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212A - 발의 진입을 위한 자성 유지식 개방구를 지닌 신발류 갑피 - Google Patents

발의 진입을 위한 자성 유지식 개방구를 지닌 신발류 갑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212A
KR20220035212A KR1020227005238A KR20227005238A KR20220035212A KR 20220035212 A KR20220035212 A KR 20220035212A KR 1020227005238 A KR1020227005238 A KR 1020227005238A KR 20227005238 A KR20227005238 A KR 20227005238A KR 20220035212 A KR20220035212 A KR 2022003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upling member
footwear
strap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941B1 (ko
Inventor
토비 디 하트필드
쿠샤 아슬라니
제프리 씨 스팽크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2003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93Strap fastenings having hook and loop-type fasten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3/00Single parts for pulling-over or lasting machines
    • A43D23/02Wipers; Sole-pressers; Last-supports; Pincers
    • A43D23/027Pinc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은 밑창 구조체와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밑창 구조체 위에 발 수용 공동을 획정할 수 있다.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제1 섹션에 대해 접힐 수 있으며, 발 수용 공동은 제2 섹션이 접근 위치에 있을 때 더 많이 노출된다. 자기 커플링은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고, 제2 섹션이 접근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커플링 부재가 자기력에 의해 제2 커플링 부재와 커플링되도록 제1 커플링 부재는 갑피의 제2 섹션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제2 커플링 부재는 밑창 구조체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위치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의 진입을 위한 자성 유지식 개방구를 지닌 신발류 갑피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7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78,862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미국 출원은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교시는 일반적으로 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신발류를 포함한다.
신발류는 지면으로부터 발을 떨어뜨리는 간격을 두기 위해 착화자의 발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밑창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에 부착되는 신발류 갑피는 발을 수용한다. 발에 대한 갑피의 맞음새는, 갑피가 발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느슨해지도록 체결 시스템에 의해 조정될 수 있지만, 발을 밑창 구조체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발 주위에서 조여질 수 있다. 예컨대, 레이싱(lacing) 시스템과 같은 폐쇄 시스템은 일단 발이 갑피 내에 수용되고 나면 묶이는 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신발류를 신는 것은 대개, 발을 삽입하는 동안 갑피의 발목 개구를 연신시켜 후방부를 유지하기 위해 한손이나 양손을 사용해야만 한다. 그 후, 발을 삽입한 후 끈을 묶는 것 등에 의해 갑피의 맞음새가 조정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예시만을 목적으로 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한다기 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갑피의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는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2는 갑피의 후방 섹션이 접근 위치에 있고, 신발류 물품의 발 수용 공동에 진입하는 발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4-4에서 취한 도 2의 신발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교시의 대안의 양태에 따른, 밑창 구조체에 있는 자석의 대안의 구성을 지닌, 도 4와 유사한 단면에서 취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갑피의 후방 섹션이 접근 위치에 있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7은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교시의 대안의 양태에 따른, 갑피의 후방 섹션이 접근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비고정 위치에 있는,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9는 갑피의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고정 위치에 있는, 도 8의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교시의 대안의 양태에 따른, 갑피의 후방 섹션이 접근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비고정 위치에 있으며 신발류 물품의 발 수용 공동에 진입하는 발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11은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비고정 위치에 있는, 도 10의 신발류 물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고정 위치에 있는, 도 10의 신발류 물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부착된 인장 케이블을 부분 도시한, 도 10의 신발류 물품을 위한 대안의 스트랩의 외측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부착된 인장 케이블을 부분 도시한, 도 13의 대안의 스트랩의 내측부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대안의 스트랩이 고정 위치에 있는, 신발류 물품의 후방부 및 안쪽 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 및 도 14의 대안의 스트랩이 고정 위치에 있고 대안의 루프형 핸들이 스트랩 상에 있는,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후방부 및 안쪽 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3 및 도 14의 대안의 스트랩이 고정 위치에 있고 외창이 제2 커플링 부재를 덮고 있는, 신발류 물품의 후방부 및 안쪽 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갑피의 후방 섹션이 접근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비고정 위치에 있으며 신발류 물품의 발 수용 공동에 진입하는 발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도 17의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발 개구를 확장시키기 위해 스로트 영역을 수동으로 연신시켜야만 하고 및/또는 끈을 조이고 묶어서 고정해야만 하는 신발류에 비해 필요한 손재주가 적고,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발을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피쳐(feature)를 갖는 다양한 신발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을 삽입하는 동안 갑피의 소정 섹션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자기 커플링이 사용된다.
일례에서, 신발류 물품은 밑창 구조체와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 위해 발 수용 개구를 획정하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제1 섹션에 대해 접힐 수 있으며, 발 수용 공동은 제1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보다 접근 위치에 있을 때 더 많이 노출된다. 신발류 물품은 제1 커플링 부재 및 제2 커플링 부재를 지닌 자기 커플링을 포함하며, 제1 커플링 부재 및 제2 커플링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강자성 재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섹션이 접근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1 커플링 부재가 제2 커플링 부재와 커플링되도록 제1 커플링 부재는 갑피의 제2 섹션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제2 커플링 부재는 밑창 구조체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제2 섹션은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접근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 많이 노출된 발 수용 개구 내로 보다 쉽게 발을 집어넣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고정된 전방 섹션일 수 있고, 제2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섹션의 후방의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플링 부재는 제1 커플링 부재와 수직 정렬되도록 밑창 구조체의 후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제2 섹션은 접근 위치로 접히는 접힘 영역을 갖는다. 제1 커플링 부재는 사용 위치에서는 제2 섹션의 접힘 영역 위에, 접근 위치에서는 제2 섹션의 접힘 영역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소정 양태에서, 제2 섹션은 접힘 영역 위 그리고 접힘 영역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에서 더 얇을 수 있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에 리빙 힌지(living hinge)를 획정한다.
다른 양태에서, 탭이 제2 섹션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커플링 부재는 탭 상에 또는 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탭은 제1 위치 그리고 제1 위치 아래의 제2 위치에서 제2 섹션에 부착될 수 있다. 탭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 사이에서 제2 섹션에 연결되지 않고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를 형성한다. 달리 말하자면, 탭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든 제2 섹션으로부터 이격되어 제2 섹션에 연결되지 않을 것이다. 제1 커플링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탭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탭은 루프형이기 때문에, 제1 커플링 부재가 제2 커플링 부재에 커플링될 때에 제2 섹션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예컨대 제1 커플링 부재가 제2 섹션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보다 제2 섹션이 덜 접힌 상태로 자기 커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밑창 구조체는 밑창 구조체의 외면에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커플링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가 제2 커플링 부재 위에서 연장될 수 있고, 밑창 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에서, 밑창 구조체는 중창 및 외창을 포함할 수 있다. 중창은, 제2 커플링 부재가 배치되는 후방벽을 가질 수 있다. 외창은 중창 아래에서 연장되는 저부 부분과, 이 저부 부분에서 후방벽으로 상방으로 그리고 제2 커플링 부재 위로 연장되는 후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외창은 저부 부분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기능하고 후방부에서 제2 커플링 부재를 덮고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외창이 이들 기능 모두를 수행하도록 연장되는 경우, 별개의 커버는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상기 피쳐 및 장점과 다른 피쳐 및 장점은, 첨부도면과 연계되는 본 교시를 실시하기 위한 모드에 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명백하다.
도면 전반에 걸쳐 유사한 참조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르키는 도면을 참고하면, 발 개구를 확장시키기 위해 스로트 영역을 수동으로 연신시켜야만 하고 및/또는 끈을 조이고 묶어서 고정해야만 하는 신발류에 비해 필요한 손재주가 적고,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발을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피쳐를 갖는 다양한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을 참고하면 신발류 물품(10)은 밑창 구조체(12) 및 이 밑창 구조체(12)에 고정된 갑피(16)를 갖는다. 갑피(16)는, 발 수용 공동(18)의 개구를 확장하기 위해 수동으로 갑피를 연신시키지 않고 발(20)(도 2에서 가상선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발 수용 공동(18)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다시피, 자기 커플링(22)이 갑피(16)의 후방 섹션(16B)을 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접근 위치(도 2에 도시함)에 유지한다. 추가로, 발(20)의 삽입은 핸즈프리 방식으로 자기 커플링(22)을 해제할 수 있고, 후방 섹션(16B)이 압박되는 사용 위치(도 1)로 후방 섹션을 복귀시킨다.
