연물품 필터 및 이를 위한 보조 필터
WO2020240185A1 (en) Cigarillo
KR102640562B1 (ko) 담배 냄새가 저감된 흡연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50714B1 (ko)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KR102450720B1 (ko) 생분해성이 증진된 흡연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102571393B1 (ko) 향 지속성이 개선된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230100309A (ko) 발삼계 향이 첨가된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20230103038A (ko)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슬러리 판상엽 시트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220049188A (ko)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