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551A - 발사체,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 및 발사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사체,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 및 발사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551A
KR20220032551A KR1020227000479A KR20227000479A KR20220032551A KR 20220032551 A KR20220032551 A KR 20220032551A KR 1020227000479 A KR1020227000479 A KR 1020227000479A KR 20227000479 A KR20227000479 A KR 20227000479A KR 20220032551 A KR20220032551 A KR 20220032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le
groove
cavity
tai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로리안 스패너
Original Assignee
루아그 암모텍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아그 암모텍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루아그 암모텍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3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4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expanding before or on impact, i.e. of dumdum or mushroom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367Projectiles fragmenting upon impact without the use of explosives, the fragments creating a wounding or lethal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oy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발사체 테일, 발사체 헤드로부터 상기 발사체 테일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체 테일 내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공동 바닥을 가지고 벽으로 경계를 이루는 공동 내로 개방된, 본질적으로 중심의 개구를 포함하는, 인접한 활형 측면 발사체 헤드, 및 상기 벽 내로 도입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동을 둘러싸며, 상기 공동 바닥으로부터 상기 공동의 길이 방향 연장의 10% 이상의 거리에 배열되고, 총열 구경의 10% 이상 및/또는 상기 공동을 둘러싼 벽의 방사 방향 벽 두께의 30% 이상 방사 방향 깊이를 가지는 티어-오프 그루브을 포함하는,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인 발사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사체,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 및 발사체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발사체,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발사체,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자이브(ogive)의 영역 내 형성된 채워지지 않은 공동 및 상기 오자이브 팁(tip)에 제공되는 개구를 가진 고체 총알, 특히 부분 파편성 총알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그 직경은 종종 상기 총알의 구경(caliber)의 50%를 초과한다. 금속 절삭(metal-cutting) 절삭 공정에 의해, 상기 공동을 둘러싸는 오자이브-형상 벽 내에서 그 수 개의 노치(notch)와 병합하여, 변형 거동을 조사하고 평가하기 위한 알려진 테스트 절차에 따라 사용되는 젤리 매스(jelly mess) 상에 충격될 때, 버섯-형상(mushroom-shaped) 또는 꽃받침-형상(sepal-shaped) 및 상기 벽의 방사형 바깥쪽으로 굳혀지는 변형을 형성함이 알려져있다. 발사체 오자이브 섹션의 이와 같은 노치가 파여진(notched) 벽의 일례는 WO 2015/061662 A1으로부터 알려져있다. 알려진 총알 헤드는 상기 언급된 원하는 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젤리 매스가 상기 공동으로 진입하는 곳에서 특히 큰 오자이브 팁 개구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중심 오자이브 팁 개구는 직물 천(textile fabric)으로 둘러싸인 젤리 매스의 경우 또는 회반죽(plaster) 콘크리트 플레이트(plate)의 경우와 같이 더 강한 강도를 가지는 바디에 충격될 때 더 강한 강도를 가지는 물질로 채워지고, 유압을 증강하는 젤리 매스가 상기 공동에 진입하지 못하는 이유가 되고, 따라서 원하는 버섯-형상 변형 구조를 도출하지 못하게 된다.
더욱이, 발사체 또는 총알 헤드를 딥 드로잉(deep drawing)과 같은 콜드 포밍(cold forming) 공정을 사용하는 이른바 중간체(intermediate) 또는 반-처리(semi-processed) 생산품의 방법으로 생산하는 것이 알려져있다. 알려진 콜드-폼드(cold-formed) 발사체로는 상기 발사체의 변형 거동이 특히 표준화 된 테스트 절차에서 원하는대로 수행되지 않음이 밝혀졌다. 상기 중간체의 딥 드로잉을 위한 다양한 제한된 알려진 펀치(punch)들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원뿔형(conical) 또는 피라미드형(pyramidal) 도구는 쉽게 파괴됨이 밝혀졌다. 이러한 도구의 사용 기한은 비경제적으로 낮다. 맨드릴(mandrel)의 방법에 의해 알려진 딥 드로잉으로는 스트레스 변화(stress variation) 및 물질의 경화(material hardening)이 원주 방향 벽 내에 생겨, 충격하는 발사체의 고르지 못하고, 통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변형을 야기한다는 것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 특히 발사체 및 발사체 제조 방법을 개선하여 최적화되고 단순한 공정이 가능하게 하고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거동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 및 제10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사체,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이 제공된다. 총알 또는 발사체는 화기, 특히 핸드건(handgun)의 카트리지(catridge) 또는 탄약(ammunation)의 일부이다. 발사체는 상기 화기에 의해 발사되는 카트리지의 구성품이다. 부분 파편성 총알은 일반적으로 타겟에 대한 발사체의 충격에 대해 통제된 방법으로 정의된 잔존체(residual body)로 파편화되도록 디자인된다. 변형성 총알은 일반적으로 내재하는 질량-안정적(mass-stable)인 통제된 변형을 가진다. 부분 파편성 총알은 타겟에 대한 총알의 충격에 대해 통제된 방법으로 정의된 잔존체로 파편화되고/거나 통제된 방법으로 부분적으로 변형되도록 더 디자인될 수 있다. 변형성 총알의 통제된 변형은 일반적으로 타겟에 대한 충격에 대해 버섯형으로 급격히 커져/접혀(mushroom/fold) 상기 변형성 총알이 질량 안정적으로 남도록 디자인된다. 이러한 발사체 또는 총알은 사냥 대상체(game body) 내에 부분 파편화 및/또는 정의된 변형에 의한 효과적인 에너지 방출 때문에 사냥 중 총에 맞은 사냥체의 신속한 죽음을 더 확실히 유도하므로, 특히 사냥용 총알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는 상기 발사체의 비행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rearwardly) 배열된 본질적으로 원통형(cylindrical) 발사체 테일(projectile tail)을 포함한다. 상기 발사체는 발사체 중심축에 대하여 일정한 외부 지름을 가지고/거나 본질 상 완전한 원통형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사체 테일의 외부 지름은 총열 구경(caliber diameter)를 정의한다. 상기 발사체는 상기 발사체 테일에 인접한 활형 측면(bow sided) 발사체 헤드(projectile head)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사체 헤드는 상기 발사체의 비행 방향에 대해 전방으로(forwardly) 배열된다. 상기 발사체 헤드는 전면, 즉 발사체 비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 측, 따라서 상기 발사체와 마주보는 면 측 상의, 패널 개구(front panel opening)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본질적으로 중심에 위치하고, 예컨대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향된다. 상기 개구는 상기 발사체 헤드로부터 상기 발사체 테일의 방향 내,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체 테일 내로 축 방향으로 연장된 공동 내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공동은 상기 발사체 테일을 향해 마주보는 공동 베이스(cavity base)를 가지며, 벽으로 경계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벽은 원주(circumferential) 방향으로 상기 공동을 완전히 둘러싼다. 상기 발사체 헤드의 벽은 외부에서의 형상이 거의 오자이브-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공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티어-오프 그루브(tear-off groove)가 상기 벽 내 제공된다. 