여기에 예시한 신발류(10)는 농구와 같은 스포츠를 위해 구성된 운동화로서 도시되었지만, 신발류(10)는 농구화나 다른 운동화로 제한되지 않는다. 신발류(10)는 레저용 신발, 드레스 슈즈, 작업화, 샌들, 슬리퍼, 부츠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신발류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류(10)는 전족 영역(24), 중족 영역(26), 힐 영역(28)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들은 또한 밑창 구조체(12)와 갑피(16)의 전족 영역, 중족 영역 및 힐 영역이기도 하며, 갑피(16)에 의해 발목 영역(31)이 획정된다. 전족 영역(24)은 대체로, 발가락과, 중족골(metatarsal)과 발의 지골(phalange)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대응하는 신발류 물품(10)의 부분을 포함한다. 중족 영역(26)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 영역과 발등에 대응하는 신발류 물품(10)의 부분을 포함하고, 힐 영역(28)은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부분에 대응한다. 발목 영역(31)은 발목에 대응한다. 전족 영역(24), 중족 영역(26), 힐 영역(28), 및 발목 영역(31)은 신발류(10)의 정확한 영역을 구분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의 설명을 돕기 위해 신발류(10)의 일반적인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밑창 구조체(12)는 중창(32) 및 외창(34)을 포함한다. 중창(32)은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20)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에 지면 반력을 감소시키는(즉, 완충을 제공하는) 압축성 폴리머 발포체 요소(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중창은 플레이트, 조정자(moderator), 유체 충전 챔버, 라스팅(lasting) 요소 또는 힘을 더 감소시키거나, 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발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동작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32)은 하나의 일체형 중창일 수도 있고, 유닛으로 일체화된 다수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32)은 외창(34)과 하나의 밑창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외창(34)은 일체형일 수도 있고, 다수의 외창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며, 일례에서는 정지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텍스처 처리될 수 있고/있거나, 중창(32)에 고정된 클리트(cleat)와 같은 정지마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내마모성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16)는 제1 섹션(16A) - 여기에서는 전방 섹션(16A)이라고도 함 - 과 제2 섹션(16B) - 여기에서는 후방 섹션(16B)이라고도 함 - 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섹션(16A, 16B)은,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도 1)와 접근 위치(도 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협동하게 구성된다. 사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은 핸즈프리 방식으로 또는 수동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착화자는 후방 섹션(16B)을 접근 위치로 접기 위해 본인 손을 사용하여 루프형 탭(52)을 후방 섹션(16B)으로부터 연장되게 파지할 수 있다. 진입하는 착화자의 발(20)이 접혀 있는 후방 섹션(16B)의 내측부에 살짝 닿아,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로 다시 접히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착화자는 후방 섹션(16B)을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착화자의 다른 발을 사용하여 후방 섹션(16B)을 접근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사용 위치는 여기에서 설명한 후방 섹션(16B)의 사용 위치로의 압박을 통해서만 및/또는 스트랩, 스냅, 지퍼, 버튼 또는 다른 파스너(도시하지 않음)의 고정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제2 섹션[후방 섹션(16B)]은 제1 섹션[전방 섹션(16A)] 후방의 힐 영역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접히는 제2 섹션은 신발류의 안쪽 측부나 바깥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2 섹션이 접근 위치로 접힐 때에 제1 커플링 부재가 제2 커플링 부재에 커플링되도록 제2 커플링 부재가 밑창 구조체(12) 상 또는 밑창 구조체 내의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고 가정하면 신발류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발(20)이 신발류(10)의 발 수용 공동(18) 내에 위치 설정되면, 중창(32)의 발 대향면에서 지지된다. 중창(32)의 발 대향면은 갑피(16)의 하부 영역에 고정된 스트로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또한, 내창(insole)(도시하지 않음)이 스트로벨 상에 또는 스트로벨이 없는 실시예에서는 밑창 구조체(12) 상에 직접 놓일 수 있고, 이 경우 발(20)은 밑창 구조체(12)와 내창 모두에 의해 지지된다.
신발류(10)는 바깥 측부(42)(도 1에 도시되어 있음)와 안쪽 측부(44)(도 6에 도시되어 있음)를 갖는다. 안쪽 측부(44)는 제1 측부라고 칭할 수 있고, 바깥 측부(42)는 제2 측부라고 칭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바깥 측부(42)와 안쪽 측부(44)는 전족 영역(24), 중족 영역(26), 힐 영역(28) 및 발목 영역(31) 각각을 통해 연장되고, 신발류 물품(10)의 대향 측부 - 대향 측부 각각은 당업자가 이해하다시피 신발류 물품(10)의 종방향 중심선의 맞은 편에 속함 - 에 상응한다. 안쪽 측부(44)는 이에 따라 바깥 측부(42) 반대측인 것으로 간주된다.
갑피(16)는 가죽, 직물, 폴리머, 면, 발포체, 복합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일 수 있다. 전방 섹션(16A)은, 발의 삽입 및 편안함을 돕기 위해 후방 섹션(16B)의 재료 또는 재료들보다 높은 탄성, 높은 통기성 또는 높은 탄성 및 높은 통기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섹션(16B)은 힐 영역(28)에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방 섹션(16A)보다 강성인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방 섹션(16A)은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머 재료일 수 있고, 편복(編覆) 구성, 편직(예컨대, 날실뜨기) 구성 또는 부직 구성일 수 있다.
전방 섹션(16A)과 후방 섹션(16B)은 갑피(16)의 일체부이고, 후방 섹션(16B)은 갑피(16)의 바깥쪽 슬릿(46)(도 1)과 갑피(16)의 안쪽 슬릿(48)(도 7)에 의해 한정됨으로써 형성되고, 2개의 슬릿(46, 48) 모두는 후방 섹션(16B)을 한정하고, 갑피(16)의 상부 영역(50)으로부터 밑창 구조체(12)를 향해 도중까지 하향 연장된다.
자기 커플링(22)은 제1 커플링 부재(22A) 및 제2 커플링 부재(22B)를 포함한다. 커플링 부재(22A, 22B)들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강자성 재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커플링 부재(22A, 22B)들이 자기력에 의해 서로 커플링된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자석인 커플링 부재 또는 부재들은 38 내지 52와 같은 38 메가가우스 외르스테드(MGOe) 이상의 등급 또는 N 등급을 갖는 네오디뮴 자석과 같은 영구 자석일 수 있다. 강자성 재료의 예로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철, 니켈, 코발트 및 이들의 합금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커플링 부재(22A, 22B) 모두는 자석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커플링 부재(22A)는 자석이고, 제2 커플링 부재(22B)는 강자성 재료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커플링 부재(22A)는 강자성 재료이고, 제2 커플링 부재(22B)는 자석이다. 제1 커플링 부재(22A)는 루프형 탭(52)을 통해 갑피(16)의 후방 섹션(16B)에 작동적으로 고정된다. 루프형 탭(52)은 제1 커플링 부재(22A)를 외측으로 후방 섹션(16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하고, 이로 인해 후방 섹션(16B)이, 제1 커플링 부재(22A)가 후방 섹션(16B)의 후방면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보다 접근 위치에서 덜 접힌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접힘이 덜 요구되기 때문에, 루프형 탭(52) 상에 제1 커플링 부재(22A)가 위치 설정되는 것으로 인해 후방 섹션(16B)에 있어서 힐을 지지하는 데 더 두껍거나 가요성이 덜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후방 섹션(16B)은 여전히 접힘을 가능하게 하면서 후방 섹션(16B)에서 비교적 두꺼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리빙 힌지로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방 섹션(16B)은 접근 위치로 접히는 접힘 영역(60)을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섹션(16B)은 접힘 영역(60) 위 그리고 접힘 영역(60)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60)에서 더 얇고, 이에 따라 접힘 영역(60)에 리빙 힌지를 획정한다. 예컨대, 도 7을 참고하면, 패딩(62)(점선으로 나타냄)이 후방 섹션(16B)의 외층과 내층 사이에서 또는 후방 섹션(16B)의 나머지 층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접힘 영역(6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패딩(65) 또는 강성 힐 카운터가 외층과 내층 사이에서 접힘 영역(6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패딩(62, 65)은 패딩이 없는 접힘 영역(60)보다 두꺼울 수도 있고, 더 얇은 패딩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2A)는 사용 위치에서 접힘 영역(60) 위에 배치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2A)는 접근 위치에서 후방 섹션(16B)의 접힘 영역(60) 아래에 배치된다. 루프형 탭(52)은 가요성이고, 커플링된 커플링 부재(22A, 22B)들 사이의 자기력이, 자기 커플링(22)과 후방 섹션(16B)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프형 탭(52)을 통해 후방 섹션(16B)을 접근 위치에 유지한다. 루프형 탭(52)은 스티치(53)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1 커플링 부재(22A) 위에 있는 제1 위치(64)에서 그리고 스티치(54)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1 커플링 부재(22A) 아래에 있는 제2 위치(66)에서 후방 섹션(16B)에 부착된다. 루프형 탭(52)은 제1 위치(64)와 제2 위치(66) 사이에서 후방 섹션(16B)에 연결되지 않고 연장된다. 달리 말하자면, 루프형 탭(52)은 제1 위치(64)와 제2 위치 사이(66)에서 후방 섹션(16B)으로부터 이격된다. 루프형 탭(52)은 제1 위치(64)와 제2 위치 사이(66)에서 후방 섹션(16B)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루프형 탭(52)과 후방 섹션(16B)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68)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예컨대, 수평방향으로 루프형 탭(52)의 한 측면에서 루프형 탭(52)의 다른 측면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루프형 탭(52) 대신에 루프형이 아닌 탭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탭은 일단부에서만 후방 섹션(16B)에 앵커링된 직선형 스트립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커플링 부재(22A) 위의 제1 위치(64)에서 그리고 제1 커플링 부재(22A) 아래의 제2 위치(66)에서 탭(52)을 후방 섹션에 부착하여 탭(52)을 루프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2에서 제1 커플링 부재(22A) 위아래의 루프형 탭(52)에 힘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발 삽입 후 또는 발을(20)을 삽입하는 행동에 의해 커플링 부재(22A, 22B)들이 보다 일관성 있고 용이하게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떨어지게 될 수 있다. 예컨대, 발(20)의 힐이 도 2의 접힘 영역(60) 위에서 후방 섹션(16B)에 살짝 닿아, 후방 섹션(16B)의 내측부에 내측 하향 힘을 가함으로써 자기 커플링(22)의 자기력을 극복하고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로 후방으로 접힌다. 후방 섹션(16B)은 사용 위치에서 이 후방 섹션(16B)이 접힘 영역(60)에서 접힐 때보다 낮은 후방 섹션(16B)의 다양한 층을 포함하는 재료의 내력에 의해, 도시한 사용 위치로 압박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커플링(22)의 자기력이 극복되면, 바이어스가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로 다시 접히도록 압박한다.
