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191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191A
KR20220032191A KR1020200113675A KR20200113675A KR20220032191A KR 20220032191 A KR20220032191 A KR 20220032191A KR 1020200113675 A KR1020200113675 A KR 1020200113675A KR 20200113675 A KR20200113675 A KR 20200113675A KR 20220032191 A KR20220032191 A KR 20220032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oor
mobile device
communication modu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상
안윤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191A/ko
Priority to US17/210,286 priority patent/US11643853B2/en
Priority to CN202110438132.2A priority patent/CN114241628A/zh
Publication of KR2022003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8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as part of a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han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 E05Y2800/42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against unauthorised use, e.g.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14With a sequence of inputs of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키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도 사용자의 얼굴 인증을 통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인증이 연속하여 실패했을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사용자의 얼굴 인증을 정지 시킬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외부에서 접근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바일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잠금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잠금 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상세하게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부가 기능을 장착하고 있는 차량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차량의 출입 방식은 키를 차량에 직접 삽입하는 물리적인 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차량 외부 일정 거리에서 무선으로 인식되어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스마트키, 디지털키 등 좀 더 편리한 방식으로 차량에 출입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또한, 사용자를 위한 차량의 편의 기능으로서, 스마트키, 디지털키와 같은 키를 이용한 방식 뿐 아니라 사용자가 키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인증을 하여 차량의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도가 진행 중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 인증을 통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키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도 차량 출입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얼굴인증이 연속하여 실패했을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얼굴 인증에 오류가 있더라도 차량 출입이 가능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 외부에서 접근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바일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잠금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잠금 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운전자 확인 정보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인증번호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임의의 인증번호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번호는 임의의 복수개의 숫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복수개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복수개의 숫자에 각각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의 수행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지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모바일 기기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B-필라(B-pillar) 또는 A-필라(A-pillar)에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카메라가 차량 외부에서 접근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잠금 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운전자 확인 정보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임의의 인증번호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임의의 인증번호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번호는 임의의 복수개의 숫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임의의 인증번호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복수개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복수개의 숫자에 각각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의 수행을 정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지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을 다시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모바일 기기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등록된 운전자임에도 사용자 인증이 연속해서 실패하여 차량 출입이 불가능한 경우에 다른 방법으로 도어의 잠금 해제가 가능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을 시도한 자의 얼굴 이미지를 저장하고,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여 차량의 도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서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서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지 신호를 수신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인증번호에 대응되는 제스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복수개의 숫자에 각각 대응되는 제스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절차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정지시키고 다시 수행시키는 절차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도어(100), 도어 핸들(101), 카메라(110), 통신모듈(120), 입력부(130), 프로세서(140), 메모리(150), 도어 잠금 장치(160), B-필라(B-pillar)(170), A-필라(A-pillar)(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 는 차량(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사용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 핸들(101)은 도어(100)에 마련되고, 사용자는 도어 핸들(101)을 조작하여 도어(1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카메라(110)는 차량(1) 외부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 및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프로세서(140)에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차량(1)의 B-필라(B-pillar)(170) 또는 A-필라(A-pillar)(180)에 마련될 수 있다.
통신모듈(120)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기기(3)로 각종 신호를 송신하거나, 모바일 기기(3)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망은 신호를 무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망은 3G 통신망, 4G 통신망, 5G 통신망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통신망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모듈(120)은 모바일 기기(3)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프로세서(14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기기(3)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기기(3)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기기(3)의 전화번호 또는 고유 번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력부(130)는 AVN 장치(Audio Video Navigation)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는 모바일 기기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라 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의 정보를 프로세서(140)에 전달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160)는 차량(1)의 도어(100)를 잠그거나,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은 프로세서(140)가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도어 잠금의 해제를 시도하는 사용자(2)가 등록된 운전자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프로세서(140)는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도어 잠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카메라(110)가 촬영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횟수는 사용자 인증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는 횟수이다.
