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750A -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750A
KR20220030750A KR1020200112451A KR20200112451A KR20220030750A KR 20220030750 A KR20220030750 A KR 20220030750A KR 1020200112451 A KR1020200112451 A KR 1020200112451A KR 20200112451 A KR20200112451 A KR 20200112451A KR 20220030750 A KR20220030750 A KR 20220030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er
coil mat
side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길성
Original Assignee
한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길성 filed Critical 한길성
Priority to KR102020011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750A/ko
Publication of KR2022003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29C48/906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using roller cal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2Floor coverings
    • B29L2031/732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부의 몸체에 형성되는 이동홈을 투입구 측에서 하부로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재료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배출판의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균일한 코일매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료가 공급되는 공급부(20)와; 상기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재료를 압출하여 복수의 스트랜드로 배출하기 위한 압출부(30)와; 상기 압출부(30)의 하부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압출부(30)를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통과하는 한쌍의 롤러(42)를 갖는 롤러부(40)와; 상기 압출부(30)의 하부 끝단에서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롤러부(40)의 외측에 설치되고, 외부의 열풍을 차단하기 위한 열풍차단부(50)와; 상기 롤러부(40)의 롤러(42)가 설정된 위치만큼 잠기도록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고, 상기 롤러부(40)를 통과한 스트랜드가 냉각수에 의해 제조된 코일매트(100)가 수용되는 저장부(60)와; 상기 저장부(60)의 상부 모서리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40)와 열풍차단부(50)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일매트의 제조장치{Equipment for manufacturing coil mats}
본 발명은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압출부의 몸체에 형성되는 이동홈을 투입구 측에서 하부로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재료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배출판의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균일한 코일매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매트는 통풍성이 좋고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침대용 매트, 바닥매트, 쿠션방석, 차량용 매트 등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일매트는 이미 수십여년전에 미국 3M사에서 제조판매 되었고, 이후 일본의 RISDAN사에서도 제조판매 하고 있었으며, 이와 유사한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가 국내에 알려져 있다.
상기의 제조장치는 특허문헌 1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의 플로어 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속복합진동장치(6)에 의해 압출기(a)의 호퍼 및 다이의 노즐을 통해 나온 스트랜드를 연속복합 진동장치(7)에 부착된 탱크(b)에 설치된 로울러(1), (2)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며 로울러(1)은 수면에 거의 맞닿고 로울러(2)는 로울러(1)와 같거나 높게 위치한 1쌍의 로울러 상 및 로울러 사이의 수면에 낙하시키고, 이를 로울러(1), (2)를 통과시켜 교락시킨 후, 로울러(3), (4)를 통과시킨 후, 졸코팅으로 스트랜드 상호간 교접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들은 대부분이 복합 진동장치에 의하여 스트랜드 상호간의 교접시켜 쿠션매트를 구성하도록 되어있어 그 장치가 복잡하여 고장률이 많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1986-0000955호(1986년 02월 20일 공개) 플로어 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압출부의 몸체에 형성되는 이동홈을 투입구 측에서 하부로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재료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배출판의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균일한 코일매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코일매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롤러부의 롤러의 외측에 메쉬를 형성함으로써 압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롤러에 달라붙지 않고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저장조의 냉각수로 낙하되어 코일매트로 제조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코일매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재료가 공급되는 공급부(20)와; 상기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재료를 압출하여 복수의 스트랜드로 배출하기 위한 압출부(30)와; 상기 압출부(30)의 하부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압출부(30)를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통과하는 한쌍의 롤러(42)를 갖는 롤러부(40)와; 상기 압출부(30)의 하부 끝단에서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롤러부(40)의 외측에 설치되고, 외부의 열풍을 차단하기 위한 열풍차단부(50)와; 상기 롤러부(40)의 롤러(42)가 설정된 위치만큼 잠기도록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고, 상기 롤러부(40)를 통과한 스트랜드가 냉각수에 의해 제조된 코일매트(100)가 수용되는 저장부(60)와; 상기 저장부(60)의 상부 모서리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40)와 열풍차단부(50)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서 상기 압출부(30)는 상부에 상기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11)를 갖고, 상기 투입구(311)의 하부 끝단에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311)를 통해 투입되는 재료가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이동홈(312)을 갖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홈(312)을 통해 이동하는 재료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홀(321)을 갖는 배출판(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서 상기 몸체(31)는 투입구(311)를 중심으로 상기 저장부(60)의 좌우방향으로 분할되어 전측몸체(31a)와 후측몸체(31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서 상기 몸체(31)의 이동홈(312)은 상기 투입구(311) 측에서 하부로 좁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서 상기 배출판(32)의 배출홀(321)은 상부에 비해 하부가 