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557A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557A
KR20220045557A KR1020210127330A KR20210127330A KR20220045557A KR 20220045557 A KR20220045557 A KR 20220045557A KR 1020210127330 A KR1020210127330 A KR 1020210127330A KR 20210127330 A KR20210127330 A KR 20210127330A KR 20220045557 A KR20220045557 A KR 20220045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conveyor
electric
transport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나리 기무라
마사시게 이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2004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a commissioning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85Check-in, check-o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the articles being fed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적어도 1개의 물품(G)을 포함하는 물품군(Gg)마다 물품(G)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는, 반송 방향 Y를 따라 물품(G)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1)와, 물품군(Gg)마다, 폭 방향 X의 한쪽 측으로부터 반송 컨베이어(1)의 반송면 상에 물품(G)을 공급하는 물품 공급 장치(4)와, 반송 컨베이어(1) 및 물품 공급 장치(4)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물품군(Gg)에, 비전동 물품(Gs)과, 비전동 물품(Gs)보다 구르기 쉬운 전동 물품(Gc)이 포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물품 공급 장치(4)에 1개의 단위 반송 영역(E)에 1개의 물품군(Gg)에 포함되는 물품(G)을 공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먼저 전동 물품(Gc)을 반송 컨베이어(1)에 공급시키고, 그 후 비전동 물품(Gs)을 반송 컨베이어(1)에 공급시킨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물품을 포함하는 물품군마다 물품을 반송(搬送)하는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32020호 공보에는, 집적 컨베이어(2)와, 합류 라인(3)을 구비한 반송 장치(1)가 개시되어 있다(배경 기술에 있어서 괄호 내의 부호는 참조하는 문헌의 것). 집적 컨베이어(2)는, 물품(W)을 수평한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일직선형의 벨트 컨베이어다. 또한, 합류 라인(3)은, 집적 컨베이어(2)의 한쪽의 측면 측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것 같은 형태로, 집적 컨베이어(2)의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합류 라인(2)으로부터 물품(W)이 집적 컨베이어(2)에 공급되고, 집적 컨베이어(2)에 의해 물품(W)이 반송된다.
집적 컨베이어(2)에는, 반송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이웃하도록, 가로대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로대에 의해, 합류 라인(3)으로부터 집적 컨베이어(3)에 공급된 물품(W)의 반송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의 어긋남이나, 다른 합류 라인(3)으로부터 집적 컨베이어(2)에 공급된 물품(W)끼리의 접촉 등이 억제된다. 즉,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가로대와 가로대 사이가, 물품(W)의 반송 영역(Z)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에 가로대 등의 구획재를 설치함으로써, 물품의 어긋남이나 물품끼리의 접촉 등을 어느 정도는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반송 대상의 물품은 직육면체형 등, 비교적 구르기 어려운 형상인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기둥형 등의 구르기 쉬운 형상인 것도 존재한다. 그와 같은 구르기 쉬운 형상의 물품은, 컨베이어로의 공급 시에, 해당 공급을 위한 스스로의 동작이나 다른 물품과의 접촉 등에 의해, 예정하지 않는 방향으로 굴러 이동할 가능성이 있었다. 컨베이어에 구획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구획재의 형상에 따라서는, 해당 구획재를 넘어서 굴러 이동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컨베이어에 그와 같은 구획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와 같은 구르기 쉬운 형상의 물품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더욱 어려웠다.
상기 배경을 감안하여,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물품 중에 구르기 쉬운 형상의 물품이 포함되는 경우라도, 해당 물품이 컨베이어의 반송면 상에서 굴러 이동하는 것을 적게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기대된다.
상기를 감안한, 적어도 1개의 물품을 포함하는 물품군마다 상기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는,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물품군마다, 상기 폭 방향의 한쪽 측으로부터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 상에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물품 공급 장치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 및 상기 물품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군에, 외형 형상이 직육면체형인 상기 물품 및 그것보다 구르기 어려운 상기 물품인 비전동(非轉動) 물품과, 상기 비전동 물품보다 구르기 쉬운 상기 물품인 전동(轉動) 물품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에, 상기 반송면 상에 설정한 1개의 단위 반송 영역에 1개의 상기 물품군에 포함되는 상기 물품을 공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먼저 상기 전동 물품을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시키고, 그 후 상기 비전동 물품을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시킨다.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반송 컨베이어에 복수의 물품이 공급되는 경우, 물품끼리가 반송 컨베이어 상에서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비전동 물품이 먼저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되어 탑재되어 있는 상태로 전동 물품이 공급되면, 해당 공급에 의해 이동 중인 전동 물품이 비전동 물품에 접촉하여, 해당 전동 물품이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 상을 예정외의 방향으로 구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전동 물품 쪽이 먼저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되므로, 전동 물품이 비전동 물품에 접촉한 것에 의해 반송면 상을 구를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먼저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되어 탑재되어 있는 전동 물품에, 나중에 공급된 비전동 물품이 접촉할 가능성은 있지만, 이 때 전동 물품은 이미 정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전동 물품의 접촉에 의해서도 크게 이동하는 일은 적다. 또한, 비전동 물품은 전동 물품에 비하여 구르기 어려우므로, 전동 물품에 접촉해도 비전동 물품의 탑재 위치가 크게 어긋나는 것은 억제된다. 즉, 본 구성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물품 중에 구르기 쉬운 형상의 물품이 포함되는 경우라도, 상기 물품이 컨베이어의 반송면 상에서 굴러 이동하는 것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물품 반송 설비의 새로운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예시적이면서 또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 물품 반송 설비의 사시도
[도 2] 물품 반송 설비의 평면도
[도 3] 복수 단(段) 구분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물품 반송 설비의 측면도
[도 5] 물품 반송 설비의 제어 블록도
[도 6] 반송면 상의 영역 설정과 물품 반송의 각 단계(phase)에서의 반송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반송면 상의 영역 설정과 물품 반송의 각 단계에서의 반송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반송면 상의 영역 설정과 물품 반송의 각 단계에서의 반송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반송면 상의 영역 설정과 물품 반송의 각 단계에서의 반송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반송면 상의 영역 설정과 물품 반송의 각 단계에서의 반송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반송면 상의 영역 설정과 물품 반송의 각 단계에서의 반송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단위 반송 영역 및 간극 영역을 설정하는 조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단위 반송 영역의 형성 간격과 공급구의 배치 간격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전동 물품 및 비전동 물품을 포함하는 물품군을 제1 컨베이어에 공급할 때의 반송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전동 물품 및 비전동 물품을 포함하는 물품군을 제1 컨베이어에 공급할 때의 반송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 전동 물품 및 비전동 물품을 포함하는 물품군을 제1 컨베이어에 공급할 때의 반송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구분 시스템(어소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형태를 예로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물품 반송 설비는, 적어도 1개의 물품을 포함하는 물품군마다 물품을 반송하는 것이며, 반송 방향을 따라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 상에 물품을 공급하는 물품 공급 장치와, 반송 컨베이어 및 물품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PS)는, 예를 들면, 통신 판매를 행하는 사업자가 보유하는 물류 설비에 구비되고,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자동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G) 중에서 필요한 물품(G)을 구분하여 출고한다. 이 경우, 자동 창고에는, 복수의 물품(G)이 종별마다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그리고, 종별마다 용기에 수용된 복수의 물품(G)은, 자동 창고로부터 자동으로 반출되고, 도시하지 않은 물품 해체부에 있어서 개별의 물품(G)으로 분리된다. 그 후, 복수의 물품(G)의 각각이 개별로 반송된다. 그리고, 「물품(G)」에는, 예를 들면 식료품이나 생활용품 등의 각종 상품, 또는, 공장의 생산 라인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작 중인 물품 등이며, 구분 대상이 되는 물품(G)에는 다양한 것이 포함된다.
