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759A - 전력 결정 방법 및 단말 장비 - Google Patents

전력 결정 방법 및 단말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759A
KR20220039759A KR1020227005885A KR20227005885A KR20220039759A KR 20220039759 A KR20220039759 A KR 20220039759A KR 1020227005885 A KR1020227005885 A KR 1020227005885A KR 20227005885 A KR20227005885 A KR 20227005885A KR 20220039759 A KR20220039759 A KR 20220039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power value
ratio
terminal equipm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 훙
닝닝 셰
옌량 쑨
이판 리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5Calculation of statistics, e.g. average, var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력 결정 방법 및 단말 장비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 - 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임 - ; 획득된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임 -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결정 방법 및 단말 장비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07월 30일에 중국 국가특허청에 제출한 특허출원번호가 201910696356.6이고 출원명칭이 "전력 결정 방법 및 단말 장비"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요구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결정 방법 및 단말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전송(예: 음성 서비스 전송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송)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단말 장비는 S 기준(즉 캠프 온할 선택 수신 레벨 값 Srxlev>0)에 기초하여 캠프 온할 셀을 선택한다.
현재, 한 셀의 선택 수신 레벨 값은 해당 셀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및 기타 파라미터를 통해 결정할 수 있고, 한 셀의 RSRP는 일반적으로 해당 셀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장비의 모든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에 대해 선형 평균화를 수행하여 얻는다.
그러나, 전술한 방식에서, 한 셀의 RSRP는 다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에 대해 선형 평균화를 수행하여 얻는 것이므로 결정된 해당 셀의 RSRP와 해당 셀의 실제 RSRP는 차이가 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말 장비가 S 기준을 충족하는 셀을 S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셀로 결정하고, 셀 측정 및 선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말 장비는 캠프 온할 셀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가 캠프 온할 셀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제1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전력 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이고, 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제2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임 - ;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임 - ; 을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전력 결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4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전력 결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M개 타겟 비율(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임)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을 통해, M개 타겟 비율에서 각 타겟 비율은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로서, 각 타겟 비율은 각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근접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신호 송신기(예: 네트워크 장비)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할 때 송신기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고려하므로, 결정된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실제 수신 전력값에 더 가깝다. 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의 신호 커버리지 강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가 해당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단말 장비가 캠프 온할 셀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의 흐름도 3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의 흐름도 4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구조 개략도 1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구조 개략도 2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연관 객체의 연관관계를 설명하며, 세가지 관계자 존재함을 나타낸다. 예컨대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기호 ‘/’는 연관된 객체가 ‘또는’의 관계를 가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특정한 대상의 순서를 설명하기 보다는 서로 다른 대상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제1 미리 설정된 공식과 제2 미리 설정된 공식 등은 미리 설정된 공식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함이 아니라 서로 다른 미리 설정된 공식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컨대’와 같은 단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컨대’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 또는 ‘예컨대’와 같은 단어는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다수 개’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나타낸다. 예컨대 다수 개의 구성요소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 및 단말 장비에 있어서, M개 타겟 비율(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임)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을 통해, M개 타겟 비율에서 각 타겟 비율은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로서, 각 타겟 비율은 각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근접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신호 송신기(예: 네트워크 장비)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할 때 송신기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고려하므로, 결정된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실제 수신 전력값에 더 가깝다. 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의 신호 커버리지 강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가 해당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단말 장비가 캠프 온할 셀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 장비는 이동 단말 또는 비이동 단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이동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또는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임출금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는 전술한 단말 장비 또는 해당 단말 장비에서 전력 결정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 모듈 및/또는 기능 엔티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을 예시하기 위해 단말 장비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턴온되거나, 연결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진입하거나, 서비스 영역으로 다시 진입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캠프 온할 특정 셀을 선택해야 한다. 캠프 온할 셀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단말 장비는 먼저 셀의 수신 전력값(즉 해당 셀에서 단말 장비의 수신 전력값)을 획득하고, S 기준에 따라 해당 수신 전력값을 통해 해당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셀에 캠프 온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는 단말 장비의 상이한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을 획득하고, 이러한 수신 전력값들 중의 최대 수신 전력값을 해당 셀의 수신 전력값으로 결정하고, 그 다음 S 기준에 따라 해당 셀의 수신 전력값을 통해 해당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해당 셀을 선택하여 캠프 온하고, 해당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비는 캠프 온할 다른 셀을 다시 검색할 수 있다. M개 타겟 비율에서 각 타겟 비율은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로서, 각 타겟 비율은 각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 간의 근접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신호 송신기(예: 네트워크 장비)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할 때 송신기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고려하므로, 결정된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실제 수신 전력값에 더 가깝다. 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의 신호 커버리지 강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가 해당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단말 장비가 캠프 온할 셀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하 다양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력 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력 결정 방법은 이하 S201-S202를 포함할 수 있다.
