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058B1 -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058B1
KR102503058B1 KR1020210034590A KR20210034590A KR102503058B1 KR 102503058 B1 KR102503058 B1 KR 102503058B1 KR 1020210034590 A KR1020210034590 A KR 1020210034590A KR 20210034590 A KR20210034590 A KR 20210034590A KR 102503058 B1 KR102503058 B1 KR 10250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etermining
weight
parking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813A (ko
Inventor
강희용
강윤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스피비
강희용
강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스피비, 강희용, 강윤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스피비
Priority to KR102021003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0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B60W40/13Load or weigh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0Weight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데이터베이스 이용방법은, 주차장 입고시,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무게 비율을 근거로,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주차공간에서 차량 정차시, 제1 주차무게 데이터, 제2 주차무게 데이터를 근거로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 주차장에서 외부로 퇴장할 때,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무게 비율을 근거로,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입고목적 또는 상기 판단된 차량의 종류를 근거로 주차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이용방법{method of building a database of manless parking lot and using such a database}
본 발명은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을 관리하고, 그 데이터를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마트나 공항 등과 같은 대형 주차장에서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주차구역마다 주차된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여 주차 가능한 차량수를 시각적 정보로 안내해주고 있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02155호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주차 유무를 검지하기 위해서 각 주차구역의 상부에 설치하는 초음파 센서나 바닥면에 설치하는 지자기 센서 등을 장착하거나 카메라를 장착하여 검지하였으나, 센서나 카메라는 물론 이들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해야만 하며, 이로 인한 작업시간과 비용증가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카메라 등 시각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날씨나 기상환경으로 인한 오류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주차장 이용 차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 무인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의 진입 목적, 용도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주차장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날씨 등 외부 환경요인에 영향받지 않고 주차공간별로 차량의 주차유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다.
둘째, 차종이나 차량 이용 목적을 토대로 전용 주차장으로 유도하여 효율적인 공간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차종별로 요금을 합리적으로 책정할 수 있어 주차장의 효율적 경영이 가능하다.
넷째, 차량의 용도, 목적, 차량의 유입으로 인해 주차장 및 관련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이용방법은, 주차장 입고시,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무게 비율을 근거로,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주차공간에서 차량 정차시, 제1 주차무게 데이터, 제2 주차무게 데이터를 근거로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 주차장에서 외부로 퇴장할 때,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무게 비율을 근거로,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입고목적 또는 상기 판단된 차량의 종류를 근거로 주차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날씨등 외부 환경요인에 영향받지 않고 정확한 주차감지가 가능하다.
둘째, 무게정보를 토대로 경차 또는 대형차를 전용 주차장으로 유도하여 효율적인 공간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차종별로 요금을 합리적으로 책정할 수 있어 주차장의 효율적 경영이 가능하다.
넷째, 차량의 용도, 목적, 차량의 유입으로 인해 주차장 및 관련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의 사시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의 내부를 표시한 것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예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4 는 타이어의 규격을 설명한 것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표현한 것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의 사시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의 내부를 표시한 것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는,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11); 무게센서(11)가 매립되는 바닥부(10); 무게센서(1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21); 및 바닥부(10)와 연결되고 통신부(21)를 수용하며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20)를 포함한다.
무게센서(11)는 로드셀(load cell)이다. 로드셀은 힘(Force)이나 하중(Load)과 같은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감지기)이다. 로드셀에 힘이 가해지면 그 힘만큼 전기 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표시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컴퓨터 장치 등으로 전기신호를 재해석하면 kg, g 등의 단위로 무게를 표시할 수 있다. 무게센서(11)는 바닥부(10)에 매립되어있다.
통신부(21)는 무게센서(11)에서 전송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통신부(21)는 이동제한부(20)에 매립되어 있다. 바닥부(10)의 위에는 차량의 타이어가 위치하여, 타이어뿐 아니라 타이어가 지지하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한다.
도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예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4 는 타이어의 규격을 설명한 것이다.
도3 및 도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는, 바닥부(10)는 이동제한부(20)에 의해 타이어가 정지하면 타이어에 의해 눌림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바닥부(10)는 이동제한부(20)와 연결되어 있다. 이동제한부(20)는 차량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동제한부(20)는 타이어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닥부(10)는 이동제한부(20)에 의해 멈춰진 타이어에 의해 눌려진다. 바닥부(10)에 매립된 무게센서(11)는 타이어 및 타이어가 지지하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한다.