물품 반송 설비(PS)는, 복수 단 구분 장치(7)와, 복수 단 구분 장치(7)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고, 수취한 물품(G)을 상기 복수 단 구분 장치(7)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제1 방향 X를 따라 반송하는 반출(搬出) 컨베이어(8)와,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여 해당 물품(G)을 평면에서 볼 때 제1 방향 X(폭 방향)으로 교차하는(도시한 예에서는 직교하는) 제2 방향 Y(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물품 반송 설비(PS)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구분 장치(7)에 물품(G)을 반입하는 반입(搬入)장치(6)와, 이송탑재(transfer) 장치(5)를 통하여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여 반출하는 반출 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탑재 장치(5)는,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물품(G)을 수취하고, 반출 장치(9) 상에 설치된 용기(C)에 물품(G)을 자동 투입하는 자동 투입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장치(10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 제2 컨베이어(2) 및 중간 컨베이어(3)를 구비하고 있다. 광의로는 물품 반송 장치(100)가 반송 컨베이어에 상당하고, 협의로는 제1 컨베이어(1)가 반송 컨베이어에 상당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컨베이어(1)를 반송 컨베이어로서 설명한다. 또한, 반입 장치(6), 복수 단 구분 장치(7), 및 반출 컨베이어(8)는 물품 공급 장치(4)에 상당한다. 또한, 이송탑재 장치(5)는, 반송 컨베이어(제1 컨베이어(1), 물품 반송 장치(100))의 하류에 구비되고, 적어도 1개의 물품군(Gg)(도 2, 도 4, 도 6∼도 11 등)마다 물품(G)이 넘겨지는 피공급 장치에 상당한다.
반입 장치(6)는, 종별마다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자동 창고로부터 반출되고 또한, 물품 해체부에 있어서 개별로 분리된 물품(G)을, 순차적으로 복수 단 구분 장치(7)에 반입한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반입 장치(6)는 컨베이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 장치(6)는, 물품 반송 설비(PS)의 전체를 제어하는 통괄 제어 장치(Ct)를 통하여 반입 제어부(65)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반입 장치(6)로부터 반입된 물품(G)을 분류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상하 방향의 높이가 다른 복수 단의 간구(間口)(71)를 가지고, 물품(G)을 복수 단의 간구(71)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배출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복수 단 및 복수 열로 이루어지는 직교격자형 배열의 복수의 간구(71)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물품 판별부(77) 및 구분 제어부(75)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을 복수의 간구(71)를(71)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한다. 본 예에서는,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특정한 간구(71)로부터 물품(G)을 배출하여 반출 컨베이어(8)에 넘겨줌으로써, 물품(G)의 구분을 행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오더 정보란, 예를 들면 출하해야 할 물품(G)(단일 종류라도 되고, 복수 종류의 조합이라도 됨)의 종별 및 수량을 지정한 오더(피킹 오더)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각 오더에 의해 지정된 1개 이상의 물품(G)을, 오더마다 다른 간구(71)에 배출함으로써, 물품(G)의 구분을 행한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물품(G)을 판별하기 위한 물품 판별부(77)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물품(G)을 구분한다. 예를 들면, 물품 판별부(77)는, 물품(G)을 촬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이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인식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물품(G)을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품 정보를 기억하는 IC 태그나 바코드 등(기억부)이 물품(G)에 붙어 있고 또한, 물품 판별부(77)가, 상기 물품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판독부)를 구비하고, 이 리더에 의해 판독한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을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물품 반송 설비(PS)에 의한 반송 대상이 되는 물품(G)에는, 다양한 형상의 것이 포함된다. 이들 물품(G)이, 물품 반송 장치(10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예를 들면, 제1 컨베이어(1) 상에서, 구르기 어려운 형상인 경우와, 굴러 이동하기 쉬운 형상인 경우에, 취급을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물품(G)을, 외형 형상이 직육면체형인 물품(G) 및 그것보다 구르기 어려운 물품(G)인 비전동 물품(Gs)과, 비전동 물품(Gs)보다 구르기 쉬운 물품(G)인 전동 물품(Gc)으로 분류할 수 있다(도 14∼도 16 참조).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카메라에 의한 판별이나, 리더에 의해 판독한 물품 정보에 의해, 각각의 물품(G)이 비전동 물품(Gs)인지, 전동 물품(Gc)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레일(72)과, 해당 레일(72)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반송 대차(臺車)(73)를 구비하고 있다. 레일(72)은, 간구(71)가 형성되는 복수 단마다, 수평 방향(제2 방향 Y)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 대차(73)는, 레일(72)의 수평 부분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물품(G)을 제2 방향 Y로 반송한다. 또한, 레일(7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복수 단마다 배치되는 수평 부분을 접속하는 상하 부분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대차(73)는 레일(72)의 상하 부분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복수 단마다 배치되는 수평 부분의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반송 대차(73)의 수는, 간구(71)가 형성되는 단수(段數)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간구(71)가 형성되는 단수보다 적은 대수나 많은 대수의 반송 대차(73)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8단의 간구(71)에 대하여 8대의 반송 대차(73)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대차(73)의 각각은, 물품(G)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해당 물품(G)을 간구(71)에부터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74)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컨베이어(74)는, 반송 대차(73)의 주행 경로로부터 제1 방향 X로 물품(G)을 이동시킨다. 구분 제어부(75)는, 이 반송 대차(73)나 배출 컨베이어(74)를 구동 제어한다.
반출 컨베이어(8)는, 복수 단 구분 장치(7)에 의해 구분된 물품(G)을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8)는 반출 컨베이어 제어부(85)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출 컨베이어(8)는, 복수 단의 간구(71)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복수 단 구분 장치(7)에 의해 간구(71)에부터 배출된 물품(G)을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고 또한, 해당 저장한 물품(G)을 제1 방향 X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출 컨베이어(8)가, 복수 단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 열의 간구(71)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2 방향 Y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8)는, 오더마다 복수의 물품(G)의 집합인 물품군(Gg) 단위로 물품(G)을 반송하고, 물품 반송 장치(100)의 제1 컨베이어(1)에 배출한다. 1개의 물품군(Gg)을 구성하는 물품(G)의 수는, 오더마다 상이하다. 예를 들면, 오더에 따라서는, 1개의 물품(G)에 의해 1개의 물품군(Gg)이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8)를 포함하는 물품 공급 장치(4)는, 평면에서 볼 때 반송 방향(제2 방향 Y)에 직교하는 폭 방향(제1 방향 X)의 한쪽 측으로부터, 물품군(Gg)마다,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 상에 물품(G)을 공급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제1 컨베이어(1)에 물품(G)을 공급하는 공급구(81)는, 제2 방향 Y를 따라 배열하도록 복수 구비되어 있다.
물품 반송 장치(100)는 물품(G)을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물품 반송 장치(100)는, 물품 반송 설비(PS)에 있어서,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배출된 물품(G)(물품군(Gg))을 반송 방향(제2 방향 Y)을 따라 반송하고, 이송탑재 장치(5)를 통하여 반출 장치(9)에 넘겨준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장치(100)는, 각각 물품(G)을 반송하는 제1 컨베이어(1)와 제2 컨베이어(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물품 반송 장치(100)는, 제2 방향 Y에 있어서 제1 컨베이어(1)와 제2 컨베이어(2) 사이에 배치된 중간 컨베이어(3)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제1 컨베이어(1), 제2 컨베이어(2), 중간 컨베이어(3)는, 통괄 제어 장치(Ct)를 통하여, 각각 제1 컨베이어 제어부(15), 제2 컨베이어 제어부(25), 중간 컨베이어 제어부(35)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는, 풀리와 해당 풀리에 권회된 벨트를 가지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며, 벨트의 상면에 제1 반송면(F1)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는, 제1 컨베이어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풀리를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구동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1)는, 제1 반송면(F1)에 대하여 제1 방향 X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측벽부(S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측벽부(S1)는, 제1 반송면(F1)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여, 제2 방향 Y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제1 측벽부(S1)에 의해, 제1 반송면(F1) 상을 반송되고 있는 물품(G)이 제1 반송면(F1)으로부터 제1 방향 X의 외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측벽부(S1)에 의해, 제1 반송면(F1) 상을 반송되고 있는 물품(G)을 제2 방향 Y(반송 방향)으로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측벽부(S1)도, 컨베이어로서 구성되어 있고, 물품(G)은, 제1 반송면(F1) 및 제1 측벽부(S1)의 양쪽에 의해, 제2 방향 Y(반송 방향)를 따라 반송된다.
