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605A -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605A
KR20220045605A KR1020200128302A KR20200128302A KR20220045605A KR 20220045605 A KR20220045605 A KR 20220045605A KR 1020200128302 A KR1020200128302 A KR 1020200128302A KR 20200128302 A KR20200128302 A KR 20200128302A KR 20220045605 A KR20220045605 A KR 20220045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vehicle
state information
target park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휴
이기범
남주한
임종수
방현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605A/ko
Priority to US17/459,521 priority patent/US11904844B2/en
Priority to CN202111042665.5A priority patent/CN114379541A/zh
Priority to DE102021209912.2A priority patent/DE102021209912A1/de
Publication of KR2022004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08G1/09682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n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9Adapting to failures or work around with other constraints, e.g. circumvention by avoiding use of fail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9Estimation of the risk associated with autonomous or manual driving, e.g. situation too complex, sensor failure or driver incapac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computed only once and not upd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side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8Driving aids for parking, e.g. acoustic or visual feedback on par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43Signal treatments, identification of variables or parameters, parameter estimation or state estimation
    • B60W2050/0052Filter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Means for detecting failure or mal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5Sensor drifts or sensor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2Actuator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4Trailers, e.g. full trailers,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4Trailers, e.g. full trailers, caravans
    • B60W2300/145Semi-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은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는 서버 및 센서로부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차량을 포함하여, 대형 상용차량에 적합한 주차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의 주차를 보조하는 차량 주차 보조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차량 주차 보조 시스템은 차량 주변의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장소를 선정하거나, 운전자의 주차 성향을 분석하여 주차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주차 지원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상태는 반영되지 않고, 차량의 주변 환경 정보만을 기반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기존의 차량 주차 보조 시스템이 제공하는 주차 지원 서비스 방식으로 차량을 주차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특히, 트레일러가 연결된 차량의 경우, 차량의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트레일러의 회전 반경과 꺾임 각도가 고려되어야 하므로, 주변 환경 정보만으로 주차를 보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트레일러가 연결된 차량의 주차를 지원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은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는 서버 및 센서로부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센서로부터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된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시간동안 차량의 제어 명령대로 상기 액추에이터가 거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칼만필터 또는 미리 학습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와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차량의 최대 회전 반경,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주행 가능 거리, 및 상기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주차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은 센서로부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및 상기 차량의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된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시간동안 차량의 제어 명령대로 상기 액추에이터가 거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칼만필터 또는 미리 학습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와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차량의 최대 회전 반경,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주행 가능 거리, 및 상기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주차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방법은 차량의 센서로부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서버로부터 목표 주차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로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로부터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된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시간동안 차량의 제어 명령대로 상기 액추에이터가 거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칼만필터 또는 미리 학습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와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주차 위치는 상기 차량의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차량의 최대 회전 반경,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주행 가능 거리, 및 상기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주차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트레일러가 연결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를 지원하여, 대형 상용차량에 적합한 주차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차량이 진출입하는 공간에서 혼잡도를 낮춰 효율적인 공간 운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표 주차 구역을 판단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된 주차 가능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된 목표 주차 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된 목표 주차 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상태를 기반으로 판단된 주차 불가능 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된 신규 주차 가능 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110) 및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10)은 센서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조향 상태 정보, 제동 상태 정보, 구동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트레일러와 연결된 경우 트레일러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일러의 상태 정보는 트레일러의 조향 및 제동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차량(110)의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10)은 센서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서버(120)로부터 목표 주차 위치를 수신하고,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차량(110)은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
서버(120)는 차량의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20)는 차량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차량의 거동이 비정상인 경우, 차량이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20)는 차량이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서버(120)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10)은 센서(111), 통신부(112), 액추에이터(113), 트레일러 액추에이터(114),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1)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11)는 차량의 속도, 종방향 가속도, 횡방항 가속도, 차량과 트레일러 사이의 회전각, 조향각, 조향 토크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111)는 액추에이터(113)가 제어부(115)의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동작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센서(111)는 차속 센서, 가속도 센서, 조향각 센서, 거리 센서, 영상 센서, 적외선 센서, 요레이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2)는 서버(1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2)는 와이파이, 와이브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e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방식으로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13)는 제어부(115)의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의 구동, 제동, 조향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13)는 구동 액추에이터, 제동 액추에이터, 조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일러 액추에이터(114)는 제어부(115)의 제어 명령에 따라 트레일러의 제동 또는 조향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일러 액추에이터(114)는 제동 액추에이터, 조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각종 명령의 연산이나 실행이 수행 가능한 반도체 칩 등을 내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5)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5)는 차량의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차량의 제동 액추에이터 또는 차량의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및 트레일러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소정 