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041A - 캐뉼라 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캐뉼라 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041A
KR20220048041A KR1020227010902A KR20227010902A KR20220048041A KR 20220048041 A KR20220048041 A KR 20220048041A KR 1020227010902 A KR1020227010902 A KR 1020227010902A KR 20227010902 A KR20227010902 A KR 20227010902A KR 20220048041 A KR20220048041 A KR 2022004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eal assembly
wall
cannula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087B1 (ko
Inventor
로버트 씨. 레이드
저스틴 크롬
타일러 제이. 모리세트
3세 조셉 피. 오반
윌리엄 에이. 버뱅크
데이비드 디트로이
Original Assignee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3700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153A/ko
Publication of KR2022004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with means acting on inner surface of valve or seal for expanding or protecting, e.g. inner pivoting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Robo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최소 침습 수술 동안 사용되는 기밀 실 어셈블리가 다양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와이퍼 실이 실링부 및 주위의 플렉스부를 포함하고 있다. 실링부의 상하면은 삽입되는 기기에 대해 경사져 있고, 상면의 각도는 하면의 각도 보다 기기의 샤프트에 대해 보다 예리하다. 이러한 플렉스부는 코루게이트 형상을 갖고 있고, 서포트 리브는 하나 이상의 코루게이션 그루브에 있고, 이러한 서포트 리브에 의해 그루브는 용이하게 접어지지만 그루브가 넓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리브는 또한 실링부가 반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기 삽입 가이드는 실링부 위에 위치되어 있고 실링부와 함께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래치 피스는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에 제거가능하게 고정한다. 반전방지 피스는 기기가 빠질 때 와이퍼 실이 반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어셈블리가 실 어셈블리, 캐뉼라, 수술 기기, 밀폐기, 내시경, 및 원격조정 의료 장치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 어셈블리는 캐뉼라 안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실 어셈블리는 제조 또는 원격조정 수술 동안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캐뉼라 실 어셈블리{CANNULA SEAL ASSEMBL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최소 침습 수술 시스템용 캐뉼라 실에 관한 것이다.
최소 침습 수술에서, 수술 부위에 추가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체강에 공기 흡입된다. 최소 침습 수술 기기를 신체 안으로 안내하는 캐뉼라를 통해 흡입 가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밀 실이 보통 캐뉼라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기밀 실은 아무런 수술 기기가 캐뉼라를 통해 삽입되지 않을 때 개방 캐뉼라를 통해 흡입 가스가 빠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수술 기기가 이러한 캐뉼라를 통해 삽입될 때 캐뉼라와 기기 샤프트 사이의 간격을 통해 가스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미국 특허 번호 6,123,689(1997년 3월 28일 출원)는 최소 침습 수술 캐뉼라 실 어셈블리가 필요로 하는 기본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의 예인 "Reusable Cannula with Disposable Seal"을 개시하고 있다. 2개의 환형 플랜지는 실 어셈블리를 통해 삽입된 다양한 직경의 기기 샤프트에 대해 기밀 실을 제공하고, 트랩 도어는 기기가 실 어셈블리로부터 제거될 때 기밀 실을 제공하도록 닫힌다. 어댑터부는 환형 플랜지에 의해 실링된 샤프트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기 샤프트에 대해 실링하도록 실 어셈블리 위에 결합될 수 있다. 기기 샤프트는 내시경 및, 밀폐기와 같은 다른 수술 액세사리에 사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있다.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현재의 캐뉼라 실이 일반적으로 효과적이지만, 향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향상은 수술 기기가 실을 통해 삽입될 때 일어날 수 있고 (특히 박막, 격막형 와이퍼 실에 대한) 효과적인 실링을 줄이거나 방지하는 펑크 및 찢어짐에 대한 내성의 증가, 2개 이상의 실에 대한 필요를 최소화하여 동작 비용을 줄이는 광범위한 샤프트 직경에 대한 기기 샤프트의 효과적인 수용, 기기 샤프트가 실을 통해 삽입되고 빠질 때 기기 샤프트에 대한 감소된 마찰력(이로 인해 기기는 증가된 정밀도로 원격조정 제어될 수 있고, 삽입/빠짐 축을 따른 임의의 다른 힘을 줄임으로써, 그리고 기기 샤프트가 왕복함에 따라 실이 반전되는 경향을 줄임으로써 원격조정하는 의사에게 보다 정확한 삽입/빠짐 축 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감소된 부품 비용,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조성, 및 제조 및 수술중 사용시 용이한 조립을 포함한다.
다음의 요약은 기본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을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요약은 본 발명의 광범위한 요약이 아니고, 핵심 부재를 식별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요약이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실시예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지만, 그 목적은 아래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서 제외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형태로 일부 특징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특징에서, 수술 기기가 실을 통과함에 따라 실이 반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부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특징에서, 와이어 실이 실을 통해 삽입되는 수술 기기 샤프트에 대한 비교적 높은 마찰력 및, 실을 통해 빠지는 수술 기기 샤프트에 대한 비교적 낮은 마찰력을 제공하는 특징부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특징에서, 기기 삽입 가이드가 실을 손상시키지 않고 실을 통해 수술 기기 팁을 안내하도록 돕기 위해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아래의 와이퍼 실로 말단으로 뻗어 있다.
하나의 특징에서, 기기 삽입 가이드가 실을 손상시키지 않고 실을 통해 수술 기기 팁을 안내하도록 돕기 위해 와이퍼 실의 상부로 결합되어 있다.
하나의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가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 보울에 제거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단일 래치 피스(piece)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가 수술 기기가 실을 통해 빠질 때 실이 근접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반전방지 특징부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의 보울 안에서 회전할 때 실 어셈블리와 캐뉼라 사이에 실이 유지된다.
이것들과 다른 특징이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실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실 어셈블리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수술 기기 실 어셈블리 예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3은 와이퍼 실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단면 상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c 내지 도 3ab는 다양한 와이퍼 실 서포트 리브(rib) 구성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실 실시예의 단면 하부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11은 실 어셈블리를 위한 스페이서 및 래치 피스의 조합부 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에 결합되는,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 및 래치 피스의 래치부 예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가 옵션의 실 반전방지 피스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해 제거된 실 어셈블리 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3b는 실 어셈블리의 하우징의 상부가 정위치에 있는 실 어셈블리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3c 내지 도 13i는 다양한 반전방지 피스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밀폐기 예의 사시도이다.
도 15a는 실 어셈블리의 상부에 결합된 밀폐기 예의 근접부의 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도면에 대해 직각으로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6는 캐뉼라, 이러한 캐뉼라에 래치된 실 어셈블리, 및 실 어셈블리에 래치된 밀폐기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함께 결합되어 원격조정 매니퓰레이터의 말단부에 장착된 캐뉼라 및 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캐뉼라 및 실 어셈블리를 통합한 원격조정 의료 장치(178)의 사시도이다.
본 설명과 첨부한 도면들은 예시적인 구체예들을 예시하며,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청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한다. 다양한 기계적, 조성적, 구조적, 전기적 및 작동 상의 변화가 본 설명의 범위 및 등가물을 포함하는 청구된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주지된 회로, 구조 또는 기술은 명세서를 모호하게 하지 않고자 상세히 도시하거나 설명하지 않았다. 제목은 독자를 돕기 위한 것이고 본 설명을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용어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아래", "보다 낮은", "위", "상부", "근접", "말단"등과 같은 공간 관련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특징부의 다른 부재 또는 특징부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관련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 및 방향에 더해, 사용 또는 동작중인 장치의 상이한 위치(즉, 공간 위치) 및 방향(즉, 공간의 회전 변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장치가 뒤집어지면, 다른 부재 또는 특징부의 "아래"로 기술된 부재는 다른 부재 또는 특징부의 "위"가 된다. 따라서, 용어 "아래"는 위와 아래의 위치 및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이와 달리 배향될 수 있고(90도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공간 관련 설명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축을 따른 그리고 축 둘레의 이동의 설명은 다양한 특별한 장치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평행", "수직", "둥근", 또는 "사각형"과 같은 기하학적 용어는 문맥상 달리 표시하지 않으면 절대적인 수학적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러한 기하학적 용어에 의해 제조 또는 등가 기능으로 인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부재가 "둥근" 또는 "대략 둥근"으로 기술되어 있다면, 정확하게 원형이 아닌 구성요소(예를 들어, 경미하게 직방형이거나 다측 다각형) 역시 이러한 표현에 포함된다.
또한, 문맥상 달리 표현하지 않으면, 단수형 "한" 및 "그"는 복수형 역시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그리고,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등은 기술된 특징, 단계, 동작, 부재,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부재, 구성요소, 및/또는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결합된 것으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직접 결합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중간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 또는 적용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된 부재는 실시될 때마다, 이들이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기술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 또는 적용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가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고 제2 실시예에 대해 기술되지 않았다면, 부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 실시예에 포함된 것으로 청구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에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하나의 실시예, 또는 적용과 연관되어 도시되고, 기술된 하나 이상의 부재는 구체적으로 달리 기술되거나 하나 이상의 부재가 실시예를 비기능 상태로 하거나 이러한 부재의 2개 이상이 접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다른 실시예, 또는 특징에 통합될 수 있다.
기계적 구조, 요소, 또는 어셈블리와 같은 부품과 연관된 용어 "유연한"은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사실, 이러한 용어는 이러한 부품이 부품에 해를 주지 않고 원래의 형상으로 반복적으로 구부러지고 복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많은 "강성" 물체는 용어가 사용될 때 이러한 물체가 "유연"하지 않다고 생각될지라도, 재료 특성으로 인해 경미한 고유의 탄성 "구부러짐"을 갖고 있다. 유연한 부품은 무한 자유도(DOF)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의 예는 자주 상당한 단면 변형 없이, 다양한 단순하거나 복합적인 곡선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닫힌, 구부러짐가능 튜브(예를 들어, NITINOL, 폴리머, 연성 고무등으로 만들어진다), 및 나서형 코일 스프링등을 포함한다. 다른 유연한 부품이 등골의 사형 배열과 유사한 일련의 조밀하게 이격된 구성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무한 DOF 부품에 근접할 수 있다. 이러한 등골 배열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는 운동학 체인에서 짧은 링크이고, 각각의 링크 사이의 가동 기계적 제약(예를 들어, 핀 힌지, 컵 및 볼, 라이브 린지등)에 의해 이러한 링크 사이의 상대 운동의 하나(예를 들어, 피치) 또는 2개(예를 들어, 피치 및 요)의 DOF가 가능하다. 짧은, 유연한 부품은 자체가 다수의 결합된 링크로 만들어진 운동학 체인일 수 있지만, 운동학 체인에서 2개의 링크 사이에 하나 이상의 DOF를 제공하는 단일 기계학적 제약(조인트)으로서 기능하고 모델화될 수 있다. 당업자는 부품의 유연성이 강성 측면에서 기술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주로 Intuitive Surgical, Inc., Sunnyvale, California에 의해 판매되는 da Vinci Xi® Surgical System을 사용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이 원격조정, 그리고 적용가능하다면, 비원격조정 실시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da Vinci Xi® Surgical System에 대한 실시예는 단지 예이고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 어셈블리
도 1은 최소 침습 수술 기기를 위한 실 어셈블리(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근접 및 말단 배향 방향은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어 있고, 이러한 방향은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본 발명 및 연관된 도면에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10)는 캐뉼라(20)의 근접단부(보통 캐뉼라의 근접 단부의 캐뉼라 보울 안)에 위치되어 있고, 최소 침습 수술 기기(3)의 일부는 실 어셈블리(1) 및 캐뉼라(2)를 통해 환자 신체 내의 수술 부위(4)로 뻗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수술 기기(3)는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기계 DOF를 갖는 수술 엔드 이펙터(3a) 및 하나 이상의 기계적 DOF를 갖는 팔목 메커니즘(3b)과 같은 다양한 말단부 부품을 포함할 수 있어서, 의사는 엔드 이펙터(3a)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수술 기기(3)는 의사가 수술 절차 동안 기기를 작동함에 따라 여러번 실 어셈블리(1) 및 캐뉼라(2)를 통해 말단으로 삽입하고 근접방향으로 당겨진다(즉, 왕복한다). 래치부(도시되지 않음)는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뉼라(2)에 대해 실 어셈블리(1)를 정위치에 유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1)는 함께 조립될 때 실 어셈블리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5) 및 상부 하우징(6)을 포함하고 있다. 하부 하우징(5) 및 상부 하우징(6)은 완성된 단일 하우징을 만들기 위해 결합된 2개의 별개의 피스로서 도시되어 있고, 옵션으로 이러한 완성 실 어셈블리 하우징은 단일 피스로서 형성되어 있다. 실 어셈블리(1)는 와이퍼 실(7) 및 유체(예를 들어, 기체, 액체) 역류 방지 실(8)을 더 포함하고 있다. 다수의 와이퍼 실(7) 실시예가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역류 방지 실(8)은 옵션으로, 실을 통한 유체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고유의 엘라스토머 재료 특성에 의해 그리고 실의 말단측에 대한 유압에 의해) 하나 이상의 슬릿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지만, 유체 또는 물체가 이러한 실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다수의 형태의 실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실은 단일 슬릿 "덕빌" 형태, 교차 3-슬릿 3겹 형태, 교차 2-슬릿("크로스-슬릿" 또는 "십자형") 형태, 및 S-곡선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역류 방지 타입 실이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트랩 도어, 체크 밸브등).