타겟에 대한 상기 총알/발사체의 충격에 대하여,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는 상기 발사체 헤드가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가 위치한 곳에서 축 방향 위치로 파편화되고/거나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도울 수 있다. 더욱이, 타겟에 대한 상기 총알의 충격에 대하여 상기 총알 활형 측면 상의 발사체 헤드가 상기 발사체 테일로부터 찢어져 나가, 즉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를 따라 찢어져 나가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는 상기 발사체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축에 대해 거의 연직으로 배향되고, 특히 상기 발사체의 변형 및/또는 파편화를 제한하여, 상기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의 변형 및/또는 파편화 거동을 결정하도록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는 상기 공동 베이스로부터 상기 공동의 길이 방향 연장의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또는 약 50%의 거리에 위치한다.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의 상기 발사체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한 방사 방향 깊이는 구경 직경의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또는 20% 이상 및/또는 상기 공동을 둘러싸는 벽의 방사 방향 벽 두께의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40% 이상, 45% 이상 또는 5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의 공동 및 티어-오프 그루브의 조합은, 특히 상기 공동과의 관계에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의 청구되는 위치(positioning) 및/또는 치수(dimensioning)로 인하여, 유리한(advantageous) 변형 또는 부분 파편화를 도출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상기 발사체가 타겟을 충격할 때, 파열되는(rupturing) 발사체 헤드 섹션 및 펼쳐지는/버섯형으로 커지는 발사체 헤드 섹션의 조합이 생성되어, 상기 버섯형으로 커지는/접혀지는 것의 결과로 단면적 확장(cross-sectional enlargement)에 의해, 한편으로는 상기 파편화 된 발사체 파편의 도움으로 증가된 파괴 효과에 의해 사냥체 내에 증가된 에너지 출력이 생성된다. 상기 발사체를 위한 적합한 물질은 금속, 특히 구리, 구리 합금과 같은 연성이 있는(ductile) 금속, 예컨대 탐백(tombac)이다. 예를 들어,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는 상기 공동을 완전히 둘러싸게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원주형인 모따기부(chamfer)는 상기 발사체 테일 및 상기 발사체 헤드 사이의 전이부에, 상기 발사체 중심 축에 대해 고려되는 상기 발사체의 모따기부 지름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곳에 형성된다. 상기 발사체의 총열 구경은, 예컨대 상기 발사체 테일 영역의 지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발사체 테일 및 상기 발사체 헤드의 상기 모따기부에 의한 기하하적 분리로 인하여, 상기 발사체가 발사될 때 상기 발사체 헤드 구역의 외부 벽 표면은 무기의 배럴(barrel)과 마찰성(frictional) 접촉이 없는 상태로 남아있는 반면에 상기 발사체는 무기의 배럴과 상기 발사체 테일 구역에서 배타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보장되어, 상기 발사체 테일 및 상기 발사체 헤드의 기능적 분리(functional separation)가 동시에 수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공동은 상기 발사체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연장의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50% 이상 또는 60% 이상 연장된다. 청구되는 공동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발사체의 변형 및 부분 파편화 거동에 유리한 효과를 가지고, 즉 상기 공동의 길이는 타겟에 대한 상기 발사체의 충격에 대해서 버섯형으로 급격히 커지는/펼쳐지는(mushroom/unfold) 상기 발사체 섹션의 길이를 결정하는데/조절하는데(determine/adjust) 사용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사체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공동은 상기 개구로부터 시작하여 거의 연속적으로 확장한다. 상기 발사체의 전면부 상에서, 상기 공동은 상기 개구가 연속적으로 확장하기 전에 짧은 시간 동안 단면 내에서 길이가 줄어드는 콘-형상 및/또는 갈대기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동은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의 축 방향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넓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공동은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의 축 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공동이 최종적으로 상기 공동 베이스에 병합될 때 까지 다시 연속적으로 좁아짐이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추가적 발전에 따르면, 상기 공동은 거의 방울-형상(drop-shaped)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공동 베이스는 오목하게 굽을(curved)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는 거의 U-형상(U-shaped)또는 V-형상(V-shaped)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는 터닝(turning) 또는 밀링(mill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거나 상기 벽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사체의 예시적인 추가 구체예에 다르면,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는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projectile head sided flank),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projectile tail sided flank) 및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를 연결하는 그루브 바닥(groove bottom)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또는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는 곡선형(curved) 이고/거나 상기 그루브 바닥은 반경에 의해 형성되고/거나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또는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와 상기 그루브 바닥 사이의 전이부는 반경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는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 및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를 연결하는 그루브 바닥을 포함한다.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또는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는, 예를 들어, 상기 그루브 바닥의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고/거나 상기 그루브 바닥은 상기 발사체 중심 축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베이스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거나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또는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와 그루브 바닥 사이의 전이부, 바람직하게는 각 플랭크의 상기 그루브 바닥으로의 전이부에서, 점프-유사(jump-like) 방법으로 엣지(edge)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그루브 바닥으로부터 시작된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 사이의 개방각(opening angle)은 10 내지 9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30 내지 70° 또는 40 내지 6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개방각은 샤프(sharp) 티어-오프 그루브가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여, 특히 상기 발사체의 바람직한 변형 또는 부분 파편화를 보장하고/거나 전면부 발사체 섹션으로부터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에 대하여 상기 테일면 발사체 섹션의 통제된 티어-오프를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는 상기 발사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적어도 원주 방향 및/또는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그루브 세그먼트(groove segment)로 나뉘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및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2개의 그루브 세그먼트는 방사 방향으로 겹칠 수 있다. 