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64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642A
KR20220033642A KR1020200115465A KR20200115465A KR20220033642A KR 20220033642 A KR20220033642 A KR 20220033642A KR 1020200115465 A KR1020200115465 A KR 1020200115465A KR 20200115465 A KR20200115465 A KR 20200115465A KR 20220033642 A KR20220033642 A KR 20220033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rotective layer
region
cover pane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익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642A/ko
Priority to US17/243,952 priority patent/US11778756B2/en
Priority to CN202111030991.4A priority patent/CN114241902A/zh
Publication of KR2022003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평행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벤딩된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부분의 아래에 배치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배치된 패널 보호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부분의 말단에서 상기 제2 부분으로 가까워질수록 감소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부, 및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평면 표시장치와 달리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커브드 표시장치, 밴딩형 표시장치, 폴더블 표시장치, 롤러블 표시장치, 및 스트레처블 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패널의 벤딩 영역의 곡률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평행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벤딩된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부분의 아래에 배치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배치된 패널 보호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부분의 말단에서 상기 제2 부분으로 가까워질수록 감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평행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벤딩된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부분의 아래에 배치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배치된 패널 보호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널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부분의 말단에서 상기 제2 부분으로 가까워질수록 감소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의 거리가, 벤딩 영역인 제2 부분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기 때문에, 제2 부분의 곡률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베젤(bezel) 폭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Ⅰ-Ⅰ’ 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이 벤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제2 영역 및 제2 영역에 인접한 제1 영역의 부분을 자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따른 표시 장치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2개의 단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2개의 장변들을 가질 수 있다.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표시 장치(DD)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의 의미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표시 장치(DD)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DD)의 형상은 다각형,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상면은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에서 생성된 이미지들(IM)은 표시면(DS)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면(D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실질적으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장치(DD)의 베젤(bezel)을 정의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윈도우(WIN), 반사 방지층(POL), 표시 패널(DP), 및 패널 보호층(PPL)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 반사 방지층(POL)은 표시 패널(DP)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래치 또는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반사 방지층(POL)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WIN)와 반사 방지층(POL) 사이에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접착제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WIN)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WIN)는 유리(glass)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plastic)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IN)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POL)은 윈도우(WIN)와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POL)은 외광 반사 방지 필름일 수 있다. 반사 방지층(POL)은 표시 장치(DD) 위에서부터 표시 패널(DP)을 향하여 입사되는 외부 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반사 방지층(POL)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화소층(PXL), 화소층(PXL)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 및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된 입력 감지부(ISP)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패널(DP)의 기저층일 수 있다. 기판(BS)은 가요성 기판일 수 있다. 예컨대, 기판(BS)은 폴리이미드(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회로 소자층과 표시 소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은 복수 개의 신호 라인들, 신호 라인들에 연결된 도전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은 회로 소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소자층은 유기 발광 물질, 퀀텀닷, 퀀텀 로드,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외부의 수분, 산소, 이물질 등으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박막 봉지층(TFE)은 복수 개의 무기층들 및 무기층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flexible) 패널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 패널(DP)의 각 층들은 가요성 층들일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널 보호층(PPL)은 복수 개의 기능성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의 자세한 구조에 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제2 영역(AE2)을 제2 방향(DR2)으로 전개시킨 형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제1 영역(AE1)과 제2 영역(A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E1)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영역(AE1)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E1)에는 화소(PX), 신호 라인들(SL, DL, EL), 주사 구동부(SDV)(scan driver), 및 발광 구동부(EDV)(emission driver)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PX)와 신호 라인들(SL, DL, EL)은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화소층(PXL)의 하위 구성들일 수 있다.
