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155A -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155A
KR20220033155A KR1020200115187A KR20200115187A KR20220033155A KR 20220033155 A KR20220033155 A KR 20220033155A KR 1020200115187 A KR1020200115187 A KR 1020200115187A KR 20200115187 A KR20200115187 A KR 20200115187A KR 20220033155 A KR20220033155 A KR 20220033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ginal
composition
extract
keratinization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주)뷰티나인
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뷰티나인, 정유진 filed Critical (주)뷰티나인
Priority to KR102020011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155A/ko
Publication of KR2022003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1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순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및/또는 질 pH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및/또는 질 pH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이나 이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Hub complex composition}
본 발명은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순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편리함도 한층 좋아지고 있지만, 이러한 산업발달 과정에서 각종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사회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생활 스트레스, 운동량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해 식습관도 변화고 육식이 급격하게 늘어나며, 영양 불균형 등의 이유로 각종 성인병이나 만성질환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만성질환은 현재까지 의학적 방법이 주된 치료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지만, 치료에 한계가 있는데다가 특히, 치료약의 부작용이나 일시적 또는 부분적인 치료효과 등으로 인해 그 만성질환이나 성인병 등의 치료에 많은 한계가 노정되고 있다.
그런데 식품 중에 함유된 유효성분에 의한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효과들이 여러 연구로부터 증명되면서, 매우 느린 속도이기는 하지만 천연 건강식품이나 음식의 조절 등을 통해 성인병과 만성질환의 예방이 점차 가능해지고 있다.
아울러서, 현대 산업화로 인하여 경제적 수준이 향상되고 의학이 발달함으로써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어 노령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노령인구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40대 이후 서서히 시작되는 갱년기 증상으로 인해 신체적 및 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체 여성의 약 20%가 겪는 갱년기는 노화 현상의 하나로 개인별로 차이는 있지만 중년이 지나면서 서서히 시작되는데, 평균수명이 연장됨으로써 여성 일생의 상당 부분을 갱년기로 보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여성갱년기란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노화로 인한 여성호르몬, 즉 에스트로겐(estrogen)의 감소로 인해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말한다.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자궁, 질, 골격근 및 심혈관계에서 이화작용 및 활성작용과 같은 필수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Couse and Korach, 1999; Korach et al., 1995), 적절한 배란, 난자의 수정, 임신뿐 아니라, 뼈 구조와 콜레스테롤 조절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난소의 기능 평가에도 적용된다.
특히, 모든 여성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여성 특유의 갱년기 증상으로 인해 생활이 현저하게 불편해지고,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되는 현상을 겪게 된다. 여성 갱년기에 들어서면 특별한 이유도 없이 얼굴 화끈거림, 가슴 두근거림, 뼈와 근육의 통증, 수면장애, 성 불안감, 심한 기분변화, 불안과 우울감, 신경과민, 건망증, 자신감상실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을 갱년기 증상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갱년기의 구체적인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빈맥, 발한 또는 두통과 같은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 근육통, 관절통 및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증상, 빈뇨 또는 요실금, 자궁과 질의 위축과 같은 비뇨생식기 변화에 의한 증상, 기억력 감퇴, 우울증, 집중력 감퇴 및 현기증과 같은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 시력감퇴 및 피부와 모발의 변화와 같은 일반적인 증상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갱년기의 여성에게는 생명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데, 폐경 전후 여성의 대부분인 약 80%에서 갱년기 증상이 발생하고 의외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서 여성의 건강에 치명적인 질환, 즉 골다공증이나 심혈관계 질환 등의 발생 위험성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중년 여성들의 갱년기 증상으로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갱년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법의 개발이 다수 연구되고 있다.
