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577A -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577A
KR20220043577A KR1020200127135A KR20200127135A KR20220043577A KR 20220043577 A KR20220043577 A KR 20220043577A KR 1020200127135 A KR1020200127135 A KR 1020200127135A KR 20200127135 A KR20200127135 A KR 20200127135A KR 20220043577 A KR20220043577 A KR 20220043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heet
polyurethane foam
flame retardant
flame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135B1 (ko
Inventor
김기성
박서규
고세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켐코
Priority to KR1020200127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1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C08G18/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캡슐화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혼합물이 함유된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를 제조하는 표면처리제제조단계,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표면처리제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일면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및 상기 코팅단계를 통해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에 코팅된 표면처리제를 경화하는 경화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은 캡슐화를 통해 표면개질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 혼합물이 함유된 표면처리제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표면에 도포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와의 도막 밀착성이 우수하며, 난연성능 뿐만 아니라 끈적임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표면처리층이 제공되어 권취 혹은 사용과정에서 주름발생이 억제되며, 발포시트 내부에 난연제가 함유되지 않아 기공층의 안정화로 인해 탄성, 압축복원력 및 인장강도 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FLAME RETARDANT POLYUREYHANE FOAM SHEET}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캡슐화를 통해 표면개질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 혼합물이 함유된 표면처리제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표면에 도포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와의 도막 밀착성이 우수하며, 난연성능 뿐만 아니라 끈적임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표면처리층이 제공되어 권취 혹은 사용과정에서 주름발생이 억제되며, 발포시트 내부에 난연제가 함유되지 않아 기공층의 안정화로 인해 탄성, 압축복원력 및 인장강도 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제공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막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는 주로 모바일 기기나 TV 가전 및 자동차 등에 적용되어 완충재 및 씰링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과정 중 발생될 수 있는 발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내부에 일체형으로 난연제를 일정량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종래의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는 난연제가 이물질로 작용하여 기공층에 함유됨으로써, 기공층의 크기가 불균일하며, 복원력이 저하되고, 표면이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폴리우레탄 수지의 팽창과정에서 난연제 입자간의 거리가 멀어짐으로 인해 난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특히, 1.5mm 이하의 박막 폴리우레탄 발포 시트의 경우 두께가 두꺼운 발포시트와 동일한 함량의 난연제를 첨가하더라도 난연성이 저하되는 바, 이의 난연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난연제가 과다 충전됨으로 인해 상기에 언급한 문제점들이 더욱 부각되는 단점들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각종 고분자 재료가 전기, 전자부품, 차량, 항공기 및 선박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난연화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재료의 난연화 방법에는 고분자의 구조를 변경시켜 내열, 난연성을 가진 고분자를 합성하는 방법, 화학결합을 통해 난연성을 가진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난연제를 고분자에 첨가시키는 방법, 최종제품에 난연제를 코팅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중 고분자에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난연제는 구성성분에 따라 유기계와 무기계로 나뉘는데, 유기계는 주로 인계, 브롬계, 염소계로 분류되고, 무기계는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에 나열된 난연제들을 고분자 재료에 직접 혼합되는 경우 고분자 재료의 투명도를 저하시켜 외관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되며, 난연제의 고르게 분산되지 못해 균일한 난연성을 나타내기가 어렵고, 고분자 소재와의 접착성이 낮에 쉽게 탈리되거나 자외선에 의한 고분자 소재의 경화도가 저하시켜 표면에 끈적임이 남기 때문에 도막 내구성 및 내오염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926834호(2009.11.06) 한국특허등록 제10-1865980호(2018.06.01)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화를 통해 표면개질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 혼합물이 함유된 표면처리제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표면에 도포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와의 도막 밀착성이 우수하며, 난연성능 뿐만 아니라 끈적임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표면처리층이 제공되어 권취 혹은 사용과정에서 주름발생이 억제되며, 발포시트 내부에 난연제가 함유되지 않아 기공층의 안정화로 인해 탄성, 압축복원력 및 인장강도 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제공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화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혼합물이 