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657A -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657A
KR20220036657A KR1020200119136A KR20200119136A KR20220036657A KR 20220036657 A KR20220036657 A KR 20220036657A KR 1020200119136 A KR1020200119136 A KR 1020200119136A KR 20200119136 A KR20200119136 A KR 20200119136A KR 20220036657 A KR20220036657 A KR 20220036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xing part
sealing
fix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선
박재준
김오랑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11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657A/ko
Publication of KR2022003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89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utility me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싱단자의 일측을 감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부싱단자의 타측을 감싸는 제2케이스가 구비되는 케이스부와, 제1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제1고정부와 결합되어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상호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 연결되고, 제2고정부가 제1고정부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제한하는 봉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TERMINAL COVER APPARATUS FOR METERING OUT FIT}
본 발명은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기용 변성기의 부싱단자에 설치되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기용 변성기(MOF)는 고전압회로의 전압,전류를 사용량에 비례하여 저전압 소전류로 변환하여 전력계에 측정값을 전달하는 장치로, 송/배선 선로 및 기타 전력 계통의 구성요소를 감시하는 계전기 또는 계측기 등의 계기와 조합을 이루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계기용 변성기는 사고예방 및 도전방지를 위하여 부싱의 상단에 위치한 부싱단자를 절연커버로 씌운 뒤 각종 봉인 장치를 이용하여 절연커버를 봉인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싱 단자용 커버의 경우 봉인의 위치가 기기의 후면부에 위치함에 따라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봉인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작업자의 활선여부에 대한 착각으로 전기가 가압된 상태에서 봉인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3021호(2016.12.29 등록, 발명의 명칭: 부싱단자용 절연커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설치 완료 후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작업과 봉인작업을 일체로 수행할 수 있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는: 부싱단자의 일측을 감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부싱단자의 타측을 감싸는 제2케이스가 구비되는 케이스부;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상호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제한하는 봉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는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상호 고정시키고, 상기 봉인부는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제1고정부로 완전히 삽입된 후, 상기 제2고정부가 타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봉인부는, 상기 제2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봉인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봉인부와 간섭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타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2봉인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봉인부는, 상기 제2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바디부; 및 상기 제1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봉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봉인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바디부가 소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봉인부재와 치합되는 제2봉인부재; 를 포함한다.
또한, 제1봉인부재는, 상기 제1바디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회전허용부; 및 상기 제1회전허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바디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회전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봉인부재는, 상기 제2바디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회전허용부; 및 상기 제2회전허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바디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회전제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허용부와 상기 제2회전허용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결합 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봉인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봉인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작업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에 의해 케이스부를 개폐시킬 수 있음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속한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는 봉인부의 봉인작동과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결합작동을 연동시킬 수 있어 별도의 봉인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는 제1회전허용부와 제2회전허용부에 의해 제2봉인부의 일측으로의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제1봉인부와 제2봉인부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는 파지부에 의해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의 설치상태를 도 1과 다른 측면에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구성을 도 4와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봉인부재와 제2봉인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의 설치상태를 도 1과 다른 측면에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1)는 케이스부(100), 제1고정부(200), 제2고정부(300), 봉인부(400), 파지부(50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부(100)는 계기용 변성기(미도시)로부터 연장되는 부싱(2) 상단에 구비되는 부싱단자(3)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케이스부(100)는 절연 성능이 확보되도록 절연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부(100)는 부싱단자(3)를 절연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임의로 부싱단자(3)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부(100)는 부싱단자(3)로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0)는 제1케이스(110), 제2케이스(120), 제1인출부(130), 제2인출부(140),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케이스부(10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가 비어있도록 구비되어 부싱단자(3)의 일측을 감싼다. 제1케이스(11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싱단자(3)의 일측을 감싸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1케이스(110)에는 제1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제1고정부(2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1장착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케이스(120)는 케이스부(10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가 비어있도록 구비되어 부싱단자(3)의 타측을 감싼다. 