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272A -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272A
KR20220045272A KR1020200127781A KR20200127781A KR20220045272A KR 20220045272 A KR20220045272 A KR 20220045272A KR 1020200127781 A KR1020200127781 A KR 1020200127781A KR 20200127781 A KR20200127781 A KR 20200127781A KR 20220045272 A KR20220045272 A KR 20220045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jig
vibration
display lamin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408B1 (ko
Inventor
전은수
한규용
박상필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20012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4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는, 제1 패널을 지지 가능한 제1 지그; 상기 제1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 패널을 지지 가능한 제2 지그; 상기 제1 지그 또는 상기 제2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지그 또는 제2 지그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에 초음파에 의한 미세 진동을 발생 가능한 초음파 발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은,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 패널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하고 가압 합착시키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에 있어서, 가압 합착 공정 중 가압 방향으로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에 기계적 진동을 가하는 진동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DISPLAY LAMINATION APPARATUS AND DISPLAY L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상 복수의 패널을 서로 합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발광 방식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마이크로 발광 표시 장치(Micr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다른 기능성 패널들로 이루어지고, 각 패널은 패널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합착한다. 패널에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필름, 폴라라이저(polarizer), 커버 윈도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은 그 종류에 따라 필름형 접착층(OCA, optical clear adhesive)과 액상 타입의 접착제를 도포해 경화시키는 액체 경화형 접착층(OCR, optical clear resin)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패널의 일 면 상에 접착층을 마련 후, 복수의 패널을 맞대고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합착기, laminator)을 이용해 가압하는 합착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등록공보 제10-1701247호는 커버 윈도우가 안착된 제1 지그와 패널부재가 배치된 제2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형 운동시켜 합착하는 라미네이션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구동부에 의한 제1 지그 또는 제2 지그가 수직 방향으로 선형 운동하여 국소 부위 힘의 조절이 불가능하고 커버 윈도우와 패널부재를 합착하는 과정에서 특정 국소 부위에 불균일적으로 합착력이 떨어질 경우 이를 보완하는 구성을 개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공보 제10-1701247호(공고일자: 2017.02.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루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는, 제1 패널을 지지 가능한 제1 지그; 상기 제1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 패널을 지지 가능한 제2 지그; 상기 제1 지그 또는 상기 제2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지그 또는 제2 지그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에 초음파에 의한 미세 진동을 발생 가능한 초음파 발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인가된 전기 신호를 변환해 상기 구동부의 구동 방향으로 기계적 진동을 가하는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상기 압전 소자 별로 발생하는 진동 세기를 조정 가능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 신호 세기를 조정해 주파수 변동에 따른 상기 압전 소자의 상기 기계적 진동 세기를 변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전 소자는 수 마이크로 진동 세기를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압전 소자의 진동 세기를 수 나노 진동 세기로 미세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은,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 패널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하고 가압 합착시키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에 있어서, 가압 합착 공정 중 가압 방향으로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에 기계적 진동을 가하는 진동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은,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 패널에 제1 힘의 크기로 가압하는 제1 합착 단계; 상기 제1 힘보다 적은 크기의 제2 힘의 크기로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2 합착 단계; 및 상기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에 기계적 진동을 가하는 진동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 제공 단계에서의 여진 제거를 위해 일정 크기의 힘으로 가압하는 제3 합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그와 제2 지그, 구동부 이외 초음파 발진기를 구비함으로써, 제1 지그와 제2 지그, 구동부에 따른 합착 공정시 특정 영역에 미세 진동을 유발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취약한 합착력을 가지는 국소 부위의 합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그와 제2 지그, 구동부 이외 초음파 발진기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그와 제2 지그, 구동부 이외 초음파 발진기를 구비함으로써, 제1 패널과 제2 패널간 평행도(parallelization)을 높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루는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성(uniformity)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국소 부위별 압전 소자의 진동 세기를 조절 가능한 컨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국소 부위 합착력을 조정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라미네이션 공정 상 면압 센서가 측정한 면압을 토대로 초음파 발진기의 진동 세기를 영역별 상이하게 제공함으로써, 국소 부위 합착력을 조정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진기가 내장된 정전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진기가 내장된 진공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진기에서 각 영역별 제공하는 진동 세기가 상이하게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P1, A, P2)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10)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10)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진기(400)가 내장된 정전척(210, 220a, 220b)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진기(300)가 내장된 진공척(210, 230)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진기(400)에서 각 영역별 제공하는 진동 세기가 상이하게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은, LCD와 OLED, PDP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패널, 폴라라이저(polarizer), 윈도우 패널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을 적층 결합한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은, 경성 패널뿐만 아니라, 구부리거나(bending) 접거나(folding), 마는(rolling) 것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의 플렉서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a)와 도 1(b), 도 1(c)와 도 1(d)는 접는 방식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서로 다른 패널(P1, P2)은 별도 공정으로 제조되고 다층으로 합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 사이에는, 접착성과 광투과성을 가지는 접착층(A)이 개재될 수 있다. 접착층(A)은, 광학투명레진(OCR, optical clear resin, 이하 OCR이라 한다)일 수 있다. 접착층(A)은, 아크릴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또는 고무계의 레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UV 광에 의해 경화 가능한UV 경화성 레진일 수 있다.
