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616A -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616A
KR20220030616A KR1020200112196A KR20200112196A KR20220030616A KR 20220030616 A KR20220030616 A KR 20220030616A KR 1020200112196 A KR1020200112196 A KR 1020200112196A KR 20200112196 A KR20200112196 A KR 20200112196A KR 20220030616 A KR20220030616 A KR 20220030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weight
parking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용
강윤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엠씨
Priority to KR102020011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616A/ko
Publication of KR2022003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감지 스톱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는, 차량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 상기 중량센서가 매립되는 바닥부; 상기 중량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고 상기 통신부를 수용하며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공간에 차량의 주차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주차관리에 이용할 수 있는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마트나 공항 등과 같은 대형 주차장에서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주차구역마다 주차된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여 주차 가능한 차량수를 시각적 정보로 안내해주고 있다.
이와 같이 주차 유무를 검지하기 위해서 각 주차구역의 상부에 설치하는 초음파 센서나 바닥면에 설치하는 지자기 센서 등을 장착하거나 카메라를 장착하여 검지하였으나, 센서나 카메라는 물론 이들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해야만 하며, 이로 인한 작업시간과 비용증가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루프 코일 형태의 검지장치를 설치하기도 하였으며, 등록실용신안 제20-0354169호(주차관리시스템)에 루프코일 형태의 차량감지장치가 소개된 바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54169호(주차관리시스템)는 차량의 입차 구역과 출차 구역에 루프코일 형태의 검지장치를 매설시킨 형태로써, 설정된 위치의 지면을 굴착하고, 현장에서 굴착된 지면에 작업자가 루프코일을 권선하여 연결하며, 권선된 루프코일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굴착된 지면을 다시 복구하거나, 실런트 등을 주입하여 마감처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는 현장에서의 작업량이 많아지고 작업자가 굴착된 지면에 코일을 직접 권선하는 작업 형태로써,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검지동작의 오차범위 조절도 현장에서 수행해야 하므로 정밀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성도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비용을 절감시키면서도 차량의 주차 대수를 정확히 파악하여 주차 여유공간을 파악할 수 있는 주차감지수단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날씨 등 외부 환경요인에 구애받지 않고 주차공간별로 차량의 주차유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다.
둘째, 중량정보를 토대로 경차 또는 대형차를 전용 주차장으로 유도하여 효율적인 공간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차종별로 요금을 합리적으로 책정할 수 있어 주차장의 효율적 경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중량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중량값 이상으로 측정되면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보를 발송하는 차량감지 스톱바; 상기 주차여부 측정장치에서 발송된 신호 및 함께 전송된 고유의 식별자를 통해 해당 구역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 관리 서버; 및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차가능 공간과 주차불가 공간을 구분하여 안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날씨등 외부 환경요인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주차감지가 가능하다.
둘째, 중량정보를 토대로 경차 또는 대형차를 전용 주차장으로 유도하여 효율적인 공간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차종별로 요금을 합리적으로 책정할 수 있어 주차장의 효율적 경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의 내부를 표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예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 4는 타이어의 규격을 설명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표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의 내부를 표시한 것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는, 차량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11); 중량센서(11)가 매립되는 바닥부(10); 중량센서(1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21); 및 바닥부(10)와 연결되고 통신부(21)를 수용하며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20)를 포함한다.
중량센서(11)는 로드셀(load cell)이다. 로드셀은 힘(Force)이나 하중(Load)과 같은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감지기)이다. 로드셀에 힘이 가해지면 그 힘만큼 전기 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표시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컴퓨터 장치 등으로 전기신호를 재해석하면 kg, g 등의 단위로 중량을 표시할 수 있다. 중량센서(11)는 바닥부(10)에 매립되어있다.
통신부(21)는 중량센서(11)에서 전송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통신부(21)는 이동제한부(20)에 매립되어 있다. 바닥부(10)의 위에는 차량의 타이어가 위치하여, 타이어뿐 아니라 타이어가 지지하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예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 4는 타이어의 규격을 설명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는, 바닥부(10)는 이동제한부(20)에 의해 타이어가 정지하면 타이어에 의해 눌림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바닥부(10)는 이동제한부(20)와 연결되어 있다. 이동제한부(20)는 차량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동제한부(20)는 타이어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닥부(10)는 이동제한부(20)에 의해 멈춰진 타이어에 의해 눌려진다. 바닥부(10)에 매립된 중량센서(11)는 타이어 및 타이어가 지지하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한다.
