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311B1 - 주차위치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위치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311B1
KR101844311B1 KR1020160063268A KR20160063268A KR101844311B1 KR 101844311 B1 KR101844311 B1 KR 101844311B1 KR 1020160063268 A KR1020160063268 A KR 1020160063268A KR 20160063268 A KR20160063268 A KR 20160063268A KR 101844311 B1 KR101844311 B1 KR 101844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vehicle
photographing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443A (ko
Inventor
이현섭
임석연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3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는,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상기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작동을 감지하는 차량제어장치; 및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의 촬영 정보와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의 차량의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차관리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차량에 설치되는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위치전송장치{Parking Position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주차위치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데, 개인 또는 가정에서 차량을 소유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한 대 이상의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파트 단지 등을 조성하거나 사무실, 쇼핑몰 등의 건물을 건설할 때에는, 주차장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한다.
자가 운전자들은 다양한 장소에 주차를 하게 되는데, 큰 건물이나 쇼핑몰이나 운동 경기장 등 주차장이 매우 넓은 장소에 주차를 한 경우에는, 주차 위치를 기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지하 주차장이나 주차 건물이 별도로 있는 경우에는, 모든 층이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차를 한 층이나 위치를 기억하는 데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급한 일이 있거나 서두르는 경우 주차 위치를 기억하는 데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여, 나중에 주차 위치를 찾기 위하여 헤매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더욱이 주차장이 복잡하고, 대형인 경우에는 주차 위치를 별도로 메모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주차된 위치나 주차 표식을 촬영하는 등 별도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번거로운 절차가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공보(공개번호: 10-2013-0083087)은 스마트 기기가 차량을 주차한 주차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한 주차 위치를 출력해 주고 있으나, 선행기술문헌은 사용자로하여금 주차 위치 입력이라는 별도의 행위를 요구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주차 위치를 기억하기 위하여 행하는 여러 가지 행위와 비교하여 큰 이점이 없고, 여전히 사용자로 하여금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번거로운 절차가 요구하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1: 한국공개공보, 공개번호: 10-2013-0083087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절차를 요구하지 않고, 차량의 주차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차량의 위치 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주차에 따른 주차 요금 정보와 주차 요금 감면을 위한 서비스 정보를 수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는,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상기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작동을 감지하는 차량제어장치; 및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의 촬영 정보와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의 차량의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차관리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차량에 설치되는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주차장정보와 주차장진입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는 상기 주차장진입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 장치로 카메라촬영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카메라촬영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동작의 감지를 통해 상기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감지하면, 주차브레이크동작감지신호를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는 상기 주차브레이크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영중단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주차위치정보전송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상기 카메라장치는 상기 촬영중단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촬영요청신호 수신 후 그리고 상기 촬영중단요청신호 수신 전까지의 촬영 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주차위치정보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주차장진입시점부터 상기 촬영중단요청신호 수신 시점까지의 차량의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에 따른 시간대별 차량의 위치 정보인 주차위치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는 수신한 촬영정보와 수신한 주차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운전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주차위치전송장치가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감지를 자동으로 감지함에 따라 차량의 주차 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주차 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별도의 절차를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형 쇼핑몰이나 운동 경기장 등 복잡하고 넓은 주차 지역에서 운전자가 차량으로 이동한 경로를 시간 별로 확인하면서 최종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차량의 최종 위치 정보만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아닌, 경로 상의 마커에 매칭되는 촬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차된 차량으로 돌아올 때 신속하게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 차량의 핸들 조향각과 속도에 기초하여 주차장 내에서 가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장에 주차한 후, 주차 요금 정보와 주차 시간 그리고 주차 요금 감면을 위해 필요한 구매 정보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운전자에게 알람 형태로 주차감면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위치한 영역을 운전자단말기의 와이파이 감도를 기초하여 확인하고, 운전자가 위치한 영역과 인접한 매장의 주차감면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매장들 간의 주차감면 정책의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합리적이 경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주차위치전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자동맵데이터생성모드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자동맵데이터생성모드에 따라 생성된 주차확인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수동맵데이터생성모드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수동맵데이터생성모드에 따라 생성된 주차확인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차위치전송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주차위치전송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10)는 차량제어장치(100), 카메라장치(200), 네비게이션장치(300) 및 주차관리제어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제어장치(100), 카메라장치(200), 네비게이션장치(300) 및 주차관리제어장치(500)들은 서로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을 모두 포함한다.