도 2(a)와 도 2(b) 또는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10)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적층 가압해 합착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10)은, 제1 지그(100)와 제2 지그(200), 구동부(300), 초음파 발진기(400)를 포함하고, 면압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지그(100)는, 제2 지그(200)와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그(100)는, 제1 패널(P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그(100)는, 실리콘과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그(100)는, 합착 공정 또는 미세 진동 제공 공정 도중 일정한 힘을 흡수해 제1 패널(P1)을 점진적으로 부드럽게 가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지그(100)는, 제1 패널(P1)을 정전기력 또는 진공 흡착 방식에 의해 안착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그(100)는, 정전 척(ESD, electro static chuck) 또는 진공 척(vacuum chuck)일 수 있다.
제2 지그(200)는, 제1 지그(1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그(200)는, 제2 패널(P2)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패널(P2)은, 제1 패널(P1)과 마주보며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그(200)는, 실리콘과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그(200)는, 합착 공정 또는 미세 진동 제공 공정 도중 일정한 힘을 흡수해 제2 패널(P2)을 점진적으로 부드럽게 가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지그(200)는, 제2패널(P2)을 정전기력 또는 진공 흡착 방식에 의해 안착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그(200)는, 정전 척(ESD, electro static chuck) 또는 진공 척(vacuum chuck)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 방식의 제2 지그(200)는, 지지 척(210)과 전극층(220a), 유전층(220b)을 포함하며, 대전된 전위에 의해 제2 패널(P2)을 전극층(220a)에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전극층(220a)은, 지지 척(210)의 일단에 배치 마련되어, 대전 전위를 생성할 수 있다.
유전층(220b)은, 전극층(220a)의 일단에 배치 마련되어, 절연체의 일종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 방식의 제2 지그(200)는, 지지 척(210)과 진공층(230)을 포함하며, 제2 패널(P2)의 접촉면 공기를 흡기해 제2 패널(P2)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진공층(230)은, 지지 척(210)의 일단에 배치 마련될 수 있다. 진공층(230)은, 다공성 세라믹(porous ceramic) 또는 다공성 필름(porous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층(230)은, 공기 흡입(air suction)에 의한 제2 패널(P2)을 흡착 지지할 수 있다. 진공층(230)은, 흡착 및 안착을 위해 다공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층(230)은, 진공 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제2 패널(P2)의 흡착 공정이 이뤄질 수 있다.
구동부(300)는, 제1 지그(100) 또는 제2 지그(200)를 승하강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300)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에 의해 전후진하는 실린더(미도시), 실린더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는 샤프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300)는, 제1 지그(100)와 제2 지그(200)가 나란히 평행을 유지한 채로 적어도 어느 일방을 승하강 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0)의 동작에 의해 제1 지그(100)는, 하부에 마련된 제2 지그(200)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복수의 패널들을 맞댄 채로 가압해 합착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0)의 동작에 의해 제2 지그(200)는, 상부에 마련된 제1 지그(200)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복수의 패널들을 맞댄 채로 가압해 합착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0)는, 제1 지그(100)와 제2 지그(200) 모두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복수의 패널들을 맞댄 채로 가압해 합착시킬 수 있다.
다시 도 4(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초음파 발진기(400)는, 복수의 초음파에 의한 미세 진동을 생성해 패널(P1, P2)들에 미세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초음파 발진기(400)는, 압전 소자(410)를 포함하고, 컨트롤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발진기(400)는, 제1 지그(100) 및/또는 제2 지그(200)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발진기(400)는, 제1 지그(100)에 내장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발진기(400)는, 제2 지그(200)에 내장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발진기(400)는, 제1 지그(100)와 제2 지그(200) 모두에 내장 마련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발진기(400)가 제2 지그(200)에 마련된 것을 예를 들어 상정한 것으로, 초음파 발진기(400)가 제1 지그(100)에 마련된 경우는 이로 갈음하며,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초음파 발진기(400)는, 구동부(300)의 합착 공정시 특정 영역에 미세 진동을 유발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취약한 합착력을 가지는 국소 부위의 합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6(a)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세로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폴딩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역별 초음파 발진기(400)의 조작값을 상이하게 설정한 것을 예로 상정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다시 도 6(c)는 도 1(c)와 도 1(d)에 도시된 가로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폴딩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d)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역별 초음파 발진기(400)의 조작값을 상이하게 설정한 것을 예로 상정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b)와 도 6(d)에 도시된 대로 초음파 발진기(400)는, 면압 센서(500)의 측정 면압값을 토대로 영역 별 진동 세기를 달리 제공할 수 있다.
