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348A - 기준 전력 사용량의 설정에 기초하여 기기의 전력을 제어 - Google Patents

기준 전력 사용량의 설정에 기초하여 기기의 전력을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348A
KR20220048348A KR1020200131398A KR20200131398A KR20220048348A KR 20220048348 A KR20220048348 A KR 20220048348A KR 1020200131398 A KR1020200131398 A KR 1020200131398A KR 20200131398 A KR20200131398 A KR 20200131398A KR 20220048348 A KR20220048348 A KR 2022004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ower usage
reference pow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진
박상현
원태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13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348A/ko
Priority to PCT/US2021/051090 priority patent/WO2022081304A1/en
Publication of KR2022004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ower to different circuits or for supplying power at different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통신 유닛;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 유닛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준 전력 사용량의 설정에 기초하여 기기의 전력을 제어{CONTROL OF POWER OF ELEMENTS BASED ON SETTING OF REFERENCE POWER USAGE}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력을 유지하는 절전 모드에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될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개념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이 초과되면,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다른 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7a 는 화상 형성 작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 내지 도 7d는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그룹 내의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제어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서버에서 그룹 내의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2D 화상 형성 장치, 또는 3D 화상 형성 장치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은 인쇄, 복사, 스캔, 팩스, 저장, 전송, 코팅 등과 관련된 작업일 수 있고, 상기 작업 중 둘 이상을 조합한 작업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부속 기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부속 기기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속 기기들에는 CPU,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피니셔(Finisher), 스캐너, 엔진, Wi-Fi 모듈, 네트워크 모듈이 포함될 수 있고, 다른 부속 기기들도 포함될 수 있다.
"기준 전력 사용량"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전력량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가 소정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최대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 사용량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서버"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을 관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고, 그룹에 설정된 그룹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내에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 및 재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수의 부속 기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속 기기들에는 전력 공급이 필요한 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복수의 부속 기기들에는, CPU(1),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 피니셔(3)(Finisher), 스캐너(4), 엔진(5), Wi-Fi(6) 모듈, 네트워크 모듈(7)이 포함될 수 있고, 다른 부속 기기들도 포함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에는 기준 전력 사용량이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전력 사용량은, 화상 형성 장치(10)가 소정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최대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 사용량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부속 기기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부속 기기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을 통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은, 기준 전력 사용량으로 설정 가능한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대값은,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부속 기기 각각의 최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대값은 400W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소값은,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수행 가능한 작업 별로 소모되는 최대 전력 사용량 중 최대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이 스캔 작업에 140W, 복사 작업에 200W, 인쇄 작업에 190W이 소비되는 경우, 최대 전력 사용량 200W가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소값일 수 있다. 상기 작업은 예시이고, 다른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은, 200W 부터 400W까지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범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은, 400W를 기준 전력 사용량으로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기준 전력 사용량이 300W로 설정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고, 부속 기기 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작업이 스캔 투 이메일 작업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스캔 투 이메일 작업과 관련된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는 스캐너(4)로 전력을 공급하여 소정 문서를 스캔하고, 네트워크 모듈(7)에 전력을 공급하여 스캔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 스캐너(4), 네트워크 모듈(7)의 전력 사용량이 300W를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의 전력 공급량을 감소시키거나, 스캔 작업이 완료된 후에 스캐너(4)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네트워크 모듈(7)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 동작을 통해,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스캔 투 이메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이 초과되면,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2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통신 유닛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2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 시에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사용 중인 기존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에 설정된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추가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존 전력 사용량과 추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하여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230에서, 전력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사용량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은, 사용자 입력 또는 관리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서버(2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부속 기기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대값은,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부속 기기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사용량의 최소값은,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수행 가능한 화상 형성 작업 별로 소모되는 기준 전력 사용량 중 최대값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력 사용량과 기준 전력 사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고,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어 동작들에는, 부속 기기들 중 전력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 제어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어 동작들에는 화상 형성 작업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제2 제어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어 동작들에는, 화상 형성 작업을 구성하는 서브 작업들 중 제1 서브 작업의 진행에 따라, 부속 기기들 중 제1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1 서브 작업 이외의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3 제어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사용량과 기준 전력 사용량의 차이값이 제1 임계값 이하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제1 제어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차이값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 이하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제2 제어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차이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제3 제어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수의 제어 동작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소정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변경되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보정된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보정된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보정된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보정된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소정 제어 동작의 후순위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부속 기기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정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수행 가능한 화상 형성 작업 