사용자(2)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확인하고,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에 비상 출입 모드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비상 출입 모드는 등록된 운전자 본인이 사용자 인증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여 차량(1) 출입이 불가능한 경우 다른 방법으로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하는 모드일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비상 출입 모드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입력 받으면 통신모듈(120)로 비상 출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모듈(120)이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 출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비상 출입 모드에서 프로세서(140)는 운전자 확인 정보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 확인 정보는 반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사람이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를 소지하고 있는 등록된 운전자인지 판단하는데 기초가 되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2)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를 통하여 운전자 확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2)는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카메라(110)를 제어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조건은 프로세서(140)가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에 기초하여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기준이 되는 조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 송신된 운전자 확인 정보에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가 대응하면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가 잠금 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의 정보 및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메모리(150)와 프로세서(140)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15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50)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3)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모듈(120)로 각종 신호를 송신하거나, 통신모듈(120)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3)는 수신한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3)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110)는 차량 외부에서 접근하는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1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 사이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 잠금 장치(160)를 제어하여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이미지는 도어(100)의 잠금 해제가 허용되는 등록된 운전자의 얼굴 이미지일 수 있다. 기준 이미지는 메모리(150)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기준 이미지가 존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1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 사이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카메라(110)는 다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다시 획득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다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반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도4a는 일 실시예에서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사용자(2)의 얼굴이 등록된 운전자의 얼굴인지 여부를 항상 옳게 판단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운전자의 외모 변화, 다양한 빛 환경 변화 등에 따라 등록된 운전자 본인이 사용자(2)인 경우에도 사용자 인증이 실패할 수 있다. 즉, 등록된 운전자 본인이 사용자 인증을 실패한 경우 등록된 운전자임에도 차량에 출입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등록된 운전자 본인이 사용자 인증을 실패하여 차량(1) 출입이 불가능한 경우에 다른 방법으로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카메라(110)가 촬영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수신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2)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2)는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가 자신의 얼굴 이미지임을 확인하고,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에 비상 출입 모드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비상 출입 모드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사용자(2)로부터 입력 받으면 통신모듈(120)로 비상 출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모듈(120)이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 출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서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부터 정지 신호를 수신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증을 연속적으로 실패하는 경우 차량(1) 탈취의 의도를 가진 사람이 반복해서 사용자 인증을 하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 이때, 등록된 운전자는 차량(1) 도난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4b를 참조하면,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사용자(2)가 사용자 인증을 실패하는 경우에 등록된 운전자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카메라(110)가 촬영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수신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등록된 운전자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확인하고,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에 사용자 인증의 수행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사용자 인증의 수행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입력 받으면 통신모듈(120)로 정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모듈(120)이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부터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의 수행을 정지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6은 각 예시에 따라 비상 출입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통신모듈(120)이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 출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운전자 확인 정보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운전자 확인 정보를 수신하면 운전자 확인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2)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를 통하여 운전자 확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2)는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비상 출입 모드에서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카메라(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가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되면 도어 잠금 장치(160)를 제어하여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인증번호에 대응되는 제스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운전자 확인 정보는 임의의 인증번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임의의 인증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인증번호는 1, 2, 3, 4 및 5 중에서 임의로 결정된 숫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임의의 인증번호로 숫자2를 결정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2에 해당하는 운전자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2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2)는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하고, 2에 대응되는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에 대응되는 제스처는 사용자(2)가 손가락으로 2를 나타내는 제스처일 수 있다.
카메라(110)가 획득한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는 손가락으로 2를 나타내는 제스처 이미지이고, 이는 2에 해당하는 인증번호에 대응되므로, 프로세서(140)는 도어 잠금 장치(160)를 제어하여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복수개의 숫자에 각각 대응되는 제스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인증번호는 임의의 복수개의 숫자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임의의 복수개의 숫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복수개의 숫자는 1, 2, 3, 4 및 5 중에서 임의로 결정된 복수개의 숫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임의의 복수개의 숫자로 숫자 5, 1 및 3을 결정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5, 1 및 3에 해당하는 운전자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5, 1 및 3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2)는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하고, 5, 1 및 3에 대응되는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카메라(110)가 획득한 사용자(2)의 복수개의 제스처 이미지는 손가락으로 5, 1 및 3을 나타내는 제스처 이미지들이고, 이는 5, 1 및 3에 해당하는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되므로, 프로세서(140)는 도어 잠금 장치(160)를 제어하여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 및 임의의 인증번호에 기초하여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각 숫자를 나타내는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를 이용한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에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카메라(110)가 획득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느 방식이라도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2)의 제스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운전자 확인 정보는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제스처는 다양한 손 제스처 중 임의로 결정된 손 제스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로 손바닥을 편 제스처를 결정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손바닥을 편 제스처에 해당하는 운전자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손바닥을 편 제스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2)는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하고, 손바닥을 편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카메라(110)가 획득한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는 손바닥을 편 제스처 이미지이고, 이는 손바닥을 편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에 대응되므로, 프로세서(140)는 도어 잠금 장치(160)를 제어하여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 및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에 기초하여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임의로 정해진 하나의 제스처 이미지를 이용한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에 표시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사용자(2)의 제스처를 카메라(110)가 획득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느 방식이라도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절차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110)는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1001). 이때, 카메라(110)는 사용자(2)가 도어 핸들(101)을 터치한 경우에 웨이크 업 할 수 있거나,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110)가 웨이크 업 하거나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시점이 사용자(2)가 도어 핸들(101)을 터치한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110)는 획득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프로세서(14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1002).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1003).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1003의 '예') 프로세서(140)는 도어 잠금 장치(160)를 제어하여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면(1003의 '아니오') 프로세서(140)는 누적된 사용자 인증 실패 횟수를 카운트한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와 동일한 지 판단할 수 있다(1004).