사용에서, 역류 방지 실(8)은 아무런 수술 기기가 캐뉼라에 삽입되지 않을 때 수술 흡입 가스 또는 다른 유체가 캐뉼라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파선 대안 위치(9)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 있다. 수술 기기가 캐뉼라에 삽입될 때, 역류 방지 실(8)은 개방되고, 와이퍼 실(7)은 수술 기기의 샤프트에 대해 밀봉하여 마찬가지로 흡입 가스 또는 다른 유체가 캐뉼라를 통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와이퍼 실(7) 및 역류 방지 실(8)은 수술 기기가 캐뉼라에 삽입되는 여부와 관계없이, 수술 절차 동안 흡입 가스 또는 다른 유체가 캐뉼라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협동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실(7) 및 역류 방지 실(8)은 하부 하우징(5)과 상부 하우징(6)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지만, 하우징 내측에 실을 고정하는 접착제 또는 다른 수단의 사용등과 같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 내측에 실을 유지하는 다른 구성 역시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옵션의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 역시 하술되는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도 1은 실 어셈블리를 통해 기기가 삽입되는 여부에 관계없이, 흡입 가스가 환자에 들어갈 수 있고 가스 및 부유 미립자(예를 들어, 연기)가 환자로부터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배출 가스(10)는 실 어셈블리(1)의 포트(11)를 통해 들어간다/나온다. 포트(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5)을 통과하여 실 어셈블리 하우징 안에 있다. 그다음, 들어간 가스는 하부 하우징(5)의 내측벽과 역류 방지 실(8)의 외측벽 사이를 흘러 캐뉼라를 통과하거나 수술 기기(3)와 캐뉼라의 내측벽 사이의 갭을 통과하여 환자 안으로 들어간다. 배출 가스는 역 경로를 따른다. 흡입/배출 가스가 실 어셈블리(1)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예를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2개 이상의 포트가 가스가 실 어셈블리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분명한 경로를 보장하기 위해 옵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실 어셈블리(1)는 와이퍼 실(7)의 근접측에 위치된 기기 삽입 가이드(12)를 포함하고 있다. 기기 삽입 가이드(12)는 예를 들어, 기기가 삽입될 때 기기 엔드 이펙터(3a)가 와이퍼 실(7)을 펑크나거나, 찢거나, 걸려 찢거나,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술 기기의 말단부를 와이퍼 실(7) 안으로 안내하도록 돕는다.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기기 가이드(12)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예를 들어, 옵션으로 상부 하우징(6)과 단일 피스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기 가이드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으로부터 별개의 피스로 형성되어 있고, 별개 피스로서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거나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하나의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1)와 이러한 실 어셈블리(1)를 통해 삽입되는 수술 기기의 조합을 어셈블리로 생각한다. 다른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1) 및 캐뉼라(2)의 조합을 어셈블리로 생각한다. 또 다른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1), 캐뉼라(2), 및 실 어셈블리(1)와 캐뉼라(2)에 삽입되는 수술 기기의 조합을 어셈블리로 생각한다. 2개의 추가적인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1) 및 캐뉼라(2)의 조합, 및 실 어셈블리(1), 캐뉼라(2), 및 이러한 실 어셈블리(1) 및 캐뉼라(2)에 삽입되는 수술 기기의 조합은 수술 기기 이동을 제어하는 원격조정 의료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Intuitive Surgical, Inc., Sunnyvale, California에 의해 판매되는 da Vinci Xi® Surgical System과 같은 원격조정 의료 장치가 알려져 있고 이러한 의료 장치는 또한 "수술 시스템" 또는 "수술 로봇"과 같은 용어로 부른다. 위와 아래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는 원격조정 의료 장치가 수술 기기에 대해 적절한 기밀 실을 유지함으로써 수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컴포넌트이다.
도 1a는 도 1과 유사하지만 이해를 위해 다수의 구성요소가 생략된, 실 어셈블리(1)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길이방향 및 측방향이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데, 길이방향은 기기 삽입 및 당김 축에 대략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측방향은 기기 삽입 및 당김 축에 대략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도 1a는 와이퍼 실(7)을 통해 삽입된 수술 기기(3)의 샤프트를 도시하고 있다. 와이퍼 실(7)은 실링부(13)를 둘러싸는 내측 실링부(13) 및 외측 플렉스(flex)부(14)를 포함하고 있다. 수술 기기(3)가 와이퍼 실(7)을 통해 삽입되고 빠질 때, 플렉스부(14)에 의해 실링부(13)가 장축 A를 따라 말단으로 그리고 근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플렉스부(14)에 의해 실링부(13)가 수술 기기 하우징 안에서 측방향으로(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링부(13)는 상부 환형면(15) 및 이러한 상면(15)의 반대인 하부 환형면(16)을 포함하고 있다. 상면(15) 및 하면(16)은 환형상 와이퍼 실 립(lip)(17)에서 교차하여 원형 개구를 형성하고, 립(17)은 수술 기기(3)의 샤프트 외면(18)에 대해 밀봉한다. 따라서, 실링부(13)는 플렉스부(14)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워서 플렉스부(14) 보다 강성이 높다. 그러나, 실링부(13)는 측방향으로 충분히 유연하여 다양한 기기 샤프트 직경을 수용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와이퍼 실(7)은 4.7 내지 9.4 mm의 범위(5-8 mm 범위로도 부른다)의 수술 기기 샤프트 직경에 대해 효과적으로 밀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퍼 실(7)은 9.7 내지 14.2 mm의 범위(10-12 mm 범위로도 부른다)의 수술 기기 샤프트 직경에 대해 효과적으로 밀봉한다. 이러한 와이퍼 실은 다양한 다른 직경 범위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거나, 단일 특정 기기 샤프트 직경으로 작업하기에 가장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5)은 기기(3)의 샤프트에 대해 각도 α로 경사져 있고 하면(16)은 기기(3)의 샤프트에 대해 각도 β로 경사져 있다. 이것을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 수술 기기가 장축 A를 따라 삽입되고 빠지도록 실 어셈블리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규정된 장축 A에 대해 각도 α 및 β 만큼 경사져 있다. 각도 α는 각도 β 보다 작다(보다 급하다). 따라서, 상면(15)의 방사형 폭은 하면(16)의 방사형 폭 보다 크다. 수술 기기(3)가 와이퍼 실(7)을 통해 말단으로 삽입됨에 따라, 샤프트 외면(18)에 대한 상면(15)과 실 립(17) 사이의 접촉은 실링부(13)를 말단으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수술 기기(3)가 와이퍼 실(17)을 통해 빠짐에 따라, 샤프트 외면(18)에 대한 하면(16)과 실 립(17) 사이의 접촉은 실링부(13)를 근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비교적 더 두꺼운 실링부(13), 및 상면(15)과 하면(16)의 각도 및/또는 방사형 폭은 다수의 장점을 제공한다. 전형적인 박막 격막 실이 균일하거나 거의 균일한 두께를 가져서, 기기가 삽입될 때 기기 팁에 의해 펑크나거나 찢어지게 된다. 플렉스부(14)에 대한 실링부(13)의 보다 큰 두께는 기기가 처음 삽입될 때 펑크 또는 찢어짐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돕지만, 플렉스부(14)는 얇은 격막 실의 유연성과 유사한 전체 실 길이방향 및 측방향 유연성을 제공한다. 하술되는 바와 같이, 일부 구성에서, 플렉스부(14)는 전형적인 박막 격막 실에 비교하여 와이퍼 실(7)에 대한 보다 우월한 유연성 특성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플렉스부(14)가 기기에 의해 접촉되지 않아 보다 얇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체 유연성은 초기 삽입, 제거, 및 사용 동안 실 어셈블리 내의 기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및 측방향 이동을 수용한다. 상면(15)의 상대적으로 급한 각도 α는 기기 팁을 실 립(17)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안내하도록 도와 펑크 또는 찢어짐의 위험이 더 감소된다. 외측 두께를 증가시키는 실링부(13)를 따라, 기기 샤프트와의 보다 두꺼운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기기 샤프트에 대해 압축되는 립(17)으로부터 나온 실링부(13)의 두께는 립(17)과 표면(18) 사이의 개구를 생성함으로써 실을 파괴하는, 샤프트가 실 어셈블리 안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기기 샤프트 표면(18)으로부터 분리되고 직방형상으로 늘어지는 실 립(17)의 일부의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상황은 때로 최종 실 개구 형상으로 인해 "캣-아이(cat eye)" 상태로 부르고, 박막 격막 실이 수용할 수 있는 직경 범위의 하단부에서 기기 샤프트 직경과 관련하여 문제가 더 커진다. 립(17)에서 정점을 갖는, 실링부(13)의 거의 삼각형인 단면 형상 때문에, 원형 개구는 다양한 기기 샤프트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 용이하게 확장되고, 와이퍼 실 기능은 보존되고 실링부(13)의 길이방향 구부러짐은 상당히 감소된다. 원형 개구 근방의 재료의 일반적으로 보다 적은 양에 의해 실링부(13)는 비교적 보다 적은 저항으로 측방향으로 외측으로 압축될 수 있고, 원형 개구로부터 먼 재료의 일반적으로 보다 많은 양에 의해, 원형 개구가 더 확장됨에 따라 실링부(13)가 외측으로 측방향 압축에 저항하는 것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하면(16)의 방사형 폭과 비교된 상면(15)의 상대적으로 더 큰 방사형 폭으로 인해, 기기가 삽입되고 빠질 때 하면(16)과 비교하여 상면(15)의 비교적 보다 많은 부분이 기기 샤프트 표면(18)에 접촉할 것이다. 달리 말하면, 상면(15)과 기기 샤프트 사이의 접촉 면적은 하면(16)과 기기 샤프트 사이의 접촉 면적 보다 크다. 이러한 접촉으로 인해, 기기가 삽입됨에 따라 비교적 높고 기기가 빠짐에 따라 비교적 낮은 마찰력이 와이퍼 실(7)과 기기 샤프트 표면(18) 사이에 발생된다. 기기 빠짐 동안의 보다 낮은 마찰력은 기기가 완전히 빠질 때 와이퍼 실(7)이 근접하여 당겨지지 않도록 도와서, 와이퍼 실이 실 하우징 내의 상부 개구를 통해 근접하여 반전되지 않도록 돕는다. 도면에 도시되고 하술된 와이퍼 실 실시예에서, 각도 α 및 β가 같거나 각도 α가 각도 β 보다 클지라도, 비교적 높은 기기 삽입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면(15)의 방사형 폭(즉, 접촉 면적)이 하면(16)의 방사형 폭 보다 크도록 실링부(13)가 옵션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특별히 기기 샤프트가 실을 통해 전후로 일정하게 이동함에 따라 부드러운 제어가 필요한 원격 조정에서, 낮은 마찰력(예를 들어, 스틱 슬립 상태를 피하도록 충분히 낮다)을 갖는 양호한 실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는 또한, 기기가 실을 통해 부적절하게 미끄러져 (수동 복강경 절차 동안 기기의 자체 무게로 인해) 환자를 다치게 하지 않도록 기기 삽입에 적절한 저항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와이퍼 실의 기술된 실링부는 수용가능한 삽입/빠짐 마찰력은 물론 이러한 증가된 삽입 저항 마찰력을 제공한다. 다른 와이퍼 실(7) 특징은 물론 추가 비대칭 삽입/빠짐 저항 특징이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스부(14)가 상면(15)과 하면(16) 사이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실링부(13)의 외주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플렉스부(14)는 립(17)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옵션으로, 플렉스부(14)는 극단적인 근접 및 말단 위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길이방향 위치에서 실링부(13)의 주변부에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렉스부(14)는 옵션으로 립(17)과의 다양한 길이방향 관계를 갖는 위치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 부착 및 립 정렬의 예가 아래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 예
도 2는 수술 기기 실 어셈블리(20)의 예의 단면 정면도이다. 실 어셈블리(20)는 함께 조립될 때 원통형 실 어셈블리 하우징(21)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21a) 및 상부 하우징(21b)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동안 하부 하우징(21a) 및 상부 하우징(21b)은 먼저 6각형 구멍 및 간섭 핀과 정렬된 다음, 초음파 용접이 사용되어 하부 하우징(21a) 및 상부 하우징(21b)을 함께 고정시킨다. 영구 압축 끼워맞춤 또는 접착제의 사용과 같은 다른 주지된 영구 결합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부 하우징(21a) 및 상부 하우징(21b)은 강성 폴라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지고, 옵션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다른 강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1a)은 수술 캐뉼라(도시되지 않음)의 근접 단부의 캐뉼라 보울에 삽입되는 말단부(22), 및 캐뉼라의 외측에 있는 근접 단부(23)를 포함하고 있다. 근접 단부(23)는 옵션으로 말단부(22) 보다 일반적으로 크고, 근접 단부(23) 아래의 릴리프 표면(24)은 캐뉼라의 근접 단부 위에 안착되어 유지되어 있다. 하우징(21a)은 그 외벽 표면(26)에 환형 그루브(25)를 더 포함하고 있다. O링(27)은 그루브(25)에 삽입되어 있고, 실 어셈블리(20)가 캐뉼라 보울에 삽입될 때, O링(27)은 캐뉼라 보울의 내벽면에 대해 실링하여 흡입 가스가 캐뉼라 보울의 내측벽과 하부 하우징(21)의 외측벽 사이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O링(27)에 의해 실 어셈블리는 실 어셈블리와 캐뉼라 보울 사이의 실을 유지하면서 캐뉼라 보울 안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당업자는 O링(27)이 일반적으로 캐뉼라 실로 부를 수 있고 실 어셈블리의 외측벽과 캐뉼라 보울의 내측벽 사이에서 실링하는 기능을 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실을 유지하면서 캐뉼라 보울 안에서 실 어셈블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패킹 또는 캐스킷 타입의 실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부 하우징(21a)은 말단부(22)쪽으로 외측으로 측방향으로 경미하게 테이퍼되어 역류 방지 실의 측방향 이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내벽면(28)을 더 포함하고 있다(예를 들어, 확장된 역류 방지 실이 도시된 도 7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면(28)은 옵션으로 상부 하우징부(21b) 근방에서 경미하게 넥다운되어 있다. 이러한 넥다운은 하부 하우징부에서 구조적 힘을 증가시킨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옵션의 방사형-내측-돌출 리브(29)가 이러한 넥다운 영역에 있다. 리브(29)는 가스가 실 어셈블리의 포트를 통해 수술 부위로 들어가거나 나오기 위해 하우징의 내측벽과 역류 실의 외면 측벽 사이를 통과할 때 역류 실의 외측벽면이 가스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1)은 또한 밸브 바디(31), 회전 밸브 부재(32), 외부 피팅(fitting)(33)(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형 루어록), 내부 피팅(34)(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루어 테이퍼 피팅), 및 가스 채널(30a)을 포함하는 옵션의 가스 밸브(30)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부재(32)는 환형상 리테이너 플랜지(35)를 사용하여 밸브 바디(31)에 스냅-피팅되고 회전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옵션의 서포트 리브(30b)가 밸브 바디(31)와 실 어셈블리 하우징(21)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30)가 하우징(21)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기 위해 추가 구조적 강도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1a), 밸브 바디(31), 외부 피팅(33), 및 서포트 리브(30b)는 일체 단일 피스로 형성되어 있고, 옵션으로 함께 결합되는 2개 이상의 피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수술 절차 동안, 흡입 가스원(도시되지 않음)은 피팅(33, 34)에 결합될 수 있고, 밸브 부재(32)는 가스가 채널(30a)을 통해 실 어셈블리 내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회전된다. 대안으로, 배출 가스 싱크(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진공원)가 피팅(33, 34)에 결합될 수 있고, 밸브 부재(32)는 가스가 채널(30a)을 통해 실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회전된다.
