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769A -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769A
KR20220042769A KR1020200126001A KR20200126001A KR20220042769A KR 20220042769 A KR20220042769 A KR 20220042769A KR 1020200126001 A KR1020200126001 A KR 1020200126001A KR 20200126001 A KR20200126001 A KR 20200126001A KR 20220042769 A KR20220042769 A KR 20220042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grill
unit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석
임정욱
이기홍
박성호
한승식
서정희
안경진
김진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2769A/ko
Priority to US17/337,087 priority patent/US11293616B1/en
Priority to CN202110752058.1A priority patent/CN114321830A/zh
Priority to DE102021116722.1A priority patent/DE102021116722A1/de
Publication of KR20220042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fron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5Lens surfaces, e.g. coatings or surfac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2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41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of complex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9Light guides with two or more light sources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4/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decorative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그릴에서 빛이 점등되도록 하고, 그릴의 후방에서 빛이 은은하게 퍼짐에 따라 그릴이 고급화되며, 빛의 점등 구조가 축소되어 레이아웃에 유리한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LIGHTING APPARATUS OF GRILL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그릴에서 빛이 점등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면부에는 공력 및 엔진 냉각을 위해 라디에이터 그릴이 구비되며, 내연기관 차량이 아니더라도 차량 전면부의 디자인 요소를 위해 그릴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그릴은 차량 전면부 디자인의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그릴을 통해 빛을 조사하여 그릴이 고급화를 통해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종래에는 그릴에서 빛을 조사하기 위해, 그릴의 후방으로 조명을 설치하여 그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였으나, 광원의 설치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릴의 홀에서 빛이 이질적으로 조사됨에 따라, 그릴의 디자인을 저해하는 문제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062405 A (2017.06.0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그릴에서 빛이 점등되도록 하고, 그릴의 후방에서 빛이 은은하게 퍼짐에 따라 그릴이 고급화되며, 빛의 점등 구조가 축소되어 레이아웃에 유리한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는 복수의 패턴홀을 형성하는 그릴부로 이루어진 그릴 패널; 그릴 패널의 후단에 장착되고 그릴부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렌즈부로 이루어지며, 빛 입사시 내부에서 빛이 이동되고 일부 빛은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된 렌즈 패널; 및 렌즈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고, 렌즈 패널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렌즈 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릴부의 폭은 렌즈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렌즈부를 통해 이동되는 빛이 그릴부의 주변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부에는 광원의 빛이 투과되어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입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사부는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빛확산용 옵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부의 후면에는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 빛출사용 옵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빛출사용 옵틱부는 입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돌기 또는 홈의 크기가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릴부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패턴홀을 형성하고, 렌즈부는 그릴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며, 입사부가 각 렌즈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하나의 렌즈부 또는 복수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원은 각 입사부에 각기 마련되되 각 입사부에서 연장되는 렌즈부에 따라 광원이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사부에는 렌즈부의 연장방향과 동일선상으로 연장된 광가이드부가 형성되고, 광원은 광가이드부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빛의 광축이 렌즈부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사부는 렌즈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부에 광원의 빛이 입사되며 타측부에는 빛을 렌즈부측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부의 전면에는 그릴부가 결합되고, 렌즈부의 후면에는 지지부가 결합되되 렌즈부의 전후방향으로 그릴부와 지지부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그릴부는 렌즈부의 후방에서 지지부를 회피하여 렌즈부에 레이저 융착되고, 지지부는 렌즈부의 전방에서 그릴부를 회피하여 렌즈부에 레이저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는 