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266B1 -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266B1
KR102310266B1 KR1020210041995A KR20210041995A KR102310266B1 KR 102310266 B1 KR102310266 B1 KR 102310266B1 KR 1020210041995 A KR1020210041995 A KR 1020210041995A KR 20210041995 A KR20210041995 A KR 20210041995A KR 102310266 B1 KR102310266 B1 KR 102310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fastening hole
frame
base fram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준
정인수
박상현
문종혁
김종호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우광티엔씨(주)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티엔씨(주),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filed Critical 우광티엔씨(주)
Priority to KR102021004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2Base structures or suppor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47Ancho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하는 RC 구조물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기초프레임 상부에 공장에서 선 제작된 유닛블록을 고정함으로써, 하부 구조물 상부에 유닛블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합할 수 있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은 복수의 기둥부재, 이웃하는 기둥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보부재 및 이웃하는 기둥부재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보부재로 구성되는 유닛블록을 RC 구조인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닛블록의 기둥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기둥부재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 및 상면이 하부 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이웃하는 고정구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제3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공 위치의 연결프레임 하면에는 제2고정너트와 상기 제2고정너트를 감싸는 너트박스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보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제3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체결공이 형성되어 제2고정볼트를 하부보부재와 연결프레임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제2고정너트에 체결함으로써 하부보부재가 연결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Base frame for installation of unit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it blo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하는 RC 구조물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기초프레임 상부에 공장에서 선 제작된 유닛블록을 고정함으로써, 하부 구조물 상부에 유닛블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합할 수 있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건축물 옥상에 설치되는 옥탑 구조물은 기준층에서와 같이 철근콘크리트(RC) 공법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옥탑 구조물은 기준층과 평면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갱폼 등 기준층 시공에 사용된 기존 시스템 거푸집을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별도의 재래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옥탑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골조 공사 마무리 시점에 시공된다. 이에 따라 타워크레인 등 장비 활용에 제한이 있고, 현장 인력이나 자재 수급에 어려움이 있어 시공이 곤란하며, 공기 지연의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옥탑 구조물을 재래식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품질 확보에 한계가 있고, 철근 배근, 거푸집 설치 및 해체는 물론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고소(高所)에서 이루어지므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재래식 공법을 대체하여 단위모듈을 공장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모듈러 공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모듈러 공법은 골조를 비롯하여 마감, 설비 등의 공정이 대부분 공장 등에서 미리 이루어지므로, 구조물의 품질 확보와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또한, 완성된 단위모듈을 현장에서 조립만 하면 되므로 현장 인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옥탑 구조물 등 시공을 위한 단위모듈은 RC 공법에 의해 기시공된 하부 구조물 상부에 안착하여 고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단위모듈을 하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부 구조물 상면을 천공하여 앵커를 후 시공하거나, 하부 구조물 시공시 앵커를 사전 매립하고 앵커에 단위모듈을 고정 설치한다.
그러나 앵커 후 시공 공법은 단위모듈에 맞춰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별도의 앵커 시공 공정이 필요하여 번거롭고 공기 지연의 요인이 된다.
아울러 앵커 사전 매립 시공은 하부 RC 구조물 시공시 동시에 작업이 이루어져 공기 지연의 우려는 없으나 시공 중 앵커 위치의 정밀도가 떨어져 단위모듈을 접합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다.
KR 10-2099018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하는 RC 구조물 상부에 공장에서 선 제작된 유닛블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합할 수 있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부재, 이웃하는 기둥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보부재 및 이웃하는 기둥부재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보부재로 구성되는 유닛블록을 RC 구조인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닛블록의 기둥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기둥부재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 및 상면이 하부 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이웃하는 고정구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제3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공 위치의 연결프레임 하면에는 제2고정너트와 상기 제2고정너트를 감싸는 너트박스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보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제3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체결공이 형성되어 제2고정볼트를 하부보부재와 연결프레임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제2고정너트에 체결함으로써 하부보부재가 연결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 프레임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구는 하부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정착되는 앵커바, 상기 앵커바의 상단에 고정되는 정착플레이트 및 상기 정착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에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 위치의 내측면에 제1고정너트가 구비된 가이드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블록이 기둥부재의 하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고정볼트를 기둥부재와 가이드블록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제1고정너트에 체결함으로써 기둥부재가 고정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 프레임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는 하부 구조물의 철근이 삽입되어 걸리는 철근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 프레임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는 고무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 프레임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기초프레임을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하부 구조물의 철근을 배근하고, 상부에 기초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b) 하부 구조물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프레임을 고정하는 단계; 및 (c) 유닛블록을 양중하여 기초프레임의 고정구가 유닛블록의 기둥부재 하단에 삽입되도록 기초프레임 상부에 거치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프레임을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부에 위치하는 RC 구조물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기초프레임 상부에 공장에서 선 제작된 유닛블록을 고정함으로써, 하부 구조물 상부에 유닛블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합할 수 있다.
