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728A -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728A
KR20220040728A KR1020200123773A KR20200123773A KR20220040728A KR 20220040728 A KR20220040728 A KR 20220040728A KR 1020200123773 A KR1020200123773 A KR 1020200123773A KR 20200123773 A KR20200123773 A KR 20200123773A KR 20220040728 A KR20220040728 A KR 20220040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alcohol
drunk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양수연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2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728A/ko
Publication of KR2022004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4Drug level, e.g.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운전자가 내쉬는 날숨을 이용해서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고, 술을 마신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기가 경고수단이 작동하게 해서 주변 음주 차량 주변에서 주행 중인 다른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게 하여 안전운행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특히, 경고수단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비상등의 점멸과 경음기가 작동되게 제어함으로써, 추가 구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주변에 있는 운전자가 쉽게 음주 차량인 것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날숨을 통해 음주 여부를 확인하는 알코올 검출센서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함으로써,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내뱉는 날숨에서 쉽게 알코올 성능을 검출하여 알코올 검출 효과를 높이면서도 별도의 조작이나 위치 조정이 없이도 정확하게 음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WARNING SYSTEM FOR DRUNK DRIV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내쉬는 날숨에서 알코올 성분 농도를 검출하여 음주 상태인지 확인하고, 음주 상태로 판단되면 비상등과 경음기가 작동하게 하여 그 주변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갖게 하여 안전운행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주한 운전자가 자동차 운전으로 발생하는 음주사고는 그 피해자에게 더 큰 피해를 가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음주 운전에 관한 처벌도 한층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미리 방지하려고,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운전자가 술을 마신 것으로 판단이 되면 주행할 수 없게 하여 음주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6444호
음주 감지 자동차에서,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고 사용자의 심박과 음주 상태를 확인하여 시동 여부를 알려주는 컨트롤러, 컨트롤러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 측정 센서, 컨트롤러에서 사용할 데이터의 값을 주고받을 수 있는 블루투스 센서, 심박 측정 센서에서 데이터를 받았을 때 음주센서에 숨을 불도록 신호를 주는 날숨 주입 LED, 컨트롤러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음주 상태를 판단하는 음주 측정 센서,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한 후 자동차를 시동시키는 시동 버튼, 상기 시동 버튼의 동작에 의해서 시동 가능 여부를 보여주는 시동 가능 여부 LED, 컨트롤러의 전원 공급을 하는 음주 센서 전원 버튼,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 단자로 구성하여서 미리 개인 차량에서 음주 여부를 판단하고 시동을 제어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음주 감지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0555호
음주운전방지 시스템이 있는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음주 측정자와 운전자가 동일할 경우에만 운전 가능하게 하고, 측정치가 기준치를 넘으면 운전을 막아 사전에 음주운전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각종 피해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음주운전 할 경우 사후 적발 및 제제 하고 사전 방지가 불가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즉, 자동차 시동 및 운전에서 자동차 키 소유자만 운전할 수 있게 자동차에 맞는 키로 구성한 자동차 키, 운전자가 사용하여 이동할 수 있게 자동차로 구성한 자동차, 자동차 키를 넣어 시동건 이후 자동차에 부착된 음주측정기에 운전자가 음주측정을 하게 하여 기준치 초과 시 운전을 방지할 수 있게 자동차와 자동차에 부착된 음주 측정기 및 음주측정기와 연계된 자동차 시스템으로 구성한 자동차에 부착된 음주측정기, 음주 측정자와 운전자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할 경우에만 운전 가능하도록 자동차 시스템에 연동할 수 있게 차에 부착한 블랙박스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음주 측정자와 운전자가 동일할 경우에만 운전 가능하게 하고, 측정치가 기준치를 넘으면 운전을 막아 사전에 음주운전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각종 피해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음주운전 할 경우 사후 적발 및 제제 하고 사전 방지가 불가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916026호
차량 음주운전 방지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차량 음주운전 방지시스템은, 입구는 클러스터 페시아에 형성되고, 출구는 공조장치의 상시공기흡입통로에 연결되는 공기유입관; 및 상기 공기유입관을 흐르는 공기 중 알코올 양을 측정하고, 제어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알코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코올센서가 측정한 알코올 양이 설정 알코올값을 초과하면 차량의 운행이 억제되도록 상기 차량을 강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 실내의 공기 중 알코올 양의 측정값을 신뢰할 수 있으며, 필요 시에는 운전자 호흡 중 알코올 양을 직접 측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음주운전 방지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음주 상태로 운전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술을 마신 운전자가 이러한 방지 시스템을 강제로 해제시키는 등 강제로 운전할 수 있는 상태로 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2) 특히, 이처럼 술을 마신 상태에서 강제로 운전하더라도 뒤에서 주행하는 운전자는 앞에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가 음주상태인지 확인할 수 없거나 확인하는 시간이 길어져서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대처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3) 이에, 음주 차량 주변에서 주행 중인 자동차는 음주차량과의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4) 또한, 야간에는 음주 차량을 발견하거나 구분하기가 쉽지 않아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하는데 어려움이 더 커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6444호 (공개일: 2020.08.1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0555호 (공개일: 2018.05.15) 한국등록특허 제10-1916026호 (등록일: 2018.11.0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운전자가 내쉬는 날숨을 이용해서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고, 술을 마신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기가 경고수단이 작동하게 해서 주변 음주 차량 주변에서 주행 중인 다른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게 하여 안전운행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경고수단으로 자동차에 이미 장착된 비상등의 점멸과 경음기가 작동되게 제어함으로써, 추가 구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음주 주행 차량의 주변에 있는 운전자가 쉽게 음주 차량인 것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대처하거나 