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999A -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 Google Patents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999A
KR20220036999A KR1020200118719A KR20200118719A KR20220036999A KR 20220036999 A KR20220036999 A KR 20220036999A KR 1020200118719 A KR1020200118719 A KR 1020200118719A KR 20200118719 A KR20200118719 A KR 20200118719A KR 20220036999 A KR20220036999 A KR 20220036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adhesive conductive
conductive hydrogel
electron beam
hydroge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383B1 (ko
Inventor
하태성
박지현
정평환
이미랑
강경민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서울방사선서비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방사선서비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방사선서비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8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3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8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two or more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8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 C08F220/585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and containing other heteroatoms, e.g. 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 [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전도성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이온성 모노머, 증류수 및 pH 조절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적정한 가교도를 갖고, 별도의 기재 없이도 사용 가능하며, 우수한 전도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내고, 별도의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아 장시간 피부 부착시 발생하는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ADHESIVE CONDUCTIVE HYDROGEL USING RADIATION CROSSLINKING METHO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HEET OF ADHESIVE CONDUCTIVE HYDROG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온성 모노머, 증류수 및 pH 조절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제조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하이드로겔은 가교 중합된 폴리머로 구성된 매트릭스에 습윤제와 물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종래부터 폴리아크릴산 등의 전해질 폴리머를 가교 중합하여 습윤제와 물을 함유시킨 도전성 고분자 하이드로겔을 생체용 전극으로 사용해왔다. 특히, 고분자 하이드로겔은 고분자 매트릭스가 친수성이고 수분 침투성이 있으면서 동시에 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전해질의 첨가가 용이하여 저 임피던스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심전도 모니터링과 같은 고정밀도 측정용 전극으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고분자를 가교하기 위해 가교제, 개시제 및 안정제를 첨가하여 장시간 피부 부착 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기 위해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UV 개시제를 첨가하여 UV 광중합을 통해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형상 유지를 못해 기재 필름이 반드시 필요하고, 광개시제 가교 등을 사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단점이 있다.
또한, 고분자 하이드로겔에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NaCl, NaOH와 같은 단분자 전해질을 주입하는데, 상기와 같은 단분자 전해질은 작동시간이 길수록 열화와 함께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전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기존의 고분자 하이드로겔 제조 기술들과 비교하여 더욱 향상되고 우수한 점착력 및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하이드로겔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이하에 제안하려고 하며, 특히 이온성 모노머를 전자빔 조사하여 가교시킴으로써 별도의 개시제 없이도 적정한 가교도를 갖고 별도의 기재 없이도 사용가능한 전도성 하이드로겔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려고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9669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온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전자빔 조사하여 가교시킴으로써 별도의 개시제 없이도 적정한 가교도를 갖고 별도의 기재 없이도 사용가능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온성 모노머; 증류수 및 pH 조절제를 혼합하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 및
제조된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한 후 1 내지 10 MeV 크기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빔을 5 kGy 내지 50 kGy의 흡수선량으로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전자빔 조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성 모노머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드(2-ethylhexyl 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드(n-butyl acrylate),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 리튬,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전도성은 0.5 내지 5 S/m이며, 점착력은 600 내지 2000 gf/in인 것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의 이온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전자빔 조사하여 가교시켜 구비되고,
전도성은 0.5 내지 5 S/m이며, 점착력은 600 내지 2000 gf/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의 이온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과, 시트형태로 구비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부직포층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후 전자빔 조사에 의하여 가교되어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로 제조되며,
상기 부직포층은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과 그라프팅(grafting)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이온성 모노머, 증류수 및 pH 조절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적정한 가교도를 갖고, 별도의 기재 없이도 사용 가능하며, 우수한 전도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내고, 별도의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아 장시간 피부 부착시 발생하는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에 대한 물성 평가를 실시한 데이터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세포 독성 평가를 실시한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온성 모노머; 증류수 및 pH 조절제를 혼합하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 및
