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996A -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996A
KR20220042996A KR1020210029515A KR20210029515A KR20220042996A KR 20220042996 A KR20220042996 A KR 20220042996A KR 1020210029515 A KR1020210029515 A KR 1020210029515A KR 20210029515 A KR20210029515 A KR 20210029515A KR 20220042996 A KR20220042996 A KR 20220042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polymer aqueous
mixing tank
concentration polym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266B1 (ko
Inventor
심광보
Original Assignee
심광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광보 filed Critical 심광보
Publication of KR2022004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은, 폴리머용액을 이송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폴리머 용액 펌프(10); 폴리머 용액 펌프(10)로부터 펌핑된 폴리머 용액이 공급되는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 폴리머 용액에 혼합될 용수를 공급되도록 하는 용수펌프(30); 용수펌프(30)로부터 펌핑된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공급라인(40); 공급된 폴리머 용액을 혼합하여 폴리머 수용액을 공급하는 라인피더(45); 상기 라인피더(45)와 연결되어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며, 제 1 교반기(51)가 구비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서 혼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과 연결되어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고, 제 2 교반기(71)가 구비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서 혼합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탈수기로 공급되도록 하여 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이 응집되도록 하는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80); 미사용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 미사용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Polymer Solution Supply System for Waste Water}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등에서 응집제로 많이 사용되는 폴리머와 물의 혼합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미사용시 폴리머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혼합탱크 내부를 세척하도록 하여 재사용시 혼합탱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 처리공정에서 응집제로 많이 사용되는 폴리머(고분자 화합물)는 용해시킨 후에 물과 혼합하여 폐수에 투입하여 오염물을 응집시켜 제거하게 된다.
폐수에 폴리머를 투입하게 되면, 폴리머가 응집제로서 작용을 하여 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응집시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폴리머 용액을 물과 혼합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폴리머용액과 일정비율의 물을 혼합탱크에 투입한 후, 이를 별도의 교반기를 통해 균일하게 교반되도록 한 다음, 균일하게 교반된 폴리머 수용액을 탈수기로 투입시키면 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은 폴리머와 반응하여 응집되게 되고 물은 배수되게 되며 탈수기에는 응집물의 케이크(cake)만 남게 된다.
종래의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은, 공급시스템의 사용시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공급시스템의 미사용시에는 혼합탱크 내에 담긴 폴리머 수용액이 경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교반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교반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더라도 미사용시에는 폴리머 수용액으로부터 물이 증발하게 되므로 폴리머 수용액의 혼합농도가 높게 되어 경화가 서서히 진행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은 혼합탱크 내에 담긴 폴리머 수용액을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가 구비되지 않아 혼합탱크 내에 담긴 폴리머 수용액을 소진하여야 하며, 소진 후에도 혼합탱크에 잔존하는 폴리머 수용액이 경화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혼합탱크 내에 담긴 폴리머 수용액의 농도를 맞추는 데에 시간이 많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혼합탱크 내에 담긴 폴리머 수용액을 배수하여 혼합탱크를 세척하도록 하기 위한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탱크 내에 담긴 폴리머 수용액을 배수하여 혼합탱크를 세척하도록 하기 위한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은, 폴리머용액을 이송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폴리머 용액 펌프(10); 상기 폴리머 용액 펌프(10)로부터 펌핑된 폴리머 용액이 공급되는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 폴리머 용액에 혼합될 용수를 공급되도록 하는 용수펌프(30); 상기 용수펌프(30)로부터 펌핑된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공급라인(40); 상기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과 상기 용수공급라인(40)에 연결되어 공급된 폴리머 용액을 혼합하여 폴리머 수용액을 공급하는 라인피더(45); 상기 라인피더(45)와 연결되어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폴리머 수용액이 수용되어 저장되고, 폴리머 수용액을 교반시켜 혼합되도록 하는 제 1 교반기(51)가 구비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서 혼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과 연결되어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고, 상기 용수공급라인(40)과 연결되어 용수가 보충공급되며, 폴리머 수용액과 용수를 교반시켜 혼합되도록 하는 제 2 교반기(71)가 구비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서 혼합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탈수기로 공급되도록 하여 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이 응집되도록 하는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80);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의 하부부위와 연결되어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미사용시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에 수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의 하부부위와 연결되어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미사용시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에 수용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 구비되며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의 압력을 가압시켜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의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의 외부로의 배출을 배가시키는 제 1 가압수단(1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 구비되며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의 압력을 가압시켜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의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의 외부로의 배출을 배가시키는 제 2 가압수단(12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가압수단(110)은,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상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의 압력을 가압하는 제 1 컴프레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가압수단(120)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상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의 압력을 가압하는 제 2 컴프레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은, 공급시스템의 미사용시에는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와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 내에 담긴 폴리머 수용액을 배출하게 되므로, 혼합탱크 내에 담긴 폴리머 수용액이 경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교반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종래에 미사용시 혼합탱크 내에 담긴 폴리머 수용액의 농도변화에 따른 폐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와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 내에 담긴 폴리머 수용액의 소진 후에도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와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에 폴리머 수용액이 잔존하지 않아 재사용시에 폴리머 수용액의 제조농도에 맞게 제조할 수 있어 폴리머 수용액의 농도변화에 따른 폐수처리 효율이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와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로 나누어 고농도 폴리머 용액의 농도와 저농도 폴리머 용액의 농도를 맞추게 되므로 폴리머 용액의 농도를 맞추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의 가압수단이 구비된 혼합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의 가압수단이 구비된 혼합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은, 폴리머 용액 펌프(10);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 용수펌프(30); 용수공급라인(40);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80);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머 용액 펌프(10)는, 폴리머용액을 이송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은, 상기 폴리머 용액 펌프(10)로부터 펌핑된 폴리머 용액이 공급된다.
