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211A -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211A
KR20220039211A KR1020200122055A KR20200122055A KR20220039211A KR 20220039211 A KR20220039211 A KR 20220039211A KR 1020200122055 A KR1020200122055 A KR 1020200122055A KR 20200122055 A KR20200122055 A KR 20200122055A KR 20220039211 A KR20220039211 A KR 20220039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temperature
access management
vehicle access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963B1 (ko
Inventor
김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Priority to KR102020012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9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차량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측정 시스템을 통해 측정된 탑승자의 생체정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Vehicle access control system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본 발명은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들이 차량에 탑승한 채 출입하는 주차장에서도, 직원이나 요원 등 별도의 인원이 대면한채 직접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온과 같은 생체정보를 측정하지 않고, 완전한 비대면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기술이 발전해나가는 현대에서도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감염병에 대한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인한 사태는 세계적인 영향을 끼치면서 진료, 치료를 위한 의료기술은 물론,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개인 위생과 방역의 중요성을 새삼 깨우치게 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처럼 감염력이 강한 감염병의 경우, 감염자의 조속한 발견과 격리가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최우선 조건이 될 수 있으며, 조기에 감염자를 선별하지 못하는 경우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없어 큰 사회적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감염병의 발병이 확인되면, 감염병 전파가 일어나기 쉬운 대규모 모임 등이 제한되고 자제되는 것은 물론 공공기관이나 일반 건물에 출입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체온 측정 등의 기초 검사를 실시, 혹여 감염병에 감염된 감염자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질병이 그 증상으로 발열이 나타나므로, 체온 측정을 통해 고온의 체온을 가진 사람을 감염병 의심 환자로 분류하여 격리하고 정밀한 진료를 받게 한다.
이를 위해 수시로 많은 사람이 출입하는 건물이나 시설의 입구 등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람들의 체온을 측정하는데, 대표적으로 건물이나 시설의 관계자나 의료 관계자가 직접 체온계를 들고 한 명씩 체온을 측정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물이나 시설 입구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여, 왕래하는 사람들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일반적인 정상 체온에 비해 높은 체온을 가지는 사람들을 선별하는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이는 체온계를 통해 사람이 직접 대면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방식에 비해 비대면으로 체온을 측정함으로써 체온 측정을 위한 인력의 소모를 줄이면서 비대면 방식으로 인한 감염병 전파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차량에 탑승한 채 출입하게 되는 주차장의 경우에는, 전술한 열화상 카메라 등을 통한 비대면 체온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체온계를 소지한 사람이 차량의 탑승자들의 일일이 측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에 주차장 입구에서 차량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을 대상으로는 여전히 사람이 직접 체온계를 소지하고 탑승자들과 대면하여 체온을 측정하고 있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체온 측정을 수행하는 인원들의 피로 누적, 운행하는 차량들에 가까이에서 체온을 측정하는 인원들의 건강 관리 어려움 등 인력의 소모가 극심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을 대상으로도 열화상 카메라 등의 장비를 통해 비대면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의 소모를 줄이면서도 보다 빠르고 정확한 체온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감염병의 전파,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 10-2020-0041458,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람들이 차량에 탑승한 채 출입하는 주차장에서도, 직원이나 요원 등 별도의 인원이 대면한채 직접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온과 같은 생체정보를 측정하지 않고, 완전한 비대면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차량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측정 시스템을 통해 측정된 탑승자의 생체정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차한 차량의 측면 창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의 각 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체온 측정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이상 체온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이상 체온으로 판단되는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단기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온 측정부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탑승자들의 체온을 산출하는 체온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온 측정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조수석, 운전석 뒷좌석, 및 조수석 뒷좌석의 창문 방향을 각각 촬영 할 수 있도록 4개의 열화상 카메라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인원수를 체크하기 위한 인원수 체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체온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체온 측정 결과 개수가 상기 인원수 체크부에 의해 체크된 인원수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시스템은,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차하면, 사익 차량의 창문을 개방하도록 소정의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시스템은, 관리자의 관리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제어 신호, 또는 감지되는 차량의 창문 방향 및 창문 높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체온 측정부의 측정 방향 또는 측정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시스템은, 측정된 탑승자의 체온이 이상 체온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신상정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시스템은, 이상 체온으로 판단된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소정의 진료 기관의 진료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진료 기관으로 향하도록 