화소(PX)는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화소(PX)는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는 제1 영역(AE1)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라인(SL)과 발광 라인(EL)은 제1 영역(AE1)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라인(SL)과 발광 라인(EL)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주사 라인(SL)은 화소(PX)와 주사 구동부(SDV)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발광 라인(EL)은 화소(PX)와 발광 구동부(EDV)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데이트 라인(DL)은 제1 영역(AE1)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의 일단은 대응하는 화소(PX)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DP)의 제2 영역(AE2)은 제1 영역(AE1)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영역(AE2)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일 수 있다. 제2 영역(AE2)에는 데이터 라인(DL)과 데이터 구동부(DDV)(data driver)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AE2)은 제1 영역(AE1)으로부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영역(AE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부분(PP1), 제2 부분(PP2), 제3 부분(PP3), 및 제4 부분(PP4)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은 제1 영역(AE1)으로부터 제2 영역(AE2)의 제1 내지 제4 부분들(PP1 ~ PP4)까지 연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4 부분(PP4)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DDV)는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제4 부분(PP4)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의 타단은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데이터 라인(DL)은 화소(PX)와 데이터 구동부(DDV)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사 구동부(SDV)는 주사 신호를 생성하고, 주사 신호는 주사 라인(SL)을 통해 화소(PX)에 인가될 수 있다. 주사 신호는 순차적으로 화소(PX)에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복수 개의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고, 데이터 전압은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화소(PX)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 구동부(EDV)는 발광 신호를 생성하고, 발광 신호를 발광 라인(EL)을 통해 화소(PX)에 인가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DDV), 및 발광 구동부(EDV)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미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주사 제어 신호,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구동부(DDV)와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영상 신호들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DDV)에 제공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는 주사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주사 신호를 생성하고, 발광 구동부(EDV)는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발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영상 신호들을 제공받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화소(PX)는 주사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휘도의 광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PX)의 발광 시간은 발광 신호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Ⅰ-Ⅰ' 선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윈도우(WIN)와 반사 방지층(POL)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표시 패널(DP)의 단면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패널 보호층(PPL)은 보호층(PTS), 커버 패널(CVP), 및 커버 스페이서(CVS)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PTS)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DP)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층(PTS)은 가요성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호층(PTS)은 유색 또는 투명한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PTS)은 제1 보호층(PTS1)과 제2 보호층(PT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PTS1)은 제2 영역(AE2)의 제1 부분(PP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PTS1)은 제1 영역(AE1)의 아래 부분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보호층(PTS1)은 표시 패널(DP)의 제1 영역(AE1)과 제2 영역(AE2)의 제1 부분(PP1)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보호층(PTS2)은 제2 영역(AE2)의 제4 부분(PP4)과 제3 부분(PP3)의 일부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보호층(PTS2)은 제4 부분(PP4) 아래에 배치된 제1 구간(SE1)과 제3 부분(PP3)의 일부분 아래에 배치된 제2 구간(S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PTS1)과 제2 보호층(PTS2)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DP)과 제1 보호층(PTS1) 사이 및 표시 패널(DP)과 제2 보호층(PTS2) 사이에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제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패널(CVP)은 제1 보호층(PTS)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패널(CVP)은 표시 패널(DP)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 패널(CVP)은 제1 영역(AE1) 및 제2 영역(AE2)의 제1 부분(PP1)의 일부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1 보호층(PTS1)의 단부(PTS1-E)는 커버 패널(CVP)의 단부(CVP-E)보다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호층(PTS1)과 커버 패널(CVP) 사이에는 제1 단차부(STP1)가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 패널(CVP)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PP1)에 중첩하는 커버 패널(CVP)의 하면(CVP-B)은 제1 영역(AE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하면(CVP-B)은 우측으로 갈수록 상부 방향을 향하여 연장할 수 있다.
커버 스페이서(CVS)는 커버 패널(CV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스페이서(CVS)는 제1 영역(AE1)에 중첩하고, 제2 영역(AE2)에 비중첩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커버 패널(CVP)의 단부(CVP-E)는 커버 스페이서(CVS)의 단부(CVS-E)보다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패널(CVP)과 커버 스페이서(CVS) 사이에는 제2 단차부(STP2)가 정의될 수 있다.
커버 스페이서(CVS)는, 제2 영역(AE2)의 일부가 벤딩될 때, 제2 보호층(PTS2)을 커버 패널(CVP)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커버 스페이서(CVS)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이 벤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의 제2 영역(AE2)의 일부는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영역(AE1)에 인접한 제1 부분(PP1)은 제1 영역(AE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영역(AE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E1)과 제1 부분(PP1)은 제2 방향(DR2)과 평행할 수 있다.
