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748A - 복합 소재 창호 - Google Patents

복합 소재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748A
KR20220036748A KR1020200119309A KR20200119309A KR20220036748A KR 20220036748 A KR20220036748 A KR 20220036748A KR 1020200119309 A KR1020200119309 A KR 1020200119309A KR 20200119309 A KR20200119309 A KR 20200119309A KR 20220036748 A KR20220036748 A KR 20220036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terial frame
connecting body
fixing protrus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삼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119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748A/ko
Publication of KR2022003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1Frames made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15Frames mad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Frames made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제1재질로 제조되며, 일측면에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인입공간이 형성된 제1재질프레임, 제2재질로 제조되며, 타측면에는 설정된 각도를 가지는 인입홈이 형성된 제2재질프레임 및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타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부가 상기 인입공간에 끼워지고, 상기 경사돌기부가 상기 인입홈에 끼워져 상기 제1재질프레임과 제2재질프레임을 얼라인하며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체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 창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복합 소재 창호{WINDOW MADED OF DFFERENT MATERIALS}
본 발명은 복합 소재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 소재인 프레임이 정위치에 얼라인되며 연결될 수 있는 이중 소재 프레임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주거 디자인의 완성이다.
주거 환경이 중요해진 현 시대에서 창호는 과거의 사전적인 의미로 취급되는 것이 아닌, 생활 터전을 완성하여 주는 핵심 디자인의 의미로 취급된다.
대부분의 창호는 목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량 생산, 성형 작업의 편의성, 제조 원가, 설치의 편의성, 단열성 등을 이유로 PVC 또는 알루미늄 등 금속으로 제조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목재 창호가 가지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외관이 미려한 목재 창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니즈에 따라 최근에는 PVC 또는 알루미늄 등 금속으로 제조되는 창호와 목재 창호를 결합한 복합 소재 창호가 개발되고 있다. 복합 소재 창호는 바깥 측에는 PVC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제조되는 창호를 위치시키고, 내측에는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목재로 제조되는 창호를 위치시키는 것으로, 양 창호들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위 평가는 완성된 복합 소재 창호에 대한 것일 뿐, 시공을 하는 입장에서는 그러하지 않다.
첫 번째 문제점은 시공의 어려움이다.
복합 소재 창호는 다른 소재의 설정된 형태로 완성된 프레임이 완벽하게 조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이론상 가능할 뿐, 실제로는 설계안과 오차가 존재할 수밖에 없는데, 이 자그마한 오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최종적인 결과물은 극단적인 경우, 프레임을 다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두 번째 문제점은 탈착이 어렵다는 것에 있다.
복합 소재 창호의 프레임 중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이종 소재의 프레임을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를 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복합 소재 창호는 견고한 결합만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탈착이 매우 어려워 수리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복합 소재 창호를 시공 업계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된 새로운 형태의 복합 소재 창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특허 출원번호 10-2018-0126252, 2002.05.04 공개 국내 특허 출원번호 10-2014-0019354 2015.08.27 공개
본 발명은 설정된 형태로 완성된 서로 다른 재질의 프레임을 쉽고, 견고하게 연결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도모되는 복합 소재 창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 소재의 프레임 간 탈착이 용이한 복합 소재 창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프레임 연결체는 제1재질로 제조되는 제1재질프레임과 제2재질로 제조되는 제2재질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의 프레임 연결체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재질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타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재질프레임의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인입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경사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부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제1재질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될 때, 설정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한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2재질프레임과 고정부재로 연결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는 절곡된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과 상기 걸이부의 단부 사이에는 연결체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본 발명인 복합 소재 창호는 제1재질로 제조되며, 일측면에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인입공간이 형성된 제1재질프레임, 제2재질로 제조되며, 타측면에는 설정된 각도를 가지는 인입홈이 형성된 제2재질프레임 및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타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부가 상기 인입공간에 끼워지고, 상기 경사돌기부가 상기 인입홈에 끼워져 상기 제1재질프레임과 제2재질프레임을 