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143A - 직류 모터 - Google Patents

직류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143A
KR20220048143A KR1020200130946A KR20200130946A KR20220048143A KR 20220048143 A KR20220048143 A KR 20220048143A KR 1020200130946 A KR1020200130946 A KR 1020200130946A KR 20200130946 A KR20200130946 A KR 20200130946A KR 20220048143 A KR20220048143 A KR 20220048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rush holder
motor
commutato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143A/ko
Publication of KR20220048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18Contact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 or slip-ring, e.g. contact brus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모터를 제공한다. 직류 모터는 회전 가능한 정류자,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전류를 인가하는 브러쉬, 내부에 상기 브러쉬를 수용하는 브러쉬 홀더 및 상기 정류자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부가 정의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브러쉬 홀더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브러쉬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정의된다.

Description

직류 모터{DC MOTOR}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브러쉬 홀더가 적용된 직류 모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Motor Driven Power Steering: MDPS)에는 전기 모터가 적용된다. 기존에는 BLAC타입의 모터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에 적용되었으나, 최근 원가 절감 목적으로 중소형차에는 직류(DC) 타입으로 적용 하고 있는 추세이다. 직류 모터는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모터의 제어가 단순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직류 모터는 BLAC 모터와 다르게 브러쉬와 정류자가 접촉이 되어 작동함으로써 구조적으로 NVH가 좋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NVH는 Noise(소음), Vibration(진동), Harshness(불쾌감)의 약자로 자동차를 이루는 부품에서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의미한다. 기존의 직류 모터는 브러쉬와 브러쉬 홀더 사이에 적용되는 스프링으로 인해 브러쉬와 브러쉬 홀더 간의 결합 강성이 약하고, 이에 따라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었다. 또한, 브러쉬는 흑연 재질로 되어 있어 장시간 모터 사용시 정류자와 접척으로 인해 마모가 일어 나게 되는데, 4개의 브러쉬에 가해지는 하중이 각기 다를 경우 결과적으로 브러쉬와 정류자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제각각으로 바뀌게 되고 이는 소음과 브러쉬와 정류자 간의 저항에 변화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직류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직류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정류자와 브러쉬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브러쉬 홀더들에 동일한 힘을 인가할 수 있는 탄성부재가 적용된 직류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모터를 제공한다. 직류 모터는 회전 가능한 정류자,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전류를 인가하는 브러쉬, 내부에 상기 브러쉬를 수용하는 브러쉬 홀더 및 상기 정류자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부가 정의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브러쉬 홀더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브러쉬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정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격벽부와 상기 정류자 사이로 상기 브러쉬 홀더가 이동되도록 정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브러쉬 홀더는 상기 커버부재 상에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격벽부를 바라보는 상기 브러쉬 홀더들의 일측에 정의된 오목부에 탄성부재가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브러쉬 홀더들 각각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브러쉬에서 상기 정류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브러쉬 홀더들은 시계방향으로 배치된 제1 브러쉬 홀더, 제2 브러쉬 홀더, 제3 브러쉬 홀더 및 제4 브러쉬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러쉬 홀더, 상기 제2 브러쉬 홀더, 상기 제3 브러쉬 홀더 및 상기 제4 브러쉬 홀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제1 브러쉬 홀더와 상기 제3 브러쉬 홀더가 움직이는 방향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2 브러쉬 홀더와 상기 제4 브러쉬 홀더가 움직이는 방향은 서로 평행하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정의된 시트 플레이트 및 상기 시트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제공되고 상기 격벽부가 제공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시트 플레이트에서 상기 리어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된 영역을 의미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브러쉬는 상기 브러쉬 홀더에 정의된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중공부 내에서 고정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가 직류 모터에 적용됨에 따라 브러쉬와 브러쉬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이 삭제될 수 있다. 