S201: 단말 장비가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한다.
여기서, 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 즉, 각 타겟 전력값은 한 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즉 물리적 안테나)가 있을 수 있고, 각 수신 안테나는 다수의 논리 안테나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논리 안테나 포트는 상이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수신 안테나는 다중 수신 안테나 중의 한 수신 안테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은 해당 논리 안테나 포트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전력값일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신호는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의 기준 신호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가 5개의 논리 안테나 포트(즉 M=5)를 포함하고, 5개의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은 각각 P(1),P(2),P(3),P(4),P(5)로 표시하고, P(1)는 5개의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 중의 최대값이라고 가정하면, 단말 장비는 이 5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에 근거하여 5개의 타겟 비율을 획득하고, 각각 Pratio(1),Pratio(2),Pratio(3),Pratio(4),Pratio(5)로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01
이다.
S202: 단말 장비가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수신 전력값 즉,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은 RSRP값 또는 수신 신호 강도 지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값 등 임의의 가능한 수신 전력값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한 다음, 단말 장비는 M개 타겟 비율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M개 타겟 비율 중의 모든 타겟 비율이 특정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단말 장비는 후술되는 제1 미리 설정된 공식을 사용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고, M개 타겟 비율 중의 임의의 타겟 비율이 특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 장비는 후술되는 제2 미리 설정된 공식을 사용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1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S202는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S202a-S202b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S202a: M개 타겟 비율 중의 모든 타겟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단말 장비는 제1 미리 설정된 공식을 사용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M개 타겟 비율에서 각 타겟 비율은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로서, 각 타겟 비율은 각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 간의 근접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신호 송신기(예: 네트워크 장비)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나아가, M개 타겟 비율 중의 모든 타겟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각 타겟 전력값이 최대 타겟 전력값에 비교적 가깝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단말 장비는 송신기의 모든 논리 안테나 포트가 현재 비폐쇄(비mute)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현재 송신기의 모든 논리 안테나 포트는 신호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M개 타겟 비율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개 타겟 전력값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전력값이 최대 타겟 전력값과 차이가 비교적 크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단말 장비는 송신기의 모든 논리 안테나 포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가 폐쇄(mute)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송신기의 모든 논리 안테나 포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는 신호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공식은,
Figure pct00002
일 수 있으며,
여기서 P는 타겟 수신 전력값이고, P(i)는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i번째 타겟 전력값이고, M은 타겟 수신 안테나 상의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이고, 1≤i≤M이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S201에서 예시한 데이터를 예로 들면, 5개 타겟 비율이 각각 Pratio(1),Pratio(2),Pratio(3),Pratio(4),Pratio(5)로 표시된다고 가정하면, Pratio(1),Pratio(2),Pratio(3),Pratio(4),Pratio(5)가 모두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단말 장비는 전술한 제1 미리 설정된 공식에 근거하여 전술한 타겟 수신 안테나의 타겟 수신 전력값을
Figure pct00003
로 산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04
이다.