별로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화상 형성 장치(10)의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력을 관리하는 서버(20)로 비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3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320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330에 따라,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3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력 사용량과 기준 전력 사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3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고,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다른 예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20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50에 따라,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수의 제어 동작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소정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변경되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보정된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보정된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보정된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40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보정된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50에 따라,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20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70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부속 기기들 중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제어 동작으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제1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40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70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제2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5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2 제어 동작으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제2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2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60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70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6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을 구성하는 서브 작업들 별로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제3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을 구성하는 서브 작업들 중 제1 서브 작업의 진행에 따라, 부속 기기들 중 제1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1 서브 작업 이외의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에,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서브 작업의 후속 작업인 제2 서브 작업의 진행에 따라, 부속 기기들 중 제2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2 서브 작업 이외의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부속 기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속 기기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에서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속 기기는, 전력 공급 방식에 따라 복수의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속 기기는, 전력 공급 제어가 불가능한 제1 타입 기기, 전력 공급량의 조절 및 전원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제2 타입 기기, 전력 공급량의 조절이 가능한 제3 타입 기기, 및 전원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제4 타입 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타입 기기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원이 온 상태이면,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타입 기기는, 전면 커버 개방 센서(Front Cover Open Sensor)일 수 있고, 다른 기기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타입 기기는,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고, 기기의 전원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타입 기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일 수 있고, 다른 기기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력 공급량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내의 백라이트의 밝기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이 소정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또는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전원은 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타입 기기는,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타입 기기는 CPU일 수 있고, 다른 기기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PU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을 위해 지속적으로 구동되어야 하므로 전원의 온/오프 제어가 불가능하고, 클락(clock) 조절 또는 코어 전력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전력 공급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4 타입 기기는, 기기의 전원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타입 기기는 피니셔(Finisher)일 수 있고, 다른 기기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니셔는 용지의 배출을 위해 전력 공급이 필요하나, 인쇄 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표(610)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작업 별로,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부속 기기들의 전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가 대기 모드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Wi-Fi 모듈, Network 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Wi-Fi 모듈, Network 모듈을 화상 형성 장치(1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할 때 전력을 공급하는 부속 기기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복사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피니셔, 스캐너, 엔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피니셔, 스캐너, 엔진을 복사 작업 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속 기기로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인쇄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피니셔, 엔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피니셔, 엔진을 인쇄 작업 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속 기기로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네트워크 인쇄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피니셔, 엔진, 네트워크 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피니셔, 엔진, 네트워크 모듈을 네트워크 인쇄 작업 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속 기기로 저장할 수 있다.
도 6의 표(620)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부속 기기의 전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속 기기의 전력 정보는, 부속 기기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 부속 기기에서 조절 가능한 전력 공급량, 소정의 작업 중에 전원의 온/오프 제어 가능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피니셔, 스캐너, 엔진, Wi-Fi 모듈, 네트워크 모듈 각각이 사용될 때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부속 기기의 전력 사용량은, 부속 기기가 생산될 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력 공급량의 조절이 가능한 부속 기기에 대해 조절 가능한 전력 공급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PU는 10W 에서 5W까지 조절 가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10W 에서 5W까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에 대해 조절 가능한 전력 공급량이 5W 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피니셔, 스캐너, 엔진, Wi-Fi 모듈, 네트워크 모듈 각각은, 소정 작업 중에 전원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소정의 작업 중에 전원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부속 기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7a 는 화상 형성 작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의 블록(711)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작업은 복사 작업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의 요청 시점에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사용 중인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의 요청 시점에 CPU,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Wi-Fi 모듈, 네트워크 모듈이 동작 중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도 6의 표(620)에 따라, CPU,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Wi-Fi 모듈, 네트워크 모듈의 동작으로 인해 소비되는 기존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전력 사용량은 25W일 수 있다.
도 7a의 블록(712)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부속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사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부속 기기는, CPU, 스캐너, 엔진, 피니셔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부속 기기에 설정된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추가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부속 기기 중에서, 기존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된 부속 기기와 중복되는 부속 기기를 제외한 상태에서, 추가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PU는, 복사 작업의 요청 시점에 이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사용 중에 있었으므로, 추가 전력 사용량의 산출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 전력 사용량은 25W일 수 있다.
