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327A -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327A
KR20220039327A KR1020200122333A KR20200122333A KR20220039327A KR 20220039327 A KR20220039327 A KR 20220039327A KR 1020200122333 A KR1020200122333 A KR 1020200122333A KR 20200122333 A KR20200122333 A KR 20200122333A KR 20220039327 A KR20220039327 A KR 20220039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guide
cran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445B1 (ko
Inventor
이학섭
조준구
오경현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바로건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바로건설기술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4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S) 및 그 설치방법(M)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가 직립된 상태로 결합되어 격자형 구조를 형성하되, 중심에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전단 보강체; 및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이 조립 형성되어 상기 전단 보강체의 공간부에 구비된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 철근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로써, 기초보강재를 선조립한 후 현장에서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배치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의 기간을 단축시키고 출력인원을 절감하여 경제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Shear Reinforcement Integrated with Vertical Rebars that can be Constructed with a Cran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가 직립된 상태로 결합되어 격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중심에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전단 보강체와 상기 공간부에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이 조립 형성된 수직 철근 조립체가 일체로 결합되어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기초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부에 하부철근을 배근하며, 체어리바나 기타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하부철근과는 상부로 일정 간격 이격시켜 상부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기초 슬래브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초 슬래브에 기둥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용 이음철근(1)(다웰 바, Dowel Bar)을 상부로 노출되게 구비하고, 상기 수직용 이음철근에 기둥의 철근을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건축 구조물이 고층화, 대형화됨에 따라 기둥을 통하여 기초 슬래브로 전달되는 축하중이 증가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일부 기둥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술한 이유로 기초의 두께를 두껍게 확보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펀칭 전단 저항을 확보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을 중심으로 기초 슬래브의 상부철근 및 하부철근에 결속되도록 전단보강근을 추가적으로 배근함으로써 펀칭 전단 보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전단보강근을 상부철근 및 하부철근 사이에 배근하는 공정은 매우 번거롭고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일일이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숙련도에 의존될 수밖에 없어 시공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24075호의 '기초보강재'(2006. 09. 19. 공고,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기초철판과 보강철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기초보강재를 바탕으로 기초에 작용하는 거대한 집중하중을 고르게 분산함과 동시에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행기술문헌이 제안하는 기초보강재는 종래의 전단보강근에 비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은 있었으나, 수직용 이음철근을 별도로 제작 및 설치함에 따라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수직용 이음철근을 하부철근과 결속함에 있어서 충분한 정착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단부를 외측으로 90도 절곡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하부철근과 간섭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직용 이음철근은 수평방향 오차범위를 5mm 이내로 형성하여야 할 정도로 시공정확도가 요구되므로 기초보강재와 수직용 이음철근을 미리 일체화하여 시공하고자 하여도 자중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기초를 형성함에 있어서 기초보강재를 선조립한 후 현장에서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배치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공의 기간을 단축시키고 출력인원을 절감하여 경제성 및 효율성을 확보하고, 바닥의 상부에 배근된 하부 철근과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으며, 중량의 기초보강재를 오차범위 이내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S)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1)가 직립된 상태로 결합되어 격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중심에는 공간부(12)가 마련되는 전단 보강체(10); 및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1)이 조립 형성되어 상기 전단 보강체(10)의 공간부(12)에 구비된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 철근 조립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는 기둥 단면에 대응는 형상의 타이 프레임(22)을 따라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1)이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용 수직 철근(21)의 하단에는 기계식 정착구(24)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10)를 정위치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받침 가이드(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 가이드(30)의 상부에는 가이드 공(31a)이 형성된 복수의 유도부재(31)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에는 상기 가이드 공(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핀(25)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부재(31)의 내주면은 가이드 공(31a)을 향하여 하방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형 단면을 지닐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설치방법(M)은,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받침 가이드(30)를 구비하는 받침 가이드 구비단계(S10); 및 크레인(C)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10)를 받침 가이드(30)의 상부에 구비하여 정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전단 보강체 배치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 가이드 구비단계(S10) 이후에, 하부 철근(BR)을 배근하는 하부 철근 배근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단 보강체 배치단계(S20) 