도 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는, 제1 반송면(F1)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11)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기구(11)도, 제1 컨베이어 제어부(15)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승강 기구(11)에 의해 제1 컨베이어(1)가 승강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에 걸쳐 설치된 반출 컨베이어(8)의 각각에 대응한 높이에 제1 반송면(F1)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컨베이어(1)는, 복수 단의 어느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도 물품(G)을 수취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기구(11)는, 제1 반송면 지지부(1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트(111)와, 제1 반송면 지지부(10)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컨베이어(2)는, 제1 컨베이어(1)보다 반송 방향 하류 측(제2 방향 제1 측 Y1)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컨베이어(2)는, 제1 반송면(F1)에 대하여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또한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면과, 제1 컨베이어(1)와는 독립적으로 해당 반송면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컨베이어(1)와 마찬가지로, 제2 컨베이어(2)는, 풀리와 해당 풀리에 권회된 벨트를 가지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며, 벨트의 상면에 반송면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는, 제2 컨베이어 제어부(25)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풀리를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중간 컨베이어(3)는, 제1 컨베이어(1)와 제2 컨베이어(2) 사이, 즉 제1 컨베이어(1)보다 반송 방향 하류 측(제2 방향 제1 측 Y1) 또한 제2 컨베이어(2)보다 반송 방향 상류 측(제2 방향 제2 측 Y2)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3)는, 제1 반송면(F1) 및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에 대하여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또한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면과, 제1 컨베이어(1) 및 제2 컨베이어(2)와는 독립적으로 해당 반송면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컨베이어(1) 및 제2 컨베이어(2)와 마찬가지로, 중간 컨베이어(3)는, 풀리와 해당 풀리에 권회된 벨트를 가지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며, 벨트의 상면에 반송면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는, 중간 컨베이어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풀리를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구동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은,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가 경사져 있다(예를 들면, 10°∼20°). 이에 의해, 제1 컨베이어(1)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G)을, 제1 반송면(F1) 상에 있어서 제1 측벽부(S1) 측에 가까이 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제1 반송면(F1)의 수평면에 대한 제2 방향 Y의 각도는 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은, 상하 방향에서의 높이가 제1 반송면(F1)보다 낮고,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가 제1 반송면(F1)의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0°)이다. 즉,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은, 수평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물품(G)을 수평면을 따라 반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컨베이어(2)보다 반송 방향의 하류 측(제2 방향 제1 측 Y1)에, 오더마다의 물품군(Gg)단위로 물품(G)을 반출 장치(9)에 투입하기 위한 이송탑재 장치(5)(자동 투입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의 수평면에 대한 제2 방향 Y의 각도는 0°로 설정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3)의 반송면은, 제1 반송면(F1)과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과 상하 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가 제1 반송면(F1)의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와,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의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 사이의 중간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물품(G)이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 있어서 반송면으로부터 반송면으로 이동할 때의 상하 방향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물품 반송 장치(100)에 의하면,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경사 각도, 및 상하 방향에서의 높이가 서로 다른 반송면을 가지는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를 물품이 이동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중간 컨베이어(3)의 반송면의 수평면에 대한 제2 방향 Y의 각도는 0°로 설정되어 있다.
이송탑재 장치(5)는,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물품(G)이 공급되는 투입구(56)가 제2 방향 제2 측 Y2에 형성되고 또한, 바닥부가 개방된 상자형의 본체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탑재 장치(5)는, 물품 반송 장치(100)보다 아래쪽에 설치된 반출 장치(9)의 위쪽에 본체부(50)의 바닥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반출 장치(9)는, 복수 단 구분 장치(7)에 의해 구분된 물품군(Gg) 단위로, 물품(G)을 수용하는 용기(C)를 반송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탑재 장치(5)보다 제2 방향 제2 측 Y2로부터 빈 용기(C)가 순차적으로, 제2 방향 제1 측 Y1을 향하여 반송되고, 이송탑재 장치(5)의 아래쪽에서 물품(G)이 용기(C)에 수용된다. 그리고, 이송탑재 장치(5)보다 제2 방향 제1 측 Y1을 향하여 물품군(Gg) 단위로 물품(G)이 수용된 용기(C)가 반송된다.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송탑재 장치(5)는,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반출 장치(9) 상의 용기(C)에 물품(G)을 이송탑재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이송탑재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송탑재 기구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탑재 제어부(55)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물품 반송 장치(100)에 의한 물품(G)의 반송, 및 이송탑재 장치(5)에 의한 물품(G)의 이송탑재와 동기하도록, 용기(C)를 반송하는 반출 장치(9)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 제어부(95)에 의해 제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 공급 장치(4)에 의해 구분되어 공급된 물품군(Gg)마다 반송하여, 피공급 장치로서의 이송탑재 장치(5)를 통하여 반출 장치(9)에 제공함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 장치(100)(특히 제1 컨베이어(1))에 있어서, 다른 물품군(Gg)에 속하는 물품(G)이 혼합되는 일 없이, 반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대응으로서,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에 가로대 등의 구획재를 설치하여 제1 반송면(F1)을 물리적으로 구획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제1 반송면(F1)에 장착한 구획재를 이동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용이하지 않고, 구획이 고정화되므로, 반송 대상의 물품(G)에 따른 유연한 반송의 방해가 되어, 반송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획재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제1 반송면(F1)상에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적절하게 물품(G)을 반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컨베이어(1) 및 물품 공급 장치(4)를 제어하는 통괄 제어 장치(Ct)는, 제1 반송면(F1) 상을 반송 방향(제2 방향 Y)으로 구분한 단위 반송 영역(E)과,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반송 영역(E) 사이에 낀 간극 영역(B)을, 제1 반송면(F1) 상에 설정한다. 