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794A -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794A
KR20220043794A KR1020200127595A KR20200127595A KR20220043794A KR 20220043794 A KR20220043794 A KR 20220043794A KR 1020200127595 A KR1020200127595 A KR 1020200127595A KR 20200127595 A KR20200127595 A KR 20200127595A KR 20220043794 A KR20220043794 A KR 20220043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el composition
disinfection
fa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158B1 (ko
Inventor
이은석
한상덕
현승민
이승원
Original Assignee
동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158B1/ko
Priority to PCT/KR2021/013203 priority patent/WO2022071714A1/ko
Publication of KR2022004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항균 활성 및 안정성을 나타내는 고보습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gel composition for disinf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 특히 피부를 통한 미생물 오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부의 세척 및 소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최근 감염방지를 위하여 손 소독 등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외용소독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관련 업계의 제품 개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외용소독제는 손 등의 피부 표면에 도포할 수 있는 소독제로서, 미생물의 살균을 위해 에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3의 저급 알코올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소독제가 알코올 성분을 과량 포함하게 되면, 알코올 휘발되면서 피부의 수분이나 영양분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고, 그 결과 피부 자극이나 건조함, 거칠음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거칠음 등은 피부 표면에서의 이차 감염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피부가 약하고 민감한 유아에서 발생하기 더 쉬워 유아에게는 외용소독제의 사용이 권장되지 않기도 한다. 한편, 피부 자극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소독제의 알코올 성분의 함량을 낮추게 되면 미생물의 살균력이 저하되어 외용소독제로서의 유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우수한 살균 및 소독 효과를 나타내면서 피부의 자극이나 건조함, 거칠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보습성이 우수하고 안정한 외용소독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고보습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유지 성분;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수성용제;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미생물에 대한 강한 살균·소독력을 나타내며, 피부에 도포 후 피부 손상이나 건조함을 개선한 고보습 소독용 겔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장기 보관 시에도 상분리나 석출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한 조성물이다.
소독용 조성물은 병의 감염이나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병원성 미생물의 사멸(살균)하거나 이의 활성을 억제하여 기능하지 못하게 하는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피부 표면의 미생물을 사멸하거나 이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한 외용소독용 조성물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손, 손가락 등의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손 소독용 외용 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겔 제형을 가져 손 등의 굴곡진 피부에 도포하여도 피부 표면에 밀착할 수 있고, 우수한 소독 효과(항균 활성)를 나타낼 수 있으며, 피부의 수분이나 영양분 증발을 최소화하고 피부를 보습하여 피부 거칠음이나 건조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에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은 에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은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혼합물 일 수 있다.
소독용 겔 조성물이 알코올을 소량 포함하는 경우 충분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고, 알코올을 너무 과량 포함하는 경우 피부 장벽을 파괴하거나 피부에 과도한 자극을 주거나 피부 건조함 및 거칠음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 알코올을 충분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면서 피부 손상, 건조함, 거칠음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을 50 w/w% 내지 95 w/w%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겔 조성물은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을 50 w/w% 이상, 54 w/w% 이상 또는 60 w/w%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알코올을 95 w/w% 이하, 90 w/w% 이하, 85 w/w% 이하, 80 w/w% 이하, 75 w/w% 이하 또는 70 w/w% 이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을 50 w/v% 내지 95 w/w%, 50 w/v% 내지 90 w/w%, 50 w/v% 내지 85 w/w%, 50 w/w% 내지 80 w/w%, 50 w/w% 내지 75 w/w%, 50 w/w% 내지 70 w/w%, 54 w/v% 내지 95 w/w%, 54 w/v% 내지 90 w/w%, 54 w/v% 내지 85 w/w%, 54 w/w% 내지 80 w/w%, 54 w/w% 내지 75 w/w%, 54 w/w% 내지 70 w/w%, 60 w/v% 내지 95 w/w%, 60 w/v% 내지 90 w/w%, 60 w/v% 내지 85 w/w%, 60 w/w% 내지 80 w/w%, 60 w/w% 내지 75 w/w%, 60 w/w% 내지 70 w/w%, 또는 60 w/w%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은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4 w/w% 내지 70 w/w%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손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을 겔 조성물 총 부피 대비 54 v/v% 이상 포함할 수 있고, 96 v/v% 이하, 90 v/v% 이하, 85 v/v% 이하 또는 70 v/v%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은 겔 조성물에 대하여 54 내지 83 v/v%, 구체적으로 54 내지 70 v/v%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이 에탄올인 경우,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에탄올을 54 w/w% 내지 70 w/w%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 겔 조성물 대비 에탄올을 54 v/v% 내지 83 v/v%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겔 조성물 대비 에탄올을 54 v/v% 내지 70 v/v% 포함할 수 있다.
