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661A -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661A
KR20220034661A KR1020210110088A KR20210110088A KR20220034661A KR 20220034661 A KR20220034661 A KR 20220034661A KR 1020210110088 A KR1020210110088 A KR 1020210110088A KR 20210110088 A KR20210110088 A KR 20210110088A KR 20220034661 A KR20220034661 A KR 20220034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rylate
monomer
fold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2003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하의 조건에서도 폴딩 물성이 우수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점착필름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점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ND ADHESIVE FILM FOR FOLDABLE DISPLAY INCLUDING CURED PRODUCT THEREOF}
본 명세서는 2020년 9월 11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0-0116499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거나, 고무줄처럼 늘리는 등, 사용 단계에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요구와 휴대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소형화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상응하여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는 상황의 필요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변형된 형태를 인식하고, 인식한 형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변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이 손상될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들은 폴딩(Folding) 신뢰성 및 안정성을 만족해야 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 들을 고정시키는 점착필름은, 디스플레이의 변형 시에 각 구성들이 받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변형 가능해야 되고, 최근에는 영하의 온도 조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폴딩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물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용이한 물성을 가지는 점착필름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영하의 온도 조건에서도 폴딩 물성이 우수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점착필름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점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탄소수 12 내지 14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1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탄소수 14 내지 16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1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단량체; 탄소수 3 내지 10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2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탄소수 8 내지 12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2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단량체; 및 극성작용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반응 생성물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은 실온 및 영하의 온도 조건에서 폴딩 물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은 실온 및 영하의 온도 조건에서의 폴딩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원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폴딩 평가를 위한 샘플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폴딩 시험의 개략도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제1"및 "제2"와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수평균분자량”은 그 화합물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ml의 유리병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와 화합물을 넣어 화합물의 농도가 1 wt%인 샘플 시료를 준비하고, 표준 시료(폴리스티렌, polystryere)와 샘플 시료를 필터(포어 크기가 0.45㎛)를 통해 여과시킨 후, GPC 인젝터(injector)에 주입하여, 샘플 시료의 용리(elution) 시간을 표준 시료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곡선과 비교하여 화합물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측정 기기로 Infinity II 1260(Agilient 社)를 이용할 수 있고, 유속은 1.00 mL/min, 컬럼 온도는 40.0 ℃로 설정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점착층의 저장 탄성율은 TA instruments 사의 레오미터인 ARES(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G2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탄소수 12 내지 14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1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탄소수 14 내지 16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1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단량체; 탄소수 3 내지 10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2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탄소수 8 내지 12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2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단량체; 및 극성작용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반응 생성물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은 실온 및 영하의 온도 조건에서 폴딩 물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은 상기 제1 단량체, 제2 단량체 및 극성작용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저온에서도 폴딩 신뢰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량체는 탄소수 12 내지 14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1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탄소수 14 내지 16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1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n-도데실 아크릴레이트(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도데실 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테트라데실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탄소수 14 내지 1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n-테트라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테트라데실 