상부 하우징(21b)은 아래에 있는 와이퍼 실 쪽으로 말단쪽으로 뻗은 옵션의 환형상 기기 삽입 가이드(37)에 이르는, 옵션의 말단 테이퍼링 환형상 깔때기부(36)를 포함하고 있다. 깔때기부(36) 및 기기 삽입 가이드(37)는 기기가 삽입되는 실 어셈블리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중심이 맞추어진 원형 구멍(38)을 상부 하우징(21b)에 함께 형성한다. 구멍(38)의 직경은 아래의 와이퍼 실의 구멍 보다 크고, 구멍(38)의 직경과 와이퍼 상면의 치수 사이의 관계는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깔때기부(36)는 수술 기기 팁을 구멍(38)쪽으로 안내하도록 돕고, 기기 가이드(37)는 아래의 와이퍼 실을 통한 삽입을 위해 기기 팁을 정렬하고 안내하도록 돕는다.
하우징(21b)은 옵션으로, 물체가 제거가능하게 하우징(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래치 수용 특징부(39)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수용 특징부(39)는 실에 완전히 삽입되는 밀폐기(도시되지 않음)를 유지하기 위해 상부 하우징(21b)의 내면을 통해 밀폐기 래치(도시되지 않음)가 뻗어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이다. 이러한 밀폐기 래치는 윈도우를 형성하는 주변부 아래에 맞물려져 있다. 캐뉼라, 실, 및 밀폐기는 환자의 신체벽을 통해 캐뉼라를 의사가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어셈블리를 함께 형성한다. 도시된 래치 수용 특징부(39)는 하우징(21)의 상부에 밀폐기 또는 다른 물체가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많은 주지된 래치 메커니즘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제2 실 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 위의 래치는 하우징(21)의 상부에 대해 제2 실 어셈블리를 유지한다. (메인 실 어셈블리의 상부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리듀서" 실을 보여주는) 미국 특허 번호 6,123,689를 참조하라. 제2 실 어셈블리는 하우징(21)의 와이퍼 실의 구멍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와이퍼 실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제2 실 어셈블리는 하우징(21)에 결합될 때 본 발명의 다른 곳에서 기술된 조합과 유사한 추가적인 다양한 조합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실(40)이 하부 하우징(21a)과 상부 하우징(21b)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실(40)은 크로스-슬릿 실이다. 역류 방지 실(40)의 폴딩 측벽(41)의 각각의 두께는 실(40)의 말단부(42)쪽으로 경미하게 테이퍼되어 있다. 실(40)의 근접단부의 보다 두꺼운 폴딩 측벽(41)이 기기가 제거될 때 역류 방지 실이 스냅핑되어 다시 닫힌 위치가 되도록 돕는다. 실(40)의 말단부에서의 보다 얇은 폴딩 측벽(41)은 기기가 실(40)을 통해 삽입될 때 실(40)과 기기 사이에 측벽 유연성을 증가시켜 그 결과 마찰력을 낮춘다. 비교적 보다 얇은 말단측 벽(41)은 또한 기기가 제거될 때 측벽의 외면에 대한 유체 배압이 실이 닫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돕는다. 역류 방지 실(4)은 기기가 역류 방지 실(40)을 통해 삽입될 때 리브(39)에 대해 밀어지는 충분한 가스 흐름이 폴딩 측벽(41)을 통과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측벽(41) 내측 폴드(fold)중 하나가 가스 채널(34)과 정렬되도록(즉, 인접한 측벽(41) 외측 폴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채널(34)로부터 45도 오프셋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21a) 안에 배향되어 있다. 역류 방지 실(40)의 내부는 와이퍼 실이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역류 방지 실(40)이 위의 와이퍼 실의 이동과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방향으로 깊고 측방향으로 충분히 넓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실(40)은 염화 폴리이소프렌과 같은 의료 등급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고무 재료 등으로 만들어져 있다. 다른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역류 방지 실(40) 위에 위치되고 하부 하우징부와 상부 하우징부(21a, 21b) 사이에 샌드위치된 옵션의 환형상 스페이서(43)를 도시하고 있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환형상 스페이서(43)는 하우징(21)을 캐뉼라에 제거가능하게 고정하는 래치와 일체로 형성된 단일 피스로서 결합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페이서(43)는 와이퍼와 역류 방지 실 모두 위에 위치되어 와이퍼의 외주와 역류 방지 실이 터치하게 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43)는 와이퍼와 역류 방지 실 사이에 위치되어 와이퍼와 역류 실의 근접단부 사이에 보다 많은 길이방향 공간을 제공하여서, 와이퍼 실이 역류 방지 실로부터의 접촉 간섭 없이 적절히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스페이서(43)는 각각의 실과 하우징 사이에 기밀 실을 보장하고 각각의 실이 하우징 안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하우징 피스가 함께 고정될 때 역류 방지 실과 와이퍼 실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압축하는 하나 이상의 환형상 보스를 옵션으로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실(44)은 와이퍼 실이 역류 방지 실(40) 위에 (근접하여) 있도록 환형상 스페이서(43) 위에 위치되어 있다. 와이퍼 실(44) 내의 기기 구멍은 기기가 와이퍼 및 역류 방지 실 모두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역류 방지 실(40)의 크로스 슬릿의 교차점 위에 정렬된다. 와이퍼 실의 세부사항은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의 환형상 스페이서(45)는 와이퍼 실(44)의 외주 위에(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사용될 때, 환형상 스페이서(45)는 와이퍼 실(44)에 대한 상부 하우징(21b)의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돕는다. 또한, 환형상 스페이서(45)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와이퍼 실 반전방지 특징부를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는 하부 하우징(21a)과 상부 하우징(21b) 사이에서 옵션의 스페이서(43, 45)를 따라 샌드위치된, 실 하우징(21) 내의 역류 방지 실(40) 위에 위치된 와이퍼 실(44)을 도시하고 있다.
와이퍼 실
도 3은 와이퍼 실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단면 상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실 실시예의 단면 하부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 평면도이다. 지루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술된 와이퍼 실 특징부는 물론, 이러한 와이퍼 실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상술되고 하술되는 다른 와이퍼 실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2, 3, 3a, 3b, 4, 4a 및 4b를 참조하면, 와이퍼 실(44)은 대략 환형상이고 환형상 외주부(45), 환형상 내부 실링부(46), 및 외주부(45)와 실링부(46) 사이의 환형상 플렉스부(47)를 포함하고 있다. 외주부(45)는 하우징(21) 내의 와이퍼 실(44)을 지지하여, 실링부(46)는 와이퍼 실(44)을 통과하는 기기 샤프트가 하우징(21) 내측으로 이동할 때 길이방향 및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46)는 옵션의 작은 환형상 보스를 그 말단측에 갖고 있고, 다양한 다른 옵션의 구성(예를 들어, 근접측의 환형상 보스, 인터럽트 환형상 보스 또는 돌기등)이 와이퍼 실(44)을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링부(46)는 도 1 및 도 1a에 대해 일반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기능한다. 그것은 수술 기기 샤프트가 삽입되고 빠지는 구멍을 형성하는, 원형 실 립(50)에서 만나는 환형상 상면(48)과 환형상 하면(49)을 포함하고 있다. 실 립(50)은 수술 기기 샤프트의 외면에 대해 실링한다. 실 립(50)은 단일, 원형 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옵션으로, 편평한, 코루게이트등과 같은 다른 표면 형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작은, 이산 환형상 링이 기기 샤프트에 대해 실링하기 위해 립(50)에 배치되어 있다. 실링부(46)는 유연하여서, 다양한 기기 샤프트 치수(예를 들어, 약 5-8.5 mm 또는 약 10-12 mm - 실링부(46) 치수는 다른 치수 범위를 적절히 수용하도록 변할 수 있다)를 수용한다. 상면(48)의 방사형 폭이 하면(49)의 방사형 폭 보다 크고, 상면(48)과 삽입된 기기 샤프트 사이의 각도가 하면(49)과 삽입된 기기 샤프트 사이의 각도 보다 가파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플렉스부(47)는 실링부(46)를 둘러싸고, (i) 실링부(46)가 실 어셈블리 안에서 말단으로 그리고 근접 방향으로(길이발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ii) 실링부(46)가 상당한 왜곡 없이 실 어셈블리 내에서 옆으로(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따라서, 상술된 "캣-아이" 문제를 줄인다), (iii) 큰 직경 기기 샤프트가 삽입될 때 방사형 외측으로 뻗는 실링부(46)를 수용한다. 따라서, 실링부(46)의 다양한 특징의 장점은 플렉스부(47)의 장점과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스부(47)는 하나 이상의 상부(근접 배향) 환형 폴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하부(말단 배향) 환형 폴드를 포함하는, 환형상 코루게이션 구성으로서 대안으로 기술된, 대략 환형상의 폴딩 벨로우 구성을 갖고 있는데, 여기에서, 환형 그루브가 인접한 상부 폴드와 인접한 하부 폴드를 분리한다(즉, 그루브는 폴드의 역전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폴드는 폴드 사이의 플렉스부(47) 재료 역시 눌러질 수 있지만, 힌지로서 동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일정하거나 다양한 두께를 갖는 편평(평면), 환형상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다른 적절한 플렉스부(47)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렉스부(47)는 내부 상부 환형 폴드(51)에서 실링부(46)에 결합되고 외부 상부 환형 폴드(52)에서 외주부(45)에 결합된다. 상부 환형 폴드(51, 52) 사이에 하부 환형 폴드(53)가 존재한다. 그 결과, 하부 환형 그루브(54)가 실링부(46)와 하부 환형 폴드(53)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 환형 그루브(55)가 상부 환형 폴드(51, 5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 리브(56)는 하부 환형 그루브(54)에 위치되어 있고, 서포트 리브(57)는 상부 환형 그루브(55)에 위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리브(56, 57)의 각각이 5개 존재하고, 다른 수(예를 들어, 3, 4, 6, 또는 그 이상)가 사용될 수 있다. 개별적인 서포트 리브(56, 57)가 와이퍼 실(44)의 반대 및 역에 서로 반대로 위치되지만, 이들은 다른 상호 상대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서포트 리브(56)의 수는 서포트 리브(57)의 수와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 리브(56) 및 서포트 리브(57)는 옵션으로 환형 그루브 내에 대칭으로 또는 비대칭으로 이격될 수 있다. 3개 또는 그 이상의 서포트 리브의 대칭 이격은 운동에 대한 저항을 모든 측방향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향이 있고, 비대칭 이격(또는 서로 반대로 배향된 2개의 서포트 리브만을 사용)은 하나 이상의 측방향으로의 운동을 돕는 경향이 있다.
도 4,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리브(56)는 하부 환형 그루브(54)에서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6)는 양측에서 실링부(46)에 결합된 면처리된 반원형 실린더부(58), 및 반원형 실린더부(58)와 하부 환형 그루브(54)의 외측벽 사이에 뻗은 웹부(59)의 2개의 부분을 갖고 있다. 이러한 서포트 리브(56)의 방원형 실린더부(58)는 대략 실링부(46) 주변에 스캘롭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실린더부(58)는 실링부(46)에서 서로 경미하게 분리되어 있고, 옵션으로 실링부(46)에서 서로 터치할 수 있다.