신고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처럼 운전자의 날숨을 통해 음주 여부를 확인하는 알코올 검출센서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함으로써,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내뱉는 날숨에서 쉽게 알코올 성능을 검출하여 알코올 검출 효과를 높이면서도 별도의 조작이나 위치 조정이 없이도 정확하게 음주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는, 자동차 실내에 장착되어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내뿜는 날숨에서 알코올 성능을 검출하는 알코올 검출센서(100); 상기 알코올 검출센서(100)의 신호를 받아 음주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200); 및 상기 제어기(200)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이 제어기(20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경고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알코올 검출센서(100)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110)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고수단(300)은, 자동차에 이미 장착된 비상등 및 경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기(200)는, 엔진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판단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날숨에서 알코올 성분을 검출하여 음주 여부를 확인하고,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명이 되면 경고수단을 통해 경고할 수 있어 운전자와 음주 차량 주변을 주행하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게 된다.
(2) 이때, 특히, 상기 경고수단으로는 자동차에 이미 장착된 비상등과 경음기 등을 작동하게 해서 주변의 다른 차량 운전자가 알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주변의 다른 차량 운전자가 음주차량을 피하거나 음주 차량 신고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더욱더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3) 특히, 자동차의 시동을 걸 때부터 이를 감지하여 이러한 경고수단이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음주 상태로 주행할 때부터 그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들이나 운전자에게도 경고를 할 수 있게 하여 음주운전 사고를 피하거나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날숨에서 알코올 성분을 검출하는 알코올 검출센서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자동차 실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알코올 검출센서의 신호를 받아 경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의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에서 경고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알코올 검출센서(100), 제어기(200), 그리고 상기 제어기(200)의 제어를 받는 경고수단(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어기(200)는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내뱉는 날숨에서 알코올 성분을 검출하는 알코올 검출센서(100)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음주 운전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경고수단(300)을 작동시켜서 운전자는 물론 그 주변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경고수단(300)은, 자동차에 이미 장착된 비상등과 경음기 등을 이용해서 주변에 음주차량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경고함으로써, 추가 구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주변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음주 차량임을 인지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기(200)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해서 자동차 시동이 걸린 뒤에 이러한 음주 차량임을 알 수 있도록 상기 경고수단(300)을 제어함으로써, 음주차량이 출발할 때부터 쉽게 음주차량임을 알 수 있게 해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알코올 검출센서
알코올 검출센서(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자동차 실내에 장착된다. 특히, 상기 알코올 검출센서(100)는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내뿜는 날숨 속에 함유된 알코올 성분, 예를 들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에탄올 등의 성분을 검출해서 음주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알코올 검출센서(100)는 알코올 성분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예시적으로 반도체 제조된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방식의 알코올 검출센서는 운전자가 숨을 쉴 때 그 날숨 안에 함유된 알코올 성분이 백금 양극판에 닿음에 따라 아세트산으로 산화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하여 이 전류량을 통해 농도를 검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알코올 검출센서(1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스티어링 휠(110)에 장착되게 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운전자가 운전하려면 운전석에 앉아야 하고, 이렇게 운전석에서 앉은 자세로 숨을 쉬면 날숨의 대부분이 스티어링 휠(110) 쪽으로 가게 되므로 알코올 함량을 더욱더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티어링 휠(110)은 자동차를 주차하고 난 뒤 통상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게 하므로, 항상 운전자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어 운전자의 날숨에 함유된 알코올 성분을 쉽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 제어기
제어기(200)는, [도 1]·[도 2]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알코올 검출센서(100)에서 검출된 알코올 농도를 바탕으로 후술할 경고수단(300)을 동작시킬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기(200)에는 검출된 알코올 농도와 비교할 수 있는 농도값을 미리 저장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기준 농도값은 통상적으로 도로교통법에서 정해 놓은 혈중알코올농도(현재 기준: 0.03%)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기준 농도값은 음주 운전을 억제하기 위해 도로교통법에서 정한 혈중알코올농도보다 더 낮게 책정해서 적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기(200)는, [도 5]와 같이, 상기 알코올 검출센서(100)에서 검출한 알코올 농도가 입력되면 이 농도와 미리 저장해 놓은 기준 농도값을 비교하여 음주 상태인지 판단한다. 이때의 판단은, 검출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높으면 음주 상태인 것으로, 그리고 검출 농도가 기준농도보다 낮으면 술을 마시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기(200)는 후술할 경고수단(300)을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기(2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면 바로 운전자의 날숨에서 알코올 농도를 검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동을 걸면 바로 알코올 농도를 검출하여 음주 상태인지 확인하고 음주 상태라고 판단되면 바로 경고수단(300)을 작동시켜서 그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들이나 다른 운전자들이 음주 상태로 운전하려고 하는 차량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200)는 자동차에 이미 장착된 제어수단을 통해 시동이 걸린 상태를 검출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적외선 센서를 장착하여 키를 꽂거나 돌리는 것을 검출하여 시동이 걸린 상태를 검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기(200)는 본 발명에 따라 별도 구성으로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자동차에 미리 장착된 제어수단을 이용해서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어기(200)를 통해 차량 운전자가 술을 마신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기(200)는 경고수단(300)을 작동시킨다.