메타크릴레이트, n-펜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펜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n-헥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헥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량체로서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상기 제1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저온(예를 들어, - 20℃)에서의 폴딩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은 2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25 중량부 이상 55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 22.5 중량부 이상 47.5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27.5 중량부 이상 42.5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32.5 중량부 이상 47.5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37.5 중량부 이상 42.5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 38 중량부 이상 57.5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상 55 중량부 이하, 43 중량부 이상 52.5 중량부 이하, 또는 45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저온에서의 저장탄성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경화물이 결정성을 가지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의 폴딩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량체는 탄소수 3 내지 10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2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탄소수 8 내지 12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2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탄소수 3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n-펜틸 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헥실 아크릴레이트, n-헵틸 아크릴레이트, 이소헵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n-노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n-데실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탄소수 8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n-옥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노닐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크릴레이트, n-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크릴레이트, n-운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운데실 메타크릴레이트, n-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량체로서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상기 제2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저온(예를 들어, - 20℃)에서의 폴딩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제2 단량체의 함량은 35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35 중량부 초과 80 중량부 미만, 36 중량부 이상 79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상 79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상 79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상 75 중량부 이하, 55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상 65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65 중량부 이하, 37.5 중량부 이상 62.5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 42.5 중량부 이상 57.5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상 55 중량부 이하, 47.5 중량부 이상 52.5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52.5 중량부 이상 75 중량부 이하, 55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57.5 중량부 이상 67.5 중량부 이하, 또는 60 중량부 이상 6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되는 상기 제2 단량체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저온에서의 저장탄성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카복실산기를 함유할 수 있다. 즉,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극성작용기로서 카복실산기를 함유할 수 있다. 카복실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후술하는 에폭시계 가교제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경화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카복실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점착력이 유지되어, 폴딩 시에 기재 필름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이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산 및 (메트)아크릴산 이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중량부 이상 3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상 2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하, 또는 2 중량부 이상 3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점착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극성작용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1:0.025 내지 1:0.1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1:0.03 내지 1:0.08, 1:0.04 내지 1:0.06, 1:0.025 내지 1:0.07, 1:0.035 내지 1:0.05, 1:0.05 내지 1:0.1, 또는 1:0.08 내지 1:0.1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량비가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저온에서의 저장탄성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물이 결정성을 가지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의 폴딩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의 중량비는 1:0.5 내지 1:4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의 중량비는 1:0.6 내지 1:3.7, 1:0.7 내지 1:3.5, 1:0.9 내지 1:3, 1:1 내지 1:2.7, 1:1.5 내지 1:2.5, 1:0.5 내지 1:3, 1:0.8 내지 1:2.5, 1:1 내지 1:2, 1:1.5 내지 1:4, 1:2 내지 1:4, 또는 1:3 내지 1:4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의 중량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저온에서의 저장탄성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이 결정성을 가지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의 폴딩 