제2 영역(AE2)의 제2 부분(PP2)은 제1 부분(PP1)으로부터 연장되어 표시 패널(DP)의 하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부분(PP3)은 제2 부분(PP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부분(PP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분(PP3)은 제1 부분(PP1)에 중첩할 수 있다.
제4 부분(PP4)은 제1 영역(AE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부분(PP4)은 제1 영역(AE1) 및 제1 부분(PP1)과 평행할 수 있다.
제3 부분(PP3)은, 제1 부분(PP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제3 부분(PP3)은, 제2 부분(PP2)으로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분(PP1)과 제3 부분(PP3) 사이의 거리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제4 부분(PP4)에 인접한 제3 부분(PP3)의 말단에서 제2 부분(PP2)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3 부분(PP3)의 하면까지의 거리(t1)는 제2 지점(P2)으로부터 제3 부분(PP4)까지의 거리(t2)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P1)은 제1 부분(PP1)과 제2 부분(PP2) 사이의 경계 부근 정의된 가상의 점일 수 있다. 제2 지점(P2)은 제1 영역(AE1)과 제1 부분(PP1) 사이의 경계 부근에 정의된 가상의 점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거리(t1)는 제2 부분(PP2)의 곡률 반경에 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부분(PP2)에 인접한 부분에서, 제1 부분(PP1)과 제3 부분(PP3)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기 때문에, 제2 부분(PP2)의 곡률 반경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부분(PP2)의 제2 방향(DR2)으로의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2 부분(PP2)의 제2 방향(DR2)으로의 폭은 베젤(bezel)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제1 부분(PP1)과 제3 부분(PP3) 사이에 배치된 패널 보호층(PPL)의 구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부분(PP1)과 제3 부분(PP3) 사이에 배치된 패널 보호층(PPL)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제2 영역 및 제2 영역에 인접한 제1 영역의 부분을 자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부분(PP1)과 제3 부분(PP3) 사이에 배치된 패널 보호층(PPL)의 두께는, 제2 부분(PP2)에 제2 방향(DR2)으로 가까워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의 두께는 제3 방향(DR3)으로의 패널 보호층(PPL)의 폭을 의미한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영역(AE1)과 제1 부분(PP1) 사이의 경계로부터 제2 보호층(PTS2)의 단부(PTS2-E)까지의 구간에는, 제1 보호층(PTS1), 커버 패널(CVP), 및 제2 보호층(PT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2 보호층(PTS2)의 단부(PTS2-E)로부터 커버 패널(CVP)의 단부(CVP-E)까지의 구간에는, 제1 보호층(PTS1)과 커버 패널(CVP)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패널(CVP)의 단부(CVP-E)으로부터 제1 보호층(PTS1)의 단부(PTS1-E)까지의 구간에는, 제1 보호층(PTS1)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패널 보호층(PPL)의 두께는, 패널 보호층(PPL)의 각 층들 사이에 정의된 단차 구조에 의해, 제2 부분(PP2)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 패널(CVP)은 복수 개의 기능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ADL), 쿠션층(CUL), 및 금속층(ML)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ADL)은 제1 보호층(PTS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ADL)은 제1 보호층(PTS1)과 후술하는 쿠션층(CUL)을 서로 합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접착층(ADL)은 감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ADL)은 표시 패널(DP)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ADL)은, 상면 또는 하면에 엠보싱(embossing)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CUL)은 접착층(AD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CUL)은 표시 패널(DP)의 하부에서 인가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층(CUL)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발포(foam)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PP1)에 중첩하는 쿠션층(CUL)의 하면(CUL-B)은 경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면(CUL-B)은 제1 부분(PP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금속층(ML)은 쿠션층(CU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금속층(ML)은 표시 패널(DP)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ML)은 접지층(grounding layer)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금속층(ML)은 열 전도성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층(ML)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금속층(ML)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층(ML)은 구리 외에 다른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부분(PP1)에 중첩하는 금속층(ML)은 쿠션층(CUL)의 하면(CUL-B)을 따라 제1 부분(PP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 패널(CVP)의 하면(CVP-B)이 경사 구조를 가짐에 따라, 커버 패널(CVP)의 두께는, 제2 부분(PP2)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보호층(PPL)의 두께는 제2 부분(PP2)에 가까워질수록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보호층(PTS2)의 제1 구간(SE1)은, 제2 부분(PP2)이 벤딩됨에 따라, 커버 스페이서(CVS)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보호층(PTS2)의 제2 구간(SE2)은, 커버 패널(CVP)과 커버 스페이서(CVS) 사이에 정의된 제2 단차부(STP2)에 의해, 제1 부분(PP1)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즉, 제1 부분(PP1)에 