그리고, 통괄 제어 장치(Ct)는 물품 공급 장치(4)에, 1개의 단위 반송 영역(E)에 1개의 물품군(Gg)에 포함되는 물품(G)을 공급시킨다. 단위 반송 영역(E)을 설정함으로써, 물품군(Gg)마다에 각각의 단위 반송 영역(E)에 물품(G)을 탑재하여 적절하게 물품(G)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위 반송 영역(E) 사이에는, 간극 영역(B)이 설정되므로, 다른 물품군(Gg)에 포함되는 물품(G)끼리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 6∼도 11은, 제1 반송면(F1) 상의 영역 설정과 물품 반송의 각 단계에서의 반송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반송 영역(E) 및 간극 영역(B)이 제1 반송면(F1) 상에 설정된 제1 컨베이어(1)에 대하여, 단위 반송 영역(E)의 반송 방향에서의 중앙부(Ec)를 목표로 하여, 물품 공급 장치(4)로부터 물품(G)이 공급된다. 이 때, 제1 컨베이어(1)는 제1 속도 V1로 이동하고 있거나, 또는, 정지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괄 제어 장치(Ct)는, 제1 컨베이어(1)에 의한 제2 방향 Y로의 물품(G)의 반송을 행하게 하면서, 물품 공급 장치(4)에 물품(G)을 공급시킨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 공급 장치(4)를 구성하는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제1 컨베이어(1)에 물품(G)을 공급하는 공급구(81)는, 제2 방향 Y를 따라 복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개소의 공급구(81)를 사용하여, 복수 개소의 단위 반송 영역(E)에 병행하여 물품(G)이 공급되어도 된다. 당연히, 통괄 제어 장치(Ct)는, 어느 공급구(81)로부터 물품(G)을 공급하는 경우에, 물품(G)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단위 반송 영역(E)에 물품(G)을 공급시킨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예시한 형태에서는, 통괄 제어 장치(Ct)는, 단위 반송 영역(E)의 제2 방향 Y에서의 중앙부(Ec)를 목표로 하여, 반출 컨베이어(8)에 물품(G)을 공급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물품(G)을 단위 반송 영역(E)에 내에 적절하게 탑재시킬 수 있다. 다만, 단위 반송 영역(E) 내에 물품(G)이 탑재 가능하면, 중앙부(Ec)로부터 벗어난 개소를 목표로 하여 물품(G)이 공급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단위 반송 영역(E) 및 간극 영역(B)이 형성되고, 단위 반송 영역(E)에 물품(G)이 공급되면, 통괄 제어 장치(Ct)는, 제1 컨베이어(1)에 의한 물품(G)의 반송을 정지시키고,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을 중간 컨베이어(3)의 반송면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마지막으로 물품(G)을 공급한 공급구(81)가 중간 컨베이어(3)의 반송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컨베이어(1)를 상승시키고, 마지막으로 물품(G)을 공급한 공급구(81)가 중간 컨베이어(3)의 반송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컨베이어(1)를 하강시킨다. 도 9는,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이, 중간 컨베이어(3) 및 제2 컨베이어(2)를 통하여 이송탑재 장치(5)에 물품(G)을 반송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통괄 제어 장치(Ct)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속도 V1보다 빠른 제2 속도 V2로 제1 컨베이어(1)를 구동시키고 또한, 제1 컨베이어(1) 이상의 속도로, 중간 컨베이어(3) 및 제2 컨베이어(2)를 구동시킨다. 이 때, 통괄 제어 장치(Ct)는, 1개의 단위 반송 영역(E)과 1개의 간극 영역(B)을 합한 영역에 상당하는 1윈도우의 길이만큼, 제2 방향 제1 측 Y1에 제1 컨베이어(1)를 이동시키고, 이동 후에 제1 컨베이어(1)를 일시 정지시킨다(도 11). 도 9 및 도 11은, 제1 컨베이어(1)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제1 컨베이어(1)가 제2 속도 V2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 개소의 단위 반송 영역(E)에 물품(G)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 도 10과 도 11을 반복함으로써, 이송탑재 장치(5)를 통하여,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반출 장치(9)에 물품(G)이 받아 건네어진다. 즉, 통괄 제어 장치(Ct)는, 단위 반송 영역(E)마다, 제1 컨베이어(1)에 제2 방향 Y로의 구동과 정지를 반복함으로써, 제1 컨베이어(1)(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피공급 장치로서의 이송탑재 장치(5)에 물품(G)을 넘겨준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형태에서는, 1개의 물품군(Gg)을 구성하는 복수의 물품(G)이, 공통되는 1개의 공급구(81)로부터 1개의 단위 반송 영역(E)에 공급되는 예를 제시했다. 그러나, 1개의 물품군(Gg)을 구성하는 복수의 물품(G)은, 다른 복수의 공급구(81)로부터 1개의 단위 반송 영역(E)에 공급되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속도 V2는 제1 속도 V1보다 빠른 속도이다. 제1 속도 V1은, 반출 컨베이어(8)(물품 공급 장치(4))로부터 제1 컨베이어(1)에 물품(G)이 공급될 때의 속도이다. 즉, 제1 속도 V1은, 물품 공급 장치(4)에 의한 물품(G)의 공급 중인 속도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제2 속도 V2는, 제1 컨베이어(1)에 물품(G)이 공급된 후의 속도이며, 제2 속도 V2는 물품(G)의 비공급 중인 속도이다. 즉, 통괄 제어 장치(Ct)는, 물품 공급 장치(4)에 의한 물품(G)의 공급 중은, 물품(G)의 비공급 중에 비하여, 제1 컨베이어(1)의 제2 방향 Y로의 반송 속도를 저하시킨다. 이에 의해, 물품 공급 장치(4)에 의한 물품(G)의 공급 중에서의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 상에서의 물품(G)의 구름이나 미끄러짐 등에 의한 이동을 적게 억제하고, 적절하게 단위 반송 영역(E) 내에 물품(G)을 탑재시켜 물품(G)을 반송할 수 있다. 당연히, 제2 속도 V2가,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 상에서의 물품(G)의 구름이나 미끄러짐 등에 의한 이동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저속인 경우에는, 제1 속도 V1과 제2 속도 V2가 같아도 된다.
그리고, 단위 반송 영역(E) 및 간극 영역(B)에 의해 구성되는 윈도우의 제2 방향 Y의 길이는, 고정이 아니고 가변이면 된다. 이 때, 단위 반송 영역(E) 및 간극 영역(B) 중 적어도 한쪽의 제2 방향 Y의 길이가 가변이라면, 윈도우의 제2 방향 Y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어느 것을 가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단위 반송 영역(E)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반송 대상의 물품(G), 혹은 물품군(Gg)에 따라 유연하게 윈도우의 제2 방향 Y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괄 제어 장치(Ct)는, 단위 반송 영역(E)의 제2 방향 Y의 길이를, 물품군(Gg)에 포함되는 물품(G)의 크기에 따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물품(G)의 크기에 따라 단위 반송 영역(E)의 반송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면, 단위 반송 영역(E) 내에 적절하게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물품(G)을 반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반송 영역(E)에 대하여 물품(G)의 크기가 너무 크면, 물품(G)이 단위 반송 영역(E)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인접하는 단위 반송 영역(E)에 탑재되는 물품(G)과 간섭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또한, 단위 반송 영역(E)에 대하여 물품(G)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단위 반송 영역(E)에 쓸데없는 공간이 생겨, 반송 효율을 저하시킨다. 단위 반송 영역(E)이 물품(G)의 크기에 따라 가변 설정되는 것에 의해, 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예를 들면, 통괄 제어 장치(Ct)는, 단위 반송 영역(E)의 제2 방향 Y의 길이를, 제1 컨베이어(1)에 의한 물품(G)의 반송 속도에 따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속도에 따라 단위 반송 영역(E)의 제2 방향 Y의 길이가 설정되면 제1 컨베이어(1)를 움직이면서, 적절하게 단위 반송 영역(E) 내에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물품(G)을 반송할 수 있다.