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작용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의 중량비는 1:10 내지 1:8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의 중량비는 1:15 내지 1:80, 1:20 내지 1:75, 1:25 내지 1:70, 1:30 내지 1:65, 1:30 내지 1:50, 1:10 내지 1:65, 1:15 내지 1:60, 1:20 내지 1:55, 1:25 내지 1:50, 1:30 내지 1:45, 1:30 내지 1:85, 1:35 내지 1:80, 1:40 내지 1:75, 1:45 내지 1:70, 또는 1:50 내지 1:65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의 중량비의 중량비가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저온에서의 저장탄성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점착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열중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열개시제를 첨가하고 열중합을 진행하여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500,000 이상 2,500,00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500,000 g/mol 이상 2,500,000 g/mol 이하, 1,650,000 g/mol 이상 2,300,000 g/mol 이하, 1,800,000 g/mol 이상 2,200,000 g/mol 이하, 1,500,000 g/mol 이상 2,000,000 g/mol 이하, 1,700,000 g/mol 이상 2,000,000 g/mol 이하, 1,850,000 g/mol 이상 2,000,000 g/mol 이하, 2,000,000 g/mol 이상 2,500,000 g/mol 이하, 또는 2,100,000 g/mol 이상 2,40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은 폴딩 신뢰성 및 점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의 저온에서의 저장탄성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상온에서의 저장탄성률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은 에폭시계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에폭시계 가교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은 디페닐메탄 골격, 디나프탈렌 골격, 트리아진 골격 및 바이페닐 골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및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에폭시계 가교제로서 BXX-524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 0.07 중량부 이하, 0.01 중량부 이상 0.05 중량부 이하, 또는 0.01 중량부 이상 0.03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경화 반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용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크실렌, 벤젠, 사이클로헥산, 및 사이클로헵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용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이형박리력 조절제, 추가 가교제, 대전 방지제, 점착성 부여 수지,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및 계면 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첨가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10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에 포함된 용제를 제외한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형분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와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고형분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은 적절한 점도를 가져, 코팅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점도는 500 cp 이상 2,500 cp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은 25 ℃에서의 점도가 500 cp 이상 2,500 cp 이하, 700 cp 이상 2,300 cp 이하, 또는 850 cp 이상 2,200 cp 이하일 수 있다. 점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은 코팅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은 실온 및 영하의 온도 조건에서의 폴딩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은 이형필름 및 상기 이형필름에 구비되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이형필름을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형필름으로 실리콘으로 이형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열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을 이형필름 상에 도포하고, 100 ℃ 이상 150 ℃ 이하의 온도에서 1 분 이상 5 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열경화하여 상기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10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15 ㎛ 이상 80 ㎛ 이하, 20 ㎛ 이상 65 ㎛ 이하, 또는 25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점착층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 시에 우수한 점착력 및 폴딩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은 -20 ℃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0,000 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 20 ℃의 온도 및 1 Hz의 주파수에서 측정한 상기 점착층의 저장탄성률은 30,000 Pa 이상 100,000 Pa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 20 ℃의 온도 및 1 Hz의 주파수에서 측정한 상기 점착층의 저장탄성률은 35,000 Pa 이상 98,000 Pa 이하, 40,000 Pa 이상 98,000 Pa 이하, 43,000 Pa 이상 98,000 Pa 이하, 45,000 Pa 이상 95,000 Pa 이하, 50,000 Pa 이상 90,000 Pa 이하, 55,000 Pa 이상 85,000 Pa 이하, 60,000 Pa 이상 80,000 Pa 이하, 65,000 Pa 이상 75,000 Pa 이하, 30,000 Pa 이상 65,000 Pa 이하, 35,000 Pa 이상 63,000 Pa 이하, 40,000 Pa 이상 61,000 Pa 이하, 45,000 Pa 이상 59,000 Pa 이하, 60,000 Pa 이상 100,000 Pa 이하, 61,000 Pa 이상 98,000 Pa 이하, 63,000 Pa 이상 95,000 Pa 이하, 65,000 Pa 이상 90,000 Pa 이하, 또는 70,000 Pa 이상 85,000 Pa 이하일 수 있다. -20 ℃에서의 상기 점착층의 저장탄성률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점착층은 저온에서도 우수한 폴딩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은 25 ℃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000 Pa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25 ℃의 온도 및 1 Hz의 주파수에서 측정한 상기 점착층의 저장탄성률은 10,000 Pa 이상 40,000 Pa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5 ℃의 온도 및 1 Hz의 주파수에서 측정한 상기 점착층의 저장탄성률은 10,000 Pa 이상 37,000 Pa 이하, 10,000 Pa 이상 36,000 Pa 이하, 15,000 Pa 이상 35,000 Pa 이하, 20,000 Pa 이상 30,000 Pa 이하, 10,000 Pa 이상 30,000 Pa 이하, 12,000 Pa 이상 28,000 Pa 이하, 15,000 Pa 이상 26,000 Pa 이하, 17,000 Pa 이상 25,000 Pa 이하, 20,000 Pa 이상 24,000 Pa 이하, 20,000 Pa 이상 40,000 Pa 이하, 20,000 Pa 이상 36,000 Pa 이하, 22,000 Pa 이상 34,000 Pa 이하, 24,000 Pa 이상 31,000 Pa 이하, 또는 25,000 Pa 이상 28,000 Pa 이하일 수 있다. 25 ℃에서의 저장탄성률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상기 점착층은 폴딩 물성이 우수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구성들이 받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의 -25 ℃에서의 저장탄성률과 20 ℃에서의 저장탄성률은 전술한 바와 같이, ARES-G2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층은 폴딩 물성이 우수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제조