루프형 탭(52)은 직조 나일론과 같은 유연한 비신축성 재료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루프형 탭(52)은 관형이고, 제1 커플링 부재(22A)는 제1 위치(64)와 제2 위치(66) 사이에서 관형 루프형 탭(52) 내에 배치된다. 예컨대, 탭(52)의 단부가 개방되어 튜브를 형성할 수 있지만, 후방 섹션(16B)에 고정되어 스티칭(53, 54)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이유로, 탭(52)은 후방 섹션(16B) 외측에 루프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루프형 탭으로 칭한다. 후방 섹션(16B)은 루프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한다. 제1 커플링 부재(22A)는 루프형 탭(52)을 후방 섹션(16B)에 고정하기 전에 튜브 내에 배치된다. 예컨대, 스티칭(55)이 탭(52)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제1 커플링 부재(22A)는 그 상부가 스티칭(55)에 인접하게 탭(52)의 튜브 내에 배치된 다음, 스티칭(57)이 제1 커플링 부재(22A)의 저부에 인접하게 튜브를 관통하여 박음질되어 탭(52)에 포켓(58)을 형성한다. 제1 커플링 부재(22A)는 이에 따라 포켓(58) 내에 배치되고, 루프형 탭(52)으로 덮인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루프형 탭(52) 내에 배치되어 루프형 탭으로 덮이는 대신, 제1 커플링 부재(22A)는 탭(52)의 외면에 제1 커플링 부재(22A)를 접착시키는 등에 의해 루프형 탭(5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플링 부재(22B)는 힐 영역(28)에서 밑창 구조체(12)에 작동적으로 고정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22B)는 대체로 밑창 구조체(12)의 후방 영역에 센터링되어, 후방 섹션(16B)이 접근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1 커플링 부재(22A)가 제2 커플링 부재(22B)와 정렬된다. 달리 말하자면, (도 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시피) 제2 커플링 부재(22B)는 제1 커플링 부재(22A)와 수직 정렬되도록 밑창 구조체(12)의 후방 영역(70)에 배치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밑창 구조체(12)의 중창(32)은 중창(32)의 외면(73)에 오목부(72)를 포함한다. 예컨대, 중창(32)은 오목부(72)가 형성된 성형 폴리머 발포체일 수 있다. 오목부(72)는 중앙부(74)와, 이 중앙부(74)를 둘러싸는 둘레부(76)를 갖는다. 중앙부(74)는 둘레부보다 중창(32) 내로 더 연장된다. 즉, 중앙부(74)가 둘레부(76)보다 깊다. 제2 커플링 부재(22B)는 중앙부(74) 내로 연장된다. 제2 커플링 부재(22B)는, 제2 커플링 부재(22B)의 일부가 중앙부(74)로부터 외면(73)보다 멀리 연장될 수 있도록 중앙부(74)의 깊이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2 커플링 부재(22B)는 이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부(72)에 배치된다. 제2 커플링 부재(22B)는 오목부(72)에서 밑창 구조체(12)에 접착될 수도 있고, 제2 커플링 부재(22B) 위에서 연장되어 밑창 구조체(12)에 고정되는 커버(78)에 의해 간단히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78)는, 가요성 시트이거나, 오목부(72)로부터 연장된 제2 커플링 부재(22B)의 부분 위에서 연장된 다음 둘레부(76)에서 외면(73)에 맞춰지도록 성형되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구성요소일 수 있다. 커버(78)는 둘레부(76)에서 외면(73)에 접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어, 제2 커플링 부재(22B)를 오목부(72)에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서로 커플링된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22A, 22B)를 보여준다. 관형 루프형 튜브(52)는 단면에서 전방 측부(52A)와 후방 측부(52B)를 갖는다. 자기력은 커버(78)를 통해 그리고 관형 루프형 탭(52)의 전방 측부(52A)를 통해 커플링 부재(22A, 22B)들을 서로 유지한다. 도 5는 중창(32)이 오목부(72)를 갖지 않는 변형예를 보여준다. 대신에, 제2 커플링 부재(22B)는 전체적으로 중창(32) 외측을 향해 외면(73)에 맞닿게 배치되고, 커버(78)로 덮인다. 제2 커플링 부재(22B)는 외면(73)에 접착될 수도 있고, 단순히 커버(78)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제1 커플링 부재(22A)는 도 5의 실시예에서 관형이 아닌 탭(52)의 외면에 접착된다. 커버(80)가 탭(52)에 박음질되어 제1 커플링 부재(22A)를 덮는다.
도 6은 후방 섹션(16B)이 접근 위치에 있는, 신발류(10)의 안쪽 측부(44)를 보여준다. 스냅, 지퍼, 버튼이나 다른 파스너(도시하지 않음)가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후방 섹션(16B)과 전방 섹션(16A) 사이의 슬릿(46, 48)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후방 섹션(16B)과 전방 섹션(16A)의 일부가 슬릿(46, 48)에서 중첩될 수 있고,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후크 앤 루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접힘 영역(60)이 슬릿(48)[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릿(46)도 또한]의 하부 영역과 수평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의 신발류 물품(10) 후방을 보여준다. 도 7에서는,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가 공동 수직축(VA)을 따른다는 점에서 제1 커플링 부재(22A)가 제2 커플링 부재(22B)와 수직방향으로 정렬된다는 점이 명백하다. 제1 커플링 부재(22A)는 측방 이동 없이 또는 매우 약간만 측방 이동하면서 접히는 후방 섹션(16B)의 곡선형 경로를 따라 하향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접근 위치에서 제1 커플링 부재(22A)는 제2 커플링 부재(22B) 외측에 있고, 커버(78)와 관형 루프형 탭(52)의 전방 측부(52A)에 의해서만 제2 커플링 부재(22B)로부터 분리된다.
도 8은, 스트랩(82)을 사용하여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 신발류 물품(110)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신발류 물품(10)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도 8은 갑피(16)의 후방 섹션(16B)이 접근 위치에 있고 스트랩(82)이 비고정 위치에 있는, 신발류 물품(110)의 안쪽 측면도이다. 스트랩(82)은 스트랩(82)의 외면(84)(외측부)에 고정된 루프형 핸들(83)을 갖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루프형 핸들(83)은 스트랩(82)의 외면(84)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루프형 핸들(83)은 스트랩(82)의 내면(내측부 또는 내부 측부)에 고정될 수 있고, 여전히 외면(84)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루프형 핸들(83)의 단부는 스트랩(82)의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위에서 외측부로부터 내측부로 연장될 수 있다.
스트랩(82)은 스티칭(81) 등에 의해 안쪽 측부(44)에서 전방 섹션(16A)에 고정된 근위부(82A)(근위 단부라고도 함)를 갖는다. 스트랩(82)은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에서 바깥 측부(42)와 후방 섹션(16B) 주위로 그리고 다시 안쪽 측부(44)로 연장되고, 역시 안쪽 측부(44)(예컨대, 스트랩이 연장되는 것과 동일한 측부)에서 갑피(16)의 전방 섹션(16A)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원위부(82B)(원위 단부라고도 함)를 갖는다.
루프형 핸들(83)은 근위 단부(82A)보다 원위 단부(82B)에 근접해서 스트랩(82)의 외측부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를 형성한다. 루프형 핸들(83)은 스트랩(82)[예컨대, 스트랩(82)의 외면(84)]에 고정되고, 스트랩(82)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착화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83)은 제1 위치 그리고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에서 스트랩(82)에 부착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83)은 스티칭 등에 의해 위치(64, 66)에서 스트랩(82)에 부착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83)은 제1 위치(64)와 제2 위치(66) 사이에서 스트랩(82)에 연결되지 않고 제1 위치(64)와 제2 위치(66) 사이에서[예컨대, 제1 위치(64)로부터 제2 위치(66)로] 스트랩(82)의 폭을 따라 연장되고, 이에 따라, 핸들(83)과 스트랩(82) 사이에 개구(91)가 형성되며, 이 개구(91)는 스트랩(82)의 길이를 따라[예컨대, 스트랩(82)의 길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핸들(83)이 스트랩(82)과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를 형성한다.
후크 앤 루프 파스너와 같은 파스너 부분(85)(점선으로만 도시함)은 루프형 핸들(83) 반대측의 스트랩(82)의 내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82)이 도 9에서와 같이 고정될 때, 스트랩(82)은 바깥쪽 슬릿(46), 후방 섹션(16B) 및 안쪽 슬릿(48)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파스너 부분(85)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파스너 부분(86)이 안쪽 측부(44)에서 전방 섹션(16A)에 고정될 수 있다. 발(20)이 삽입되고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로 복귀하고 난 후, 스트랩(82)은 바깥 측부(42)로부터 안쪽 측부(44)까지 후방 섹션(16B) 주위를 둘러쌀 만큼 충분히 길고, 파스너 부분(85)은 전방 섹션(16A)을 향한 원위부(82B)의 한번의 압박 동작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너 부분(86)에 고정될 수 있고, 갑피(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한번의 떼어내는 동작을 통해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랩(82)은,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82)이 갑피(16)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 전체적으로 제1 커플링 부재(22A) 아래에서 갑피(16)의 후방 섹션(16B)에 맞닿게 배치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대안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랩(82)은 바깥 측부(42)로부터 연장되고, 후방 섹션(16B) 주위를 둘러싸며, 바깥 측부(42)에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스트랩(82)의 근위부(82A)는 후방 섹션(16B)에 고정될 수 있고, 스트랩(82)은 바깥 측부와 안쪽 측부 중 어느 하나에서 바깥 측부와 안쪽 측부 중 나머지 하나로 감쌀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스트랩(282)의 변형예에 의한 신발류 물품(2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신발류 물품(10 또는 110)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도 10은 갑피(16)의 후방 섹션(16B)이 접근 위치에 있고 스트랩(282)이 비고정 위치에 있으며 신발류 물품(210)의 발 수용 공동(18)에 진입하는 발(20)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신발류 물품(210)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신발류 물품(210)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스트랩(282)과 케이블 및 파스너를 포함하는 체결 시스템(222)을 포함한다. 스트랩(282)은 전방 섹션(16A) 상에 배치된 파스너(286C)(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함)를 향해 원위부(282B)를 단일 압박하는 동작에 의해 파스너(285)를 통해 갑피(16)의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원위부(282B)를 갖는다. 스트랩(282)은 갑피(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번에 떼어내는 동작을 통해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로부터 해제된다. 스트랩의 원위부(282B)는, 스트랩(282)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피(16) 외측에 유지될 때에 스트랩(282)의 근위부(282A)보다 갑피(16)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다.
