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031A - 체크 밸브 - Google Patents

체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031A
KR20180039031A KR1020180031766A KR20180031766A KR20180039031A KR 20180039031 A KR20180039031 A KR 20180039031A KR 1020180031766 A KR1020180031766 A KR 1020180031766A KR 20180031766 A KR20180031766 A KR 20180031766A KR 20180039031 A KR20180039031 A KR 20180039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slit
valve
view
tro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갑
Original Assignee
이병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갑 filed Critical 이병갑
Priority to KR102018003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9031A/ko
Publication of KR2018003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술시 사용하는 체크 밸브 및 이를 채용한 수술용 투관침을 제시한다. 제시된 체크 밸브는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는 원판형몸체부와, 원통형 체크밸브 몸체 및 체크밸브용 슬릿부가 구비된 슬릿몸체부로 구성된 체크 밸브에 있어서, 상기 슬릿몸체부와 교차되면서 상기 슬릿몸체부의 양측으로 보조 날개부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보조날개부는 탄성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형태이다.

Description

체크 밸브{Check Valve}
본 발명은 체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시 사용하는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수술시에 수술용 투관침(칼날없는 투관침이라고도 함)이 사용되고 있다.
수술용 투관침 등에 내부에 공기나 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체크밸브 구조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은 종래 체크밸브의 사시도, 일부 단면도, 사용상태도 및 사용후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종래 체크 밸브(10)는
의료용 기기, 예를 들면,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는 원판형몸체부(12)와, 원통형 체크밸브 몸체(14) 및 체크밸브용 슬릿부(16a)가 구비된 슬릿몸체부(16)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원통형 체크밸브 몸체(14)내부는 원통형태이고 상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면서 막혀있다. 막힌 부분에는 체크밸브용 슬릿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체크밸브(10)의 상부에서 니들 샤프트(50)가 슬릿부(16a)를 통해 삽입되면, 상기 슬릿부(16a)가 벌어지게 된다.
이후 도 6을 참조하면, 니들 샤프트(50)가 제거된 후에 상기 슬릿부(16a)는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약간 벌어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체크 밸브(10)는 본래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데, 역방향으로 공기나 유체 기타 물질이 새어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수술용 투관침은 그 내부에 니들(needle)(혹은 삽입관 이라고 함)을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용 투관침(일명 트로카라 함)은 환자에 사용할 때 환자의 몸속에 투입되는 것이므로 밀봉이 확실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수술용 투관침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경우 삽입하는 수술용 기구의 직경이 10mm 또는 12mm일 경우에는 밀봉이 되지만, 그보다 작은 경우에는 예컨데 삽입하는 수술용 기구의 직경이 그보다 작은 4mm일 경우에는, 해당 투관침내에 삽입되는 니들을 감싸고 있는 역류방지용 깔대기모양의 씰링밸브가 수술기구의 움직임에 따라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고 따라서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접하는 부분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새어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수술 환자에게도 위험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904호(복강경 수술용 투관침)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5693호(내시경 수술용 투관침)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슬릿몸체부와 90도 교차되면서 상기 슬릿몸체부의 양측으로 보조 날개부가 구비되며, 보조날개부는 탄성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형태이고, 보조날개부는 상기 슬릿몸체부의 슬릿부를 통해 니들 샤프트가 통과되면, 상기 슬릿부의 미는 힘을 통해 각각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원호형태로 구부려지고 상기 슬릿부로부터 미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일자로 복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체크 밸브가 니들 샤프트의 삽입 전후에도 그 원래 상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고 원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체크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크 밸브는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는 원판형몸체부와, 원통형 체크밸브 몸체 및 체크밸브용 슬릿부가 구비된 슬릿몸체부로 구성된 체크 밸브에 있어서,