예시적인 추가 개발에 따르면, 3개 이상의 별개의 그루브 세그먼트가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하고/거나 각 2개의 티어-오프 그루브 세그먼트가 벽 돌출부(wall protrusion)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벽 돌출부는 오자이브-형상의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선행 측면 및 예시적인 구체예와 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 따르면, 발사체,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이 제공된다. 총알 또는 발사체는 화기, 특히 핸드건의 카트리지 또는 탄약의 일부이다. 상기 발사체는 상기 화기에 의해 발사되는 카트리지의 구성품이다. 부분 파편성 총알은 일반적으로 타겟에 대한 총알의 충격에 대해 통제된 방법으로 정의된 잔존체로 파편화되도록 디자인된다. 변형성 총알은 일반적으로 내재하는 질량-안정적(mass-stable)인 통제된 변형을 가진다. 부분 파편성 총알은 타겟에 대한 총알의 충격에 대해 통제된 방법으로 정의된 잔존체로 파편화되고/거나 통제된 방법으로 부분적으로 변형되도록 더 디자인될 수 있다. 변형성 총알의 통제된 변형은 일반적으로 타겟에 대한 충격에 대해 버섯형으로 급격히 커져/접혀(mushroom/fold) 상기 변형성 총알이 그 과정에서 질량 안정적으로 남도록 디자인된다. 이러한 발사체 또는 총알은 사냥 대상체(game body) 내에 부분 파편화 및/또는 정의된 변형에 의한 효과적인 에너지 방출 때문에 사냥 중 총에 맞은 사냥체의 신속한 죽음을 더 확실히 유도하므로, 특히 사냥용 총알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는 상기 발사체의 비행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배열된 본질적으로 원통형 발사체 테일을 포함한다. 상기 발사체는 발사체 중심축에 대하여 일정한 외부 지름을 가지고/거나 본질 상 완전한 원통형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사체 테일의 외부 지름은 총열 구경를 정의한다. 상기 발사체는 상기 발사체 테일에 인접한 활형 측면, 본질적으로 오자이브-형상(ogive-shaped) 발사체 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사체 헤드는 상기 발사체의 비행 방향에 대해 전방으로 배열된다. 상기 발사체 헤드는 정면의, 즉, 상기 발사체 비행 방향에 대하여 정면의, 따라서 상기 발사체의 정면의, 예를 들어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향된, 거의 중심의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는 상기 발사체 헤드로부터 상기 발사체 테일의 방향 내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체 테일 내로, 상기 발사체 중심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 내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공동은 상기 발사체 테일의 방향 내로 가르키는 공동 베이스를 가지고, 벽으로 경계를 이룬다. 예를 들어, 상기 벽은 원주 방향으로 상기 공동을 완전히 둘러싼다. 상기 발사체 헤드의 벽은 외부에서의 형상이 거의 오자이브-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사체 헤드 벽은 오자이브-유사 형상으로부터 벗어난(deviate) 하나 이상의 평평한 외부 표면 섹션을 포함한다. 여기서, 평평하다는 것은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오자이브-유사 형상 벽 포션(portion)의 곡률에 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표면 섹션의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한 방사 곡률(radial curvature)은 상기 발사체 테일 및/또는 인접한 오자이브-형상 섹션의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한 방사 곡률의 2배 이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표면 섹션은 볼록하게(convexly) 굽고/거나 인접하는 오자이브-형상 섹션과 연결될 수 있어, 바람직하게는 거의 오자이브-형상인 전이부 엣지는 상기 발사체의 거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예시ㅈ거이고 추가적인 개잘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은 절삭(cutting) 또는 성형(forming)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프레싱(pressing)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은 상기 거의 오자이브-형상인 발사체 헤드의 축 방향 길이의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50% 이상, 또는 60% 이상의 발사체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내 축 방향 길이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은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해서 원주 방향으로 최소 축 방향으로 45%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최대 120%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평평한 외부 표면 섹션은 상기 발사체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외부 표면 섹션의 방사 방향 거리가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하여 동일한 축 방향 높이에서의 인접한 오자이브-형상 섹션의 방사 방향 거리에 비해 작도록 치수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예시적인 추가 개발에 따르면,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또는 4개 이상의, 특히 동일한 형상의 외부 표면 섹션이 상기 발사체 헤드면 벽 상에 형성된다. 상기 2개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이 오자이브-형상 전이부 엣지가 형성되도록 축 방향 섹션에서 서로 병합하고/거나 오자이브-형상 섹션으로부터 적어도 축 방향 섹션 내에서 분리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전이부 엣지는, 예를 들어, 상기 발사체의 거의 길이 방향 내에 배향되어, 상기 발사체 헤드의 거의 오자이브-형상 형태로 인해 상기 발사체의 중심축에 대한 각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추가 개발에 따르면, 티어-오프 그루브는 상기 발사체 헤드면 벽 내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상기 공동을 둘러싼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제1 측면에 대하여 상술된 예시적인 구체예 중 하나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예시적인 추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은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 내로, 특히 티어-오프 그루브 바닥의 방향 내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발사체 헤드면 티어-오프 그루브 내로 직접 개방된다. 본 발명의 발사체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은 상기 개구를 완전히 둘러싸는 벽 외부 칸토어(wall outer contour)로 병합되어 상기 발사체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벽 외부 칸토어의 거리가 상기 벽 외부 칸토어를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은 거의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발사체의 평면도(top view)에서, 상기 발사체는 상기 발사체 헤드면 상에서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등) 구조를 가지며, 예를 들어, 인접한 포션에서, 특히 외부 표면 섹션 또는 오자이브-형상 섹션이 서로 병합하는 각 코너는 둥근 반면, 상기 외부 표면 섹션의 대응되는 벽 외부 칸토어 포션은 평평할 수 있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발사체 헤드 벽은 내부적으로 슬롯(slot)이 형성되어, 1개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3개 이상 또는 4개 이상의 축 방향 슬롯(axial slot)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축 방향 슬롯은 상기 중심 개구로부터 상기 발사체 테일을 향해, 상기 공동의 축 방향 길이의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40% 이상 또는 50% 이상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사체의 상기 공동 내 내부 슬롯은 원하는 변형 또는 부분 파편화에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특히, 