유지(oil and fat)는 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하고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오일과 고체 상태인 지방을 총칭하는 용어로, 본 발명에서 유지 성분은 합성 오일,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추출, 가공 및/또는 정제 등의 공정을 통해 수득된 액상의 오일 및/또는 고상의 지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유지 성분은 식물성 지방,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합성 오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성 지방은 식물로부터 추출, 가공 및/또는 정제 등의 공정을 통해 수득된 고상의 성분이고, 예를 들어, 식물성 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성 지방은 코코아버터, 시어버터, 망고씨버터, 야자씨버터, 및 사라수씨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성 오일은 식물로부터 추출, 가공 및/또는 정제 등의 공정을 통해 수득된 오일이고,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식물의 씨나 열매, 꽃 등으로부터 추출된 천연 식물성 오일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천연 식물성 오일로부터 상기 천연 식물성 오일로부터 수소화(hydrogenated) 등의 가공, 추출 및/또는 정제하여 수득된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연 식물성 오일은 팜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동백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잇꽃씨 오일, 포도씨 오일, 콩 오일 등일 수 있고, 상기 천연 식물성 오일로부터 수득된 오일은 상기 천연 식물성 오일의 수소화 오일(예를 들어, 식물성 스쿠알란)이나 중쇄트리글리세리드(Medium Chain Triglyceride, MCT) 오일과 같은 오일일 수 있다.
중쇄트리글리세리드(MCT) 오일은 중쇄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오일이다. 중쇄트리글리세리드는 탄소수 6 내지 12인 지방산 사슬을 2개 또는 3개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리드로, 상기 탄소수 6 내지 12인 지방산 사슬은 카프릴산, 카프릭산, 카프로산, 라우르산 등이다. 이러한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은 상품명 PALMESTER 3590, PALMESTER 3595, PALMESTER 3585로 공지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나 상품명 PALMESTER 3550으로 공지된 카프릴릭 트리글리세리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은 Waglinol 242, TEGOSOFT CT (Evonik), Myritol® 318 PH (BASF)으로 입수 가능한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은 팜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동백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잇꽃씨 오일, 포도씨 오일, 콩 오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은 적어도 중쇄트리글리세리드(Medium Chain Triglyceride, MCT)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동물성 오일은 동물로부터 유래된 오일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동물성 오일은 스쿠알란, 라놀린 및 마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턴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 오일은 인공으로 석유 또는 기타 물질로부터 합성된 오일을 말하며,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합성 오일은 디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등의 실리콘 오일, 유동 파라핀 등의 미네랄 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등의 에스터 오일, 폴리알파올레핀, 페트롤라툼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합성 오일은 디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유동 파라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폴리알파올레핀 및 페트롤라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코코아버터, 시어버터, 망고씨버터, 야자씨버터, 사라수씨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물성 지방; 팜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동백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잇꽃씨 오일, 포도씨 오일, 콩 오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스쿠알란, 라놀린 및 마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턴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물성 오일; 및 실리콘 오일, 미네랄 오일, 에스터 오일, 폴리알파올레핀 및 페트롤라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네랄 오일은 유동 파라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터 오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코코아버터, 시어버터, 망고씨버터, 야자씨버터, 사라수씨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물성 지방; 및 팜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동백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잇꽃씨 오일, 포도씨 오일, 콩 오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적어도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시어버터 및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성분은 과량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잔여감이나 답답한 느낌 등의 불쾌한 후감을 줄 수 있고 제형 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에서 유지 성분은 피부를 보습하고 피부에 보습막을 형성하여 피부 표면의 거칠음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 상기 조성물에서 상분리나 석출 없이 안정하게 포함되고, 상기 겔 조성물의 발림성을 향상시키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며 피부 잔여감을 최소화하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유지 