상기 용수펌프(30)는, 폴리머 용액에 혼합될 용수를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수공급라인(40)은, 상기 용수펌프(30)로부터 펌핑된 용수가 유입된다.
상기 라인피더(45)는, 상기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과 상기 용수공급라인(40)에 연결되어 공급된 폴리머 용액을 혼합하여 폴리머 수용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는, 상기 라인피더(45)와 연결되어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폴리머 수용액이 수용되어 저장되고, 폴리머 수용액을 교반시켜 혼합되도록 하는 제 1 교반기(51)가 구비된다.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수위감지센서(52)가 구비된다.
상기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에는 공급되는 폴리머 용액의 유량을 감지하는 폴리머 용액 유량감지기(21)가 구비된다.
상기 용수공급라인(40)에는 상기 용수펌프(30)로부터 펌핑된 용수가 유입되는데, 폴리머 용액 유량감지기(21)에 의해 감지된 폴리머 용액의 유량에 상응하여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하기 위한 용수를 감지된 폴리머 용액의 유량에 상응하는 용수를 일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밸브(41)가 구비된다. 상기 용수공급밸브(41)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수공급라인(40)에는 상기 용수공급밸브(41)와 병렬연결되어 수동으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와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로 각각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동개폐밸브(42)가 구비된다. 상기 수동개폐밸브(42)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용수공급밸브(41)의 고장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은,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서 혼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에는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서 혼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로 공급하기 위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밸브(61)가 구비된다.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에는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밸브(61)와 병렬연결되어 수동으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로 공급하기 위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용 수동개폐밸브(62)가 구비된다.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용 수동개폐밸브(62)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밸브(61)의 고장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는,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과 연결되어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고, 상기 용수공급라인(40)과 연결되어 용수가 보충공급되며, 폴리머 수용액과 용수를 교반시켜 혼합되도록 하는 제 2 교반기(71)가 구비된다.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수위감지센서(72)가 구비된다.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80)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서 혼합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탈수기로 공급되도록 하여 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이 응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80)에는 탈수기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일정량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밸브(81)가 구비된다.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밸브(81)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80)에는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밸브(81)와 병렬연결되어 수동으로 탈수기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수동개폐밸브(82)가 구비된다. 상기 수동개폐밸브(82)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밸브(81)의 고장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의 미사용시 수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경화되게 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의 미사용시 수용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경화되게 된다. 이와 같이, 폴리머 수용액이 경화되게 되면 탱크를 청소하여야 하나, 청소를 위해서는 배관 뿐만 아니라 탱크를 분해하여야 하므로 청소가 매우 어렵고 청소시간이 많게 소요되므로 재가동하는데 시간이 많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과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을 구비하여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및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 수용된 폴리머 수용액을 배출되도록 하여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은,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의 하부부위와 연결되어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미사용시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에 수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에는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미사용시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에 수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밸브(91)가 구비된다.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의 하부부위와 연결되어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미사용시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에 수용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에는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미사용시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에 수용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밸브(10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제조하고,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제조하게 됨으로써 폴리머 수용액의 농도를 맞추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과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전압 발생기(13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 발생기(130)는,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과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로 유동되는 폴리머 수용액의 배출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압 발생기(130)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게 되면 전위차에 의해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과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으로 유동되는 폴리머 수용액의 배출을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폴리머 수용액에 의해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폴리머 수용액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압 발생기(130)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과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 내부에 폴리머 수용액과 접하는 상태이므로 열이 발생되게 되고 발생된 열은 폴리머가 배출라인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과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은 금속재로 되며, 외부에는 절연재로 둘러싸도록 하여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되게 된다.