함유된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를 제조하는 표면처리제제조단계,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표면처리제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일면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및 상기 코팅단계를 통해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에 코팅된 표면처리제를 경화하는 경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는 우레탄계 올리고머 10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 50 내지 150 중량부, 광개시제 2 내지 15 중량부 및 캡슐화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 혼합물 25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난연제 혼합물은 캡슐화된 난연제 100 중량부 및 멜라민 30 내지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직쇄상의 탄소수가 9 내지 30인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8-옥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1,14-테트라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캡슐화된 난연제는 난연제 100 중량부의 표면을 합성수지 100 내지 0.005 내지 100 중량부로 코팅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하이임펙트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에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에폭시, 멜라민,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코팅단계는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표면처리제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일면에 2 내지 20㎛의 두께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경화단계는 상기 코팅단계를 통해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에 코팅된 표면처리제에 800 내지 12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은 캡슐화를 통해 표면개질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 혼합물이 함유된 표면처리제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표면에 도포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와의 도막 밀착성이 우수하며, 난연성능 뿐만 아니라 끈적임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표면처리층이 제공되어 권취 혹은 사용과정에서 주름발생이 억제되며, 발포시트 내부에 난연제가 함유되지 않아 기공층의 안정화로 인해 탄성, 압축복원력 및 인장강도 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발포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은 캡슐화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혼합물이 함유된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를 제조하는 표면처리제제조단계(S101),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표면처리제(20)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일면에 코팅하는 코팅단계(S103) 및 상기 코팅단계(S103)를 통해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에 코팅된 표면처리제(20)를 경화하는 경화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S101)는 캡슐화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 혼합물이 함유된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를 제조하는 단계로, 우레탄계 올리고머 10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 50 내지 150 중량부, 광개시제 2 내지 15 중량부 및 난연제 혼합물 25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우레탄계 올리고머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광개시제 반응에 의한 라디칼 중합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며 탄성 및 강도가 우수한 도막을 제공하며 특히,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표면에 대한 우수한 밀착력을 나타낸다.
상기 아크릴게 모노머는 50 내지 150 중량부가 함유되며, 직쇄상의 탄소수가 9 내지 30인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8-옥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1,14-테트라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의 유연성, 밀착성, 가교밀도 적정성 등을 고려하여, 직쇄상의 탄소수 9 내지 30인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가 사용되었다.
이때, 3관능을 넘는 측쇄상 모노머의 사용은 도막 경화물의 경도가 높아지거나 유연성이 감소되어, 도막의 두께가 5㎛ 이상 형성되면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권취과정이나 사용과정에서 표면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의 유연성, 밀착성, 가교밀도 적정성 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량이 1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캡슐화된 난연제의 함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광개시제는 2 내지 15 중량부가 함유되며, 상기 우레탄계 올리고머의 라디칼 중합을 개시하여 탄성 및 강도 등이 우수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표면과 우수한 밀착을 나타내는 도막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데, 아세토페논 계열, 벤조인에테르 계열 및 벤질케톤 계열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제 혼합물은 캡슐화된 난연제 100 중량부 및 멜라민 30 내지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20)로 이루어지는 도막에 난연성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난연제 100 중량부의 표면을 합성수지 100 내지 0.005 내지 100 중량부로 코팅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슐화된 난연제는 난연제 100 중량부, 합성수지 0.005 내지 100 중량부 및 유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에 경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30 내지 100℃의 온도에서 교반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때, 상기 난연제는 인계난연제를 사용하거나, 인계난연제와 수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계 