제2케이스(120)는 힌지 결합 등에 의해 제1케이스(1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케이스(120)는 제1케이스(110)의 일측을 축으로 회전되며 케이스부(1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제2케이스(12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싱단자(3)의 타측을 감싸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2케이스(120)에는 제2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제2고정부(300)와 봉인부(4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2장착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장착부(121)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폐쇄 시 제1장착부(111)와 접촉되거나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장착부(121)는 제2고정부(300)를 올바른 결합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인출부(130)와 제2인출부(140)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관통하고, 부싱단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블(4)의 인입 또는 인출을 안내한다. 제1인출부(130)와 제2인출부(140)는 일측이 제1케이스(110)에, 타측이 제2케이스(120)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개폐작동에 연동되어 분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인출부(130)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상부(도 3 기준)로 돌출되고,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내측 공간과 연통되는 중공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인출부(130)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후측면(도 3 기준)을 관통하는 사각형의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인출부(130)와 제2인출부(140)의 구체적인 형상, 위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과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싱단자(3)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지지부(150)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로부터 연장되고,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부싱(2)에 지지한다. 지지부(150)는 일측이 제1케이스(110)에, 타측이 제2케이스(120)에 각각 연결됨에 따라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개폐작동에 연동되어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50)는 각각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하단부(도 3 기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150)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150)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폐쇄 시 관통홀 삽입된 부싱(2)에 걸림 결합되어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고정부(200)는 제1케이스(110)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제2고정부(300)에 결합됨에 따라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상호 고정시킨다. 제1고정부(200)는 제1케이스(110)에 고정되어 회전 또는 이동이 방지됨에 따라 제2고정부(300)의 회전 또는 이동의 상대적인 기준점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구성을 도 4와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200)는 제1고정부몸체(210), 제1고정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몸체(210)는 제1케이스(110)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몸체(21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장착부(111)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1고정부몸체(210)는 끼움 결함 등에 의해 제1장착부(111)의 내부에 견고하게 밀착됨에 따라 제1장착부(111)와의 상대이동이 방지된다. 제1고정부몸체(210)는 양측이 제2고정부(300)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고정부(300)의 회전에 연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제1고정부재(220)는 제1고정부몸체(210)로부터 연장되고, 제2고정부(300)와 결합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220)는 제1고정부몸체(21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1장착부(111)를 관통하여 제1장착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고정부재(2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고정부(300)는 제1고정부(200)와 결합되어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상호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고정부(300)는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고정부(200)로 삽입되면서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상호 고정시킨다. 제2고정부(300)는 후술하는 봉인부(400)에 의해 제2케이스(120)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120)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300)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고정부(300)는 후술하는 봉인부(400)의 제1봉인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제2케이스(120)와 연결된다. 제2고정부(300)는 내주면의 나사산에 의해 일측으로 회전 시 제1고정부재(220)로 삽입되며 제1고정부재(2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부(300)가 제1고정부재(220)로 삽입되는 회전 방향은 제1고정부재(22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에 따라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봉인부(400)는 제2고정부(300)에 연결되고,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 완료 후, 제2고정부(300)가 제1고정부(200)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봉인부(400)는 제2고정부(300)가 제1고정부(200)로 완전히 삽입된 이후, 제2고정부(300)가 타측으로 회전되는 것, 즉 제1고정부(200)와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봉인부(400)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폐쇄 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전기요금의 면탈 등의 목적으로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임의로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 완료란, 제2고정부(300)의 내측면에 제1고정부(200)의 단부가 접해 제2고정부(300)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부(400)는 제1봉인부(410), 제2봉인부(420)를 포함한다.
제1봉인부(410)는 제2케이스(120)에 고정되고, 제2고정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봉인부(410)는 제2케이스(120)에 고정됨에 따라 후술하는 제2봉인부(420)와의 간섭 시 제2봉인부(420)의 회전과 이동을 제한하는 기준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봉인부(410)는 제1바디부(411), 제1봉인부재(412)를 포함한다.
제1바디부(411)는 제2케이스(120)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제1봉인부재(412)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부(411)는 중공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바디부(411)는 제2장착부(121)의 외측면에 용접,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1바디부(411)는 내주면이 제2고정부(300)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바디부(411)는 제2고정부(300)를 제2케이스(120)와 연결시킴과 동시에 제2고정부(300)의 회전 작동을 허용할 수 있다.
제1봉인부재(412)는 제1바디부(411)로부터 연장되고,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 완료시 후술하는 제2봉인부재(422)와 치합된다. 제1봉인부재(41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1바디부(4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봉인부재와 제2봉인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봉인부재(412)는 제1회전허용부(412a), 제1회전제한부(412b)를 포함한다.