당연히, 통괄 제어 장치(Ct)는, 단위 반송 영역(E)의 제2 방향 Y의 길이를, 물품군(Gg)에 포함되는 물품(G)의 크기, 및 제1 컨베이어(1)에 의한 물품(G)의 반송 속도의 양쪽에 따라 가변 설정해도 된다. 또한, 당연히, 단위 반송 영역(E)의 제2 방향 Y의 길이는, 물품군(Gg)에 포함되는 물품(G)의 크기, 및 제1 컨베이어(1)에 의한 물품(G)의 반송 속도 이외의 조건에 기초하여 가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반송 효율의 향상은 예상할 수 없지만, 단위 반송 영역(E)의 제2 방향 Y의 길이가 가변이 아니고, 고정값인 것을 방해하는 것도 아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단위 반송 영역(E) 및 간극 영역(B)의 제2 방향 Y의 길이를 설정하는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위 반송 영역(E)의 제2 방향 Y의 길이는, 예를 들면 공급되는 물품군(Gg)에 포함되는 물품(G)의 크기와, 물품군(Gg)에 복수의 물품(G)이 포함되는 경우에서의 해당 복수의 물품(G)의 제2 방향 Y에서의 확산량과, 제1 컨베이어(1)의 반송 속도 변경에 의한 물품(G)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해당 확산량 및 해당 이동량은, 제1 컨베이어(1)에 의한 물품(G)의 반송 속도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해당 확산량에 기초하여 단위 반송 영역(E)를 설정하는 것, 및 해당 이동량에 기초하여 단위 반송 영역(E)를 설정하는 것은, 제1 컨베이어(1)에 의한 물품(G)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단위 반송 영역(E)을 설정하는 것에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 반송 영역(E)에는, 반송 대상의 물품(G)이 적절하게 들어가고, 제1 반송면(F1) 상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단위 반송 영역(E)의 제2 방향 Y의 길이의 설정 조건에 물품(G)의 크기가 포함되면, 단위 반송 영역(E) 내에 적절하게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물품(G)을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반송 영역(E)에는, 물품(G)의 크기에 기초하는 제1 반송 영역(Ye1)이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물품(G)이 제1 반송면(F1) 상에 공급된 후의 자세(방향 등)이 정해져 있거나, 또는 예상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공급 후의 자세에서의 물품(G)의 제2 방향 Y의 치수를, 여기에서의 「물품(G)의 크기」로서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물품(G)의 크기」로서 물품(G)의 최대 치수(가장 길이가 큰 부분의 치수)를 사용해도 바람직하다. 물품(G)의 최대 치수를 사용하는 구성은, 물품(G)의 제1 반송면(F1) 상으로의 공급 후의 자세를 예상할 수 없는 경우 등에 특히 적합하다. 혹은, 「물품(G)의 크기」로서 물품(G)의 체적을 사용해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품군(Gg)에 복수의 물품(G)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의 어느 쪽인가의 「물품(G)의 크기」를, 복수의 물품(G)에 대하여 합계한 것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물품군(Gg)에 복수의 물품(G)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도 7 및 도 8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공급 장치(4)로부터 제1 컨베이어(1)로의 물품(G)의 공급에 있어서, 물품(G)이 제2 방향 Y로 확산되어 탑재된다. 단위 반송 영역(E)의 설정 조건에, 복수의 물품(G)의 제2 방향 Y에서의 확산량이 포함됨으로써, 단위 반송 영역(E) 내에 적절하게 복수의 물품(G)을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반송 영역(E)에는, 복수의 물품(G)의 확산량에 기초한 제2 반송 영역(Ye2)이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반송 영역(Ye2)은, 제1 반송 영역(Ye1)에 대하여 제2 방향 제1 측 Y1(반송 방향 하류 측)과, 제2 방향 제2 측 Y2(반송 방향 상류 측)의 2개소로 나뉘어 설정된다. 복수의 물품(G)의 제2 방향 Y에서의 확산량은, 제1 컨베이어(1)에 의한 물품(G)의 반송 속도, 각 물품(G)의 형상, 각 물품(G)의 중량 등의 지표에 기초하여 예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괄 제어 장치(Ct)는, 이들 지표와 확산량의 관계를 정한 확산량 맵을 참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괄 제어 장치(Ct)는, 물품 판별부(77) 등에 의해 취득한 물품 정보나 제1 컨베이어(1)의 제어 상태의 정보 등에 기초하여, 확산량 맵을 참조하고, 복수의 물품(G)의 제2 방향 Y에서의 확산량을 구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1)의 반송 속도에는, 예를 들면, 다른 속도인 제1 속도 V1과 제2 속도 V2가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9∼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탑재 장치(5)를 통하여,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반출 장치(9)에 물품(G)을 받아 건넬 때는, 제1 컨베이어(1)가 정지와 반송을 반복한다. 제1 속도 V1과 제2 속도 V2 사이나, 정지와 반송 사이에서는, 제1 컨베이어(1)가 감속하거나, 가속화하거나 한다. 이 때, 제1 컨베이어(1) 상에 탑재된 물품(G)에는 관성력이 작용하고,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 상을 물품(G)이 구르거나 미끄러지거나 하여 탑재 위치가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단위 반송 영역(E)의 설정 조건에 제1 컨베이어(1)의 반송 속도 변경에 의한 물품(G)의 이동량이 포함됨으로써, 물품(G)의 탑재 위치가 벗어난 경우라도 단위 반송 영역(E) 내에 적절하게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물품(G)을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반송 영역(E)에는, 반송 속도 변경에 의한 물품(G)의 이동량에 기초하는 제3 반송 영역(Ye3)이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반송 영역(Ye2)과 마찬가지로 제3 반송 영역(Ye3)도, 제1 반송 영역(Ye1)에 대하여 제2 방향 제1 측 Y1(반송 방향 하류 측)과, 제2 방향 제2 측 Y2(반송 방향 상류 측)의 2개소로 나뉘어 설정된다. 제1 컨베이어(1)의 반송 속도 변경에 의한 물품(G)의 이동량은, 해당 반송 속도의 변화 중의 가속도, 각 물품(G)의 형상, 각 물품(G)의 중량등의 지표에 기초하여 예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괄 제어 장치(Ct)는, 이들 지표와 이동량의 관계를 정한 이동량 맵을 참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괄 제어 장치(Ct)는, 물품 판별부(77) 등에 의해 취득한 물품 정보나 제1 컨베이어(1)의 제어 상태의 정보 등에 기초하여, 이동량 맵을 참조하고, 제1 컨베이어(1)의 반송 속도 변경에 의한 물품(G)의 이동량을 구한다.