주차위치전송장치(10)는 차량(1)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200)는 차량(10) 주행 중이나 주차 중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차량(10)의 주변 영역을 촬영을 수행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네비게이션장치(300)는 차량(10)의 주행 중에 GPS통신을 이용하여 차량(10)의 지도상의 위치 등의 위치 정보와 주변 건물이나 도로 등의 정보 그리고 속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네비게이션장치(300)는 차량(10)이 이동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경우, 주차장정보와 주차장진입정보를 주차관리제어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장정보를 수신한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차량(10)이 진입한 주차장에 따라서 자동맵데이터생성모드 또는 수동맵데이터생성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 자동맵데이터생성모드 >
도 2는 자동맵데이터생성모드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자동맵데이터생성모드에 따라 생성된 주차확인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주차장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이 진입한 주차장이 실외 주차장과 같이 GPS 수신이 가능하거나, GPS의 오차가 기 설정치 이하의 영역인 경우 자동맵데이터생성모드를 수행한다.
주차장진입정보를 수신한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카메라장치(200)로 카메라촬영요청신호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촬영요청신호를 수신한 카메라장치(200)는 차량(10)의 주변환경을 주기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차량제어장치(100)는 차량(1)의 주차브레이크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차량제어장치(100)는 차량(1)이 주차된 경우, 차량(1)의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주차브레이크의 동작 또는 탑승자에 의한 수동으로 동작하는 주차브레이크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주차브레이크 동작을 감지한 차량제어장치(100)는 주차브레이크동작감지신호를 주차관리제어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브레이크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한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카메라장치(200)로 촬영중단요청신호를 전송하고, 네비게이션장치(300)로 주차위치정보전송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장치(200)는 촬영중단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차량(10)의 주변환경의 주기적인 촬영을 중지하고, 카메라촬영요청신호 수신 후 그리고 촬영중단요청신호 수신 전까지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 정보인 촬영 정보를 주차관리제어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장치(300)는 주차위치정보전송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주차장진입시점부터 촬영중단요청신호 수신 시점까지의 차량의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에 따른 시간대별 차량의 위치 정보인 주차위치정보를 주차관리제어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촬영정보와 네비게이션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는 주차장 진입 위치부터 주차된 최종 위치까지의 경로 상에 촬영정보 상의 이미지나 영상의 촬영 시점에 매칭되는 차량(10)이 경로 상의 위치에 해당 이미지나 영상을 삽입한 지도 데이터일 수 있다.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생성한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와 주차장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61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의 단말기(610)에는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를 불러드려 주차확인맵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고,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가 운전자의 단말기(6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주차장 진입 위치(1)부터 주차된 최종 위치(2)까지의 경로(3)에 이미 표시된 마커(4)를 클릭하면, 해당 경로 상의 촬영 정보(5)가 이미지 또는 영상 형태로 운전자의 단말기(6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주차위치전송장치(10)은 차량(10)의 주차브레이크 감지를 자동으로 감지함에 따라 차량(10)의 주차 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10)의 주차 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별도의 절차를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형 쇼핑몰이나 운동 경기장 등 복잡하고 넓은 주차 지역에서 운전자가 차량(10)으로 이동한 경로를 시간 별로 확인하면서 최종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순히 차량의 최종 위치 정보만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아닌, 주차확인맵 상에서 마커(4)를 선택하면, 해당 경로(3)의 마커(4)에 매칭되는 촬영 정보(5)가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10)의 이동 경로와 특정 경로 상의 시간에 촬영된 촬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주차된 차량(10)으로 돌아올 때 신속하게 차량(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 수동맵데이터생성모드 >
도 4는 수동맵데이터생성모드에 따른 주차위치전송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수동맵데이터생성모드에 따라 생성된 주차확인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주차장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이 진입한 주차장이 실내 주차장과 같이GPS 수신이 불가능하거나 GPS 수신의 오차가 큰 영역인 경우 수동맵데이터생성모드를 수행한다.