제1 단량체로서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제2 단량체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아크릴산을 준비하고, 이를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제1 단량체의 함량은 20 중량부, 제2 단량체의 함량은 79 중량부,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1 중량부이었다.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 L 반응기에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 후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c)을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약 1시간 동안 퍼징(purging)한 후, 반응기 온도를 85 ℃로 유지하였다. 단량체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 벤조일퍼옥사이드(BPO) 5,000 ppm을 투입하고, 단량체 혼합물을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이 1,850,000 g/mol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제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용액에,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계 가교제인 BXX-5240을 0.03 중량부를 첨가하였고,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아이소부틸케톤으로 희석하고 mechanical stirrer를 이용해 15분 이상 혼합(mixing)하였다. 이후, 상온(25℃)에서 방치하여 혼합 중 발생한 기포를 제거하여, 고형분 함량이 22 중량%이고 25 ℃에서의 점도가 약 1,500 cp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을 블레이드를 이용해 실리콘으로 이형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막을 형성한 후, 마티스 오븐(mathis oven)을 이용하여 140 ℃의 온도에서 3 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를 통해, 25 ㎛ 두께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7
단량체 혼합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과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
단량체 혼합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과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제조
제1 단량체로서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제2 단량체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아크릴산을 준비하고, 이를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제1 단량체의 함량은 20 중량부, 제2 단량체의 함량은 79 중량부,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1 중량부이었다.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 L 반응기에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 후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c)을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약 1시간 동안 퍼징(purging)한 후, 반응기 온도를 85 ℃로 유지하였다. 단량체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 벤조일퍼옥사이드(BPO) 5,000 ppm을 투입하고, 단량체 혼합물을 3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 g/mol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제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용액에,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계 가교제인 BXX-5240을 0.03 중량부를 첨가하였고,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아이소부틸케톤으로 희석하고 mechanical stirrer를 이용해 15분 이상 혼합(mixing)하였다. 이후, 상온(25℃)에서 방치하여 혼합 중 발생한 기포를 제거하여, 고형분 함량이 22 중량%이고 25 ℃에서의 점도가 약 200 cp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비교예 8에서 제조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 만 g/mol에 해당하고,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점도가 25 ℃에서 약 200 cp에 해당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을 블레이드를 이용해 실리콘으로 이형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막 형성 시에, 낮은 점도로 인하여 디웨팅(Devetting) 현상이 발생이 발생하여 코팅이 불가하였다.
비교예 9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제조
제1 단량체로서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제2 단량체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아크릴산을 준비하고, 이를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제1 단량체의 함량은 20 중량부, 제2 단량체의 함량은 79 중량부,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1 중량부이었다.
질소 가스가 환류되는 1 L 반응기에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약 1 시간 동안 퍼징(purging)하였다. 이후, 단량체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 개시제(Irgacure 184)를 약 500 ppm 추가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는 벌크(bulk) 중합을 통해,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0 g/mol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제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용액에,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계 가교제인 BXX-5240을 0.03 중량부를 첨가하였고,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아이소부틸케톤으로 희석하고 mechanical stirrer를 이용해 15분 이상 혼합(mixing)하였다. 이후, 상온(25℃)에서 방치하여 혼합 중 발생한 기포를 제거하여, 고형분 함량이 22 중량%이고 25 ℃에서의 점도가 약 20,000 cp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비교예 9에서 제조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 만 g/mol에 해당하고,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점도가 25 ℃에서 약 20,000 cp에 해당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을 블레이드를 이용해 실리콘으로 이형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막 형성 시에, 높은 점도로 인하여 두께 불균일 현상이 현저하게 발생하여 코팅이 불가하였다.