그리고, 단위 반송 영역(E)에는, 제1 반송 영역(Ye1), 제2 반송 영역(Ye2), 제3 반송 영역(Ye3) 모두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단위 반송 영역(E)에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간극 영역(B)의 제2 방향 Y의 길이는, 예를 들면 제1 컨베이어(1)를 감속시킬 때 제1 컨베이어(1)가 이동하는 감속 거리와, 제어 지연에 의해 제1 컨베이어(1)가 이동하는 공주(空走) 거리와, 제1 컨베이어(1)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인코더 등의 센서의 오차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괄 제어 장치(Ct)는 단위 반송 영역(E)마다, 제1 컨베이어(1)에 제2 방향 Y로의 구동과 정지를 반복함으로써, 제1 컨베이어(1)(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피공급 장치로서의 이송탑재 장치(5)에 물품(G)을 넘겨준다. 제1 컨베이어(1)가 감속할 때도 제1 컨베이어(1)는 이동하므로, 간극 영역(B)에는, 감속 거리에 기초하는 제1 간극 영역(Yb1)이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당연히, 감속 거리를 제1 간극 영역(Yb1)의 제2 방향 Y의 길이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감속 거리는, 제1 컨베이어(1)를 감속시킬 때의 가속도와 감속 전의 속도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통괄 제어 장치(Ct) 혹은 제1 컨베이어 제어부(15)가 감속을 지령해도, 실제로 제1 컨베이어(1)가 감속하기 시작할 때까지는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 이 제어 지연의 기간, 제1 컨베이어(1)는 감속하지 않고 이동한다. 따라서, 공주 거리에 기초하는 제2 간극 영역(Yb2)이 간극 영역(B)에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제1 간극 영역(Yb1)과 마찬가지로, 공주 거리를 제2 간극 영역(Yb2)의 제2 방향 Y의 길이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제어 지연의 기간의 길이는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공주 거리는, 제1 컨베이어(1)의 감속 전의 속도와 제어 지연의 기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베이어(1)는, 제1 컨베이어(1)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예를 들면 인코더 등의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피드백 제어되고 있다. 이 센서의 오차는, 제1 컨베이어(1)의 이동량의 오차에 연결된다. 따라서, 간극 영역(B)에는, 제1 컨베이어(1)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센서의 오차에 기초하는 제3 간극 영역(Yb3)이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센서의 오차는, 해당 센서의 사양으로부터 구하거나, 또는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제1 컨베이어(1)에 물품(G)을 공급하는 공급구(81)는, 제2 방향 Y를 따라 복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개소의 공급구(81)를 사용하여, 복수 개소의 단위 반송 영역(E)에 병행하여 물품(G)이 공급되어도 된다. 이 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단위 반송 영역(E)와 1개의 간극 영역(B)에 의해 구성되는 1개의 윈도우가 형성되는 제2 방향 Y의 간격인 제1 간격 P1과, 각각의 단위 반송 영역(E)에 물품(G)을 공급하는 공급구(81)의 제2 방향 Y의 배치 간격인 제2 간격 P2를 일치시키면 된다. 제1 간격 P1과 제2 간격 P2가 일치하고 있으면, 효율적으로 물품 공급 장치(4)로부터 제1 컨베이어(1)에 물품(G)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간극 영역(B)의 제2 방향 Y의 길이가 고정값인 경우에는, 1개의 윈도우가 형성되는 제2 방향 Y의 간격은, 단위 반송 영역(E)의 제2 방향 Y의 간격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 간격 P1은, 단위 반송 영역(E)이 설정되는 제2 방향 Y의 간격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간격 P1이 모두 같으며, 제2 간격 P2가 모두 동일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단위 반송 영역(E)이 가변일 경우에는, 제1 간격 P1은 다른 간격으로 된다. 이 경우에는, 다른 제1 간격 P1에 따라, 제2 간격 P2도 다르게 함으로써, 제1 간격 P1과 제2 간격 P2을 동기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 반송 영역(E) 및 간극 영역(B)이 설정됨으로써, 인접하는 단위 반송 영역(E) 내에 탑재될 물품군(Gg)이 서로 섞이는 일 없이, 적절하게 제1 컨베이어(1)에 의해 반송되고, 물품군(Gg)마다 적절하게 이송탑재 장치(5)에 물품(G)이 넘겨진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 대상이 되는 물품(G)을, 외형 형상이 직육면체형인 물품(G) 및 그것보다 구르기 어려운 물품(G)인 비전동 물품(Gs)과, 비전동 물품(Gs)보다 구르기 쉬운 물품(G)인 전동 물품(Gc)으로 분류할 수 있다(도 14∼도 16 참조). 물품 공급 장치(4)로부터 제1 컨베이어(1)에 복수의 물품(G)이 공급되는 경우, 물품(G)끼리가 제1 컨베이어 상에 있어서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비전동 물품(Gs)이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어 탑재되어 있는 상태로 전동 물품(Gc)이 공급되면, 해당 공급에 의해 이동 중인 전동 물품(Gc)이 비전동 물품(Gs)에 접촉하여, 해당 전동 물품(Gc)이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 상을 예정외의 방향으로 구를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통괄 제어 장치(Ct)는, 물품군(Gg)에 전동 물품(Gc)과 비전동 물품(Gs)이 포함되고, 제1 반송면(F1) 상에 설정한 1개의 단위 반송 영역(E)에 1개의 물품군(Gg)에 포함되는 물품(G)을 공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물품(G)의 공급 순서를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통괄 제어 장치(Ct)는, 물품 공급 장치(4)에 대하여, 먼저 전동 물품(Gc)을 제1 컨베이어(1)에 공급시키고, 그 후 비전동 물품(Gs)을 제1 컨베이어(1)에 공급시킨다.
이와 같이, 전동 물품(Gc) 쪽이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됨으로써, 전동 물품(Gc)이 비전동 물품(Gs)에 접촉한 것에 의해 제1 반송면(F1) 상을 구를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어 탑재되어 있는 전동 물품(Gc)에, 나중에 공급된 비전동 물품(Gs)이 접촉할 가능성은 있지만, 이 때 전동 물품은 이미 정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전동 물품의 접촉에 의해서도 크게 이동하는 일은 적다. 또한, 비전동 물품(Gs)은 전동 물품(Gc)에 비하여 구르기 어려우므로, 전동 물품에 접촉해도 비전동 물품(Gs)의 탑재 위치가 크게 어긋나는 것은 억제된다.
그리고, 전동 물품(Gc)은 예를 들면 원기둥형, 구형, 원뿔형, 육각기둥 이상의 다각기둥형, 십면체 이상의 다면체형, 육각뿔 이상의 다각뿔형을 포함한다. 이들 형상의 물품(G)은 비교적 구르기 쉬우므로, 전동 물품(Gc)으로서 취급함으로써,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된 경우에, 크게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4∼도 16은, 전동 물품(Gc) 및 비전동 물품(Gs)을 포함하는 물품군(Gg)을 제1 컨베이어(1)에 공급할 때의 반송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제1 반송면(F1) 상의 영역 설정과 물품 반송의 각 단계에서의 반송 상태를 나타내는 도 6과 동일한 단계를 나타내고, 도 16은, 도 7과 동일한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통괄 제어 장치(Ct)는, 전동 물품(Gc)이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도록, 물품 공급 장치(4)(복수 단 구분 장치(7) 및 반출 컨베이어(8))를 제어하여, 반출 컨베이어(8)에서의 물품(G)의 배열 순서를 규정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공급 장치(4)에 있어서, 전동 물품(Gc)는 가장 제1 컨베이어(1) 측에 배치되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제1 컨베이어(1)에 물품군(Gg)이 공급될 때는, 비전동 물품(Gs)보다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1개의 물품군(Gg)을 구성하는 복수의 물품(G)은, 다른 복수의 공급구(81)로부터 1개의 단위 반송 영역(E)에 공급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물품(Gc)이 배치된 반출 컨베이어(8)와, 비전동 물품(Gs)이 배치된 반출 컨베이어(8)가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이들 복수의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공통되는 1개의 단위 반송 영역(E)에 물품(G)이 공급되어도 된다. 이 경우, 사용하는 반출 컨베이어(8)의 수는 증가하지만, 1개의 반출 컨베이어(8)에 있어서 물품(G)의 배열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물품 공급 장치(4)에서의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즉, 복수의 물품 공급 장치(4) 중, 전동 물품(Gc)을 유지하고 있는 물품 공급 장치(4)로부터 먼저 단위 반송 영역(E)에 물품(G)을 공급하고, 그 후, 비전동 물품(Gs)을 유지하고 있는 물품 공급 장치(4)로부터 동일한 단위 반송 영역(E)에 물품(G)을 공급하도록, 제어를 행하면 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6에 예시하는 형태에 있어서도, 통괄 제어 장치(Ct)는, 제1 컨베이어에(1)에 의한 제2 방향 Y로의 물품(G)의 반송을 행하게 하면서, 물품 공급 장치(4)에 물품(G)을 공급시키고 있다. 제1 컨베이어(1)를 구동하면서 물품(G)을 제1 컨베이어(1)에 공급함으로써, 물품 공급 장치(4)로부터 먼저 공급되는 물품(G)과, 나중에 공급되는 물품(G)이 반송 방향(제2 방향 Y)에 벗어난 위치에 공급되게 되므로, 이들이 접촉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따라서, 물품(G)끼리의 접촉에 의해 전동 물품(Gc)이 구르는 것도 억제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물품군(Gg)을 제1 컨베이어(1)에서의 제2 방향 Y의 다른 위치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전동 물품(Gc)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제2 방향 제2 측 Y2)에 별도의 물품군(Gg)의 비전동 물품(Gs)이 존재하고, 전동 물품(Gc)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제2 방향 제1 측 Y1)에 동일한 물품군(Gg)의 비전동 물품(Gs)이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즉, 전동 물품(Gc)에 대하여 반송 방향의 양측에 비전동 물품(Gs)이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전동 물품(Gc)이 굴러가서 반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라도, 그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당연히, 정지하고 있는 제1 컨베이어(1)에 대하여 물품 공급 장치(4)로부터 물품(G)이 공급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괄 제어 장치(Ct)는, 전동 물품(Gc)이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도록, 물품 공급 장치(4)(복수 단 구분 장치(7) 및 반출 컨베이어(8))를 제어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을 복수의 간구(71)에 구분하고 있다. 오더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물품군(Gg)에, 전동 물품(Gc)과 비전동 물품(Gs)이 포함되는 경우, 전동 물품(Gc)으로부터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도록 공급 순서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비전동 물품(Gs)과 전동 물품(Gc)이 동일한 물품군(Gg)에 포함되어 있어도, 제1 컨베이어(1)로의 물품 공급 시에, 전동 물품(Gc)이 비전동 물품(Gs)에 접촉한 것에 의해 제1 컨베이어(1) 상에서 구르는 것이 억제된다. 반송 중의 문제점이 저감되므로, 1개의 오더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물품군(Gg)에, 전동 물품(Gc)과 비전동 물품(Gs)을 혼재시키기 쉬워지고, 물품 반송 설비(PS)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는, 오더 정보에는, 출하해야 할 물품(G)의 종별이나 수량의 정보가 포함된다고 설명하였으나, 또한, 오더 정보에 물품(G)의 속성(물품(G)이 전동 물품(Gc)인지 비전동 물품(Gs)인지)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오더 정보에 이와 같은 물품(G)의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물품 공급 장치(4)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이 전동 물품(Gc)인지 비전동 물품(Gs)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군(Gg)에 전동 물품(Gc)이 포함되는 여부를 사전에 판정할 수 있으므로, 물품군(Gg)에 포함되는 복수의 물품(G)을 제1 컨베이어(1)에 공급하는 순서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전동 물품(Gc)을 포함하는 물품군(Gg)을 적절한 순서로 컨베이어에 공급할 수 있다.