즉, 브러쉬와 브러쉬 홀더는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러쉬와 브러쉬 홀더의 결합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브러쉬와 브러쉬 홀더의 결합 강성 증대를 통해 고전류 인가 시 브러쉬와 브러쉬 홀더 사이의 갭으로 인해 떨림이 발생되고, 떨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는 브러쉬 홀더들에 동일한 힘을 인가하여 브러쉬가 시트 플레이트의 조립 산포에 의해 정류자와 접촉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브러쉬 홀더들에 동일한 힘이 인가됨에 따라 브러쉬들과 정류자 간의 접촉하는 정도가 달라 브러쉬와 정류자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브러쉬들 마다 달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쉬와 정류자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브러쉬들 마다 동일해짐에 따라, 브러쉬와 정류자의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모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자와 브러쉬 홀더들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와 브러쉬 홀더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류자와 브러쉬 홀더들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모터(1)는 차량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Motor Driven Power Steering: MDPS)에 적용되는 모터로써,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은 전기 모터의 어시스트로 조향보조의 동력원을 사용하는 파워 스티어링의 작동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직류 모터(1)는 하우징(100), 고정자(110), 회전자(130), 정류자(200), 브러쉬 홀더(310), 브러쉬(330) 및 커버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 단부가 개방된 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 단부에는 커버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400)는 개방된 하우징(100)의 일 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고정자(110)는 서로 다른 극으로 형성되어 자기장을 유지시킬 수 있는 다수의 고정자석(예를 들어, 한 쌍의 고정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11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자(130)는 고정자(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류를 공급받아 기자력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자(13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50)이 회전되고, 회전축(50)의 회전력은 정류자(200)로 전달될 수 있다.
정류자(200)는 회전축(5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정류자(200)는 브러쉬(330)와의 접촉에 의해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다. 브러쉬(330)는 브러쉬 홀더(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브러쉬 홀더(310)는 커버부재(400)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브러쉬(300)는 전원공급선(미도시)와 연결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재(400)는 정류자(200) 및 브러쉬(300)를 감싸도록 하우징(10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400)에는 정류자(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50)이 관통되는 관통부(405)가 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모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브러쉬 홀더(310)의 일부는 커버부재(400)에 정의된 가이드 레일(415)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400)는 가이드 레일(415)이 정의된 시트 플레이트(410) 및 시트 플레이트(410)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리어 커버(430)를 포함할 수 있고, 브러쉬 홀더(310)의 일부는 시트 플레이트(410)에 정의된 가이드 레일(415)에 삽입될 수 있다. 리어 커버(430)는 그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격벽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15)은 시트 플레이트(410)에서 리어 커버(4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15)은 격벽부(435)와 정류자(200) 사이로 브러쉬 홀더(310)가 이동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브러쉬(330)는 브러쉬 홀더(310)에 정의된 중공부(315)에 삽입될 수 있다. 브러쉬(330)는 중공부(315) 내에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브러쉬(330)와 브러쉬 홀더(310) 사이에는 다른 구성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브러쉬(330)와 브러쉬 홀더(310) 사이에는 갭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브러쉬(330)는 전원공급선(350)과 연결될 수 있고, 브러쉬(330)와 정류자(200)의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정류자(200)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격벽부(435)를 바라보는 브러쉬 홀더(310)의 일측에는 오목부가 정의될 수 있다. 오목부에는 탄성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브러쉬(330)에서 정류자(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러쉬(330)가 정류자(200)가 상시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500)가 직류 모터에 적용됨에 따라 브러쉬(330)와 브러쉬 홀더(31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이 삭제될 수 있다. 