얼라인하며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체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연결체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부가 설정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재질프레임의 인입공간의 길이는 상기 고정돌기부가 이격된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연결체가 인입 시, 상기 고정돌기부가 탄성 변형되며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재질프레임이 상기 고정돌기부와 맞닿는 부분은 상기 인입공간의 길이를 작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에 연결되어 인입공간의 길이를 연속되어 크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고정돌기부가 제2경사부에서 제1경사부와 순차적으로 맞닿게 되어 탄성 변형되며 상기 인입공간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이격된 고정돌기부의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 연장되어 상기 제1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2절곡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제2절곡부는 제2경사부와 맞닿아 제2경사부에 가이드되며 인입되다가, 상기 제2절곡부의 탄성 변형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절곡부가 상기 제2경사부와 맞닿지 않아 탄성 변형되면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1절곡부가 맞닿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재질프레임의 인입공간의 상기 고정돌기부가 인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는 상기 고정돌기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연결체가 상기 인입공간이 위치되면, 상기 제1재질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연결체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연결체의 일측에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는 절곡되어 연결체가 위치될 수 있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은 제1재질프레임과 제2재질프레임이 프레임 연결체를 통하여 연결되므로, 시공이 편하며,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재질프레임, 프레임 연결체, 제2재질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재질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가 제1재질프레임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와 제1재질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와 제1재질프레임이 결합되는 중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 제1재질프레임, 제2재질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 제2재질프레임, 연결체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 제1재질프레임, 제2재질프레임이 결합된 창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1재질프레임과 제2재질프레임의 결합 해체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프레임 연결체, 제2재질프레임, 연결체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1재질프레임과 제2재질프레임을 얼라인하는 상태의 개념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재질프레임, 프레임 연결체, 제2재질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재질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가 제1재질프레임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복합 소재 창호는 제1재질로 제조되는 제1재질프레임(100)과 제2재질로 제조되는 제2재질프레임(200)이 프레임 연결체(300)를 통하여 연결된다.
일례로 제1재질은 알루미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재질과 상이한 재질이면서 알루미늄과 유사한 종류의 재질이면 족하며, 그 종류는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일례로 제2재질은 목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목재와 유사한 종류의 재질이면 족하며, 그 종류는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일례로 프레임 연결체(300)는 제1재질과 동일한 재질인 알루미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재질프레임(100)과 제2재질프레임(200)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면 그 종류는 문제되지 않는다.
프레임 연결체(300)는 프레임 연결체(300)를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되는 제1재질프레임(100)과 연결되고, 타측에 위치되는 제2재질프레임(200)과 연결되어 제1재질프레임(100)과 제2재질프레임(200)의 제조 오차에도 불구하고, 정위치에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 연결체(300)는 설정된 형태로 제조되는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면들에 배치되어 제1재질프레임(100)과 제2재질프레임(200)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연결체(30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재질프레임(100)과 제2재질프레임(200)은 사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 연결체(300)는 4개일 수 있다.
프레임 연결체(300)는 베이스부(310), 고정돌기부(320), 경사돌기부(350), 걸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는 플랫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310)는 고정돌기부(320), 경사돌기부(350), 걸이부(330) 등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는 설정된 가로길이, 그리고 세로길이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310)의 설정된 길이는 각각의 프레임보다 약간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310)가 각각의 프레임들의 각 면에 정위치되어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은 커버하지 못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의 일측면에는 고정돌기부(3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일측은 제1재질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고정돌기부(320)는 제1재질프레임(100)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돌기부(320)는 제1재질프레임(100)의 인입공간(110)에 인입 시 탄성 변형되며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고정돌기부(32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돌기부(32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에 이격되어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도 2처럼 상측에 위치된 고정돌기부(320)는 제1고정돌기부(321), 하측에 위치된 고정돌기부(320)는 제2고정돌기부(322)라고 명명하도록 하겠다.