안내정보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은,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차량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탑승자의 생체정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차량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차한 차량의 측면 창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의 각 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체온 측정부를 통해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이상 체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는, 이상 체온으로 판단되는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단기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인원수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는, 측정된 체온 측정 결과 개수와 체크된 인원수가 서로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출입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관리자의 관리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제어 신호, 또는 감지되는 차량의 창문 방향 및 창문 높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체온 측정부의 측정 방향 또는 측정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출입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차하면,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량의 창문을 개방하도록 소정의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출입 관리방법은, 측정된 탑승자의 체온이 이상 체온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해당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이상 체온으로 판단된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소정의 진료 기관의 진료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량이 상기 진료 기관으로 향하도록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술한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들이 차량에 탑승한 채 출입하는 주차장에서도, 직원이나 요원 등 별도의 인원이 대면한채 직접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온과 같은 생체정보를 측정하지 않고 완전한 비대면 측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인력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시스템을 통한 빠르고 정확한 체온 측정이 가능하여 감염병 예방 및 전파 방지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에 주차장 입구에서 차량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 이하,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라 함)은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단기(100), 상기 차단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110), 및 차량(10)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 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10)은 상기 측정 시스템(200)을 통해 측정된 탑승자의 생체정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기(100)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는 탑승자의 감염병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소정의 감염병 감염에 따른 증상은 감염병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염 여부 판단을 위한 생체정보 또한 다양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사람이 어떠한 병에 감염되는 경우 공통적으로 발열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 체온 측정을 통해 정상 체온에 비해 일정 수준 이상 높은 체온이 측정되는 경우 소정의 질병이 발병했을 확률이 높으므로, 정밀 진단 전에는 단순히 체온 측정을 통해서도 1차로 질병에 감염된 사람을 선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은 상기 측정 시스템(200)을 통해 차량(10) 탑승자의 생체정보 중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측정 시스템(200)이 탑승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탑승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획득하여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200)의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 작용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에 포함되는 측정 시스템(200)은 체온 측정부(210) 및 판단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인원수 체크부(230), 알림부(240), 신상정보부(250), 및/또는 전송부(2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상기 측정 시스템(2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예를 들면, 체온 측정부(210), 판단부(220), 인원수 체크부(230), 알림부(240), 신상정보부(250), 및/또는 전송부(260))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관리 시스템(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체온 측정부(210), 판단부(220), 인원수 체크부(230), 알림부(240), 신상정보부(250), 및/또는 전송부(260)는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체온 측정부(210), 판단부(220), 인원수 체크부(230), 알림부(240), 신상정보부(250), 및/또는 전송부(260) 등 각각의 개별 모듈을 구성하는 요소들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개별 모듈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상기 체온 측정부(210)는 상기 차단기(100) 앞 소정 위치에 정차한 차량(10)의 측면 창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10)의 각 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체온 측정부(210)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들과, 상기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탑승자들의 체온을 산출하는 체온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에서 특정 영역(예컨대, 탑승자의 얼굴 영역 등)을 추출하고, 특정 영역을 분석하여 온도(체온)을 산출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소정 위치 즉, 차량(10)이 정차할 위치는 차량(10)이 상기 차단기(100)를 지나기 전, 상기 차단기(100)로부터 소정 범위 내일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100)기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이 용이한 위치가 차량(10) 정차 위치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차량(10)의 운전자는 해당 위치에 차량(10)을 정차시켜 후술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체온 측정이 완료된 이후 개방되는 차단기(100)를 지나 주차장에 입차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체온 측정부(210)가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종래에 직원이나 관리자 등이 체온계를 소지하고 직접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식에 비해 확실하게 비대면 체온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어, 감염병 예방 효과가 좋아질 수 있다.