파스너(285)는 제1 파스너 또는 제1 파스너 부분이라고 칭할 수 있고, 파스너(286C)는 제2 파스너 또는 제2 파스너 부분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랩(282)은 이에 따라 스트랩(282)의 근위 단부(282D)보다 스트랩(282)의 원위 단부(282C)에 가까운 파스너(285)에 의해 전방 섹션(16A)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283)은 근위 단부(282D)보다 원위 단부(282C)에 가까운 스트랩(282)의 외측부(293)로부터 연장된다. 루프형 핸들(283)은 [예컨대, 스트랩(282)의 외면(84)으로부터] 스트랩(282)의 외측부(293)에 고정되고, 스트랩(282)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착화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도 12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같이, 루프형 핸들(283)은 제1 위치(265) 그리고 제1 위치(265)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266)에서 스트랩(282)에 부착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283)은 스티칭 등에 의해 위치(265, 266)에서 스트랩(282)에 부착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283)은 제1 위치(265)와 제2 위치(266) 사이에서 스트랩(282)에 연결되지 않고 제1 위치(265)와 제2 위치(266) 사이에서[예컨대, 제1 위치(265)로부터 제2 위치(266)로] 스트랩(282)의 폭을 따라 연장되고, 이에 따라, 핸들(283)과 스트랩(282) 사이에 개구(291)가 형성되며, 이 개구(291)는 스트랩(282)의 길이를 따라[예컨대, 스트랩(282)의 길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핸들(283)이 스트랩(282)과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를 형성한다. 루프형 핸들(283)은 스트랩(282)의 내측부(295)에 고정된 파스너(285) 반대측에 배치된다. 달리 말자하면, 루프형 핸들(283)은 스트랩(282)의 외측부(293) 상에 위치하고, 파스너(285)는 루프형 핸들(283) 정반대측의 스트랩(282) 내측부(295) 상에 위치한다.
체결 시스템(222)은, 후방 섹션(16B)이 접근 위치에 위치할 때에 발(20) 주위에서 전방 섹션(16A)을 조이도록 조정 가능하고 확실한 맞음새를 제공하여, 발(20)을 갑피(16) 아래에 놓인 밑창 구조체(12)에 대해 고정시킨다. 도 10 및 도 12를 참고하면, 체결 시스템(222)은 또한 제1의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도 포함한다. 인장 케이블(256)은 전방 섹션(16A)과 바이트 라인(bite line)(251) 근처의 바깥 측부(42) 상의 밑창 구조체(1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된 근위 단부(258)를 가질 수 있다. 스트랩(282)은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에 의해서만 갑피(16)에 비해제식으로 연결된다. 인장 케이블(256)은 전방 섹션(16A)에 있는 구멍(262)에서 갑피(16)로부터 나타날 때까지, 근위 단부(258) 근처에서 전방 섹션(16A)의 본체 내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전방 섹션(16A)의 외면 안쪽에 위치한다. 예컨대, 인장 케이블(256)은 전방 섹션(16A)의 내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전방 섹션(16A)에 일체로 직조되거나 고정된 채널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근위 단부(258)의 고정 및 구멍(262)의 간격은, 근위 단부(25)와 구멍(262) 사이에서 인장 케이블(256) 중 인접한 인장 케이블들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되는 것을 보장한다. 단지 몇몇 근위 단부(258), 구멍(262) 및 인장 케이블(256)에만 참조부호가 표기되어 있다.
체결 시스템(222)은 또한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264)을 포함하는데, 이 루프형 케이블은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단지 몇몇 루프형 케이블(264)에만 참조부호가 표기되어 있다. 인장 케이블(264)은 갑피(16)의 전방 섹션(16A) 또는 바이트 라인(251) 근처의 안쪽 측부(44) 상의 밑창 구조체(1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된 근위 단부를 갖는다.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이 근위 단부(258)로부터 전방 섹션(16A)의 바깥 측부(42)를 따라 상향 연장되고,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264)이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에서 그 근위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인장 케이블(256)과 유사하게, 루프형 케이블(264)은 전방 섹션(16A)에 있는 구멍(268) - 이 구멍에서 루프형 케이블(264)의 루프형 단부(270)가 전방 섹션(16A)으로부터 연장됨 - 에서 갑피(16)로부터 나타날 때까지, 전방 섹션(16A) 내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전방 섹션(16A)의 외면 안쪽에 위치한다. 루프형 케이블(264)은 전방 섹션(16A) 본체의 내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전방 섹션(16A)에 일체로 직조되거나 고정된 채널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근위 단부의 고정 및 구멍(268)의 간격은, 근위 단부와 구멍(268) 사이에서 루프형 케이블(264) 중 인접한 인장 케이블들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되는 것을 보장한다. 루프형 단부(270)는 루프형 케이블(264)의 연속 루프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루프형 단부(270)는 스티칭 또는 케이블(264)의 2 부분을 서로 묶어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또는 케이블(264)의 단부에 구멍을 형성하는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인장 케이블(256)이나 루프형 케이블(264)과 같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이라는 용어는 가요성 있고 긴 인장 요소이며, 인장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구조이며,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레이스, 스트랜드, 와이어, 코드, 스레드(thread) 또는 스트링을 포함한다. 케이블(256, 264)은 (a) 특정 방향이나 위치에서의 갑피(16)의 연신에 저항하도록, (b) 밑창 구조체(12)와 갑피(16)에 대한 발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c) 발이 밑창 구조체(12) 및 갑피(16)에 대해 적절히 위치 설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및/또는 (d) 힘이 집중되는 위치를 보강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케이블(256, 264)에 적합한 재료로는 다양한 필라멘트, 섬유, 얀, 스레드 또는 레이온,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실크, 면, 탄소, 유리, 아라미드(예컨대, 파라아라미드 섬유 및 메타아라미드 섬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액정 폴리머, 구리, 알루미늄 또는 강으로 형성된 로프가 있다.
계속해서 도 12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은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의 근위 단부(258)와, 스트랩(282)의 근위부(282A)에 고정되는 케이블(256)의 원위부(271) 사이에서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264)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단지 몇몇 원위부(271)에만 참조부호가 표기되어 있다. 스트랩(282)의 원위 단부(282B)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섹션(16A)에 고정될 때,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은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264)에서 방향 전환되어, 이들 인장 케이블이 시작된 바깥 측부(42)를 향해 되돌아간다.
여기에서 더 설명하다시피, 파스너는 스트랩(282)이 갑피(16) 상에 마련되어, 스트랩(282)의 조임과 위치 조정을 여전히 가능하게 하면서 전방 섹션의 안쪽 측부(44)와 바깥 측부(42) 모두에서의 바람직한 지지 조합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스너(285, 285A)는 스트랩(282) 상에 배치되고, 파스너(286A, 286B, 286C)(후크 앤 루프 재료라고도 함)는 갑피(16) 상에 배치되고, 스트랩(282)을 전방 섹션(16A)과 후방 섹션(16B)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돕도록 협동하여, 스트랩(282)이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파스너(285, 285A)는 스트랩(282)의 내측부에 고정되고, 일련의 파스너 부분이라고 칭할 수 있다. 파스너(286A)는 힐 영역(28)에서 전방 섹션(16A)의 바깥 측부(42)에 고정되고(도 10 참조), 파스너(286B)는 힐 영역(28)에서 후방 섹션(16B)의 외면(287)에 고정되며, 파스너(286C)는 힐 영역(28)에서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에 고정된다(도 11 참조). 파스너(285, 285A)는 파스너(286A, 286B, 286C)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파스너(285, 285A, 286A, 286B, 286C)는 후크 앤 루프 파스너이다. 파스너(285, 285A)는 후크일 수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는 루프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파스너(285, 285A)는 루프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는 후크일 수도 있으며, 파스너(285, 285A) 중 일부는 후크이고 나머지는 루프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 중 일부는 후크이고 나머지는 루프일 수도 있으며, 파스너(285, 285A) 중 하나 이상은 후크 앤 루프의 조합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 중 하나 이상은 후크 앤 루프의 조합일 수 있다. 게다가, 스냅, 버튼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파스너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시피, 복수 개의 제1 파스너(285, 285A)는 스트랩(282)의 내측부(295)를 따라 이격되고, 이로 인해 스트랩(282)이 고정된 상태에서 갑피(16) 상에서의 스트랩(282)의 위치 설정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스트랩(282)을 따른 다수의 제1 파스너(285A)의 이격은, 스트랩(282)의 재료가 파스너(285A)의 재료보다 가요성이 큰 경우에 스트랩(282)이 더 많이 접히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282)은 파스너(285A)가 서로 이격되지 않은 경우보다 제1 파스너(285A)들 사이의 공간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절될 것이다. 제1 파스너(285A)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스트립으로서 구성되고, 스트랩(282)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스트랩(282)의 하부 에지(290)와 스트랩(282)의 상부 에지(292)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면, 스트랩(282)은 바깥 측부(42)에서 안쪽 측부(44)로 후방 섹션(16B)의 후방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보다 양호하게 분절될 수 있다.