상기 축 방향 슬롯은 인접하는 발사체 헤드 벽 섹션이 축 방향 슬롯을 따라 서로 분리됨으로써 더 쉽게 버섯형으로 급격히 커지고/펼쳐지고 나아가 찢어지는(tearong off)/부분적으로 파편화되는(partially fragmenting) 발사체의 수가 증가하도록 하여 버섯형 변형(mushrooming deformation) 거동을 강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축 방향 슬롯의 수는 상기 외부 표면 섹션의 수에 매치(match)되고, 특히 상기 축 방향 슬롯의 수는 상기 외부 표면 섹션의 수와 대응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축 방향 슬롯의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한 원주 방향 위치는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의 원주 방향 위치와 매치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축 방향 슬롯은 오자이브-형상 섹션의 구역 내, 특히 2개의 인접하는 외부 표면 섹션의 오자이브-형상 전이부 엣지의 구역 내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는 종속항에 제시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성, 특징 및 이점이 첨부된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하는 방법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사시도(perspective view);
도 2 도 1에 따른 발사체의 측면도(side view);
도 3 도 1, 2에 따른 발사체의 평면도(top view);
도 4 도 1 내지 3에 따른 발사체의 도 3 내 선 Ⅳ에 따른 단면도(sectional view);
도 5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티어-오프 그루브의 예시적인 디자인의 개략적인 상세도;
도 6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티어-오프 그루브의 예시적인 디자인의 개략적인 상세도;
도 7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티어-오프 그루브의 예시적인 디자인의 개략적인 상세도;
도 8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티어-오프 그루브의 예시적인 디자인의 개략적인 상세도;
도 9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티어-오프 그루브의 예시적인 디자인의 개략적인 상세도;
도 10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티어-오프 그루브의 예시적인 디자인의 개략적인 상세도;
도 11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티어-오프 그루브의 예시적인 디자인의 개략적인 상세도;
도 12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티어-오프 그루브의 예시적인 디자인의 개략적인 상세도;
도 13 도 4에 따른 ⅩⅢ의 상세도;
도 14 도 4에 따른 ⅩⅣ의 상세도;
도 15 본 발명에 다른 발사체의 추가적인 예시적 구체예의 사시도;
도 16 도 15에 따른 발사체의 측면도;
도 17 도 15 및 16에 따른 발사체의 평면도;
도 18 도 15 내지 17의 발사체의 단면도;
도 19 도 15 내지 18에 따른 발사체의 추가적인 측면도;
도 20a 내지 20h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노치(notch)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개략적인 상세 정면도(front view); 및
도 21a 내지 21h 도 20a 내지 20h에 따른 노치(notch)의 개략적인 상세도;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예시적인 구체예에 대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는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로 지정된다. 이 문맥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사용된다. 하기 도면에 관한 설명에서, 참조는 단순성을 위해 발사체(1)에 대하여 배타적으로 참조가 이루어지며,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1)에 적용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1 내지 14에 도시된 발사체는, 예를 들어 성형 공정(forming process)에 의해 단일한 부품(piece)으로 제조되며, 기계적 제조 공정과 같은 추가적인 생산 공정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1)의 특정 세부 사항을 생성하는데 적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상기 발사체(1)는 구리, 구리 합금, 놋쇠(brass), 납 등과 같은 금속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체(1)는 납-부재(lead-free) 물질로 만들어진다. 발사체 전구체(미도시)는 절삭 전구체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특히 연성을 가진 금속 물질을 절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사체 전구체는 콜드 포밍(cold forming), 예컨대, 프레싱(pressing), 특히 딥 드로잉(deep drawing) 및 특히 펀치-매트릭스 배열(punch-matrix arrangement)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1)의 예시적인 구체예,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1)이 설명된다. 도 5 내지 14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4의 발사체(1)의 특정 구성 요소가 더 자세하게 묘사된다.
도 1의 사시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1)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발사체 테일(3) 및 활 측면(bow side) 상 그에 인접하는 본질적으로 오자이브-형상인 발사체 헤드(5)를 포함한다. 발사체 테일(3) 및 발사체 헤드(5) 사이의 전이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완전한 원주 방향 모따기부(7)가 형성되고, 여기서 참조 사인 M의 선으로 도시적으로 표시되는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대하여 고려되는 상기 발사체(1)의 지름이 연속적으로 감소한다(도 13 참조). 외부 직경이 상기 발사체(1)의 총열 구경(caliber diameter)를 결정하는 것은 발사체 테일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발사체(1)가 화기(firearm)의 방법으로 발사될 때, 상기 화기 배럴(barrel) 내에서 상기 발사체(1)을 유도하고, 화기의 배럴과 접촉하는 것도 발사체 테일(3), 특히 그 외피(outer jacket; 9)이다.
도 1에서, 발사체 헤드(5)를 형성하는 벽(11)의 외부 측면 상에,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라, 상기 발사체 중심축(M)을 완전히 둘러싸는 티어-오프 그루브(13)가 형성됨이 이미 표시된다.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도 2, 4 내지 12의 설명에서 더 자세하게 참조될 것이다.
더욱이, 도 1에서 발사체 헤드 벽(11)이 하나 이상의(도 1에서는 4개, 3개만 명백함) 오자이브-형상 형태에서 벗어나는(deviate) 납작한 외부 표면 섹션(15)을 포함함이 보여진다. 예컨대 절삭 및/또는 성형 생산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프레싱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2개의 인접한 외부 표면 섹션(15)은 오자이브-형상 전이부 엣지(17)에 의해 섹션 내 축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더욱이, 2개의 인접한 외부 표면 섹션(15)은 오자이브-형상 섹션(19)에 의해 섹션 내 축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상기 오자이브-형상 섹션(19) 및 상기 외부 표면 섹션(15) 둘 모두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 내로 각각 직접 개방된다.
발사체 비행의 방향과 마주보는 상기 발사체(1)의 끝면(21)에서, 상기 발사체(1) 내에 공동(25) 내로 개방되는 본질적으로 중심인 개구(23)가 만들어진다(도 4).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사체(1)은 상기 발사체 테일(3) 상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모따기부 섹션(29)을 통해 거의 원통형인 발사체 테일 벽(9) 내로 병합되는 거의 납작한 발사체 그라운드(27)를 포함함이 보여진다. 도 2에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상기 발사체 중심축(M)을 완전히 둘러싸는 그루브와 같은 물질 리세스(recess)로써 실질적으로 실현된다는 것이 추가적으로 보여진다.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오자이브-형상 발사체 헤드 벽(11)으로부터, 상기 발사체의 거의 길이 방향 내에서 배향되고/거나 거의 평평하게 형성된 그루브 바닥(33)까지 연장된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31)를 가지는 거의 U-형상임이 보여진다. 상기 그루브 바닥(33)은, 상기 그루브 바닥(33)으로부터 오자이브-형상 발사체 전면 벽(11)까지 바깥쪽으로 방사형으로 연장하고 그와 병합하는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35) 내로 교대로 개방된다.