제1고정돌기부(321)와 제2고정돌기부(322)는 각각 일측이 베이스부(310)와 연결되되 베이스부(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의 각도가 멀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재질프레임(100)의 인입공간(110)의 길이(도 2를 기준으로 세로길이)는 제1고정돌기부(321)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고정돌기부(321)와 제2고정돌기부(322)가 인입공간(110)으로 위치될 때, 제1고정돌기부(321)의 타측과 제2고정돌기부(322)는 제1재질프레임(100)과 가까워 질수록 인입공간(110)의 길이에 맞게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의 반작용으로 제1재질프레임(100)을 탄성 변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300)는 제1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300)와 고정돌기부(320)의 형상에서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고정돌기부(320)는 제1절곡부(326), 제2절곡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곡부(326)는 일측이 베이스부(310)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절곡부(326)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돌기부(320)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돌기부(321)의 제1절곡부(326)는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며 형성되고, 제2고정돌기부(322)의 제1절곡부(326)는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며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고정돌기부(320)의 제1절곡부(326)는 베이스부(310)에서 연결된 부분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제2절곡부(327)는 일측이 제1절곡부(326)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절곡부(327)는 복수의 고정돌기부(320)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지며 제1절곡부(326)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절곡부(3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돌기부(320)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진 바, 그와 연결된 제2절곡부(327)가 고정돌기부(320)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하더라도, 제2절곡부(327)의 단부는 제1절곡부(326)의 일측과 평행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절곡부(327)의 단부가 제1절곡부(326)의 일측과 평행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아도 문제되지 않는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와 제1재질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와 제1재질프레임이 결합되는 중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 제1재질프레임, 제2재질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1재질프레임(100)의 인입공간(110)은 제1고정돌기부(32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서 제1재질프레임(100)의 인입공간(110)의 상측의 폐쇄된 부분을 제1면(120)이라고 명명하고, 하측의 폐쇄된 부분을 제2면(130)이라고 명명하겠다.
제1재질프레임(100)의 인입공간(110)인 입입공간(110)의 길이(도 7을 기준으로 세로길이)를 짧게하는 제1경사부(151)와 일측이 제1경사부(151)와 연결되어 제1경사부(151)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며 형성된 제2경사부(152)를 포함한다.
즉, 제1면(120)은 인입공간(110)의 상측을 폐쇄하므로, 인입공간(110)의 길이가 짧아지기 위하여 제1경사부(151)는 하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제2경사부(152)는 그와 반대로 상측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제2면(130)은 인입공간(110)의 하측을 폐쇄하므로, 제2면(130)의 제1경사부(151)와 제2경사부(152)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다.
프레임 연결체(300)가 인입공간(110)으로 인입 시, 제1고정돌기부(321)의 제2절곡부(327)는 제1면(120)의 제2경사부(152)와 맞닿아 인입공간(110)의 내측으로 가이드 슬라이드 되며, 연속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제2고정돌기부(322)는 제2면(130)의 제2경사부(152)와 맞닿아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프레임 연결체(300)가 인입공간(110)에 어느정도 깊게 인입되면, 제1고정돌기부(321)의 제2절곡부(327)는 제1경사부(151)와 맞닿는 위치에 위치되게 되어, 그에 따른 인입공간(110)의 길이에 맞게 변형되게 된다. 또한, 제2고정돌기부(322)의 제2절곡부(327)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면서 제1고정돌기부(321)의 제1절곡부(326)는 제1면(120)의 제2경사부(152)와 맞닿게 된다. 그리고 제2고정돌기부(322)의 제1절곡부(326)는 제2면(130)의 제2경사부(152)와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부(320)는 제1재질프레임(100)의 인입공간(110)에서 탄성 변형되며,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부(320)는 타측 단부가 인입공간(110)의 제3면(140)과 맞닿게 될 때까지 인입될 수 있다.