주차장진입정보를 수신한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카메라장치(200)로 카메라촬영요청신호 전송하고, 차량제어장치(100)로 차량이동정보전송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촬영요청신호를 수신한 카메라장치(200)는 차량(10)의 주변환경을 주기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차량이동정보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한 차량제어장치(100)는 핸들의 조향각과 차량(10)의 속도를 센싱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제어장치(100)는 차량(1)의 주차브레이크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차량제어장치(100)는 차량(1)이 주차된 경우, 차량(1)의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주차브레이크의 동작 또는 탑승자에 의한 수동으로 동작하는 주차브레이크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주차브레이크 동작을 감지한 차량제어장치(100)는 핸들의 조향각과 차량(10)의 속도 센싱 정보와 이들의 센싱 시점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이동정보와 주차브레이크동작감지신호를 주차관리제어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이동정보를 수신한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핸들의 조향각과 차량(10)의 속도 센싱 정보 그리고 센싱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진입시점부터 주차브레이크의 동작이 감지된 시점까지 차량(10)이 이동한 가상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가상의 경로에 있어서 거리는 속도의 센싱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를 계산하고, 이동 방향은 핸들의 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가상의 경로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주차브레이크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한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카메라장치(200)로 촬영중단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장치(200)는 촬영중단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차량(10)의 주변환경의 주기적인 촬영을 중지하고, 카메라촬영요청신호 수신 후 그리고 촬영중단요청신호 수신 전까지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 정보인 촬영 정보를 주차관리제어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촬영정보와 생성한 가상의 경로에 기초하여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는 주차장 진입 위치부터 주차된 최종 위치까지의 경로 상에 촬영정보 상의 이미지나 영상의 촬영 시점에 매칭되는 차량(10)이 경로 상의 위치에 해당 이미지나 영상을 삽입한 지도 데이터일 수 있다.
주차관리제어장치(500)는 생성한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와 주차장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61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의 단말기(610)에는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를 불러드려 주차확인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고,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가 운전자의 단말기(6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주차장 진입 위치(1)부터 주차된 최종 위치(2)까지의 경로(3)에 이미 표시된 마커(4)를 클릭하면, 해당 경로 상의 촬영 정보(5)가 이미지 또는 영상 형태로 운전자의 단말기(6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운전자는 주차확인맵 상에서 마커(4)를 선택하면, 해당 경로(3)의 마커(4)에 매칭되는 촬영 정보(5)가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10)의 이동 경로와 특정 경로 상의 시간에 촬영된 촬영 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주차된 차량(10)으로 돌아올 때 신속하게 차량(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GPS 수신이 안되거나 GPS 오차가 큰 경우, 네비게이션장치(300)의 지도만으로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10)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 차량(10)의 핸들 조향각과 속도에 기초하여 주차장 내에서 가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주차된 차량(10)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700)은 운전자 단말기(610)가 주차관리제어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주차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장의 주차요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700)은 주차장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미리 설정한 주차 요금에 도달한 경우, 운전자 단말기(610)로 주차 시간과 그에 따른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요금관리정보를 알람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700)은 주차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장이 백화점이나 상가 등의 주차장으로써, 일정 금액의 제품 구매나 일정 금액 이상의 음식점 이용 등에 따라 주차요금을 감면해주는 장소인 경우, 주차 시간에 따른 주차 요금과 그에 따라 주차 요금 감면을 위한 제품이나 음식점 이용에 따른 주차요금감면정보를 포함한 주차요금관리정보를 알람 형태로 운전자 단말기(610)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700)은 카운터모듈(710), 시간매칭요금설정모듈(720), 알람설정모듈(730) 및 감면요금설정모듈(740)을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모듈(710)은 주차관리제어장치(500)로부터 주차장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터할 수 있다.
