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913B1 - 풍선용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풍선용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913B1
KR101996913B1 KR1020180163817A KR20180163817A KR101996913B1 KR 101996913 B1 KR101996913 B1 KR 101996913B1 KR 1020180163817 A KR1020180163817 A KR 1020180163817A KR 20180163817 A KR20180163817 A KR 20180163817A KR 101996913 B1 KR101996913 B1 KR 10199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check valve
main body
opening
wa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필
Original Assignee
(주)하이센엠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센엠디티 filed Critical (주)하이센엠디티
Priority to KR102018016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83Valves or nozz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을 때는 개방되고 바람부는 것을 멈추면 자동으로 폐쇄되어서 어린이들이 풍선을 보다 쉽게 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풍선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선용 체크밸브는 풍선의 주입구에 삽입배치되고, 전방에 외부에서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에는 개방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가해지는 압력에는 폐쇄되는 일방향 개폐부가 형성되는 연질의 본체; 전방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삽입배치되고, 후방의 외주연에는 상기 풍선의 주입구 링이 걸림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경질의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풍선용 체크밸브{Check valve for balloon}
본 발명은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을 때는 개방되고 바람부는 것을 멈추면 자동으로 폐쇄되어서 어린이들이 풍선을 보다 쉽게 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풍선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풍선은 아이들이 주로 갖고 노는 놀이기구로서, 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주입구를 입으로 물고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시킨다.
아이들은 입으로 부는 공압이 풍선을 팽창시킬 수 있는 수준이 되면 본인이 직접 풍선을 불기를 원한다.
풍선을 불 때는 풍선으로 한 모금 공기를 불어 넣은 후에는 손가락으로 풍선의 주입구를 눌러잡아 막고서 숨은 들이 마신 후에 주입구를 눌러잡고 있던 손의 힘을 빼고 공기를 불어넣은 식으로 불게된다.
이때, 경험이 없는 아이는 손가락으로 풍선의 주입구를 잡았다 놓았다 하는 것을 몰라서 풍선을 불 수 없고, 어린 아이에게 이 방식을 인식시키는 것도 쉽지 않다.
그래서 어린 아이를 위해 입으로 공기를 풍선으로 불 때는 풍선의 주입구가 개방되고, 불지 안을 때에는 풍선의 주입구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하는 기구가 필요하다.
참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25638호, 공개특허 제1999-0083761호 "풍선용 공기주입기"의 종래기술이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사람이 직접 풍선을 부는데 사용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 아니고, 공기 주입기를 이용해 풍선을 부는데 사용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으로 물고 불을 때는 개방되어 공기가 풍선으로 주입되고, 공기의 불음은 중단하면 자동으로 폐쇄되어 풍선으로 주입된 공기의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쉽게 풍선을 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풍선용 체크밸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피리를 불 수 있는 악세사리부재를 구비하여 어린이에게 다른 유희를 제공할 수 있는 풍선용 체크밸브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선용 체크밸브는
풍선의 주입구에 삽입배치되고, 전방에 외부에서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에는 개방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가해지는 압력에는 폐쇄되는 일방향 개폐부가 형성되는 연질의 본체;
전방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삽입배치되고, 후방의 외주연에는 상기 풍선의 주입구 링이 걸림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경질의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일방향 개폐부는 상기 본체의 내벽에서 삼각뿔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들이 인접하여 절개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전방에 상기 일방향 개폐부를 밀어 개방시키는 푸쉬부가 구비되고, 후방에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진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강제 개방막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암수방식으로 결합되고, 와이어 결합용 고리가 형성되고, 피리를 불 수 있는 악세사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풍선용 체크밸브는 입으로 바람을 불 때는 개방되어 공기가 주입되고, 바람을 부는 것을 중단하면 자동으로 폐쇄되어 주입된 공기의 유출을 차단하여 어린이도 풍선을 쉽게 불 수 있고, 개방막대를 밀면 주입된 공기가 간편하게 배출되고, 풍선을 불지 않을 때에는 악세사리부재로 피리를 불 수 있어 또 다른 줄거움을 주고, 바람이 빠지지 않도록 풍선의 주입구를 묶을 필요가 없고, 체크밸브는 풍선의 주입구에 간편하게 탈부착되어 풍선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선용 체크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가 장착된 풍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3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선용 체크밸브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선용 체크밸브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선용 체크밸브는 본체(10), 바디(20), 개방막대(30), 악세사리부재(4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본체(10), 바디(20), 개방막대(30), 악세사리부재(40)는 어린이들이 입으로 물고 빨 가능성이 크고, 물던 것을 삼킬 위험도 있다. 그래서 이들은 인체에 무해한 PP나 실리콘 재질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는 풍선(1)의 주입구(2)에 삽입배치되고, 전방에 일방향 개폐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일방향 개폐부(11)는 외부에서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 즉, 사용자가 입으로 부는 바람의 압력에는 개방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가해지는 압력, 즉, 풍선(1)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에는 폐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일방향 개폐부(11)는 사면체의 삼각뿔 형상으로 돌출된 4개의 돌출부(11a)들이 인접하여 형성한다. 삼각뿔을 구성하는 네 면 중에서 한 면은 바디(20)의 내벽에 접촉되는 면에 해당하고, 다른 한 면은 전방으로 노출되는 면에 위치하고, 나머지 두면은 바디(20)의 내부에 위치한다. 개폐부(11)에서 노출되는 전방은 하나의 돌출부(11a)는 다른 두 돌출부와 인접하여 접촉되는 배치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전방으로 노출된 돌출부의 전면은 살빼기홈(11b)이 형성된다.