즉, 브러쉬(330)와 브러쉬 홀더(310)는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러쉬(330)와 브러쉬 홀더(310)의 결합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브러쉬(330)와 브러쉬 홀더(310)의 결합 강성 증대를 통해 고전류 인가 시 브러쉬(330)와 브러쉬 홀더(310) 사이의 갭으로 인해 떨림이 발생되고, 떨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자와 브러쉬 홀더들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설명의 간략을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브러쉬 홀더들(310a, 310b, 31c, 310d)은 시계방향으로 배치된 제1 브러쉬 홀더(310a), 제2 브러쉬 홀더(310b), 제3 브러쉬 홀더(310c) 및 제4 브러쉬 홀더(31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러쉬 홀더(310a)에는 제1 브러쉬(330a)가 삽입될 수 있고, 제2 브러쉬 홀더(310b)에는 제2 브러쉬(330b)가 삽입될 수 있고, 제3 브러쉬 홀더(310c)에는 제3 브러쉬(330c)가 삽입될 수 있고, 제4 브러쉬 홀더(310d)에는 제4 브러쉬(330d)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브러쉬 홀더(310a), 제2 브러쉬 홀더(310b), 제3 브러쉬 홀더(310c) 및 제4 브러쉬 홀더(310d)는 가이드 레일(415a, 415b, 415c, 415d) 상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415a, 415b, 415c, 415d)은 격벽부(435)에서 정류자(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브러쉬 홀더(310a)는 정류자(200)를 기준으로 제3 브러쉬 홀더(310c)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브러쉬 홀더(310b)는 정류자(200)를 기준으로 제4 브러쉬 홀더(310d)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브러쉬 홀더(310a)와 제3 브러쉬 홀더(310c)가 움직이는 방향은 서로 평행할 수 있고, 제2 브러쉬 홀더(310c)와 제4 브러쉬 홀더(310d)가 움직이는 방향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브러쉬 홀더(310a)가 움직이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레일(415a)의 연장 방향은 제3 브러쉬 홀더(310c)가 움직이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 레일(415c)의 연장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2 브러쉬 홀더(310b)가 움직이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레일(415b)의 연장 방향은 제4 브러쉬 홀더(310d)가 움직이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4 가이드 레일(415d)의 연장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복수개의 브러쉬 홀더들(310a, 310b, 310c, 310d) 각각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브러쉬들(330a, 330b, 330c, 330d) 에서 정류자(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500)는 오링(O-ring) 또는 탄성력을 가진 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쉬들(330a, 330b, 330c, 330d)) 각각을 정류자(200)를 향해 밀어주는 스프링 4개가 탄력성 있는 1개의 탄성부재(500)로 대체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4개의 브러쉬들(330a, 330b, 330c, 330d)에 동일하제 힘들 전달할 수 있다. 4개의 스프링을 1개의 탄성부재(500)로 대체함으로써 직류 모터를 제조하는 비용이 감소될 수 있고, 직류 모터에 적용되는 부품수가 감소도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와 브러쉬 홀더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 브러쉬 홀더를 바라본 도면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러쉬 홀더(310)는 브러쉬(330)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정의하는 바디부(311), 바디부(311)에서 시트 플레이트(410)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313) 및 가이드 레일(415)이 정의하는 공간에 삽입되는 평판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1)에서 시트 플레이트(410)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평판부(315)는 연장부(313)보다 큰 너비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15)은 연장부(313)와 평판부(315)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가이드 레일(415)에 삽입되는 구성은 연장부(313)와 평판부(315)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415)과 연장부(313) 및 가이드 레일(415)과 평판부(315) 사이에는 갭이 존재할 수 있어 브러쉬 홀더(310)가 가이드 레일(415)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15)이 정류자(200)와 접촉하지 않고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의 탄성부재(50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류자와 브러쉬 홀더들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을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브러쉬 홀더(310a), 제2 브러쉬 홀더(310b), 제3 브러쉬 홀더(310c) 및 제4 브러쉬 홀더(310d)는 가이드 레일 상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시트 플레이트(410)의 조립 산포가 발생되는 경우, 제1 브러쉬 홀더(310a), 제2 브러쉬 홀더(310b), 제3 브러쉬 홀더(310c) 및 제4 브러쉬 홀더(310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위치가 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러쉬(330a), 제2 브러쉬(330b), 제3 브러쉬(330c) 및 제4 브러쉬(330d) 중 일부는 정류자(200)와 접촉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500)는 제1 브러쉬 홀더(310a), 제2 브러쉬 홀더(310b), 제3 브러쉬 홀더(310c) 및 제4 브러쉬 홀더(310d) 각각의 일측과 모두 접촉하여 정류자(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브러쉬 홀더(310a), 제2 브러쉬 홀더(310b), 제3 브러쉬 홀더(310c) 및 제4 브러쉬 홀더(310d) 각각의 일측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500)는 제1 브러쉬 홀더(310a), 제2 브러쉬 홀더(310b), 제3 브러쉬 홀더(310c) 및 제4 브러쉬 홀더(310d)에 동일한 힘을 인가하여 제1 브러쉬(330a), 제2 브러쉬(330b), 제3 브러쉬(330c) 및 제4 브러쉬(330d)가 시트 플레이트(410)의 조립 산포에 의해 정류자(200)와 