상기 슬릿몸체부와 90도 교차되면서 상기 슬릿몸체부의 양측으로 보조 날개부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보조날개부는 탄성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날개부는 상기 슬릿몸체부의 슬릿부를 통해 니들 샤프트가 통과되면, 상기 슬릿부의 미는 힘을 통해 각각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원호형태로 구부려지고 상기 슬릿부로부터 미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일자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에 의하면, 슬릿몸체부와 90도 교차되면서 상기 슬릿몸체부의 양측으로 보조 날개부가 구비되며, 보조날개부는 탄성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형태이고, 보조날개부는 상기 슬릿몸체부의 슬릿부를 통해 니들 샤프트가 통과되면, 상기 슬릿부의 미는 힘을 통해 각각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원호형태로 구부려지고 상기 슬릿부로부터 미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일자로 복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체크 밸브가 니들 샤프트의 삽입 전후에도 그 원래 상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고 원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체크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사용후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7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D-D' 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사용 후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투관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종단면도로서, 도 14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3에서 기밀수단의 분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일부 상세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7에서 보여준 기밀수단 중에서의 일부 부품인 상부기밀부재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투관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밸브 서포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실링 밸브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밸브 서포터와 실링 밸브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와셔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1에 도시된 밸브 서포터와 실링 밸브 및 와셔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27은 도 21에 도시된 밸브 서포터와 실링 밸브와 와셔 및 체크 밸브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28은 도 21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8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9은 도 7의 C-C' 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D-D' 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7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7의 사용 후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20)는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는 원판형몸체부(22)와, 원통형 체크밸브 몸체(24) 및 체크밸브용 슬릿부(26a)가 구비된 슬릿몸체부(26)로 구성된 점에서는 종래와 동일 유사하므로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20)는,
상기 슬릿몸체부(26)의 중심부에서 외곽쪽으로 상기 슬릿몸체부(26)와 전체적으로 90도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교차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슬릿몸체부(26)의 양측으로 보조 날개부(27-1,27-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날개부(27-1,27-2)(일명 girder wing이라고도 함,거더 윙)는 탄성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날개부(27-1,27-2)는 상기 슬릿몸체부(26)의 슬릿부(26a)를 통해 니들 샤프트(50)가 통과되면, 상기 슬릿부(26a)의 미는 힘을 통해 각각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원호형태로 구부려지고 상기 슬릿부(26a)로부터 미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일자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2의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릿몸체부와 90도 교차되면서 상기 슬릿몸체부의 양측으로 보조 날개부가 구비되며, 보조날개부는 탄성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형태이고, 보조날개부는 상기 슬릿몸체부의 슬릿부를 통해 니들 샤프트가 통과되면, 상기 슬릿부의 미는 힘을 통해 각각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원호형태로 구부려지고 상기 슬릿부로부터 미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일자로 복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체크 밸브가 니들 샤프트의 삽입 전후에도 그 원래 상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고 원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투관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종단면도로서, 도 14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3에서 기밀수단의 분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일부 상세도면이고, 도 19 및 도 20은 도 17에서 보여준 기밀수단 중에서의 일부 부품인 상부기밀부재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투관침(30)은
내부에 체크밸브(38)를 구비한 투관침 몸체부(34)와,
상기 투관침 몸체부(34)의 중심부(3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니들(37b),
상기 니들(37b)의 상하이동시에 상기 투관침 몸체부(34)내에서 공기가 새지않도록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투관침 몸체부(34) 상부에 구비된 기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투관부 몸체부(34)내의 체크밸브의 차단기능외에 추가로 공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밀수단은,