기존에 갱년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법의 예로는 호르몬 대체요법이나 비스테로이드계 제제 등의 약물을 사용한 약물요법이 있다. 그러나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을 사용한 대체요법의 경우 체내에 인위적인 호르몬 투여로 인한 거부반응과 자궁출혈, 뇌졸중, 심장발작, 유방암 및 자궁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waran L., et al., Obstetrics & Gynecology, 91, 678-684, 1998). 또한, 비스테로이드계 제제 등 약물의 대부분이 두통,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새로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갱년기 증상 개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상당부분이 천연성분의 조성물을 이용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예로서, 한국특허공개 제10-2019-0113224호(황칠나무 발효 추출물 및 쥐눈이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미국특허공개 제2011-0159123호(월경 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004603호(폐경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회화나무 추출물)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일부 폐경기 여성이나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다지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극히 일부의 지엽적인 증상 호전을 기대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여성 폐경 이후의 증후군이나 갱년기 증상 개선을 위한 해결에 대한 제품의 개발이 시급하고, 문제 해결이 충분하지 않은 단점이 있어서 그 상품화에 한계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3224호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5912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4603호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을 이용하여 새로운 조성의 성분 구성으로 부작용이 없고 갱년기 증상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천연성분의 조성물의 제공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의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용도의 건강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과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순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프리바이오틱스, 아연, 비타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순결나무 60-95중량%, 프리바이오틱스 1-35중량%. 아연 0.1-3중량%, 비타민 0.1-3중량% 를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아티초크추출물, 치커리뿌리추출물, 베리류, 검정콩분말, 알로에분말, 핑거루트분말, 해조류분말, 스테비아분말, 탈지분유, 알로에아보레센스, 홍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을 위한 예방 빛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특히 안면홍조, 질 건강,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질 pH 개선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일반적인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이나 건강식품과는 다른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용도의 건강보조식품 외에도,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순결나무 추출물에 대한 특정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 설명하는 구현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결나무 추출물은 특히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유용하고, 여성청결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최초로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추출물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예컨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클로로메탄, 아세폰,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에서 하나이상의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분쇄물의 중량비로 3 내지 10배에 상응하는 추출 용매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이후에는 여과한 다음, 여액을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제거하고, 감압 농축 또는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프리바이오틱스, 아연, 비타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성분이 혼합되는 경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이러한 추가성분이 5-40중량%, 통상적으로는 5-3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순결나무 60-95중량%, 프리바이오틱스 1-35중량%. 아연 0.1-3중량%, 비타민 0.1-3중량% 를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아티초크추출물, 치커리뿌리추출물, 베리류, 검정콩분말, 알로에분말, 조류분말, 핑거루트,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스테비아분말, 탈지분유, 알로에아보레센스, 홍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성분도 전체 조성에 대해 1-3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각 성분들은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순결나무는 플라보노이드 성분과 이리도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호르몬 기능 정상화 및 여성 생리불순, 내분비 개선 등 갱년기 개선 등 전반적인 성인병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월경전증후군(PMS)으로 인한 두통, 피부증상, 가슴팽창, 아랫배 통증, 신경과민, 과민성 감정굴곡, 짜증스러움, 우울, 피로, 수면장애 등의 신체적 및 정신적 증상의 치료, 월경불순 개선 등 갱년기 증상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다. 그 외에도, 열감, 헛배부름, 극단적인 기분변화 등을 다스리고, 고프로락틴혈증의 치료제로 유용하다.
