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264B1 - 창유리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창유리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264B1
KR101923264B1 KR1020160061033A KR20160061033A KR101923264B1 KR 101923264 B1 KR101923264 B1 KR 101923264B1 KR 1020160061033 A KR1020160061033 A KR 1020160061033A KR 20160061033 A KR20160061033 A KR 20160061033A KR 101923264 B1 KR101923264 B1 KR 10192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windowpane
window
clos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224A (ko
Inventor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이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성 filed Critical 이대성
Priority to KR102016006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26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유리의 고정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창유리의 고정 후에는 추가로 마무리 작업이 필요 없는 창유리 지지부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500)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101)와, 상기 몸체부의 제1면(102)의 영역 중 서로 직각을 이루어 인접하는 두 변을 따라 상기 제1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설되는 제1단턱(105) 및 제2단턱(106)과, 상기 제1단턱 및 제2단턱이 만나는 상기 제1면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면의 하측 방향으로 돌설되는 제3단턱(107)을 구비하는 모서리 마감부재(100)와,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제1단턱(105) 및 제3단턱(107)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로 쫄대(110)와,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제2단턱(106) 및 제3단턱(107)에 의하여 지지되는 세로 쫄대(12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창유리 지지부재{A window glass fixture}
본 발명은 창유리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지지부재의 고정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지지부재의 고정 후에는 추가로 마무리 작업이 필요 없는 창유리 지지부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일반적으로 창(50)에 유리(30)를 끼우고 쫄대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 가로 쫄대(10) 및 세로 쫄대(20)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을 정밀하게 가공하여 서로 이어붙임하는데, 그 가공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에 의해 정밀도의 편차가 달라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39455호에는 창턱 위에 결합되고, 창유리를 일측에서 지지하는 고정 파지부가 일측 변을 따라 돌출된 받이틀, 상기 받이틀에 결합되고, 상기 창유리를 상기 고정 파지부 대향측에서 지지하여 상기 고정 파지부와 함께 상기 창유리를 파지하는 가동 파지부가 일측 변을 따라 돌출된 마감틀을 구비하는 창유리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창유리 고정구의 마감틀은 상기 고정 파지부와 상기 가동 파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파지홈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이틀에 다단으로 결합되고, 또 상기 창유리 고정구의 파지홈의 바닥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 파지부 아래쪽에서 상기 받이틀에 돌출되는 바닥편과 상기 받이틀의 바닥판 사이에 형성된 역지홈 및 상기 역지홈에 다단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가동 파지부 아래쪽에서 상기 마감틀에 돌출되는 역지돌기를 구비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구조의 창유리 고정구 역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394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조립 설치 후 마무리 공정이 필요없는 창유리 지지부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도 쉽게 조립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후 품질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 창유리 지지부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택되는 제1면의 영역 중 서로 직각을 이루어 인접하는 두 변을 따라 상기 제1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설되는 제1단턱 및 제2단턱과, 상기 제1단턱 및 제2단턱이 만나는 상기 제1면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면의 하측 방향으로 돌설되는 제3단턱을 포함하여 구비하는 모서리 마감부재와,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상기 제1단턱 및 제3단턱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쫄대와,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상기 제2단턱 및 제3단턱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쫄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제1면에는 고정부재 삽입용 요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500)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101)와, 상기 몸체부의 제1면(102)의 영역 중 서로 직각을 이루어 인접하는 두 변을 따라 상기 제1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설되는 제1단턱(105) 및 제2단턱(106)과, 상기 제1단턱 및 제2단턱이 만나는 상기 제1면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면의 하측 방향으로 돌설되는 제3단턱(107)을 구비하는 모서리 마감부재(100)와,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제1단턱(105) 및 제3단턱(107)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로 쫄대(110)와,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제2단턱(106) 및 제3단턱(107)에 의하여 지지되는 세로 쫄대(120)를 구비함으로써, 창유리의 고정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500)를 이용할 경우 비숙련 작업자라도 시공 품질의 편차 없이 용이하게 창유리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쫄대를 이용하여 창유리를 고정한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에 세로 쫄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에 세로 쫄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에 세로 쫄대 및 가로 쫄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가 설치된 창호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의 기술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창유리 지지부재(500)는, 모서리 마감부재(100)와, 가로 쫄대(110), 세로 쫄대(120)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8과 같이 테두리를 따라 유리(130)가 끼워지는 창(150)에 있어서, 먼저 유리(130)를 창에 끼운 후 테두리를 따라 도 7의 창유리 지지부재(500)를 고정하면 유리(130)가 창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10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101)와, 상기 6면을 갖는 몸체부의 제1면(102)의 영역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어 인접하는 제1면의 두 변을 따라 제1면(102)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설되는 제1단턱(105) 및 제2단턱(106)을 구비한다. 또, 상기 제1단턱(105) 및 제2단턱(106)이 만나는 위치의 상기 제1면(102)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면(102)의 하측 방향으로 돌설되는 제3단턱(107)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100)의 제1면(102) 상에는 그 모서리 마감부재를 유리가 끼워진 창(150)의 테두리에 고정하기 위하여 요홈(108)이 구성된다.
상기 요홈(108)은 모서리 마감부재(100)가 플라스틱 사출되어 소정 크기로 구성되는 경우 무게를 줄이는 구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그 요홈(108)을 통하여 도 8과 같이 핀(109)을 이용하여 창의 테두리에 모서리 마감부재(100)를 고정할 때 그 고정 작업을 쉽게할 수 있다. 상기 제1면(102) 영역에 구성되는 요홈(108)의 위치는 도 3과 같이 간격 d가 간격 c보다 크도록 상기 제1단턱(105) 및 제2단턱(106)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대략 대각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평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창의 테두리에 가까운 쪽에 편향시켜 요홈(108)을 구성함으로써 창의 테두리에 핀(109)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모서리 마감부재(100)는 도 5 및 도 7과 같이 모서리 마감부재의 제1단턱(105) 및 제3단턱(107)은 가로 쫄대(110)의 세팅 및 지지용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제2단턱(106) 및 제3단턱(107)은 세로 쫄대(120)의 세팅 및 지지용으로 구성된다.
창 테두리에 유리(130)를 끼운 후 테두리의 4곳에 모서리 마감부재(100)를 고정용 못이나 핀(109)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모서리 마감부재의 제1단턱(105) 및 제3단턱(107)에 가로 쫄대(110)의 단부가 걸리도록 밀어 넣어 세팅하고, 모서리 마감부재의 제2단턱(106) 및 제3단턱(107)에 세로 쫄대(120)의 단부가 걸리도록 밀어넣어 세팅 한 후 가로 쫄대(110) 및 세로 쫄대(120)의 중간 중간을 쫄대 고정용 핀(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창 테두리에 고정하면 창유리 지지부재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모서리 마감부재(100)를 이용함으로써 가로 쫄대(110) 및 세로 쫄대(120)를 간단히 세칭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 및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110 - 가로 쫄대
20,120 - 세로 쫄대
30,130 - 유리
50,150 - 창
100 - 모서리 마감부재
101 - 몸체
102 - 제1면
105 - 제1단턱
106 - 제2단턱
107 - 제3단턱
108 - 요홈
109 - 핀
500 - 창유리 지지부재