둘째, 기초프레임을 유닛블록의 기둥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구비된 고정구와 이웃하는 고정구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하므로, 고정구를 기둥부재 내부에 삽입하여 유닛블록을 기초프레임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둥부재를 폐단면의 각형 강관으로 구성할 수 있어, 기둥부재의 좌굴을 방지하고 단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하부보부재를 기초프레임의 연결프레임에 볼트 결합하여 고정하는 경우, 유닛블록을 하부 구조물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하부 구조물 상부에 고정된 유닛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기초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기초프레임과 유닛블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기초프레임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5는 기초프레임과 유닛블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고정구의 결합 상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가이드블록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8은 고정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연결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철근고정구가 철근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고무패드가 구비된 기초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하부 구조물 상부에 고정된 유닛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기초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기초프레임과 유닛블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기초프레임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기초프레임과 유닛블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은 복수의 기둥부재(31), 이웃하는 기둥부재(3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보부재(32) 및 이웃하는 기둥부재(31)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보부재(33)로 구성되는 유닛블록(3)을 RC 구조인 하부 구조물(1)의 상부에 설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닛블록(3)의 기둥부재(31)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기둥부재(31)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21); 및 이웃하는 고정구(21)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2);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하는 RC 구조물 상부에 공장에서 선 제작된 유닛블록(3)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합할 수 있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 구조물(1)은 유닛블록(3)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기초판, 슬래브, 줄기초 등일 수 있다.
상기 유닛블록(3)은 옥탑 구조물뿐 아니라 주택, 학교, 숙박시설, 임시 재난 시설 등 다양한 건물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유닛블록(3)은 복수의 기둥부재(31), 이웃하는 기둥부재(3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보부재(32) 및 이웃하는 기둥부재(31)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보부재(33)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상기 기둥부재(31)는 유닛블록(3)의 네 모서리에 구비된다.
상기 유닛블록(3)의 크기, 하중의 크기 등에 따라 유닛블록(3)의 이웃하는 모서리 사이에도 기둥부재(31)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유닛블록(3)의 각 면에는 기둥부재(31)와 보부재(32, 33)의 접합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브레이싱재(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닛블록(3)은 철골 부재로 형성하여 경량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초프레임(2)은 유닛블록(3)을 하부 구조물(1)의 상부에 설치하여 고정하기 위해 하부 구조물(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기초프레임(2)은 하부 구조물(1) 시공시 같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기초프레임(2)은 유닛블록(3)의 평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 즉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유닛블록(3)의 기둥부재(31)와 하부보부재(33)가 기초프레임(2)에 고정된다.
상기 기초프레임(2)은 철골 부재로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강성이 우수하고 부재 정밀성이 높아 하부 구조물(1) 시공 중 형태가 변형될 우려가 없다.
아울러 하부 구조물(1)의 시공과 함께 선 시공된 기초프레임(2)에 유닛블록(3)을 거치하여 고정하므로, 유닛블록(3)을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프레임(2)은 유닛블록(3)의 기둥부재(31)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기둥부재(31)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21)와 이웃하는 고정구(21)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21)는 유닛블록(3)의 기둥부재(31)를 기초프레임(2)에 고정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기둥부재(31)는 하단이 개방된 각형 강관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구(21)는 각형 강관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21)는 유닛블록(3)의 각 기둥부재(31)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2)은 각 고정구(21)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웃하는 고정구(21)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연결프레임(22)은 고정구(21)의 측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로 돌출된 고정구(21)를 기둥부재(31)의 내부에 삽입하여 유닛블록(3)을 기초프레임(2)에 고정하므로, 기둥부재(31)를 폐단면의 각형 강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기둥부재(31)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고 단면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6은 고정구의 결합 상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가이드블록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8은 고정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1)는 하부 구조물(1) 내에 매립되어 정착되는 앵커바(211), 상기 앵커바(211)의 상단에 고정되는 정착플레이트(212) 및 상기 정착플레이트(21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에 제1체결공(H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H1) 위치의 내측면에 제1고정너트(N1)가 구비된 가이드블록(213)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둥부재(31)의 하부에는 상기 제1체결공(H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H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블록(213)이 기둥부재(31)의 하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고정볼트(B1)를 기둥부재(31)와 가이드블록(213)의 체결공(H2, H1)을 관통하여 제1고정너트(N1)에 체결함으로써 기둥부재(31)가 고정구(21)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닛블록(3)의 기둥부재(31) 하중을 하부 구조물(1)로 전달하기 위해, 기둥부재(31)가 고정되는 고정구(21)는 하부 구조물(1)에 견고하게 정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구(21)에는 앵커바(211)가 결합된 정착플레이트(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앵커바(211)는 하부 구조물(1) 내에 매립되어 하부 구조물(1)의 철근에 정착됨으로써 하부 구조물(1)에 하중을 전달한다.