순결나무의 열매인 체이스트 트리 베리(Chaste tree berry)는 과실에는 flavonoid로 vitexin과 casticin, iridoid 성분으로 agnuside(아그너사이드)와 aucubin(어쿠빈) 등이 함유되어 있고, 주 구성성분이 caryophyllene oxide(25%), n-hexadecane(12.5%), α-terpinyl actate(11.6%), bicyclogermacrene (8.4%)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순결나무 열매 추출물 섭취군은 학습 및 기억능이 개선되고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발현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순결나무 추출물은 순결나무의 열매, 꽃, 잎, 줄기, 뿌리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매, 꽃 또는 잎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프리바오틱스로서는 다양한 성분이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포도당, 구연산, 에리스리톨, 프락토올리고당, 말토오스, 글루코만난, 자이리톨 중에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타민 성분으로는 비타민 C, 비타민 B 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비타민 B 군으로서 비타민 B1은 탄수화물 대사에서 transketolase, pyruvate dehydrogenase, α-ketoglutarate dehydrogenase의 보조인자로 작용하며 에너지 대사에 작용하여 신경조직과 근육활동에 필요하고 정신 상태를 안정적이고 활력있게 향상시키고 신경조직, 근육 및 심장이 정상적으로 활동하게 한다. 또한, 비타민 B2는 장점막 세포에서 FAD(flavin adenine dinucleotide) 상태로 변화하여 산화, 환원반응을 촉진하는 flavoenzyme의 조효소로 사용되며 수소 운반 역할을 담당하며 성장과 세포의 재생을 도와 건강한 피부, 모발, 손톱, 발톱을 만들어 주는 데 기여하므로 성인병 예방과 활력 증진으로 갱년기 극복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비타민 B6는 단백질 대사에 관여하여 건강한 피부와 점막, 모발 성장을 촉진하며, 뇌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고 뇌가 수축하는 속도를 감소시켜 치매 위험을 낮춰주며 에스트로겐의 대사에 관여해 호르몬 밸런스를 맞춰 주어 월경전 증후군의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아연은 주요 효소 및 전사인자를 포함하는 300여 종 이상 단백질의 zinc finger motif에 결합 후 보조인자로 작용하여 면역반응 조절에 기여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순결나무 추출물은 건강식품으로서 유용한데, 특히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기존에 천연추출물이 가지는 단순한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에 비해 특정 용도에서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순결나무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건강보조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의 건강식품은 피부미용 개선의 효과도 있어서 이너뷰티 개념의 화장료 조성물이나 외피 적용 화장료 조성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건강식품이나 약제학적 조성물로 투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분말, 엑기스, 그래뉼, 겔상, 입상, 펠릿형, 환형, 캡슐제, 정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제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다른 천연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는 건강식품이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경구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으로는 액제, 고형제 등으로 경구투여 가능하고, 피부 외용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액제로는 샷(Shot), 엑기스, 드링크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고, 고형제로는 분말, 그래뉼, 캡슐제, 정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피부외용제의 예로서 전형적으로는 화장료나 여성청결제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건강식품이나 약학적 조성물, 특히 약학적 조성물로 적용하는 경구용 제형은 예컨대 10-1,000mg/정, 1-10g/포 등의 경구 제형으로 1일 1-3회 섭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2 : 조성물의 제조
순결나무 열매추출물을 하기 조성비율(중량%)로 사용하여 천연성분 조성물로서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여러 성분을 해당 함량 비율로 혼합하여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3 4 비교예1 비교예2
순결나무 100 75 60 95 - -
회화나무 100 -
- - 100
아티초크추출물 - 2 2 - - -
치커리뿌리추출물 - 3 3 - - -
덱스트린 - 5 5 - - -
알로에 - 2.5 2.5 - - -
베리류 - 1 1 - - -
검정콩분말 - 1 1 - - -
비타민 - 0.48 0.48 0.48 - -
아연 - 0.02 0.02 0.02 - -
프리바이오틱스 - 10 35 4.5 - -
(1) 덱스트린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사용함
(2) 알로에로는 알로에아보레센스를 사용함
(3) 유산균으로는 락도바실러스 혼합균을 사용함
(4) 프리바이오틱스로서는 포도당, 자일리톨, 구연산 혼합물을 사용함
(5)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C, 비타민 B1, B2, B6의 혼합성분을 사용함
(6) 비교예4의 경우는 회화나무의 유산균(락토바실러스 플란타쿰) 발효물을 사용함
*실험예 1 : 혈액 중의 17β-estradiol의 농도 측정
21일령의 Sprague Dawley 암컷 흰쥐를 각 군당 5마리씩(평균체중 60g) 준비하고 6개월령의 흰쥐 역시 각 군당 5마리씩(평균체중 360g) 준비하여 상기 실시예,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100mg/kg body wt/day씩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시료 투여 전 혈액과 3 일간 경구 투여한 후 EIA(Enzyme Immuno Assay)를 이용하여 혈액 중 17β-에스트라디올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7β-estradiol의 농도
(pg/ml)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21일
암컷
투여전 111.1 111.9 111.5 111.6 111.8 110.9
투여후 160.35 161.36 159.4 164.67 146.54 141.11
6개월
암컷
투여전 115.8 115.9 114.9 113.8 110.8 113.2
투여후 165.44 166.65 164.36 171.13 151.21 149.65
상기 표 2로부터, 실시예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미성숙 쥐와 성숙 쥐 모두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의 농도가 다른 경우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 실험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해 에스트라디올의 분비 감소에 기인하는 질 각질화, 질 성숙도, 질 pH 개선 등에 대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난소절제 암컷 랫트를 이용한 폐경 동물 모델에서의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
(1) 난소절제 동물 모델의 준비
실험은 생후 7~8주령의 SD 암컷 랫트를 구입하여 일정한 온도(23±1℃)와 습도(50±5%)하에서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인체 폐경을 모방한 갱년기 증상 유발 모델을 만들기 위해 마취 하에서 양쪽 난소 절제 수술을 실시하였고 대 조군에는 난소는 그대로 둔 채, 모의수술만 실시한 후 3주간 회복기를 두었다.