Claims (2)

  1.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택되는 제1면의 영역 중 서로 직각을 이루어 인접하는 두 변을 따라 상기 제1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설되는 제1단턱 및 제2단턱과, 상기 제1단턱 및 제2단턱이 만나는 상기 제1면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면의 하측 방향으로 돌설되는 제3단턱을 포함하여 구비하는 모서리 마감부재와,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상기 제1단턱 및 제3단턱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쫄대와,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상기 제2단턱 및 제3단턱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쫄대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제1면에는 고정부재 삽입용 요홈이 구성되되, 그 요홈의 위치는 상기 제1단턱 및 제2단턱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대각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창의 테두리에 가까운 쪽에 편향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지지부재.
  2. 삭제
KR1020160061033A 2016-05-18 2016-05-18 창유리 지지부재 KR10192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33A KR101923264B1 (ko) 2016-05-18 2016-05-18 창유리 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33A KR101923264B1 (ko) 2016-05-18 2016-05-18 창유리 지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224A KR20170130224A (ko) 2017-11-28
KR101923264B1 true KR101923264B1 (ko) 2019-02-27

Family

ID=6081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033A KR101923264B1 (ko) 2016-05-18 2016-05-18 창유리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2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130Y1 (ko) 2004-04-02 2004-07-02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프레임 모서리 체결구
KR101337996B1 (ko) * 2012-12-07 2013-12-09 주식회사 다산월드 탈부착 기능을 갖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328Y1 (ko) * 1989-06-15 1991-12-07 주식회사 럭 키 유리고정테의 코너장식(粧飾)
KR100429163B1 (ko) * 2000-11-21 2004-04-28 한국석묘개발 주식회사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KR100469916B1 (ko) * 2002-07-18 2005-02-07 (주)삼주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창호용 마감패널의 직각 모서리 연결부재
KR101187685B1 (ko) * 2010-01-18 2012-10-04 (주)씰링테크 구조물 내장용 마감 시스템
KR20160039455A (ko) 2014-10-01 2016-04-11 정영호 창유리 고정구
KR20170028076A (ko) * 2015-09-03 2017-03-13 정영호 창틀쫄대 고정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130Y1 (ko) 2004-04-02 2004-07-02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프레임 모서리 체결구
KR101337996B1 (ko) * 2012-12-07 2013-12-09 주식회사 다산월드 탈부착 기능을 갖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224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331B2 (en) Frame structure of playing machine
US8136315B2 (en) Connecting device for curtain wall units
JP2018159260A (ja) シールデバイス及びシール要素を有する摺動要素
KR101447217B1 (ko) 도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연결구조
AU2015330617B2 (en) Column-beam connecting assembly capable of being manually assembled and frame structure assembled thereby
KR101283420B1 (ko) 홀더핀을 적용한 도어용 윈도우 프레임
KR101923264B1 (ko) 창유리 지지부재
ITVI20090147A1 (it) Recinzione modulare perfezionata
KR101797061B1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170000040U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101580743B1 (ko)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JP2016104953A (ja) 外装材取付具及び建物の外装材取付構造
ITMI20120620A1 (it) Dispositivo di giunzione a scomparsa per pannelli di un mobile o simile
KR200495193Y1 (ko) 캔버스 프레임
KR200472011Y1 (ko) 박스의 조립 구조
ITPN20000012U1 (it) Staffa perfezionata per porta di frigorifero da incasso
KR101848976B1 (ko) 유리판 복합고정물을 구비한 중공문짝 및 그 조립방법
JP7083729B2 (ja) ワンタッチ取付ヒンジ
KR101308647B1 (ko) 가구용 프레임 다리구조
JP6050032B2 (ja) 窓接続枠
JP2015195945A (ja) 展示ケース
JP2016106644A (ja) 組立式収納家具
KR200465884Y1 (ko) 내측 장식테용 모서리캡
JP5872087B1 (ja) 板状体
KR200478778Y1 (ko) 휀스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