렌즈부의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렌즈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1단부와 제2단부로 구성되고, 제1단부와 제2단부는 렌즈부의 반대편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부는 제1단부와 제2단부의 함몰된 부분과 매칭되는 부분에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빛반사용 옵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릴부는 렌즈부의 전면에서 지지부의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는 렌즈부의 후면에서 렌즈부의 폭방향 양끝단에 결합되는 연결단부와 각 연결단부를 연결하여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부는 함몰단부와 매칭되는 부분에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빛반사용 옵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는 차량의 그릴에서 빛이 점등되도록 하고, 그릴의 후방에서 빛이 은은하게 퍼짐에 따라 그릴이 고급화되며, 빛의 점등 구조가 축소되어 레이아웃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의 그릴 패널 및 렌즈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의 입사부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그릴 패널, 렌즈 패널, 하우징의 연결 구조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그릴 패널, 렌즈 패널, 하우징의 연결 구조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그릴 패널, 렌즈 패널, 하우징의 연결 구조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의 그릴 패널 및 렌즈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의 입사부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그릴 패널, 렌즈 패널, 하우징의 연결 구조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그릴 패널, 렌즈 패널, 하우징의 연결 구조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그릴 패널, 렌즈 패널, 하우징의 연결 구조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패턴홀(120)을 형성하는 그릴부(110)로 이루어진 그릴 패널(100); 그릴 패널(100)의 후단에 장착되고 그릴부(110)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렌즈부(210)로 이루어지며, 빛 입사시 내부에서 빛이 이동되고 일부 빛은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된 렌즈 패널(200); 및 렌즈 패널(200)의 후면에 장착되고, 렌즈 패널(200)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지지부(310)로 이루어지며, 렌즈 패널(200)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400)이 구비된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그릴 패널(100), 렌즈 패널(200), 하우징(300)이 구성되며, 하우징(300)의 후방으로 차량 전면부를 이루는 커버 패널(50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릴 패널(100)은 그릴부(110)를 통해 차량 전면부에서 내외부로 공기가 순환되는 복수의 패턴홀(120)을 형성하며, 복수의 패턴홀(120)에 따랴 그릴 패널(100)의 디자인이 결정된다. 이러한 그릴 패널(100)의 패턴홀(120)은 도면에 도식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태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디자인에 따라 원형, 다각형 등 불규칙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210)는 그릴 패널(100)의 후단에 장착되고 그릴부(110)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10)의 경우 입사된 빛이 내부로 이동되며, 일부 빛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라이트가이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렌즈부(210)가 그릴부(110)의 일부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경우 그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서 빛이 방출되며, 렌즈부(210)가 그릴부(110)의 전체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경우 그릴 패널(100)의 전체 영역에서 빛이 방출된다. 이는, 그릴 패널(100)의 디자인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렌즈부(210)의 후면에 장착되는 하우징(300)은 렌즈 패널(20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300)에는 렌즈부(210)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400)이 구비되며, 렌즈부(210)에서 방출되는 빛 중 후방으로 이동되는 빛을 반사시켜 그릴 패널(100)측으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광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광원(400)의 빛 조사시, 그릴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된 렌즈 패널(200)을 통해 빛이 방출되고, 그릴 패널(100)의 전방으로 빛이 퍼져나감에 따라 그릴 패널(100)이 더욱 고급화된다. 또한, 하우징(300)에 의해 렌즈 패널(200)에서 방출되는 빛의 발광 효율이 확보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부(110)의 폭은 렌즈부(2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렌즈부(210)를 통해 이동되는 빛이 그릴부(110)의 주변으로 방출될 수 있다. 즉, 그릴 패널(100)을 이루는 그릴부(110)의 폭이 렌즈 패널(200)을 이루는 렌즈부(2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전방에서 그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그릴부(110)의 후방으로 렌즈부(210)가 노출된다. 이로 인해, 광원(400)의 빛 조사시, 그릴부(110)의 주변으로 렌즈부(210)를 통한 빛이 방출되어 그릴 패널(100)의 조명 효과가 향상된다.
한편, 렌즈부(210)에는 광원(400)의 빛이 투과되어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입사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5에서 볼 수 있듯이, 렌즈부(210)에는 광원(400)의 빛이 입사되는 입사부(211)가 형성됨으로써, 광원(400)의 빛이 입사부(211)를 통과하여 렌즈부(21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사부(211)는 광원(4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투명하게 이루어져 광원(400)에서 조사되는 빛이 원활히 통과되도록 한다.