압전 소자(410)는, 인가된 전기 신호에 의해 기계적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기 펄스 생성 장치(미도시)는, 전기 신호를 생성, 압전 소자(410)와 전기적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다. 압전 소자(410)는, 구동부(300)의 구동 방향으로 일정 크기의 진동력을 제2 패널(P2)에 제공할 수 있다.
압전 소자(410)는, 제2 패널(P2)의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해 임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 마련될 수 있다.
압전 소자(410)는, 수 마이크로의 진동 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압전 소자(410)는, 후술할 컨트롤러(420)의 조정에 의해 미세 변이 조정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 변이 크기는 수 나노 값을 가질 수 있다.
컨트롤러(4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압전 소자(410) 별로 서로 다른 진동 세기를 갖도록 전기 신호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420)는, 어느 하나의 압전 소자(410)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 세기를 조정해 주파수 변동에 따라 시간을 달리하며 기계적 진동 세기를 변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420)는, 후술할 면압 센서(500)로부터 각 영역별 단위면적당 측정 면압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미도시)는, 측정 면압값에 기초해 영역 별 압전 소자(410)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420)는, 컴퓨터(미도시)와 전기적 연결되어 작업자에게 각 영역별 전기 신호 세기와 진동 횟수, 진동 세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컴퓨터(미도시)를 통해 압전 소자(410)의 진동 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며, 매뉴얼에 의해 진동 세기를 조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영역을 구획하고, 각 영역마다 컨트롤러(420)에 의한 압전 소자(410)의 진동 세기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대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에 따라 굽힘 등 물리적 변형이 빈번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굽힘 발생 영역(Folding Area)과 그 외 영역으로 구획하고, 도 6(b)와 도 6(d)에 도시된 대로 굽힘 발생 영역(Folding Area)를 포함한 구획 영역에 A 진동 세기(A Vibration)로 초음파 발진기(400)를 동작시키고, 기타 영역은 A 진동 세기와 별개의 B 진동 세기(B Vibration)로 초음파 발진기(4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A 진동 세기는 B 진동 세기보다 큰 기계적 힘으로 진동을 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면압 센서(500)는, 제1 지그(100) 또는 제2 지그(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안착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면압 센서(500)는, 지지 척(210)에 배치 마련될 수 있다. 면압 센서(500)는, 복수개의 포스 센서(force senser, 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포스 센서(미도시)는, 지지 척(210)에 내장(embedded)될 수 있다.
면압 센서(500)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정전 척 방식의 제2 지그(200)의 절연체로 기능할 수 있다. 면압 센서(500)는, 면압을 측정하고 측정 면압을 작업자에 출력할 수 있다.
면압 센서(500)가 제2 지그(200)에 내장됨으로써, 구동부(300)에 의한 제2 지그(200)의 승하강 구동에 따라 제1 패널(P1)에 제2 패널(P2) 가압시,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압력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포스 센서(미도시)는, 임의 간격으로 제2 패널(P2)의 안착면에 인접하도록 제2 지그(200)에 내장 마련될 수 있다. 포스 센서(미도시)는, 제2 패널(P2)의 단위면적 당 국부 압력을 측정해 제2 패널(P2)의 압력 분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스 센서(미도시)는, 제2 패널(P2)에 대응되는 면적 상에서, 행과 열을 이루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포스 센서(미도시)의 개수와 배열 간격은 전술한 압전 소자(410)의 개수와 배열 간격에 상응하도록 마련되어, 각 영역별 측정 및 제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포스 센서(미도시)는, 특정 영역 압력을 측정, 전술한 컨트롤러(420)에 위치 정보와 함께 측정 압력값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위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10)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은, 진동 제공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은, 제1 합착 단계(S10)와 제2 합착 단계(S20), 진동 제공 단계(S30), 제3 합착 단계(S40)를 포함하고, 제3 합착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합착 단계(S10)에서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의 가압 합착시 제1 힘의 크기를 인가할 수 있다.
제2 합착 단계(S20)에서는, 제1 힘 보다 적은 크기의 제2 힘으로 가압력을 조정해,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가압 합착할 수 있다. 제2 힘은 제1 힘의 크기보다 적은 힘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패널과 제2 패널 배면에 압전 소자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적은 힘으로 가압하기 위한 조절단계일 수 있다.
진동 제공 단계(S30)에서는,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에 기계적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제공 단계(S30)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가압 합착 하는 가압 합착 공정 중,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에 기계적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진동 제공 단계(S30)에서는, 측정 면압에 따라 영역별 기계적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진동 제공 단계(S30)는, 시계열적으로 제2 합착 단계(S20)와 동시 또는 이시에 진행될 수 있다.