도 2는 또한 거의 오자이브-형상인 발사체 헤드(5)의 축 방향 길이의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50% 이상 또는 60% 이상, 상기 발사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납작한 외부 표면 섹션(15)의 형상을 보여준다. 더욱이, 상기 외부 표면 섹션(15)은 상기 발사체 중심축(M)에 대하여 원주 방향 내 적어도 축 방향으로 45°이상, 도 2에서는 90°형성되고, 이 축 방향 위치에서 2개의 인접하는 외부 표면 섹션(15)의 오자이브-형상 전이부 엣지(17)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상기 오자이브-형상 전이부 엣지(17)는 상기 테일에 축 방향에서, 가능하면 전면에서, 각 오자이브-형상 섹션(19) 내로 병합되며, 이는 축 방향 섹션 내에서 2개의 인접한 외부 표면 섹션(15)을 서로에 대해서 분리하고, 또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 내로, 특히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31) 내로 직접 개방된다. 측면도에서(도 2), 상기 오자이브-형상 섹션(19(은 거의 삼각형 구조를 가지고, 이는 테일에서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31) 내로 하나의 짧은 측면 개구를 가지고 각각 하나의 외부 표면 섹션(15)으로의 전이부에 위치한 2개의 반대되는 긴 측면을 가진다. 상기 외부 표면 섹션(15)은 그에 의해 거의 평평하게 형성되고, 따라서 예를 들어 인접한 오자이브-형상 섹션(19)와 같은 오자이브-형상으로 형성되지 못한다. 각 2개의 인접한 외부 표면 섹션(15)은 서로에 대해 경사지며(inclined), 도 1 내지 4에 따른 인접한 2개의 외부 표면 섹션(15)의 경사각(the angle of inclination)은 80 내지 11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90°이다.
도 3에 따른 평면도에서, 특히 상기 중앙 개구(23)를 완전히 둘러싸는 벽 외부 칸토어(37)가 보여질 수 있다. 상기 벽 외부 칸토어(37)는 상기 발사체(1)의 끝면(21)상에 형성되고 대응되는 외부 표면 섹션(15)의 축 말단(axial end)를 형성한다. 도 3에서, 상기 발사체 중심축(M)으로부터 상기 벽 외부 칸토어(37)의 거리는 상기 벽 외부 칸토어(37)의 경로를 따라 변한다. 도 3에 도시된 평면도에서, 상기 벽 외부 칸토어(37)는 외부 표면 섹션(15)의 구역 내 존재하여 거의 선형으로 연장하는 두 쌍의 대향 칸토어 포션(oppsing contour portion; 39) 및 상기 발사체 헤드(3)의 오자이브-형상 섹션(19)의 구역에 배열된 두 쌍의 대향 곡률 포션(opposing curvature portion; 41)의 다각형 유사 구조를 형성한다. 도 3에서 거의 상기 중앙 개구(23)로부터 상기 발사체 테일(3)을 향해 연장된 공동(25) 내에 형성되고, 상기 공동(25)의 공동 내부 구역(cavity inner area; 45) 내 형성되는 상기 슬롯(43)이 더 표시된다.
도 4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발사체(1)의 도 3 내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가 보여진다. 도 4를 참조하면, 특히 공동(25)이 묘사된다. 상기 공동(25)은 상기 중앙 개구(23)로부터 상기 발사체 테일(3)의 방향으로, 그리고 도 4에 예시적인 방법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발사체 테일(3) 내로의 섹션 내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공동(25)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발사체의 길이 방향 연장의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50% 이상 또는 60% 이상이다. 상기 중앙 개구(23)에 직접 인접하여, 상기 공동(25)은 상기 공동(25)의 내부 직경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깔대기 섹션(47)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공동(25)은 거의 연속적으로 넓어져,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의 축상 위치까지 넓어진다.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의 축상 위치에서부터, 상기 공동(25)은 공동 바닥(49)에서 말단까지 좁아진다. 이 경우에, 상기 공동(25)은 거의 방울-형상(drop-shape)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되고, 정의된 변형 및/또는 부분 파편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상기 공동 바닥(49)으로부터 상기 공동(25)의 길이 방향 연장의 10% 이상의 축상 거리에 배열되도록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의 방사 방향 깊이(radial depth)는 총열 구경, 특히 상기 발사체 테일 벽(9)의 외부 직경의 10% 이상 및/또는 상기 공동(25)을 둘러싸는 벽(11)의 방사 방향 벽 두께의 30% 이상일 수 있다.
도 3 및 4를 함께 살펴보면, 상기 슬롯(43)은 4개의 축 방향 슬롯(axial slot; 51)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체 중심축(M)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며, 이는 상기 중앙 개구(23)로부터 상기 발사체 테일(3)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축 방향 슬롯(51)의 예시적인 축 방향 길이는 상기 공동(25)의 축 방향 길이의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40% 이상 또는 50% 이상이다. 더욱이, 상기 축 방향 슬롯(51)의 수는 상기 외부 표면 섹션(15)의 수에 적응될 수 있고, 특히 그와 같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축 방향 슬롯(51)의 원주 방향 위치는 상기 외부 표면 섹션(15)의 원주 방향 위치와 매치(match)되어, 상기 축 방향 슬롯(51)이 상기 오자이브 포션(19)의 구역 내 위치한다. 예를 들어, 축 방향 슬롯(51)의 슬롯 베이스(53)은 상기 전이부 엣지(17) 또는 오자이브 섹션(19)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평면도에서(도 3), 상기 슬롯(43)은 교차점(intersectio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공동(25)이 축 방향 슬롯(51)이 제공되지 않는 축 방향 슬롯-부재 구역(55)을 가짐이 보여질 수 있다.
도 5 내지 12를 참조하면, 티어-오프 그루브(13)의 구조가 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도 5 내지 12에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의 방사 방향 깊이(r)는 참조 사인 r로 표시되고, 방사 방향 깊이(r)은 상기 외부 벽면(11)로부터 상기 그루브 바닥(33)까지 치수화된다. 도 5 내지 8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그루브 바닥(33)은 반경 R로 구현되는 반면, 도 9 내지 12에 따른 그루브 바닥(33)은 상기 발사체 중심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본질적으로 평평한 베이스 표면으로 형성된다. 도 5 내지 8의 디자인은 본질적으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의 방사 방향 깊이 및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를 형성하는 2개의 반대되는 플랭크(31, 35) 사이에 세팅된 개방각에서 서로 다르다. 더욱이,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의 축 방향 높이(b) 또한, 도 5 내지 8에서 함께 도시됨으로써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변할 수 있다.