도 3, 3a, 및 3b에서, 서포트 리브(57)는 상부 환형 그루브(55)에서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는 일측에서 상부 환형 그루브(55)의 외측벽에 결합된 면처리된 사분원형 실린더부(60), 및 부분(60)의 타측과 상부 환형 그루브의 내측벽 사이에서 뻗은 웹부(61)의 2개의 부분을 갖고 있다. 서포트 리브(57)가 서포트 리브(56)의 반원형 실린더부의 대략 절반만을 갖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서포트 리브(56)의 형상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포트 리브(56) 및 서포트 리브(57) 모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 리브(57)는 반원형 실린더부를 가질 수 있거나, 서포트 리브(56)는 사분원형 실린더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서포트 리브 형상은 단일, 부드러운(예를 들어, S 형상) 또는 날카로운 각도의(예를 들어, 지그재그) 폴딩 피스를 그루브 내측벽 사이에서 포함하고 있다. 서포트 리브(57)의 사부 및 서포트 리브(57)의 하부는 기술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면처리될 수 있거나, 실(44)의 측방향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도 2, 4, 4a, 4b로부터 서포트 리브(56)의 하부 환형 그루브(54)의 외측벽으로의 부착부가 실링부(46)의 레벨 아래로(말단으로) 뻗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기 빠짐과 언폴딩 상부 환형 폴드(51) 동안 인접 방향으로 실링부(46)가 당겨지는 것(즉, 실 반전)을 방지하도록 돕기 위해 반전방지 특징부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서포트 리브(56) 구성은 압축에 대한 비교적 작은 저항 및 확장에 대한 비교적 큰 저항을 제공한다. 따라서, 서포트 리브(56)의 반원형 실린더부(58)에 의해 보다 큰 기기 샤프트 직경을 수용하도록 늘어져 개방될 수 있어서, 하부 환형 그루브(54)를 대칭 압축한다. 또한 반원형부(58)에 의해, 실링부(46)가 플렉스부(47) 안에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 환형 그루브(54)가 비대칭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반전방지 유익과 환형 그루브의 압축에 대한 낮은 저항 모두 제공된다. 이러한 반원형 실린더 형상에 의해 서포트 리브(56)는 반원형 벽이 V 형상으로 직선으로 당겨짐에 따라 비교적 낮은 저항을 갖고 비교적 짧은 거리를 뻗을 수 있고, 그후에, 추가 뻗음에 대해 비교적 높은 저항을 제공하여, 서포트 리브 재료 자체가 늘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반원형 실린더 형상에 의해 서포트 리브(56)는 저항이 거의 없는 상태로 자체로 거의 완전히 접힐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반원형 실린더 형상의 수직벽에 의해 성형이 용이하여, 완전한 와이퍼 실이 단일, 균일한 피스로서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술되는 서포트 리브(57) 구성은 물론, 상술되고 하술되는 다른 서포트 리브(56) 구성에서 유사한 특징 및 장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가 기술되었지만, 웹이 (그루브 구성에 따라) 실링부에 보다 가깝도록 웹 및 반원형 실린더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 다른 곡선 또는 직선 사이드를 포함하도록 반원형 실린더 형상을 변경하는 것과 같은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도시된 서포트 리브(56)는 2개의 벽을 갖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는데, 각각의 벽의 제1 사이드는 그루브(54)의 측벽중 하나에 앵커되고, 각각의 벽의 제2 사이드는 그루브(54)의 측벽중 다른 하나에 앵커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서포트 리브(56)의 벽이 그루브(54)의 외측벽과 결합하는 레벨은 서포트 리브(56)의 벽이 그루브(54)의 내측벽과 결합하는 레벨 보다 아래로(말단으로) 뻗어 있다. 또한, 그루브(54)의 내측벽이 실링부(46)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서포트 리브(56)는 옵션으로 플렉스부(47) 내의 임의의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와이퍼 실(46) 실시예에서, 의료급의 실리콘 윤활유와 같은 윤활유(62)가 서포트 리브(56)의 반원형 원통부(58)와 실링부(46) 사이에 형성된 포켓중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있다. 수술 기기가 실링부(46)를 통해 삽입되고 빠짐에 따라, 실링부(46)의 그리고 플렉스부(47)의 플렉싱에 의해 일부 윤활유(62)가 포켓 밖으로 밀어내어진 후에, 하면(49)을 가로질러 수술 기기 샤프트와 실링부(46) 사이의 접촉부에 윤활유을 바른다. 하나의 적절한 윤활유는 NuSil Technology LLC's MED-420 (~5,000 cP)이다. 다른 적절한 윤활유는 NuSil's MED-361 (~12,5000 cP)이고, 다양한 점성을 갖는 다른 적절한 윤활유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 3, 3a, 3b에서, 장축에 대한 상부 환형 그루브(55)의 측벽 각도로 인해, 상부 환형 그루브(55) 내의 서포트 리브(57) 방향이 하부 환형 그루브(54) 내의 서포트 리브(56) 방향으로부터 대략 역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가 상부 환형 그루브(55)의 외측벽에 부착하는 레벨은 각각의 서포트 리브(57)가 상부 환형 그루브(55)의 내측벽(그 상부는 플렉스부(47)가 실링부(46)와 결합하는 곳에 있다)에 부착되는 레벨 보다 위로(근접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기 삽입 동안 실링부(46)가 말단으로 밀어지고 가능하게 하부 환형 폴드(53)를 언폴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서포트 리브(57)의 사분원형 실린더부(60) 및 웹(61) 조합은 서포트 리브(56)의 반원형 실린더부(58)와 웹(59) 조합을 지지하도록 유사하게 기능하고, 상술된 유사한 구성 변형이 가능하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는 다소 각각의 서포트 리브(56) 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링부(46)가 비교적 보다 큰 기기 샤프트 직경을 수용하도록 확장함에 따라 상부 환형 그루브(55)가 대칭적으로 용이하게 접히고, 실링부(46)가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루브(55)가 비대칭적으로 용이하게 접혀져, 사분원형 실린더브(60)는 반원형 실린더부(58)비교하여 붕괴에 대한 저항을 더 감소시키도록 기능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서포트 리브(57)는 서포트 리브(56)와 유사한 반원형 실린더형부(또는 변형)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다수의 하부 환형 그루브 내의 서포트 리브(56)에 있어서, 플렉스부(47)가 다수의 상부 환형 그루브를 포함하는 경우에, 서포트 리브(57)는 임의의 수의 상부 환형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다른 서포트 리브 구성이 와이퍼 실의 플렉스부 내의 환형 폴드에 의해 형성된 상부 또는 하부 그루브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a)가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되어 있는 와이퍼 실(46a)의 상부 사시도이다. 서포트 리브(57a)는 각각 정점이 그루브의 하부쪽으로 향하고, 원뿔형부 벽이 그루브의 내측벽 및 외측벽에 작은 웹부에 의해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면처리된 원뿔형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면처리된 원뿔은 옵션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또는 경사져 있고, 옵션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거나 다른 형상을 갖고 있다.
도 3e 및 도 3f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b)가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b)의 상부 사시도이다. 서포트 리브(57b)는 각각 그루브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실린더를 포함하고, 실린더 벽은 그루브의 내측벽 및 외측벽에 작은 웹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서포트 리브(57b)의 실린더의 직경은 그루브의 상부에서의 그루브의 폭 보다 다소 작다.
도 3g 및 도 3h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c)가 이러한 그루브에 위치되어 있는 와이퍼 실(46c)의 상부 사시도이다. 서포트 리브(57b)와 유사하게, 서포트 리브(57c)는 각각 그루브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실린더를 포함하고 있고, 실린더 벽은 그루브의 내측벽과 외측벽에 작은 웹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서포트 리브(57c)의 실린더는 서포트 리브(57b)의 실린더의 직경 보다 크고, 이러한 직경은 대략 그루브의 상부에서의 그루브의 폭이다.
도 3i 및 도 3j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d)가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d)의 상부 사시도이다. 서포트 리브(57a)도 3c 및 도 3d)와 대조적으로, 서포트 리브(57d)는 면처리된 반원뿔부이고, 이러한 원뿔부의 일측 에지는 그루브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 에지는 그루브의 외측벽에 결합되어 있다.
도 3k 및 도 3l은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e)가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e)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e)의 구성은 도 3k 및 도 3l이 면처리된 반원 실린더 구성이 상부 그루브에 위치될 수 있고 면처리된 반원 실린더가 이들의 개구가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배향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을 제외하면, 서포트 리브(56)(도 4, 4a, 4b)의 구성과 유사하다.
도 3m 및 도 3n은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f)가 플렉스부 상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f)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f)의 구성은 서포트 리브(57)(도 3, 3a, 3b)의 구성과 유사하다.
도 3o 및 도 3p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g)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g)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g)의 구성은 구불구불한 S-커브이고, 이러한 서포트 리브의 일측 에지는 그루브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있고, 서포트 리브의 타측 에지는 그루브의 외측벽에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리브가 부착된 그루브 내외측벽 위치는 와이퍼 실에 중심이 맞추어진 동일한 시계 위치(12, 4, 8시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에 있고, 리브의 구불구불한 폴드는 이러한 시계 위치의 양측에 뻗어 있다.
도 3q 및 도 3r은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h)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h)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h)의 구성은 서포트 리브(57h)의 구불구불한 폴드가 서포트 리브(57g)의 구불구불한 폴드 보다 시계 면을 따라 더 뻗어 있다는 점(즉, 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을 제외하면 서포트 리브(56g)(도 3o 및 도 3p)와 유사한 구불구불한 S-커브이다.
도 3s 및 도 3t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i)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i)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i)의 구성은 서포트 리브의 일측 에지가 와이퍼 실에 중심이 맞추어진 하나의 시계 위치에서 그루브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있고 서포트 리브의 타측 에지가 다른 시계 위치(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다)에서 그루브의 외측벽에 결합되어 있는 구불구불한 S-커브이다. 도 3s 및 도 3t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불구불한 폴드는 서포트 리브가 측벽에 부착된 시계 위치를 넘어 뻗지 않는다. 그리고 각각의 서포트 리브가 그루브의 내측벽에 부착된 시계 위치는 각각의 서포트 리브가 그루브의 외측벽에 부착되는 시계 위치와 상이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의 리브는 12시 위치에 내측벽에 부착되어 있고 1시 위치에서 외측벽에 부착되어 있다.
도 3u 및 도 3v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j)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j)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j)의 구성은 서포트 리브의 구불구불한 폴드의 하나(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에 보다 가까운 폴드)가 서포트 리브가 측벽에 부착된 시계 위치를 넘어 뻗은 것을 제외하면 서포트 리브(57i)(도 3s 및 도 3t)의 구성과 유사하다.
도 3w 및 도 3x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k)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k)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k)의 구성은 서포트 리브의 구불구불한 폴드의 양측이 서포트 리브가 측벽에 부착된 시계 위치를 넘어 뻗은 것을 제외하면 서포트 리브(57i)(도 3s 및 도 3t)의 구성과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3u 및 도 3v에 도시된 실시예와 함께, 서포트 리브의 구불구불한 폴드가 반드시 대칭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3y 및 도 3z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m)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m)의 상부 사시도이다. 서포트 리브(57m)는 도 3s 내지 도 3x에 대략 기술된 서포트 리브의 합성 변형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길이방향 환형상 벽(즉, 실린더)(57m)은 그루브의 측벽 사이에 위치된 다음, 구불구불한 서포트 리브가 그루브의 내측벽과 환형상 벽 사이에, 그리고 환형상 벽과 그룹의 외측벽 사이에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서포트 리브부(57m-ii)는 그루브의 내측벽과 환형상 벽(57m-i) 사이에 결합되고, 서포트 리브부(57m-iii)는 환형상 벽(57m-i)과 그루브의 외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부(57m-ii)는 서포트 리브(57i)(도 3s 및 도 3t)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y 및 도 3z에 도시된 서포트 리브 구성은 상호연결된 서포트 리브의 웹이 와이퍼 실의 플렉스부의 그루브의 하나 이상에 위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들은 임의의 서포트 리브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도 3aa 및 도 3ab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n)가 각각 이러한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n)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리브(57n)는 각각 그루브의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의 직선, 방사형 리브이다. 리브(57n)는 늘어짐에 대한 강한 저항을 제공하여서,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실 플렉스부의 최내측 하부 그루브에 위치되는 경우에 양호한 실 반전방지 특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기 샤프트 직경의 작은 증가 또는 작은 측방향 운동으로 인한) 와이퍼 실의 실링부의 비교적 작은 방사형 운동을 위해, 리브(57n)는 이들의 재료의 탄성 압축력에 의존한다. 그리고, 와이퍼 실의 실링부의 비교적 보다 큰 방사형 운동을 위해, 리브(57)는 이들의 재료의 탄성 버클링에 의존한다.
도 2에서, 상부 환형 폴드(51)가 기기 삽입 가이드(37)의 환형상 말단부의 대략 아래에 (말단에) 있도록 하는 크기를 옵션으로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기기가 빠질 때 와이퍼 실(144)이 반전되지 않도록 돕는데, 그 이유는 기기가 빠짐에 따라 비교적 두껍고 보다 적은 유연성을 갖는 스케일리부(46)가 근접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기기 삽입 가이드(37)가 방지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또한, 기기 삽입 구멍(38)의 직경은 삽입되는 기기의 팁이 실링부(46)의 경사진 상면(48)에 접촉하는 경향이 있어서 와이어 실(44)을 통과하고 펑크내거나 찢지 않도록 밀어지도록 실링부(46)의 외경을 내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기 삽입 구멍(38)의 직경은 상면(48)의 외주 직경보다 작어서, 삽입된 기기 팁은 먼저 두꺼운 실링부(46)의 상면(48)과 접촉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기기 팁은 비교적 얇은 플렉스부(47)에 접촉하여 잠재적으로 손상을 입히지 않기 위해 떨어지도록 안내된다.
또한, 실링부(46)가 역류 방지 실에 접촉하지 않고 말단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환형 폴드(53)와 역류 방지 실(42)의 내부 폴딩 측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는 것을 도 2에서 알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페이서(43)가 비교적 더 얇거나 생략되도록 되어 있는 것과 같이, 플렉스부(47)가 역류 방지 실(42)의 내부 측벽에 접촉할 수 있고, 접촉 위치 또는 근방에서의 플렉스부(47) 외부 측벽의 각도에 의해 여전히 실링부(46)는 말단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와이퍼 실(44)은 염화 폴리이소프렌과 같은 의료 등급의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실리콘, 우레탄등과 같은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다. 다른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거의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특징,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63)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63)는 (실링부(65)를 포함하는) 와이퍼 실(64) 및 역류 방지 실(66)을 포함하고 있다. 와이퍼 실과 상부 하우징 사이의 옵션의 스페이서(예를 들어, 도 2, 부재 45)는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생략되어 와이퍼 실(64)의 상면은 성형을 위해 동일 평면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65)는 하부(말단) 직선 면부(69)로 부드럽게 전이되는 상부(근접) 오목면부(68)를 포함하는 환형상 상면(67)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환형상면(67)은 상부 환형상 면(48)과 유사하게 만들어져 있다. 하우징(71) 내의 기기 삽입 구멍(70)은 상술된 바와 같이 기기 삽입 가이드(72)가 상부 오목면부(68) 내측으로 경미하게 돌출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 또한, 와이퍼 실(64)의 플렉스부의 상부 환형 폴드(73)는 기기 삽입 가이드(72)의 말단부와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한다. 환형 폴드(73)의 상면은 옵션으로 평면으로서 도시되어 있고, 다른 상면 형상이 옵션으로 사용되어 실링부(65)가 삽입 가이드(72)의 말단부 아래에 측방향으로 경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서, 삽입 가이드(37)의 말단부와 실링부(46) 사이의 관계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기가 처음에 극도로 장축 방향을 벗어나 삽입되는 경우에(예를 들어, 수술실 직원은 팁을 기기 삽입 구멍에 안착시킨 후에 기기를 기기를 틸트업하여 삽입을 위해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참조), 팁은 상부 환형 폴드(51)의 상부와 기기 가이드(37)의 하부 사이의 작은 갭에 들어갈 수 있다. 도 2의 와이퍼 실(440 및 그 실링부(46)와 대조적으로, 도 5의 와이퍼 실(64)에서 상부 오목면부(68)(및 상부 환형 폴드(73))는 상부 하우징(71)과 그 삽입 가이드(72)와 가깝도록 또는 접촉하도록 근접 방향으로 뻗어진다. 이러한 접촉 또는 거의 접촉 상태는 축외 삽입 기기 팁이 실링부(65) 밖의 플렉스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돕고, 축외 삽입 기기의 팁이 와이퍼 실을 통과하도록 돕는다. 또한 실 어셈블리의 장축에 대해 오목면부(68)의 비교적 보다 예리한 각도는 기기 팁이 실링부를 캐치온하지 않도록 도와, 팁이 실을 손상시키지 않고 와이퍼 실을 통과하도록 한다.
제3 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대략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구성요소, 특징,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74)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74)는 (실링부(76)를 포함하는) 와이퍼 실(75)과 역류 방지 실(77)을 포함하고 있다. 와이퍼 실(64)(도 5 참조)와 그 실링부(65)에 대조적으로, 와이퍼 실(75) 및 그 실링부(76)은 비교적 보다 깊다(즉,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류 방지 실(77)은 역류 방지 실(40)(도 2)와 동일한 깊이를 갖고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옵션으로, 와이퍼 실(75) 및 그 길이방향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보다 깊게 만들어질 수 있다. 와이퍼 실과 상부 하우징 사이의 옵션의 스페이서(예를 들어, 도 2, 부재 45)는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생략된다.