스트랩(282)은,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바깥쪽 슬릿(46)과 안쪽 슬릿(48)을 가로지르고, 스트랩(282)은 안쪽 측부(44)에 고정된다. 케이블(256)의 원하는 인장량과 발(20)에 대한 갑피(16)의 관련 맞음새를 유지하기 위해, 스트랩(282)은 이러한 방식으로 갑피(16)의 후방부 둘레를 감싸고, 안쪽 측부(44)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한가지 동작으로 조작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스트랩(282)은 우선 케이블(256)에서 원하는 인장 정도를 형성하도록 인장된 다음, 스트랩(282)에 대한 인장을 유지하면서 초기에 바깥 측부(42)에서 파스너(286A)에만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어, 스트랩(282)으로 [예컨대, 바깥쪽 슬릿(46), 후방 섹션(16B) 및 안쪽 슬릿(48)을 가로질러] 신발류(210)의 후방 둘레를 감싸기 전에 케이블(256)의 인장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랩(282)을 조작하는 사람이 파스너(286A)에 대해 스트랩(282)을 압박하여, 스트랩(282)의 제1 부분과 이에 연결된 케이블(256)을 로킹하여, 케이블(256)에 원하는 인장량을 형성하고, 발(20)에 대한 갑피(16)의 전방 섹션(16A)의 관련 맞음새를 형성할 수 있다. 스트랩(282)의 나머지 부분[예컨대, 파스너(286A)에서 원위 단부(382C)까지]이 이어서 파스너(286C)에서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트랩(282)의 나머지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인장량이 케이블(256)과 파스너(286A) 사이의 부분과 달라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스트랩(282)의 나머지 부분은 비고정 상태로 남겨질 수도 있고, 바깥 측부(42)에서 안쪽 측부(40)로 후방 섹션(16B)의 후방 주위를 감싸지 않고 전방 섹션에 고정되도록 되돌아갈 수도 있다. 스트랩(282)의 이러한 대안의 위치 중 하나에서, 전방 섹션(16A)은 파스너(286A)에 스트랩(282)의 중간 부분이 고정되는 것으로 인해 여전히 원하는 수준으로 조여진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이에 따라, 착화자는, 먼저 스트랩을 원하는 양만큼 조여서 파스너(286A)에 고정(전족과 중족의 맞음새를 로킹함)한 다음, 발목 주위에서 원하는 맞음새를 가능하게 하도록 스트랩의 나머지 부분의 위치와 가능한 상이한 조임을 선택함으로써 앞발 위 그리고 발목 주위에서의 갑피의 맞춤 설정된 맞음새를 얻을 수 있다. 도 12는, 스트랩(282)이 후방 섹션(16B) 둘레를 감싸고 추가로 파스너(286B, 286C)에 고정되기 전에 먼저 고정될 수 있도록 파스너(286A)에 연결되어 부착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5에 도시한 신발류 물품(310)에서 스트랩(282)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의 스트랩(382)을 보여준다. 신발류 물품(10, 110 및/또는 21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신발류 물품(310)의 구성요소는 유사한 참조부호로 표기된다. 도 13 및 도 14에는, 스트랩(282)이 도시되어 있고, 부착된 케이블(256)은 부분 도시되고, 스트랩(382)은 평탄하게 놓여 있다. 도 13에서 볼 수 있다시피, 스트랩의 상부 에지(392)와 스트랩의 하부 에지(390) 사이에서의 스트랩(382)의 폭은 원위 단부(382C)와 근위 단부(382D) 사이에서 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랩(382)은 중간부(382E)와 근위 단부(382D) 사이의 부분[폭 W2로 표기함]에서보다 스트랩의 중간부(382E)(폭 W1로 표기함)에서 더 넓고, 또한 중간부(382E)와 원위 단부(382C) 사이의 부분(폭 W3로 표기함)에서보다 중간부(382E)에서 더 넓으며, 이 경우 모든 폭은 스트랩(382)의 종방향 중심선(ML)에 수직하게 측정된다.
파스너는 스트랩(382)이 갑피(16) 상에 마련되어, 스트랩(382)의 조임과 위치 조정을 여전히 가능하게 하면서 전방 섹션의 안쪽 측부(44)와 바깥 측부(42) 모두에서의 바람직한 지지 조합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스너는 스트랩(382) 상에 파스너(385, 385A, 385B)를 포함하고, 이들 파스너는 스트랩(382)이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트랩(382)을 전방 섹션(16A)과 후방 섹션(16B)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갑피(16) 상의 파스너(286A, 286B, 286C)와 협동한다. 파스너(385, 385A, 385B)는 스트랩(382)의 내측부에 고정되고, 일련의 파스너 부분이라고 칭할 수 있다. 파스너(385, 385A, 385B)는 후크 앤 루프 파스너일 수 있다. 파스너(385, 385A, 385B)는 후크일 수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는 루프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파스너(385, 385A, 385B)는 루프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는 후크일 수도 있으며, 파스너(385, 385A, 385B)는 중 일부는 후크이고 나머지는 루프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 중 일부는 후크이고 나머지는 루프일 수도 있으며, 파스너(385, 385A, 385B)는 중 하나 이상은 후크 앤 루프의 조합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 중 하나 이상은 후크 앤 루프의 조합일 수 있다. 게다가, 스냅, 버튼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파스너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시피, 복수 개의 제1 파스너(385, 385A, 385B)는 스트랩(382)의 내측부(395)를 따라 이격되고, 이로 인해 스트랩(382)이 고정된 상태에서 갑피(16) 상에서의 스트랩(382)의 위치 설정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스트랩(382)을 따른 다수의 제1 파스너(385A)의 이격은, 스트랩(382)의 재료가 파스너(385A)의 재료보다 가요성이 큰 경우에 스트랩(382)이 더 많이 분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파스너(385A)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스트립으로서 구성되고, 스트랩(382)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스트랩(382)의 하부 에지(390)와 스트랩(382)의 상부 에지(392)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면, 스트랩(382)은 바깥 측부(42)에서 안쪽 측부(44)로 후방 섹션(16B)의 후방 주위로 연장되도록 보다 양호하게 분절 가능하다. 파스너(385B)는 스트립보다는 라운드형이며, 이는 케이블(256)의 인장을 유지하는 바깥 측부(42)에 대한 스트랩(382)의 초기 압박 및 고정을 돕는 보다 큰 위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파스너(385)도 또한 원형이지만,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스트랩(382), 케이블(256) 및 갑피(16)는,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382)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스트랩(382)의 가장 넓은 부분[예컨대, 중간부(382E)]이, 후방 섹션(16B)에 맞닿게 놓여 후방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크기가 정해져, 착화자의 힐에 증가된 측방 지지와 안정성을 제공한다. 스트랩(382)은, 가장 넓은 부분[중간부(382E)]이 후방 섹션(16B)에 배치되더라도, 전방 섹션(16A)에 고정될 때에 후방 섹션(16B)에 맞닿게 전체적으로 제1 커플링 부재(22A) 아래에 맞춰진다. 폭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스트랩(382)이 중간부(382E)에서 스트랩(382)의 상부 에지(392)를 따라 볼록하고 중간부(382E)에서 스트랩(382)의 하부 에지(390)를 따라 볼록하게 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신발류 물품(210)의 루프형 핸들(283)과 달리, 루프형 핸들(383)은 제1 위치(364)와 제2 위치(366) 사이에서 스트랩(382)의 길이(예컨대, 종방향 중심선 LM)를 따라 연장되고, 여기에서 스트랩(382)에 스티칭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고, 개구(391)가 제1 위치(364)와 제2 위치(366) 사이에서 루프형 핸들(383)과 스트랩(382)에 의해 형성된다. 개구(391)는 스트랩(382)의 길이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루프형 핸들(383)은 제1 위치(364)와 제2 위치(366) 사이에서 스트랩(82)에 연결되지 않고 제1 위치(364)와 제2 위치(366) 사이에서[예컨대, 제1 위치(364)로부터 제2 위치(366)로] 연장된다.
도 16은, 제1 위치(464)가 제2 위치(466) 위에 있고, 루프형 핸들(383) 대신에 사용되는 루프형 핸들(483)이 스트랩(382)에 고정되어, 루프형 핸들(483)과 스트랩(382) 사이의 개구(491)가 스트랩(382)의 길이를 따라(예컨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신발류 물품(310)과 모든 양태에서 유사한 신발류 물품(4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개구(491)는 스트랩(382)의 길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루프형 핸들(483)은 제1 위치(464)와 제2 위치(466) 사이에서 스트랩(382)에 연결되지 않고 제1 위치(464)와 제2 위치(466) 사이에서[예컨대, 제1 위치(464)로부터 제2 위치(466)로] 연장된다.