무게센서(11)는 바닥부(10)에 복수로 배치되며, 복수의 무게센서(11)들의 간격은 타이어의 단면 폭 보다 좁게 배치된다. 차량의 주차위치는 정확하지 않고 주차공간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칠 수 있으므로 무게센서(11)는 복수로 배치된다.
도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표현한 것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3 및 4를 참조하면, 이동제한부(20)의 높이는 타이어의 단면높이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동제한부(20)는 타이어가 이동제한부(20)를 타고 넘어가지 않도록 충분히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제한부(20)는 바닥부(10)와의 연결부분에서부터 위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다. 이동제한부(2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타이어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는, 바닥부(10)와 이동제한부(20)는 'L' 형상으로 연결된다. 이동제한부(20)에 의해 걸림된 타이어는 이동제한부(20)의 하측과 연결되어 주차공간을 향해 연장된 바닥부(10)를 누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감지 스톱바(100)는, 무게센서(11)가 측정한 무게 값이 일정 크기 이상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무게센서(11)의 측정값이 일정 크기 이상이면 차량으로 인식한다. 제어부는 무게센서(11)가 측정한 무게가 동일하게 유지되는지 판단하여 주차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무게센서(11)의 측정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주차로 판단한다.
도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표현한 것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5 및 도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무게센서(11)의 측정값이 일정시간, 일정한 값 이상으로 측정되면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보를 발송하는 차량감지 스톱바(100); 주차여부 측정장치에서 발송된 신호 및 함께 전송된 고유의 식별자를 통해 해당 구역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0); 및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차가능 공간과 주차불가 공간을 안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차량감지 스톱바(100)에 포함된 제어부는 측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인지, 측정값이 일정크기 이상인지, 측정한 무게값이 일정크기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는 차량이 아닌 화물, 사람 등으로 인한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서버(200)는 통신부(21)에서 전송된 식별자를 통해 주차위치를 확인한다. 서버(200)는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중량에 따른 차종을 판단한다. 서버(200)는 주차된 차량이 주차위치에 적합한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대형차가 경차 구역에 주차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주차이동을 요청한다. 또한 경차가 대형차 또는 중형차 구역에 주차한 경우 주차비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음을 통지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예약된 차량의 차종에 따른 차폭을 고려하여 정해진 구역을 표기하고, 서버(200)는, 정해진 구역에서 측정된 차량의 무게가 미리 정해진 무게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위치 변경을 통지한다.
서버(200)는 차종별, 차의 크기별로 다르게 정해진 주차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서버(200)는 경차의 주차비를 중형차 또는 대형차의 주차비보다 높게 책정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요금을 안내할 수 있다. 서버(200)는, 측정된 차량 무게에 대한 정보를 통해 차종을 판단하여 주차요금을 다르게 책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무게센서(11)의 측정값이 일정무게 이상으로 측정되면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보를 발송하는 차량감지 스톱바(100); 주차여부 측정장치에서 발송된 신호 및 함께 전송된 고유의 식별자를 통해 해당 구역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0); 및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차위치와, 무게에 의해 예상된 차종에 따른 시간별 요금을 안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무게센서(11)가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무게센서의 측정시간 및 측정값인 중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지 판단한 후 정해진 값 이상이면 통신부가 해당 차량감지 스톱바의 식별자 및 차량무게를 주차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0); 서버가 전송된 정보와 전송시간을 토대로 주차여부 확인 및 전송된 차량을 예측하는 단계(S200); 해당구역과 안내된 차량의 주차구역이 일치하면 주차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주차정보 및 요금을 안내하는 단계(S300); 및 퇴차시 요금을 산정하고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단계(S400)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적절한 주차위치(예를 들어, 경차, 중형차, 대형차)를 미리 안내할 수 있다. 서버(200)는 위치에 따라 요금을 다르게 책정하여 주차자의 주차위치가 통보된 곳에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게이트에 설치된 영상센서는 차량의 번호판을 감지하여 서버(200)에 통지한다.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주차위치를 안내한다. 서버(200)는 게이트로부터 정해진 주차공간까지 차량의 이동시간을 예측한다. 서버(200)는 예측시간과 차량감지 스톱바(1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 차량무게 등을 토대로 해당차량이 안내된 주차공간에 주차한 것인지 판단한다. 이후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안내된 주차공간과 실제주차공간이 동일하다는 점을 애플리케이션으로 안내하고 예상 시간별 요금을 통지한다.
만약 예측시간과 차량감지 스톱바(1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 차량무게를 통해서 해당차량이 안내된 주차공간이 아닌 다른 공간에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애플리케이션으로 추가요금이 부과될 수도 있음을 안내한다.
