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130A -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 Google Patents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130A
KR20220040130A KR1020200122965A KR20200122965A KR20220040130A KR 20220040130 A KR20220040130 A KR 20220040130A KR 1020200122965 A KR1020200122965 A KR 1020200122965A KR 20200122965 A KR20200122965 A KR 20200122965A KR 20220040130 A KR20220040130 A KR 20220040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cap
individual cap
acid battery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083B1 (ko
Inventor
최석모
서세영
방성필
Original Assignee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2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0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 캡을 이용하여 상카바에 형성된 각각의 전해액주입부에 푸셔를 이용하여 푸쉬하여 끼움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중카바와 상카바를 끼움 결합 전에 미리 열융착시켜 부착하여 전해액 주입시 벤팅 경로에 잔존하는 전해액을 제거할 수 있는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전해액을 주입할 경우에, 액 넘침에 의한 잔존 전해액이 벤팅 경로에 남아 있지 않아 불량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해액 누액 방지를 위한 캡을 푸쉬하여 끼워 맞춤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스크류 체결 구조의 문제점인 체결 시간 지연을 해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lead storage battery with individual cap}
본 발명은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 캡을 이용하여 상카바에 형성된 각각의 전해액주입부에 푸셔를 이용하여 푸쉬하여 끼움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중카바와 상카바를 끼움 결합 전에 미리 열융착시켜 부착하여 전해액 주입시 벤팅 경로에 잔존하는 전해액을 제거할 수 있는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는 다수의 셀로 구획되고 각 셀의 내부에 전극과 전해액이 담겨지는 컨터이너와 컨테이너의 상부에 설치되고 컨테이너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시킬 수 있게 하는 전해액주입구를 구비하는 커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해액주입구에는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이 설치 구성되게 된다.
그러나, 무보수형 납축전지의 경우에는 중카바 위에 상카바가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게 된다.
이때, 상카바는 전해액을 주입한 후, 피니싱 공정에서 중카바와 열융착하여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해액을 주입하면서 액 넘침에 의한 잔존 전해액이 벤팅 경로에 모두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가 발생하여 납축전지가 충전 중에 벤트홀로 누액이 되어 불량의 원인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전해액 누액 방지를 위한 캡을 쉽게 체결시키면서도 잔존 전해액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캡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2008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캡을 이용하여 상카바에 형성된 각각의 전해액주입부에 푸셔를 이용하여 푸쉬하여 끼움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중카바와 상카바를 끼움 결합 전에 미리 열융착시켜 부착하여 전해액 주입시 벤팅 경로에 잔존하는 전해액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는,
개별 캡(1000)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에 있어서,
상기 개별 캡(1000)은,
하방으로 갈수록 동심원의 지름이 커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계단형몸체부(100)와,
상기 계단형몸체부의 상측에 연이어 형성되되, 계단형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부(200)와,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오링부(300);로 구성됨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는,
개별 캡을 이용하여 상카바에 형성된 각각의 전해액주입부에 푸셔를 이용하여 푸쉬하여 끼움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중카바와 상카바를 끼움 결합 전에 미리 열융착시켜 부착하여 전해액 주입시 벤팅 경로에 잔존하는 전해액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전해액을 주입할 경우에, 액 넘침에 의한 잔존 전해액이 벤팅 경로에 남아 있지 않아 불량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해액 누액 방지를 위한 캡을 푸쉬하여 끼워 맞춤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스크류 체결 구조의 문제점인 체결 시간 지연을 해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의 개별 캡(1000)이 전해액주입부에 끼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의 개별 캡(1000)이 전해액주입부에 끼움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의 개별 캡(1000)과 전해액주입부(200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는,
개별 캡(1000)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에 있어서,
상기 개별 캡(1000)은,
하방으로 갈수록 동심원의 지름이 커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계단형몸체부(100)와,
상기 계단형몸체부의 상측에 연이어 형성되되, 계단형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부(200)와,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오링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계단형몸체부(100)는 다단으로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별 캡(1000)은,