이러한 입사부(211)는 렌즈 패널(200)에서 각 렌즈부(210) 끝단에 각기 마련될 수 있으며, 광원(400)도 각 입사부(211)에 매칭되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사부(211) 및 광원(400)의 경우 렌즈 패널(200)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복수 구성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렌즈 패널(200)의 빛방출량에 따라 광원(400) 및 입사부(211)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입사부(211)에는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빛확산용 옵틱부(211a)가 형성되어, 광원(400)에서 조사되는 빛이 산란되면서 렌즈부(210)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원(400)에서 조사되는 빛은 입사부(211)의 빛확산용 옵틱부(211a)에 의해 산란되어 렌즈부(210)로 이동됨으로써, 빛이 렌즈부(210) 내부에 퍼져나가 렌즈부(2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고, 렌즈부(210)를 통한 빛의 방출도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210)의 후면에는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 빛출사용 옵틱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릴부(110)의 전방으로 빛이 방출되어야 한다. 특히, 광원(400)에서 조사된 빛은 렌즈부(210)를 통해 빛이 방출되되 전방으로 방출되는 빛의 광량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렌즈부(210)는 후면에 빛출사용 옵틱부(212)가 형성됨에 따라 렌즈부(210) 내부에서 이동되는 빛이 빛출사용 옵틱부(212)를 이루는 복수의 돌기 또는 홈에 의해 전방으로 확산됨으로써, 그릴부(110)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빛의 광량이 확보된다.
또한, 렌즈부(210)의 후면에 빛출사용 옵틱부(212)가 형성됨으로써, 렌즈부(210)를 통해 방출되는 빛의 경우 입사부(2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방출량이 점차 감소됨에 따라 렌즈부(210)가 그라데이션 발광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렌즈부(210)는 입사부(211)에서 가까운 부위의 경우 빛출사용 옵틱부(212)에 의한 빛의 확산량이 증대되고, 입사부(211)에서 멀어질수록 렌즈부(210) 내부에 이동되는 빛이 감소되어 빛출사용 옵틱부(212)에 의한 빛의 확산량이 감소된다. 이로 인해, 렌즈부(210)는 입사부(2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밝기가 감소되는 그라데이션 발광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빛출사용 옵틱부(212)는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이 동일 간격 및 동일 크기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빛출사용 옵틱부(212)는 입사부(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돌기 또는 홈의 크기가 증대될 수 있다. 즉, 렌즈부(210)는 입사부(211)에서 가까운 부위의 경우 빛출사용 옵틱부(212)를 이루는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의 간격이 넓게 분포되고 돌기 또는 홈의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빛출사용 옵틱부(212)에 의한 빛의 확산량이 감소된다. 하지만, 렌즈부(210)는 입사부(211)에서 멀어질수록 빛출사용 옵틱부(212)를 이루는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의 간격이 좁게 분포되고 돌기 또는 홈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빛출사용 옵틱부(212)에 의한 빛의 확산량이 증가된다.
이로 인해, 렌즈부(210)는 광원(400)의 빛이 입사되는 입사부(211)에서 가까운 부위의 빛방출량을 의도적으로 감소시키고, 입사부(2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빛방출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빛의 방출량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된다.