이후에,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의 이음용 수직 철근(21)의 하단에 기계식 정착구(24)를 결합하는 정착구 결합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를 직립된 상태로 결합하여 격자형 구조의 전단 보강체를 형성하고,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을 조립하여 수직 철근 조립체를 형성하되, 전단 보강체의 공간부에 수직 철근 조립체를 구비한 상태로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현장에서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배치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전체 공기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기초 공사의 공기를 단축시키고 출력인원을 절감함으로써 기초 공사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둥 단면에 대응는 형상의 타이 프레임을 따라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이 일체로 긴결된 수직 철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이 프레임을 매개로 수직 철근 조립체와 전단 보강체의 일체화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이음용 수직 철근의 하단에는 기계식 정착구가 결합되어 전단 보강체의 거치 후에 수평 철근을 결속할 수 있으므로, 바닥의 상부에 배근된 하부 철근과의 간섭을 해소하여 시공 효율을 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바닥의 상부에 받침 가이드를 구비하고, 수직 철근 조립체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를 상기 받침 가이드의 상부에 거치하여 상기 전단 보강체를 정위치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켜 하부 철근과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 가이드의 상부에는 가이드 공이 형성된 복수의 유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핀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크레인을 이용한 배치과정에서 중량의 기초보강재를 오차범위 이내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독립기초용 수직용 이음철근을 배근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펀칭 전단 보강을 위한 전단보강근을 배근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초보강재를 크레인으로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 조립체에 기계식 정착구를 조립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가이드를 매개로 수직 철근 조립체를 정위치에 배치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의 설치방법의 시계열적 순서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S)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단 보강체(10)와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초보강재(S)는 독립 기초는 물론 전면 기초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독립 기초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기초보강재(S)가 구비되고, 전면 기초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일정 위치마다 기초보강재(S)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 보강체(10)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1)가 직립된 상태로 결합되어 격자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 플레이트(11)는 방향을 달리하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1)가 상호 결합하여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1)가 구비되고, 제1 방향과 직각된 제2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전단 보강체(10)의 상부로 인가되는 하중이 외측 사방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지지력 및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방향을 달리하는 보강 플레이트(11)가 겹쳐지는 부분은 용접이나 덧댐 플레이트에 의한 볼팅결합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작하며, 하나의 보강 플레이트(11)를 형성함에 있어도 복수의 플레이트를 덧댐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11)에는 법선 방향으로 복수의 스터드 볼트(16)가 결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단 보강체(10)를 형성하는 각각의 보강 플레이트(11)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정착 플랜지(13)를 결합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강봉(14)을 구비하여 양 단부가 상기 정착 플랜지(13)에 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보강 플레이트(11)의 하부에는 전체적으로 아치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개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전단 보강체(10)의 상부에 인가되는 하중은 보강 플레이트(11)의 아치형 구조를 따라 하방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전단 보강체(10)의 외측으로 작용되는 변형하중은 상기 강봉(14)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구조적으로 우수한 전단 보강체(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 플랜지(13)는 분리된 조각 플랜지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단 보강체(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1)의 길이방향 단부를 전체적으로 에워싸도록 원형 내지 다각형 형상으로 일체화된 폐단면 플레이트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전단 보강체(10)는 기존의 전단보강근에 비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은 있으나, 통상 하부 철근(BR)이 배근된 상태에서 크레인에 의하여 배치되므로 하부 철근(BR)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함에 어려움이 발생되며, 후속 공정으로서 이음용 수직 철근을 배근하는 과정에서 정착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절곡하므로, 이음용 수직 철근의 배근과정에서 시공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보강 플레이트(11)를 이용하여 전단 보강체(10)를 형성함에 있어서 중심에 공간부(12)를 마련하고,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1)이 조립 형성된 수직 철근 조립체(20)를 상기 공간부(12)에 구비한 상태로 일체로 결합한 것에 주요한 차별성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 보강체(10)의 공간부(12)에 수직 철근 조립체(20)를 구비한 상태로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현장에서는 크레인(C)을 이용하여 배치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음용 수직 철근을 배근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 공기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기초 공사의 공기를 단축시키고 출력인원을 절감함으로써 기초 공사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는 기둥 단면에 대응는 형상의 타이 프레임(22)을 따라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1)이 결속될 수 있다. 