상카바에 형성된 각각의 전해액주입부(2000)에 푸셔를 이용하여 푸쉬하여 끼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해액주입부(2000)의 상측 오링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돌기형나사산(2100)을 형성함으로써, 개별 캡에 형성된 오링부(300)가 접촉하여 전해액의 누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해액주입부(2000)에서 계단형몸체부(100)의 내면과 접촉되는 부위는 계단형몸체부와 대응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개별 캡에 형성된 계단형몸체부가 끼움 결합될 경우에 막음 처리되어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카바(10)와 중카바(20)를 열융착시켜 부착시킨 후, 상기 개별 캡을 푸쉬하여 끼워 맞춤으로써, 전해액 주입시, 벤팅 경로에 잔존하는 전해액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의 개별 캡(1000)이 전해액주입부에 끼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의 개별 캡(1000)이 전해액주입부에 끼움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의 개별 캡(1000)과 전해액주입부(200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무보수형 납축전지는 상카바(10)의 어느 일측에 다수 개의 개별 캡(1000)들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별 캡(1000)은,
하방으로 갈수록 동심원의 지름이 커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계단형몸체부(100)와,
상기 계단형몸체부의 상측에 연이어 형성되되, 계단형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부(200)와,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오링부(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계단형몸체부(100)는 하방으로 갈수록 동심원의 지름이 커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단형몸체부(100)는 다단으로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측의 1단의 경우, 직경이 10mm일 경우에, 1단에 연이어 형성되는 2단의 경우, 직경이 15mm가 될 것이며, 2단에 연이어 형성되는 3단의 경우, 직경이 20mm가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 형식의 계단형몸체부는, 반대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 형식의 계단형몸체부보다는 끼움 결합시, 끼움 지지력이 약해져 헤드부에 충격을 가할 경우에 헤드부가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누액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조적으로 안정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계단형몸체부를 구성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0)는 계단형몸체부의 상측에 연이어 형성되되, 계단형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해액주입부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오링부(300)를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형성하게 되는데, 그 위치는 계단형몸체부의 상측 1단과 헤드부의 하면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개별 캡(1000)은,
상카바에 형성된 각각의 전해액주입부(2000)에 푸셔를 이용하여 푸쉬하여 끼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개별 캡을 전해액주입부에 위치시킨 후, 푸셔를 이용하여 푸쉬하게 되면 개별 캡이 전해액주입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푸쉬하는 힘에 의해 끼움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해액주입부(2000)의 상측 오링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돌기형나사산(2100)을 형성함으로써, 개별 캡에 형성된 오링부(300)가 접촉하여 전해액의 누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끼움 결합되더라도 납축전지가 기울어질 경우에 내부에 위치한 전해액이 전해액주입부를 거쳐 누액될 수 있기 때문에 오링부와 접촉되는 부위에 돌기형나사산(2100)을 형성함으로써, 끼움 결합시, 푸쉬하는 힘에 의해 오링부를 압박하여 단단하게 결합되어 전해액의 누액을 원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해액주입부(2000)에서 계단형몸체부(100)의 내면과 접촉되는 부위(2200)는 계단형몸체부와 대응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개별 캡에 형성된 계단형몸체부가 끼움 결합될 경우에 막음 처리되어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은 개별 캡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카바(10)와 중카바(20)를 열융착시켜 부착시킨 후, 상기 개별 캡을 푸쉬하여 끼워 맞춤으로써, 전해액 주입시, 벤팅 경로에 잔존하는 전해액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무보수형 납축전지는 중카바 위에 상카바가 위치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카바는 전해액을 주액 후, 피니싱공정에서 중카바와 열융착하여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전해액 주액하면서 액넘침에 의한 잔존 전해액이 벤팅경로에 모두 제거되지 않고 남아 납축전지가 충전 중에 벤트홀로 누액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중카바와 상카바 미리 부착한 후, 전해액 주입을 수행할 수 있어 전해액 주입시, 벤팅경로에 잔존 전해액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해액 주입 후, 캐별 캡을 전해액주입부에 푸쉬하여 끼움 결합시켜 전해액주입부는 개별 캡으로 막음 처리하여 밀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오링부는 바람직하게는 EPDM재질의 O-ring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전해액 누액 방지를 위한 캡을 푸쉬하여 끼워 맞춤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스크류 체결 구조의 문제점인 체결 시간 지연을 해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류 체결 구조의 경우에는 다수 개의 캡을 전해액주입부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돌려 결합하게 되므로 돌려 결합시키는 제조 시간이 상당하여 제조 공정을 지연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개별 캡을 푸쉬하여 끼워 맞추기 때문에 스크류에 의한 돌려 결합하는 시간보다 훨씬 빠른 시간에 결합시키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개별 캡을 이용하여 상카바에 형성된 각각의 전해액주입부에 푸셔를 이용하여 푸쉬하여 끼움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중카바와 상카바를 끼움 결합 전에 미리 열융착시켜 부착하여 전해액 주입시 벤팅 경로에 잔존하는 전해액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전해액을 주입할 경우에, 액 넘침에 의한 잔존 전해액이 벤팅 경로에 남아 있지 않아 불량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해액 누액 방지를 위한 캡을 푸쉬하여 끼워 맞춤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스크류 체결 구조의 문제점인 체결 시간 지연을 해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계단형몸체부