한편, 그릴부(110)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패턴홀(120)을 형성하고, 렌즈부(210)는 그릴부(11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며, 입사부(211)가 각 렌즈부(210)의 끝단에 형성되어 하나의 렌즈부(210) 또는 복수의 렌즈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400)은 각 입사부(211)에 각기 마련되되 각 입사부(211)에서 연장되는 렌즈부(210)에 따라 광원(400)이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렌즈부(210)는 그릴부(110)의 형상에 따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입사부(21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렌즈부(210)를 모두 포함하거나, 어느 하나의 렌즈부(210)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400)은 각 입사부(211)에 포함되는 렌즈부(210)의 개수에 무관하게 하나만 마련되거나, 그릴부(110)의 개수와 동일하게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입사부(211)에 복수의 렌즈부(210)가 연장되고, 하나의 광원(400)을 통해 입사부(211)에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경우 광원(400)의 개수가 감소되어, 설치공간 축소 및 제작비용 절감의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입사부(211)에 복수의 렌즈부(210)가 연장되고, 각 렌즈부(210) 별로 복수의 광원(400)이 마련될 경우, 렌즈부(210)에 이동되는 빛의 광량이 확보되고, 각 렌즈부(210) 별로 충분한 빛이 이동되어 렌즈부(210)를 통한 빛의 방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렌즈부(210)를 통한 빛방출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부(211)에는 렌즈부(210)의 연장방향과 동일선상으로 연장된 광가이드부(211b)가 형성되고, 광원(400)은 광가이드부(211b)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빛의 광축이 렌즈부(210)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원(400)에서 조사되는 빛은 광가이드부(211b)를 통해 렌즈부(210)로 이동됨으로써, 렌즈부(210) 연장방향을 따라 빛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즉, 광가이드부(211b)는 렌즈부(210)의 연장방향과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고, 광원(400)은 광축이 렌즈부(210)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광가이드부(211b)를 통해 입사되는 빛이 렌즈부(210)를 향해 직선상으로 이동됨에 따라 렌즈부(210) 내부에서 입사부(211)와 멀어지는 부위에도 빛이 원활히 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부(211)는 렌즈부(2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부에 광원(400)의 빛이 입사되며 타측부에는 빛을 렌즈부(110)측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면(21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입사부(211)와 렌즈부(210)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형성되고, 입사부(211)와 렌즈부(210)의 연결 부위에는 전반사면(211c)이 형성됨으로써, 광원(400)에서 조사된 빛이 입사부(211)를 통해 입사된 후 전반사면(211c)에 의해 반사되어 산란되면서 렌즈부(210)를 향해 이동된다. 즉, 광원(400)에서 조사되는 빛이 렌즈부(210)에 바로 이동되는 경우 해당 부위에 핫스팟이 발생되어 이질감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입사부(211)는 렌즈부(2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렌즈부(210)와 연결되는 타측부에 전반사면(211c)을 형성하여, 광원(400)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반사면(211c)에서 산란되어 렌즈부(110)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렌즈부(110)에 발생되는 핫스팟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210)의 전면에는 그릴부(110)가 결합되고, 렌즈부(210)의 후면에는 지지부(310)가 결합되되 렌즈부(210)의 전후방향으로 그릴부(110)와 지지부(310)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렌즈부(210)를 중심으로 렌즈부(210)의 전면에 그릴부(110)가 결합되고 렌즈부(210)의 후면에 지지부(310)가 결합됨에 따라, 렌즈부(210) 내부에 이동되는 빛은 그릴부(110) 주변에서 전방을 향해 방출되고, 일부 후방으로 방출되는 빛은 하우징(30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렌즈부(210)에 이동되거나 전방으로 방출된다. 이로 인해, 렌즈부(210)를 통한 빛의 방출 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그릴부(110)는 렌즈부(210)의 후방에서 지지부(310)를 회피하여 렌즈부(210)에 레이저 융착되고, 지지부(310)는 렌즈부(210)의 전방에서 그릴부(110)를 회피하여 렌즈부(210)에 레이저 융착될 수 있다. 즉, 렌즈부(210)에서 그릴부(110)와 지지부(310)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음에 따라, 레이저 융착을 통해 렌즈부(210)에 그릴부(110)와 지지부(310)를 용이하게 융착할 수 있다.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그릴부(110)와 지지부(310)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음에 따라, 그릴부(110)를 렌즈부(210)에 융착시 렌즈부(210)의 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지지부(310)를 회피하여 그릴부(110)를 렌즈부(210)에 융착할 수 있고, 지지부(310)를 렌즈부(210)의 융착시 렌즈부(210)의 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그릴부(110)를 회피하여 지지부(310)를 렌즈부(210)에 융착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10)는 렌즈부(210)의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렌즈부(2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로 구성되고,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는 렌즈부(210)의 반대편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릴부(110)는 