제3 합착 단계(S40)에서는, 진동 제공 단계(S30)에서 발생한 잔여 진동, 즉 여진 제거를 위해 일정 크기의 힘으로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에 가압 합착할 수 있다.
제3 합착 단계(S40)에서 제공되는 힘의 크기는, 제1 합착 단계(S10)에서 제공되는 제1 힘의 크기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100 : 제1 지그
200 : 제2 지그 210 : 척 베이스
220a: 전극층 220b : 유전층
230 : 진공층
300 : 구동부
400 : 초음파 발진기 410 : 압전 소자
420 : 컨트롤러
500 : 면압 센서
P1 : 제1 패널 P2 : 제2 패널
A : 접착층

Claims (8)

  1. 제1 패널을 지지 가능한 제1 지그;
    상기 제1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 패널을 지지 가능한 제2 지그;
    상기 제1 지그 또는 상기 제2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지그 또는 제2 지그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에 초음파에 의한 미세 진동을 발생 가능한 초음파 발진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인가된 전기 신호를 변환해 상기 구동부의 구동 방향으로 기계적 진동을 가하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상기 압전 소자 별로 발생하는 진동 세기를 조정 가능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 신호 세기를 조정해 주파수 변동에 따른 상기 압전 소자의 상기 기계적 진동 세기를 변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는 수 마이크로 진동 세기를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압전 소자의 진동 세기를 수 나노 진동 세기로 미세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6.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 패널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하고 가압 합착시키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에 있어서,
    가압 합착 공정 중 가압 방향으로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에 기계적 진동을 가하는 진동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7.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 패널에 제1 힘의 크기로 가압하는 제1 합착 단계;
    상기 제1 힘보다 적은 크기의 제2 힘의 크기로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2 합착 단계; 및
    상기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에 기계적 진동을 가하는 진동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공 단계에서의 여진 제거를 위해 일정 크기의 힘으로 가압하는 제3 합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1020200127781A 2020-10-05 2020-10-05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102441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781A KR102441408B1 (ko) 2020-10-05 2020-10-05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781A KR102441408B1 (ko) 2020-10-05 2020-10-05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272A true KR20220045272A (ko) 2022-04-12
KR102441408B1 KR102441408B1 (ko) 2022-09-07

Family

ID=8118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781A KR102441408B1 (ko) 2020-10-05 2020-10-05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4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336A (ko) * 1994-12-28 1996-07-18 김광호 초음파 진동 융착장치
KR100404163B1 (ko) * 1999-05-10 2003-11-0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액정 표시 장치 패널의 형성 방법 및 형성 장치
JP2004050655A (ja) * 2002-07-22 2004-0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基板への絶縁樹脂層の形成方法
KR20140139361A (ko) * 2013-05-27 2014-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KR101473898B1 (ko) * 2013-07-23 2014-12-17 한국기계연구원 초음파 세정장치용 발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336A (ko) * 1994-12-28 1996-07-18 김광호 초음파 진동 융착장치
KR100404163B1 (ko) * 1999-05-10 2003-11-0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액정 표시 장치 패널의 형성 방법 및 형성 장치
JP2004050655A (ja) * 2002-07-22 2004-0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基板への絶縁樹脂層の形成方法
KR20140139361A (ko) * 2013-05-27 2014-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KR101701247B1 (ko) 2013-05-27 2017-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KR101473898B1 (ko) * 2013-07-23 2014-12-17 한국기계연구원 초음파 세정장치용 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408B1 (ko)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6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TWI356359B (ko)
JP6310481B2 (ja) 検出センサ及び検出センサの製造方法
KR20140139295A (ko)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90130105A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JP5654155B1 (ja) ワーク貼り合わせ装置
CN104097383A (zh) 夹具组件以及层合装置
CN105377557A (zh) 用于层压系统的压力感测台
CN105307786A (zh) 用于层压系统的压力感测辊
KR20150059566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곡면 커버 부재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KR102237967B1 (ko) 진공 흡착 패드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102441408B1 (ko)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102458682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KR101819133B1 (ko) 반도체 모듈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반도체 모듈
JP2009272457A (ja) 基板実装構造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基板実装構造の製造方法
JP6246692B2 (ja) タッチ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84055B1 (ko)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 척 레벨링 방법
KR20200025901A (ko) 고무 탄성체 다이아프램 타입 정전척 및 그 제조방법
CN107160817B (zh) 粘合装置以及粘合方法
KR102240366B1 (ko)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102407333B1 (ko) 액적 도포 장치와 액적 가변 도포 방법
KR102176075B1 (ko) 라미네이션용 흡착 플레이트 및 장치
CN112783364A (zh) 层压系统
KR20210035998A (ko) 하이브리드 압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TWI827400B (zh) 加工裝置、顯示面板以及顯示面板的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