200 : 헤드부
300 : 오링부

Claims (4)

  1.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에 있어서,
    상기 개별 캡(1000)은,
    하방으로 갈수록 동심원의 지름이 커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계단형몸체부(100)와,
    상기 계단형몸체부의 상측에 연이어 형성되되, 계단형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부(200)와,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오링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몸체부(100)는,
    다단으로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캡(1000)은,
    상카바에 형성된 각각의 전해액주입부(2000)에 푸셔를 이용하여 푸쉬하여 끼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주입부(2000)의 상측 오링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돌기형나사산(2100)을 형성함으로써, 개별 캡에 형성된 오링부(300)가 접촉하여 전해액의 누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KR1020200122965A 2020-09-23 2020-09-23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KR102523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965A KR102523083B1 (ko) 2020-09-23 2020-09-23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965A KR102523083B1 (ko) 2020-09-23 2020-09-23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130A true KR20220040130A (ko) 2022-03-30
KR102523083B1 KR102523083B1 (ko) 2023-04-18

Family

ID=8094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965A KR102523083B1 (ko) 2020-09-23 2020-09-23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0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081B1 (ko) 2004-11-16 2006-09-07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납축전지의 단자
KR20070005338A (ko) * 2005-07-06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JP6078997B2 (ja) * 2012-06-15 2017-02-15 株式会社Gsユアサ 外装容器、蓄電素子、蓄電素子の製造方法、蓄電素子用液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081B1 (ko) 2004-11-16 2006-09-07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납축전지의 단자
KR20070005338A (ko) * 2005-07-06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JP6078997B2 (ja) * 2012-06-15 2017-02-15 株式会社Gsユアサ 外装容器、蓄電素子、蓄電素子の製造方法、蓄電素子用液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083B1 (ko)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911B1 (ko) 밀폐형 전지
FR2936653A1 (fr) Accumulateur a electrolyte liquide et procede de remplissage
KR101730338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2010086776A (ja) 密閉型二次電池および密閉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7018915A (ja) 密閉型電池
CN103515571B (zh) 密闭型电池
IL40027A (en) Hermetically sealed electrolyt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filling it without breaking the hermetic seal
US67064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liquid into container
KR20220040130A (ko) 개별 캡을 가지고 있는 무보수형 납축전지
JP4010477B2 (ja) 容器内への液体の注液装置および注液方法
KR100795651B1 (ko) 밀폐형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3171801A (ja) 電池の注液口封止方法
US7101640B1 (en) Screw-in vent plug for lead-acid batteries
US20020177033A1 (en) Dry-charged lead acid battery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208315622U (zh) 一种起停系统用agm蓄电池排气结构
CN209266487U (zh) 一种铅酸蓄电池防爬酸端子
CN219917544U (zh) 一种密封胶钉及电池
JP7368416B2 (ja) 栓の装着装置、および該装置を使用した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6015553B2 (ja)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KR102287765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용 케이스
KR102234989B1 (ko) 각형 전지의 전해액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주입 방법
JP2003257414A (ja)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615866A (en) Method of sealing magnesium cells
JP2003203620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とその注液法
KR101511489B1 (ko)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전지셀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