렌즈부(210)의 전면에서 지지부(310)의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렌즈부(2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부(310)의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는 렌즈부(210)의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그릴부(110)는 렌즈부(210)의 전면에서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부(210)에 결합됨으로써, 렌즈부(210)를 중심으로 그릴부(110)와 지지부(310)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는 렌즈부(210)의 반대편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으로써, 렌즈부(210)에서 이동되는 빛이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의 함몰된 부분으로 이동시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의 함몰된 부분에서 빛이 반사되어 이동됨에 따라 렌즈부(210)를 통해 방출되는 빛의 방출 효율이 확보된다. 즉,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의 함몰된 부분으로 이동된 빛은 반사되어 렌즈부(210)로 재입사됨으로써, 렌즈부(210)를 통해 방출되는 빛의 방출량이 확보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렌즈부(210)는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의 함몰된 부분과 매칭되는 부분에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빛반사용 옵틱부(213)가 형성되도록 하여, 빛이 빛반사용 옵틱부(213)에 의해 산란되면서 렌즈부(210)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빛의 광량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빛반사용 옵틱부(213)는 렌즈부(210)와 그릴부(110)가 접하는 위치 또는 렌즈부(210)와 지지부(310)가 접하는 위치에 형성시, 융착 저해 요소로 작용될 수 있는바,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2)의 함몰된 부분에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10)는 렌즈부(210)의 후면에서 렌즈부(210)의 폭방향 양끝단에 결합되는 연결단부(313)와 각 연결단부(313)를 연결하여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단부(3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지지부(310)는 연결단부(313)를 통해 렌즈부(210)에 결합되고 함몰단부(314)가 함몰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렌즈부(210)를 통해 후방으로 방출되는 빛이 함몰단부(314) 내부에서 반사되어 렌즈부(210)로 재입사됨에 따라 광효율이 향상된다. 아울러, 함몰단부(314)는 렌즈부(210)의 폭방향으로 동일하게 연장됨에 따라, 렌즈부(210)를 통해 후방으로 방출되는 빛의 대부분을 다시 전방으로 반사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부(210)를 이동하는 빛의 대부분이 전방으로 방출됨에 따라, 광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더불어, 렌즈부(210)는 함몰단부(314)와 매칭되는 부분에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빛반사용 옵틱부(213)가 형성되어, 렌즈부(210)에서 이동되는 빛이 빛반사용 옵틱부(213)에 의해 산란되면서 전방으로 원활히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10)의 연결단부(313) 및 함몰단부(314)에서도 빛이 산란되어 반사됨에 따라 빛이 렌즈부(210) 내부로 재입사되어 광효율이 확보되고, 빛이 연결단부(313) 및 함몰단부(314)에 의한 공간에서 이동됨에 따라 빛이 머물러 있는 시간이 증대됨으로써, 그릴부(110)를 통한 조명이미자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는 차량의 그릴에서 빛이 점등되도록 하고, 그릴의 후방에서 빛이 은은하게 퍼짐에 따라 그릴이 고급화되며, 빛의 점등 구조가 축소되어 레이아웃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그릴 패널 110:그릴부
120:패턴홀 200:렌즈 패널
210:렌즈부 211:입사부
211a:빛확산용 옵틱부 211b:광가이드부
211c:전반사면 212:빛출사용 옵틱부
213:빛반사용 옵틱부 300:하우징
310:지지부 311:제1단부
312:제2단부 313:연결단부
314:함몰단부 400:광원
500:커버 패널

Claims (17)

  1. 복수의 패턴홀을 형성하는 그릴부로 이루어진 그릴 패널;
    그릴 패널의 후단에 장착되고 그릴부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렌즈부로 이루어지며, 빛 입사시 내부에서 빛이 이동되고 일부 빛은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된 렌즈 패널; 및
    렌즈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고, 렌즈 패널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렌즈 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그릴부의 폭은 렌즈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렌즈부를 통해 이동되는 빛이 그릴부의 주변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렌즈부에는 광원의 빛이 투과되어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입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입사부는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빛확산용 옵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렌즈부의 후면에는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 빛출사용 옵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빛출사용 옵틱부는 입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돌기 또는 홈의 크기가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그릴부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패턴홀을 형성하고,
    렌즈부는 그릴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며, 입사부가 각 렌즈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하나의 렌즈부 또는 복수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광원은 각 입사부에 각기 마련되되 각 입사부에서 연장되는 렌즈부에 따라 광원이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입사부에는 렌즈부의 연장방향과 동일선상으로 연장된 광가이드부가 형성되고,