저면에 테이퍼형태로 복원력을 가진 연장부(43)를 구비하고 상기 투관부 몸체부(34) 최상단 안착부 상에 결합된 상부캡(36)의 저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부기밀부재(42)와,
상기 상부기밀부재(42)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상부기밀부재(42)의 저면 및 연장부(43)에 면접하도록 상기 상부기밀부재(42)의 저면 및 연장부(4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중간기밀부재(44)와,
상기 중간기밀부재(44) 하부에 복수개가 위치하며 상기 중간기밀부재(44)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기밀부재(42)까지 관통하면서 상기 중간기밀부재(44)가 상기 상부기밀부재(42)와 확실하게 면접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단부 테두리는 상기 중간기밀부재(44)에 의해 감싸져 밀봉되는 나사 형태의 돌출부(45)와,
상기 중간기밀부재(44)의 단부 테두리 저면에 면접하여 위치하되 저면은 상기 투관부 몸체부(34)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개재되는 슬라이딩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45)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 상방으로 평행하게 돌출되고 상단부가 턱이 형성된 한 쌍의 일자형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인해, 상기 돌출부(45)의 한 쌍의 일자형 돌출부가 상기 중간기밀부재(44) 및 상부기밀부재(42)를 관통한 후 상기 상부기밀부재(42)의 상면에 노출되게 되고, 노출된 후에는 한 쌍의 돌출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턱으로 인해 돌출부는 단단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기밀부재(42)는 원형이고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42a)에는 상기 돌출부(45)가 관통되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중간기밀부재(44) 역시 원형이고 원주면을 따가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기밀부재(44)의 단부 테두리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와 하방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중심부 쪽으로 절곡된 하방연장부를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방연장부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가 관통설치된 후에 돌출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투관침에 따르면, 수술용 투관침에 삽입시켜 니들(needle)을 사용할 때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즉 삽입하는 수술용 기구의 직경이 투관침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 4mm까지의 내시경 같은 수술기구를 사용 할 때도 수술용기구의 움직임에 따라서 니들의 중심이 자유롭게 같이 이동하여 기밀이 유지되며, 조립이 쉽고 가공비가 줄어들고 유지보수가 쉬워진다.
또한, 수술용 투관침에 삽입시켜 니들(needle)을 사용중일 때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수단을 구비하여 수술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니들의 중심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수술용 투관침에 설치된 기밀수단을 조립하거나 설치할 때 서로 일체형으로 쉽게 돌출부를 관통시켜 조립하게 되므로 조립이 쉽다.
또한 수술용 투관침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다시 설치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볼 때 가공비가 줄어든다.
또한 수술용 투관침의 고장시에도 쉽게 기밀수단을 제거하여 보수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쉽다.
*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투관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밸브 서포터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실링 밸브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밸브 서포터와 실링 밸브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와셔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1에 도시된 밸브 서포터와 실링 밸브 및 와셔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27은 도 21에 도시된 밸브 서포터와 실링 밸브와 와셔 및 체크 밸브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28은 도 21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투관침은, 투관침 삽입부(60), 체크 밸브(62), 와셔(washer)(64), 실링 밸브(sealing valve)(66), 밸브 서포터(valve supporter)(68), 커버(cover)(70), 니들(needle)(72)을 포함한다.
투관침 삽입부(60)는 소정 형상의 투관침 몸체(60a), 및 투관침 몸체(60a)로부터 길게 연장된 삽입관(60b)을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관(60b)의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 형태의 돌기가 형성된다. 투관침 삽입부(60)는 합성수지로 제작가능하다.
체크 밸브(62)는 투관침 삽입부(60)의 투관침 몸체(60a)에 끼워진다. 체크 밸브(62)는 고무재질로 제작가능하다.
체크 밸브(62)는 도 7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체크 밸브(2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체크 밸브(62)는 도 7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체크 밸브(2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와셔(64)는 체크 밸브(62)의 상면을 덮는다. 와셔(64)는 중앙부에 개구부(64a)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원형의 끼움돌기부(64b)가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돌기부(64b)는 체크 밸브(62)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의 끼움홈(21)에 끼워진다. 와셔(64)의 개구부(64a)에는 니들(72)의 샤프트(72a)가 삽입되는데, 개구부(64a)의 직경은 니들(72)의 샤프트(72a)의 직경보다는 크고 체크 밸브(62)의 원통형 체크밸브 몸체(62a; 도 7에서 24에 대응됨)의 상부 직경보다는 작을 수 있다.