제3면(140)은 도 6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제1면(120)과 제2면(130)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3면(140)은 단차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면(140)의 단차부(160)는 인입공간(110)의 가로길이(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길이)를 짧게 하는 방향으로 단차지며 형성된다. 단차부(160)로 인하여,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돌기부(321)는 제2고정돌기부(322)와 대비 시 인입공간(110)에 보다 덜 깊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 제1재질프레임, 제2재질프레임이 결합된 창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1재질프레임과 제2재질프레임의 결합 해체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위와같이 제1재질프레임(100)과 프레임 연결체(300) 사이에는 단차부(160)의 가로길이만큼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삽입공간으로 인하여 본 발명인 제1재질프레임(100)과 프레임 고정체는 쉽게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제1재질프레임(100)에 프레임 연결체(300)가 정위치되며 고정되면, 이 삽입공간에는 폐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는 이 삽입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다.
그러다 제1재질프레임(100)과 제2재질프레임(200)의 결합을 해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설치된 폐쇄부재를 제거하고, 제1재질프레임(100)을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용이하게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돌기부(320)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외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통하여 결합되며, 인입공간(110)의 제1경사부(151)와 제2경사부(152) 사이에 제1절곡부(326), 제2절곡부(327)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제1재질프레임(100)을 회전 시키면 프레임 연결체(300)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프레임 연결체(300)는 베이스부(310)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에는 고정부재(400)가 위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는 프레임 연결체(300)와 제2재질프레임(200)을 보다 견고하게 연결한다. 그러나 프레임 연결체(300)와 제2재질프레임(200)을 완벽하게 고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격이 존재하여 제2재질프레임(200)이 유동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본 발명인 프레임 연결체(300)는 걸이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330)는 고정돌기부(320)와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걸이부(331), 제2걸이부(332)로 구성될 수 있다. 걸이부(33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베이스부(310)의 일측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걸이부(330)의 단면은 'ㄴ'의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걸이부(331)와 제2걸이부(332)는 각각 이격되어 위치되고, 전술한 고정돌기부(320)와 같이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걸이부(331)와 제2걸이부(332)는 각각 베이스부(310)의 일측면에 'ㄴ'로 형성되어 절곡된 단부와 베이스부(310)의 일측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 부분에는 연결체(500)가 위치될 수 있다.
연결체(500)는 길이부(510)와 수직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체(500)는 걸이부(330)에 위치되어 어느 하나의 프레임 연결체(300)와 다른 하나의 프레임 연결체(3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연결체, 제2재질프레임, 연결체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를 도 9를 통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연결체(300)는 프레임의 설정된 형상에 대응되는 수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연결체(300)의 길이는 각각의 프레임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설정된 형상의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커버하지는 못한다.
만약 도 9와 같이, 제2재질프레임(200)의 하부면과 우측면 각각에 프레임 연결체(300)가 위치되어 있으면, 연결체(500)의 길이부(510)는 하부면에 위치된 프레임 연결체(300)에 위치되고, 수직부(520)는 우측면에 위치된 프레임 연결체(300)에 위치된다. 이러한 연결체(500)의 연결 방식은 설정된 형태의 각각의 프레임들의 모서리 측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재질프레임(100)은 배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재질프레임(100)의 배치부(170)는 걸이부(330)와 돌출된 방향만이 반대이나 그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치부(170)는 제1배치부(170), 제2배치부(170)로 구성되고, 각각 이격되어 제1재질프레임(100)의 제3면(140)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치부(17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단부는 절곡되어 형성되어 제3면(140)과 배치부(170)의 절곡된 단부 사이에는 연결체(500)가 위치될 수 있다. 연결체(500)가 제1재질프레임(100)을 연결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연결체(500)가 연결하는 대상이 프레임 연결체(300)가 아닌 제1재질프레임(100)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제1재질프레임(100)의 모서리 측도 배치부(170)에 연결체(500)가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부(310)의 타측면에는 경사돌기부(350)가 형성된다. 경사돌기부(350)는 베이스부(310)의 타측면에서 설정된 경사 각도를 가지며 돌출되어 형성된다.