성분을 0.01 w/w% 내지 15 w/w%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지 성분은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w/w% 내지 15 w/w%, 0.5 w/w% 내지 15 w/w%, 1 w/w% 내지 15 w/w%, 2 w/w% 내지 15 w/w%, 3 w/w% 내지 15 w/w%, 4 w/w 내지 15 w/w%, 0.01 w/w% 내지 10 w/w%, 0.1 w/w% 내지 10 w/w%, 0.5 w/w% 내지 10 w/w%, 1 w/w% 내지 10 w/w%, 2 w/w% 내지 10 w/w%, 3 w/w% 내지 10 w/w%, 4 w/w 내지 10 w/w%, 0.01 w/w% 내지 8 w/w%, 0.1 w/w% 내지 8 w/w%, 0.5 w/w% 내지 8 w/w%, 1 w/w% 내지 8 w/w%, 2 w/w% 내지 8 w/w%, 3 w/w% 내지 8 w/w%, 4 w/w 내지 8 w/w%, 0.01 w/w% 내지 6 w/w%, 0.1 w/w% 내지 6 w/w%, 0.5 w/w% 내지 6 w/w%, 1 w/w% 내지 6 w/w%, 2 w/w% 내지 6 w/w%, 3 w/w% 내지 6 w/w% 또는 4 w/w 내지 6 w/w%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겔 조성물이 조성물 종 중량 대비 상기 유지 성분을 1 w/w% 내지 15 w/w%, 구체적으로 1 w/w% 내지 10 w/w% 포함하는 경우 피부를 충분히 보습하면서 피부에 잔여감이나 답답한 느낌 등의 불쾌한 후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이 유지 성분이 오일(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합성 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오일을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w/w% 내지 10 w/w%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은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w/w% 이상, 0.05 w/w% 이상, 0.1 w/w% 이상, 0.5 w/w% 이상, 1 w/w% 이상, 1.5 w/w% 이상, 또는 2 w/w% 이상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w/w% 이하, 8 w/w% 이하, 6 w/w% 이하, 5 w/w% 이하, 또는 4 w/w% 이하, 또는 3 w/w% 이하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겔 조성물은 상기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을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w/w% 내지 10 w/w%, 0.05 w/w% 내지 10 w/w%, 0.1 w/w% 내지 10 w/w%, 0.5 w/w% 내지 10 w/w%, 1 w/w% 내지 10 w/w%, 1.5 w/w% 내지 10 w/w%, 2 w/w% 내지 10 w/w%, 0.01 w/w% 내지 8 w/w%, 0.05 w/w% 내지 8 w/w%, 0.1 w/w% 내지 8 w/w%, 0.5 w/w% 내지 8 w/w%, 1 w/w% 내지 8 w/w%, 1.5 w/w% 내지 8 w/w%, 2 w/w% 내지 8 w/w%, 0.01 w/w% 내지 6 w/w%, 0.05 w/w% 내지 6 w/w%, 0.1 w/w% 내지 6 w/w%, 0.5 w/w% 내지 6 w/w%, 1 w/w% 내지 6 w/w%, 1.5 w/w% 내지 6 w/w%, 2 w/w% 내지 6 w/w%, 0.01 w/w% 내지 5 w/w%, 0.05 w/w% 내지 5 w/w%, 0.1 w/w% 내지 5 w/w%, 0.5 w/w% 내지 5 w/w%, 1 w/w% 내지 5 w/w%, 1.5 w/w% 내지 5 w/w%, 2 w/w% 내지 5 w/w%, 0.01 w/w% 내지 4 w/w%, 0.05 w/w% 내지 4 w/w%, 0.1 w/w% 내지 4 w/w%, 0.5 w/w% 내지 4 w/w%, 1 w/w% 내지 4 w/w%, 1.5 w/w% 내지 4 w/w%, 2 w/w% 내지 4 w/w%, 0.01 w/w% 내지 3 w/w%, 0.05 w/w% 내지 3 w/w%, 0.1 w/w% 내지 3 w/w%, 0.5 w/w% 내지 3 w/w%, 1 w/w% 내지 3 w/w%, 1.5 w/w% 내지 3 w/w%, 2 w/w% 내지 3 w/w%, 또는 3 w/w%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상기 오일을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w/w% 내지 5 w/w%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겔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은 적어도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이 유지 성분이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는 경우, 식물성 지방은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w/w% 이상, 0.05 w/w% 이상, 0.1 w/w% 이상, 0.5 w/w% 이상 또는 1 w/w%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지방은 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0 w/w%까지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 w/w%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성 지방은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w/w% 이하, 4 w/w% 이하, 3 w/w% 이하 또는 2 w/w%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겔 조성물은 상기 식물성 지방을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w/w% 내지 10 w/w%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01 w/w% 내지 5 w/w%, 0.05 w/w% 내지 5 w/w%, 0.1 w/w% 내지 5 w/w%, 0.5 w/w% 내지 5 w/w%, 1 w/w% 내지 5 w/w%, 0.01 w/w% 내지 4 w/w%, 0.05 w/w% 내지 4 w/w%, 0.1 w/w% 내지 4 w/w%, 0.5 w/w% 내지 4 w/w%, 1 w/w% 내지 4 w/w%, 0.01 w/w% 내지 3 w/w%, 0.05 w/w% 내지 3 w/w%, 0.1 w/w% 내지 3 w/w%, 0.5 w/w% 내지 3 w/w%, 1 w/w% 내지 3 w/w%, 0.01 w/w% 내지 2 w/w%, 0.05 w/w% 내지 2 w/w%, 0.1 w/w% 내지 2 w/w%, 0.5 w/w% 내지 2 w/w%, 1 w/w% 내지 2 w/w%, 2 w/w% 또는 1 w/w%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물성 지방은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w/w% 내지 3 w/w%로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불포화 지방산, 포화 지방산 및/또는 다양한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식물 또는 동물 유래 유지 성분과 합성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도포 시 피부를 즉시 보습하고 피부에 보습막을 형성하여 보습감을 유지하고 수분 및/또는 영양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의 성분들(특히, 