상기 타이 프레임(22)의 규격은 기둥을 형성함에 있어서 이음용 수직 철근(21)의 외측으로 적정 피복 두께가 확보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 프레임(22)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1)이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타이 프레임(22)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1)을 구비하고 결합 고정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 프레임(22)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어 견고한 일체화를 꾀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인접된 타이 프레임(22) 사이에는 수직 프레임(23)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전단 보강체(10)와 공간부(12)에 배치된 수직 철근 조립체(20)는 직접 용접이나 볼팅 결합으로 일체화될 수 있으며, 기타 추가적인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연결부재를 매개로 용접이나 볼팅 결합이 이루어지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일체화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이음용 수직 철근은 충분한 정착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절곡하는 공정이 필수적이었으며, 이는 공기를 증가시킴은 물론 사전에 설치된 하부 철근(BR)과의 간섭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전단 보강체(10)와 수직 철근 조립체(20)를 일체화하지 못하는 한계로 작용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용 수직 철근(21)의 하단에 기계식 정착구(24)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계식 정착구(24)는 확대머리 철근이라 지칭되는 원뿔대형 정착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레인(C)을 이용한 배치 이전에 미리 수직 철근 조립체(20)의 개별 이음용 수직 철근(21)에 상기 기계식 정착구(24)를 결합함으로써, 바닥의 상부에 배근된 하부 철근(BR)과 이음용 수직 철근(21)간의 간섭을 해소하여 시공 효율을 꾀함은 물론 배치 이후에도 충분한 정착력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계식 정착구(24)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음용 수직 철근(21)에는 사전에 탭가공을 통하여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계식 정착구(24)와 조립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10)를 배치함에 있어서, 미리 설치된 하부 철근(BR)으로 인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음용 수직 철근(21)과 하부 철근(BR) 사이에 간섭이 야기됨은 물론 추가적으로는 전단 보강체(10)와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화되면 중량인 전단 보강체의 자중이 더욱 증가됨에 따라 인력의 작업에 의존하는 것만으로는 정위치 배치가 어려운 한계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10)를 정위치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받침 가이드(30)를 바닥에 구비한 것에 또 다른 기술적 차별성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 가이드(30)는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바닥의 상부에 미리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10)를 상기 받침 가이드(30)의 상부에 거치함으로써 상기 전단 보강체(10)를 정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 가이드(30)에 의하여 전단 보강체(1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므로 하부 철근(BR)과의 간섭도 해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가이드(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가이드 공(31a)이 형성된 복수의 유도부재(31)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에는 상기 가이드 공(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핀(25)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받침 가이드(30)를 구비하면, 크레인(C)을 이용하여 전단 보강체(10)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일체화된 수직 철근 조립체(20)의 가이드 핀(25)을 유도부재(31)를 매개로 가이드 공(31a)에 삽입시킴으로써 중량의 기초보강재를 오차범위 이내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부재(31)의 내주면은 가이드 공(31a)을 향하여 하방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함으로써 인력에 의한 보조없이 크레인(C)을 이용한 배치만으로도 가이드 핀(25)이 유도부재(31)의 내주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가이드 공(31a)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인력의 불필요한 소모를 생략하고, 시공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S)는 하부 철근(BR) 이후에 받침 가이드(30)를 배치할 수도 있으나, 받침 가이드(30)를 배치한 이후에 하부 철근(BR)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시공 효율을 위하여 받침 가이드(30)의 위치에는 하부 철근(BR)을 생략하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 보강체(1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 철근 조립체(40)를 추가적으로 결속하여 크레인(C)을 바탕으로 수직 철근 조립체(20) 및 하부 철근 조립체(40)가 일체화된 전단 보강체(10)를 배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부 철근 조립체(50)를 추가적으로 결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 철근 조립체(40) 및 상부 철근 조립체(50)를 일체화하는 경우 배근과정에서 이 부분을 제외하고 배근이 가능한 바, 기초보강재(S)와의 간섭 없이 손쉽게 배근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발휘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의 설치방법(M)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의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의 설치방법(M)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가이드 구비단계(S10) 및 전단 보강체 배치단계(S2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 가이드 구비단계(S10)는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바닥에 받침 가이드(3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받침 가이드(30)는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10)를 정위치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독립 기초의 경우에는 하나의 받침 가이드(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면 기초의 경우에는 일정 위치마다 받침 가이드(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 가이드 구비단계(S10)는 하부 철근(BR)을 배근한 이후(S00)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받침 가이드(30)가 구비된 이후에 하부 철근 배근단계(S15)가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받침 가이드(30)는 상부에 가이드 공(31a)이 형성된 복수의 유도부재(31)가 구비되어 후술할 수직 철근 조립체(20)의 가이드 핀(25)이 상기 유도부재(31)의 가이드 공(31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31)의 내주면은 가이드 공(31a)을 향하여 하방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핀(25)이 유도부재(31)의 내주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가이드 공(31a)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단 보강체 배치단계(S20)는, 크레인(C)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10)를 받침 가이드(30)의 상부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단 보강체(10)를 정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켜 하부 철근(BR)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에는 상기 가이드 공(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핀(25)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크레인(C)을 이용하여 전단 보강체(10)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일체화된 수직 철근 조립체(20)의 가이드 핀(25)을 유도부재(31)를 매개로 가이드 공(31a)에 삽입시킴으로써 중량의 기초보강재를 오차범위 이내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전단 보강체 배치단계(S20)를 수행함에 있어서 바닥의 상부에 배근된 하부 철근(BR)과 이음용 수직 철근(21)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음용 수직 철근(21)은 정착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바 필연적으로 외측으로 절곡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전단 보강체 배치단계(S20) 이전에 미리 수직 철근 조립체(20)의 개별 이음용 수직 철근(21)에 기계식 정착구(24)를 결합함으로써 충분한 정착 길이가 확보되도록 한다. 이로써, 시공 과정에서는 바닥의 상부에 배근된 하부 철근(BR)과 이음용 수직 철근(21)간의 간섭을 해소하여 시공 효율을 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S) 및 그 설치방법(M)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10:전단 보강체