제조된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한 후 1 내지 10 MeV 크기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빔을 5 kGy 내지 50 kGy의 흡수선량으로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전자빔 조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성 모노머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 리튬,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전도성은 0.5 내지 5 S/m이며, 점착력은 600 내지 2000 gf/in인 것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S100)와 전자빔 조사단계(S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이온성 모노머, 증류수 및 pH 조절제를 혼합하여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기 위한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이온성 모노머 40 내지 70중량부, 45 내지 65중량부 또는 45 내지 60중량부; 증류수 30 내지 60 중량부 또는 45 내지 60 중량부 및 pH 조절제 10 내지 30 중량부 또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pH 조절제로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 리튬,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pH 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pH를 5 내지 6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S100)에서,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증류수 및 수산화나트륨만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는 별도의 광중합 개시제 및 UV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우수한 점착성 및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이온성 모노머; 증류수 및 pH 조절제를 혼합한 후,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는 0.01 내지 0.08 중량부, 0.02 내지 0.07 중량부 및 0.03 내지 0.06 중량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S100)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가교제 첨가 없이도 전자빔 조사단계(S200)를 통해 적정한 가교도를 갖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에 미량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경우 점착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S200)는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한 후 일정 크기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빔을 조사하여 가교시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S200)는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0.5 내지 10 mm 또는 0.5 내지 5 mm의 두께로 도포한 후 전자빔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S200)는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한 후 1 내지 10 MeV 또는 1 내지 10 MeV 크기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빔을 5 kGy 내지 50 kGy의 흡수선량으로 조사하여 가교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S200)에서,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이 5 kGy 내지 40 kGy, 5 kGy 내지 30 kGy 또는 5 내지 20 KGy의 흡수선량으로 조사하여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제조시 점착성 및 전도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S200)를 거쳐 제조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내의 이온성 모노머의 가교도는 50% 내지 80%, 55% 내지 80% 또는 55%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조건의 조사빔을 조사하여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가교시켜 상기와 같은 가교도를 나타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점착성이 우수하면서도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S200)는 도포된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상기와 같이 전자빔을 조사하여 이온성 모노머가 가교되어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도록 하여 별도의 기재 없이도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S200)는 부직포 상에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전자빔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직포는 부직포 일면에 핫멜트 점착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부직포의 핫멜트 점착층이 형성된 면에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전자빔을 조사하여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핫멜트 점착층이 형성된 부직포 상에 상기 제조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전자빔을 조사하면 부직포 상에 하이드로겔층이 형성되면서 하이드로겔과 부직포가 그라프팅될 수 있다. 이에, 하이드로겔층과 부직포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의 이온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전자빔 조사하여 가교시켜 구비되고,
전도성은 0.5 내지 5 S/m이며, 점착력은 600 내지 2000 gf/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의 이온성 모노머에 전자빔 조사하여 가교시킨 것으로 우수한 점착성 및 전도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전자빔 흡수선량은 5 내지 20 KGy 또는 5 내지 15 KGy일 수 있고,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두께는 0.5 내지 10 mm 또는 0.5 내지 5 m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형성한 경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전도성 및 점착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0.5 내지 5 S/m, 0.5 내지 4 S/m 또는 0.8 내지 3 S/m의 전도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600 내지 2000 gf/in, 700 내지 1800 gf/in 또는 800 내지 1700 gf/in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이온성 모노머를 별도의 개시제 없이 전자빔을 조사하여 가교시켜 제조한 것으로 가교제 없이도 우수한 점착력 및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량의 가교제를 첨가하는 경우 가교율이 향상되면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나 일정량 이상이 가교제를 첨가하면 가교율이 너무 높아져 하이드로겔 주쇄간의 cohesive가 저하되어 점착 특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내 이온성 모노머의 가교도는 50% 내지 80%, 55% 내지 80% 또는 55%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교도를 가지는 경우 점착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우수한 전도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상기 서술한 조건의 조사빔을 조사하여 가교시켜 상기와 같은 가교도를 나타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점착성이 우수하면서도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인장강도는 200 kPa 내지 300 kPa, 200 kPa 내지 290 kPa 또는 200 kPa 내지 280 kPa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의 이온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과, 시트형태로 구비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부직포층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후 전자빔 조사에 의하여 가교되어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로 제조되며,