시간 이상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소정 시간 동안 획득된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조향 액추에이터가 제어부(115)의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거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5)는 소정 시간 동안 획득된 제동 액추에이터 상태 정보 또는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115)의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거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5)는 소정 시간 동안 획득된 트레일러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115)의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거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5)는 칼만필터 또는 미리 학습된 결과를 기반으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와 센서로부터 획득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서버(120)로부터 목표 주차 위치를 수신하고,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 아울러, 제어부(115)는 목표 주차 위치로 생성된 이동 경로를 따라 차량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5)는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가 아닌 것(비정상 상태)으로 판단하면, 서버(120)로부터 목표 주차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이동 경로를 따라 차량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5)는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의 비정상 거동 상태를 기반으로 이동 가능한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서버(120)에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서버(12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한 지 여부를 재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20)는 통신부(121) 및 제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차량(11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21)는 와이파이, 와이브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e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방식으로 차량(110)과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각종 명령의 연산이나 실행이 수행 가능한 반도체 칩 등을 내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2)는 차량(110)의 주차 가능 영역을 판단하여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110)으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기 생성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차량(110)으로부터 차량의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의 최대 회전 반경을 판단할 수 있다(S110). 또한, 제어부(122)는 차량(110)으로부터 구동 액추에이터 및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S120). 또한, 제어부(122)는 차량(110)으로부터 차량의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S130).
제어부(122)는 S110, S120, S130에서 판단된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최종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S140), 차량의 최종 상태에 따른 주차 가능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S150). S150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한다.
도 5 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된 주차 가능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된 목표 주차 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2)는 차량(110)으로부터 수신된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영역을 판단한 후(S130), S140에서 S110, S120, S130에서 판단된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의 최종 상태를 판단하면, 차량의 최종 상태에 따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가능 영역을 축소하여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차량(110)으로부터 수신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미리 생성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 아울러, 제어부(122)는 목표 주차 위치로 생성된 이동 경로를 따라 차량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2)는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가 아닌 것(비정상 상태)으로 판단하면, 미리 생성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미리 생성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이동 경로를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2)는 미리 생성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의 비정상 거동 상태를 기반으로 이동 가능한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다시 생성하는 경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한 지 여부를 재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된 목표 주차 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20)는 도 4의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20)가 목표 주차 위치(주차 가능 영역 5)를 생성하면, 차량(110) 또는 서버(120)는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110)은 서버(120)에서 생성된 목표 주차 위치(A)를 수신하고,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20)는 미리 생성된 목표 주차 위치(A)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동 경로를 차량(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상태를 기반으로 판단된 주차 불가능 구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된 신규 주차 가능 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20)는 차량의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주차 가능 영역 중 주차 불가 영역(주차 가능 영역 1, 3, 5)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액추에이터의 비정상 거동 상태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한 신규 목표 주차 위치(B)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10)은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S210), 소정 시간동안 조향 명령에 따라 거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220). 또한, 차량(110)은 제동 액추에이터 또는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S230), 소정 시간 동안 제동 명령 또는 구동 명령에 따라 거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240). 또한, 차량(110)은 트레일러의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S250), 소정 시간 동안 제어 명령대로 거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60).
차량(110)은 S220, S240, S260에서 획득된 액추에이터의 상태를 기반으로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110)은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S270), 서버(120)로부터 목표 주차 위치를 수신하고(S280),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S290). 아울러, 차량(110)은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0).
한편, 차량(110)은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S310), 서버(120)로부터 목표 주차 위치를 수신하고(S320),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S330에서 차량(110)은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Y),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S350). 아울러, 차량(110)은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60).
S330에서 차량(110)은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서버(120)에 재요청할 수 있으며(S340), 서버로부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재수신하여, 신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재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는 차량(110)으로부터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S410), 소정 시간동안 차량의 조향 명령에 따라 거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420). 또한, 서버(120)는 제동 액추에이터 또는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S430), 소정 시간 동안 차량의 제동 명령 또는 구동 명령에 따라 거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440). 또한, 서버(120)는 트레일러의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S450), 소정 시간 동안 제어 명령대로 거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60).
서버(120)는 S420, S440, S460에서 수신된 액추에이터의 상태를 기반으로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20)는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S470),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고(S480).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며(S490), 목표 주차 위치의 이동 경로를 차량(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S500).
한편, 서버(120)는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S510),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고(S520),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30). S530에서 서버(120)는 차량이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Y), 목표 주차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목표 주차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차량(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S550). S530에서 서버(120)는 차량이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N),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S540). 서버(120)는 신규 목표 주차 위치로 차량이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재판단할 수 있으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신규 목표 주차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신규 목표 주차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목표 주차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차량(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100
차량 110
서버 120