단량체 혼합물 Mw
(g/mol)
가교제
(중량부)
제1 단량체
(중량부)
제2 단량체
(중량부)
극성작용기 함유 단량체
실시예 1 LA (20) 2-EHA (79) AA (1) 185 만 0.03
실시예 2 LA (25) 2-EHA (74) AA (1) 185 만 0.03
실시예 3 LA (35) 2-EHA (64) AA (1) 195 만 0.01
실시예 4 TDMA (35) 2-EHA (63) AA (2) 165 만 0.01
실시예 5 LA (35) 2-EHA (63) AA (2) 200 만 0.03
실시예 6 LA (40) 2-EHA (59) AA (1) 190 만 0.01
실시예 7 LA (40) 2-EHA (58) AA (2) 195 만 0.01
실시예 8 LA (40) 2-EHA (58) AA (2) 195 만 0.03
실시예 9 LA (45) 2-EHA (53) AA (2) 200 만 0.01
실시예 10 LA (45) 2-EHA (53) AA (2) 200 만 0.03
실시예 11 LA (45) 2-EHA (52) AA (3) 195 만 0.03
실시예 12 LA (50) 2-EHA (48) AA (2) 185 만 0.03
실시예 13 LA (50) 2-EHA (47) AA (3) 185 만 0.03
실시예 14 LA (50) 2-EHA (46) AA (4) 195 만 0.03
실시예 15 LA (55) 2-EHA (43) AA (2) 195 만 0.03
실시예 16 LA (60) 2-EHA (38) AA (2) 200 만 0.03
실시예 17 LA (40) BA (58) AA (2) 210 만 0.03
비교예 1 - 2-EHA (98) AA (2) 195 만 0.03
비교예 2 LA (98) - AA (2) 185 만 0.03
비교예 3 LA (90) 2-EHA (8) AA (2) 200 만 0.03
비교예 4 LA (10) 2-EHA (88) AA (2) 190 만 0.03
비교예 5 LA (20) 2-EHA (79) HBA (1) 170 만 0.03
비교예 6 LA (35) 2-EHA (64.8) AA (0.2) 165 만 0.03
비교예 7 LA (50) 2-EHA (44) AA (6) 185 만 0.03
비교예 8 LA (20) 2-EHA (79) AA (1) 50 만 0.03
비교예 9 LA (20) 2-EHA (79) AA (1) 300 만 0.03
상기 표 1에서, “LA”는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TDMA”는 테트라데실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2-EHA”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BA”는 부틸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AA”는 아세트산을 의미하고, “HBA”는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제1 단량체, 제2 단량체, 극성작용기 함유 단량체 각각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한 것이고, 가교제의 함량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한 것이다.
실험예
저장탄성률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점착층의 - 20 ℃에서의 저장탄성률과 25 ℃에서의 저장탄성률을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G2(TA사)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점착층을 1 mm 두께가 되도록 적층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직경이 8mm인 패러랠 프레이트 픽스처 (parallel plate fixture)를 이용하여, 해당 온도의 저장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
변형(Strain): 5 %
주파수: 1Hz
초기 온도: - 40 ℃, 최종 온도: 90 ℃
승온 속도: 10℃/min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7,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점착층의 - 20 ℃에서의 저장탄성률과 25 ℃에서의 저장탄성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폴딩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 제조된 점착층의 폴딩 평가를 하기와 같이 진행하였다.
도 1은 폴딩 평가를 위한 샘플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 제조된 점착층(PSA)을 이용하여, 50 ㎛ 두께의 PET 일면에 13 ㎛ 두께의 하드코팅(HC)이 형성된 커버윈도우(LGC 社)와 두께 40 ㎛의 CPI(Colorless Polyimide)를 접합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커버윈도우(HC/PET)/점착층(PSA)/CPI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적층체를 140 mm X 80 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도 2는 폴딩 시험의 개략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 20 ℃의 온도 조건에서, 폴딩테스트 장비의 평행판(parallel plate) 사이에 샘플을 끼우고, 곡률반경 5 mm, 1초에 1회 폴딩을 반복하여 총 20만회 다이나믹 폴딩 시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테스트가 끝난 후 샘플을 수거하여, 기포 발생, 들뜸, 하드코팅층 크랙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기포 발생 및 들뜸이 없고 하드코팅층 크랙이 없다면 “OK”로 평가하고, 기포나 들뜸, 하드코팅층 크랙이 발생하였다면, “NG”로 표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저장탄성률
(-20℃, Pa)
저장탄성률
(25℃, Pa)
폴딩 평가
(-20℃, 20만회)
실시예 1 91,000 28,000 OK
실시예 2 74,000 25,000 OK
실시예 3 59,000 22,000 OK
실시예 4 92,000 27,000 OK
실시예 5 81,000 25,000 OK
실시예 6 48,000 17,000 OK
실시예 7 89,000 24,000 OK
실시예 8 89,000 25,000 OK
실시예 9 61,000 20,000 OK
실시예 10 61,000 22,000 OK
실시예 11 92,000 32,000 OK
실시예 12 43,000 20,000 OK
실시예 13 71,000 25,000 OK
실시예 14 93,000 31,000 OK
실시예 15 75,000 23,000 OK
실시예 16 98,000 23,000 OK
실시예 17 83,000 36,000 OK
비교예 1 190,000 43,000 NG
비교예 2 210,000 56,000 NG
비교예 3 148,000 37,000 NG
비교예 4 134,000 44,000 NG
비교예 5 87,000 27,000 NG (들뜸)
비교예 6 56,.000 18,000 NG (들뜸)
비교예 7 190,000 48,000 NG (하드코팅 크랙)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점착층은 -20 ℃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0,000 Pa 이하를 만족함으로써, - 20 ℃에서 수행한 폴딩 평가 결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점착층은 25 ℃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000 Pa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제1 단량체인 LA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제2 단량체인 2-EHA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점착층은 -20 ℃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0,000 Pa 초과함에 따라, - 20 ℃에서 수행한 폴딩 평가 결과가 열등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의 함량이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함량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점착층은 -20 ℃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0,000 Pa 초과함에 따라, - 20 ℃에서 수행한 폴딩 평가 결과가 열등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극성작용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20 ℃ 및 25 ℃의 저장탄성률은 적정 수준이었으나, - 20 ℃에서 수행한 폴딩 평가 결과가 열등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극성작용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은 비교예 6과 비교예 7의 경우에는 - 20 ℃에서 수행한 폴딩 평가 결과가 열등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은 - 20 ℃와 같은 저온 조건에서도 폴딩 물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탄소수 12 내지 14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1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탄소수 14 내지 16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1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단량체;