도 7a의 블록(713)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존 전력 사용량과 추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은 50W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전력 사용량이 50W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기준 전력 사용량이 50W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력이 부족한 상태임을 감지하고,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b 내지 도 7d는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부속 기기들 중 전력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부속 기기의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복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력 사용량이 50W이지만, 기준 전력 사용량이 50W 미만인 경우, 도 7b의 블록(721)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부속 기기들 중 전력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부속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의 요청 시점에 사용 중인 부속 기기들과 복사 작업 시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 중에서, 전력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부속 기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검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에 저장된 부속 기기의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CPU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조절 가능한 전력 공급량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PU의 조절 가능한 전력 공급량은 5W 에서 10W일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조절 가능한 전력 공급량도 5W 에서 10W일 수 있다.
도 7b의 블록(722)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력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CPU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전력 사용량을 10W에서 5W로 조절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전력 공급량을 조절한 후에,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은 40W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전력 사용량이 40W 이상 50W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기준 전력 사용량이 40W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력이 부족한 상태임을 감지하고,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c는,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복사 작업에 사용되지 않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복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력 사용량이 40W이지만, 기준 전력 사용량이 40W 미만인 경우, 도 7c의 블록(731)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부속 기기들 중 복사 작업 시에 동시 사용이 필요한 부속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사 작업에 있어서, 스캔 작업 후 인쇄 작업 시에 엔진과 피니셔는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부속 기기들 중에서, 동시 사용이 요구되는 엔진과 피니셔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c의 블록(732)를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부속 기기들 중 전원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부속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부속 기기들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Wi-Fi 모듈, 네트워크 모듈, 스캐너, 엔진, 및 피니셔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c의 블록(733)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부속 기기들 중에서, 복사 작업에 사용되지 않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Wi-Fi 모듈, 네트워크 모듈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은 30W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전력 사용량이 30W 이상 40W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기준 전력 사용량이 30W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력이 부족한 상태임을 감지하고, 복사 작업을 구성하는 서브 작업들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d는,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복사 작업을 구성하는 스캔 작업과 인쇄 작업을 분리하여 수행함으로써, 복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력 사용량이 30W이지만, 기준 전력 사용량이 30W 미만인 경우, 도 7d의 블록(741)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을 구성하는 제1 서브 작업인 스캔 작업 시에,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작업 시에 CPU 및 스캐너만 동작하므로, 스캔 작업 시의 전력 사용량은 15W로 산출될 수 있다. 스캔 작업 시에 CPU 및 스캐너의 전원은 온 상태로 전환되고, 나머지 부속 기기의 전원은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7d의 블록(742)를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스캔 작업 이후에, 스캐너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d의 블록(743)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을 구성하는 제2 서브 작업인 인쇄 작업 시에,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엔진 및 피니셔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작업 시의 전력 사용량은 20W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기준 전력 사용량이 최소로 설정될 수 있는 값은,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수행 가능한 작업 별로 소모되는 최대 전력 사용량 중 최대값일 수 있다. 여기서, 작업의 단위는, 하나의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는 작업일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전력 사용량이 최소값으로 설정되더라도, 소정 서브 작업이 수행 가능한 값이므로,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도 8은 그룹 내의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제어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서버의 동작 810에서, 서버(2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전력이 제한적인 경우, 서버(20)는, 소정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건물 내의 층별로 위치한 화상 형성 장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서버(20)의 동작 820에서, 서버(20)는, 그룹에 설정된 그룹 기준 전력 사용량 및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설정된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그룹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량의 범위 내에서 그룹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량은,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설정된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정보는, 제1 화상 형성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최소값부터 최대값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대값은, 제1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들의 최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소값은, 제1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작업 별로 소모되는 최대 전력 사용량 중 최대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내의 평균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전력 할당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20)는, 그룹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량의 범위 및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전력 할당 비율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량이 100W 이고,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할당 비율이 50%이고,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할당 비율이 30%이고, 제3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할당 비율이 20%인 경우, 서버(20)는,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50W로 설정하고,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30W로 설정하고, 제3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20W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전력 할당 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기준 전력 사용량을 할당할 수 있다.