도 17은 도 13 및 도 14의 대안의 스트랩(382)이 고정 위치에 있고 외창(534)이 제2 커플링 부재(22B)를 덮고 있는, 신발류 물품(510)의 후방부 및 안쪽 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발류 물품(510)은 중창(32)과 외창(534)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514)를 갖는다. 중창(32)은, 제2 커플링 부재(22B)가 배치되는 후방벽(32A)을 가질 수 있다. 제2 커플링 부재(22B)는 후방벽(32A)의 외면에 접착될 수 있다. 후방벽(32A)은 제2 커플링 부재(22B)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도 3의 오목부(72)와 유사한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후방벽(32A)은 오목부를 갖지 않고, 제2 커플링 부재(22B)가 단순히 후방벽(32A)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중창(32) 외측에 배치된다.
외창(534)은 후방부(534A) 및 이 후방부(534A)와 일체형 구성요소로 일체화될 수 있는 저부 부분(534B)을 갖는다. 저부 부분(534B)은 중창(32) 아래에서 연장되고, 후방부(534A)는 저부 부분(534B)으로부터 후방벽(32A) 상으로 상방으로 그리고 제2 커플링 부재(22B) 위로 연장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외창(534)은 저부 부분(534B)에서 정지 마찰 부재로서 기능하고 후방부(534A)에서 제2 커플링 부재(22B)를 덮고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외창(534)이 이들 기능 모두를 수행하도록 연장되는 경우, 제2 커플링 부재(22B)를 위한 별개의 커버는 불필요하다. 도 18은 갑피(16)의 후방 섹션(16B)이 접근 위치에 있고 스트랩(382)이 비고정 위치에 있으며 신발류 물품(510)의 발 수용 공동(18)에 진입하는 발(20)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도 17의 신발류 물품(510)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아래의 항은 여기에 개시된 신발류 물품의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항 1: 신발류 물품으로서, 밑창 구조체;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밑창 구조체 위에 발 수용 공동을 형성하는 갑피로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제1 섹션에 대해 접히며, 발 수용 공동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보다 접근 위치에 있을 때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인 갑피; 및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자기 커플링으로서,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강자성 재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자기 커플링을 포함하고, 제2 섹션이 접근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1 커플링 부재가 제2 커플링 부재와 커플링되도록 제1 커플링 부재는 갑피의 제2 섹션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커플링 부재는 밑창 구조체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위치 설정되며, 제2 섹션은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접근 위치에 유지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이 제2 섹션이 접근 위치로 접히는 접힘 영역을 갖고, 제1 커플링 부재는 사용 위치에서는 제2 섹션의 접힘 영역 위에, 접근 위치에서는 제2 섹션의 접힘 영역 아래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접힘 영역 위 그리고 접힘 영역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에서 더 얇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에 리빙 힌지를 획정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섹션으로부터 연장되는 탭을 더 포함하고, 제1 커플링 부재는 상기 탭 상 또는 상기 탭 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5: 제4항에 있어서, 탭은 제1 위치 그리고 제1 위치 아래의 제2 위치에서 제2 섹션에 부착되고, 탭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제2 섹션에 연결되지 않고 연장되어,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제1 커플링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탭의 일부에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6: 제5항에 있어서, 탭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제2 섹션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탭과 제2 섹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7: 제6항에 있어서, 탭은 가요성 있는 비연신성 재료인 것인 신발류 물품.
항 8: 제5항에 있어서, 제1 커플링 부재는 탭으로 덮이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9: 제8항에 있어서, 탭은 관형이고, 제1 커플링 부재는 탭 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0: 제9항에 있어서, 탭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탭에 포켓을 형성하는 스티칭을 더 포함하고, 제1 커플링 부재는 포켓 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고정된 전방 섹션이고, 제2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섹션 후방의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배치되며, 제2 커플링 부재는 제1 커플링 부재와 수직 정렬되도록 밑창 구조체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의 상부 영역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밑창 구조체보다 더 위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밑창 구조체의 외면에 오목부를 포함하고, 제2 커플링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부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커플링 부재 위에서 연장되고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커플링 부재가 배치되는 후방벽을 갖는 중창; 및 중창 아래에서 연장되는 저부 부분을 갖고, 상기 저부 부분으로부터 후방벽으로 상향으로 그리고 제2 커플링 부재 위에서 연장되는 후방부를 갖는 외창을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갑피는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을 획정하고,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 모두는 제2 섹션을 한정하며, 갑피의 에지로부터 밑창 구조체를 향해 도중까지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안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와 바깥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 사이에서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힘 영역을 갖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 위 그리고 접힘 영역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에서 더 얇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에서 사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접히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갑피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안쪽 슬릿, 제2 섹션 및 바깥쪽 슬릿에 걸쳐 연장되는 상태에서 갑피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원위부를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9: 제18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갑피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 전체적으로 제1 커플링 부재 아래에서 갑피의 제2 섹션에 맞닿게 배치되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0: 제19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내측부를 따라 서로 이격된 일련의 파스너를 더 포함하고, 제2 섹션의 외면은 후크 앤 루프 재료를 포함하며, 일련의 파스너는 제2 섹션의 후크 앤 루프 재료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후크 앤 루프 파스너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을 돕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여기에서 다양한 용어가 정의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아래의 정의는 본 명세서(청구범위 포함) 전반에 걸쳐 적용된다. 추가로, 인용되는 모든 인용예는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포함된다.
“신발류 물품”, “제조된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는 장비 및 제조 모두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조립되어 바로 착화할 수 있는 신발류 물품(예컨대, 신발, 샌들 부츠 등)과 신발류 물품을 착화하도록 준비되는 최종 조립 전의 신발류 물품의 개별 구성요소(예컨대, 중창, 외창, 갑피 구성요소 등)는 여기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신발류(들)”로 간주되고 대안으로서 언급된다.
단수 형태,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해 호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문맥에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그러한 아이템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메터(예컨대, 양 또는 조건의 파라메터)의 모든 수치값은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문맥상 달리 명백히 또는 분명히 나타나지 않는다면, “약”이 실제로 수치값 앞에 기재되던지 그렇지 않던지 간에,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약”은, 언급된 수치값이 약간의 부정확성을 (값에서의 정확도에 어느 정도 접근하게: 값에 대략 또는 상당히 근사하게: 거의)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약”에 의해 규정되는 부정확성이 그 통상의 의미로 당업계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다면, 여기에서 사용되는 “약”은 상기한 파라메터를 측정 및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변동을 나타낸다. 추가로, 범위의 개시는 모든 값 및 범위 내에서 더 분할된 범위를 상세히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구성된”, “포함하는” 및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이에 따라 언급한 피쳐, 단계, 공정, 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피쳐, 단계, 공정,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불가능하게 하지는 않는다. 가능한 경우에 단계, 프로세스 및 공정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의 또는 대안의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 열거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아이템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 중 임의의 것”이라는 구문은 “인용된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인용된 아이템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 중 임의의 항”이라는 구문은 “인용된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을 포함하여, 인용된 청구항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관성과 편의를 위해, 예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 방향성 형용사가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위”, “아래”, “상향”, “하향”, “상부”, “저부” 등과 같은 용어들이 도면에 대해 기술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일컫는다. 예컨대, 신발의 종방향은 신발의 전족 영역에서 힐 영역 사이에서 연장된다. “전방” 또는 “앞쪽”이라는 용어는 힐 영역에서 전족 영역을 향하는 일반적인 방향을 일컫는 데 사용되고, “후방” 또는 “뒷쪽”이라는 용어는 반대 방향, 즉 전족 영역에서 힐 영역을 향하는 방향을 일컫는 데 사용된다. 몇몇 경우, 구성요소는 종축과 종축을 따른 전방 및 후방 종방향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종방향 또는 종축은 또한 앞쪽-뒷쪽 방향 또는 앞쪽-뒷쪽 축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횡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일컫는다. 예컨대, 신발의 횡방향은 신발의 바깥 측부와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횡방향 또는 횡축은 또한 측방향 또는 측방향 축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수직방향”이라는 용어는 측방향 및 종방향 모두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을 일컫는다. 예컨대, 밑창이 지면 상에 편평하게 놓이는 경우, 수직방향은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들 방향성 형용사 각각은 밑창의 개별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상방” 또는 “상향”이라는 용어는, 갑피의 발등, 체결 영역 및/또는 스로트(throat)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상단을 향하는 수직방향을 일컫는다. “하방” 또는 “하향”이라는 용어는, 상향 방향의 반대로 구성요소의 저부를 향하는 수직방향을 일컫고,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저부를 향할 수 있다.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내부”는 신발을 신었을 때에 착화자의 발이 차지하는 공간에 있는 부분을 일컫는다. 구성요소의 “내측부”는 신발류 물품의 조립 상태에서 신발류 물품이나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해 배향되는(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일컫는다. 구성요소의 “외측부” 또는 “외측”은 조립된 신발에서 신발의 내부 반대측으로 배향된(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일컫는다. 몇몇 경우, 조립된 신발류 물품에서 기타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내측부와 내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타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외측부와 조립된 신발류 물품의 외측 공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내향” 및 “내측을 향하는”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나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일컫고, “외측” 및 “외측을 향하는”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나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일컫는다. 게다가, “근위”라는 용어는 신발류 물품의 중심에 가깝거나, 착화자가 착화할 때에 발이 신발류 물품에 삽입된 경우에 발을 향해 더 근접한 방향을 일컫는다. 마찬가지로, “원위”라는 용어는 신발류 구성요소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어지거나 착화자가 착화할 때에 발이 신발류 물품에 삽입된 경우에 발로부터 멀어지는 상대 위치를 일컫는다. 이에 따라,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는 상대적인 공간 위치를 기술하기 위해 대체로 반대되는 용어를 제공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제한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자에게는 실시예의 범위 내에 속하는 더 많은 실시예 및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피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임의의 다른 피쳐 또는 요소들과 결합되거나 이들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 등가물의 견지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교시의 여러 양태를 실시하기 위한 다수의 모드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들 교시와 관련된 당해 기술에 익숙한 자라면, 본 교시를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의 양태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위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당업자가 포함된 내용에 의해 구조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하다고 인식하는, 그렇지 않으면 포함된 내용에 기초하여 자명한 것으로 인식하는 설명적이고 예시적인 변형예의 전체 범위인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하며, 명시적으로 도시 및/또는 설명된 실시예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신발류 물품으로서,
    밑창 구조체;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밑창 구조체 위에 발 수용 공동을 획정하는 갑피로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제1 섹션에 대해 접히며, 발 수용 공동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보다 접근 위치에 있을 때 더 많이 노출되는 것인 갑피; 및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자기 커플링으로서,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강자성 재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자기 커플링
    을 포함하고, 제2 섹션이 접근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1 커플링 부재가 제2 커플링 부재와 커플링되도록 제1 커플링 부재는 갑피의 제2 섹션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커플링 부재는 밑창 구조체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위치 설정되며, 제2 섹션은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접근 위치에 유지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이 제2 섹션이 접근 위치로 접히는 접힘 영역을 갖고,
    제1 커플링 부재는 사용 위치에서는 제2 섹션의 접힘 영역 위에, 접근 위치에서는 제2 섹션의 접힘 영역 아래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접힘 영역 위 그리고 접힘 영역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에서 더 얇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에 리빙 힌지(living hinge)를 획정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섹션으로부터 연장되는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 상 또는 상기 탭 내 중 어느 하나에 제1 커플링 부재가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탭은 제1 위치 그리고 제1 위치 아래의 제2 위치에서 제2 섹션에 부착되고, 탭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제2 섹션에 연결되지 않고 연장되어,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제1 커플링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탭의 일부에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탭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제2 섹션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탭과 제2 섹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탭은 가요성 있는 비연신성 재료인 것인 신발류 물품.