11:보강 플레이트 12:공간부
13:정착 플랜지 14:강봉
15:개방부 20:수직 철근 조립체
21:이음용 수직 철근 22:타이 프레임
23:수직 프레임 24:기계식 정착구
25:가이드 핀 30:받침 가이드
31:유도부재 40:하부 철근 조립체
M: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의 설치방법
S10:받침 가이드 구비단계 S15:하부 철근 배근단계
S20:전단 보강체 배치단계 S30:정착구 결합단계

Claims (8)

  1.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1)가 직립된 상태로 결합되어 격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중심에는 공간부(12)가 마련되는 전단 보강체(10); 및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1)이 조립 형성되어 상기 전단 보강체(10)의 공간부(12)에 구비된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 철근 조립체(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는 기둥 단면에 대응는 형상의 타이 프레임(22)을 따라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1)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용 수직 철근(21)의 하단에는 기계식 정착구(2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10)를 정위치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받침 가이드(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가이드(30)의 상부에는 가이드 공(31a)이 형성된 복수의 유도부재(31)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에는 상기 가이드 공(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핀(25)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31)의 내주면은 가이드 공(31a)을 향하여 하방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형 단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7.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받침 가이드(30)를 구비하는 받침 가이드 구비단계(S10); 및
    크레인(C)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10)를 받침 가이드(30)의 상부에 구비하여 정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전단 보강체 배치단계(S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의 설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가이드 구비단계(S10) 이후에,
    하부 철근(BR)을 배근하는 하부 철근 배근단계(S1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의 설치방법.
KR1020200122333A 2020-09-22 2020-09-22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 KR102429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333A KR102429445B1 (ko) 2020-09-22 2020-09-22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333A KR102429445B1 (ko) 2020-09-22 2020-09-22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327A true KR20220039327A (ko) 2022-03-29
KR102429445B1 KR102429445B1 (ko) 2022-08-04

Family

ID=8099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333A KR102429445B1 (ko) 2020-09-22 2020-09-22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4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4192A (ko) 2022-11-04 2024-05-13 (주)바로건설기술 볼트 조립형 스트럿-타이 기초보강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1438A (ja) * 2007-05-22 2008-12-04 Act Co Ltd アンカーフレーム
KR100904057B1 (ko) * 2009-01-12 2009-06-23 (주)대우건설 철근간 삽입이 용이한 철근 기계적 정착부재
JP2012246696A (ja) * 2011-05-30 2012-12-13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鉄骨柱の建込工法、及び該工法に使用されるベース部材
KR20190084712A (ko) * 2018-01-09 2019-07-17 (주)센벡스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1438A (ja) * 2007-05-22 2008-12-04 Act Co Ltd アンカーフレーム
KR100904057B1 (ko) * 2009-01-12 2009-06-23 (주)대우건설 철근간 삽입이 용이한 철근 기계적 정착부재
JP2012246696A (ja) * 2011-05-30 2012-12-13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鉄骨柱の建込工法、及び該工法に使用されるベース部材
KR20190084712A (ko) * 2018-01-09 2019-07-17 (주)센벡스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445B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993B1 (ko)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31679B1 (ko) 매입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골기둥의 이음 방법
KR101766807B1 (ko) 플레이트를 활용한 pc기둥-pc보 강접합 결합구조 및 pc거더-pc빔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JP4284056B2 (ja) 非埋込み型柱脚の施工方法及びその非埋込み型柱脚構造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2429445B1 (ko)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
JP2522714B2 (ja) 建築物躯体の施工法
KR102104382B1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101428539B1 (ko)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36473B1 (ko) L형강을 이용한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lfc 5) 및 이의 시공방법
JP2999126B2 (ja) 各種機械の据付用基礎架台
CN112681514A (zh) 一种装配式节点套筒及其安装方法
JP2002285564A (ja) 構造物基礎の支持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6849491B2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50369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구조
JP6654918B2 (ja) 複合構造における仕口鉄骨の固定方法と仕口構造
CN210597881U (zh) 免支模带装饰框架柱及框架柱梁体系
JPH0742721B2 (ja) プレキャスト梁部材を使用した鉄筋コンクリート柱・梁構築法
JPH0434161A (ja) Pc柱及びpc柱構法
KR101108283B1 (ko) 판넬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시스템
KR100837831B1 (ko)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KR102347637B1 (ko) 파셜pc 커플거더 및 그의 기둥 접합구조
KR102585526B1 (ko) 단부 매립형 거더 접합 구조를 갖는 합성 프레임
KR102310266B1 (ko)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