상기 부직포층은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과 그라프팅(grafting)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드로겔층(10), 핫멜트 점착층(21) 및 부직포층(22) 순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는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10)의 적어도 일면에 부직포층(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직포는 부직포 일면에 핫멜트 점착층(21)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부직포의 핫멜트 점착층(21)이 형성된 면에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10)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핫멜트 점착층이 형성된 부직포 상에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전자빔을 조사에 의해 가교되어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경우 부직포층이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과 그라프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과 부직포층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단계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에 있어,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에 대한 물성 특성 및 평가를 위한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테스트를 위한 실시예의 하이드로겔은 이온성 모노머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AMPS), 증류수, 수산화나트륨, 가교제, 전해질 및 접착 상승제를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혼합액을 상온에서 전자빔 가속기 10 MeV Linear accelerator(8kW, Mevex)를 사용하여 전자빔 조사 선량 15 kGy의 조건으로 전자빔 가교 공정을 수행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이온성 모노머 AMPS 50 50 50 50 50
용매 H2O 50 50 50 66.5 66.5
pH조절제 50%NaOH 20 20 20 20 20
KCl - - 5 - -
가교제 PEG-DA - 0.04 - - -
접착 상승제 HEA - - - 17 -
DOPA - - - - 17
두께(mm) 1.5 1.5 1.5 1.5 1.5
비교군으로서, 비교예 2는 세키스이사의 UV광중합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조성으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고, 비교예 3은 3M 사의 red dot gel을 상업적으로 입수하여 0.7 두께의 하이드로겔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 하이드로겔의 전도성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하이드로겔을 대상으로 1×1 cm2의 사각형으로 절단하여 ITO 전극 사이에 삽입하고 0.1Hz에서 100kHz의 주파수에서 10 mV의 여기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임피던스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하이드로겔의 점착성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하이드로겔을 대상으로 ASTM D3330에 의거하여 하이드로겔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직포에 배접한 하이드로겔 샘플을 25.4×300 mm2의 스트립형으로 잘라낸 다음 베이크라이트판 기판에 밀착시킨 후 90도의 각도로 500 mm/min 속도로 박리시켜 점착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 하이드로겔의 겔화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하이드로겔을 일정 크기로 자른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측정된 샘플을 정제수가 담긴 100 ml병에 넣고, 진탕 항온수조에서 37℃, 60 rpm으로 72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 샘플을 꺼내 75℃의 오븐에 넣고 일정 무게에 이를 때까지 건조시킨 후 건조된 겔의 무게를 측정한 후 하기 식 1과 같이 겔화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식 1]
겔화율=(Wd/Wi)×100
식 1에서, Wi-는 최초 무게이고, Wd는 건조된 무게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 하이드로겔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하이드로겔을 2.5cm(폭)×10cm(길이)의 직사각형으로 잘라 샘플을 준비하고, 인장시험기에 적당한 표선거리(7~10cm)를 유지하며 위 아래 지그에 고정시킨 후 샘플을 300mm/min 속도로 잡아당겨 1분 동안의 최대 인장 하중을 측정하였고, 원하는 폭의 하중값으로 환산하여 결과값을 나타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전도성
(S/m)
1.74 0.74 1.94 0.92 0.82 0.12 0.022
점착력
(gf/in)
1480 820 1002 1680 1520 488 470
겔화율(%) 65 75 42 53 61.3 측정불가 측정불가
인장강도
(kPa)
252.3 280.2 200.2 248.4 245.2 측정불가 측정불가
마지막으로,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 하이드로겔의 늘어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하이드로겔을 잡아당겨 늘어난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2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의 경우 우수한 점착력과 전도성의 특성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3M 점착제(비교예 3)의 경우 300 ~ 488 gf정도의 점착력을 가지는 것이 비해 전자빔 가교를 통해 제조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경우 그 제품 보다 더욱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점착 부여제를 첨가한 실시예 4와 비교예 1의 경우 기본 조성 보다 더욱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점착 부여제 내 하이드록실기의 첨가로 인하여 점착 특성이 상승되는 원인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3을 살펴보면, 비교예 1과 같이 3-(3,4-dihydroxyphenyl)-L-alanine(DOPA)을 포함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 겔 내에서 산화되어 색상이 변색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투명 하이드로겔은 적절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투명한 전도성 하이드로겔로는 소량의 HEA를 첨가한 실시예 4가 가장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별도의 기재(부직포) 없이도 200.2kPa 내지 280.2kPa의 인장강도를 나타내여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반면, 비교예 2(세키스이 하이드로겔)의 경우 별도의 기재 없이는 형상이 유지되지 않아 하이드로겔만의 인장강도 및 겔화율을 측정하기 어려우며, 비교예 3(3M 사 제품)의 경우 별도의 기재가 부착되어 있어 하이드로겔만의 인장강도 및 겔화율을 측정할 수 없다.