실링부(65)(도 5)와 유사하게, 실링부(76)는 하부 직선면부(80)에 부드럽게 전이되는 상부 오목면부(79)를 포함하는 환형상 상면(78)을 포함한다. 하부 직선면부(80)는 삽입되는 수술 기기에 대해 직선면(69)(도 5)보다 가파른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그래서 보다 큰 폭(표면적)을 갖고 있다)(즉, 면각도는 실 어셈블리의 장축에 대해 보다 예리하다). 따라서, 상부 환형상면(78)은 상부 환형상면(67)(도 5) 보다 비교적 방사상으로 더 넓다. 환형상 하부 직선면(80)의 급경사각은 또한 와이퍼 실을 형성하도록 사용된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를 펑크내거나 찢지 않고 기기 팁이 와이어 실을 통과하도록 돕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삽입 가이드 및 와이퍼 실의 상대적인 구성은 도 5에 대해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2, 5, 6에서, 와이퍼 실의 중심에서, 두꺼운 실링부의 상면이 서로 혼합되는 이러한 표면의 다양한 조합과 함께, 평면, 오목 및 가능하게는 볼록 환형상면을 포함하는 많은 표면 변형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 예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대략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특징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81)의 일부의 단면 상승도이다. 실 어셈블리(81)는 실 어셈블리(82), 역류 방지 실(83), 역류 방지 실(83)의 근접한 와이퍼 실(84), 및 와이퍼 실(84)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기기 삽입 가이드(85)를 포함하고 있다. 기기 삽입 가이드(85)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하우징(82)에 기기 삽입 구멍(86)을 형성한다. 삽입 가이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의 일체부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옵션으로 그후에 상부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또는 접착제로 결합되는 별개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삽입 가이드(85)는 예를 들어, 기기 삽입 가이드(37)가 실 어셈블리 하우징(21) 안으로 뻗은 것(도 2) 보다 훨씬 더(더 말단방향으로) 실 어셈블리 하우징(82) 안으로 말단으로 뻗어 있다. 기기 삽입 가이드의 말단부는 와이퍼 실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의 말단의 깊이까지 뻗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삽입 가이드(85)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82)의 근접 단부(87)와 말단부(88) 사이에 거의 약 4/10인 깊이(3/10 또는 5/10과 같이 보다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까지 뻗어 있다. 달리 말하면, 기기 삽입 가이드(85)는 와이퍼 실의 최근접부의 평면을 지나 말단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 달리 말하면, 와이퍼 실의 플렉스부 상부 그루브에서, 그루브의 외측벽은 와이퍼 실의 실이부가 실링 어셈블리의 길이방향 중심 근방에 있도록 그 내측벽 보다 길다(예를 들어, 약 2배 이상 길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삽입 가이드가 보다 짧은 길이를 가졌다면 팁이 상부 환형상면과 접촉했을 각도 보다 비교적 많이 예리한 각도에서, 실 어셈블리(81)에 삽입되는 기기의 말단 팁이 와이퍼 실(84)의 실링부(89)의 상부 환형상면(88)과 접촉하도록 기기 삽입 가이드(85)의 뻗은 길이가 보장한다. 이러한 진보된 기기 가이드 특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술 기기(90)의 삽입 방향을 고려함으로써 설명된다. 삽입 방향(90a)에서의 수술 기기는 예를 들어, 기기 삽입 가이드의 길이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방향(90a)에서의 수술 기기(90)의 말단 팁(91)은 가파른 각도에서 와이퍼 실의 상부 환형상면과 접촉할 수 있어, 팁(91)이 와이퍼 실을 펑크내거나 찢을 위험을 증가시키고, 일부 예에서 팁(91)의 환형상면과의 접촉 각도로 인해 팁(91)이 와이퍼 실을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수술 기기 방향(90b)은 기기 삽입 가이드(85)의 길이에 의해 제한되어서, 수술 기기(90)의 말단 팁(91)이 비교적 예리한 각도에서 와이퍼 실의 상부 환형상면과 접촉할 것이고, 그래서 팁(91)이 와이퍼 실을 펑크내거나 찢을 위험을 감소시키고, 환형상면이 팁(91)이 와이퍼 실을 훨씬 더 보다 효과적으로 통과하도록 보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89)는 실링부(65)(도 5)와 유사한 구성을 갖고 있고, 다양한 실링부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실(83)과 와이퍼 실(84)의 길이는 기기 삽입 가이드(85)의 증가된 길이를 수용하도록 뻗어 있다. 실 어셈블리 하우징(81)의 전체 길이는 삽입되는 캐뉼라 보울(도시되지 않음, 도 2 참조)의 깊이에 의해 대략 제한된다. 정상 조작 동안 역류 방지 실(83)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고, 기기가 삽입될 때 캐뉼라 내면이 역류 방지 실(83)의 기능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류 방지 실(83)의 길이는 역류 방지 실(83)이 닫힌(실링된) 위치에 있을 때 실 어셈블리(81)의 말단부(88)를 통과하여 뻗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와이퍼 실(84)의 실링부(89)는 옵션으로 역류 방지 실(83)에 가능한 멀리 뻗어, 역류 방지 실(83)은 실링부(89) 및 그 인접한 플렉스부의 근접-말단 및 측방향 이동과 간섭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스부의 상부 환형 그루브(93)의 외면은 옵션으로, 와이퍼 실(84)의 플렉스부에 대한 추가 지지를 제공하고 와이퍼 실이 이러한 외벽에서 근접방향으로 반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껍고, 길이방향으로 보강 리브(94)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보강 리브(94)는 이러한 서포트 리브 사이의 거리의 대략 절반인 폭을 갖는 인접한 상부 서포트 리브(95)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보강 리브(94)가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옵션의 서포트 리브(96)가 기기 삽입 가이드(85)에 대한 증가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방사형 외측으로 뻗어, 기기 삽입 가이드(85)의 외면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방사형 서포트 리브(96)의 말단부(97)는 옵션으로 기기 삽입 가이드(85)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기기가 와이퍼 실(84)을 통해 빠질 때 플렉스부의 내부 환형 폴드가 기기 가이드(85)의 말단부(98)과 서포트 리브(96)의 말단부(97) 모두와 접촉한다. 말단부(97)는 근접 길이방향 운동 제한 정지부 및 측방향 운동 가이드 표면으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실링부(89)의 운동의 근접 범위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 내의 그 측방향 위치에 관계없이 제한된다. 이러한 근접 운동 제한은 기기가 제거될 때, 특히 기기가 장축을 벗어난 방향으로 제거되는 경우에 와이퍼 실이 삽입 가이드를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캐치온하지 않도록 한다.
옵션의 방사형 서포트 리브(99)는 추가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실 어셈블리(81)의 근접 단부(87)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 리브(96, 99)는 옵션으로, 상부 하우징의 상면 아래에서 그 다음 기기 가이드(85)의 외측을 따라 말단으로 뻗은 대략 L 형상의 서포트 브래킷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합될 수 있다.
제5 예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대략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100)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8은 실 어셈블리(100)가 (하부 하우징(101a) 및 상부 하우징(10b)을 포함하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101), 하부 하우징(101a) 안에 말단에 위치된 역류 방지 실(102), 역류 방지 실(102)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스페이서(및 옵션의 래치 매커니즘)(103), 스페이서(103)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와이퍼 실(104), 및 와이퍼 실(104)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상부 하우징(101b)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 하우징(101b)은 도 2에 도시된 실 어셈블리(20) 구성과 유사하게, 근접 하우징(101b)의 상부 아래에 삽입 가이드(105)로부터 방사형 외측으로 뻗은 일체로 형성되고, 짧은, 고정된 기기 삽입 가이드(105) 및 서포트 리브(106)를 포함하고 있다.
와이퍼 실(10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실(84)의 구성과 대략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실 어셈블리와 대조적으로, 실 어셈블리(100)는 와이퍼 실(104)의 실링부(108)에 부착된 제2,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를 포함하고 있어, 기기 삽입 가이드(107)는 실링부(108)가 이동함에 따라 근접-말단으로(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는 대략 원통형상을 갖고 있고, 근접 단부(109), 말단부(110), 내측벽면(111), 및 외측벽면(112)을 갖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근접 단부(109)는 옵션으로, 방사형 서포트 리브(106)에 터치하거나 거의 터치하여,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추가 근접 이동을 방지하고(그리고 와이퍼 실(104)이 상술된 바와 같이, 반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 가이드(107)의 측방향 이동 가이드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근접 단부(109)는 방사형 서포트 리브(106)의 하부에 의해 그 근접 운동 범위 한계에서 유지되면서 측방향으로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다. 고정된 기기 삽입 가이드(105)의 말단부는 옵션으로 서포트 리브(106)의 하부와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거나, 서포트 리브(106)의 하부를 넘어 뻗을 수 있다. 대안으로, 옵션의 스페이서가 상부 하우징(101b)과 말단부(109)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서, 스페이서는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근접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 참조, 반전방지 피스(152), 또는 유연한 핑거(154)가 없는 유사한 링이 스페이서 예이다.) 기기 삽입 가이드(105)는 부우 기기 삽입 가이드(107) 근접 단부(109)를 내측으로 돌출시켜, 근접 하우징(101a)의 기기 삽입 구멍(114)의 직경은 근접 단부(109)에서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내측벽면(111)에 의해 규정된 직경 보다 작다. 따라서,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는 말단부(109)가 구멍(114)을 통해 노출되지 않고 그 극한 운동 범위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삽입되는 기기의 어느 부분도 기기 삽입 동안 말단부(109)의 일부를 캐치온하지 않을 것이다.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말단부(110)는 와이퍼 실(104)의 실링부(108)의 외주와 접촉 상태에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110)는 실링부(108)가 와이퍼 실(104)의 플렉스부와 결합하는 상부 환형 폴드(115)에 접촉 상태에 있거나 근방에 있다. 도 8은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외츠벽(112)이 와이퍼 실(104)과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 사이의 접촉을 위한 지지를 증가시키기 위해 옵션으로 환형 폴드(115)의 상부 아래로 뻗을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서포트 리브 구성에 따라, 포함될 수 있는 플렉스부에 서포트 리브를 수용하는 컷아웃, 또는 다른 말단부(110)구성). 마찬가지로, 도 8은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내측벽(111)이 옵션으로 측벽(111)과 실링부(108)의 상면(116) 사이에 부드러운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환형 폴드(115)의 상부 아래에 뻗을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108)의 상면(116)의 외부는 상술된 바와 같이, 오목하여 측벽(111)과 상면(116) 사이에 부드러운 표면 전이를 더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유 삽입 가이드(107)는 단순히 와이퍼 실(104)에 대해 안착하고 어셈블리의 구성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는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결합 프로세스에 의해(예를 들어, Loctite® 4011™를 사용하여), 또는 기계 부착에 의해 와이퍼 실(104)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기기 삽입 가이드가 실 어셈블리 하우징 안에서 삽입 가이드가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퍼 실 위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내측벽(111)은 옵션으로, 와이퍼 실(104)의 실링부(108)의 상면쪽으로 기기 팁을 안내하도록 돕기 위해, 그리고 이러한 상면으로의 부드러운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경미하게 오목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 내측벽 구성(예를 들어, 평면, 볼록, 컴파운드등)이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제6 예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대략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117)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9는 실 어셈블리(117)가 (하부 하우징(118a) 및 상부 하우징(118b)을 포함하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118), 말단 하우징(118a) 안에 말단에 위치된 역류 방지 실(119), 역류 방지 실(119)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스페이서(및 옵션의 래치 메커니즘)(120), 스페이서(120)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와이퍼 실(121), 와이퍼 실(121)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근접 하우징(118b)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실 어셈블리(117)는 또한 다양한 다른 연관된 실 어셈블리(117)와 함께 구성요소가 대략 실 어셈블리(100)(도 8)에 대해 기술된 바와 구성된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22)를 포함하고 있다. 도 9는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의 내측벽의 대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22)의 내측벽(123)은 그 인접 단부(125)에 인접한 상부(124)를 포함하고, 상부(124)는 그 말단부(127)에 인접한 하부(126)에 부드럽게 전이된다. 상부(124)는 경미한 오목형상(또는 옵션으로 직선 또는 볼록형상)을 갖고 있고, 하부(126)는 평면이다(또는 옵션으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을 갖고 있다). 하부(126)의 원통형, 수직 측벽은 예를 들어, 도 8에서 설명된 전이 보다 와이퍼 실(121)의 실링부 상면(128)으로의 비교적 보다 덜 가파른 각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부(126)의 수직 측벽은 기기 자체의 삽입 방향 각도를 제한하고, 그 결과 기기 팁의 상면(128) 캐치온 경향이 보다 낮아진, 와이퍼 실(121)을 통한 향상된 기기 팁 삽입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많은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 내측벽 구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옵션으로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고정 기기 삽입 가이드(예를 들어, 도 7의 기기 삽입 가이드(85) 참조)의 내측벽을 유사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7 예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대략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특징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 어셈블리(129)가 (하부 하우징(130a) 및 상부 하우징(130b)을 포함하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130), 하부 하우징(130a) 얀에 말단에 위치된 역류 방지 실(131), 역류 방지 실(1310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스페이서(및 옵션의 래치 메커니즘)(132), 스페이서(132)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와이퍼 실(133), 및 와이퍼 실(133)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상부 하우징(130b)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실 어셈블리(129)는 또한 다양한 다른 연관된 실 어셈블리(129)와 함께 구성요소가 대략 실 어셈블리(100)(도 8) 및 (117)(도 9)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3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0은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의 말단부(135) 및 상응하는 와이퍼 실부의 대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34)의 말단부(135)는 삽입 가이드의 내외측벽면 사이의 환형 그루브(136)를 포함하고 있다. 와이퍼 실(133)은 와이퍼 실(133)의 실링부가 그 플렉스부에 결합하는 위치로부터 상방으로(근접 방향으로) 뻗은 환형상 보스(137)를 포함하고 있다. 환형상 보스(137)는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34)가 와이퍼 실(133)에 고정되는 것을 돕기 위해 내측 환형 그루브(136)에 끼워맞추어진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환형 그루브(136)의 가장 깊은 (조립될 때 가장 근접하에 배향된) 부분이 테이퍼되어 충분한 재료 두께가 그루브 측벽과 삽입 가이드의 내측벽 사이에 존재하고, 환형상 보스(137)의 상응하는 근접부의 내부는 테이퍼 형상과 일치하기 위해 경사져 있다. 기기 가이드(134)의 말단부(134a)가 와이퍼 실(133)의 실링부(133a)의 상부 환형상면(133b)과 접촉하여 2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부드러운 표면 전이를 형성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환형 그루브(136)와 환형상 보스(137) 사이에 작은 간격이 존재한다. 이러한 간격은 또한 환형상 보스(137)와 삽입 가이드(134)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결합 접착제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보장한다. 옵션의 기계 부착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퍼 실(133)과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34) 사이의 결합 구성은 기기가 실 어셈블리(129)로 삽입됨에 따라 와이퍼 실(133)과 기기 삽입 가이드(134)를 분리할 수 있는 기기 팁으로부터의 측방향 힘에 저항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 어셈블리 래치
도 11은 링 형상의 스페이서부(139)와 이러한 스페이서부(139)의 외주에 서로 반대로 위치된 2개의 래치(140)를 포함하는, 실 어셈블리를 위한 스페이서 및 래치 피스(138)의 조합의 상부 사시도이다. 스페이서부(139)의 내주에서, 상승된 환형상 보스(141)는 근접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부(139) 및 래치(140)는 단일 피스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스페이서 래치의 조합(138)은 유연한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져 있고, 하술된 바와 같이 U형상 굴곡부를 위한 적절한 유연성을 제공한다면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래치(140)가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단일 래치 및 3개 이상의 래치를 포함하고 있다. 하술된 바와 같이, 개시된 특징에 따른 단일 래치는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에 효과적으로 래치할 것이다.