난연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하이임펙트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에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에폭시, 멜라민,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소듐라우릴레이트, 소듐올레이트, 포타슘올레이트, 포타슘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지방산금속,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및 로진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단계(S103)는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표면처리제(20)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일면에 코팅하는 단계로,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표면처리제(20)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일면에 2 내지 20㎛의 두께로 코팅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처리제(20)의 코팅두께가 2㎛ 미만이면 폴리우레판 발포시트(10)의 난연성과 끈적임 감소 등의 효과가 미미하며, 권취 혹은 사용과정에서 주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처리제(20)의 코팅두께가 2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표면처리제(20)의 코팅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제조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는 저밀도 박막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기포를 안정시키는 정포제, 중합반응을 촉진 시키는 경화성 촉매, 경도 및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필러, 색상을 표현하는 안료 등을 혼합한 조성물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발포 조촉매인 질소를 추가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판 발포시트(10)는 두께범위가 0.07 내지 5.0mm 일 수 있으며, 적용분야로 인해 박막의 기준이 요구되므로, 1.5mm이하의 두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도범위는 0.1 내지 0.5g/cm3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한데, 발포배율이 2 내지 10인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발포배율은 발포배율이 2배 미만이면 기공의 수가 너무 적어 중량이 무겁고 탄성 및 단열성이 저하되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발포배율이 10배를 초과하게 되면 중량은 가벼우나 기계적 물성이 지나치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경화단계(S105)는 상기 코팅단계(S103)를 통해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에 코팅된 표면처리제(20)를 경화하는 단계로, 상기 코팅단계(S103)를 통해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에 코팅된 표면처리제(20)에 800 내지 12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열풍건조기를 통해 발생하는 120 내지 150℃의 열풍으로 경화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의 조건의 자외선 조사후 상기 온도범위의 열풍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의 조사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자외선 조사시 온도조건은 50 내지 60℃가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발포시트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캡슐화된 난연제의 제조
난연제(인계난연제) 100 중량부, 합성수지(폴리스티렌) 50 중량부 및 유화제(소듐라우릴레이트)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에 경화제(헥사메틸렌디아민) 5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60℃의 온도에서 교반시켜 캡슐화된 난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난연제 혼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캡슐화된 난연제 100 중량부에 멜라민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난연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의 제조
우레탄계 올리고머(우레탄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광개시제(2, 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8 중량부 및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난연제 혼합물 1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두께가 1.5mm인 폴리우레판 발포시트(밀도 0.2g/cm3, 발포배율 6배)의 표면에 상기 제조예 3를 통해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를 5㎛의 두께로 도포하고 55℃의 온도에서 10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두께가 1.5mm인 폴리우레판 발포시트(밀도 0.18g/cm3, 발포배율 7배)의 표면에 상기 제조예 3를 통해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를 10㎛의 두께로 도포하고 55℃의 온도에서 10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두께가 1.5mm인 폴리우레판 발포시트(밀도 0.22g/cm3, 발포배율 5배).
상기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와 상기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난연성과 영구압축줄음율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난연성은 UL-94 수평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영구압축줄음율은 영구압축줄음율시험기인 LT170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는 비교예 1의 폴리우레탄발포시트와 대등한 영구압축줄음율을 나타내면서도 난연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은 캡슐화를 통해 표면개질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 혼합물이 함유된 표면처리제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표면에 도포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와의 도막 밀착성이 우수하고, 난연성능 뿐만 아니라 끈적임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표면처리층이 제공되어 권취 혹은 사용과정에서 주름발생이 억제되며, 발포시트 내부에 난연제가 함유되지 않아 기공층의 안정화로 인해 탄성, 압축복원력 및 인장강도 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제공한다.