  8. 제5항에 있어서, 제1 커플링 부재는 탭으로 덮이는 것인 신발류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탭은 관형이고, 제1 커플링 부재는 탭 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탭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탭에 포켓을 형성하는 스티칭을 더 포함하고, 제1 커플링 부재는 포켓 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고정된 전방 섹션이고,
    제2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섹션 후방의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배치되며,
    제2 커플링 부재는 제1 커플링 부재와 수직 정렬되도록 밑창 구조체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의 상부 영역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밑창 구조체보다 더 위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밑창 구조체의 외면에 오목부를 포함하고, 제2 커플링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부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커플링 부재 위에서 연장되고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커플링 부재가 배치되는 후방벽을 갖는 중창(midsole); 및
    중창 아래에서 연장되는 저부 부분을 갖고, 상기 저부 부분으로부터 후방벽으로 상향으로 그리고 제2 커플링 부재 위에서 연장되는 후방부를 갖는 외창(outsole)
    을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갑피는 안쪽(medial) 슬릿과 바깥쪽(lateral) 슬릿을 획정하고,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 모두는 제2 섹션을 한정하며, 갑피의 에지로부터 밑창 구조체를 향해 도중까지 하향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안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와 바깥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 사이에서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힘 영역을 갖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 위 그리고 접힘 영역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에서 더 얇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에서 사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접히는 것인 신발류 물품.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갑피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안쪽 슬릿, 제2 섹션 및 바깥쪽 슬릿에 걸쳐 연장되는 상태에서 갑피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원위부를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갑피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 전체적으로 제1 커플링 부재 아래에서 갑피의 제2 섹션에 맞닿게 배치되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것인 신발류 물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내측부를 따라 서로 이격된 일련의 파스너를 더 포함하고,
    제2 섹션의 외면은 후크 앤 루프 재료를 포함하며, 일련의 파스너는 제2 섹션의 후크 앤 루프 재료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후크 앤 루프 파스너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227005238A 2019-07-26 2020-06-18 발의 진입을 위한 자성 유지식 개방구를 지닌 신발류 갑피 KR102588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8862P 2019-07-26 2019-07-26
US62/878,862 2019-07-26
PCT/US2020/038342 WO2021021336A1 (en) 2019-07-26 2020-06-18 Footwear upper with magnetic hold open for foot ent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212A true KR20220035212A (ko) 2022-03-21
KR102588941B1 KR102588941B1 (ko) 2023-10-12

Family

ID=7157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238A KR102588941B1 (ko) 2019-07-26 2020-06-18 발의 진입을 위한 자성 유지식 개방구를 지닌 신발류 갑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90690B2 (ko)
EP (1) EP4003080B1 (ko)
JP (2) JP7271784B2 (ko)
KR (1) KR102588941B1 (ko)
CN (1) CN114173602A (ko)
WO (1) WO2021021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458B2 (en) * 2019-07-26 2023-02-14 Cassidy Ray, LLC Foldable shoe
CZ37301U1 (cs) 2023-08-17 2023-09-12 Karel Martykán Bota opatřená fixačním magne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9509A (en) * 1983-09-28 1984-12-25 Libit Sidney M Overshoe
KR20100014032A (ko) * 2008-08-01 2010-02-10 양민우 뒤축이 접어지는 신발
US20180295942A1 (en) * 2017-04-17 2018-10-18 Nike, Inc. Increased Access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10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16A (en) * 1892-03-08 Boot or shoe
US1088067A (en) 1911-04-03 1914-02-24 Edward Forbes Laced boot or shoe.
US2266083A (en) 1940-12-28 1941-12-16 Rzepa Bruno Securing means for shoes or the like
US2420239A (en) * 1945-05-03 1947-05-06 Hack Shoe Company Convalescent shoe
US2883771A (en) * 1957-05-13 1959-04-28 Sanchez Enrique Baby's shoe
US2994972A (en) 1960-06-14 1961-08-08 Goodrich Co B F Article of footwear
US3192651A (en) 1963-12-16 1965-07-06 Robert D Smith Shoe having a rear opening
US4079527A (en) 1976-06-03 1978-03-21 Antonious A J Shoe
US4081916A (en) 1977-02-03 1978-04-04 Thomas Salisbury Quick lace tightener for shoes
US4114297A (en) 1977-04-27 1978-09-19 Famolare, Inc. Cinching closure
US4308672A (en) 1979-03-16 1982-01-05 Antonious A J Adjustable and flexible closure assembly for shoes with variable opening
US4451995A (en) 1979-03-16 1984-06-05 Antonious A J Adjustable and flexible closure assembly for shoes with elasticized lower vamp opening
US4282657A (en) 1979-03-16 1981-08-11 Antonious A J Heel restraint with an adjustable and flexible closure assembly for shoes
US4392311A (en) * 1981-08-03 1983-07-12 Rudolf Warren P Expandable overshoe
CA1141535A (en) 1981-10-29 1983-02-22 Douglas S. Mahood Footwear article
US4486965A (en) 1982-05-14 1984-12-11 Nike, Inc. Footwear with overlapping closure strap means
IT1196954B (it) 1986-07-10 1988-11-25 Calzaturificio Tecnica Spa Struttura di bloccaggio del piede per scarpe e scarponi
US7107705B2 (en) 2002-12-23 2006-09-19 Spenco Medical Corporation Insole with improved cushioning and anatomical centering device
US4972613A (en) 1989-10-10 1990-11-27 Wolverine World Wide, Inc. Rear entry athletic shoe
US5027482A (en) 1990-01-24 1991-07-02 Central Dupage Pedorthics, Inc. Securing device for shoes
US5319869A (en) * 1991-12-13 1994-06-14 Nike, Inc. Athletic shoe including a heel strap
USD346479S (en) 1993-06-04 1994-05-03 Nike, Inc. Shoe upper
US5557866A (en) 1993-09-07 1996-09-24 Prengler; Randall Athletic footwear with hinged entry and fastening system
US5755044A (en) 1996-01-04 1998-05-26 Veylupek; Robert J. Shoe lacing system
US5813144A (en) 1996-08-21 1998-09-29 Prengler; Randall Hinged entry footwear with inflatable brace
US5878512A (en) * 1997-05-19 1999-03-09 Cooper; Jeffrey A. Protective overshoe
US5926978A (en) * 1998-02-06 1999-07-27 Smith; Rudolph Athletic shoe having a hingedly attached toe enclosure
JP3052628U (ja) * 1998-03-25 1998-09-29 有限会社ケースタジオ
US5943793A (en) * 1998-06-02 1999-08-31 Columbia Insurance Company Shoe or boot with adjustable ankle collar
FR2784870B1 (fr) 1998-10-22 2000-12-15 Salomon Sa Lacage chausson avec blocage talon
US7490417B2 (en) 1999-11-01 2009-02-17 Nike, Inc. Underlay strap system
DE20013472U1 (de) 2000-08-04 2001-12-13 Dassler Puma Sportschuh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TW435102U (en) 2000-09-18 2001-05-16 Jiang Deng Feng Moveable rear wrapping portion for shoes
FR2824450B1 (fr) 2001-05-10 2008-03-14 Salomon Sa Chaussure de sport
US6941683B2 (en) 2001-09-14 2005-09-13 Anna B Freed Lacing system
US20030051374A1 (en) 2001-09-14 2003-03-20 Freed Anna B. Lacing system
DE10208853C1 (de) 2002-03-01 2003-06-26 Goodwell Int Ltd Schnürschuh
US20030200680A1 (en) 2002-04-29 2003-10-30 David Chang Shoe with a counter portion
JP2004236860A (ja) * 2003-02-06 2004-08-26 Suminosuke Kawase 靴べらなしで履ける履物
US20080196212A1 (en) 2003-04-08 2008-08-21 Sherlon Arleigh Nelson Clothes fastening system
US6938361B2 (en) * 2003-10-14 2005-09-06 Cheng-Wen Su Pivotal counter assembly for a shoe
KR200355597Y1 (ko) 2004-04-26 2004-07-07 김지현 착탈이 용이한 신발
TWM261248U (en) 2004-05-25 2005-04-11 Jian-Hung Lin Amphibious dual-purposed shoes
ITMI20041810A1 (it) 2004-09-22 2004-12-22 Sports & Supports Ltd "articolo sanitario, anche ad uso sportivo,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KR100720653B1 (ko) 2006-08-10 2007-05-21 황보연 신축성을 보유한 신발
US8161669B2 (en) 2007-01-11 2012-04-24 X-Swiss, Inc. Infant shoe having a pivoting heel portion