사용자 인증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와 동일하지 않으면(1004의 '아니오') 카메라(110)는 다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프로세서(140)는 다시 획득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다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와 동일하면(1004의 '예') 프로세서(140)는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1005). 이때,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수신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2)는 표시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적절한 명령을 선택하여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에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2)는 표시된 얼굴 이미지가 등록된 운전자의 이미지이면 비상 출입 모드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등록된 운전자는 표시된 얼굴 이미지가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사람의 이미지이면 사용자 인증의 수행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비상 출입 모드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입력 받으면 통신모듈(120)로 비상 출입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의 수행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입력 받으면 통신모듈(120)로 정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120)이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면(1006의 '예') 프로세서(140)는 운전자 확인 정보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 송신할 수 있다(1007). 이때, 운전자 확인 정보는 임의의 인증 번호 또는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일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운전자 확인 정보를 수신하면 운전자 확인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2)는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카메라(110)를 제어할 수 있다(1008).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가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09).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가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되지 않으면(1009의 '아니오') 도어(100)의 잠금은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2)의 제스처 이미지가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되면(1009의 '예') 프로세서(140)는 도어 잠금 장치(160)를 제어하여 도어(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1010).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정지시키고 다시 수행시키는 절차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모듈(120)은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1006의 '아니오') 정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011).
통신모듈(120)이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로부터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증의 수행을 정지한다(1012). 이때, 프로세서(140)는 획득한 사용자(2)의 얼굴 이미지를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의 수행이 정지되면 사용자(2)의 얼굴 인증을 통한 도어(100) 잠금 해제는 불가능할 수 있다.
등록된 운전자는 추후 자신의 얼굴 인증을 통하여 도어(100) 잠금을 해제하고자 할 수 있다. 등록된 운전자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에 사용자 인증을 다시 수행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3)는 통신모듈(120)로 정지 해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모듈(120)이 정지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1013의 '예') 사용자 인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1014).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100: 도어
101: 도어 핸들
110: 카메라
120: 통신모듈
130: 입력부
140: 프로세서
150: 메모리
160: 도어 잠금 장치
170: B-필라(B-pillar)
180: A-필라(A-pillar)
2: 사용자
3: 모바일 기기

Claims (19)

  1. 차량 외부에서 접근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바일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잠금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잠금 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운전자 확인 정보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차량.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인증번호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임의의 인증번호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차량.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의 수행을 정지하는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지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을 다시 수행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B-필라(B-pillar) 또는 A-필라(A-pillar)에 마련되는 차량.
  11. 카메라가 차량 외부에서 접근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비상 출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잠금 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운전자 확인 정보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운전자 확인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인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임의의 인증번호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임의의 인증번호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인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를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이미지가 상기 임의의 제스처 이미지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인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의 수행을 정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지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을 다시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200113675A 2020-09-07 2020-09-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2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75A KR20220032191A (ko) 2020-09-07 2020-09-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7/210,286 US11643853B2 (en) 2020-09-07 2021-03-23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2110438132.2A CN114241628A (zh) 2020-09-07 2021-04-22 车辆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75A KR20220032191A (ko) 2020-09-07 2020-09-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91A true KR20220032191A (ko) 2022-03-15

Family

ID=8047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675A KR20220032191A (ko) 2020-09-07 2020-09-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43853B2 (ko)
KR (1) KR20220032191A (ko)
CN (1) CN1142416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1420B2 (ja) * 2020-01-15 2024-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開閉体動作方法
JP7419123B2 (ja) * 2020-03-18 2024-0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用プログラム
JP7181331B2 (ja) * 2021-03-24 2022-1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242031A1 (en) * 2022-01-31 2023-08-03 The CornHer Office, LLC Mobile child-related facil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4735B (zh) * 2016-06-27 2019-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车载系统及车辆设施的调整方法
US20190251539A1 (en) * 2018-02-09 2019-08-15 Mastercard Asia/Pacific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transanction
US11383676B2 (en) * 2018-05-31 2022-07-12 Shanghai Sensetime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Vehicles, vehicle door unlocking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es, and vehicle door unlocking systems
US11180113B1 (en) * 2020-05-21 2021-11-23 Micron Technology, Inc. Security notification based on biometric ident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43853B2 (en) 2023-05-09
US20220074242A1 (en) 2022-03-10
CN114241628A (zh)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2191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5630318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US20140365032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remote parking
JP7038611B2 (ja) プログラム、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解錠システム
US11568032B2 (en)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US1119489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223430A (zh) 一种电子门锁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门锁
CN110853199A (zh) 基于生物识别的智能锁
US20210229633A1 (en) Biometric user authenticating keys for vehicles and methods of use
CN109249898B (zh) 认证装置及认证方法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862431A (zh) 权限控管系统
JP4578984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CN114511948A (zh) 卡片钥匙及利用卡片钥匙的车辆控制方法
US10762184B2 (en) Authentication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KR100665351B1 (ko) 임시 인증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그에따른 인증 방법
US20240166165A1 (en) Facial recognition entry system with secondary authentication
US20230110528A1 (en) Data erasing device and data erasing method
KR20230139484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2304427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210043791A (ko) 차량상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5563596A (zh) 解锁控制方法、装置
KR20220094721A (ko) 차량 운행을 위한 인증 방법
JP2023129909A (ja) 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