이처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식은 건물의 출입구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처럼 종래에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방식은 건물의 입구와 같이 사람이 개별적으로 직접 걸어다니는 장소를 대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차량(10)에 탑승자들이 탑승한 채로 입장해야 하는 주차장과 같은 경우에는, 단순히 하나의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열화상 이미지로는 차량(10)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들을 구분하기도 어렵고, 정확한 체온을 측정하기에도 한계가 있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차장 관리자나 직원 등 별도의 인원을 통해 체온을 직접 측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주차장 입구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체온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탑승자가 차량(10)에서 내려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 체온을 측정 한 후 다시 차량(10)에 탑승할 수밖에 없어 번거로움이 가중되면서, 차량(10)의 입차가 적체되어 혼잡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체온 측정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들을 차량(10)의 측면 창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운전석(11), 조수석(12), 운전석 뒷좌석(13), 및 조수석 뒷자석(14) 각각의 창문을 향해 촬영할 수 있도록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각 좌석(예컨대, 운전석(11), 조수석(12), 운전석 뒷좌석(13), 및 조수석 뒷자석(14))에 대응되도록 4개가 각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은 차량(10)의 좌우 측면에 각각 하나씩 두 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3열 이상의 대형 차량에 대응하기 위해 6개 이상의 열화상 카메라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인 승용 차량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4개의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이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은 각각 상기 차량(10)의 운전석(11), 조수석(12), 운전석 뒷좌석(13), 및 조수석 뒷자석(14)의 창문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보다 정확한 체온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차량(10)의 창문이 개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차량(10)이 정차하면, 탑승자들이 창문을 개방하여 얼굴을 잘 보일 수 있도록 소정의 알림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알림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는 음성 메시지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주차장 입구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림정보는 차량(10)의 창문 개방을 요청하는 소정의 텍스트나 이미지, 및/또는 영상의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물론, 후자의 경우 음성 메시지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알림정보가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일반적인 차량(10)에 탑승자가 4명 이하인 경우에는, 탑승자들이 자신이 탑승한 위치(예컨대, 운전석(11), 조수석(12), 운전석 뒷좌석(13), 또는 조수석 뒷자석(14))에서 창문을 개방하여 상기 체온 측정부(210)를 통해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10)의 2열에는 운전석 뒷좌석(13)과 조수석 뒷자석(14) 사이 가운데 위치에 탑승자가 더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열 가운데 부분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는 본인이 어느 한 측의 창문을 통해 얼굴을 내밀지 않는 이상 체온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종류에 따라 3열 또는 3열 이후에도 좌석이 있을 수 있으며, 3열 이후 좌석에서는 탑승자가 임의로 창문을 개방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아 차량 탑승자들의 체온 측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10)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수(인원수)를 체크하고, 체크된 인원들에 대한 체온 측정이 모두 완료된 경우에만 해당 차량(10)의 입차를 허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0)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인원수를 체크하기 위한 인원수 체크부(230)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인원수 체크부(230)는 주차장에 입차하고자 입장하는 차량(10)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 수를 검지(체크)할 수 있다.
차량 내부 탑승자를 검지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원수 체크부(230)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을 통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탑승자의 형상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인원수를 체크할 수 있다.
또는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인원수 체크부(230)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과는 별도로 일반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일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 및/또는 영상으로부터 탑승자 인원수를 체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인원수 체크부(230)는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하여,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로부터 탑승자 인원수를 체크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적외선 카메라가 구비되는 경우, 탑승자 인원수를 체크하기 위해 상기 적외선 카메라만 이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일반 카메라 및/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이 상기 적외선 카메라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적외선 카메라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차량(10)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들을 검지하고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차량(10)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들을 검지하고 체크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들이 상기 인원수 체크부(230)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원수 체크부(230)에 의해 차량(10)에 탑승한 인원수가 체크되면, 상기 제어 시스템(110)은 체온 측정 결과 개수가 체크된 인원수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차단기(10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10)에 탑승한 탑승자들 전원의 체온 측정이 완료되지 않으면 해당 차량(10)의 입차를 제한함으로써, 감염병의 전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원수 체크부(230)에 의해 체크된 탑승자 인원이 5명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2열 가운데 좌석에 탑승자가 탑승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알림부(240)를 통해 2열 가운데 좌석의 탑승자가 운전석 뒷좌석(13) 또는 조수석 뒷자석(14)의 창문을 통해 얼굴을 내밀어 원활한 열화상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알림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2열 가운데 좌석 탑승자는 다른 탑승자와 동시에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운전석(11), 조수석(12), 운전석 뒷좌석(13), 및 조수석 뒷자석(14)의 창문을 통해 한차례 촬영이 이루어진 이후 별도로 2열 가운데 좌석 탑승자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 촬영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체온 측정부(210)에 의해 차량(10)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온이 측정되면, 상기 판단부(22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탑승자들의 이상 체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판단부(220)는 측정된 특정 탑승자의 체온이 특정 온도 기준 소정 범위(예컨대, 36.5℃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 체온)인 경우에는 정상체온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넘어서는 고열의 경우 이상체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220)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시스템(110)은 상기 차단기(100)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에 탑승한 모든 탑승자들의 체온이 정상체온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시스템(110)은 차단기(100)를 개방하여 상기 차량(10)이 입차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10)에 탑승한 탑승자들 중 어느 한 명의 탑승자라도 체온이 이상 체온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시스템(110)은 상기 차단기(10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차량(10)의 입차를 불허할 수도 있다.