이처럼 4개의 삼각뿔형 돌출부(11a)들이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입으로 바람을 불어 외부에서 내부로(즉, 바디(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압력이 작용하여 돌출부(11a)들이 전방으로 젖혀져 벌어지려는 경우(즉, 개방의 경우)에는 서로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쉽게 벌어지고, 내부에서 외부로(즉, 바디(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압력이 작용하여 돌출부(11a)들이 후방으로 젖혀져 벌어지려고 하는 경우에는 돌출부(11a)들 서로 간에 간섭이 발생되어 젖혀지지 않고 서로 간에 보다 강력하게 밀착된다.
상기 본체(10)는 고무나 실리콘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돌출부(11a)들의 개폐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평상시에 풍선(1)의 주입구(2)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돌출부(11a)들이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상기 악세사리부재(40)가 암수방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끼움부(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바디(20)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단턱(15)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후방의 외주연에는 풍선(1)의 주입구(2) 링(3)이 걸림결합되는 걸림부(21)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20)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지지지함으로써, 본체(10)가 풍선(1)이 주입구(2)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눌려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바디(20)의 전방 외주연에는 상기 본체(10)의 단턱(15)에 걸리는 제1걸림돌기(2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방측 외주연으로 상기 걸림부(21)의 앞에는 제2걸림돌기(25)가 형성되어서 걸림부(21)에 배치되어 걸린 풍선(1)의 주입구(2) 링(3)이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바디(20)의 후방에는 상기 개방막대(30)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7)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막대(30)는 상기 바디(20)와 본체(10)의 내부로 삽입관통되고, 상기 바디(20)의 가이드홈(27)을 따라 전후진한다.
상기 개방막대(30)는 전진시 상기 본체(10)의 일방향 개폐부(11)를 전방으로 밀어 개방시킴으로써, 풍선(1)으로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방막대(30)의 전방에는 상기 본체(10)의 일방향 개폐부(11)를 밀어 개방시키는 푸쉬부(31)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바디(20)의 가이드홈(27)을 따라 전후진하는 가이드부(35)가 형성되고, 상기 푸쉬부(31)와 가이드부(35)는 연결부(33)로 연결된다.
상기 푸쉬부(31)에는 상기 일방향 개폐부(11)로서 삼각뿔 형상의 돌출부(11a)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V자 모양의 지지홈(3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5)는 상기 가이드홈(27)에 배치되어 가이드홈(27)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35a)와, 상기 이동부(35a)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바디(20)의 외면에 걸리는 외턱(35b)과, 상기 이동부(35a)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바디(20)의 내면에 걸리는 내턱(35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상기 개방막대(30)의 가이드부(35)를 손톱 등을 이용해 눌러주면 상기 개방막대(30)가 전진하여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1a)를 전방으로 밀어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풍선(1)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가이드부(35)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풍성 내의 공기 압력에 의해 돌출부(11a)들이 원위치되면서 유로는 폐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개방막대(30)도 후진을 한다.
상기 악세사리부재(40)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암수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악세사리부재(40)는 미사용 중에 목걸이 형태로 소지하거나, 눈에 잘 보이는 곳에 걸어둘 수 있도록 와이어가 결합되는 고리(41)가 구비된다.