상기 정착플레이트(212)에는 앵커바(211)의 상단이 결합된다.
상기 앵커바(211)는 정착플레이트(212)를 관통하여 가이드블록(213)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도 6 등).
상기 정착플레이트(212)의 상부에는 기둥부재(31)와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블록(213)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블록(213)은 내부가 빈 중공체로 구성되며, 외측면에는 제1체결공(H1)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공(H1)의 위치에 제1고정너트(N1)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너트(N1)는 용접 등에 의해 가이드블록(213)의 내측면에 고정 가능하다.
상기 기둥부재(31)의 하부에는 상기 제1체결공(H1)의 위치에 제2체결공(H2)이 형성된다(도 5).
이에 따라 상기 기둥부재(31)의 하단에 가이드블록(213)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2체결공(H2)을 관통하여 제1고정볼트(B1)를 삽입하여 제1체결공(H1)을 통해 제1고정너트(N1)에 체결함으로써, 일방향 볼트 체결에 의해 유닛블록(3)의 기둥부재(31)를 고정구(2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재(31)의 하부에서 제1고정볼트(B1) 체결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부보부재(33)는 ㄷ형강 등 상부 또는 내측면이 개방된 개방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닛블록(3)의 외부에 마감재 선 부착시, 가이드블록(213)의 외부에서 제1고정볼트(B1)를 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이드블록(213)의 내부 측 2개 면에서 제1고정볼트(B1)를 체결하여 기둥부재(31)를 고정구(21)에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연결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22)에는 제3체결공(H3)이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공(H3) 위치의 연결프레임(22) 하면에는 제2고정너트(N2)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보부재(33)의 하면에는 상기 제3체결공(H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체결공(H4)이 형성되어 제2고정볼트(B2)를 하부보부재(33)와 연결프레임(22)의 체결공(H4, H3)을 관통하여 제2고정너트(N2)에 체결함으로써 하부보부재(33)가 연결프레임(22)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닛블록(3)을 기초프레임(2)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둥부재(31)뿐 아니라 하부보부재(33) 역시 기초프레임(2)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22)에 제3체결공(H3)을 형성하고, 연결프레임(22)의 하부에서 제3체결공(H3)의 위치에 제2고정너트(N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너트(N2)는 연결프레임(22)의 하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상기 유닛블록(3)의 하부보부재(33)에는 상기 제3체결공(H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체결공(H4)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체결공(H4)으로 제2고정볼트(B2)를 삽입하여 제3체결공(H3)을 통해 제2고정너트(N2)에 체결함으로써, 유닛블록(3)의 하부보부재(33)를 연결프레임(22)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둥부재(31)와 하부보부재(33)가 기초프레임(2)에 고정되므로 유닛블록(3)을 하부 구조물(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볼트(B2)의 체결을 위해 상기 하부보부재(33)는 ㄷ형강 등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개방형 단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22)은 상면이 하부 구조물(1)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구조물(1) 내에 매립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2)의 하면에는 상기 제2고정너트(N2)를 감싸는 너트박스(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닛블록(3)이 하부 구조물(1)의 상면에 밀착 설치되기 위해서는 기초프레임(2)의 연결프레임(22)이 하부 구조물(1)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기초프레임(2)의 연결프레임(22)은 상면이 하부 구조물(1)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구조물(1) 내에 매립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하부 구조물(1) 시공시 콘크리트가 제2고정너트(N2)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고정너트(N2)의 외부는 너트박스(221)로 감쌀 수 있다.