유지 성분)의 분리나 석출 없이 제형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도 조절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에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카보머 및 카보머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카보머코폴리머는 알릴 펜타에리트로톨의 알릴에테르와 가교결합된 알킬 메타클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인 카보머코폴리머 Type B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카보머 및 카보머코폴리머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성분들의 분리나 석출 없이 안정한 제형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겔 조성물의 발림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끈적임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효량으로 점도 조절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 점도 조절제를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2 w/w%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도 조절제는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w/w% 이상, 0.005 w/w% 이상, 0.01 w/w% 이상, 0.05 w/w% 이상, 0.1 w/w% 이상, 0.2 w/w% 이상, 0.3 w/w% 이상, 또는 0.4 w/w% 이상 포함될 수 있고, 2 w/w% 이하, 1.5 w/w% 이하, 1 w/w% 이하, 또는 0.6 w/w% 이하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도 조절제는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w/w% 내지 2 w/w%, 0.005 w/w% 내지 2 w/w%, 0.01 w/w% 내지 2 w/w%, 0.05 w/w% 내지 2 w/w%, 0.1 w/w% 내지 2 w/w%, 0.2 w/w% 내지 2 w/w%, 0.3 w/w% 내지 2 w/w%, 0.4 w/w% 내지 2 w/w%, 0.001 w/w% 내지 1.5 w/w%, 0.005 w/w% 내지 1.5 w/w%, 0.01 w/w% 내지 1.5 w/w%, 0.05 w/w% 내지 1.5 w/w%, 0.1 w/w% 내지 1.5 w/w%, 0.2 w/w% 내지 1.5 w/w%, 0.3 w/w% 내지 1.5 w/w%, 0.4 w/w% 내지 1.5 w/w%, 0.001 w/w% 내지 1 w/w%, 0.005 w/w% 내지 1 w/w%, 0.01 w/w% 내지 1 w/w%, 0.1 w/w% 내지 1 w/w%, 0.2 w/w% 내지 1 w/w%, 0.3 w/w% 내지 1 w/w%, 0.4 w/w% 내지 1 w/w%, 0.001 w/w% 내지 0.6 w/w%, 0.005 w/w% 내지 0.6 w/w%, 0.01 w/w% 내지 0.6 w/w%, 0.1 w/w% 내지 0.6 w/w%, 0.2 w/w% 내지 0.6 w/w%, 0.3 w/w% 내지 0.6 w/w%, 0.4 w/w% 내지 0.6 w/w%, 또는 0.5 w/w%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w/w% 내지 0.6 w/w%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소르베이트는 폴리소르베이트 2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은 폴리옥실 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일 수 있고, 이는 상품명 Kolliphor® RH40로 공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록사머는 Kolliphor® P188로 공지된 폴록사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성분들의 분리나 석출 없이 안정한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유효량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 w/w%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겔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w/w% 이상, 0.05 w/w% 이상, 0.1 w/w% 이상 또는 0.5 w/w 이상 포함할 수 있고, 3 w/w% 이하, 2.5 w/w% 이하, 2 w/w% 이하, 1.5 w/w% 이하, 또는 1 w/w% 이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겔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w/w% 내지 3 w/w%, 0.05 w/w% 내지 3 w/w%, 0.1 w/w% 내지 3 w/w%, 0.5 w/w 내지 3 w/w%, 0.01 w/w% 내지 2.5 w/w%, 0.05 w/w% 내지 2.5 w/w%, 0.1 w/w% 내지 2.5 w/w%, 0.5 w/w 내지 2.5 w/w%, 0.01 w/w% 내지 2 w/w%, 0.05 w/w% 내지 2 w/w%, 0.1 w/w% 내지 2 w/w%, 0.5 w/w 내지 2 w/w%, 0.01 w/w% 내지 1.5 w/w%, 0.05 w/w% 내지 1.5 w/w%, 0.1 w/w% 내지 1.5 w/w%, 0.5 w/w 내지 1.5 w/w%, 0.01 w/w% 내지 1 w/w%, 0.05 w/w% 내지 1 w/w%, 0.1 w/w% 내지 1 w/w%, 0.5 w/w 내지 1 w/w%, 또는 1 w/w%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w/w% 내지 2 w/w%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에서 상기 수성용제는 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성용제는 정제수, 증류수, 주사용수 등일 수 있다. 상기 수성용제는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형을 형성 및 유지할 수 있도록 적당량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성용제는 상기 소독용 겔 조성물의 총 중량이 100 w/w%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유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조성물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이나 함량에 따라 석출되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소량의 알코올은 이러한 유지 성분을 안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과량의 알코올은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유지 성분을 포함하는 제형의 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이에, 다량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에서는 유지 성분이 안정화되지 않고 상분리가 발생하거나 조성물의 구성 성분들의 석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을 다량 포함함에도, 상기와 설명한 것과 같은 유지 성분, 계면활성제, 점도 조절제를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유지 성분을 