더불어, 가교제의 투입에 따라 겔화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볼 때 가교율이 높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으나, 반대로 점착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가교율이 높아짐에 따라 하이드로겔 주쇄간의 화학결합(cohesive)이 저하되어 점착 특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전도성 및 점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재 없이도 기계적 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하이드로겔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의 하이드로겔을 대상으로 1×1 cm2의 사각형으로 절단한 샘플을 5.0mL의 세포 배양 배지에서 37℃의 온도에서 각각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동안 가볍게 흔들면서 배양시켰고, 배양 배지는 HaCaT 세포 또는 SK-MEL-28 세포를 4x104 cells/500 μl으로 씨딩(seeding)한 것이다. 대조군(control)으로서 CCK-8 시약만 처리한 샘플도 동시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는 HaCaT 세포와 SK-MEL-28 세포를 대상으로 세포 독성 실험을 진행 후 세포의 형태를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4를 살펴보면, (a)는 HaCaT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이고, (b)는 SK-MEL-28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을 처리한 경우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HaCaT 세포와 SK-MEL-28 세포를 대상으로 세포 독성 실험을 진행 후의 세포 비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a)는 HaCaT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이고, (b)는 SK-MEL-28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을 처리한 경우는 HaCaT 세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고, SK-MEL-28 세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인체에 적용시에도 무해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21: 핫멜트 점착층
22: 부직포층
S100: 조성물 제조단계
S200: 전자빔 조사단계

Claims (15)

  1. 이온성 모노머; 증류수 및 pH 조절제를 혼합하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 및
    제조된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한 후 1 내지 20 MeV 크기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빔을 5 kGy 내지 50 kGy의 흡수선량으로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전자빔 조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성 모노머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 리튬,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전도성은 0.5 내지 5 S/m이며, 점착력은 600 내지 2000 gf/in인 것인,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는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이온성 모노머 40 내지 70중량부; 증류수 30 내지 60 중량부; 및 pH 조절제 10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에서,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증류수 및 수산화나트륨만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는 별도의 광중합 개시제 및 UV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는
    이온성 모노머; 증류수 및 pH 조절제를 혼합한 후,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 내지 0.08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단계는 pH 조절제를 혼합하여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의 pH를 5 내지 6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에서,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이 5 내지 50 kGy의 전자빔 조사 선량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는 상기 제조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0.5 내지 10 mm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는 부직포 상에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전자빔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조사단계를 거쳐 제조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내의 이온성 모노머의 가교도는 5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10.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의 이온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전자빔 조사하여 가교시켜 구비되고,
    전도성은 0.5 내지 5 S/m이며, 점착력은 600 내지 2000 gf/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5 내지 50 kGy의 전자빔을 조사하여 5 내지 15 kGy의 전자빔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층의 두께는 0.5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층 내 이온성 모노머의 가교도는 5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인장강도가 200 kPa 내지 300 k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15.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AMPS),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드(2-hydroxyl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3-(3,4-디하이드록시페닐)-L-알라닌(3-(3,4-Dihydroxyphenyl)-L-alanine) 중 어느 하나의 이온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과, 시트형태로 구비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부직포층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후 전자빔 조사에 의하여 가교되어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로 제조되며,