    광원은 광가이드부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빛의 광축이 렌즈부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입사부는 렌즈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부에 광원의 빛이 입사되며 타측부에는 빛을 렌즈부측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렌즈부의 전면에는 그릴부가 결합되고, 렌즈부의 후면에는 지지부가 결합되되 렌즈부의 전후방향으로 그릴부와 지지부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그릴부는 렌즈부의 후방에서 지지부를 회피하여 렌즈부에 레이저 융착되고, 지지부는 렌즈부의 전방에서 그릴부를 회피하여 렌즈부에 레이저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지지부는 렌즈부의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렌즈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1단부와 제2단부로 구성되고, 제1단부와 제2단부는 렌즈부의 반대편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렌즈부는 제1단부와 제2단부의 함몰된 부분과 매칭되는 부분에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빛반사용 옵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그릴부는 렌즈부의 전면에서 지지부의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는 렌즈부의 후면에서 렌즈부의 폭방향 양끝단에 결합되는 연결단부와 각 연결단부를 연결하여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렌즈부는 함몰단부와 매칭되는 부분에 복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빛반사용 옵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KR1020200126001A 2020-09-28 2020-09-28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KR20220042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01A KR20220042769A (ko) 2020-09-28 2020-09-28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US17/337,087 US11293616B1 (en) 2020-09-28 2021-06-02 Lighting apparatus of grille for automobile
CN202110752058.1A CN114321830A (zh) 2020-09-28 2021-06-29 汽车格栅的照明装置
DE102021116722.1A DE102021116722A1 (de) 2020-09-28 2021-06-29 Beleuchtungsvorrichtung eines kühlergrills für ein automob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01A KR20220042769A (ko) 2020-09-28 2020-09-28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69A true KR20220042769A (ko) 2022-04-05

Family

ID=8062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001A KR20220042769A (ko) 2020-09-28 2020-09-28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93616B1 (ko)
KR (1) KR20220042769A (ko)
CN (1) CN114321830A (ko)
DE (1) DE102021116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021A (ko) * 2021-04-12 2022-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405A (ko) 2015-11-27 2017-06-07 발레오 비젼 자동차 헤드램프 조명 모듈용 발광 장치 및 관련 조명 모듈과 헤드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1784B2 (ja) 2012-11-27 2017-02-15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17228675A (ja) 2016-06-23 2017-12-28 株式会社日経ビーピー 車両用照明装置
DE102018104043A1 (de) 2018-02-22 2019-08-22 Illinois Tool Works Inc. Luftausströmer für ein Fahrzeug
US10920950B1 (en) * 2019-12-26 2021-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405A (ko) 2015-11-27 2017-06-07 발레오 비젼 자동차 헤드램프 조명 모듈용 발광 장치 및 관련 조명 모듈과 헤드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116722A1 (de) 2022-03-31
US20220099266A1 (en) 2022-03-31
US11293616B1 (en) 2022-04-05
CN114321830A (zh)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743B2 (en) Vehicle lamp assembly
JP3953764B2 (ja) 車両用灯具
JP4933434B2 (ja) 非対称コリメータを備えるledコリメータ素子
WO2016013447A1 (ja) 灯具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前照灯
JP2017091876A (ja) 車両用前照灯
JP6361245B2 (ja) 車両用導光部材、車両用灯具
JP6857490B2 (ja) 車両用前照灯
JP2018098105A (ja) 車両用前照灯
WO2021106956A1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20220042769A (ko) 자동차 그릴의 조명 장치
US11953171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6498474B2 (ja) 車両用灯具
JP2008103273A (ja) 車両用灯具
JP7439516B2 (ja) 車両用灯具
JP6937121B2 (ja) 灯具
US11835193B2 (en) Lighting tool for vehicle
JP7218041B2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7472618B2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ユニット
WO2024053324A1 (ja) 車輌用灯具
WO2023189960A1 (ja) 車両用灯具
JP7467500B2 (ja) 車両用前照灯
JP3331579B2 (ja) 車両用灯具の反射面構造
WO2023085088A1 (ja) 車両用灯具
WO2023282238A1 (ja) 車両用灯具
JP2021197252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