당연히, 오더 정보에 그와 같은 속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카메라에 의한 판별이나, 리더에 의해 판독한 물품 정보에 의해, 각각의 물품(G)이 비전동 물품(Gs)인지, 전동 물품(Gc)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전동 물품(Gc)으로부터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도록, 반출 컨베이어(8)에 물품(G)을 배출해도 된다.
그런데, 전동 물품(Gc)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구르기 쉬운 물품(G)과, 상대적으로 구르기 어려운 물품(G)이 있다. 발명자들에 의한 실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원뿔 형상의 용기와, 페트병 등의 원기둥형 용기에서는, 원기둥형 용기 쪽이 구르기 쉬운 것이 판명되고 있다. 그러므로, 통괄 제어 장치(Ct)는, 상대적으로 구르기 쉬운 전동 물품(Gc)을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시키면 된다. 즉, 통괄 제어 장치(Ct)는, 상대적으로 구르기 쉬운 전동 물품(Gc)이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도록, 물품 공급 장치(4)(복수 단 구분 장치(7) 및 반출 컨베이어(8))를 제어하면 된다.
전동 물품(Gc) 중에서의 상대적인 구르기 용이함은, 실험에 의해 사전에 지표화해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오더 정보에 포함되는 속성 정보에는, 전동 물품(Gc)인지 비전동 물품(Gs)인지를 구별하는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전동 물품(Gc)일 경우의 구르기 용이함 지표(전동 지표로 칭해도 됨)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장 구르기 쉬운 물품(G)의 구르기 용이함 지표를 변역(變域) 중에서 가장 큰 수치("10"이나 "100" 등이나, 16진수에서의 "F(10진수로 "15": 이하 동일)", "7F(127)", "FF(255)" 등이어도 됨)로 하고, 가장 구르기 어려운 물품(G)의 구르기 용이함 지표를 변역 중에서 가장 작은 수치(예를 들면, "0")로 할 수 있다. 이 때, 비전동 물품(Gs)에도 구르기 용이함 지표를 부여하고, 그 값을 "0"으로 하면, 속성 정보에, 전동 물품(Gc)인지 비전동 물품(Gs)인지를 구별하는 정보를 별도 설정할 필요는 없다.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을 복수의 간구(71)에 구분하는 복수 단 구분 장치(7)는, 구르기 용이함 지표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구르기 쉬운 전동 물품(Gc)으로부터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도록 공급 순서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구르기 용이함이 상이한 전동 물품(Gc)이 동일한 물품군(Gg)에 포함되어 있어도, 제1 컨베이어(1)로의 물품 공급 시에, 보다 구르기 쉬운 전동 물품(Gc)이 제1 컨베이어(1) 상에서 구를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물품(Gc)은, 개개의 전동 물품(Gc)의 구르기 용이함뿐만 아니라, 직전에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된 물품(G)과의 관계에 의해서도 구르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모서리부가 둥그스름한 플라스틱 박스 뒤에 원기둥형의 페트병이 공급되는 경우, 플라스틱 박스의 모서리에 페트병이 접촉하여, 페트병이 구르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박스와 페트병에서는, 일반적으로 페트병 쪽이 구르기 용이함 지표가 커진다고 생각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르기 용이함 지표에 기초하면, 페트병 쪽이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페트병이 제1 컨베이어(1) 상에서 구를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합은, 다른 전동 물품(Gc)끼리에 있어서도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중에 공급되는 물품(G)이 구르기 쉬워지는 물품(G)의 조합은, 실험 등에 의해 미리 취득해 둘 수 있다. 물품군(Gg)에 이와 같은 조합으로 되는 물품(G)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해당 물품(G)끼리를 연속하여 제1 컨베이어(1)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물품(G) 사이에 다른 물품(G)을 끼워,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면 된다. 즉, 비전동 물품(Gs)보다 전동 물품(Gc)을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하는, 전동 물품(Gc) 중, 보다 구르기 쉬운 전동 물품(Gc)으로부터 먼저 제1 컨베이어(1)에 공급한다는 기본 공급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연속하여 공급되는 경우에 구르기 쉬워지는 2개의 물품(G)의 조합이 해소되도록, 해당 2개의 물품(G) 사이에 다른 물품(G)이 제1 컨베이어(1)에 공급되면 바람직하다. 이 다른 물품(G)은 전동 물품(Gc)이라도 되고, 비전동 물품(Gs)이라도 된다.