스페이서부(139)는 위에서 일반적으로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이 기능한다(도 2의 43, 도 8의 103, 도 9의 120, 도 10의 132). 스페이서 및 래치 피스(138)가 실 어셈블리에 조립될 때, 환형상 보스(141)가 상부 및 하부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부분 사이에 정렬되어, 와이퍼 실의 주변부는 상부 하우징 피스와 환형상 스페이서부(139)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압축되고, 역류 방지 실의 주변부는 하부 하우징 피스와 환형상 스페이서브(139)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압축된다. 이러한 경미한 압축은 기밀 실을 형성한다. 환형상 보스(141)는 옵션으로, 스페이서부(139)의 외주에 또는 근방에 위치될 수 있거나, 그 내주와 외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환형상 보스는 말단쪽으로 뻗을 수 있다. 2개 이상의 환형상 보스는 다양한 조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캐뉼라에 결합된 실 어셈블리 내의 스페이서 및 래치(138)의 래치부(140)의 단면도이다. 래치부(140)는 일단부에서 스페이서부(139)에 결합된 U 형상의 탄성 굴곡부(142)를 포함하고 있다. 타단부에서, 굴곡부(142)는 래치 피스(143)의 중간 영역에 결합되어 있다. 굴곡부(142)가 래치 피스(143)에 결합된 중간 영역 위에(근접하여) 파지(예를 들어, 수술 장갑에 의해 덮힌 손가락에 의한 파지)를 돕는 패턴이 있는 핑거 탭(144)이 있다. 중간 영역의 아래에(말단에) 스페이서부(139)쪽으로 측방으로 내측으로 뻗는 핑거(146)를 포함하는 래치 탭(145)이 있고, 핑거(146) 아래에 캐치(147)가 스페이서(139)쪽으로 내측으로 배향되어 있다. 캐치(147)는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 안으로 압축될 때 캐치(147)가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구부러진 후에 캐뉼라에 래치되도록 돕기 위해 내측-배향 말단 경사 리드-인 표면(148)을 옵션으로 포함하고 있다.
사용할 때, 래치 피스(143)는 굴곡부(142)에 의해 형성된 지주 둘레로 회전하여, 핑커 탭(144)이 방사형으로 내측으로 이동할 때, 래치 탭(145)이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이동한다.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의 근접 단부에서 캐뉼라 보울에 삽입될 때, 리드-인 표면(148)은 캐뉼라 보울 플랜지(149a)와 접촉하여, 래치 탭(145)이 외측으로 이동한다. 일단 캐치(147)가 캐뉼라 보울 플랜지(149a)의 말단부에 있으면, 굴곡부(142)는 래치 탭(145)을 그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캐치(147)를 캐뉼라 보울 플랜지(149a) 아래에 위치지정하여서,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149)로 제거가능하게 래치한다. 래치부(140)는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 안에 압축될 때 핑거 탭(144)을 압착하지 않고 캐뉼라 보울을 래치할 정도로 충분한 탄성을 갖고 있고, 핑거 탭(144)이 압착될 때까지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에 래치될 때, 캐뉼라 보울 플랜지(149a) 및 실 어셈블리 하우징 릴리프 표면(쇼울더)(150)은 캐치(147)와 핑거(146)의 하부(말단)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그 결과, 캐뉼라 보울로부터 실 어셈블리를 제거하려고 하는 경우에, 캐치(147)는 캐뉼라 플랜지(149a)의 하부에 접촉하고, 실 어셈블리 하우징 릴리프 표면(쇼울더)(150)의 상부(근접) 표면은 핑거(146)의 하면에 접촉하여,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래치 구성의 장점은 굴곡부(142)로 이동되지 않고 캐치(147)와 핑거(146) 사이에 유지력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또한, 래치 탭(145)의 설계에 의해 실 어셈블리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캐뉼라 보울 내측의 한계 없이 장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래치부중 하나만 캐뉼라 플랜지와 맞물린 경우에, 실 어셈블리에 대한 근접 인력은 맞물린 래치부 둘레로 실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고, 그다음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하부(예를 들어, 도 2의 22 참조)가 캐뉼라 보울의 내측벽과 접촉할 것이고,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양측 래치부(140)는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핑거 탭(144)을 압착함으로써 해제되어야 한다. 부주의한 래치 해제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예를 들어, 도 13b의 157 참조), 물리적 가드를 핑거 탭(144) 근방에 위치지정함으로써 더 방지될 수 있다.
반전방지 피스
도 13a는 와이퍼 실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옵션의 실 반전방지 피스(152)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해 하우징의 상부가 제거된 실 어셈블리(151)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3b는 하우징의 상부가 정위치에 있는 실 어셈블리(151)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방지 피스(152)의 외주 영역(153)은 와이퍼 실의 상부 외주면과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의 하면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예를 들어, 도 2의 스페이서(45)를 참조). 반전방지 피스(152)는 외주 영역(153)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내측으로 뻗은 다수의(16개 도시되어 있다) 반전방지 핑거(154)를 포함하고 있고, 핑거(154)의 팁(155)은 수술 기기가 삽입되는 중심 구멍(156)을 형성한다. 구멍(156)의 직경은 옵션으로 실 어셈블리(151)가 수용하도록 설계된 최소 직경 수술 기기 샤프트 보다 크거나 동일하거나 보다 작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154)는 옵션으로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패턴(예를 들어, 직선 내측으로 뻗고, 임의의 각도로 내측으로 뻗는 등의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일반적으로, 핑거는 옵션으로 2개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하나의 타입은 핑거의 팁이 외주 근방의 핑거 힌지 포인트와 방사형으로 정렬되어 있고, 다른 타입은 핑거의 팁이 외주 근방의 핑거 힌지 포인트로부터 방사형으로 오프셋되어 있다(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반전방지 피스(152)는 편평하고 딱딱하지만 탄성의 지료로 만들어져, 기기가 삽입될 때 핑거(154)가 아래로(말단으로) 구부러지는 경우에, 반전방지 피스(152)는 기기가 빠질 때 그 평면 구성으로 복귀한다. 직선, 방사형 핑거와 달리, 나선형 패턴 핑거는 방사형 외측으로 이동하고 중첩되어, 빠지는 기기의 일부에 잡히지 않는다. 직선, 방사형 핑거를 포함하는 다른 핑거 패턴이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는 핑거 위로 도중까지 방사형 내측으로 뻗어 팁(155)만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의 기기 삽입 구멍을 통해 보인다. 동작시, 핑거(154)는 수술 기기가 실 어셈블리에 삽입될 때 하방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지도록 충분히 길다. 기기가 빠질 때, 핑거는 아래의 와이퍼 실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에서 기기 삽입 구멍을 통해 반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팁(155)이 하우징의 기기 삽입 구멍에 의해 형성된 길이방향 실린더에 경미하게 뻗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팁(155)이 기기의 일부(예를 들어, 팔목 어셈블리 또는 수술 엔드 이펙터)를 캐치온하는 경우에, 팁은 구멍을 통해 위로(근접방향으로) 경미하게 구부러져 기기가 빠질 수 있다. 이러한 구멍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의 내주 는 기기가 팁을 위로 구부릴 때 팁(155)을 위한 지주로서 동작한다. 팁(155)은 옵션으로, 정상 사용 동안 팁과 수술 기기 샤프트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둥글거나 및/또는 윤활유를 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반전방지 피스(152)는 2퍼센트 실론산을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즉, 윤활성을 위해 용융 실리콘을 갖는 HDPE)으로 만들어진다. 다른 유연한, 내구성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3c는 반전방지 피스(152)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16개의 동일-길이-나선형-패턴 핑거(154)가 16개의 상응하는 나선-패턴 컷(154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핑거가 말단으로 구부러지고 방사형 외측으로 변위됨에 따라 재료 고장을 방지하도록 돕기 위해 각각의 컷(154a)의 외측 방사형 단부에 크랙-정지 구멍(15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크랙-정지 구멍은 옵션으로 모든 반전방지 피스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154)의 각각의 팁(155)은 대략 사각형이고, 옵션으로 수술 기기 구성요소에서의 캐칭을 방지하도록 돕기 위해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어 기기 샤프트에 대한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 13d는 반전방지 피스(152a)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방지 피스(152a)는 외주(153a)로부터 내측 방사형으로 뻗은 다수의 나선형 패턴 핑거(154c)를 포함하고, 각각의 나서형 패턴 핑거(154c)는 보다 짧은 나서형 패턴 서브핑거(154d)로 분할된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가 4개의 서브핑거(154d)로 분리된 4개의 나서형 패턴 핑거(154c)가 존재한다. 나선형 패턴 핑거(154c)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a)의 반경의 약 80 퍼센트로 방사형 외측으로 뻗어 있고, 이러한 나선형 패턴 서브핑거(154d)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a)의 반경의 약 55 퍼센트 방사형 외측으로 뻗어 있다. 다른 핑거와 서브핑거 사이의 상대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e는 반전방지 피스(152b)의 평면도이다.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패턴 핑거(154e)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b)의 반경의 약 80 퍼센트로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고, 나선형 패턴 서브핑거(154f)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b)의 반경의 약 40 퍼센트로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특징에서, 서브핑거를 형성하는 컷의 길이는 반경에 대해 약 40 내지 55 퍼센트이지만, 다른 컷 길이 핑거와 서브핑거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나선형 패턴 핑거 및 서브핑거는 기기가 삽입되거나 빠질 때 벌려지고 비툴어지도록 동작하고, 이러한 벌림 및 비틀림 동안 서브핑거의 보다 짧아진 운동 범위는 와이퍼 실 실링부의 상부 환형상 면 위에 구부러진 서브핑거를 유지하여, 환형상 면을 날카로운 기기 팁으로부터 보호한다.
반전방지 피스의 나서형 패턴 특징이 바람직한 특성을 갖지만, 다른 반전방지 피스 실시예에서, 직선의 내측 방사형 핑거가 옵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f는 외주 영역(153b)으로부터 내측으로 방사형으로 뻗은 다수의 동일 길이 직선 핑거(154g)를 갖는 반전방지 피스(152c)의 평면도이다. 도 13f에 18개의 핑거(154g)가 존재하고, 다른 수의 핑거가 옵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g는 12개의 직선 방사형 핑거가 사용된 실시에를 도시하고, 도 13h는 6개의 직선 방사형 핑거가 사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f, 도 13g, 도 1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를 형성하는 방사형 컷은 비교적 좁아서, 방사형 핑거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개별적인 핑거의 폭은 증가한다. 또한, 도 13g 및 도 13h는 내부 팁(155a)(도 13g) 및 (155b)(도 13h)이 원형을 가져서 기기 구성요소가 반전방지 피스를 통해 삽입되고 빠짐에 따라 기기 구성요소를 캐치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와, 기기 샤프트에 대한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13d 및 도 13e의 나선형 패턴 핑거에 대해 상술된 핑거 및 서브핑거 구성은 방사형 직선 핑거를 위해 옵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i는 외주 영역(153b)로부터 내측으로 뻗은 다수의 직선 핑거(154h)를 포함하는 반전방지 피스(152d)를 도시하고 있고, 각각의 개별적인 핑거(154h)는 서브핑거(154i)로 분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방지 피스(152d)는 4개의 핑거(154h)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핑거(154h)는 3개의 서브핑거(154i)를 포함하고 있다. 핑거(154h)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d)의 반경의 약 80 퍼센트까지 뻗고, 서브핑거(154i)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의 반경의 약 55 퍼센트까지 뻗는다. 다시, 다양한 다른 컷 길이가 핑거 및 서브핑거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하우징 특징
도 13b는 또한 2개의 추가 실 어셈블리 하우징 특징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151)의 하우징은 옵션으로 각각의 래치 핑거 탭(144)의 양측에 하우징으로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뻗은 가드(157)를 포함하고 있다. 가드(157)는 연관된 핑거 탭(144)이 부주의하게 내측으로 눌러져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151)의 하우징은 옵션으로 그 상면에 2개의 래치 윈도우(158)를 포함하고, 이러한 윈도우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되고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하술된 밀폐기와 같은 다른 의료 장치를 하우징의 상면에 옵션으로 래치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하우징(151)의 상면(151a)은 윈도우(158) 사이의 원호를 따라 평평하고 부드럽다. 이러한 상면 구성에 의해, 구성요소의 래치가 윈도우(158) 안으로 떨어질 때까지 구성요소는 하우징에 방사형으로 중심이 맞추어지고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밀폐기
도 14는 샤프(160), 샤프트(160)의 말단부의 팁(61), 및 샤프트(160)의 근접 단부의 근접부(162)를 포함하는 밀폐기(159) 예의 사시도이다. 2개의 래치가 근접부(162)의 양측에 위치되어 있고, 이러한 래치(163)는 밀폐기(159)를 실 어셈블리의 상부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밀폐기에 사용된 재료는 실 어셈블리에 사용된 것과 유사하다.