(2) 시험군 선정 및 시료 처리
실험군은 모의수술군, 난소절제군, E2 투여군 및 시료 투여군 등 총 4군으로 구성하고, 모의수술군과 난소절제 대조군에는 0.5% CMC (carboxymethylcellulose) 용액을, E2 투여군에는 17β-에스트라디올(0.25mg/kg/day)을, 시료 투여군에는 시료 조성물을 랫트 체중 kg 당 40 mg의 농도로 12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랫트에 투여한 40 mg/kg의 용량은 중년 여성을 기준으로 1일 섭취량 환산하면 약 270 mg의 섭취수준에 해당된다.
(3) 꼬리피부온도 평가
12주간 조성물 섭취 후 갱년기의 대표증상인 안면홍조의 지표로서 랫트의 꼬리피부온도를 측정하였다. 랫트를 고정대에 고정하고 안정시킨 후 적외선 온도측정기(Bioseb)를 이용하여 총 5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꼬리피부온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꼬리피부온도(℃)
모의수술군 26.45
난소절제군 26.85
E2 투여군 26.46
시료 투여군 실시예1 26.58
실시예2 26.46
실시예3 26.59
실시예4 26.42
비교예1 26.63
비교예3 26.62
상기 표에서 보면, 시료 투여군 중 실시예 조성물의 투여군의 경우 다른 군에 비해 난소절제로 인해 상승되었던 꼬리피부온도를 매우 큰 차이로 감소시켰다(P<0.05). 특히, 이 실험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물에 비해 갱년기의 증상인 안면홍조 증상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실험예 3 : 질 건강 확인실험
질 건강에 대한 확인 실험을 위해 50-65세 여성 중에서 갱년기 증상을 보이는 18명의 여성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질 건강 증상으로 질 냄새, 느낌, 성숙도, 민감성, 각질 생성 여부 등 상황에 대하여 1개월(평균 주 1회) 간 자가 측정하고 종합 결과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피험자 중에서 4명(A그룹)은 출산 경험이 없는 미혼자이고 나머지 14명(B그룹)은 기혼자로서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으로 포함시켰다.
실험은 A, B 그룹 모두에게 시료를 2개월간 1일 2회 복용하고, 복용전과 복용 2개월 후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피험자를 (가)군 12명, (나)군 6명으로 나누어서 (가)군에게는 각기 시료로서 실시예 1, 2, 3, 4를 (나)군에게는 비교예 1, 2를 각각 3명씩 사용하도록 하였다.