S202b: M개 타겟 비율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 장비는 제2 미리 설정된 공식을 사용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공식은,
Figure pct00005
일 수 있으며,
여기서 P는 타겟 수신 전력값이고, Pratio(i)는 M개 타겟 비율 중의 i번째 타겟 비율이고,
Fi(Pratio(1),…,Pratio(i),…,Pratio(M))는 변환함수이고, P(i)는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i번째 타겟 전력값이고, M은 타겟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수이고, 1≤i≤M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Fi(Pratio(1),…,Pratio(i),…,Pratio(M))는 변환함수로서, M개 타겟 비율 Pratio(1),…,Pratio(i),…,Pratio(M)을 M개 가중계수로 변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M개 타겟 비율 Pratio(1),…,Pratio(i),…,Pratio(M)이 동시에 입력되면, M개 가중계수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가중계수는 모두 0부터 1 사이이 소수이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S201에서 예시한 데이터를 예로 들면, 5개 타겟 비율이 각각 Pratio(1),Pratio(2),Pratio(3),Pratio(4),Pratio(5)로 표시된다고 가정하면, Pratio(1),Pratio(2),Pratio(3),Pratio(4),Pratio(5)에서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 장비는 전술한 제2 미리 설정된 공식에 근거하여 전술한 타겟 수신 전력값을
Figure pct00006
로 산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F1,F2,F3,F4,F5는 Pratio(1),Pratio(2),Pratio(3),Pratio(4),Pratio(5)를 동시에 전술한 변환함수에 입력하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고, F1,F2,F3,F4,F5 는 모두 0부터 1 사이의 소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M개 타겟 비율에서 각 타겟 비율은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로서, 각 타겟 비율은 각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 간의 근접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신호 송신기(예: 네트워크 장비)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할 때 송신기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고려하므로, 결정된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실제 수신 전력값에 더 가깝다. 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의 신호 커버리지 강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가 해당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단말 장비가 캠프 온할 셀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기 전에, 먼저 M개 타겟 전력값을 획득하고, 그 다음 M개 타겟 전력값에 근거하여 M개 타겟 비율을 얻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1을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S201 이전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은 후술되는 S20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S201는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S201a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S203: 단말 장비가 M개 타겟 전력값을 획득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전력값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S201에서 M개 타겟 전력값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S201a: 단말 장비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각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M개 타겟 전력값을 획득한 후, 단말 장비는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값을 결정하고, 그 다음 단말 장비는 M개 타겟 전력값과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M개 타겟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각 타겟 전력값과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값의 비율을 각각 계산하여 M개 타겟 비율을 얻는다. 하나의 타겟 전력값은 하나의 타겟 비율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비율에 대한 기타 설명은 전술한 S201에서 타겟 비율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M개 타겟 비율에서 각 타겟 비율은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로서, 각 타겟 비율은 각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 간의 근접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신호 송신기(예: 네트워크 장비)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어, 상기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결정된 타겟 전력값의 정확도가 높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S203은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S203a-S203b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S203a: 단말 장비가 M개의 전력 평균값을 획득한다.
여기서, M개의 전력 평균값 중의 각 전력 평균값은 타겟 범위 내에서 M개 논리 안테나 포트 중의 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 평균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겟 범위 내에서 하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 평균값은 타겟 범위 내에서 상기 논리 안테나 포트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전력 평균값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범위는 타겟 지속시간 또는 타겟 대역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개의 전력 평균값 중의 각 전력 평균값은 타겟 지속시간 내에서 한 논리 안테나 포트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전력 평균값일 수 있고, 또는, M개 전력 평균값 중의 각 전력 평균값은 타겟 대역폭 내에서 한 논리 안테나 포트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전력 평균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지속시간은 실제 사용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임의의 지속시간으로,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대역폭은 시스템 대역폭일 수 있고, 시스템 대역폭에서 실제 사용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임의의 대역폭으로,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가 5개의 논리 안테나 포트를 포함하고, 타겟 지속시간이 0.01h(시간)이고, 0.01h 내에 타겟 수신 안테나의 5개 논리 안테나 포트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전력이 각각 Ptotal(1),Ptotal(2),Ptotal(3),Ptotal(4),Ptotal(5)로 표시된다고 가정하면, 단말 장비는 각각 Pmean(1),Pmean(2),Pmean(3),Pmean(4),Pmean(5)인 5개의 전력 평균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07
이다.