    탄소수 3 내지 10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2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탄소수 8 내지 12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제2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단량체; 및
    극성작용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반응 생성물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은 2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제2 단량체의 함량은 35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하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극성작용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1:0.025 내지 1:0.1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의 중량비는 1:0.5 내지 1:4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성작용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의 중량비는 1:10 내지 1:85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성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에폭시계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하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500,000 이상 2,500,000 이하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12. 청구항 1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20 ℃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0,000 Pa 이하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25 ℃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000 Pa 이상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KR1020210110088A 2020-09-11 2021-08-20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KR202200346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6499 2020-09-11
KR1020200116499 2020-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661A true KR20220034661A (ko) 2022-03-18

Family

ID=8063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088A KR20220034661A (ko) 2020-09-11 2021-08-20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65839A1 (ko)
JP (1) JP2023541062A (ko)
KR (1) KR20220034661A (ko)
CN (1) CN116057142A (ko)
WO (1) WO20220551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198A (ko) * 2007-11-26 2009-05-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점착 시트
KR102129543B1 (ko) * 2013-07-03 2020-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상기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117866A (ko) * 2015-03-31 2016-10-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6113889B2 (ja) * 2015-09-18 2017-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KR102245934B1 (ko) * 2017-12-11 2021-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65839A1 (en) 2023-11-16
WO2022055148A1 (ko) 2022-03-17
JP2023541062A (ja) 2023-09-27
CN116057142A (zh)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072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796142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101019064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6042036B1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並びに偏光板用粘着剤
TWI486417B (zh) A polarizing plate adhesive composition, and a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using the polarizing plate
JP2011509332A (ja) 粘着剤組成物、それを含む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WO2014203792A1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偏光板用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偏光板、積層体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TWI625542B (zh) 用於光學用途的黏著劑組成物
JP6870934B2 (ja) 偏光板用粘着フィルム、それを含む偏光板および光学表示装置
JP2016000774A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貼合体
KR102152454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KR20200067741A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점착제층, 광학 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KR20150016561A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047922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4992337B2 (ja) 粘着組成物および該粘着組成物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JP5793783B2 (ja)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KR101911997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10517109A (ja) 光漏れ現象が改善された粘着層を有する偏光板
KR101202532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220034308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CN112074581B (zh) 粘合剂组合物和无基底粘合剂带
KR20220034661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JP6958358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KR20220022811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KR101852970B1 (ko)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