도 15a는 실 어셈블리(165)의 상부에 결합된 밀폐기 예의 근접부(164)의 단면도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기 샤프트(166)는 실 어셈블리(165)를 통해 뻗어 있다. 2개의 탄성 래치 굴곡부(167)는 밀폐기 샤프트(166)의 근접 단부의 양측에 위치되어 있다. 굴곡부(167)의 원단부에, 실 어셈블리(164)의 상면의 윈도우(169)를 통해 삽입되고, 각각의 윈도우(169)를 형성하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의 립 아래에서 캐치하는 캐치(168)가 있다. 이러한 래치는 실 어셈블리에 대해 밀폐기를 단단히 유지한다. 캐치(168)는 옵션으로, 캐치가 윈도우(158)에 떨어질 수 있도록 밀폐기가 회전된 후에 밀폐기가 실 어셈블리를 말단으로 밀어 실 어셈블리에 래치될 수 있도록 경사져 있다. 래치 굴곡부(167)는 또한 핑거 탭(170)을 포함하고 있고, 핑커 탭(170)을 방사형 내측으로 압축함으로써, 캐치(168)는 방사형 내측으로 이동하여 밀폐기가 실 어셈블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5b는 도 15a의 도면의 직각에서 취해진, 실 어셈블리(165)의 상부에 결합된 밀폐기 예의 근접부(164)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 어셈블리 단면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도 15b는 밀폐기 근접부(164)가 2개의 말단으로 돌출한 간섭 탭(164a)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밀폐기가 실 어셈블리의 상면에 완전히 안착될 때, 이러한 간섭 탭(164)의 각각은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165a)와 핑거 탭(144) 사이에 있어서, 핑커 탭(144)이 방사형 내측으로 눌리는 것이 방지되어 밀폐기와 실 어셈블리의 조합이 캐뉼라 플랜지(149a)로부터 언래치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 및 도 15b에서, 래치 피스(143) 특징에 의해 실 어셈블리는 캐뉼라(149)에 단단히 래치될 수 있고 실 어셈블리와 여기에 결합된 임의의 구성요소가 캐뉼라(149) 내측의 장축 A 둘레로 제한 없이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캐뉼라 보울 플랜지(149a) 및 실 어셈블리 하우징 릴리프 면(쇼울더)(150)은 래치(143)의 핑거(146)와 캐치(147) 사이에 유지되고, 캐뉼라 플랜지(149)의 부드러운 언더사이드에 의해 캐치(147)는 간섭 없이 이동하고, O링(165b)은 실 어셈블리와 캐뉼라 보울의 내벽 사이에 기밀 실을 유지한다.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 내의 장축 둘레에 회전할 수 있는 양을 제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옵션의 정지부(도시되지 않음)가 캐뉼라 플랜지(149)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 어셈블리의 캐뉼라 보울에서 회전하는 능력은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동안 필요한 대로, 실 어셈블리의 유체 입출구 밸브를 임의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배향하거나 밸브를 재배향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캐뉼라 보울에서 실을 회전시키는 능력에 의해 실은 처음에 다양한 방향에서 캐뉼라에 래치된 다음 사용을 위해 필요한 대로 회전될 수 있어, 완전한 실 배향 정렬이 초기 래칭에 필요하지 않다.
하나의 특징에서, 캐뉼라, 실 어셈블리, 및 밀폐기의 조합은 어셈블리이다. 이러한 실 어셈블리에 의해 밀폐기는 캐뉼라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은 캐뉼라(172), 캐뉼라(172)에 래치된 실 어셈블리(173), 및 실 어셈블리(173)에 래치되고 캐뉼라(172) 및 실 어셈블리(173)를 통해 뻗은 밀폐기(174)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어셈블리(171)의 사시도이다. 밀폐기(174)의 상부(근접 단부)는 손바닥을 수용하도록 원형상을 갖고 있다. 사용시, 의사는 의료 장치 어셈블리(171)의 말단부를 환자의 신체벽을 통해 삽입하고, 일단 의료 장치 어셈블리(171)가 삽입되면, 의사는 밀폐기(174)를 언래치하고 실 어셈블리(173) 및 캐뉼라(172)로부터 당겨, 내시경 또는 치료 수술 기기와 같은 다른 의료 장치가 실 어셈블리(173) 및 캐뉼라(172)를 통해 삽입되어 수술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서, 방사상 중심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밀폐기 근접부(164)에 배치되고, 적어도 밀폐기 팁(161)은 투명하게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투명한 밀폐기 팁이 알려져 있다. 내시경이 방사상 중심의 구멍을 통해 그리고 밀폐기 샤프트(163)를 통해 밀폐기 팁(161)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투명한 밀폐기 팁에 의해 의사는 신체 벽을 통한 삽입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특징에서, 캐뉼라, 실 어셈블리, 투명한 말단부를 갖는 밀폐기, 및 이러한 밀폐기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조합이 어셈블리이다. 이러한 실 어셈블리에 의해 밀폐기는 캐뉼라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172)는 Intuitive Surgical, Inc., Sunnyvale, California에 의해 판매되는 시스템과 같은, 원격조정 수술 시스템의 일부인, 원격조정 의료 장치 매니퓰레이터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의료 장치 어셈블리(171), 또는 그 구성요소중 하나는 수동 복강경 절차와 같은 비원격조정 수술 절차에 사용될 수 있다.
원격조정 의료 장치
도 17은 원격조정 수술 시스템의 일부인, 원격조정 매니퓰레이터(177)의 말단부에 함께 결합되어 장착된 캐뉼라(175) 및 실 어셈블리(176)의 사시도이다. 실 어셈블리(176)는 본 발명에 기술된 다양한 실 어셈블리 구성을 나타낸다. 실 어셈블리(176)의 밸브(176a)는 더블 헤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175)에서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조합이 상응하는 매니퓰레이터(177)와 도킹된 상태에서 다수의 캐뉼라(175)와 실 어셈블리(176)가 근접부에서 환자에게 삽입될 때, 하나 이상의 밸브(176a)를 배향시키는 능력에 의해 연관 튜빙이 밸브(176a)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환자 안으로 다양한 다른 캐뉼라 인입 포트 둘레의 살균 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길을 정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방향은 기기가 실 어셈블리와 캐뉼라를 통해 삽입되어 있는 동안 변경될 수 있다.
도 18은 적어도 하나의 캐뉼라(175) 및 실 어셈블리(176)를 통합하는 원격조정 의료 장치(178) 예 - 원격조정 수술 시스템(da Vinci Xi® Surgical System의 환자측 구성요소의 일부)- 의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기기(179) 예는 매니퓰레이터(177)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수술 기기(179)의 샤프트(180)는 실 어셈블리(176) 및 캐뉼라(175)를 통해 뻗어 있다. 일부 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기기 샤프트 크기의 하나의 범위(예를 들어, 5-8 mm)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실 어셈블리의 각각이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기기 매니퓰레이터와 함께 사용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기기 샤프트 크기의 다른 범위(예를 들어, 10-12 mm)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실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다른 상응하는 매니퓰레이터와 함께 사용된다.
따라서, 실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최소 침습 수술만을 위한 것이 아니고 원격조정 수술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 예로서, 실 어셈블리 및 캐뉼라 조합은 원격조정 의료 장치(178)의 4개의 매니퓰레이터의 각각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있어서, 다양한 수술 기기가 환자의 하나 이상의 포트를 통해 삽입되어 수술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 다양한 기기 샤프트 직경을 수용하는 단일 실 어셈블리에 의해 원격조정 의료 장치(178)는 상이한 샤프트 직경을 갖는 다양한 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캐뉼라를 위한 동일한 실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작동이 단순화지는데, 그 이유는 오직 하나의 수술 기기 샤프트 직경에 사용되도록 전용의 상이한 실 어셈블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각각의 캐뉼라에 대해 실 어셈블리를 변경할 필요 없이 2개의 매니퓰레이터 사이에서, 다양한 직경을 갖는 수술 기기가 상호교환될 수 있다.

Claims (11)

  1. 의료 장치에 있어서,
    실 어셈블리 하우징;
    와이퍼 실; 및
    서포트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실은 상기 와이퍼 실이 상기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결합되는 외주부, 내부 실링부, 및 상기 외주부와 상기 내부 실링부 사이의 플렉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스부는 환형 코루게이션 및 상기 환형 코루게이션에 의해 형성된 환형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리브 환형 그루브 내에 위치되어 있는, 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리브는 제1 벽 및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및 제2 벽의 각각은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1 사이드의 반대에 있는 제2 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의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2 벽의 제1 사이드는 각각 상기 와이퍼 실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벽의 제2 사이드 및 상기 제2 벽의 제2 사이드는 각각 함께 결합되어 있고 상기 환형 그루브의 외벽에 결합되어 있는, 의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리브는 제1 벽 및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및 제2 벽의 각각은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1 사이드의 반대에 있는 제2 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의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2 벽의 제1 사이드는 각각 상기 환형 그루브의 외벽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벽의 제2 사이드 및 상기 제2 벽의 제2 사이드는 각각 함께 결합되어 있고 상기 와이퍼 실에 결합되어 있는, 의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리브가 상기 환형 그루브의 외측벽에 결합된 위치가 상기 서포트 리브가 상기 와이퍼 실에 결합된 위치의 말단으로 뻗어 있는, 의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리브는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1 사이드의 반대에 있는 제2 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리브는 상기 환형 코루게이션에 의해 형성된 환형 그루브의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 리브가 상기 그루브의 외측벽에 결합된 위치는 상기 서포트 리브가 상기 그루브의 내측벽에 결합된 위치의 근방으로 뻗어 있는, 의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실은 환형상 실 립을 형성하도록 만나는 각진 상부 환형면 및 각진 하부 환형면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상부 환형면은 장축에 대해 제1 각도로 있고, 상기 각진 하부 환형면은 상기 장축에 대해 제2 각도로 있고,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 보다 작고,
    상기 장축은 상기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규정되는, 의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캐뉼라; 및
    상부 및 샤프트를 포함하는 밀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 어셈블리 하우징은 상기 캐뉼라의 근접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밀폐기는 상기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근접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실 어셈블리 하우징 및 상기 캐뉼라를 통해 뻗어 있는, 의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하는 수술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뉼라는 상기 매니퓰레이터에 결합되어 있는, 의료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실과 실 어셈블리 하우징 사이에 위치된 기기 삽입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기 삽입 가이드는 상기 와이퍼 실에 결합되어 있고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의료 장치.
  11. 의료 장치에 있어서,
    실 어셈블리 하우징;
    와이퍼 실; 및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실은 상기 와이퍼 실이 상기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결합되는 외주부, 내부 실링부, 및 상기 외주부와 상기 내부 실링부 사이의 플렉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스부는 플렉스부와 상기 외주부 사이에 환형 그루브를 형성하는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지지부는 환형 그루브 내에 위치되어 있는, 의료 장치.