도 9 내지 12는 축 방향 높이(b) 및/또는 방사 방향 깊이(r) 뿐만 아니라 개방각의 관점에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의 차이를 다시 보여준다. 이에 의해, 상기 리세스 베이스(recess base; 33)의 축 방향 치수 역시 변할 수 있다. 도 5 내지 1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발사체 테일면 상의 플랭크(35) 및 상기 발사체 헤드면 상의 플랭크(31)는 각각 본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상기 플랭크(31, 35)들이 굽혀지고, 특히 반경을 통해 상기 리세스 베이스(33) 내로 병합되고/거나 반경을 가지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13은 원주 방향 모따기부(7)의 영역 내에서 도 4에 따른 ⅩⅢ 상세도를 보여준다. 상기 모따기부(7)는, 예컨대, 상기 인접한 발사체 헤드 벽(11)에 대하여 10°보다 작게 배향되고 1mm 보다 작은 축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도 4에 따른 ⅩⅣ 상세도를 보여준다. 여기서 반경(57, 59)이 상기 발사체 테일 벽(9) 또는 상기 발사체 그라운드(27)로의 각 모따기 섹션(29) 전이부에서 제공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5 내지 21h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1)의 추가적인 예시적 구체예를 보여준다. 하기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로 제공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상술된 구체예에 대하여 발생하는 차이점에 관하여만 논의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안적인 예시적 구체예에 따른 티어-오프 그루브(13)는 상기 공동(25)을 오로지 부분적으로만 둘러싼다. 예를 들어,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원주 방향으로 세그먼트화(segmented) 된다. 다른 말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하고 상기 원주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이격된 노칭(notching) 또는 리세스(recess)와 같은 2개 이상의 티어-오프 그루브 세그먼트 또는 노치(61)를 가진다.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원주 방향으로 특히 균일하게 분포하는, 특히 노치 또는 리세스와 같은 복수의 티어-오프 그루브 섹션 또는 노치(61)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발사체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같은 축 방향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노치(61)는 프레싱과 같은 콜드 포밍 공정에 의해 바깥에서부터 발사체 벽 내부로 도입될 수 있고 상기 오자이브 섹션(19)의 방사 방향 굽힘 또는 접힘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사체(1)의 도 15에 따른 사시도 및 도 17에 따른 평면도의 조합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은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하는 총 4개의 노치(61)를 가진다. 도 16에 따른 측면도 및 도 18에 따른 단면도로부터, 상기 노치(61)는 상기 발사체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축 방향 높이에 배열됨이 더욱 명백하다.
도 18에 따른 단면도를 참조하면, 제조-특이적 특징(manufacturing-specific feature) 또한 명백하다.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의 노치(61)를 콜드 포밍, 특히 프레싱의 방법으로 제조할 때, 상기 노치(61)와 동일한 축 방향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공동(25)의 컨스트릭션(constriction; 63)이 도출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의 프레싱 공정의 결과로, 발사체 물질은 상기 노치(61)에 대하여 방사 방향 안쪽으로 프레스되고, 그 결과 특히 도 1 내지 4의 구체예에 따른 방울-유사 형상(drop-like shaped) 공동이 상기 공동(25)이 상기 노치(61)의 축 방향 높이에서 좁아지도록 대체된다.
도 20a 내지 21h는 노치(61)의 예시적 구체예를 상세도로 도시한다. 여기서, 도 20a 내지 20h는 상기 노치(61)를 정면에서 도시하고, 도 21a 내지 21h는 이들은 측면 또는 단면으로 도시한다. 더욱이, 넘버링(numbering)은 도면 넘버링 후의 소문자 a,b는 구체예 변형(embodiment variant)을 의미하여, 예를 들어, 도 20a 및 21a는 동일한 노치 형상(61)을, 하나는 측면을, 하나는 전면을 도시한다. 도 20b 및 21b 내지 20h 및 21h에도 각각 동일하게 적용된다. 구체예 변형 a는 평면도에서 육각형이고 측면도에서 거의 삼각형이다. 구체예 변형 b는 평면도에서 계란형(oval)이고, 측면도에서 사다리꼴(trapezoidal)이다. 구체예 변형 c는 평면도에서 둥근 꼭지점을 가지는 삼각형이고, 측면도에서 거의 각이 진(angular) 형태이다. 구체예 d는 평면도에서, 방사 방향으로는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다이아몬드-형상(diamond-shaped) 노치(61)를 도시한다. 구체예 형태 e는 구체예 형태 a와 거의 동일하나, 구체예 형태 a의 노치(61)는 도 20a 및 특히 21a에서 볼 수 있듯이 단면에서 좁아지는 반면, 구체예 형태 e의 노치(61)는 방사 방향에서 볼 때 일정한 단면을 가진다. 구체예 f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구체예 b와 유사하지만, 방사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을 가진다. 구체예 형태 g는 둥근 꼭지점을 가지는 연장된(elongated) 직사각형이고 일정한 단면을 가진다. 구체예 형태 h는 평면도에서 둥근 노치(61)를 도시하고, 일정한 단면을 가져 원통-유사의 노치(61)를 도출한다.
전술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서 개시된 특징은 다양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어떠한 조합으로, 및 개별적으로, 둘 모두에서 중요할 수 있다.