안정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장기 보관 시에도 상 분리나 석출의 발생 없이 제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에서 글리세린은 다른 성분들의 석출이나 상 분리를 유발하지 않고, 도포 시 끈적임이나 잔여감 없이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의 보습 지속력을 보조할 수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글리세린을 0.001 w/w% 내지 10 w/w%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세린을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w/w% 이상, 0.01 w/w% 이상, 0.1 w/w% 이상, 0.5 w/w% 이상, 1 w/w% 이상, 2 w/w% 이상 포함 수 있고, 10 w/w% 이하, 8 w/w% 이하, 6 w/w% 이하, 5 w/w% 이하, 4 w/w %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겔 조성물은 상기 글리세린을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w/w% 내지 10 w/w%, 0.01 w/w% 내지 10 w/w%, 0.1 w/w% 내지 10 w/w%, 0.5 w/w% 내지 10 w/w%, 1 w/w% 내지 10 w/w%, 2 w/w% 내지 10 w/w%, 0.001 w/w% 내지 8 w/w%, 0.01 w/w% 내지 8 w/w%, 0.1 w/w% 내지 8 w/w%, 0.5 w/w% 내지 8 w/w%, 1 w/w% 내지 8 w/w%, 2 w/w% 내지 8 w/w%, 0.001 w/w% 내지 6 w/w%, 0.01 w/w% 내지 6 w/w%, 0.1 w/w% 내지 6 w/w%, 0.5 w/w% 내지 6 w/w%, 1 w/w% 내지 6 w/w%, 2 w/w% 내지 6 w/w%, 0.001 w/w% 내지 5 w/w%, 0.01 w/w% 내지 5 w/w%, 0.1 w/w% 내지 5 w/w%, 0.5 w/w% 내지 5 w/w%, 1 w/w% 내지 5 w/w%, 2 w/w% 내지 5 w/w%, 0.001 w/w% 내지 4 w/w%, 0.01 w/w% 내지 4 w/w%, 0.1 w/w% 내지 4 w/w%, 0.5 w/w% 내지 4 w/w%, 1 w/w% 내지 4 w/w%, 2 w/w% 내지 4 w/w%, 또는 3 w/w%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은 피부를 보습에도 영향을 주면서 상기 겔 조성물에서 알코올 및 유지 성분의 혼합 및 용해를 보조하는 용해보조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세린은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w/w% 내지 5 w/w%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겔 조성물은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1 w/w%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w/w% 이상, 0.0005 w/w% 이상, 0.001 w/w% 이상, 0.005 w/w% 이상, 0.01 w/w%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 w/w% 이하, 0.5 w/w%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겔 조성물은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0.0001 w/w% 내지 1 w/w%, 0.0005 w/w% 내지 1 w/w%, 0.001 w/w% 내지 1 w/w%, 0.005 w/w% 내지 1 w/w%, 0.01 w/w% 내지 1 w/w%, 0.0001 w/w% 내지 0.5 w/w%, 0.0005 w/w% 내지 0.5 w/w%, 0.001 w/w% 내지 0.5 w/w%, 0.005 w/w% 내지 0.5 w/w% 또는 0.01 w/w% 내지 0.5 w/w%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w/w% 내지 0.5 w/w%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에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히알루론산나트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유지 성분; 카보머 및 카보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점도 조절제;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수성용제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소독용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w/w% 내지 95 w/w%의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0.01 w/w% 내지 15 w/w%의 유지 성분; 0.001 내지 2 w/w%의 카보머 및 카보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점도 조절제; 0.01 내지 3 w/w%의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여분의 수성용제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소독용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4 w/w% 내지 70 w/w%의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1 w/w% 내지 10 w/w%의 유지 성분; 0.1 w/w% 내지 0.6 w/w%의 카보머 및 카보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점도 조절제; 0.1 w/w% 내지 2 w/w%의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여분의 수성용제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유지 성분, 카보머 및 카보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점도 조절제,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수성용제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장기 보관 시에도 유지 성분(오일 및 지방)의 분리나 석출 없이 안정하게 함유하는 겔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겔을 피부에 뭉침 없이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피부를 높은 수준으로 보습하여 피부의 손상이나 건조함, 거칠음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pH 조절제, 항산화제, 보존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pH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상기 겔 조성물의 겔 제형을 유지하고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pH를 제공할 수 있는 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 pH 조절제를 상기 0.001 내지 1 w/w%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아르기닌, 아미노메틸프로판올, 트리에탄올아민(트롤아민, Trolamine), 트로메타민 및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피부를 