중첩하는 제2 보호층(PTS2)의 제2 구간(SE2)은 커버 패널(CVP)의 하면(CVP-B)을 향해 굽어질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제2 구간(SE2)은, 제1 구간(SE2)과 제2 구간(SE2) 사이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우측 상단 방향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2 구간(SE2)의 단부는 커버 패널(CVP)의 하면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2 보호층(PTS2)의 제2 구간(SE2)과 제1 부분(PP1)이 이루는 제1 각도(A1)는, 커버 패널(CVP)의 하면(CVP-B)과 제1 부분(PP1)이 이루는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부분(PP3)의 일부는 제2 구간(SE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부분(PP3)은, 제2 구간(SE2)과 마찬가지로, 제1 부분(PP1)에 대하여 제1 각도(A1)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널 보호층(PPL)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차 구조 및 경사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1 부분(PP1)과 제3 부분(PP3) 사이의 거리는 제2 부분(PP2)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부분(PP2) 부근에서, 제1 부분(PP1)과 제3 부분(PP3) 사이에 배치된 패널 보호층(PPL)의 두께가 가장 얇기 때문에, 제2 부분(PP2)의 곡률 반경(CR)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2 부분(PP2)의 폭이 얇아져 데드 스페이스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2 부분(PP2)의 두께가 얇아져 표시 장치(DD)의 전체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따른 표시 장치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표시 장치들(DD-1, DD-2)의 제2 부분(PP2-1, PP2-2)들의 곡률 반경(CR-1, CR-2)은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2 부분(PP2)의 곡률 반경(CR)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제2 보호층(PTS2-1)의 제2 구간(SE2-1)은 도 6에 도시된 제2 구간(SE2)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구간(SE2-1)과 제1 부분(PP1)이 이루는 제2 각도(A2)는 도 6에 도시된 제1 각도(A1)보다 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제3 부분(PP3-1)과 제1 부분(PP1)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고, 제3 부분(PP3-1)은 커버 패널(CVP)의 단부(CVP-E)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부분(PP2-1)의 곡률 반경(CR-1)이 더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보호층(PTS2)의 제2 구간(SE2-1)의 연장 길이를 전술한 실시 예의 제2 구간(SE2) 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제2 부분(PP2-1)의 곡률 반경(CR-1)을 제2 부분(PP2)의 곡률 반경(CR)보다 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 패널(CVP-2)은 제1 커버 패널(CVP1)과 제2 커버 패널(CV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 패널(CVP1)은 제1 영역(AE1)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커버 패널(CVP2)은 제2 영역(AE2)의 제1 부분(PP1)에 중첩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1 커버 패널(CVP1)은 제2 커버 패널(CVP2)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 패널(CVP1)과 제2 커버 패널(CVP2) 사이에는 제3 단차부(STP3)가 정의될 수 있다. 제3 단차부(STP3)는 표시 장치(DD-2)의 제조 공정 중에서 제1 부분(PP1)에 중첩하는 커버 패널(CVP-2)의 부분, 즉 제2 커버 패널(CVP2)을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단차부(STP3)에 의해, 제2 구간(SE2-2)이 제1 부분(PP1)에 대하여 이루는 제3 각도(A3)는 도 6에 도시된 제1 각도(A1)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부분(PP2-2)의 곡률 반경(CR-2)을 제2 부분(PP2)의 곡률 반경(CR)보다 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PPL: 보호층 PTS: 보호층
CVP: 커버 패널 CVS: 커버 스페이서
AE1: 제1 영역 AE2: 제2 영역
PP1: 제1 부분 PP2: 제2 부분
PP3: 제3 부분

Claims (20)

  1.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평행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벤딩된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부분의 아래에 배치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배치된 패널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부분의 말단에서 상기 제2 부분으로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수직한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경계 부근에 정의된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부분 사이의 경계 부근에 상기 정의된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영역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3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4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4 부분은 서로 평행한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제2 부분으로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보호층은,
    상기 제1 부분 아래에 배치된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1 보호층 아래에 배치된 커버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보호층의 단부는 상기 커버 패널의 단부보다 상기 제2 부분을 향하여 돌출되는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도록 연장하고,
    상기 제1 부분에 중첩하는 커버 패널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는 커버 패널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중첩하는 커버 패널의 하면은 상기 제1 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제1 보호층 아래에 배치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아래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배치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보호층은,