S101 ; 표면처리제제조단계
S103 ; 코팅단계
S105 ; 경화단계
10 ; 표면처리제
20 ;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Claims (8)

  1. 캡슐화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혼합물이 함유된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를 제조하는 표면처리제제조단계;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표면처리제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일면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및
    상기 코팅단계를 통해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에 코팅된 표면처리제를 경화하는 경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는 우레탄계 올리고머 10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 50 내지 150 중량부, 광개시제 2 내지 15 중량부 및 캡슐화된 난연제와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난연제 혼합물 25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 혼합물은 캡슐화된 난연제 100 중량부 및 멜라민 30 내지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직쇄상의 탄소수가 9 내지 30인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8-옥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1,14-테트라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난연제는 난연제 100 중량부의 표면을 합성수지 100 내지 0.005 내지 100 중량부로 코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하이임펙트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에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에폭시, 멜라민,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는 상기 표면처리제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표면처리제를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일면에 2 내지 20㎛의 두께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단계는 상기 코팅단계를 통해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에 코팅된 표면처리제에 800 내지 12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KR1020200127135A 2020-09-29 2020-09-29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KR102456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135A KR102456135B1 (ko) 2020-09-29 2020-09-29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135A KR102456135B1 (ko) 2020-09-29 2020-09-29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577A true KR20220043577A (ko) 2022-04-05
KR102456135B1 KR102456135B1 (ko) 2022-10-18

Family

ID=8118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135A KR102456135B1 (ko) 2020-09-29 2020-09-29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13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676A (ko) * 2004-11-17 2006-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캡슐화 인계 난연제 및 이를 포함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926834B1 (ko) 2009-02-06 2009-11-12 광스틸 주식회사 난연성 경질 폴리우레탄 폼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007109A (ja) * 2010-06-25 2012-01-12 Kiyoshi Adachi 耐火用粉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発泡型防火組成物
JP2014524954A (ja) * 2011-06-28 2014-09-2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吹付け可能な難燃性ポリウレタン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20150120773A (ko) * 2014-04-18 2015-10-28 안문준 불연성 분말체 및 이를 함유하는 발포형 불연조성물
KR20170068887A (ko) * 2015-12-10 2017-06-20 김수철 우드 블라인드용 난연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난연 우드 블라인드
KR101865980B1 (ko) 2010-11-18 2018-06-0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난연성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KR101927926B1 (ko) * 2018-06-08 2018-12-11 이동룡 발포 우레탄 스펀지용 기능성 코팅 조성물의 코팅 방법, 및 코팅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676A (ko) * 2004-11-17 2006-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캡슐화 인계 난연제 및 이를 포함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926834B1 (ko) 2009-02-06 2009-11-12 광스틸 주식회사 난연성 경질 폴리우레탄 폼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007109A (ja) * 2010-06-25 2012-01-12 Kiyoshi Adachi 耐火用粉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発泡型防火組成物
KR101865980B1 (ko) 2010-11-18 2018-06-0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난연성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JP2014524954A (ja) * 2011-06-28 2014-09-2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吹付け可能な難燃性ポリウレタン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20150120773A (ko) * 2014-04-18 2015-10-28 안문준 불연성 분말체 및 이를 함유하는 발포형 불연조성물
KR20170068887A (ko) * 2015-12-10 2017-06-20 김수철 우드 블라인드용 난연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난연 우드 블라인드
KR101927926B1 (ko) * 2018-06-08 2018-12-11 이동룡 발포 우레탄 스펀지용 기능성 코팅 조성물의 코팅 방법, 및 코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135B1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1163A (ko) 전사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5224965B2 (ja) 樹脂硬化物およびキーシート
JP2009013397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17468B2 (ja) 衝撃吸収シート
WO2016093313A1 (ja) 床用化粧材
KR102456132B1 (ko)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EP3689954A1 (en) Shock-absorbing sheet
JP2020172641A (ja) 難燃発泡体および発泡部材
KR100930781B1 (ko)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EP3354669B1 (en) Solid surface produc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456135B1 (ko)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KR102405705B1 (ko)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JP2016147416A (ja) 自己修復性フィルム
JP7087358B2 (ja) 繊維強化成形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US20130075958A1 (en)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foam
JPH11197501A (ja) アルデヒド吸着剤及びその用途、その使用方法
JPH0867771A (ja) 難燃性成形材料
CN108603953B (zh) 光扩散剂、光扩散性树脂组合物和成型体
WO2019203134A1 (ja) 重合性組成物及び立体造形物の製造方法
JPH09176331A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高強度シートモールディングコンパウンド及びその成形方法
JP6276452B1 (ja) 機能性連続気泡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75605B1 (ko) 플로어 양면 매트
JP7010319B2 (ja) 床用化粧材
WO2022128515A1 (en) Radiation-curable liquid composition and 3d-printed object formed from the same
JP2010222777A (ja) 壁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