경사돌기부(350)는 제2재질프레임(200)의 일측면에서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인입홈(210)에 끼워질 수 있다. 경사돌기부(350)도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경사돌기부(351)가 베이스부(310)의 타면의 상측에 위치되고, 이격된 하측에 제2경사돌기부(352)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재질프레임(200)에 형성된 인입홈(210)도 이에 대응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재질프레임(200)의 인입홈(210)의 크기는 경사돌기부(350)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양자의 크기 차이는 유동성을 부여할 뿐, 고정이 양자의 고정이 해제되는 정도는 아니다.
제2재질프레임(200)의 일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연결체(300)가 정위치로 정렬되어 제1재질프레임(100)과 제2재질프레임(200) 사이에 위치되면, 제2재질프레임(200)의 관통홀은 프레임 연결체(300)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관통홀에는 고정부재(400)가 위치되어 프레임 연결체(300)와 제2재질프레임(200)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프레임 연결체, 제2재질프레임, 연결체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1재질프레임과 제2재질프레임을 얼라인하는 상태의 개념 정면도이다.
본 발명인 복합 소재 창호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우선 제1재질프레임(100)과, 제2재질프레임(200)은 설정된 형태로 제조된다. 일례로 제1재질프레임(100)과 제2재질프레임(200)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복수개의 프레임 연결체(300)의 경사돌기부(350)가 제2재질프레임(200)의 인입홈(21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즉, 4개의 프레임 연결체(300)가 제2재질프레임(200)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재질프레임(200)의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우측면에 프레임 연결체(300)가 연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연결체(300)와 제2재질프레임(200)의 관통홀에 고정부재(400)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연결체(300)의 걸이부(330)에는 연결체(500)가 위치되어 제2재질프레임(200)의 위치를 더욱 정렬하며,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후, 제2재질프레임(200)을 설정된 형태의 제1재질프레임(100)에 면 대 면을 일치시키며 연결한다. 즉, 제1재질프레임(100)의 상측면은 제2재질프레임(200)의 상측면과 대응시키며 거리를 가깝게 한다. 그러면 프레임 연결체(300)의 고정돌기부(320)가 제1재질프레임(100)의 인입공간(110)에 끼워지며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고정돌기부(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되며 인입공간(11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제2재질프레임(200)의 위치를 조정하며, 제1재질프레임(100)과의 위치를 얼라인한다.
이후 얼라인이 완료되면, 제1재질프레임(100)과 프레임 연결체(300)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폐쇄부재를 위치시켜 공간을 폐쇄한다.
그 후 창호가 손상되어 제1재질프레임(100)과 제2재질프레임(200)을 분리하여야 되는 경우, 폐쇄부재를 제거하고, 제2재질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제1재질프레임(100)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힘을 가하여 분리시킨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제1재질프레임
110 : 인입공간
120 : 제1면
130 : 제2면
140 : 제3면
151 : 제1경사부
152 : 제2경사부
160 : 단차부
170 : 배치부
200 : 제2재질프레임
210 : 인입홈
300 : 프레임 연결체
310 : 베이스부
320 : 고정돌기부
321 : 제1고정돌기부
322 : 제2고정돌기부
326 : 제1절곡부
327 : 제2절곡부
330 : 걸이부
331 : 제1걸이부
332 : 제2걸이부
350 : 경사돌기부
351 : 제1경사돌기부
352 : 제2경사돌기부
400 : 고정부재
500 : 연결체
510 : 길이부
520 : 수직부

Claims (10)

  1. 제1재질로 제조되는 제1재질프레임과 제2재질로 제조되는 제2재질프레임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체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재질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타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재질프레임의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인입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경사돌기부
    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부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제1재질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될 때, 설정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고정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2재질프레임과 고정부재로 연결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는 절곡된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과 상기 걸이부의 단부 사이에는 연결체가 위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체.