이때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알림부(240)는 전술한 알림정보(예컨대, 차량(10) 창문 개방 요청, 탑승자 열화상 이미지 촬영 요청 등)와 함께, 체온 측정 결과에 대한 정보(예컨대, 정상체온인지, 이상체온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를 더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체온 측정 결과에 대한 정보는 차량(10)의 어느 좌석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인지 여부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상기 체온 측정부(210)의 측정 방향 및/또는 측정 높이 등을 필요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체온 측정부(2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경우,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이 촬영하는 방향 및/또는 촬영 높이를 제어하여 필요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원격 제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의 촬영 방향 및/또는 촬영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별도의 감지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정차한 차량(10)의 창문 높이 및/또는 창문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10)의 창문 높이 및/또는 창문 방향에 상응하도록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예컨대, 211-1 ~ 211-4)의 촬영 방향 및/또는 촬영 높이를 변경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차량(10) 및/또는 차량(10)의 창문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별개의 카메라 및/또는 분석수단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이처럼 탑승자들 중 이상체온이라고 판단되는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해당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신상정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신상정보부(250)는 상기 차단기(100) 인근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키오스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탑승자들 중 이상체온으로 판단되는 탑승자가 존재하면,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상기 알림부(240)를 통해 해당 위치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 즉, 이상체온으로 판단된 탑승자에게 신상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체온으로 판단된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감염병 전파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상기 신상정보부(250)를 통해 입력받아 저장된 감염병 의심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감염병 진료가 가능한 소정의 진료기관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전송부(260)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송부(26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단기(100)가 설치된 주차장 인근의 진료기관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감염병 감염이 의심되는 이상체온의 탑승자에 대한 신상정보를 진료기관으로 전송하여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검사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측정 시스템(200)은 상기 알림부(240)를 통해 이상체온으로 판단된 탑승자가 곧바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차량(10)을 진료기관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정보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안내정보는 예컨대, 이상체온으로 판단된 탑승자에 대한 정보, 진료기관의 상호, 및/또는 진료기관의 주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차량(10)에 탑승한 채 출입하는 주차장에서도, 직원이나 요원 등 별도의 인원이 대면한채 직접 차량(10)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온과 같은 생체정보를 측정하지 않고 완전한 비대면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력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시스템을 통한 빠르고 정확한 체온 측정이 가능하여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0)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는 차단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은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s11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은 측정된 탑승자들의 체온이 이상 체온인지 여부를 판단(s12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이상 체온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은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도록 제어(s130)할 수 있으며, 측정된 체온 중 어느 하나라도 이상 체온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기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s140)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은 탑승자들의 생체정보(예컨대, 체온) 외에도, 차량(10)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인원수를 체크(s150)할 수 있다.