폴리머 용액 펌프(10)에 의해 폴리머용액을 이송시켜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을 통해 폴리머 용액이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로 공급되게 된다.
폴리머 용액이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로 공급될 때, 상기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에 구비된 폴리머 용액의 유량을 감지하는 폴리머 용액 유량감지기(21)에 의해 유량이 감지되며 공급되게 된다.
한편, 용수펌프(30)는 폴리머 용액에 혼합될 용수를 펌핑되도록 하며, 용수공급라인(40)을 통해 상기 용수펌프(30)로부터 펌핑된 용수가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로 유입되게 된다.
유입된 폴리머용액과 용수는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 수용되어 저장되고, 제 1 교반기(51)에 의해 폴리머 용액과 용수가 교반 혼합되게 된다.
상기 폴리머 용액 유량감지기(21)에 의해 유량이 감지된 폴리머 용액의 농도에 맞게 용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용수공급라인(40)에 구비된 용수공급밸브(41)에 의해 폴리머 용액 유량감지기(21)에 의해 감지된 폴리머 용액의 유량에 상응하여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하기 위한 용수를 감지된 폴리머 용액의 유량에 상응하는 용수를 일정량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용수와 1차 혼합된 폴리머 수용액은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을 통해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서 혼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로 공급되도록 한다.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로 공급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은 상기 용수공급라인(40)을 통해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되도록 용수가 보충공급되며,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 구비된 제 2 교반기에 의해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과 용수가 교반 혼합되어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으로 된다.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서 혼합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탈수기로 공급되도록 하여 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이 응집되게 된다.
본 발명의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와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는 미사용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와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에 각각 수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과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제 1 가압수단(110)과 제 2 가압수단(120)이 각각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 구비되도록 한다(도 4 참조).
상기 제 1 가압수단(110)은,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 구비되며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의 압력을 가압시켜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의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의 외부로의 배출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가압수단(120)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 구비되며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의 압력을 가압시켜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의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의 외부로의 배출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 1 가압수단(110) 및 제 2 가압수단(120)에 의해 각각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 수용된 폴리머 수용액을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 잔존하는 폴리머 수용액을 남김없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청소를 하지 않고 재사용시 폴리머 용액의 농도에 맞게 폴리머 수용액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가압수단(110)은,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상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의 압력을 가압하는 제 1 컴프레셔(미도시됨)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가압수단(120)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상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의 압력을 가압하는 제 2 컴프레셔(미도시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 가압수단(110)은,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의 내부 상단에 구비되는 제 1 가압판(111)과, 상기 제 1 가압판(111)의 상부에 수직결합되는 제 1 피스톤(112)과, 상기 제 1 피스톤(112)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피스톤(112)에 결합된 상기 제 1 가압판(111)을 하강시켜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의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가압하여 외부로의 배출을 배가시키는 제 1 실린더(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가압수단(120)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의 내부 상단에 구비되는 제 2 가압판(121)과, 상기 제 2 가압판(121)의 상부에 수직결합되는 제 2 피스톤(122)과, 상기 제 2 피스톤(122)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제 2 피스톤(122)에 결합된 상기 제 2 가압판(121)을 하강시켜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의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가압하여 외부로의 배출을 배가시키는 제 2 실린더(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가압판(111)은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 2 가압판(121)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 1 가압판(111)과 상기 제 2 가압판(121)은 하강시에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의 내주면에 남아 있는 폴리머 수용액을 긁어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외곽에 블레이드 또는 스크레이퍼(111a,121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는 상부에 개폐도어가 각각 구비되어 탱크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상기 개폐도어에는 상기 제 1 가압수단(110)과 상기 제 2 가압수단(120)이 각각 구비되어 개폐도어의 개방에 의해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및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폴리머 용액 펌프
20 :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
21 : 폴리머 용액 유량감지기
30 : 용수펌프
40 : 용수공급라인
41 : 용수공급밸브
45: 라인피더
50 :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
51 : 제 1 교반기