Claims (15)

  1.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는 서버; 및
    센서로부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센서로부터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된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시간동안 차량의 제어 명령대로 상기 액추에이터가 거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칼만필터 또는 미리 학습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와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차량의 최대 회전 반경,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주행 가능 거리, 및 상기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주차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6. 센서로부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및
    상기 차량의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된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시간동안 차량의 제어 명령대로 상기 액추에이터가 거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칼만필터 또는 미리 학습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와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차량의 최대 회전 반경,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주행 가능 거리, 및 상기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주차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주차 위치를 생성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11. 차량의 센서로부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목표 주차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목표 주차 위치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로 신규 목표 주차 위치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로부터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된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차량 주행 제어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시간동안 차량의 제어 명령대로 상기 액추에이터가 거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주행 제어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칼만필터 또는 미리 학습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와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거동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주행 제어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목표 주차 위치는
    상기 차량의 조향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차량의 최대 회전 반경,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제동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주행 가능 거리, 및 상기 트레일러 액추에이터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주차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생성되는 차량 주행 제어 방법.


KR1020200128302A 2020-10-05 2020-10-05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5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302A KR20220045605A (ko) 2020-10-05 2020-10-05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7/459,521 US11904844B2 (en) 2020-10-05 2021-08-27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of vehicle
CN202111042665.5A CN114379541A (zh) 2020-10-05 2021-09-07 用于控制车辆的行驶的系统和方法
DE102021209912.2A DE102021209912A1 (de) 2020-10-05 2021-09-08 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fahrt eines fahrzeu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302A KR20220045605A (ko) 2020-10-05 2020-10-05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605A true KR20220045605A (ko) 2022-04-13

Family

ID=8073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302A KR20220045605A (ko) 2020-10-05 2020-10-05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04844B2 (ko)
KR (1) KR20220045605A (ko)
CN (1) CN114379541A (ko)
DE (1) DE1020212099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120B1 (ko) 2014-11-12 202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인차량의 주차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US10684625B2 (en) 2017-08-30 2020-06-16 Robert Bosch Gmbh Automated parking for virtual parking spot
CN109598969A (zh) * 2018-08-09 2019-04-09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停车位的分配方法及装置
JP7042774B2 (ja) * 2019-06-18 2022-03-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レ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209912A1 (de) 2022-04-07
CN114379541A (zh) 2022-04-22
US20220105924A1 (en) 2022-04-07
US11904844B2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291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 enable autonomous system in vehicle
US202203799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control authority transition in vehicle
EP35528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CN108146432B (zh) 停车路径生成设备、包括其的系统及其方法
JP7149288B2 (ja) 自動運転車両のための螺旋曲線に基づく垂直駐車計画システム
EP35529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riving path to a vehicle
JP6694974B2 (ja) 衝突を回避するために電子駐車ブレーキを利用して車両にブレーキをかけ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00103464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103003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Usable Distance in Front of a Vehicle
KR20170010661A (ko)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및 그 주차 궤적 보정 방법
KR20220045605A (ko)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0957A (ko) 군집주행차량의 속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3153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e in vehicle
US11541878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689337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および自動運転制御方法
JP7329626B2 (ja) 経路生成装置、駐車支援装置、経路生成方法及び駐車支援方法
JP7122697B2 (ja) 駐車支援装置
KR20220128153A (ko) 차로 유지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0090A (ko) 차량의 주차 관리 장치 및 방법
EP4360974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17922678A (zh) 方向盘回正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US20220363244A1 (en)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20230410652A1 (en) Parking assistance method,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30095562A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6215507A (zh) 车辆智能召唤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