좁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서 상기 롤러부(40)는 구동모터(41)와; 상기 압출부(30)의 하부에 양측으로 이격되고, 회전축(421)이 상기 고정프레임(7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421)의 끝단에 형성되는 스프로킷(422)을 갖는 한쌍의 롤러(42)와; 상기 롤러(42)와 이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7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스프로킷(43)과; 상기 구동모터(41), 상부롤러(42)의 스프로킷(422), 회전스프로킷(43)을 연결하는 체인(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서 상기 상부롤러(4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서 상기 상부롤러(42)는 외측에 메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서 상기 열풍차단부(50)는 상기 압출부(30)의 하부 끝단에서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7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51)과; 상기 프레임(51)의 외측에 고정되는 스크류봉(52)과; 상기 스크류봉(52)이 관통하고, 내부에 상기 스크류봉(52)과 물리도록 형성되는 베벨기어를 갖는 기어박스(53)와; 상기 기어박스(53)의 베벨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54)와; 상기 프레임(51)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부의 열풍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압출부의 몸체에 형성되는 이동홈을 투입구 측에서 하부로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재료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배출판의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균일한 코일매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부의 롤러의 외측에 메쉬를 형성함으로써 압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롤러에 달라붙지 않고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저장조의 냉각수로 낙하되어 코일매트로 제조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코일매트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코일매트 제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코일매트 제조장치에서 압출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코일매트 제조장치에서 압출부의 몸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코일매트 제조장치에서 압출부의 배출판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코일매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코일매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코일매트 제조장치(10)는 공급부(20), 압출부(30), 롤러부(40), 열풍차단부(50), 저장부(60), 고정프레임(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급부(20)는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재료가 투입되는 호퍼(21)와 호퍼(21)를 통해 투입된 재료가 이송되는 이동통로(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재료는 폴리에틸렌(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압출부(30)는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재료를 압출하여 복수의 스트랜드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프레임(200) 상에 설치되어 공급부(20)로부터 재료를 공급받도록 한다.
압출부(30)는 상부에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11)를 갖고, 투입구(311)의 하부 끝단에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입구(311)를 통해 투입되는 재료가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이동홈(312)을 갖는 몸체(31)와, 몸체(31)의 하부에 결합되고, 이동홈(312)을 통해 이동하는 재료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홀(321)을 갖는 배출판(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출판(32)의 배출홀(321)을 통해 배출되는 재료는 스트랜드이다.
몸체(31)는 투입구(311)를 중심으로 저장부(60)의 좌우방향으로 분할되어 전측몸체(31a)와 후측몸체(31b)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측몸체(31a)와 후측몸체(31b)가 합쳐져 내부에 투입구(311) 및 이동홈(312)이 형성되어 진다. 이때, 이동홈(3112)은 투입구(311) 측에서 하부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진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홈(312)의 투입구(311) 측의 두께(t₁)은 하부의 두께(t₂)에 비해 두껍도록 형성되어 진다. 이는 이동홈(312)을 따라 이동하는 재료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배출판(32)의 배출홀(321)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몸체(31)는 이동홈(312)의 하부에 배출판(32)이 결합되도록 결합턱(313)이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결합턱(313)은 몸체(31)의 두께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전측몸체(31a)와 후측몸체(31b)가 결합시 전측몸체(31a)와 후측몸체(31b)의 결합턱(31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배출판(32)의 배출홀(321)이 위치되어 배출판(32)의 배출홀(321)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는 공간을 통과하여 롤러부(40)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몸체(31)의 양측면에는 외부의 열풍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33)이 설치되어 몸체(31)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열풍차단부(50)가 전후측의 열풍을 차단하고, 몸체(31)에 설치되는 차단막(33)은 양측의 열풍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차단막(33)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배출판(32)은 복수개의 배출홀(321)이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플랜지(322)가 형성된 것으로, 배출판(32)은 몸체(31)의 이동홈(312)의 하부에서 결합턱(313)에 걸리어 몸체(31)에 결합되어 진다. 이때, 배출판(32)의 배출홀(321)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의 직경(d₁)은 하부의 직경(d₂)에 비해 넓도록 형성되어 진다. 이는 이동홈(312)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에 압력이 가해져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스트랜드를 더욱 가늘게 배출되도록 하여 코일매트(100)의 쿠션력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롤러부(40)는 압출부(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압출부(30)를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통과하는 것으로, 구동모터(41), 롤러(42), 회전스프로킷(43), 체인(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모터(41)는 롤러(4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41)는 저장부(60)의 상부에 설치되어 롤러(42)와 체인(44)을 통해 연결되어 진다.
롤러(42)는 압출부(30)의 하부에 양측으로 이격되고, 회전축(421)이 고정프레임(7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회전축(421)의 끝단에 형성되는 스프로킷(422)을 갖는 것으로,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롤러(42)는 외측에 메쉬가 형성되어 진다.