1 발사체(projectile)
3 발사체 테일(Projectile tail)
5 발사체 헤드(Projectile head)
7 모따기부(chamfer)
9 발사체 테일 벽(projectile tail wall)
11 발사체 헤드 벽(projectile head wall)
13 티어-오프 그루브(tear-off groove)
15 외부 표면 섹션(outer surface section)
17 전이부 엣지(transition edge)
19 오자이브-형상 섹션(ogive-shaped section)
21 끝면(end face)
23 중앙 개구(central opening)
25 공동(cavity)
27 발사체 그라운드(projectile ground)
29 모따기부 섹션(chamfer section)
31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projectile head sided flank)
33 그루브 바닥(groove bottom)
35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projectile tail sided flank)
37 벽 외부 칸토어(wall outer contour)
39 직선 벽 외부 칸토어 섹션(straight wall outer contour section)
41 곡선 벽 외부 칸토어 섹션(curved wall outer contour section)
43 슬롯(slot)
45 공동 내부 구역(cavity inner area)
47 깔대기 섹션(funnel section)
49 공동 바닥(cavity bottom)
51 축 방향 슬롯(axial slot)
53 슬롯 바닥(Slot bottom)
55 축 방향 슬롯 부재 영역(Axial slot free area)
57, 59 반경(radius)
61 노치(notch)
63 컨스트릭션(Constriction)
M 발사체 중심축(projectile central axis)
R 반경(radius)
a 축 방향 슬롯의 축 방향 길이(axial length of an axial slot)
r 방사 방향 깊이(radial depth)
b 축 방향 높이(axial height)

Claims (19)

  1. 특히 변형성(deformation) 및/또는 부분 파편성(partial fragmentation) 총알인 발사체(1)로서,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발사체 테일(tail; 3), 인접한 활형 측면(bow sided) 발사체 헤드(head; 5) 및 티어-오프 그루브(tear-off groove; 13)을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 헤드(5)는 상기 발사체 헤드(5)로부터 상기 발사체 테일(3)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체 테일(3) 내로, 축 방향으로(axially) 연장되고, 공동 바닥(49)을 가지고 벽으로 경계를 이루는 공동(25) 내로 개방된, 본질적으로 중심의 개구(23)를 포함하고,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상기 벽 내로 도입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동(25)을 둘러싸며, 상기 공동 바닥(49)으로부터 상기 공동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연장의 10% 이상의 거리에 배열되고, 총열 구경(caliber diameter)의 10% 이상 및/또는 상기 공동(25)을 둘러싼 벽의 방사 방향 벽 두께(radial wall thickness)의 30% 이상 방사 방향 깊이(radial depth)를 가지는,
    발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 테일(3) 및 상기 발사체 헤드(5) 사이의 전이부(transition)에,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원주를 둘러싸는 모따기부(chamfer; 7)가 형성되고,
    상기 모따기부(7)에서 발사체(1)의 발사체 중심축(M)에 대한 직경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발사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25)은 상기 발사체(1)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연장의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50% 이상 또는 60% 이상 연장하는,
    발사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25)은 상기 개구(23)로부터 시작하여, 특히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의 축 방향 위치까지 본질적으로 넓어지고/거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에서 상기 공동(25)이 연속적으로 가늘어지고/거나 상기 공동(25)은 본질적으로 방울 형상(drop shape)을 가지는,
    발사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거의(substantially) U-형상(U-shaped) 또는 V-형상(V-shaped)으로 형성된,
    발사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projectile head sided flank; 31),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projectile tail sided flank; 35) 및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31) 및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35)를 연결하는 그루브 바닥(groove bottom; 33)을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또는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35)는 곡선형(curved)이고/거나, 상기 그루브 바닥(33)은 반경에 의해 형성되고/거나,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또는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와 상기 그루브 바닥(33)의 전이부는 반경에 의해 형성된,
    발사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31),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35) 및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31) 및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35)를 연결하는 그루브 바닥(33)을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33) 및/또는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35)는 상기 그루브 바닥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되고/거나 상기 그루브 바닥(33)은 상기 발사체 중심축(M)에 거의(substantially) 평행하게 배향된 베이스 표면(base surface)에 의해 형성되고/거나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또는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와 상기 그루브 바닥(33)의 전이부는 엣지(edge)에 의해 형성된,
    발사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바닥(33)으로부터 시작된 상기 발사체 헤드면 플랭크 및 상기 발사체 테일면 플랭크 사이의 개방각(opening angle)은 10 내지 90°의 범위인,
    발사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는 상기 발사체 중심축(M)에 대하여 원주 방향 및/또는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2개 이상의 그루브 세그먼트(groove segment)로 나뉘어지고/거나,
    특히 3개 이상의 별개의 그루브 세그먼트가 상기 발사체 중심축(M)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고/거나,
    2개의 인접한 그루브 세그먼트는 각각 월 웹(wall web)에 의해 서로 연결된,
    발사체.
  10. 본질적으로 원통형 발사체 테일(3) 및 활형 측면이고 본질적으로 오자이브-형상(ogive-shaped)인 발사체 헤드(5) 포함하는,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이고, 특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사체(1)로서,
    상기 발사체 헤드(5)는 상기 발사체 헤드(5)로부터 상기 발사체 테일(3)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체 테일(3) 내로, 발사체 중심축(M)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벽으로 경계를 이루는 공동(25) 내로 개방된, 본질적으로 중심의 개구(23)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 헤드 면(sided) 벽은, 오자이브-형상으로부터 벗어나고(deviate) 상기 발사체 중심축(M)에 대한 방사 곡률(radial curvature)이 상기 발사체 테일(3) 및/또는 인접한 오자이브-형상 섹션(19)의 발사체 중심축(M)에 대한 방사 곡률의 사이즈의 2배 이상인 하나 이상의 평평한 외부 표면 섹션(outer surface section; 15)을 포함하는,
    발사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납작한 외부 표면 섹션(15)은 절삭(cutting) 또는 성형(forming) 공정, 바람직하게는 프레싱(pressing) 공정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발사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납작한 외부 표면 섹션(15)은 상기 거의(substantially) 오자이브-형상인 발사체 헤드(5)의 축 방향 길이의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50% 이상 또는 60% 이상의 발사체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내 축 방향 길이를 가지고/거나 적어도 축 방향 섹션(axial section)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기 발사체 중심축(M)에 대하여 45° 이상 바람직하게는 최대 120°연장된,
    발사체.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또는 4개 이상의, 특히 동일한 형상의 외부 표면 섹션(15)이 오자이브-형상 전이 엣지(transition edge)가 형성되도록 축 방향 섹션 내에서 서로 병합하고/거나 적어도 축 방향 섹션 내에서 오자이브-형상 섹션(19)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발사체 헤드 면 벽 상에 형성된,
    발사체.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내로 도입된 티어-오프 그루브(13)가 상기 공동(2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발사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15)은 상기 티어-오프 그루브(13) 내로 직접 개방된,
    발사체.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15)은 상기 개구(23)를 완전히 둘러싸는 벽 외부 칸토어(wall outer contour; 39)로 병합되어 상기 발사체 중심축(M)으로부터 벽 외부 칸토어(39)의 거리가 상기 벽 외부 칸토어(39)의 경로를 따라 변하는,
    발사체.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15)은 거의(substantially) 평평하게 형성된,
    발사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 헤드 면 벽은 내부에 상기 중심 개구(23)로부터 상기 발사체 테일(3)을 향해 상기 공동의 축 방향 길이의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40% 이상 또는 50% 이상 연장된,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3개 이상 또는 4개 이상의 축 방향 슬롯(axial slot; 51)을 포함하는,
    발사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축 방향 슬롯(51)이 오자이브-형상 섹션(19)의 구역에 제공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축 방향 슬롯(51)의 상기 발사체 중심축(M)에 대한 원주 방향 위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 섹션의 원주 방향 위치와 매치(match)되고/거나 상기 축 방향 슬롯(51)의 수는 상기 외부 표면 섹션(15)의 수와 매치(match)되는,
    발사체.