다음으로,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데이터베이스의 이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차 게이트에는 하나의 무게센서가 전륜과 후륜의 무게를 각각 측정할 수도 있고, 각각 배치되어 정차된 또는 이동하는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무게 차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
주차구역에는 스타퍼가 배치되어 후륜 또는 전륜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고, 전륜과 후륜의 무게를 동시에 측정하여 모든 차량의 모든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서버는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륜의 무게, 후륜의 무게 또는 전륜의 무게와 후륜의 무게를 합하고 보정하여 차량 전체의 무게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륜과 후륜의 무게 비율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율이나 무게가 동일하다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약간의 오차를 반영한 동일성 범위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도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이용방법은, 주차장 입고시,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무게 비율을 근거로,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 주차공간에서 차량 정차시, 제1 주차무게 데이터, 제2 주차무게 데이터를 근거로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 주차장에서 외부로 퇴장할 때,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무게 비율을 근거로,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S800); 판단된 입고목적 또는 판단된 차량의 종류를 근거로 주차요금을 산정하는 단계(S900);를 포함한다.
서버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고목적에 따라 또는 입고된 차량의 종류에 따라 주차요금을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8 을 참조하면,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는, 주차장에서 내부로 입장할 때, 주차 게이트에서 차량의 전륜무게인 제1 출차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610); 주차장에서 내부로 입장할 때, 주차 게이트에서 차량의 후륜무게인 제2 출차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620); 및 제1 입고무게 데이터와 제2 입고무게 데이터를 기초로 입고무게 비율(S631) 및 입고차량의 무게(S633)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는, 입고무게 비율이 정해진 범위 이하이고, 입고 차량의 무게가 정해진 무게 이하이면, 입고 차량을 승용 차량으로 판단(S641)하고, 승용 차량 구역으로 안내하는 단계(S643)를 포함한다.
승용차와 화물차와 여객운송차량은 무게배분이 상이하다. 예를 들면 승용차는 전륜과 후륜의 무게배분이 대략 1:1일 수 있고, 운전자를 포함하면 1.1~1.3:1이 될 수도 있다.
화물운송차량의 경우, 화물을 싣고 있는 경우와 화물이 없는 경우 무게배분이 큰 차이가 날 수 있다. 여객운송차량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다만 이러한 비율은 공개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기준값 또는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는, 입고무게 비율이 정해진 범위 이하이고, 입고 차량의 무게가 정해진 무게를 초과하면, 입고 차량을 여객운송차량으로 판단(S651)하고, 여객운송 구역으로 안내하는 단계(S653);를 포함한다.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는, 입고무게 비율이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면, 입고 차량을 화물 운송차량으로 판단하고(S661), 화물 운송 구역으로 안내하는 단계(S663);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승용 차량 구역으로 안내하는 단계(S643), 화물 운송 구역으로 안내하는 단계(S663), 화물 운송 구역으로 안내하는 단계(S663)에서 정확한 주차구역을 함께 통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진입차량에게 정확한 주차구역을 안내하고, 해당 주차구역에서 수신된 무게데이터 또는 무게비율 데이터를 진입시의 무게 비율데이터와 비교하여, 안내한 차량이 실제로 통지한 구역에 정확히 주차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주차구역을 안내받은 차량이, 실제 안내된 구역에 주차된 것으로 확인되면 주차공간 점유율 또는 잔여 주차공간에 실시간 반영한다.
예를 들면, 주차장 진입시 측정한 후륜의 무게와 주차공간에 주차시 제1 주차무게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한 차량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차장 진입시 측정한 전륜/후륜의 무게비율과 주차공간에 주차시 제1 주차무게 데이터 상 전륜/후륜의 무게비율을 비교하여 동일한 차량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로, 주차장 진입시 측정한 전륜/후륜의 무게 값과 주차공간에 주차시 제1 주차무게 데이터 상 전륜/후륜의 무게 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차량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로, 주차장 진입시 측정한 차량의 전체 무게와, 제1 주차무게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전체 무게 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국내와 같이 동일 차량 또는 동일 회사 차량의 판매 비중이 높은 경우, 절대적인 무게값 만으로는 안내받은 차량의 동일성을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무게배분 및 비율을 측정하면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제어부는 상기와 같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예약을 받거나 시간대별 잔여 주차공간 예측을 할 수 있다.