다. 경고수단
경고수단(300)은, [도 2]·[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제어기(200)에서 운전자가 술을 마셔서 음주 운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이 제어기(200)의 제어를 받아 작동한다.
특히, 상기 경고수단(300)은 음주 운전 상태임을 음주 차량 주변의 행인이나 다른 자동차의 운전자가 쉽게 식별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경고수단(300)은 자동차에 이미 장착된 비상등과 경음기를 포함함으로써, 통상적으로 비상등이나 경음기 하나를 이용하는 자동차가 특이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가 술을 마시고 주행하고 있는 것을 쉽게 알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날숨을 이용해서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고,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상등과 경음기를 동시에 작동시켜서 주변 행인이나 다른 운전자에게 음주 차량임을 쉽게 알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100: 알코올 검출센서
210: 스티어링 휠
200: 제어기
300: 경고수단

Claims (4)

  1. 자동차 실내에 장착되어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내뿜는 날숨에서 알코올 성능을 검출하는 알코올 검출센서(100);
    상기 알코올 검출센서(100)의 신호를 받아 음주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200); 및
    상기 제어기(200)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이 제어기(20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경고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알코올 검출센서(100)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110)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경고수단(300)은,
    자동차에 이미 장착된 비상등 및 경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어기(200)는,
    엔진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판단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KR1020200123773A 2020-09-24 2020-09-24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KR20220040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773A KR20220040728A (ko) 2020-09-24 2020-09-24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773A KR20220040728A (ko) 2020-09-24 2020-09-24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728A true KR20220040728A (ko) 2022-03-31

Family

ID=8093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773A KR20220040728A (ko) 2020-09-24 2020-09-24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72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555A (ko) 2016-11-05 2018-05-15 김문수 음주운전방지 시스템이 있는 자동차
KR101916026B1 (ko) 2017-04-27 2018-11-09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 음주운전 방지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96444A (ko) 2020-07-25 2020-08-12 장해리 음주 감지 자동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555A (ko) 2016-11-05 2018-05-15 김문수 음주운전방지 시스템이 있는 자동차
KR101916026B1 (ko) 2017-04-27 2018-11-09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 음주운전 방지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96444A (ko) 2020-07-25 2020-08-12 장해리 음주 감지 자동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6164A (en) Vehicle breath monitoring device
JP2009160988A (ja) 検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10066832A (ko) 알코올 검출 장치를 이용해서 차량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281709A1 (en) System for preventing operation by impaired op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36838B1 (ko)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시동제어 시스템
WO2004018249A1 (en) Motor vehicle equipped with a deception-proof safety control system
KR20160114420A (ko)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CN102555804A (zh) 汽车防醉驾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1016649A (zh) 一种驾驶安全检测方法、系统及车辆
CN108146244A (zh) 一种检测主副驾驶座人员饮酒状态的装置
EP2822797B1 (en) REMOTE DETECTOR OF THE ALCOHOLIC, SMOKE OR& xA;OTHER CHEMICAL OR NATURAL PRODUCT LEVEL, NEGATIVELY& xA;IMPAIRING THE PSYCHOPHYSICAL STATE OF A PERSON DRIVING A& xA;VEHICLE
US20050275550A1 (en) Human-carrying vehicle and auxiliary device thereof
Altaf et al. Alcohol detection and motor locking system
CN202782706U (zh) 一种车载酒精监控和酒后驾车的防护装置
JP2008137624A (ja) 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
US20180235581A1 (en) Remote air detector of the alcohol content or other chemical or natural product, harmful to the mental-physical state of a person driving a means of transport
KR20220040728A (ko) 자동차용 음주운전 경고장치
JP2009018807A (ja) 飲酒運転防止機構
JP2004305494A (ja) 飲酒検出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
KR20230055433A (ko) 자동차의 음주운전 방지장치와 방법, 음주운전 자동차 수배시스템
KR100514863B1 (ko) 자동차의 질식사 방지장치
KR102425632B1 (ko)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JPS59220421A (ja) 飲酒運転防止用自動車
CN109849662B (zh) 一种预防酒后驾车的限制系统
Pallavi et al. Drunk and Drive Detection using Raspberry P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