KR1020227010902A 2014-03-17 2015-03-17 캐뉼라 실 어셈블리 KR10250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7139A KR20230035153A (ko) 2014-03-17 2015-03-17 캐뉼라 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54227P 2014-03-17 2014-03-17
US61/954,227 2014-03-17
PCT/US2015/020887 WO2015142794A1 (en) 2014-03-17 2015-03-17 Cannula seal assembly
KR1020167028666A KR102384039B1 (ko) 2014-03-17 2015-03-17 캐뉼라 실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666A Division KR102384039B1 (ko) 2014-03-17 2015-03-17 캐뉼라 실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139A Division KR20230035153A (ko) 2014-03-17 2015-03-17 캐뉼라 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041A true KR20220048041A (ko) 2022-04-19
KR102507087B1 KR102507087B1 (ko) 2023-03-07

Family

ID=5414519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139A KR20230035153A (ko) 2014-03-17 2015-03-17 캐뉼라 실 어셈블리
KR1020167028666A KR102384039B1 (ko) 2014-03-17 2015-03-17 캐뉼라 실 어셈블리
KR1020227010902A KR102507087B1 (ko) 2014-03-17 2015-03-17 캐뉼라 실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139A KR20230035153A (ko) 2014-03-17 2015-03-17 캐뉼라 실 어셈블리
KR1020167028666A KR102384039B1 (ko) 2014-03-17 2015-03-17 캐뉼라 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463395B2 (ko)
EP (4) EP3753510A1 (ko)
JP (3) JP6595498B2 (ko)
KR (3) KR20230035153A (ko)
CN (3) CN116531060A (ko)
WO (1) WO2015142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21258B2 (en) 2014-02-21 2019-11-21 Cilag Gmbh International A set comprising a surgical instrument
CN116531060A (zh) * 2014-03-17 2023-08-04 直观外科手术操作公司 插管密封组合件
CN108024806B (zh) 2015-07-21 2022-07-01 3D集成公司 套管组装套件、套管针组装套件、套筒组件、微创手术系统及其方法
US11020144B2 (en) 2015-07-21 2021-06-01 3Dintegrated Aps Minimally invasive surgery system
PL3552652T3 (pl) 2015-08-18 2021-11-15 B. Braun Melsungen Ag Urządzenia cewnikowe z zaworami
DK178899B1 (en) 2015-10-09 2017-05-08 3Dintegrated Aps A depiction system
EP3463158B1 (en) * 2016-05-26 2023-08-30 Covidien LP Cannula assemblies for use with robotic surgical systems
CN106137338B (zh) * 2016-08-01 2017-10-27 成都五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含多维浮动褶皱的穿刺器密封膜
EP3509524A1 (en) * 2016-09-12 2019-07-17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robotic access system for irregularly shaped robotic actuators and associated robotic surgical instruments
JP6644664B2 (ja) * 2016-10-11 2020-02-12 京セラ株式会社 トロカール用のシールユニット
US11259884B2 (en) 2016-11-02 2022-03-0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Robotic surgical stapler assembly configured to use stapler reload
US11166744B2 (en) 2016-11-14 2021-11-09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Electrically conductive reducer device, relate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7049379B (zh) * 2017-06-03 2023-05-26 成都五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自动复位锁扣的套管组件
CN107049441B (zh) * 2017-06-03 2023-05-26 成都五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自动复位锁扣的穿刺器
EP3412229A1 (en) * 2017-06-07 2018-12-12 Servizo Galego de Saúde (SERGAS) Surgery multichannel device
US20190059938A1 (en) * 2017-08-28 2019-02-28 Covidien Lp Access apparatus including seal component with protective guards
CN115553931A (zh) * 2018-05-15 2023-01-03 直观外科手术操作公司 器械密封件
US10820924B2 (en) * 2018-06-15 2020-11-03 Ethicon Llc Asymmetric shaft seal
KR102549731B1 (ko) * 2018-06-25 2023-07-03 외티커 엔와이, 인크. 재밀봉 가능한 멤브레인 밸브를 갖는 유체 커넥터
US10987135B2 (en) * 2018-07-13 2021-04-27 Ethicon Llc Seal cartridge design for trocar assemblies
WO2020036758A2 (en) * 2018-08-14 2020-02-20 Covidien Lp Surgical devices including features to facilitate cleaning
US11850377B2 (en) 2018-12-17 2023-12-26 B. Braun Melsungen Ag Cathete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CN116687529A (zh) 2019-03-26 2023-09-05 康美公司 用于机器人辅助外科手术的具有气体密封进入盖和阀密封进入盖的气体循环系统
CN110388779B (zh) * 2019-07-19 2021-08-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厨房电器
US20220401125A1 (en) 2019-09-30 2022-12-22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ingle port instrument access device
US20220338901A1 (en) 2019-09-30 2022-10-27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Instrument entry guide
US20220330976A1 (en) 2019-09-30 2022-10-20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ingle port instrument access device
JP2023514193A (ja) * 2020-02-11 2023-04-05 エンボデ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取り外し可能な圧力シール付き外科用カニューレ
US20210259731A1 (en) * 2020-02-26 2021-08-26 Covidien Lp Retention anchor for surgical access devices
EP4132389A1 (en) * 2020-04-10 2023-02-15 Ethicon LLC Cannula assembly
US11751908B2 (en) * 2020-06-19 2023-09-12 Covidien Lp Seal assembly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CN111658086A (zh) * 2020-06-19 2020-09-15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可用于腔镜手术的多通道穿刺器
US20220142672A1 (en) * 2020-11-10 2022-05-12 Covidien Lp Surgical access device having plural zero closure valves
CN112754617B (zh) * 2021-01-05 2022-08-26 常州安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保持腹部压力的可视穿刺器
CN117297835B (zh) * 2023-11-28 2024-02-06 上海宏普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穿刺覆膜支架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9235A (en) * 1985-07-31 1990-05-29 Universal Medical Instrument Corp. Self-sealing percutaneous tube introducer
US5411483A (en) * 1993-02-10 1995-05-02 Origin Medsystems, Inc. Gas-tight seal accommodating surgical instruments with a wide range of diameters
US5628732A (en) * 1996-01-19 1997-05-13 Ethicon Endo-Surgery, Inc. Trocar with improved universal seal
WO1999052577A1 (en) * 1998-04-13 1999-10-2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Cone-shaped universal seal having nonuniform surface and seal assembly including same
US20070088277A1 (en) * 2005-10-14 2007-04-19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port
EP2656802A1 (en) * 2010-12-21 2013-10-30 Xing Zhou Ring seal device for trocar and trocar
KR20150127114A (ko) * 2013-03-15 2015-11-16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투관침 수술용 시일
KR20180039031A (ko) * 2018-03-19 2018-04-17 이병갑 체크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8336A (en) 1982-09-28 1994-05-03 Applied Medical Resources Seal protection mechanism
US4655752A (en) 1983-10-24 1987-04-07 Acufex Microsurgical, Inc. Surgical cannula
US5180373A (en) 1991-06-07 1993-01-19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Valve system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anatomical body portions
US5385553A (en) 1991-07-18 1995-01-3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Trocar with floating septum seal
DE600895T1 (de) 1991-08-30 1995-04-20 Origin Medsystems Inc Trokar mit mehreren adaptern und einem abnehmbaren obturator.
US5273545A (en) 1991-10-15 1993-12-28 Apple Medical Corporation Endoscopic cannula with tricuspid leaf valve
US5545142A (en) * 1991-10-18 1996-08-13 Ethicon, Inc. Seal members for surgical trocars
US5197955A (en) 1991-10-18 1993-03-30 Ethicon, Inc. Universal seal for trocar assembly
CA2093748C (en) 1992-04-24 1996-11-12 Roy D. Gravener Valve assembly for introducing instruments into body cavities
US5496280A (en) 1992-07-02 1996-03-05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Trocar valve assembly
US5407433A (en) 1993-02-10 1995-04-18 Origin Medsystems, Inc. Gas-tight seal accommodating surgical instruments with a wide range of diameters
US5354280A (en) 1993-02-19 1994-10-11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Trocar and seal arrangement
US5391153A (en) 1993-04-09 1995-02-21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Trocar with linear movement seal
US5492304A (en) 1993-06-16 1996-02-20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eal assembly for accommodating introduction of surgical instruments
US5312363A (en) 1993-07-13 1994-05-17 Symbiosis Corporation Low friction slit valve
CA2126150C (en) 1993-07-14 2005-02-22 David T. Green Seal assembly for accommodating introduction of surgical instruments
US5391154A (en) 1993-08-30 1995-02-2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Trocar seal system
US5752938A (en) 1994-09-12 1998-05-19 Richard-Allan Medical Industries, Inc. Seal for surgical instruments
US5662615A (en) 1995-09-01 1997-09-02 Blake, Iii; Joseph W. Valve and valve cartridge for trocar
US5720730A (en) 1995-09-01 1998-02-24 Blake, Iii; Joseph W. Lubricated trocar valve
US5782817A (en) 1995-11-06 1998-07-21 Cordis Corporation Catheter introducer having toroidal valve
US5814026A (en) 1996-03-19 1998-09-29 Yoon; Inbae Endoscopic portal having a universal seal and methods for introducing instruments therethrough
US5788676A (en) 1996-03-25 1998-08-04 Yoon; Inbae Endoscopic portal having multiple universal seals and method of introducing instruments therethrough
US5820600A (en) 1996-05-14 1998-10-13 Innerdyne, Inc. Adjustable introducer valve
US5820606A (en) 1996-06-11 1998-10-13 Origin Medsystems, Inc. Reusable cannula with disposable seal
US5820604A (en) * 1996-06-11 1998-10-13 Endolap, Inc. Cannula cap including yeildable outer seal and flapper valve
US5727770A (en) 1997-02-07 1998-03-17 Core Dynamics, Inc. Double valve cannula seal
WO1998050093A1 (en) 1997-05-02 1998-11-1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Trocar seal system
EP1745810B1 (en) 1997-05-28 2009-07-0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Trocar seal system
US6127320A (en) 1998-01-19 2000-10-03 University Of Cincinnati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creasing lubricity of rubber surfaces
US6228061B1 (en) 1998-02-03 2001-05-08 Imagyn Medical Technologies California, Inc. Trocar seal system having dual seals
US5989224A (en) 1998-02-23 1999-11-23 Dexide Corporation Universal seal for use with endoscopic cannula
US6093176A (en) 1998-03-10 2000-07-25 Core Dynamics, Inc. Trocar with disposable valve and reusable cannula
US6860869B2 (en) 1999-03-26 2005-03-01 William G. Dennis Surgical instrument seal assembly
US6258065B1 (en) 1999-03-26 2001-07-10 Core Dynamics, Inc. Surgical instrument seal assembly
US7153319B1 (en) 2000-01-26 2006-12-26 Genico, Inc. Trocar system having shielded trocar
US6595946B1 (en) 2000-02-25 2003-07-2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Valve assembly
GB0012461D0 (en) 2000-05-24 2000-07-12 Surgical Innovations Ltd Surgical seal
US20030004529A1 (en) 2001-06-28 2003-01-02 Mark Tsonton Trocar having an improved seal design
US20040260244A1 (en) * 2001-08-31 2004-12-23 Piechowicz Michael E. Seals for trocars
CA2466929A1 (en) 2001-11-13 2003-05-3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Multi-seal trocar system
US7235062B2 (en) 2002-01-24 2007-06-2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floating gel seal
US20040066008A1 (en) 2002-10-04 2004-04-08 Smith Robert C. Introducer seal assembly
US7083626B2 (en) 2002-10-04 2006-08-0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pendent valve
EP1663344A4 (en) 2003-09-24 2007-11-14 Applied Med Resources ANTI-INVERSIONS-trocar seal
US8012128B2 (en) 2003-09-30 2011-09-06 Ethicon Endo-Surgery Inc. Button latching system for a trocar
EP1696808A1 (en) 2003-12-12 2006-09-0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hielded septum trocar seal
US7585288B2 (en) * 2004-01-23 2009-09-08 Genico, Inc. Trocar and cannula assembly having conical valve and related methods
US20060047293A1 (en) 2004-01-23 2006-03-02 Haberland Gary W Trocar having planar fixed septum seal and related methods
US20050209608A1 (en) 2004-03-22 2005-09-22 O'heeron Peter T Trocar seal
US7591802B2 (en) * 2005-04-29 2009-09-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eal housing having anti-inversion features
US20070244426A1 (en) 2006-04-13 2007-10-18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Duck bill septum combination
US8728037B2 (en) * 2006-04-18 2014-05-20 Ethicon Endo-Surgery, Inc. Pleated trocar seal
US7789861B2 (en) * 2006-04-18 2010-09-07 Ethicon Endo-Surgery, Inc. Pleated trocar seal
US8262623B2 (en) 2006-06-20 2012-09-11 Avesto Tech B.V. Access port valve assembly
CN1907513A (zh) 2006-07-31 2007-02-07 周泰立 用于穿刺器的单向阀
US7833199B2 (en) * 2006-10-11 2010-11-16 Ethicon Endo-Surgery, Inc. Trocar seal with retraction induced hinge
US8257315B2 (en) * 2006-10-11 2012-09-04 Ethicon Endo-Surgery, Inc. Trocar seal with retraction induced hinge
US8052152B2 (en) * 2007-03-09 2011-11-08 Federal-Mogul Corporation Dynamic shaft seal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US20090012476A1 (en) * 2007-07-05 2009-01-08 Galt Medical Corporation Hemostasis valve for a catheter introducer
EP2249716B1 (en) 2008-03-14 2012-09-2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Instrument seal
KR101118319B1 (ko) * 2008-03-24 2012-03-09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오버튜브용 탈기 방지 밸브 유닛
US8273060B2 (en) 2008-04-28 2012-09-25 Ethicon Endo-Surgery, Inc. Fluid removal in a surgical access device
JP5963127B2 (ja) 2009-01-09 2016-08-03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リーツ状トロカールシールド
US20100270751A1 (en) 2009-04-23 2010-10-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nti-roll ribbed seal
US20110071541A1 (en) * 2009-09-23 2011-03-24 Intuitive Surgical, Inc. Curved cannula
US8551115B2 (en) 2009-09-23 2013-10-0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urved cannula instrument
JP5824456B2 (ja) * 2009-11-13 2015-11-25 インテュイティブ サージカル オペレ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湾曲カニューレ、ロボットマニピュレーター、および受動的に可撓性であるシャフトを有する外科手術器具
US20120108905A1 (en) * 2010-10-28 2012-05-03 Tyco Healthcare Group Lp Portal apparatus with a contoured compliant seal
KR101092938B1 (ko) * 2011-04-22 2011-12-12 배경철 복강경 수술용 투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18631A1 (en) * 2012-07-11 2014-01-16 Covidien Lp Surgical seal assembly including a guard member
WO2014039902A1 (en) 2012-09-07 2014-03-13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annula seal
CN116531060A (zh) 2014-03-17 2023-08-04 直观外科手术操作公司 插管密封组合件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9235A (en) * 1985-07-31 1990-05-29 Universal Medical Instrument Corp. Self-sealing percutaneous tube introducer
US5411483A (en) * 1993-02-10 1995-05-02 Origin Medsystems, Inc. Gas-tight seal accommodating surgical instruments with a wide range of diameters
US5628732A (en) * 1996-01-19 1997-05-13 Ethicon Endo-Surgery, Inc. Trocar with improved universal seal
WO1999052577A1 (en) * 1998-04-13 1999-10-2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Cone-shaped universal seal having nonuniform surface and seal assembly including same
US20070088277A1 (en) * 2005-10-14 2007-04-19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port
EP2656802A1 (en) * 2010-12-21 2013-10-30 Xing Zhou Ring seal device for trocar and trocar
KR20150127114A (ko) * 2013-03-15 2015-11-16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투관침 수술용 시일
KR20180039031A (ko) * 2018-03-19 2018-04-17 이병갑 체크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285A (ko) 2016-11-25
EP3119295A1 (en) 2017-01-25
EP3753508B1 (en) 2022-11-09
US20230043818A1 (en) 2023-02-09
EP3119295B1 (en) 2020-05-13
EP3119295A4 (en) 2018-03-14
JP7299278B2 (ja) 2023-06-27
KR102384039B1 (ko) 2022-04-07
KR102507087B1 (ko) 2023-03-07
JP2020022765A (ja) 2020-02-13
WO2015142794A1 (en) 2015-09-24
KR20230035153A (ko) 2023-03-10
US10463395B2 (en) 2019-11-05
CN116531060A (zh) 2023-08-04
JP2021191420A (ja) 2021-12-16
CN111419306B (zh) 2023-05-23
US20170095269A1 (en) 2017-04-06
JP6963594B2 (ja) 2021-11-10
EP3753510A1 (en) 2020-12-23
EP3753508A1 (en) 2020-12-23
US11534205B2 (en) 2022-12-27
CN106255469B (zh) 2020-05-19
US20200100815A1 (en) 2020-04-02
EP3753509B1 (en) 2023-11-29
JP6595498B2 (ja) 2019-10-23
CN106255469A (zh) 2016-12-21
EP3753509A1 (en) 2020-12-23
CN111419306A (zh) 2020-07-17
JP2017508534A (ja)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039B1 (ko) 캐뉼라 실 어셈블리
JP5226065B2 (ja) 入れ子式ガイド・チューブを有する弾性変形可能な外科用アクセス装置
US10369313B2 (en) Airway adapters and suction catheter systems
JP5252694B2 (ja) 自己収縮型オリフィスシール
US20140323807A1 (en) Devices for and methods of performing minimally-invasive surgical procedures through a single incision
MXPA04009627A (es) Montaje de bloqueo de instrumento para trocar.
BRPI0406033B1 (pt) Luva de trocarte
US11433174B2 (en) Retractable backflush instrument
EP2099371A2 (en) Valve seals for trocars and manufacture thereof
MXPA04009631A (en) Rotational latching system for a tro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