S203b: 단말 장비가 M개의 전력 평균값을 M개의 타겟 전력값으로 사용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M개 전력 평균값을 획득한 후, 단말 장비는 M개의 전력 평균값을 M개의 타겟 전력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S203a 및 전술한 S201에서의 데이터를 예로 들면, 단말 장비가 5개의 전력 평균값 Pmean(1),Pmean(2),Pmean(3),Pmean(4),Pmean(5)를 획득한 후, 단말 장비는 Pmean(1)를 P(1)로, Pmean(2)를 P(2)로, Pmean(3)를 P(3)로, Pmean(4)를 P(4)로, Pmean(5)를 P(5)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로
Figure pct00008
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각 타겟 전력값은 타겟 지속시간 또는 타겟 대역폭에서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전력 평균값이므로, 단말 장비에 의해 획득된 타겟 전력값은 논리 안테나 포트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어, 단말 장비가 타겟 전력값을 통해 결정한 타겟 비율의 정확도가 높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다수의 수신 안테나(예: N개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N개 수신 안테나 중의 각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함으로써 다수의 수신 전력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말 장비가 다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한 후, 단말 장비는 다수의 수신 전력값 중의 최대 수신 전력값을 통해 S 기준에 따라 타겟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1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S202 이후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은 후술되는 S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204: 단말 장비가 다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한 후, 단말 장비는 다수의 수신 전력값 중의 최대 수신 전력값을 통해 S 기준에 따라 타겟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타겟 셀은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이고, 전술한 다수의 수신 전력값은 다수의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이다. 즉, 다수의 수신 전력값 중의 각 수신 전력값은 다수의 수신 안테나 중 한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가 다수의 수신 안테나인 경우, 단말 장비는 단말 장비의 각 수신 안테나에 대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을 각각 수행하여 다수의 수신 안테나 중 각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함으로써, 다수의 수신 전력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말 장비가 다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한 후, 단말 장비는 다수의 수신 전력값 중의 최대 수신 전력값을 통해 S 기준에 따라 타겟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 장비가 타겟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한 경우, 단말 장비는 해당 셀에서 캠프 온 요청을 개시하고, 단말 장비가 타겟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한 경우, 단말 장비는 캠프 온할 다른 셀을 다시 검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다수의 수신 안테나 중의 최대 수신 전력값을 통해 S 기준에 따라 타겟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판단 결과가 상대적으로 정확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각 방법의 도면에 도시된 전력 결정 방법은 모두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한 도면을 예시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정 구현에서, 전술한 각 방법의 도면에 도시된 전력 결정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시된 기타 참조 가능한 임의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400)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401) - 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임 - ; 획득 모듈(401)에 의해 획득된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402) -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임 -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결정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M개 타겟 비율 중의 모든 타겟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1 미리 설정된 공식을 사용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M개 타겟 비율 중의 임의의 타겟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2 미리 설정된 공식을 사용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 미리 설정된 공식은
Figure pct00009
일 수 있으며, 여기서 P는 타겟 수신 전력값이고, P(i) 는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i번째 타겟 전력값이고, M은 타겟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 수이고, 1≤i≤M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2 미리 설정된 공식은
Figure pct00010
일 수 있으며, 여기서 P는 타겟 수신 전력값이고, Pratio(i)는 M개 타겟 비율 중의 i번째 타겟 비율이고, Fi(Pratio(1),…,Pratio(i),…,Pratio(M))는 변환함수이고, P(i)는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i번째 타겟 전력값이고, M은 타겟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수이고, 1≤i≤M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획득 모듈(401)은 또한,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기 전에, M개 타겟 전력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전술한 획득 모듈(401)은 구체적으로,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각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획득 모듈(401)은 구체적으로, M개 전력 평균값을 획득하고, M개 전력 평균값을 M개 타겟 전력값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각 전력 평균값은 타겟 범위 내에서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 평균값이고, 타겟 범위는 타겟 지속시간 또는 타겟 대역폭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타겟 수신 안테나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 중의 임의의 수신 안테나일 수 있으며, 전술한 단말 장비는, 결정 모듈(402)이 다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한 후, 다수의 수신 전력값 중의 최대 수신 전력값을 통해 S 기준에 따라 타겟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403)을 더 포함하며, 타겟 셀은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이고, 다수의 수신 전력값은 다수의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에 있어서, 해당 단말 장비는 M개 타겟 비율(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임)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을 통해, M개 타겟 비율에서 각 타겟 비율은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로서, 각 타겟 비율은 각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근접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신호 송신기(예: 네트워크 장비)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할 때 송신기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고려하므로, 결정된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실제 수신 전력값에 더 가깝다. 