보습하여 피부 표면에서의 수분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유지 성분을 안정하게 포함하고 장기 보관 시에도 성분의 분리나 석출 등이 발생하지 않고 제형이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피부 발림성 및 밀착력이 우수하여 피부에 도포 시 뭉침 없이 피부 전반에 도포되어 우수한 살균 및 소독 효과를 나타내면서 동시에 피부를 보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유지 성분; 계면활성제; 점도 조절제 및 수성용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독용 겔 조성물은, 소독용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w/w% 내지 95 w/w%의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0.01 w/w% 내지 15 w/w%의 유지 성분; 0.001 내지 2 w/w%의 카보머 및 카보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점도 조절제; 0.01 내지 3 w/w%의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여분의 수성용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유지 성분; 계면활성제; 점도조절제 및 수성용제를 혼합하는 단계는, (1) 유지 성분을 계면활성제와 혼합하는 단계; (2) 유지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점도 조절제를 분산시킨 수성용제와 혼합하는 단계; 및 (3) 유지 성분, 계면활성제, 점도 조절제 및 수성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과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1) 유지 성분을 계면활성제와 혼합하는 단계는 가온 용해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온 용해는 유지 성분이 용해할 수 있는 온도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지 성분이 시어버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80℃에서 가온 용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유지 성분; 계면활성제; 점도조절제 및 수성용제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보존제, 항산화제 및 pH 조절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혼합할 수 있다. 일례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수성용제에 점도조절제와 함께 분산시켜 혼합할 수 있다. 일례로, pH 조절제는 유지 성분, 계면활성제, 점도 조절제 및 수성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과 에탄올을 혼합하는 단계 이후에, 유지 성분, 계면활성제, 점도 조절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혼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pH 조절제는 유지 성분, 계면활성제, 점도 조절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직접 첨가하여 혼합하거나 수성용제에 pH 조절제를 혼합한 후 유지 성분, 계면활성제, 점도 조절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수성용제를 혼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에 대해 기재된 설명은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손 등의 피부 표면에서 우수한 살균, 소독 효과를 가지며,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피부를 보습하여 피부 수분량을 개선할 수 있어 겔 조성물 사용 후 피부 거칠음 및 건조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독용 겔 조성물은 보관 시 성분의 분리나 침전 등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제형 보관(저장) 안정성을 갖는다.
도 1은 다양한 저장 조건 하에서 보관한 후 실시예 1의 겔의 성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 내지 5는 실시예 1의 겔을 처리한 처리군의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도 2), 대장균(Escherichia coli, 도 3),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도 4) 및 살모넬라(Salmonella typhimurium, 도 5) 균주 배지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6 내지 9는 미처리군의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도 6), 대장균(Escherichia coli, 도 7),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도 8) 및 살모넬라(Salmonella typhimurium, 도 9) 균주 배지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10는 실시예 1의 겔을 사용하기 전 및 사용한 직후의 사용 부위에서의 수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는 실시예 1의 겔을 사용하기 전 및 사용한 직후의 사용 부위에서의 수분량 변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 및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겔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독용 겔을 제조하였다.
성분 및 함량(g) 실시예 1
에탄올 60
카보머 0.2
카보머코폴리머 (Type B) 0.3
중쇄트리글리세리드(PALMESTER 3595) 3.0
시어버터 1.0
글리세린 3.0
히알루론산나트륨 0.001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폴리소르베이트 20 0.5
트롤아민 0.2
정제수 적량
구체적으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의 중쇄트리글리세리드 및 시어버터를 계면활성제(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20)와 함께 가온(80℃) 용해하고, 용해물을 글리세린,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점도 조절제(카보머 및 카보머코폴리머(Type B))를 분산시킨 정제수에 첨가하고 유화시켰다. 이어서, 유화물을 45℃로 냉각시킨 다음 에탄올에 분산시켰다. 트롤아민을 용해한 정제수와 에탄올 분산된 유화물을 혼합하여 총 중량 100 g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불투명한 성상의 겔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제형 안정성 평가
제조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겔의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안정성 평가 조건은 다음과 같다: 저온(5℃) 조건에서 6개월, 장기(25℃) 조건에서 6개월, 가속(40℃) 조건에서 6개월, 가혹(50℃) 조건에서 1개월. 안정성 평가 결과는 표 2 및 도 1에 나타낸다.