그리고, 체크된 탑승자들의 인원수와, 체온 측정 결과 개수가 서로 상응하는 경우에는 차단기를 개방하도록 제어(s130)하며, 탑승자들의 인원수와 체온 측정 결과 개수가 서로 상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단기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s140)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드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차량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측정 시스템을 통해 측정된 탑승자의 생체정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차한 차량의 측면 창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의 각 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체온 측정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이상 체온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이상 체온으로 판단되는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단기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측정부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탑승자들의 체온을 산출하는 체온 산출부를 포함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측정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조수석, 운전석 뒷좌석, 및 조수석 뒷좌석의 창문 방향을 각각 촬영 할 수 있도록 4개의 열화상 카메라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인원수를 체크하기 위한 인원수 체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체온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체온 측정 결과 개수가 상기 인원수 체크부에 의해 체크된 인원수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스템은,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차하면, 상기 차량의 창문을 개방하도록 소정의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스템은,
    관리자의 관리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제어 신호, 또는 감지되는 차량의 창문 방향 및 창문 높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체온 측정부의 측정 방향 또는 측정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스템은,
    측정된 탑승자의 체온이 이상 체온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신상정보부를 더 포함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스템은,
    이상 체온으로 판단된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소정의 진료 기관의 진료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진료 기관으로 향하도록 안내정보를 더 출력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10.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차량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탑승자의 생체정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차량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차한 차량의 측면 창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의 각 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체온 측정부를 통해 탑승자들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이상 체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는,
    이상 체온으로 판단되는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단기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인원수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는,
    측정된 체온 측정 결과 개수와 체크된 인원수가 서로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출입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관리자의 관리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제어 신호, 또는 감지되는 차량의 창문 방향 및 창문 높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체온 측정부의 측정 방향 또는 측정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출입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차하면,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량의 창문을 개방하도록 소정의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출입 관리방법은,
    측정된 탑승자의 체온이 이상 체온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해당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이상 체온으로 판단된 탑승자의 신상정보를 소정의 진료 기관의 진료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량이 상기 진료 기관으로 향하도록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122055A 2020-09-22 2020-09-22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54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55A KR102543963B1 (ko) 2020-09-22 2020-09-22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55A KR102543963B1 (ko) 2020-09-22 2020-09-22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11A true KR20220039211A (ko) 2022-03-29
KR102543963B1 KR102543963B1 (ko) 2023-06-19

Family

ID=8099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055A KR102543963B1 (ko) 2020-09-22 2020-09-22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9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080B1 (ko) * 2016-04-23 2016-09-13 김경 항만 출입 보안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20200041458A (ko) 2018-10-12 2020-04-22 센시(주)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CN111317452A (zh) * 2020-03-02 2020-06-23 清华大学 一种快速检测小客车内人员体温的自动化方法
KR102139341B1 (ko) * 2020-04-14 2020-07-30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101657080B1 (ko) * 2016-04-23 2016-09-13 김경 항만 출입 보안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200041458A (ko) 2018-10-12 2020-04-22 센시(주)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CN111317452A (zh) * 2020-03-02 2020-06-23 清华大学 一种快速检测小客车内人员体温的自动化方法
KR102139341B1 (ko) * 2020-04-14 2020-07-30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963B1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277B1 (ko) 얼굴 감시 및 열화상 감시를 이용한 건강 이상 감지방법, 건강 이상 감지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7148987A (ja) 顔認証システムおよび入退場管理システム
JP201321427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構造およびその装置
KR102354510B1 (ko) 음주 측정 기반 근태 관리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JP7396375B2 (ja) ゲートシステム、ゲート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08072304A1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KR102543963B1 (ko)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JP200621982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室管理方法
KR102285619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발열체크 시스템
KR102255229B1 (ko) 얼굴인식 기술을 이용한 발열 환자의 추적관리 시스템
JP7400975B2 (ja) 顔認証方法
JP7255226B2 (ja) 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JP7234678B2 (ja) 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KR20220058364A (ko) 체온 측정 시스템
KR102494665B1 (ko) 게이트 출입 통제 시스템
JP7481175B2 (ja) 応対装置
KR102336518B1 (ko) 출입 관리 장치
JP7481174B2 (ja) 表示装置
JP7481176B2 (ja) 応対装置
JP2008063050A (ja)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WO2023145059A1 (ja) 入場管理装置、入場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230065696A1 (en) Vehicle systems for verifying passenger protective equipment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240102335A1 (en) Gate array, in particular for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KR102588961B1 (ko) 입차 제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040791B1 (ko) 부정승하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