도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9 를 참조하면,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는, 주차공간에서 차량 정차시, 제1 주차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711);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동일한 무게값이 입력되면 주차 완료로 판단하고, 제2 주차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712); 제1 주차무게 데이터와 제2 주차무게 데이터를 기초로 주차 무게 차이를 판단하는 단계(S713)를 포함한다.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는,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 차량이 승용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 내이면, 개인운전자 이동용으로 판단(S714)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는,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 차량이 승용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를 벗어나면, 동승객 이동용으로 판단하는 단계(S715)를 포함한다.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는,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 차량이 승용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감소된 무게에 근거하여 유입 인구수를 판단하는 단계(S716)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140kg이 감소하였다면 2명의 사람이 건물내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0 을 참조하면,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는,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 차량이 여객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 내이면, 여객운전자 이동용으로 판단(S734)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일성 범위란 성인1명의 몸무게가 된다. 예를 들면 60~90kg의 중량이 감소하였다면 운전자만 내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는,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 차량이 여객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를 벗어나면, 여객 이동용으로 판단하는 단계(S736)를 포함한다.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는,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 차량이 여객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감소된 무게에 근거하여 유입 인구수를 판단하는 단계(S737)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140kg이 감소하였다면 2명의 인구가 건물내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1 을 참조하면,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는,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 차량이 화물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 내이면, 화물운전자 이동용으로 판단(S754)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일성 범위란 성인1명의 몸무게가 된다. 예를 들면 60~90kg의 중량이 감소하였다면 운전자만 내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는,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 차량이 화물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를 벗어나면, 화물 이동용으로 판단하는 단계(S756)를 포함한다.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S700)는,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 차량이 화물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감소된 무게에 근거하여 화물 유입량을 판단하는 단계(S757)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140kg이 감소하였다면 1명의 사람이 건물내로 이동하고, 70kg의 화물이 건물내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2 를 참조하면,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S800)는, 주차장에서 외부로 퇴장할 때, 주차 게이트에서 차량의 전륜무게인 제1 출고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810); 주차장에서 외부로 퇴장할 때, 주차 게이트에서 차량의 후륜무게인 제2 출고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820); 제1 출차무게 데이터와 제2 출차무게 데이터를 기초로 출고무게 비율을 판단하는 단계(S830)를 포함한다.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S800)는, 입고무게 비율과 출고무게 비율이 상이하고, 주차시 무게와 출고시 무게가 상이하면 화물 또는 여객 운송 목적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S841)를 포함한다.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S800)는, 입고무게 비율과 출고무게 비율이 상이하고, 주차시 무게와 출고시 무게가 동일하면 방문 목적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S843)를 포함한다.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S800)는, 입고무게 비율과 출고무게 비율이 동일하면 방문 목적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S843)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 출고무게 데이터를 통해 차량의 전륜 무게를 판단하고, 제2 출고무게 데이터를 통해 차량의 후륜 무게를 판단하고, 제1 입고무게 데이터를 통해 차량의 전륜 무게를 판단하고, 제2 입고무게 데이터를 통해 차량의 후륜 무게를 판단하고, 제1 주차무게 데이터 및 제2 주차무게 데이터는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의 무게 중 어느 하나이다.