상기 너트박스(221)는 하부 구조물(1)의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연결프레임(22)을 하부 구조물(1)에 정착하는 역할도 한다.
도 10은 철근고정구가 철근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22)의 하부에는 하부 구조물(1)의 철근(11)이 삽입되어 걸리는 철근고정구(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1) 시공시 기초프레임(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연결프레임(22)의 하부에 철근고정구(222)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2)의 하부에 너트박스(221)가 구비된 경우에는 철근고정구(222)는 너트박스(221)의 측판을 하부로 연장하여 형성 가능하다.
상기 철근고정구(222)의 양측에는 철근거치홈(223)이 형성되어 하부 구조물(1)의 철근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구조물(1) 내에 배근되는 철근에 기초프레임(2)을 결합하여 기초프레임(2)의 위치를 고정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기초프레임(2)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철근거치홈(223)이 형성된 철근고정구(222)가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철근에 고정되므로, 기초프레임(2)이 하부 구조물(1)에 견고하게 정착될 수 있다.
도 11은 고무패드가 구비된 기초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22)의 상부에는 고무패드(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초프레임(2)과 유닛블록(3) 사이에 누수를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기초프레임(2)의 연결프레임(22) 상면에는 띠판 형상의 고무패드(23)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23)는 유닛블록(3)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고무패드(23)는 에폭시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프레임(22)의 상부에 부착 가능하다.
본 발명 기초프레임을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전술한 본 발명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을 이용하여 유닛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기초프레임을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에서는 먼저, (a) 하부 구조물(1)의 철근을 배근하고, 상부에 기초프레임(2)을 설치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하부 구조물(1)의 철근을 배근하고, 상면이 하부 구조물(1)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기초프레임(2)을 설치한다.
상기 기초프레임(2)은 하부 구조물(1)의 철근에 고정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b) 하부 구조물(1)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프레임(2)을 고정한다.
상기 기초프레임(2)의 하부에 하부 구조물(1)의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프레임(2)의 연결프레임(22)에 관통공이 형성된 경우, 하부 구조물(1)의 콘크리트가 관통공을 채워 연결프레임(22)의 상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기초프레임(2)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2)의 상부에 고무패드(23)가 구비된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연결프레임(22) 상면에 고무패드(23)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c) 유닛블록(3)을 양중하여 기초프레임(2)의 고정구(21)가 유닛블록(3)의 기둥부재(31) 하단에 삽입되도록 기초프레임(2) 상부에 거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닛블록(3)을 양중하여 기초프레임(2)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유닛블록(3)을 하강시켜 기초프레임(2)의 상부에 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2)의 고정구(21)가 유닛블록(3)의 기둥부재(31) 하단에 삽입되어 상호 접합된다.
1: 하부 구조물 11: 철근
2: 기초프레임 21: 고정구
211: 앵커바 212: 정착플레이트
213: 가이드블록 22: 연결프레임
221: 너트박스 222: 철근고정구
223: 철근거치홈 23: 고무패드
3: 유닛블록 31: 기둥부재
32: 상부보부재 33: 하부보부재
34: 브레이싱재
B1: 제1고정볼트 B2: 제2고정볼트
H1: 제1체결공 H2: 제2체결공
H3: 제3체결공 H4: 제4체결공
N1: 제1고정너트 N2: 제2고정너트

Claims (7)

  1. 복수의 기둥부재(31), 이웃하는 기둥부재(3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보부재(32) 및 이웃하는 기둥부재(31)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보부재(33)로 구성되는 유닛블록(3)을 RC 구조인 하부 구조물(1)의 상부에 설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닛블록(3)의 기둥부재(31)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기둥부재(31)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21); 및 상면이 하부 구조물(1)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구조물(1) 내에 매립되어 이웃하는 고정구(21)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2); 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프레임(22)에는 제3체결공(H3)이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공(H3) 위치의 연결프레임(22) 하면에는 제2고정너트(N2)와 상기 제2고정너트(N2)를 감싸는 너트박스(221)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보부재(33)의 하면에는 상기 제3체결공(H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체결공(H4)이 형성되어 제2고정볼트(B2)를 하부보부재(33)와 연결프레임(22)의 체결공(H4, H3)을 관통하여 제2고정너트(N2)에 체결함으로써 하부보부재(33)가 연결프레임(2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구(21)는 하부 구조물(1) 내에 매립되어 정착되는 앵커바(211), 상기 앵커바(211)의 상단에 고정되는 정착플레이트(212) 및 상기 정착플레이트(21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에 제1체결공(H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H1) 위치의 내측면에 제1고정너트(N1)가 구비된 가이드블록(213)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둥부재(31)의 하부에는 상기 제1체결공(H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H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블록(213)이 기둥부재(31)의 하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고정볼트(B1)를 기둥부재(31)와 가이드블록(213)의 체결공(H2, H1)을 관통하여 제1고정너트(N1)에 체결함으로써 기둥부재(31)가 고정구(2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연결프레임(22)의 하부에는 하부 구조물(1)의 철근(11)이 삽입되어 걸리는 철근고정구(2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6. 제1항에서,
    상기 연결프레임(22)의 상부에는 고무패드(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 프레임.