측정은 해당 시료에 대해 질 건조감(변화나 개선), 통증(여부), 기타 등 2가지와, 전체적인 질 환경의 개선 느낌 등의 평가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점수는 1 내지 10으로 하고, 평가 결과가 우수한 것은 10, 품질이 나쁜 것을 1로 평가하고, 평가점수는 피험자의 모든 평가점수를 합하고 1인 평균 수치를 구한 후 계산된 수치를 최종 결과로 하고, 그 최종 측정 결과를 다음 표 4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질 각질화 질 성숙도 기타(질 건강) 질 환경 개선느낌
1 9 9 9 9
2 9 9 9 9
3 9 8.5 8 8
4 9.5 9 9 9.5
비교예 1 7 6 6.5 7
비교예 2 7 6 6 7
실험예 5 : 혈청 중 지단백질 함량 분석
실험동물로서 스프라그-도울리 종의 수컷(159∼168 g) 흰쥐를 7 마리씩 4 군으로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정상군에게는 일반 사료를 제공하고, 대조군은 고지방 식이군으로 전체 열량의 40%를 지방 열량으로 조성한 사료를 제공하였다. 실험군은 고지방 식이에 실시예 1의 조성물을 고형으로 환산하여 각각 5% 및 10% 첨가되도록 사료를 제조하여 제공하였다.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 일간의 실험식이 후, 마우스를 12 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에틸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개복하여 1 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실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을 3,000 rpm으로 20 분간 원심 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혈청의 지질 성분인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LDL 및 HDL, ALT 및 AST를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전체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27.2% 증가하였으나, 5% 실험군 및 10% 실험군에서는 그에 비해 각각 32% 및 8% 감소하였다. 또한, 5% 실험군 및 10% 실험군에서 저밀도 지단백질은 각각 74.28% 및 35.29% 감소하였다. 반면, 트리글리세라이드, ALT 및 AST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단백질 함량을 낮추어 각종 심혈관계 질환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전반적인 건강 기능이 좋아짐으로, 간기능의 지표인 ALT 및 AST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7)

  1. 순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프리바이오틱스, 아연, 비타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순결나무 60-95중량%, 프리바이오틱스 1-35중량%. 아연 0.1-3중량%, 비타민 0.1-3중량% 를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아티초크추출물, 치커리뿌리추출물, 베리류, 검정콩분말, 알로에분말, 핑거루트분말, 해조류분말, 스테비아분말, 탈지분유, 알로에아보레센스, 홍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조성물.
  5. 순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6. 순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면홍조, 질 각질화, 질 성숙도 또는 질 pH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순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KR1020200115187A 2020-09-09 2020-09-09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20033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187A KR20220033155A (ko) 2020-09-09 2020-09-09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187A KR20220033155A (ko) 2020-09-09 2020-09-09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155A true KR20220033155A (ko) 2022-03-16

Family

ID=8093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187A KR20220033155A (ko) 2020-09-09 2020-09-09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15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603A (ko) 2009-07-08 2011-01-14 (주)노바셀테크놀로지 폐경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회화나무 추출물
US20110159123A1 (en) 2009-12-29 2011-06-30 Vescent Labs Inc. Composition For Relieving Premenstrual Syndrome
KR20190113224A (ko) 2018-03-28 2019-10-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황칠코리아 쥐눈이콩 및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603A (ko) 2009-07-08 2011-01-14 (주)노바셀테크놀로지 폐경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회화나무 추출물
US20110159123A1 (en) 2009-12-29 2011-06-30 Vescent Labs Inc. Composition For Relieving Premenstrual Syndrome
KR20190113224A (ko) 2018-03-28 2019-10-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황칠코리아 쥐눈이콩 및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85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6873517B2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CN101695376A (zh) 预防糖尿病的保健食品
CN110447902B (zh) 一种具有减肥功效的组合物
CN101579120A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CN106539083B (zh) 一种用于预防和治疗糖尿病视网膜病变、缓解视力疲劳的组合物
CN102048224A (zh) 一种祛黄褐斑美容养颜红枣保健饮料及其生产工艺
KR102049440B1 (ko)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U2005258551A1 (en) Fat combustion accelerator
US20110189319A1 (en) Lifeforce liquid supplement
CN115317574A (zh) 一种用于治疗高尿酸血症的组合物及其应用
KR100831621B1 (ko) 혈당 강하용 식품 조성물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CN101243883A (zh) 一种具有降血糖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0387154C (zh) 一种缓解视疲劳的保健食品及其制备工艺
KR101822834B1 (ko)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CN1127349C (zh) 降脂减肥茶制剂
CN112870290B (zh) 一种祛斑解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869160B (zh) 一种含叶酸的祛斑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38119B1 (ko) 식물성 천연 복합성분 조성물
KR20100133079A (ko)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억제 및 숙취 억제 조성물
KR20220033155A (ko)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20210085672A (ko) 순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