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의 신호 커버리지 강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가 해당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단말 장비가 캠프 온할 셀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말 장비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비(10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장치(103), 입력 장치(104), 센서(105), 디스플레이 장치(106), 사용자 입력 장치(107), 인터페이스 장치(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10) 및 전원(111) 등 부품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당업자라면 도 7에 도시된 단말 장비의 구조가 단말 장비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 장비는 도에 도시된 부품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부품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고,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M개 신호의 전력값이고,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단말 장비의 구조 개략도(예: 전술한 도 5와 같이)에서 획득 모듈(401)과 결정 모듈(402)은 전술한 프로세서(11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 장비의 구조 개략도(예: 전술한 도 6와 같이)에서 송신 모듈(403)은 전술한 무선 주파수 장치(101)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에 있어서, 해당 단말 장비는 M개 타겟 비율(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임)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을 통해, M개 타겟 비율에서 각 타겟 비율은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로서, 각 타겟 비율은 각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근접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신호 송신기(예: 네트워크 장비)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할 때 송신기의 각 논리 안테나 포트의 상태를 고려하므로, 결정된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타겟 수신 안테나의 실제 수신 전력값에 더 가깝다. 즉,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의 신호 커버리지 강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가 해당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단말 장비가 캠프 온할 셀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1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1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도 있다.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3)는 무선 주파수 장치(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1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103)는 단말 장비(1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3)는 스피커, 버저,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1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장치(104)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41) 및 마이크로폰(1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장치(1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1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09) (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0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장비(100)에는 예컨대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05)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단말 장비(100)가 귀 가까이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 장비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1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6)는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1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장비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107)는 터치 패널(1071) 및 기타 입력 장치(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1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1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 (1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1071)은 저항성, 용량성,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107)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1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1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1071)은 디스플레이 패널(10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110)에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1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비록 도 7에서 터치 패널(1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 단말 장비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1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통합시켜 단말 장비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인터페이스 장치(108)는 외부 장치와 단말 장비(10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식별 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1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을 단말 장비(100) 내부에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자로 전송하는 데 사용하거나 단말 장비(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단말 장비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이용하여 전체 단말 장비의 여러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1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수행하고 메모리(1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 장비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단말 장비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1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처리 장치가 