  5. 제1재질로 제조되며, 일측면에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인입공간이 형성된 제1재질프레임;
    제2재질로 제조되며, 타측면에는 설정된 각도를 가지는 인입홈이 형성된 제2재질프레임 및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타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부가 상기 인입공간에 끼워지고, 상기 경사돌기부가 상기 인입홈에 끼워져 상기 제1재질프레임과 제2재질프레임을 얼라인하며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체
    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 창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체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부가 설정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재질프레임의 인입공간의 길이는 상기 고정돌기부가 이격된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부가 상기 인입공간에 인입 시, 상기 고정돌기부가 탄성 변형되며 인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질프레임이 상기 고정돌기부와 맞닿는 부분은
    상기 인입공간의 길이를 작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에 연결되어 인입공간의 길이를 연속되어 크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고정돌기부가 제2경사부, 제1경사부와 순차적으로 맞닿으며, 탄성 변형되어 상기 인입공간에 위치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창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이격된 고정돌기부의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 연장되어 상기 제1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2절곡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제2절곡부는 제2경사부와 맞닿아 제2경사부에 가이드되며 탄성 변형되며 인입되다가, 상기 제2절곡부가 상기 제2경사부와 맞닿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절곡부는 상기 제1경사부와 맞닿아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창호.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질프레임의 인입공간의 상기 고정돌기부가 인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는 상기 고정돌기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연결체가 상기 인입공간이 위치되면, 상기 제1재질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연결체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창호.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체의 일측에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는 절곡되어 연결체가 위치될 수 있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창호.
KR1020200119309A 2020-09-16 2020-09-16 복합 소재 창호 KR20220036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309A KR20220036748A (ko) 2020-09-16 2020-09-16 복합 소재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309A KR20220036748A (ko) 2020-09-16 2020-09-16 복합 소재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48A true KR20220036748A (ko) 2022-03-23

Family

ID=8096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309A KR20220036748A (ko) 2020-09-16 2020-09-16 복합 소재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674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354A (ko) 2011-02-22 2014-02-14 가드너 덴버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측면 채널 머신 장치
KR20180126252A (ko) 2017-05-17 201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 성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354A (ko) 2011-02-22 2014-02-14 가드너 덴버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측면 채널 머신 장치
KR20180126252A (ko) 2017-05-17 201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 성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65767A1 (en) Holding frame for a plug connector and methods of populating same
KR20020000104A (ko) 컴퓨터 주변기기의 부착장치, 부착방법 및 기록 및/또는재생장치
CN105952737A (zh) 板材互锁结构
CN109343254A (zh) 一种显示装置及其装配方法
KR20220036748A (ko) 복합 소재 창호
KR101797061B1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190116627A (ko) 조립식 칸막이
US20230299532A1 (en) Adapter
KR101580743B1 (ko)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KR20100099634A (ko) 프로젝트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암플레이트
CN203669544U (zh) 新型推拉门窗钩锁
JP7083729B2 (ja) ワンタッチ取付ヒンジ
KR102288318B1 (ko) 결합부재와 결합부재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KR10189852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CN209025957U (zh) 一种屏风转接的连接结构
CN218547872U (zh) Led显示装置及其定位组件
KR101198360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923264B1 (ko) 창유리 지지부재
KR1003896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론트 케이스 조립체
JP2006207201A (ja) 外装パネル用の下地金具の構造
CN220266920U (zh) 一种双面玻璃隔断墙与门框连接结构
CN109139634A (zh) 一种屏风转接的连接结构
KR20180134824A (ko)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90002196U (ko)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KR200458849Y1 (ko) 칸막이용 패널의 조립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