    상기 커버 패널 아래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 아래에는 상기 제3 부분이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제2 보호층 각각은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도록 연장하고,
    상기 패널 보호층은,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제2 보호층 사이에는 커버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에 비중첩하고,
    상기 제1 부분에 중첩하는 제2 보호층은 상기 커버 패널의 하면을 향해 굽어진 표시 장치.
  15.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평행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벤딩된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부분의 아래에 배치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배치된 패널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부분의 말단에서 상기 제2 부분으로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영역과 평행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부분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보호층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1 부분에 중첩하는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1 보호층 아래에 배치되는 커버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의 단부는 상기 커버 패널의 단부보다 상기 제2 부분을 향하여 돌출된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보호층은,
    상기 커버 패널 아래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의 단부는 상기 제2 보호층의 단부보다 상기 제2 부분을 향하여 돌출된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보호층은,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제2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커버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부분에 비중첩하고,
    상기 제1 부분에 중첩하는 제2 보호층의 부분은 상기 커버 패널의 하면에 접촉하는 표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중첩하는 상기 커버 패널의 하면은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표시 장치.
KR1020200115465A 2020-09-09 2020-09-09 표시 장치 KR20220033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465A KR20220033642A (ko) 2020-09-09 2020-09-09 표시 장치
US17/243,952 US11778756B2 (en) 2020-09-09 2021-04-29 Display device
CN202111030991.4A CN114241902A (zh) 2020-09-09 2021-09-03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465A KR20220033642A (ko) 2020-09-09 2020-09-0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642A true KR20220033642A (ko) 2022-03-17

Family

ID=8047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465A KR20220033642A (ko) 2020-09-09 2020-09-0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78756B2 (ko)
KR (1) KR20220033642A (ko)
CN (1) CN114241902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874B1 (ko) 2015-10-23 2022-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51726B1 (ko) 2016-03-28 2022-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6956B1 (ko) 2016-05-23 2023-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03197B1 (ko) * 2016-07-05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03654B1 (ko) * 2016-08-24 2023-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62203B1 (ko) * 2018-07-17 2024-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KR20210054637A (ko) * 2019-11-05 2021-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363297B (zh) * 2021-05-31 2023-02-0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组装方法以及拼接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8925A1 (en) 2022-03-10
US11778756B2 (en) 2023-10-03
CN114241902A (zh)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224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910333B2 (en) Display device
US1020379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48931B1 (ko) 표시 장치
CN109148380B (zh) 显示面板、显示模组以及电子装置
CN109212803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8890830B2 (en) Display device-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KR20190123830A (ko) 표시장치
KR102595102B1 (ko) 표시장치
US2021001344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55303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2100862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40129A (ko) 표시장치
KR20220022926A (ko) 표시 장치
KR20200049321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N112786651A (zh) 覆盖窗、制造覆盖窗的方法及包括覆盖窗的显示装置
KR20220003688A (ko) 표시 장치
KR20210149269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33642A (ko) 표시 장치
CN218241212U (zh) 显示模组及终端
KR20210126837A (ko) 표시 장치
KR20210104509A (ko) 표시 장치
KR20210060733A (ko) 표시 장치
EP3958092A1 (en) Display device
KR102227163B1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