제1회전허용부(412a)는 제1바디부(411)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의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회전허용부(412a)는 제2봉인부재(422)가 제1봉인부재(412)에 완전히 치합되는 시점까지 제2봉인부(420)의 일측으로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제1회전제한부(412b)는 제1회전허용부(412a)의 단부로부터 제1바디부(411)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단턱의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회전제한부(412b)는 제2봉인부재(422)가 제1봉인부재(412)에 완전히 치합된 경우, 제2봉인부(420)의 타측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2봉인부(420)는 제2고정부(300)에 고정되고,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 완료 시 제1봉인부(410)와 간섭되어 제2고정부(300)의 타측 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봉인부(420)는 제2바디부(421), 제2봉인부재(412)를 포함한다.
제2바디부(421)는 제2고정부(300)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제2봉인부재(422)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제2고정부(3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부(420)는 중공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바디부(420)는 내주면이 고정부(300)의 외주면에 용접,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제2고정부(300)와 일체로 회전된다. 제2바디부(420)는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 완료 시 제1바디부(410)에 접해 제1봉인부재(412)와 제2봉인부재(422)를 완전히 치합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봉인부재(422)는 제2바디부(421)로부터 연장되고, 제2바디부(421)가 소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제1봉인부재(412)와 치합된다. 여기서 제2바디부(421)가 이동되는 소정 거리는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 시작 시점부터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 완료 시점까지 제2고정부(300)가 이동한 거리로 예시될 수 있다. 제2봉인부재(42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2바디부(4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봉인부재(422)는 제2회전허용부(422a), 제2회전제한부(422b)를 포함한다.
제2회전허용부(422a)는 제2바디부(421)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의 형태로 구비되어 제1회전허용부(412a)에 슬라이드 접촉된다. 제2회전허용부(422a)는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 시 제1회전허용부(412a)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회전허용부(422a)는 제2봉인부재(422)가 제1봉인부재(412)에 완전히 치합되는 시점까지 제2봉인부(420)의 일측으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회전제한부(422b)는 제2회전허용부(422a)의 단부로부터 제1바디부(421)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단턱의 형태로 구비된다. 제2회전제한부(422b)는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 완료 시 제1회전제한부(412b)와 걸림 결합되어 제2봉인부(420)의 타측으로의 회전을 방지한다.
파지부(500)는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설치 또는 조작을 보조한다. 파지부(500)는 제1고정부(200) 또는 제2고정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파지부(500)는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 완료 후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를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500)는 제1파지부(510), 제2파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지부(510)는 제1고정부(200)에 연결되어 제1고정부(200)의 설치 또는 조작을 보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부(510)는 제1고정부몸체(2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511)와, 제1연장부(5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핸들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파지부(520)는 제2고정부(300)에 연결되어 제2고정부(300)의 설치 또는 조작을 보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지부(520)는 제2고정부(30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21)와, 제2연장부(52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핸들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1)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우선 제1케이스(110)가 부싱단자(3)의 일측을 감싼 상태에서 제2케이스(120)가 부싱단자(3)의 타측을 감싸도록 제2케이스(120)를 회전시켜 케이스부(100)를 폐쇄한다.
이 경우, 케이스부(100)는 지지부(150)가 부싱(2)에 구비되는 애자 사이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부싱단자(3)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케이스부(100)가 폐쇄됨에 따라 제2케이스(120)로부터 연장되는 제2장착부(120)는 제1케이스(110)로부터 연장되는 제1장착부(111)와 접촉된다.
이후, 작업자는 제1장착부(111)로 제1고정부몸체(21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제1고정부몸체(210)가 제1장착부(111)로 삽입됨에 따라 제1고정부재(220)는 제1장착부(111)의 내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후, 작업자는 제2고정부(300)를 제1봉인부(410)와 제2장착부(121)로 삽입한 뒤,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제1고정부재(220)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제2고정부(300)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제2고정부재(300)는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고정부재(220)로 삽입되면서 제2봉인부(420)를 제1봉인부(410)로 향해 이동시킨다.
제2봉인부(420)가 제1봉인부(410)를 향해 계속하여 이동됨에 따라 제2회전허용부(422a)는 제1회전허용부(412a)에 접촉된다.