    상기 부직포층은 상기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과 그라프팅(grafting)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KR1020200118719A 2020-09-16 2020-09-16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피부 부착용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KR102571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719A KR102571383B1 (ko) 2020-09-16 2020-09-16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피부 부착용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719A KR102571383B1 (ko) 2020-09-16 2020-09-16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피부 부착용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999A true KR20220036999A (ko) 2022-03-24
KR102571383B1 KR102571383B1 (ko) 2023-08-30

Family

ID=8093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719A KR102571383B1 (ko) 2020-09-16 2020-09-16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피부 부착용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3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4285A (zh) * 2022-04-08 2022-07-29 南京邮电大学 一种本征高拉伸多功能聚合物离子导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3120782A1 (ko) * 2021-12-24 2023-06-29 서울방사선서비스주식회사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0975B2 (en) * 2002-08-19 2006-12-19 Animas Technologies, Llc Hydrogel composition for measuring glucose flux
CN101161696A (zh) * 2007-09-27 2008-04-16 北京师范大学 一类水凝胶及其制备方法
KR20110042860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전도성 하이드로겔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6699A (ko) 2012-12-14 2015-08-2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여 에틸렌계 불포화 재료를 중합하는 방법
CN107973874A (zh) * 2017-11-27 2018-05-01 北京大学 一种高粘合性导电自愈合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37660A (ko) * 2018-10-01 2020-04-09 한국원자력연구원 전기전도성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마이크로 니들 패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0975B2 (en) * 2002-08-19 2006-12-19 Animas Technologies, Llc Hydrogel composition for measuring glucose flux
CN101161696A (zh) * 2007-09-27 2008-04-16 北京师范大学 一类水凝胶及其制备方法
KR20110042860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전도성 하이드로겔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6699A (ko) 2012-12-14 2015-08-2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여 에틸렌계 불포화 재료를 중합하는 방법
CN107973874A (zh) * 2017-11-27 2018-05-01 北京大学 一种高粘合性导电自愈合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37660A (ko) * 2018-10-01 2020-04-09 한국원자력연구원 전기전도성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마이크로 니들 패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782A1 (ko) * 2021-12-24 2023-06-29 서울방사선서비스주식회사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CN114824285A (zh) * 2022-04-08 2022-07-29 南京邮电大学 一种本征高拉伸多功能聚合物离子导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824285B (zh) * 2022-04-08 2024-03-19 南京邮电大学 一种本征高拉伸多功能聚合物离子导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383B1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1774B1 (en) Solid sheet of an adhesive hydrophilic ge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EP0672094B1 (en) Hydrophilic polyoxyethyle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5674561A (en) Polymerized micro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KR102571383B1 (ko)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피부 부착용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JP5393147B2 (ja) 高強度粘着性高分子ゲル及び粘着テープ
US5124076A (en) Rapid, curing,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TWI571270B (zh) 黏著性水凝膠及其用途
BRPI0518756B1 (pt) Process for preparing a hydrogel sensitive to the pressure
US20220340719A1 (en) Hydrogel
WO1997024376A1 (en) Use of pendant photoreactive moieties on polymer precursors to prepare hydrophi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5183599A (en) Rapid curing,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US6767632B2 (en) Dermal fastener
JP4194400B2 (ja) 高強度含水ゲ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019842A (ja) ハイドロゲル
JP5561986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粘着性高分子ゲル
EP3476429A1 (en) Gel sheet
WO2023120782A1 (ko) 방사선 가교방법을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전도성 하이드로겔 시트
US20210198403A1 (en) Hydrogel sheet
JP4222913B2 (ja) 粘着性ハイドロゲル
TWI693944B (zh) 水凝膠
WO2006001953A2 (en) Dermal fastener
US6686431B2 (en) Optical coating having low refractive index
JP2024066428A (ja) 粘着性ハイドロゲル及び粘着性ハイドロゲル製造用組成物
JPH05209020A (ja) ゲル状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