  7. 제1항에 의한 기초프레임을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하부 구조물(1)의 철근을 배근하고, 상부에 기초프레임(2)을 설치하는 단계;
    (b) 하부 구조물(1)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프레임(2)을 고정하는 단계; 및
    (c) 유닛블록(3)을 양중하여 기초프레임(2)의 고정구(21)가 유닛블록(3)의 기둥부재(31) 하단에 삽입되도록 기초프레임(2) 상부에 거치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프레임을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KR1020210041995A 2021-03-31 2021-03-31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KR102310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995A KR102310266B1 (ko) 2021-03-31 2021-03-31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995A KR102310266B1 (ko) 2021-03-31 2021-03-31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266B1 true KR102310266B1 (ko) 2021-10-08

Family

ID=7811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995A KR102310266B1 (ko) 2021-03-31 2021-03-31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2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497A (ko) * 2013-11-13 2015-05-21 삼성물산 주식회사 소켓타입 접합부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65467B1 (ko) * 2015-03-17 2015-11-04 김홍남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629939B1 (ko) * 2013-11-13 2016-06-13 삼성물산 주식회사 하중전달 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03110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보도 교량용 조립식 교각의 시공 구조 및 그 교각의 시공 방법
KR20170100610A (ko) * 2014-12-24 2017-09-04 알브이 리첸츠 아게 모듈식 산업 플랜트용 조립 시스템
KR102099018B1 (ko) 2018-10-11 2020-05-26 (주)디에스텍 건축 모듈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497A (ko) * 2013-11-13 2015-05-21 삼성물산 주식회사 소켓타입 접합부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29939B1 (ko) * 2013-11-13 2016-06-13 삼성물산 주식회사 하중전달 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70100610A (ko) * 2014-12-24 2017-09-04 알브이 리첸츠 아게 모듈식 산업 플랜트용 조립 시스템
KR101565467B1 (ko) * 2015-03-17 2015-11-04 김홍남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703110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보도 교량용 조립식 교각의 시공 구조 및 그 교각의 시공 방법
KR102099018B1 (ko) 2018-10-11 2020-05-26 (주)디에스텍 건축 모듈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993B1 (ko)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552176B1 (ko) 분리형 거푸집이 선조립된 기둥구조체
KR101131679B1 (ko) 매입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골기둥의 이음 방법
KR101335955B1 (ko) 입체 다이아프램을 가진 콘크리트 충전 원형 강관기둥 및 철골보와의 접합구조
KR102310267B1 (ko) 유닛블록 시스템
JP5574328B2 (ja) 戸境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316074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よりなるプレキャスト構造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体の構築方法
KR100712354B1 (ko) 지하주차장의 피씨 복합화 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스팬피씨 보의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KR100679301B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102310266B1 (ko)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JP4472726B2 (ja) 免震建物構造
EP1561874A1 (en)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KR20060079949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철골보의 합성구조 및, 철골보접합용 브라켓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KR200378210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102177745B1 (ko) 기둥식 옥탑 pc 프레임
KR20180026286A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JP2000017880A (ja) Pc貯槽の側壁
CN113047627A (zh) 一种适用于承载金属柱模板的成品钢筋笼分级装配方法
KR20220039327A (ko) 크레인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보강재 및 그 설치방법
KR20130022656A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JP2001262586A (ja) 住宅の基礎構造
KR100346960B1 (ko) 철골기둥 정착장치 및 정착방법
KR102507299B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벽 패널을 이용한 지상 pc 주차장 및 그 시공방법
KR102452802B1 (ko) 내진보강용 pc부재를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2679042B1 (ko)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