실링 밸브(66)는 와셔(64)의 상면에 장착된다. 실링 밸브(66)는 고무 재질로 제작가능하다. 실링 밸브(66)는 역류 방지 및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즉, 체크 밸브(62)도 역류 방지를 하지만, 체크 밸브(62)의 슬릿몸체부의 슬릿부(도 7에서 26a에 대응됨)가 약간 벌어질 수 있으므로, 그 벌어진 틈을 통해 역류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실링 밸브(66)는 혹시나 모를 체크 밸브(62)를 통한 공기의 역류 또는 기타 물질의 역류를 방지한다.
실링 밸브(66)는 해당 몸체(66a)의 중앙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빗면부(66e)가 형성되고, 빗면부(66e)의 중앙에는 니들(72)의 샤프트(72a)가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는 구멍(66d)이 형성된다. 여기서, 구멍(66d)의 직경은 니들(72)의 샤프트(72a)의 직경에 비해 훨씬 작다. 따라서, 니들(72)의 샤프트(72a)가 구멍(66d)에 끼워질 때 샤프트(72a)는 구멍(66d)에 압입되는 형태로 끼워질 것이다. 즉, 니들(72)의 샤프트(72a)가 구멍(66d)에 끼워질 때에는 샤프트(72a)의 외측 둘레는 구멍(66d)에 밀착되면서 끼워진다.
한편, 실링 밸브(66)의 몸체(66a)상에는 빗면부(66e)를 감싸는 원 형상의 수납 돌출부(66b)가 형성된다. 수납 돌출부(66b)의 내측면에는 밸브 서포터(68)의 끼움돌기(68c)와 결합하는 끼움홈(66c)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 돌출부(66b) 및 빗면부(66e)는 밸브 서포터(68)를 수납시키는 수납부로 통칭할 수 있다.
밸브 서포터(68)는 실링 밸브(66)의 형상 유지를 도와준다. 즉, 밸브 서포터(68)에 실링 밸브(66)의 수납부에 수납된다. 밸브 서포터(68)는 합성수지로 제작가능하다.
밸브 서포터(68)는 몸체(68a) 저면에 테이퍼진 형태로 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원력을 가진 다수의 연장부(68b)를 포함한다. 다수의 연장부(68b)는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다.
한편, 밸브 서포터(68)의 몸체(68a)의 상면에는 실링 밸브(66)의 끼움홈(66c)에 끼워지는 끼움돌기(68c)가 형성된다.
여기서, 밸브 서포터(68)가 실링 밸브(66)에 수납되면 도 24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와셔(64)의 상면에는 실링 밸브(66) 및 밸브 서포터(68)가 설치(안착)되므로, 이들간의 설치 형태를 보면 도 26과 같을 수 있다.
커버(70)는 와셔(64)와 결합된다. 즉, 와셔(64)의 외측 둘레가 커버(70)의 내측면에 끼워진다. 커버(70)의 상부면에는 니들(72)의 샤프트(72a)가 관통되는 관통공(70a)이 형성된다.
니들(72)은 투관침 삽입부(60)의 삽입관(60b)을 관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니들(72)의 샤프트(72a)는 커버(70)의 관통공(70a)과 밸브 서포터(68)의 연장부(68b)와 실링 밸브(66)의 구멍(66d)와 와셔(64)의 개구부(64a)를 관통하고, 삽입관(60b)을 통해 해당 샤프트(72a)의 일측 끝단(예컨대, 칼날이 있는 부위)이 노출된다. 니들(72)의 타측 끝단에는 손잡이(72b)가 형성되고, 손잡이(72b)의 부근에는 스토퍼(72c)가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비교하여 보면, 상술한 도 13 내지 도 20의 제 1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기밀부재(즉, 상부기밀부재(42), 및 중간기밀부재(44)) 및 2개의 기밀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돌출부(45)를 사용하여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에 반해, 도 21 내지 도 28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기밀부재(즉, 실링 밸브(66))만을 사용하였다.