KR1020227000479A 2019-06-13 2020-06-12 발사체,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 및 발사체 제조 방법 KR202200325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16125.8A DE102019116125A1 (de) 2019-06-13 2019-06-13 Projektil, insbesondere Deformations- und/oder Teilzerlegungsgeschos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rojektils
DE102019116125.8 2019-06-13
PCT/EP2020/066387 WO2020249788A1 (de) 2019-06-13 2020-06-12 Projektil, insbesondere deformations- und/oder teilzerlegungsgeschos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rojekti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551A true KR20220032551A (ko) 2022-03-15

Family

ID=7109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479A KR20220032551A (ko) 2019-06-13 2020-06-12 발사체,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 및 발사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3983749A1 (ko)
JP (1) JP2022536715A (ko)
KR (1) KR20220032551A (ko)
CN (1) CN114127505A (ko)
AU (1) AU2020291797A1 (ko)
BR (1) BR112021025098A2 (ko)
CA (1) CA3140322A1 (ko)
DE (1) DE102019116125A1 (ko)
IL (1) IL288789A (ko)
MX (1) MX2021015227A (ko)
WO (1) WO2020249788A1 (ko)
ZA (1) ZA2021099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4617A1 (de) 2022-02-25 2023-08-31 Ruag Ammotec Ag Intermediat, Werk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eformationsgeschosses mit definierter Endballistik
DE102022113108A1 (de) 2022-05-24 2023-11-30 Ruag Ammotec Gmbh Werkzeug und Verfahren zum Fertigen eines Projektils sowie Projekti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1637A (en) * 1966-09-28 1968-09-17 Madison H. Briscoe Broadside bullet
US5259320A (en) * 1989-06-29 1993-11-09 Barnes Bullets, Inc. Intermediate article used to form a bullet projectile or component and a finally formed bullet
FR2771167B1 (fr) * 1997-11-20 1999-12-10 Giat Ind Sa Balle expansive
FR2795170B1 (fr) * 1999-06-18 2002-06-28 Jean Claude Sauvestre Balle a fleche interne portee
AU7512300A (en) * 1999-09-08 2001-04-10 Dynamit Nobel Gmbh Explosivstoff- Und Systemtechnik Lead-reduced or lead-free hunting rifle projectile having an improved retention force of the core in the case
WO2005075932A1 (en) * 2004-02-06 2005-08-18 Companhia Brasileira De Cartuchos Lead free monobloc expansion projectile and manufacturing process
FR2867266B1 (fr) * 2004-03-04 2006-05-26 Jean Claude Sauvestre Balle de chasse a expansion retardee
DE202005013495U1 (de) * 2005-08-25 2006-09-28 Witthoff, Karl-Heinz, Dipl.-Ing. Geschoss insbesondere für Jagdwaffen
US8186277B1 (en) * 2007-04-11 2012-05-29 Nosler, Inc. Lead-free bullet for use in a wide range of impact velocities
DE202010010181U1 (de) * 2010-07-14 2010-10-14 Möller, Lutz Geschoß mit einer Hohlspitze
EP2792993B1 (de) * 2013-04-15 2015-11-25 H. Krieghoff GmbH Geschoss
US9354027B2 (en) * 2013-10-24 2016-05-31 G2 Research Inc. Fragmenting projectile
US9677862B2 (en) * 2014-04-17 2017-06-13 Maker Holdings, LLC Mutli-stage fragmenting projectile
DK3137843T3 (da) * 2014-04-30 2019-08-26 G9 Holdings Llc Projektil med forbedret ballist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116125A1 (de) 2020-12-17
IL288789A (en) 2022-02-01
AU2020291797A1 (en) 2022-01-06
WO2020249788A1 (de) 2020-12-17
JP2022536715A (ja) 2022-08-18
MX2021015227A (es) 2022-02-11
ZA202109905B (en) 2022-09-28
EP3983749A1 (de) 2022-04-20
BR112021025098A2 (pt) 2022-01-25
CA3140322A1 (en) 2020-12-17
CN114127505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9709B2 (en) Intermediate for manufacturing projectiles of a deformable bullet, projectile, deformed projectile, tool for manufacturing the intermedi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ntermediate
US9316468B2 (en) Bullet
US7779760B2 (en) Shaped charge assembly and method of damaging a target
US507981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low point bullet
KR20220032551A (ko) 발사체, 특히 변형성 및/또는 부분 파편성 총알, 및 발사체 제조 방법
US5939663A (en) Method for dispersing a jet from a shaped charge liner via multiple detonators
US11953300B2 (en) Metallic solid projectile, tool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metallic solid projectiles
US5149913A (en) Forced expanding bullet
US20060027132A1 (en) Cartridge and a method of preparing at least one radial incision in the body of the bullet of the cartridge
US6148731A (en) Expansion projectile
US11598617B2 (en) Multi-piece projectile with an insert formed via a powder metallurgy process
AU2023200529A1 (en) Projectile with penetrator
PT1664663E (pt) Bala de caça com resistência aerodinâmica reduzida
RU2141096C1 (ru) Патрон охотничий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олочки пули
RU2372580C1 (ru) Патрон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RU180140U1 (ru) Корпус артиллерийского снаряда
RU2080550C1 (ru) Корпус осколочного боеприпаса
RU2627505C1 (ru) Корпус артиллерийского снаряда
RU2627506C1 (ru) Корпус боеприпаса
KR20230149841A (ko) 경찰 및 당국 탄약용 변형 총알
CZ2003681A3 (cs) Náboj a způsob hotovení nejméně jedné radiální drážky v tělě střely náboje
ZA200603033B (en) Piercing projec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