평가 조건 성상 변화 변색, 변취
5℃ (저온, 6개월) - -
25℃ (장기, 6개월) - -
40℃ (가속, 6개월) - -
50℃ (가혹, 1개월) - -
* -; 없음
도 1은 실시예 1의 겔을 안정성 평가 조건에서 보관 후의 성상을 촬영한 사진으로, 도 1의 좌측부터 5℃, 25℃, 40℃ 및 50℃ 조건에서 보관된 겔을 나타낸다.
표 2 및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겔은 5℃, 25℃ 및 40℃에서 6개월 보관 및 50℃ 조건에서 1개월 보관 후에도 성분의 석출이나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겔은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장기 보관 시에도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항균 능력 평가
실시예 1의 겔의 외용소독제로서의 효능 평가를 위해 한국미생물기술연구원(KMTR)에 의뢰하여 항균 능력 시험을 평가하였다. 항균 능력 시험은 대한민국약전 일반시험법 중 미생물한도시험법에 제시된 미생물 균주들 중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10145) 및 살모넬라(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1)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여 수행하였다. 항균 능력 시험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외용소독제(의약외품) 효력평가법 가이드라인의 In vitro 시험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항균 능력 시험 평가 결과, 도 2 내지 도 9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실시예 1의 겔을 처리한 처리군에서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도 2), 대장균(Escherichia coli, 도 3),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도 4) 및 살모넬라(Salmonella typhimurium, 도 5) 균주가 생장하지 않은 반면, 미처리군에서는 상기 균주들이 생장하여 콜로니를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6 내지 9).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겔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살모넬라(Salmonella typhimurium) 균주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이 외용소독제로서 유효함을 의미한다.
실험예 3: 보습 효능 평가
실시예 1의 겔에 대한 보습 효능 평가를 위해 P&K 피부임상연구센터에 의뢰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임상시험은 총 21명의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1) 실시예 1의 겔을 도포하기 전 및 도포한 후 도포 부위에서의 수분량 변화를 측정하고, (2) 실시예 1의 겔을 도포한 후의 수분량 개선 정도에 대한 유효성 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행하였다.
(1) 수분량 개선 평가
실시예 1의 겔을 도포하기 전 및 도포한 직후의 사용(도포)부위에서 겉보습(수분량)의 변화를 수분측정기로(Corneometer)로 측정하였고, 겉보습(수분량) 변화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3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겔은 사용 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에 수분량은 약 115.597% 증가하였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임(p<0.05)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겔은 우수한 피부 보습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유효성 평가 설문조사
시험 대상자 21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겔 사용 후의 대조제품 대비 겉보습 수분량 개선 정도에 대하여 아주 좋음(4), 좋음(3), 보통(2), 나쁨(1), 아주 나쁨(0)의 5단계로 평가하도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보습 효능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대조제품은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시어버터, 카보머코폴리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시판 동아 핸디가드 손 소독젤 제품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4를 참조하면, 유효성 평가 결과, 실시예 1의 겔에 대하여 대조제품 대비 겉보습 수분량 개선 항목에서 시험대상자의 100%가 보통이상으로 평가하였고, 90% 이상이 아주 좋음 또는 좋음으로 평가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겔은 기존 시판제품인 대조제품과 비교하여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8)

  1.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유지 성분; 카보머 및 카보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점도 조절제;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수성용제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소독용 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50 w/w% 내지 95 w/w%의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0.01 내지 15 w/w%의 유지 성분; 0.001 내지 2 w/w%의 점도 조절제; 0.01 내지 3 w/w%의 계면활성제; 및 수성용제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은, 에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성분은, 식물성 지방;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합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지방은, 시어버터, 코코아 버터, 망고씨버터, 야자씨버터 및 사라수씨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팜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동백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잇꽃씨 오일, 포도씨 오일, 콩 오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동물성 오일은, 스쿠알란, 라놀린 및 마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턴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 오일은, 실리콘 오일, 미네랄 오일, 에스터 오일, 폴리알파올레핀 및 페트롤라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성분은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성분은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 및 시어버터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용 겔 조성물은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pH 조절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용 겔 조성물은 소독용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w/w%내지 10 w/w%의 글리세린; 0.0001 w/w% 내지 1 w/w%의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0.001 w/w% 내지 1 w/w%의 pH 조절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