한편,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롤러(42)는 회전하는 방향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한쌍의 롤러(42)는 필요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어 코일매트(10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스프로킷(43)은 롤러(42)와 이격되어 고정프레임(7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체인(44)은 구동모터(41),롤러(42)의 스프로킷(422), 회전스프로킷(43)을 연결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10)에서 롤러(42)의 하부에 롤러(42) 사이를 통과하는 스트랜드가 저장부(60)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코일매트(100)로 제조되고, 제조된 코일매트(100)를 이송시키기 위한 보조롤러(45)가 설치되어 진다.
열풍차단부(50)는 압출부(30)의 하부 끝단에서 양측으로 이격되어 롤러부(40)의 외측(전측과 후측)에 설치되고, 외부의 열풍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압출부(30)의 하부 끝단에서 양측으로 이격되어 고정프레임(7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51)과, 프레임(51)의 외측에 고정되는 스크류봉(52)과, 스크류봉(52)이 관통하고, 내부에 스크류봉(52)과 물리도록 형성되는 베벨기어를 갖는 기어박스(53)와, 기어박스(53)의 베벨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54)와, 프레임(51)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부의 열풍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열풍차단부(50)는 롤러부(40)의 롤러(42)의 간격이 조절될 시 이와 대응하여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즉, 열풍차단부(50)는 손잡이(54)를 회전시키면 기어박스(53) 내의 베벨기어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베벨기어와 맞물려 있는 스크류봉(52)이 회전하면서 프레임(51)이 이동하면서 간격이 조절되어 진다.
한편, 열풍차단부(50)는 프레임(51)의 하부에 돌출구(56)를 형성하여 고정프레임(7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75)에 돌출구(56)가 위치되어 슬라이딩홈(75)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저장부(60)는 롤러부(40)의 롤러(42)가 설정된 위치만큼 잠기도록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고, 롤러부(40)를 통과한 스트랜드가 엉혀 제조된 코일매트(100)가 수용된다.
고정프레임(70)은 저장부(60)의 상부 모서리 양측에 설치되고, 롤러부(40)와 열풍차단부(50)가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저장부(60)의 후측 모서리 부분과 이로부터 전측으로 이격되어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71)과, 고정판(71)의 내측에 상부로 형성되고, 열풍차단부(50)의 스크류봉(52)이 관통하여 지지되는 지지판(72)과, 지지판(72)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판(73)과, 수평판(73)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롤러부(40)의 롤러(42)와 보조롤러(45)의 회전축(421), 451)이 관통하는 관통홀(도면 번호 미도시)이 형성된 수직판(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평판(73)의 상면에는 열풍차단부(50)의 돌출구(56)가 안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딩홈(75)이 형성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10)에 의하면, 압출부(30)의 몸체(31)에 형성되는 이동홈(312)을 투입구(311) 측에서 하부로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홈(312)을 따라 이동하는 재료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배출판(32)의 배출홀(321)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균일한 코일매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부(40)의 롤러(42)의 외측에 메쉬를 형성함으로써 압출부(30)를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롤러(42)에 달라붙지 않고 롤러(42) 사이를 통과하여 저장조의 냉각수로 낙하되어 코일매트(100)로 제조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10)를 통해 코일매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공급부(20)의 호퍼(21)를 통해 재료가 투입되면 이동통로(22)를 통해 재료는 이동하게 된다. 이후, 재료는 압출부(30)의 투입구(311)를 통해 투입되어 몸체(31)의 이동홈(312)을 통해 이동하고, 배출판(32)의 배출홀(321)을 통해 롤러부(40)의 롤러(42) 사이로 낙하하게 된다. 압출부(30)의 배출판(32)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는 롤러부(40)의 롤러(42) 사이에서 약간 지체후 롤러(42)의 회전에 의해 저장부(60)로 낙하하고, 저장부(60)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면서 코일매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보조롤러(45)에 의해 코일매트는 이송되어 별도의 작업공정을 통해 침대용 매트, 바닥매트, 쿠션방석, 차량용 매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매트의 제조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20 : 공급부 30 : 압출부
31 : 몸체 311 : 투입구
312 : 이동홈 32 : 배출판
321 : 배출홀 40 : 롤러부
41 : 구동모터 42 : 롤러
421 : 회전축 422 : 스프로킷
43 : 회전스프로킷 44 : 체인
50 : 열풍차단부 51 : 프레임
52 : 스크류봉 53 : 기어박스
54 : 손잡이 55 : 차단막
60 : 저장부 70 : 고정프레임
100 : 코일매트

Claims (9)

  1. 재료가 공급되는 공급부(20)와;
    상기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재료를 압출하여 복수의 스트랜드로 배출하기 위한 압출부(30)와;
    상기 압출부(30)의 하부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압출부(30)를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가 통과하는 한쌍의 롤러(42)를 갖는 롤러부(40)와;
    상기 압출부(30)의 하부 끝단에서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롤러부(40)의 외측에 설치되고, 외부의 열풍을 차단하기 위한 열풍차단부(50)와;
    상기 롤러부(40)의 롤러(42)가 설정된 위치만큼 잠기도록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고, 상기 롤러부(40)를 통과한 스트랜드가 냉각수에 의해 제조된 코일매트(100)가 수용되는 저장부(60)와;