서버(20)의 동작 830에서, 서버(2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서 실제로 사용한 전력을 나타내는 실제 전력 사용량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으로부터, 실제 전력 사용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실제 전력 사용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전력 사용량이 누적된 전력 누적 사용량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으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2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의 동작 840에서, 서버(20)는,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이 1에 근접할수록, 기준 전력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이 0에 근접할수록, 기준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비율 정보 및 화상 형성 작업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전력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작업의 이력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의 전력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화상 형성 작업의 이력 정보에 부속 기기의 전력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의 빈도가 높을수록, 기준 전력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동작은, 전력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 제어 동작, 화상 형성 작업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제2 제어 동작 및 화상 형성 작업을 구성하는 서브 작업들 중 제1 서브 작업의 진행에 따라, 부속 기기들 중 제1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1 서브 작업 이외의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3 제어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비율 정보를 획득하고,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조절함으로써, 그룹 내의 전력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서버에서 그룹 내의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서버(20)의 동작 920에서, 서버(2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1, 10-2, 10-3)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그룹에서 사용 가능한 그룹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1, 10-2, 10-3)의 동작 920에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1, 10-2, 10-3) 각각은,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내에서 최대값은,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들의 최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또한,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내에서 최소값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작업 별로 소모되는 최대 전력 사용량 중 최대값일 수 있다.
서버(20)의 동작 930에서, 서버(20)는 그룹에 설정된 그룹 기준 전력 사용량 및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1, 10-2, 10-3) 각각에 설정된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1, 10-2, 10-3)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1, 10-2, 10-3)의 동작 940에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1, 10-2, 10-3) 각각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실제 전력 사용량의 이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의 동작 950에서, 서버(2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1, 10-2, 10-3) 각각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의 동작 960에서, 서버(20)는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1, 10-2, 10-3)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를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통신 유닛(10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20), 메모리(1030) 및 프로세서(10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은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20)과 대응될 수 있다.
통신 유닛(1010)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유닛(101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 서버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20)은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에 따른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2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030)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메모리(10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0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0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메모리(10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40)는, 통신 유닛(1010)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20)을 통해,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40)는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 시에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사용 중인 기존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에 설정된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추가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기존 전력 사용량과 추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하여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프로세서(1040)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사용량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은, 사용자 입력 또는 관리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40)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부속 기기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대값은,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부속 기기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사용량의 최소값은,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수행 가능한 화상 형성 작업 별로 소모되는 기준 전력 사용량 중 최대값일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20)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40)는 전력 사용량과 기준 전력 사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고,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어 동작들에는, 부속 기기들 중 전력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 제어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어 동작들에는 화상 형성 작업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제2 제어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어 동작들에는, 화상 형성 작업을 구성하는 서브 작업들 중 제1 서브 작업의 진행에 따라, 부속 기기들 중 제1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1 서브 작업 이외의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3 제어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사용량과 기준 전력 사용량의 차이값이 제1 임계값 이하이면, 프로세서(1040)는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제1 제어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차이값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 이하이면, 프로세서(1040)는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제2 제어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차이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면, 프로세서(1040)는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제3 제어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40)는 복수의 제어 동작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소정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변경되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보정된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보정된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프로세서(1040)는 보정된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보정된 전력 사용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프로세서(1040)는 소정 제어 동작의 후순위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40)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부속 기기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정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수행 가능한 화상 형성 작업 별로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의 정보를 메모리(10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40)는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화상 형성 장치(10)의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통신 유닛(1010)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력을 관리하는 서버로 비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의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서버(20)를 참고하면, 서버(20)는, 통신 유닛(1110), 스토리지(1120), 메모리(1130) 및 프로세서(1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버(2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버(2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통신 유닛(1110)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유닛(111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등일 수 있다.