중량센서(11)는 바닥부(10)에 복수로 배치되며, 복수의 중량센서(11)들의 간격은 타이어의 단면 폭 보다 좁게 배치된다. 차량의 주차위치는 정확하지 않고 주차공간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칠 수 있으므로 중량센서(11)는 복수로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표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3 및 4를 참조하면, 이동제한부(20)의 높이는 타이어의 단면높이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동제한부(20)는 타이어가 이동제한부(20)를 타고 넘어가지 않도록 충분히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제한부(20)는 바닥부(10)와의 연결부분에서부터 위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다. 이동제한부(2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타이어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는, 바닥부(10)와 이동제한부(20)는 'L' 형상으로 연결된다. 이동제한부(20)에 의해 걸림된 타이어는 이동제한부(20)의 하측과 연결되어 주차공간을 향해 연장된 바닥부(10)를 누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는, 중량센서(11)가 측정한 중량 값이 일정 크기 이상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중량센서(11)의 측정값이 일정 크기 이상이면 차량으로 인식한다. 제어부는 중량센서(11)가 측정한 중량이 동일하게 유지되는지 판단하여 주차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중량센서(11)의 측정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주차로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표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중량센서(11)의 측정값이 일정시간, 일정한 값 이상으로 측정되면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보를 발송하는 차량감지 스톱바(100); 주차여부 측정장치에서 발송된 신호 및 함께 전송된 고유의 식별자를 통해 해당 구역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 관리 서버(200); 및 주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차가능 공간과 주차불가 공간을 안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차량감지 스톱바(100)에 포함된 제어부는 측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인지, 측정값이 일정크기 이상인지, 측정한 중량값이 일정크기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는 차량이 아닌 화물, 사람 등으로 인한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에서 전송된 식별자를 통해 주차위치를 확인한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중량에 따른 차종을 판단한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주차된 차량이 주차위치에 적합한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주차 관리 서버(200)는 대형차가 경차 구역에 주차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주차이동을 요청한다. 또한 경차가 대형차 또는 중형차 구역에 주차한 경우 주차비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음을 통지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예약된 차량의 차종에 따른 차폭을 고려하여 정해진 구역을 표기하고, 주차 관리 서버(200)는, 정해진 구역에서 측정된 차량의 중량이 미리 정해진 중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위치 변경을 통지한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차종별, 차의 크기별로 다르게 정해진 주차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경차의 주차비를 중형차 또는 대형차의 주차비보다 높게 책정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요금을 안내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측정된 차량 중량에 대한 정보를 통해 차종을 판단하여 주차요금을 다르게 책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중량센서(11)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중량값 이상으로 측정되면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보를 발송하는 차량감지 스톱바(100); 주차여부 측정장치에서 발송된 신호 및 함께 전송된 고유의 식별자를 통해 해당 구역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 관리 서버(200); 및 주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차위치와, 중량에 의해 예상된 차종에 따른 시간별 요금을 안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중량센서(11)가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중량센서의 측정시간 및 측정값인 중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지 판단한 후 정해진 값 이상이면 통신부가 해당 차량감지 스톱바의 식별자 및 차량중량을 주차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0); 서버가 전송된 정보와 전송시간을 토대로 주차여부 확인 및 전송된 차량을 예측하는 단계(S200); 해당구역과 안내된 차량의 주차구역이 일치하면 주차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주차정보 및 요금을 안내하는 단계(S300); 및 퇴차시 요금을 산정하고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단계(S400)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적절한 주차위치(예를 들어, 경차, 중형차, 대형차)를 미리 안내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위치에 따라 요금을 다르게 책정하여 주차자의 주차위치가 통보된 곳에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영상센서는 차량의 번호판을 감지하여 주차 관리 서버(200)에 통지한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주차위치를 안내한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정해진 주차공간까지 차량의 이동시간을 예측한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예측시간과 차량감지 스톱바(1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 차량중량 등을 토대로 해당차량이 안내된 주차공간에 주차한 것인지 판단한다. 이후 주차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안내된 주차공간과 실제주차공간이 동일하다는 점을 애플리케이션으로 안내하고 예상 시간별 요금을 통지한다.