즉,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구성보다 훨씬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62 : 체크 밸브
22 : 원판형 몸체부
24 : 원통형 체크밸브 몸체
26 : 슬릿몸체부
26a : 체크밸브용 슬릿부
30 : 수술용 투관침
34 : 투관침 몸체부
37b, 72 : 니들
42 : 상부기밀부
42a : 관통공
43 : 연장부
44 : 중간기밀부재
45 : 돌출부
50, 72a : 니들 샤프트(needle shaft)
60 : 투관침 삽입부
64 : 와셔
66 : 실링 밸브
68 : 밸브 서포터
70 : 커버

Claims (2)

  1.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는 원판형몸체부와, 원통형 체크밸브 몸체 및 체크밸브용 슬릿부가 구비된 슬릿몸체부로 구성된 체크 밸브에 있어서,
    상기 슬릿몸체부와 교차되면서 상기 슬릿몸체부의 양측으로 보조 날개부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보조날개부는 탄성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날개부는 상기 슬릿몸체부의 슬릿부를 통해 니들 샤프트가 통과되면, 상기 슬릿부의 미는 힘을 통해 각각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원호형태로 구부려지고 상기 슬릿부로부터 미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KR1020180031766A 2018-03-19 2018-03-19 체크 밸브 KR20180039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66A KR20180039031A (ko) 2018-03-19 2018-03-19 체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66A KR20180039031A (ko) 2018-03-19 2018-03-19 체크 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890A Division KR101891390B1 (ko) 2015-03-30 2016-02-11 체크 밸브 및 수술용 투관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031A true KR20180039031A (ko) 2018-04-17

Family

ID=6208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766A KR20180039031A (ko) 2018-03-19 2018-03-19 체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90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913B1 (ko) * 2018-12-18 2019-10-01 (주)하이센엠디티 풍선용 체크밸브
KR20220048041A (ko) * 2014-03-17 2022-04-19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캐뉼라 실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041A (ko) * 2014-03-17 2022-04-19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캐뉼라 실 어셈블리
KR101996913B1 (ko) * 2018-12-18 2019-10-01 (주)하이센엠디티 풍선용 체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5569C (en) Self-sealing flexible elastomeric valve and trocar assembly for incorporating same
US6258065B1 (en) Surgical instrument seal assembly
US8092431B2 (en) Seal assembly for a cannula
JP2741830B2 (ja) 体腔内に器具を導入するための弁組立体
US10596351B2 (en) Self-sealing catheter valve
AU2005244553B2 (en) Duckbill seal protector
ES2634238T3 (es) Cierre de pico de pato con recurso de drenaje de fluido
US8366687B2 (en) Injection access port with chamfered top hat septum design
US6053861A (en) Self-closing seal for a medical instrument
JP2007275623A (ja) 細長い物体をシール状態で受け入れる弁組立体
ES2949158T3 (es) Válvula de limpieza con hisopo con vástago de válvula curvilínea
BRPI0716851B1 (pt) Sistema de controle de fluxo
JP2017501836A (ja) バルブを有するカテーテル装置、及び関連方法
KR20180039031A (ko) 체크 밸브
AU2016267816B2 (en) Filter needle assembly for syringe
JP7169974B2 (ja) コンテナ内に収容される液体の試料を収集するためのデバイス、関連のコンテナ、及びこのコンテナの使用
ES2812759T3 (es) Dispositivo de cierre para acoplar recipientes
KR101891390B1 (ko) 체크 밸브 및 수술용 투관침
PT1397164E (pt) Elemento de fecho
CN115227297A (zh) 内窥镜用穿刺取样装置
ES2382594T3 (es) Conjunto de trocar con armazón movible radialmente
JP3761748B2 (ja) ニードルレス混注管
KR102201496B1 (ko) 압력 형성 홀을 가진 의료용 트로카
KR101589634B1 (ko) 트로카용 일자 실리콘 밸브 및 이에 의한 슬리브
JP4168231B2 (ja) 医療用混注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