스토리지(112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정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이력 정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을 구성하는 부속 기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130)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서버(20)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메모리(1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1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1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메모리(11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전력이 제한적인 경우, 프로세서(1140)는, 소정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건물 내의 층별로 위치한 화상 형성 장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그룹에 설정된 그룹 기준 전력 사용량 및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설정된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그룹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량의 범위 내에서 그룹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량은,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4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설정된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정보는, 제1 화상 형성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최소값부터 최대값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대값은, 제1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들의 최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소값은, 제1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작업 별로 소모되는 최대 전력 사용량 중 최대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내의 평균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전력 할당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그룹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량의 범위 및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전력 할당 비율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4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전력 할당 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기준 전력 사용량을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서 실제로 사용한 전력을 나타내는 실제 전력 사용량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으로부터, 실제 전력 사용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실제 전력 사용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전력 사용량이 누적된 전력 누적 사용량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4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으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4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이 1에 근접할수록, 기준 전력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40)는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이 0에 근접할수록, 기준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40)는 비율 정보 및 화상 형성 작업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전력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작업의 이력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의 전력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화상 형성 작업의 이력 정보에 부속 기기의 전력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의 빈도가 높을수록, 기준 전력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동작은, 전력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 제어 동작, 화상 형성 작업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제2 제어 동작 및 화상 형성 작업을 구성하는 서브 작업들 중 제1 서브 작업의 진행에 따라, 부속 기기들 중 제1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1 서브 작업 이외의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3 제어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비율 정보를 획득하고,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조절함으로써, 그룹 내의 전력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10) 및 서버(20)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통신 유닛;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 유닛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 시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 중인 기존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상기 부속 기기들에 설정된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추가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기존 전력 사용량과 상기 추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전력 사용량과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동작들은,
    상기 부속 기기들 중 전력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 제어 동작;
    상기 화상 형성 작업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제2 제어 동작; 및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구성하는 서브 작업들 중 제1 서브 작업의 진행에 따라, 상기 부속 기기들 중 상기 제1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서브 작업 이외의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3 제어 동작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차이값이 제1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상기 제1 제어 동작을 선택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상기 제2 제어 동작을 선택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상기 제3 제어 동작을 선택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제어 동작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소정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변경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보정된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보정된 전력 사용량이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보정된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보정된 전력 사용량이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소정 제어 동작의 후순위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대값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 각각의 최대 전력 사용량을 합산한 값이고,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최소값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작업 별로 소모되는 최대 전력 사용량 중 최대값인,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속 기기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의 정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화상 형성 작업 별로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을 관리하는 서버로 상기 비율 정보를 전송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력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량이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사용량과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동작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동작들은,
    상기 부속 기기들 중 전력 공급량이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속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 제어 동작;
    상기 제1 화상 형성 작업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제2 제어 동작; 및
    상기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구성하는 서브 작업들 중 제1 서브 작업의 진행에 따라, 상기 부속 기기들 중 상기 제1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서브 작업 이외의 서브 작업에 사용되는 부속 기기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3 제어 동작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량이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제어 동작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소정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변경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보정된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전력 사용량이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보정된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전력 사용량이 상기 기준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소정 제어 동작의 후순위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5. 통신 유닛; 스토리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그룹에 설정된 그룹 기준 전력 사용량 및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설정된 기준 전력 사용량의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대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비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조절하는, 서버.
KR1020200131398A 2020-10-12 2020-10-12 기준 전력 사용량의 설정에 기초하여 기기의 전력을 제어 KR20220048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398A KR20220048348A (ko) 2020-10-12 2020-10-12 기준 전력 사용량의 설정에 기초하여 기기의 전력을 제어
PCT/US2021/051090 WO2022081304A1 (en) 2020-10-12 2021-09-20 Control of power of elements based on setting of reference power u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398A KR20220048348A (ko) 2020-10-12 2020-10-12 기준 전력 사용량의 설정에 기초하여 기기의 전력을 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348A true KR20220048348A (ko) 2022-04-19

Family

ID=8120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398A KR20220048348A (ko) 2020-10-12 2020-10-12 기준 전력 사용량의 설정에 기초하여 기기의 전력을 제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48348A (ko)
WO (1) WO20220813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8590B2 (en) * 2006-11-08 2010-09-21 Xerox Corporation Printer having user profiles for conserving power consumption
US8570564B2 (en) * 2010-06-15 2013-10-29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printing device for monitoring and modifying operation of a printing device corresponding to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KR102096771B1 (ko) * 2015-09-30 2020-04-0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프린터 전력 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1304A1 (en)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360B2 (ja) 管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490156B1 (en) Print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86314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12520B2 (en) Method of assigning ser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11154446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節電制御
JP2012114568A (ja) 画像形成装置、情報設定システム、情報設定方法及び情報設定プログラム
US90322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ower sav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102737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09140052A (ja) 電源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源管理方法
JP2012164171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1758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mputer program
US876069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ecuting image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condi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5751781B2 (ja) 画像処理装置
JP5838872B2 (ja) 画像形成装置、省エネ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048348A (ko) 기준 전력 사용량의 설정에 기초하여 기기의 전력을 제어
JP6132535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71490B2 (ja) 画像処理装置
JP2010130416A (ja)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5630339B2 (ja) 通信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5903922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画像形成装置、機器管理プログラム
JP2014106727A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79840B2 (ja) 画像処理装置、機器連携システム、電力復帰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1020267A (ja)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634506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145765A (ja) 課金システムの課金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