US20090076428A1 (en) 2007-08-09 2009-03-19 Jason Kay Ambidextrous ankle support
US20090100707A1 (en) 2007-10-22 2009-04-23 Aharon Bar Apparatus for fastening a shoe
US20090100649A1 (en) 2007-10-22 2009-04-23 Aharon Bar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a shoe
AU2010202361B2 (en) * 2008-01-16 2013-05-30 James Neville Somerville Heel-lock shoe
US8245418B2 (en) 2008-03-01 2012-08-21 Paintin Janet A Front-opening footwear systems
US8499474B2 (en) * 2008-03-05 2013-08-06 Steven Kaufman Hands-free step-in closure apparatus
US20090293240A1 (en) 2008-05-29 2009-12-03 James Richard Hubbard Shoelace holder
FR2931629B1 (fr) 2008-06-03 2010-09-03 Babolat Vs Chaussure, en particulier chaussure de sports, comprenant un dispositif de serrage
US7905850B2 (en) 2008-08-08 2011-03-15 David Norton Device and method for combining an athletic shoe and conventional ankle brace to limit active ankle inversion
WO2010048203A1 (en) * 2008-10-21 2010-04-29 Scott Sports Sa Heel-entry athletic shoe
US8490299B2 (en) 2008-12-18 2013-07-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KR20100103909A (ko) 2009-03-16 2010-09-29 김상훈 자석을 이용한 슬리퍼 겸용 신발
WO2010148289A1 (en) * 2009-06-19 2010-12-23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Cycling shoe with rear entry
US8479415B2 (en) 2010-03-30 2013-07-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detachable wrap
US8225535B2 (en) * 2010-05-10 2012-07-24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ootwear including a foldable heel
US9414640B2 (en) 2010-08-02 2016-08-16 Colt Carter Nichols Cycling shoe
US20120079746A1 (en) * 2010-10-01 2012-04-05 Converse Inc. Heel-End Slip Shoe
WO2012103374A2 (en) 2011-01-26 2012-08-02 Deckers Outdoor Corporation Injection molded shoe frame and method
US11026473B2 (en) 2011-05-19 2021-06-08 Under Armour, Inc. Foot support article
US8898936B1 (en) 2011-09-08 2014-12-02 Jennifer Thompson-Boothe Footwear fastening aid
US9532625B2 (en) * 2011-12-01 2017-01-03 Ektio Inc. Athletic shoe
US9516920B1 (en) 2012-09-25 2016-12-13 Joseph A. DeRose Footwear structure
US9226548B2 (en) 2013-01-15 2016-01-05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channels having multiple tensile strands
US9839261B2 (en) * 2013-01-17 2017-12-12 Nike, Inc. Easy access articles of footwear
US9265305B2 (en) 2013-01-17 2016-02-23 Nike, Incorporated Easy access articles of footwear
US20140096415A1 (en) 2013-02-28 2014-04-10 Jerry Long Footwear System
US9474330B2 (en) 2013-06-10 2016-10-25 Nike, Inc. Article with adjustable rearward covering portion
US9713362B2 (en) * 2013-09-12 2017-07-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having member with support arm
US20150216252A1 (en) * 2014-01-31 2015-08-06 Zubits, Llc Footwear with magnetic closures
US9119436B1 (en) 2014-02-07 2015-09-01 Donald B Ardell Fast transition running shoe
US9144262B2 (en) 2014-02-07 2015-09-29 Donald B Ardell Fast transition running shoe
US20150374065A1 (en) * 2014-06-26 2015-12-31 Joseph DiFrancisco Easy Access Footwear
US9392838B2 (en) 2014-09-23 2016-07-19 Fi-Ber Sports, Inc. Protective cov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DE102015017003A1 (de) * 2015-01-20 2016-07-21 Jana Philomena Meister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von Schuhen
US10004296B2 (en) 2015-03-09 2018-06-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fastening system
US9526300B2 (en) 2015-03-16 2016-12-27 Anna Krengel Dually adjustable, anchored, parallel lacing technology
US9848674B2 (en) 2015-04-14 2017-12-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weight-activated cinching apparatus
US9723891B2 (en) 2015-04-15 2017-08-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 rowing
US9700102B2 (en) 2015-05-05 2017-07-11 Tech Spark Innovations, LLC Clasp and system
TWI620517B (zh) 2015-05-15 2018-04-1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一彎曲編織繫帶元件之鞋類物件及形成具有一編織組件之一鞋類物件之一鞋面之方法
US10863793B2 (en) 2015-05-29 2020-12-15 Nike, Inc. Footwear system with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medial and lateral side portions with separately securable distal ends
DE112015006734B4 (de) * 2015-07-27 2022-10-27 Chris Lintaman Längeneinstellbarer Schuh
FR3046915B1 (fr) * 2016-01-22 2019-08-16 Gbb Chaussure fermee pour enfant
USD814169S1 (en) 2016-02-15 2018-04-03 Nike, Inc. Shoe upper
CN205611886U (zh) 2016-05-18 2016-10-05 张国阳 一种凉鞋
US9730494B1 (en) * 2016-09-23 2017-08-15 Feinstein Patents, Llc Self-fitting, self-adjusting, automatically adjusting and/or automatically fitting shoe/sneaker/footwear
EP4233612A3 (en) * 2016-10-26 2023-09-06 NIKE Innovate C.V. Footwear heel spring device
CN113729356B (zh) 2016-10-26 2023-05-2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足部进入的带铰链的鞋类鞋底结构及制造方法
US20180116343A1 (en) 2016-11-01 2018-05-03 Black Brass, Inc. Closure and fastening system for shoes
US20180213882A1 (en) * 2017-02-01 2018-08-02 Steven Karl Morse Toddlers Shoe with fully pivoting counter, providing easy rear entry of foot into the shoe
US9907364B1 (en) 2017-02-14 2018-03-06 Richard Bosserman Shoe fastening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304479B2 (en) 2017-02-28 2022-04-19 Nike, Inc. Footwear with laceless fastening system
CN110290718B (zh) 2017-03-17 2021-11-19 全星有限合伙公司 在足部插入或取出构型与足部支撑构型之间过渡的鞋类用品
US20180325208A1 (en) 2017-05-11 2018-11-15 Sean Delaney Convertible Shoe
US10512298B2 (en) * 2017-05-23 2019-12-24 Nike, Inc. Footwear upper with lace-engaged zipper system
CN110691532B (zh) * 2017-05-23 2022-04-0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可移动鞋跟部分的后方进入式鞋类物品
US10159310B2 (en) * 2017-05-25 2018-12-25 Nike, Inc. Rear closing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front zipper to rear cord connection
US10772384B2 (en) 2017-07-18 2020-09-15 Boa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minimizing dynamic lace movement
WO2019046121A1 (en) 2017-08-30 2019-03-07 Nike Innovate C.V. MAGNETIC FIXING ELEMENT FOR A FOOTWEAR ARTICLE
US10827803B2 (en) 2018-04-13 2020-11-10 Nike, Inc. Footwear fastening system
US20200323308A1 (en) * 2019-04-09 2020-10-15 Edward Guy Dubuisson Dubui shoe
US20210186146A1 (en) 2019-12-18 2021-06-24 David Erwin Article of footwear with hands free donning and remov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9509A (en) * 1983-09-28 1984-12-25 Libit Sidney M Overshoe
KR20100014032A (ko) * 2008-08-01 2010-02-10 양민우 뒤축이 접어지는 신발
US20180295942A1 (en) * 2017-04-17 2018-10-18 Nike, Inc. Increased Access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86003B2 (en) 2023-10-17
US20230029743A1 (en) 2023-02-02
JP2023086857A (ja) 2023-06-22
WO2021021336A1 (en) 2021-02-04
JP7445054B2 (ja) 2024-03-06
CN114173602A (zh) 2022-03-11
KR102588941B1 (ko) 2023-10-12
EP4003080A1 (en) 2022-06-01
US20210022446A1 (en) 2021-01-28
US11490690B2 (en) 2022-11-08
JP2022542142A (ja) 2022-09-29
JP7271784B2 (ja) 2023-05-11
EP4003080B1 (en)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577B1 (ko) 신발 체결 시스템
EP3629807B1 (en) Rear closing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front zipper to rear cord connection
US998053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tensioning system
CN107529854B (zh) 具有紧固系统的鞋类物品
US20220031010A1 (en) Rear access article of footwear with movable heel portion
US11388956B2 (en) Closur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120198727A1 (en) Tendon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7445054B2 (ja) 足進入のための磁気保持開口を備える履物アッパー
KR102604508B1 (ko) 루프형 그랩 핸들을 지닌 신발류 갑피용 폐쇄 스트랩
CN115776854A (zh) 用于鞋类物品的易系鞋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