통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며, 모뎀 처리 장치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1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 장비(100)는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11)(예: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전원(1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비(10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10), 메모리(109) 및 메모리(1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이나 디스크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 부분 또는 기존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솔루션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단말 장비(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에 의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전술한 특정 구현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특정 구현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에 불과하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계시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주지와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다양한 양태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전력 결정 방법에 있어서,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 - 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상기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임 - ;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상기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임 -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M개 타겟 비율 중의 모든 타겟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1 미리 설정된 공식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M개 타겟 비율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2 미리 설정된 공식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공식은,
    Figure pct00011
    이고,
    여기서 P 는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이고, P(i)는 상기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i번째 타겟 전력값이고, M은 상기 타겟 수신 안테나 상의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이고, 1≤i≤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공식은,
    Figure pct00012
    이고,
    여기서 P 는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이고, Pratio(i) 는 상기 M개 타겟 비율 중의 i번째 타겟 비율이고, Fi(Pratio(1),…,Pratio(i),…,Pratio(M))는 변환함수이고, P(i)는 상기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i번째 타겟 전력값이고, M은 상기 타겟 수신 안테나 상의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이고, 1≤i≤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각 타겟 전력값과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M개 전력 평균값을 획득하는 단계 - 각 전력 평균값은 타겟 범위 내에서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 중의 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 평균값이고, 상기 타겟 범위는 타겟 지속시간 또는 타겟 대역폭임 - ;
    상기 M개의 전력 평균값을 상기 M개의 타겟 전력값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수신 안테나가 다수의 수신 안테나 중의 임의의 수신 안테나이고,
    다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한 후, 상기 다수의 수신 전력값 중의 최대 수신 전력값을 통해 S 기준에 따라 타겟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 셀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이고, 상기 다수의 수신 전력값은 상기 다수의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단말 장비에 있어서,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각 타겟 비율은 M개 타겟 전력값에서 한 개 타겟 전력값과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이고,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은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최대 값이고,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은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값이고,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는 상기 단말 장비의 타겟 수신 안테나의 논리 안테나 포트이고, M은 1보다 큰 정수임 - ;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M개 타겟 비율에 근거하여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은 상기 타겟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임 -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M개 타겟 비율 중의 모든 타겟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1 미리 설정된 공식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M개 타겟 비율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2 미리 설정된 공식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공식은,
    Figure pct00013
    이고,
    여기서 P 는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이고, P(i)는 상기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i번째 타겟 전력값이고, M은 상기 타겟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수이고, 1≤i≤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공식은,
    Figure pct00014
    이고,
    여기서 P 는 상기 타겟 수신 전력값이고, Pratio(i) 는 상기 M개 타겟 비율 중의 i번째 타겟 비율이고, Fi(Pratio(1),…,Pratio(i),…,Pratio(M))는 변환함수이고, P(i)는 상기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i번째 타겟 전력값이고, M은 상기 타겟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수이고, 1≤i≤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또한, 상기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기 전에,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M개 타겟 전력값 중의 각 타겟 전력값과 상기 최대 타겟 전력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M개 타겟 비율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M개 전력 평균값을 획득하고, 상기 M개 전력 평균값을 상기 M개 타겟 전력값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각 전력 평균값은 타겟 범위 내에서 상기 M개 논리 안테나 포트의 한 논리 안테나 포트의 수신 전력 평균값이고, 상기 타겟 범위는 타겟 지속시간 또는 타겟 대역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수신 안테나가 다수의 수신 안테나 중의 임의의 수신 안테나이고,