[기타의 실시형태]
이하,기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의 구성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상기에 있어서는, 구획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제1 컨베이어(1)에 단위 반송 영역(E) 및 간극 영역(B)를 설정하는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에 구획재가 설치되고, 구획재에 의해 단위 반송 영역(E)이나 간극 영역(B)에 상당하는 영역이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에 있어서는, 제1 컨베이어(1), 제2 컨베이어(2), 및 중간 컨베이어(3)가, 풀리와 해당 풀리에 권회된 벨트를 가지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컨베이어(1), 제2 컨베이어(2), 및 중간 컨베이어(3) 중에 적어도 1개가, 벨트 컨베이어 이외의 컨베이어, 예를 들면 롤러 컨베이어나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컨베이어(1)가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제1 반송면(F1)은, 롤러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 각각의 상단(上端)을 연결하는 가상적인 면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의 각 컨베이어가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제1 반송면(F1)은, 체인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체인 각각의 상면을 연결하는 가상적인 면으로 된다. 단위 반송 영역(E) 및 간극 영역(B)은, 그와 같은 가상적인 제1 반송면(F1) 상에 설정된다.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반송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하나의 태양(態樣)으로서, 적어도 1개의 물품을 포함하는 물품군마다 상기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는,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물품군마다, 상기 폭 방향의 한쪽 측으로부터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 상에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물품 공급 장치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 및 상기 물품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군에, 외형 형상이 직육면체형인 상기 물품 및 그것보다 구르기 어려운 상기 물품인 비전동 물품과, 상기 비전동 물품보다 구르기 쉬운 상기 물품인 전동 물품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에, 상기 반송면 상에 설정한 1개의 단위 반송 영역에 1개의 상기 물품군에 포함되는 상기 물품을 공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먼저 상기 전동 물품을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시키고, 그 후 상기 비전동 물품을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시킨다.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반송 컨베이어에 복수의 물품이 공급되는 경우, 물품끼리가 반송 컨베이어 상에서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비전동 물품이 먼저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되어 탑재되어 있는 상태로 전동 물품이 공급되면, 해당 공급에 의해 이동 중인 전동 물품이 비전동 물품에 접촉하여, 해당 전동 물품이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 상을 예정외의 방향으로 구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전동 물품 쪽이 먼저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되므로, 전동 물품이 비전동 물품에 접촉된 것에 의해 반송면 상을 구를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먼저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되어 탑재되어 있는 전동 물품에, 나중에 공급된 비전동 물품이 접촉할 가능성은 있지만, 이 때 전동 물품은 이미 정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전동 물품의 접촉에 의해서도 크게 이동하는 일은 적다. 또한, 비전동 물품은 전동 물품에 비하여 구르기 어려우므로, 전동 물품에 접촉해도 비전동 물품의 탑재 위치가 크게 어긋나는 것은 억제된다. 즉, 본 구성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물품 중에 구르기 쉬운 형상의 물품이 포함되는 경우라도, 상기 물품이 컨베이어의 반송면 상에서 굴러 이동하는 것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한 상기 반송 방향으로의 상기 물품의 반송을 행하게 하면서, 상기 물품 공급 장치에 상기 물품을 공급시키면 바람직하다.
반송 컨베이어를 구동하면서 물품을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함으로써,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나중에 공급되는 물품과, 나중에 공급되는 물품이 반송 방향에 어긋난 위치에 공급되게 되므로, 이들이 접촉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따라서, 물품끼리의 접촉에 의해 전동 부품이 구르는 것도 억제된다. 또한, 복수의 물품군을 반송 컨베이어에서의 반송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전동 물품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에 별도의 물품군의 비전동 물품이 존재하고, 전동 물품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에 동일한 물품군의 비전동 물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즉, 전동 물품에 대하여 반송 방향의 양측에 비전동 물품이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전동 물품이 굴러 반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라도, 그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물품은, 원기둥형, 구형, 원뿔형, 육각기둥 이상의 다각기둥형, 십면체 이상의 다면체형, 육각뿔 이상의 다각뿔형을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이들 형상의 물품은 비교적 구르기 쉬우므로, 전동 부품으로서 취급하는 것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된 경우에, 크게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공급 장치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군마다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것이며, 1개의 상기 오더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물품군에, 상기 전동 물품과 상기 비전동 물품이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비전동 물품과 전동 물품이 동일한 물품군에 포함되어 있어도, 반송 컨베이어로의 물품 공급 시에, 전동 물품이 비전동 물품에 접촉한 것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 상에서 구르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1개의 물품군에 전동 물품과 비전동 물품을 혼재시켜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공급 장치가,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군마다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것이며, 1개의 상기 오더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물품군에, 상기 전동 물품과 상기 비전동 물품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물품군에 포함되는 상기 물품이 상기 전동 물품인지 상기 비전동 물품인지가, 상기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되면 바람직하다.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군에 전동 물품이 포함되는 여부를 사전에 판정할 수 있으므로, 물품군에 포함되는 복수의 물품을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순서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전동 물품을 포함하는 물품군을 적절한 순서로 컨베이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동 물품 중, 상대적으로 구르기 쉬운 상기 물품을 먼저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시키면 바람직하다.
전동 물품 중에서도, 물품에 따라 구르기 용이함은 상이하다. 상대적으로 구르기 쉬운 전동 물품이, 상대적으로 구르기 어려운 전동 물품보다 나중에,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되면, 상대적으로 구르기 쉬운 전동 물품이, 반송 컨베이어 상을 굴러 버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전동 물품 중, 상대적으로 구르기 쉬운 물품이 먼저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됨으로써, 전동 물품이 반송 컨베이어 상에서 굴러 버릴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1 : 제1 컨베이어(반송 컨베이어)
4 : 물품 공급 장치
B : 간극 영역
Ct : 통괄 제어 장치(제어 장치)
E : 단위 반송 영역
F1 : 제1 반송면(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
G : 물품
Gc : 전동 물품
Gg : 물품군
Gs : 비전동 물품
PS : 물품 반송 설비
X : 제1 방향(폭 방향)
Y : 제2 방향(반송 방향)

Claims (6)

  1. 적어도 1개의 물품을 포함하는 물품군마다 상기 물품을 반송(搬送)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물품군마다, 상기 폭 방향의 한쪽 측으로부터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 상에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물품 공급 장치;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 및 상기 물품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군에, 외형 형상이 직육면체형인 상기 물품 및 그것보다 구르기 어려운 상기 물품인 비전동(非轉動) 물품과, 상기 비전동 물품보다 구르기 쉬운 상기 물품인 전동(轉動) 물품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에, 상기 반송면 상에 설정한 1개의 단위 반송 영역에 1개의 상기 물품군에 포함되는 상기 물품을 공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먼저 상기 전동 물품을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시키고, 그 후 상기 비전동 물품을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시키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한 상기 반송 방향으로의 상기 물품의 반송을 행하게 하면서, 상기 물품 공급 장치에 상기 물품을 공급시키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물품은, 원기둥형, 구형, 원뿔형, 육각기둥 이상의 다각기둥형, 십면체 이상의 다면체형, 육각뿔 이상의 다각뿔형을 포함하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공급 장치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군마다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것이며,
    1개의 상기 오더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물품군에, 상기 전동 물품과 상기 비전동 물품이 포함되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군에 포함되는 상기 물품이 상기 전동 물품인지 상기 비전동 물품인지가, 상기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물품 반송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동 물품 중, 상대적으로 구르기 쉬운 상기 물품을 먼저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공급시키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210127330A 2020-10-05 2021-09-27 물품 반송 설비 KR202200455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68265A JP7294293B2 (ja) 2020-10-05 2020-10-05 物品搬送設備
JPJP-P-2020-168265 2020-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557A true KR20220045557A (ko) 2022-04-12

Family

ID=8112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330A KR20220045557A (ko) 2020-10-05 2021-09-27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294293B2 (ko)
KR (1) KR20220045557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724U (ja) * 1981-09-16 1983-03-19 株式会社石田衡器製作所 複層積み重ね供給装置
JP5436084B2 (ja) * 2009-07-31 2014-03-05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60670A (ja) 2022-04-15
JP7294293B2 (ja)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4890B2 (en) Pickface builder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9371183B2 (en) Multilevel vertical conveyor platform guides
KR102278785B1 (ko) 물품 재배열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보관 설비
US8671649B2 (en) Separate packing station
US20040191049A1 (en) Load-carrier loading apparatus
US11180327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tacking packages in layers on a support
US20120213617A1 (en) Angular load support as well as storage and order-picking system having an angular load support being applicable universally
CA2641394A1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order-picking or consolidating articles
JP6908975B2 (ja) 立体自動倉庫
AU2014315755A1 (en) Container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CN112292336A (zh) 订单履行的系统和方法
KR20220045557A (ko) 물품 반송 설비
JP7380511B2 (ja) 物品搬送設備
JP7171992B2 (ja) ケース移載システム及びケース移載方法
JPH0157003B2 (ko)
JP7327337B2 (ja) 物品搬送装置
WO2021125046A1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picking system)
WO2022153659A1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0958813A (ja) 個装単位切出し装置
CN117396415A (zh) 分拣系统及其运行方法
KR100222395B1 (ko) 피킹장치
JP2021004121A (ja) 積み替え装置
JPH0659312U (ja) 冷凍物品の取扱設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