만약 예측시간과 차량감지 스톱바(1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 차량중량을 통해서 해당차량이 안내된 주차공간이 아닌 다른 공간에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애플리케이션으로 추가요금이 부과될 수도 있음을 안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바닥부
11: 중량센서
20: 이동제한부
21: 통신부
100: 차량감지 스톱바
200: 주차 관리 서버

Claims (5)

  1. 차량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와 중량센서가 매립되는 바닥부와 중량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와 바닥부와 연결되고 통신부를 수용하며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중량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중량값 이상으로 측정되면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보를 발송하는 주차여부 측정장치;
    상기 주차여부 측정장치에서 발송된 신호 및 함께 전송된 고유의 식별자를 통해 해당 구역의 주차여부 및 주차장 내부에 진입하였으나 주차 완료신호를 송신하지 않은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주차 관리 서버; 및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주차 완료신호를 송신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가능 공간과 주차불가 공간을 구분하여 안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예약된 차량의 차종에 따른 차폭을 고려하여 정해진 구역을 표기하고,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정해진 구역에서 측정된 차량의 중량이 미리 정해진 중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위치 변경을 통지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측정된 차량 중량에 대한 정보를 통해 차종을 판단하여 주차요금을 다르게 책정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4. 중량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중량값 이상으로 측정되면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보를 발송하는 차량감지 주차여부 측정장치;
    상기 주차여부 측정장치에서 발송된 신호 및 함께 전송된 고유의 식별자를 통해 해당 구역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 관리 서버; 및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차위치와, 중량에 의해 예상된 차종에 따른 시간별 요금을 안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5. 차량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와 상기 중량센서가 매립되는 바닥부와 상기 중량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고 상기 통신부를 수용하며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및
    상기 이동제한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통하여 차량의 주차공간을 실시간 안내하는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KR1020200112196A 2020-09-03 2020-09-03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20220030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196A KR20220030616A (ko) 2020-09-03 2020-09-03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196A KR20220030616A (ko) 2020-09-03 2020-09-03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16A true KR20220030616A (ko) 2022-03-11

Family

ID=8081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196A KR20220030616A (ko) 2020-09-03 2020-09-03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06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2508A (en) Technique for facilitating and monitoring vehicle parking
US20180247534A1 (en) Integrated system for monitoring parking lot conditions
US20120236149A1 (en) Parking lot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101860302B1 (ko) 자기 진단 및 양방향 능동형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주차 유도시스템
CN111009043A (zh) 路边停车收费方法、停车收费系统及可读存储介质
US6922651B2 (en) On-board sensor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on-board sensor information using program
CN107945516A (zh) 车辆超限超载不停车检测系统
KR20130106028A (ko) 전기자동차 주차 및 충전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2213742B1 (ko) 주차 감지 장치 및 주차 관리 방법
CN210741640U (zh) 一种无人地磅系统
KR102291614B1 (ko) 차량감지 스톱바 및 주차관리 시스템
KR20220030616A (ko)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CN111049885A (zh) 物联网智能称重无人值守系统
JP2022105433A (ja) 車種決定システム、中央処理装置、及び車種決定方法
KR100738993B1 (ko)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258887A (zh) 一种停车场智能管控系统
KR101845311B1 (ko) Wim을 활용한 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방법
JPH09212799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2503058B1 (ko)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이용방법
KR102063496B1 (ko) 통행량과 통행인원 파악을 통한 예상 혼잡지표 산출시스템
CN111192373A (zh) 停车费用支付方法、系统及装置
KR950010724B1 (ko)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CN110901458A (zh) 一种智能电动汽车识别警示装置及方法
KR20050078521A (ko) 주차장 무인검지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