접촉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 홀더들(310a, 310b, 310c, 310d)에 동일한 힘이 인가됨에 따라 브러쉬들(330a, 330b, 330c, 330d)과 정류자(200) 간의 접촉하는 정도가 달라 브러쉬들(330a, 330b, 330c, 330d)와 정류자(200)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브러쉬들 브러쉬들(330a, 330b, 330c, 330d) 마다 달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쉬들(330a, 330b, 330c, 330d)와 정류자(200)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브러쉬들(330a, 330b, 330c, 330d) 마다 동일해짐에 따라, 브러쉬들(330a, 330b, 330c, 330d)와 정류자(200)의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회전 가능한 정류자;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전류를 인가하는 브러쉬;
    내부에 상기 브러쉬를 수용하는 브러쉬 홀더; 및
    상기 정류자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부가 정의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브러쉬 홀더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브러쉬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정의된,
    직류 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격벽부와 상기 정류자 사이로 상기 브러쉬 홀더가 이동되도록 정의된,
    직류 모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홀더는 상기 커버부재 상에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격벽부를 바라보는 상기 브러쉬 홀더들의 일측에 정의된 오목부에 탄성부재가 제공되는,
    직류 모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브러쉬 홀더들 각각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브러쉬에서 상기 정류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직류 모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홀더들은 시계방향으로 배치된 제1 브러쉬 홀더, 제2 브러쉬 홀더, 제3 브러쉬 홀더 및 제4 브러쉬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러쉬 홀더, 상기 제2 브러쉬 홀더, 상기 제3 브러쉬 홀더 및 상기 제4 브러쉬 홀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직류 모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 홀더와 상기 제3 브러쉬 홀더가 움직이는 방향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2 브러쉬 홀더와 상기 제4 브러쉬 홀더가 움직이는 방향은 서로 평행한,
    직류 모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정의된 시트 플레이트 및 상기 시트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제공되고 상기 격벽부가 제공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직류 모터.
  8.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시트 플레이트에서 상기 리어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된 영역을 의미하는,
    직류 모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브러쉬 홀더에 정의된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중공부 내에서 고정 결합되는,
    직류 모터.

KR1020200130946A 2020-10-12 2020-10-12 직류 모터 KR20220048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46A KR20220048143A (ko) 2020-10-12 2020-10-12 직류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46A KR20220048143A (ko) 2020-10-12 2020-10-12 직류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143A true KR20220048143A (ko) 2022-04-19

Family

ID=8139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46A KR20220048143A (ko) 2020-10-12 2020-10-12 직류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1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9782B2 (ja) モータ
KR20020025071A (ko) 전기 모터
KR101294580B1 (ko)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조정 장치
KR900003400Y1 (ko) 브러시 장치를 구비한 소형 회전기
US20100141082A1 (en) Brush holder assembly for a dynamo-electric machine
KR20220048143A (ko) 직류 모터
GB2184612A (en) Miniature electric motor brush gear
GB2433651A (en) Vibration decoupling mounting of brushes or brush holders
KR20010070108A (ko) 드릴 가공 또는 스크류 가공 장치
US2636136A (en) Electric motor
WO2015199187A1 (ja) ブラシホルダ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dcモータ
JP2000184661A (ja) モータ
KR101143325B1 (ko)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JPH0998559A (ja) 直流モータにおけるブラシ配線部構造
US6114792A (en) Commutator motor with a magnetic field deflecting moving charge carriers in the commutator brush
CN108370201B (zh) 电机及包括该电机的车辆
KR100995487B1 (ko) 접촉 소자 홀더
JP2014011809A (ja) ブラシホルダ装置及びモータ
CN219420441U (zh) 电机
CN219718020U (zh) 电机单元以及直流有刷电机
WO2020069751A1 (en) A power supply connector with multiple connections for relatively moving parts of a working machine, a use of a power supply connector with multiple connections
CN210041515U (zh) 电驱动器
JP2019068656A (ja) モータ
WO2023188779A1 (ja) 電動機
CN210404930U (zh) 用于车辆电机的电刷板系统及车辆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