제어부는 영업목적의 차량 예를 들면 운전자 개인용이 아닌, 화물운송용 또는 여객운송용 차량의 경우는 주차비를 무료로 책정하거나 주차비를 할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이용방법에 의하면, 입고시, 주차시, 출고시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여 차량의 진입여부, 차량의 진입목적, 차종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바닥부
11: 무게센서
20: 이동제한부
21: 통신부
100: 차량감지 스톱바
200: 서버

Claims (20)

  1.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데이터를 연산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 관리시스템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 입고시,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무게 비율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가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주차공간에서 차량 정차시, 제1 주차무게 데이터 및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측정된 제2 주차무게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가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
    주차장에서 차량이 외부로 퇴장할 때,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무게 비율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가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입고목적 또는 상기 판단된 차량의 종류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가 주차요금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는,
    주차장에서 내부로 입장할 때, 주차 게이트에서 차량의 전륜무게인 제1 입고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주차장에서 내부로 입장할 때, 주차 게이트에서 차량의 후륜무게인 제2 입고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입고무게 데이터와 상기 제2 입고무게 데이터를 기초로 입고무게 비율 및 입고차량의 무게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고무게 비율이 정해진 범위 이하이고,
    입고 차량의 무게가 정해진 무게 이하이면, 입고 차량을 승용 차량으로 판단하고,
    승용 차량 구역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고무게 비율이 정해진 범위 이하이고,
    입고 차량의 무게가 정해진 무게를 초과하면, 입고 차량을 여객운송차량으로 판단하고, 여객운송 구역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고무게 비율이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면, 입고 차량을 화물 운송차량으로 판단하고, 화물 운송 구역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주차공간에서 차량 정차시, 상기 제1 주차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동일한 무게값이 입력되면 주차 완료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주차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주차무게 데이터와 상기 제2 주차무게 데이터를 기초로 주차 무게 차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승용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상기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 내이면, 개인운전자 이동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승용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상기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를 벗어나면, 동승객 이동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승용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감소된 무게에 근거하여 유입 인구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여객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상기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 내이면, 여객운전자 이동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여객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상기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를 벗어나면, 여객 이동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여객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감소된 무게에 근거하여 유입 인구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화물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상기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 내이면, 화물운전자 이동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화물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된 상기 주차 무게 차이가 동일성 범위를 벗어나면, 화물 이동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대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화물운송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감소된 무게에 근거하여 화물 유입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는,
    주차장에서 외부로 퇴장할 때, 주차 게이트에서 차량의 전륜무게인 제1 출고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주차장에서 외부로 퇴장할 때, 주차 게이트에서 차량의 후륜무게인 제2 출고무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출고무게 데이터와 상기 제2 출고무게 데이터를 기초로 출고무게 비율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고무게 비율과 상기 출고무게 비율이 상이하고,
    주차시 측정된 무게와 출고시 측정된 무게가 상이하면 화물 또는 여객 운송 목적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고무게 비율과 상기 출고무게 비율이 상이하고,
    주차시 무게와 출고시 무게가 동일하면 방문 목적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목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고무게 비율과 상기 출고무게 비율이 동일하면 방문 목적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장의 관리방법.
  20. 삭제
KR1020210034590A 2021-03-17 2021-03-17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이용방법 KR10250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590A KR102503058B1 (ko) 2021-03-17 2021-03-17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590A KR102503058B1 (ko) 2021-03-17 2021-03-17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813A KR20220129813A (ko) 2022-09-26
KR102503058B1 true KR102503058B1 (ko) 2023-02-23

Family

ID=8345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590A KR102503058B1 (ko) 2021-03-17 2021-03-17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0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742B1 (ko) 2019-04-22 2021-02-05 강대영 주차 감지 장치 및 주차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968A (ja) * 1997-02-10 1998-08-18 Toshiba Corp 列車混雑度表示方法及びその表示システム
KR100825668B1 (ko) * 2006-06-07 2008-04-29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골재 채취 무인 자동화 시스템 및 자동화 방법
KR20150010194A (ko) * 2013-07-18 2015-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카페리 선의 주차 관리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742B1 (ko) 2019-04-22 2021-02-05 강대영 주차 감지 장치 및 주차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813A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986B2 (en)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on free parking spaces
US20210019671A1 (en) Method, Device, Cloud Ser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Smart Parking a Connected Vehicle
US20180247534A1 (en) Integrated system for monitoring parking lot conditions
US20230127521A1 (en) System for monitoring arrival of a vehicle at a given location and associated methods
CA2843287C (en) Method of using virtual gantries to optimize the charging performance of in-vehicle parking systems
US20200023811A1 (en) Vehicle load prediction
US20180096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geolocation based parking data analysis
EP40048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ntrol of street occupancy by a vehicle
US11704655B2 (en) High accuracy geo-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ayment
KR20190073954A (ko) 공유 자전거 재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27162B2 (en) Networked usage tracking for dockless personal transport vehicles
US201701938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Roadways Using Magnetic Signatures
US5621195A (en) Sensor array system for determining axle spacing
US201801822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Roadways Using Magnetic Signatures
KR102503058B1 (ko) 무인 주차장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그 이용방법
RU2448332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взвешивани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 в процессе его движения по трассе
KR102274234B1 (ko)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
KR101844311B1 (ko) 주차위치전송장치
US11455838B2 (en) System for monitoring arrival of a vehicle at a given location and associated methods
RU2448331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овышения точности взвешивани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движении
KR102291614B1 (ko) 차량감지 스톱바 및 주차관리 시스템
JP2024504220A (ja) ビッグデータを利用した価格決定が可能なレンタカー運営システム
KR100961753B1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주차 건물층 파악 시스템
CN110274587A (zh) 车辆位置检测系统
KR102320495B1 (ko) 주차장 자동결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