이후, 제1회전허용부(412a)에 접촉된 제2회전허용부(422a)는 제2봉인부(420)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회전허용부(412a)의 연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후, 제1고정부(200)와 제2고정부(30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경우, 제1봉인부재(412)와 제2봉인부재(422)는 완전히 맞물려 치합됨에 따라 제2봉인부(420)의 타측으로의 회전을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봉인부(420)에 타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2회전제한부(422b)는 제1회전제한부(412b)에 접해 이러한 회전력을 상쇄시킴에 따라 제2봉인부(42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후 작업자는 제1핸들부(512)와 제2핸들부(521)를 각각 제1연장부(511)와 제2연장부(521)로부터 분리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2 : 부싱
3 : 부싱단자 4 : 케이블
100 : 케이스부 110 : 제1케이스
111 : 제1장착부 120 : 제2케이스
121 : 제2장착부 130 : 제1인출부
140 : 제2인출부 150 : 지지부
200 : 제1고정부 210 : 제1고정부몸체
220 : 제1고정부재 300 : 제2고정부
400 : 봉인부 410 : 제1봉인부
411 : 제1바디부 412 : 제1봉인부재
412a : 제1회전허용부 412b : 제1회전제한부
420 : 제2봉인부 421 : 제2바디부
422 : 제2봉인부재 422a : 제2회전허용부
422b : 제2회전제한부 500 : 파지부
510 : 파지부 511 : 제1연장부
512 : 제1핸들부 520 : 제2파지부
521 : 제2연장부 522 : 제2핸들부

Claims (8)

  1. 부싱단자의 일측을 감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부싱단자의 타측을 감싸는 제2케이스가 구비되는 케이스부;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상호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제한하는 봉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상호 고정시키고,
    상기 봉인부는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제1고정부로 완전히 삽입된 후, 상기 제2고정부가 타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는,
    상기 제2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봉인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봉인부와 간섭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타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2봉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인부는,
    상기 제2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바디부; 및
    상기 제1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봉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봉인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바디부가 소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봉인부재와 치합되는 제2봉인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제1봉인부재는,
    상기 제1바디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회전허용부; 및
    상기 제1회전허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바디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회전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봉인부재는,
    상기 제2바디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회전허용부; 및
    상기 제2회전허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바디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제2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허용부와 상기 제2회전허용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결합 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인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봉인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작업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KR1020200119136A 2020-09-16 2020-09-16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KR20220036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36A KR20220036657A (ko) 2020-09-16 2020-09-16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36A KR20220036657A (ko) 2020-09-16 2020-09-16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57A true KR20220036657A (ko) 2022-03-23

Family

ID=8096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136A KR20220036657A (ko) 2020-09-16 2020-09-16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66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938B1 (ko) * 2022-05-12 2022-10-06 주식회사 삼송이엔지 간접 활선작업용 방호관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938B1 (ko) * 2022-05-12 2022-10-06 주식회사 삼송이엔지 간접 활선작업용 방호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727B1 (ko) 고전압용 커넥터
KR20220036657A (ko) 계기용 변성기의 단자 커버 장치
KR101368384B1 (ko) 접지형 엘보접속재
JP2019080442A (ja) 張線装置
US20140144882A1 (en) Three Phase Vacuum Interrupter Switch for High Voltage Distribution Systems
KR101787358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KR20180014636A (ko)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 케이블 단말장치
CN105870816A (zh) 安全性好的继电保护及自动装置屏柜检修防误装置
KR100957493B1 (ko) 진공차단기반 케이스 도어 잠금장치
KR101869707B1 (ko)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CN103177909A (zh) 接线装置
JP2019080431A (ja) アースフック
KR20210077927A (ko)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KR20220120349A (ko) 전선 인장기
KR20150005257A (ko) 고속투입스위치
JP2006340457A (ja) 短絡接地器具のための操作絶縁棒
JP2018109578A (ja) 絶縁抵抗測定装置
US20020104744A1 (en) Limit switch
JP2012099388A (ja) 高圧カットアウト
CN216450586U (zh) 跌落式熔断器消弧管绝缘罩
KR20200052580A (ko) 계기용 변류기
JP2017117680A (ja) メガリングフィルタ用接地工具
KR101754344B1 (ko)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유닛
KR101609853B1 (ko) 컨트롤 센터의 드로워 유닛 록킹 어셈블리
KR200406158Y1 (ko) 방폭용 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