    상기 결정 모듈이 다수의 수신 전력값을 결정한 후, 상기 다수의 수신 전력값 중의 최대 수신 전력값을 통해 S 기준에 따라 타겟 셀이 캠프 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 셀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셀이고, 상기 다수의 수신 전력값은 상기 다수의 수신 안테나의 수신 전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5. 단말 장비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6.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력 결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05885A 2019-07-30 2020-06-24 전력 결정 방법 및 단말 장비 KR202200397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96356.6A CN110493831B (zh) 2019-07-30 2019-07-30 一种功率确定方法及终端设备
CN201910696356.6 2019-07-30
PCT/CN2020/098247 WO2021017707A1 (zh) 2019-07-30 2020-06-24 功率确定方法及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759A true KR20220039759A (ko) 2022-03-29

Family

ID=6854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885A KR20220039759A (ko) 2019-07-30 2020-06-24 전력 결정 방법 및 단말 장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50767A1 (ko)
EP (1) EP4007364B1 (ko)
JP (1) JP7252410B2 (ko)
KR (1) KR20220039759A (ko)
CN (1) CN110493831B (ko)
ES (1) ES2955818T3 (ko)
WO (1) WO2021017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3831B (zh) * 2019-07-30 2021-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功率确定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0160B2 (en) * 2008-02-28 2012-12-25 Nokia Corporation Dynamic combining threshold for a rake receiver
EP2858402B1 (en) * 2012-06-04 2019-08-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gnal received power measurement method, terminal, base station and system
JP2014072580A (ja) * 2012-09-27 2014-04-21 Fujitsu Ltd 受信機および受信品質測定方法
CN105075321B (zh) 2013-01-14 2018-11-09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信道状态信息的方法及用户设备
KR20150134328A (ko) * 2013-03-25 201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787662B1 (en) * 2013-04-05 2018-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port detection
CN104185202B (zh) * 2013-05-24 2018-01-05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参考信号接收功率的确定方法
JP6234726B2 (ja) * 2013-07-29 2017-11-22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4467938B (zh) * 2014-11-20 2018-06-22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选择分集接收合并模式的方法和系统
CN105992265B (zh) * 2015-01-30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小区测量方法及终端
WO2016163842A1 (ko) 2015-04-10 2016-10-13 엘지전자 (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74839B2 (en) 2015-08-13 2019-08-06 Lg Electronics Inc. Operation method of user equipment in relation to CSI-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US10455530B2 (en) 2015-09-03 2019-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6941681B (zh) * 2016-01-04 2020-03-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天线极化类型的方法、装置及基站
CN108282202B (zh) * 2017-01-06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配置方法及相关设备
CN108934059A (zh) * 2017-05-27 2018-12-04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免授权频段驻留小区的选择方法及相关设备
US10334456B2 (en) 2017-07-06 2019-06-25 Futurewei Technologies, Inc. Optimizing cellular networks using deep learning
US10594382B2 (en) * 2018-01-02 2020-03-17 Apple Inc.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power boosting
CN110493831B (zh) * 2019-07-30 2021-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功率确定方法及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7707A1 (zh) 2021-02-04
ES2955818T3 (es) 2023-12-07
EP4007364A4 (en) 2022-09-21
JP2022544046A (ja) 2022-10-17
EP4007364B1 (en) 2023-08-09
EP4007364A1 (en) 2022-06-01
CN110493831A (zh) 2019-11-22
US20220150767A1 (en) 2022-05-12
CN110493831B (zh) 2021-09-28
JP7252410B2 (ja)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5447B (zh) 一种测量配置方法及终端设备
US11937111B2 (en) Measurement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0557792B (zh) 一种小区管理方法、触发条件配置方法及相关设备
KR20210122841A (ko) 측정 처리 방법, 파라미터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CN108513347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CN112929926B (zh) 邻小区csi报告发送方法、接收方法及相关设备
CN111328119B (zh) 一种语音业务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210092630A1 (en) Method for cell management,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CN110913455B (zh) 禁用异常小区的方法、电子设备及服务器
CN109756977B (zh) 随机接入方法和用户终端
CN111065127B (zh) 一种测量报告的上报方法及电子设备
CN107155203B (zh) 小区重选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95191B (zh) 一种小区重选控制方法及终端
JP2021525495A (ja) セル管理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側装置
CN110099434B (zh) 一种功率调整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110036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CN108512616B (zh) 信号强度显示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81349B1 (ko) 파워 헤드룸 리포팅 방법 및 단말 기기
CN109450508B (zh) 天线确定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220039759A (ko) 전력 결정 방법 및 단말 장비
CN109286414B (zh) 一种天线确定方法和终端
CN108391305B (zh) 一种WiFi热点选择方法及终端设备
CN112821970B (zh) 电子价签信道选择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966298B (zh) 通信频段的控制方法及装置
CN113518351A (zh) 一种模式判决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