상기 악세사리부재(40)는 어린이 풍선(1)을 불지 않을 때 놀 수 있도록 피리를 불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피리를 불 수 있는 구조는 주지의 구조인바 이에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풍선을 바람을 불어 팽창시킨 후에는 주입구를손으로 매듭을 져서 묶음으로서 주입된 공기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풍선은 한번 매듭을 지어 묶으면 다시 풀기가 어렵고, 푸는 과정에서 찢어지는 등으로 손상되어서 재사용이 어렵다.
그런데 본 발명의 체크밸브를 사용하면 풍선의 주입구를 매듭지어 묶을 필요가 없고, 체크밸브의 탈부착이 간편하여, 풍선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디지털 캡쳐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개폐부
13 : 끼;움부 15 : 단턱
20 : 바디 21 : 걸림부
23 : 제1걸림돌기 25 : 제2걸림돌기
27 : 가이드홈 30 : 개방막대
31 : 푸쉬부 33 : 연결부
35 : 가이드부 40 : 악세사리부재
41 : 고리

Claims (4)

  1. 풍선의 주입구에 삽입배치되고, 전방에 외부에서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에는 개방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가해지는 압력에는 폐쇄되는 일방향 개폐부가 형성되는 연질의 본체;
    전방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삽입배치되고, 후방의 외주연에는 상기 풍선의 주입구 링이 걸림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경질의 바디;
    전방에 상기 일방향 개폐부를 밀어 개방시키는 푸쉬부가 구비되고, 후방에 상기 바디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진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강제 개방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방향 개폐부는 사면체의 삼각뿔 형상으로 돌출된 4개의 돌출부들이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푸쉬부에는 상기 일방향 개폐부의 돌출부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V자 모양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배치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바디의 외면에 걸리는 외턱과, 상기 이동부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바디의 내면에 걸리는 내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용 체크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개폐부는 상기 본체의 내벽에서 삼각뿔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들이 인접하여 절개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용 체크밸브.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암수방식으로 결합되고, 와이어 결합용 고리가 형성되고, 피리를 불 수 있는 악세사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용 체크밸브.
KR1020180163817A 2018-12-18 2018-12-18 풍선용 체크밸브 KR10199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817A KR101996913B1 (ko) 2018-12-18 2018-12-18 풍선용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817A KR101996913B1 (ko) 2018-12-18 2018-12-18 풍선용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913B1 true KR101996913B1 (ko) 2019-10-01

Family

ID=6820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817A KR101996913B1 (ko) 2018-12-18 2018-12-18 풍선용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9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638Y1 (ko) * 2003-06-14 2003-09-03 김호연 풍선의 가스주입용 체크밸브
JP2005261715A (ja) * 2004-03-19 2005-09-29 Keiji Shimabukuro 風船タイマー
KR20180039031A (ko) * 2018-03-19 2018-04-17 이병갑 체크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638Y1 (ko) * 2003-06-14 2003-09-03 김호연 풍선의 가스주입용 체크밸브
JP2005261715A (ja) * 2004-03-19 2005-09-29 Keiji Shimabukuro 風船タイマー
JP4041990B2 (ja) * 2004-03-19 2008-02-06 啓二 島袋 風船タイマー
KR20180039031A (ko) * 2018-03-19 2018-04-17 이병갑 체크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213B2 (en) Balloons adaptor
US7889883B2 (en) Conformable ear piece and method of using and making same
US4836821A (en) Toy birthing apparatus with chugging-like delivery motion
US6546931B2 (en) Supraglottic airway structure specifically used for anesthesia
US5115794A (en) Compressible ball launcher
IE891888L (en) Compressable ball launcher
US6299502B1 (en) Device for scattering confetti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1315955A (en) Valve for inelatimra bodies
KR101996913B1 (ko) 풍선용 체크밸브
US20120085430A1 (en) Pump Nozzle With Balloon-Tying Element
WO2008011160A1 (en) Animal shaped punch toy
US1201045A (en) Toy balloon.
US5261850A (en) Elastic material inflation toy
US20160325150A1 (en) Means to tie a balloon
JPH0584263A (ja) 生理用タンポンのアプリケーター
JP6885821B2 (ja) 口腔挿入具
US9352061B2 (en) Scented / lighted/ audio communication balloon and valve
US11738931B2 (en) Container system for confectioneries and novelty items
JP2010154910A (ja) ゴム風船発射装置
US3091236A (en) Resuscitator
CN208477909U (zh) 变调发光口哨
KR20200001810A (ko) 십자형 매듭 부재가 구비된 에어펌프
US722350A (en) Teething-nipple.
JP6531952B2 (ja) 握ると動作する人形
KR20220023933A (ko) 쉽게 풍선을 불게 해주는 풍선 불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