    상기 저장부(60)의 상부 모서리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40)와 열풍차단부(50)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30)는 상부에 상기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11)를 갖고, 상기 투입구(311)의 하부 끝단에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311)를 통해 투입되는 재료가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이동홈(312)을 갖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홈(312)을 통해 이동하는 재료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홀(321)을 갖는 배출판(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는 투입구(311)를 중심으로 상기 저장부(60)의 좌우방향으로 분할되어 전측몸체(31a)와 후측몸체(31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의 이동홈(312)은 상기 투입구(311) 측에서 하부로 좁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32)의 배출홀(321)은 상부에 비해 하부가 좁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40)는 구동모터(41)와;
    상기 압출부(30)의 하부에 양측으로 이격되고, 회전축(421)이 상기 고정프레임(7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421)의 끝단에 형성되는 스프로킷(422)을 갖는 한쌍의 롤러(42)와;
    상기 롤러(42)와 이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7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스프로킷(43)과;
    상기 구동모터(41), 상부롤러(42)의 스프로킷(422), 회전스프로킷(43)을 연결하는 체인(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4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42)는 외측에 메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차단부(50)는 상기 압출부(30)의 하부 끝단에서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7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51)과;
    상기 프레임(51)의 외측에 고정되는 스크류봉(52)과;
    상기 스크류봉(52)이 관통하고, 내부에 상기 스크류봉(52)과 물리도록 형성되는 베벨기어를 갖는 기어박스(53)와;
    상기 기어박스(53)의 베벨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54)와;
    상기 프레임(51)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부의 열풍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KR1020200112451A 2020-09-03 2020-09-03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KR20220030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451A KR20220030750A (ko) 2020-09-03 2020-09-03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451A KR20220030750A (ko) 2020-09-03 2020-09-03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50A true KR20220030750A (ko) 2022-03-11

Family

ID=8081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451A KR20220030750A (ko) 2020-09-03 2020-09-03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07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4572A (zh) * 2022-08-15 2022-11-04 济宁金筑工贸有限公司 一种挤塑机
KR102541503B1 (ko) * 2023-02-15 2023-06-13 강희정 다중 경도 방식의 매트리스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955A (ko) 1984-07-24 1986-02-20 구자학 플로어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955A (ko) 1984-07-24 1986-02-20 구자학 플로어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4572A (zh) * 2022-08-15 2022-11-04 济宁金筑工贸有限公司 一种挤塑机
KR102541503B1 (ko) * 2023-02-15 2023-06-13 강희정 다중 경도 방식의 매트리스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0750A (ko)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EP2894246B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CN110948912B (zh) 一种热塑性连续碳纤维单向带的生产设备及生产工艺
US7625629B2 (en) Three-dimensional net-like struc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hree dimensional net-like structure
US8563121B2 (en) Three-dimensional netted structure having four molded surfaces
KR970009038B1 (ko) 합성수지펠리타이징기계
CN1612961A (zh) 泡沫成形的方法和设备
JP5959033B2 (ja) 立体網状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立体網状構造体の製造装置
US88282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etted structure
KR101158554B1 (ko) 촉매펠렛제조장치
US82772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etted structure
JP2015143406A (ja) 立体網状構造体製造装置及び立体網状構造体製造方法
KR101160787B1 (ko) 물세탁이 가능한 침대 메트리스 성형장치
JPH02139218A (ja) 熱可塑性強化シート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6205583A (ja) ゴム混練設備及びゴム混練方法
KR101034641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보강재의 제조장치
JPH0516138A (ja) 繊維強化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88090A1 (ja) 網状構造体製造装置及び網状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70055847A (ko) 매트리스 성형장치를 이용한 베개 제조방법
JPH04366627A (ja) 繊維強化シート
JP2019189972A (ja) 編成樹脂構造体整形機、編成樹脂構造体形成機、編成樹脂構造体製造装置、及び編成樹脂構造体製造方法
RU270930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ври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24071296A1 (ja) フィラメント3次元結合体の製造装置
CN214926928U (zh) 一种塑料挤出机用进料装置
NL2032032B1 (en) Method for decolouring and colouring thermoplas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