60 :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
70 :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
71 : 제 2 교반기
80 :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
90 :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
100 :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
110 : 제 1 가압수단
120 : 제 2 가압수단
130: 전압 발생기

Claims (3)

  1. 폴리머용액을 이송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폴리머 용액 펌프(10);
    상기 폴리머 용액 펌프(10)로부터 펌핑된 폴리머 용액이 공급되는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
    폴리머 용액에 혼합될 용수를 공급되도록 하는 용수펌프(30);
    상기 용수펌프(30)로부터 펌핑된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공급라인(40);
    상기 폴리머 용액 공급라인(20)과 상기 용수공급라인(40)에 연결되어 공급된 폴리머 용액을 혼합하여 폴리머 수용액을 공급하는 라인피더(45);
    상기 라인피더(45)와 연결되어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폴리머 수용액이 수용되어 저장되고, 폴리머 수용액을 교반시켜 혼합되도록 하는 제 1 교반기(51)가 구비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서 혼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60)과 연결되어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공급되고, 상기 용수공급라인(40)과 연결되어 용수가 보충공급되며, 폴리머 수용액과 용수를 교반시켜 혼합되도록 하는 제 2 교반기(71)가 구비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서 혼합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이 탈수기로 공급되도록 하여 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이 응집되도록 하는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공급라인(80);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의 하부부위와 연결되어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미사용시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에 수용된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90);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의 하부부위와 연결되어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미사용시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에 수용된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배출라인(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에 구비되며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의 압력을 가압시켜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의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의 외부로의 배출을 배가시키는 제 1 가압수단(1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에 구비되며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의 압력을 가압시켜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의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의 외부로의 배출을 배가시키는 제 2 가압수단(12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수단(110)은,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상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고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50) 내부의 압력을 가압하는 제 1 컴프레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가압수단(120)은,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상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저농도 폴리머 수용액 혼합탱크(70) 내부의 압력을 가압하는 제 2 컴프레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
KR1020210029515A 2020-09-28 2021-03-05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 KR102530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26062 2020-09-28
KR1020200126062 2020-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996A true KR20220042996A (ko) 2022-04-05
KR102530266B1 KR102530266B1 (ko) 2023-05-09

Family

ID=8118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515A KR102530266B1 (ko) 2020-09-28 2021-03-05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2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384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동방수기 2단 혼화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KR101824370B1 (ko) * 2017-09-12 2018-01-31 하영주 축인분을 이용한 비료제조장치
KR102146030B1 (ko) * 2019-08-21 2020-08-21 박장수 원료 용해 및 혼합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384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동방수기 2단 혼화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KR101824370B1 (ko) * 2017-09-12 2018-01-31 하영주 축인분을 이용한 비료제조장치
KR102146030B1 (ko) * 2019-08-21 2020-08-21 박장수 원료 용해 및 혼합교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266B1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168B1 (ko) 스크류탈수기
CN207294458U (zh) 光催化污水处理装置
KR101212334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중의 유기물질, 질소 및 인 제거방법 및 장치
KR20220042996A (ko) 폐수처리용 폴리머 용액 공급시스템
JPH06178979A (ja) 固液分離装置
KR101342551B1 (ko) 단일혼합 슬러지 저류조내 총 고형물 농도향상과 탈수용 상.하부 여과포에 고압력 세정수를 노즐에 공급되게 한 탈수슬러지 함수율 저감장치 및 그 저감방법
JP3796547B2 (ja) 凹版印刷機のワイピング液循環装置
CN215559576U (zh) 一种水利能源用废水利用装置
CN115487555A (zh) 一种板框脱水机高频超声波一体化酸水气冲洗滤布装置
CN114853269A (zh) 一种残渣便于清理的污水处理系统及其方法
CN112225425B (zh) 一种电站化学清洗污泥减量化处理系统及减量化处理方法
JP3162890U (ja) サンドブラスト機に用いられるサンド交換システム
JP2001149710A (ja) スクリュープレス型脱水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洗浄装置
CN111039380A (zh) 一种混凝土废水回收系统及工艺
CN220703368U (zh) 絮凝固体过滤回收一体机
JP4596970B2 (ja) 窒素除去システム
CN220802681U (zh) 一种撬装式全自动膜化学清洗装置
JP4640567B2 (ja) 希釈装置の運転方法
CN103449637A (zh) 一种洗车废水处理循环利用的方法
CN219186185U (zh) 滤布浸泡洗涤装置
CN220215248U (zh) 一种立磨机喷水系统
JPH11170092A (ja) チューブプレス
CN214654130U (zh) 白炭黑生产中污水池污泥泵防过载装置
CN212821736U (zh) 一种土壤淋洗修复及废水处置成套系统
CN215918621U (zh) 一种超声强化的污染土壤异位淋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