  10.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유지 성분; 카보머 및 카보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점도 조절제;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수성용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소독용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w/w% 내지 95 w/w%의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 0.01 내지 15 w/w%의 유지 성분; 0.001 내지 2 w/w%의 점도 조절제; 0.01 내지 3 w/w%의 계면활성제; 및 수성용제를 혼합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코올은, 에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성분은, 식물성 지방;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합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지방은, 시어버터, 코코아 버터, 망고씨버터, 야자씨버터 및 사라수씨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팜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동백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잇꽃씨 오일, 포도씨 오일, 콩 오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동물성 오일은, 스쿠알란, 라놀린 및 마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턴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 오일은, 실리콘 오일, 미네랄 오일, 에스터 오일, 폴리알파올레핀 및 페트롤라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성분은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성분은 중쇄트리글리세리드 오일 및 시어버터를 포함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pH 조절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혼합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소독용 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w/w%내지 10 w/w%의 글리세린; 0.0001 w/w% 내지 1 w/w%의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0.001 w/w% 내지 1 w/w%의 pH 조절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소독용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00127595A 2020-09-29 2020-09-29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595A KR102482158B1 (ko) 2020-09-29 2020-09-29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21/013203 WO2022071714A1 (ko) 2020-09-29 2021-09-28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595A KR102482158B1 (ko) 2020-09-29 2020-09-29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794A true KR20220043794A (ko) 2022-04-05
KR102482158B1 KR102482158B1 (ko) 2022-12-29

Family

ID=8095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595A KR102482158B1 (ko) 2020-09-29 2020-09-29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2158B1 (ko)
WO (1) WO2022071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26962A (zh) * 2023-03-23 2023-04-28 山东新华莎罗雅生物技术有限公司 凝胶类手消毒液的感官评价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4878A1 (en) * 2011-02-23 2012-08-23 Donald R. Korb High Alcohol Content Sanitizer
KR101529308B1 (ko) * 2006-02-09 2015-06-16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수술전 피부 소독용 조성물 및 수술전 피부 소독 방법
JP2015178497A (ja) * 2014-03-19 2015-10-08 純萃生技股▲ふん▼有限公司 潤滑、保湿、消毒や殺菌に使う半流体の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60346178A1 (en) * 2013-06-06 2016-12-01 Ecolab Usa Inc. Alcohol hand sanitizer with improved dermal compatibility and feel
WO2017212422A1 (en) * 2016-06-08 2017-12-14 Novartis Consumer Health Sa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arbomer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ral infections and allergic conditions
US20200221707A1 (en) * 2017-07-14 2020-07-16 Cleanspot, Inc. Sanitiz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308B1 (ko) * 2006-02-09 2015-06-16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수술전 피부 소독용 조성물 및 수술전 피부 소독 방법
US20120214878A1 (en) * 2011-02-23 2012-08-23 Donald R. Korb High Alcohol Content Sanitizer
US20160346178A1 (en) * 2013-06-06 2016-12-01 Ecolab Usa Inc. Alcohol hand sanitizer with improved dermal compatibility and feel
JP2015178497A (ja) * 2014-03-19 2015-10-08 純萃生技股▲ふん▼有限公司 潤滑、保湿、消毒や殺菌に使う半流体の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WO2017212422A1 (en) * 2016-06-08 2017-12-14 Novartis Consumer Health Sa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arbomer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ral infections and allergic conditions
US20200221707A1 (en) * 2017-07-14 2020-07-16 Cleanspot, Inc. Sanitiz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158B1 (ko) 2022-12-29
WO2022071714A1 (ko)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78497A (ja) 潤滑、保湿、消毒や殺菌に使う半流体の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H07330505A (ja) 抗菌性組成物
ES2803924T3 (es) Composición para aplicación tópica con actividad antifúngica
JPWO2007094332A1 (ja) 消毒用軟膏剤
KR20110101138A (ko) 에멀젼계 치료학적 국소 제형용 보존 시스템
JP5637987B2 (ja) 防腐剤組成物
KR100454036B1 (ko) 선택적 항균 조성물
WO2021217324A1 (zh) 消毒剂组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US11564963B2 (en) Topical compositions, process of large-scale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CN110545825A (zh) 消毒用组合物
KR102482158B1 (ko)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5200339A (ja) 抗菌剤
JP6971518B2 (ja) チモール、テルピネオール、及びカチオン性リン脂質を含む抗菌組成物
US8383166B2 (en) Stable hydrophobic topical herbal formulationn
ES2411983T3 (es) Utilización de excipientes como conservantes y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que los contienen
JPWO2016104618A1 (ja) 医療用皮膚外用剤
JP2019210250A (ja) イソペンチルジオールを含有する防腐剤組成物
JP5507146B2 (ja) 油中水型乳化ペースト状口唇用医薬品製剤
KR20190042164A (ko)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성분을 함유한 무방부제 물티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R2714603A1 (fr) Composition dermatologique et son utilisation pour la préparation d&#39;un médicament.
EP3638219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erpinene-4-ol for the treatment of demodicosis
Sheshala et al. Development and Anti-microbial Potential of Topical Formulations Containing Cocos nucifera Linn.
JPH0536404B2 (ko)
KR20160068302A (ko) 폴리글리세린-3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보존용 조성물
CN111249168A (zh) 一种预防蚊虫叮咬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