카운터된 시간 정보는 시간매칭요금설정모듈(720)로 전송되고, 시간매칭요금설정모듈(720)은 주자장정보와 카운터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시간에 따른 요금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알람설정모듈(730)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또는 미리 설정한 주차 요금에 도달한 경우, 시간매칭요금설정모듈(720)에 의해 계산된 주차요금관리정보를 운전자 단말기(61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감면요금설정모듈(740)은 시간매칭요금설정모듈(720)에 의해 계산된 주차요금관리정보와 주차장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요금감면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알람설정모듈(730)은 주차요금감면정보를 포함한 주차요금관리정보를 운전자 단말기(61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는 운전자가 차량(10)을 주차장에 주차한 후, 주차 요금 정보와 주차 시간 그리고 주차 요금 감면을 위해 필요한 구매 정보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운전자에게 알람 형태로 주차감면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700)은 와이파이감도확인모듈(750), 서비스제공정보송수신모듈(760) 및 서비스표시모듈(7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감도확인모듈(750)은 운전자단말기(610)의 위치 상에서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와이파이의 감도를 확인하여, 운전자단말기(6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단말기(610)가 실내에 위치하여 GPS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GPS 오차가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 운전자단말기(610)가 위치한 영역이나 그와 인접한 영역의 영업점들 고유의 와이파이들 각각의 감도를 확인함에 따라 운전자단말기(6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을 보유한 쇼핑몰에서 A, B, C 매장이 있고, 매장들 각각은 a, b, c 와이파이 고유의 주소를 가지는 경우, 운전자단말기(610)의 위치에 따라서 운전자단말기(610) 상의 a, b, c 와이파이 감도를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파이감도확인모듈(750)은 c 와이파이 감도가 기 설정치 이하인 것으로 검출하는 경우, a, b 와이파이만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로 검출하고, 와이파이감도확인모듈(750)은 선택된 a, b 와이파이 중 b 와이파이 감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되는 경우, 운전자단말기(610)는 B 매장과 가장 가까이 있고, A 매장과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서비스제공정보송수신모듈(760)은 시간매칭요금설정모듈(720)에 의해 계산된 주차요금관리정보를 A 및 B 매장 각각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A 매장의 서버로부터의 제1 서비스제공정보를 수신하고, B 매장의 서버로부터 제2 서비스제공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비스제공정보에는 주차요금관리정보에 따른 운전자가 부담해야 하는 주차요금을 감면하기 위하여 자신들의 매장을 이용 및/또는 특정 제품을 구매 및/또는 일정 금액 이상의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운전자가 부담해야 하는 주차요금을 감면해줄 수 있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정보송수신모듈(760)은 A 매장의 서버로부터 제1 서비스제공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다시 B 매장의 서버로 전송하고, B 매장의 서버로부터 제2 서비스제공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다시 A 매장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A 매장의 서버로부터 제1 업데이트서비스제공정보를 수신하고, B 매장의 서버로부터 제2 업데이트서비스제공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의 제1 및 제2 업데이트서비스제공정보는 제1 및 제2 서비스제공정보 각각에서의 주차요금을 감면하기 위한 구매해야 할 특정 제품이나 금액을 조정한 정보로써, 운전자 단말기(610)와 인접한 매장들이 운전자를 고객으로써 유치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한 매장들 간의 주차 요금 감면을 위한 제품 홍보 경쟁에 따라 업데이트된 서비스제공정보이다.
서비스표시모듈(770)는 제1 및 제2 서비스제공정보 및/또는 제1 및 제2 업데이터서비스제공정보를 운전자단람기(61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는 운전자가 위치한 영역을 운전자단말기(610)의 와이파이 감도를 기초하여 확인하고, 운전자가 위치한 영역과 인접한 매장의 주차감면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매장들 간의 주차감면 정책의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차량(1)
주차위치전송장치(10)
차량제어장치(100)
카메라장치(200)
네비게이션장치(300)
주차관리제어장치(500)
운전자 단말기(610)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700)
카운터모듈(710)
시간매칭요금설정모듈(720)
알람설정모듈(730)
감면요금설정모듈(740)
와이파이감도확인모듈(750)
서비스제공정보송수신모듈(760)
서비스표시모듈(770)

Claims (8)

  1.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상기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작동을 감지하는 차량제어장치; 및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의 촬영 정보와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의 차량의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차관리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는 경우 주차장정보와 주차장진입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되고,
    상기 주차관리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주차장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터하는 카운터모듈,
    상기 주차장정보와 카운터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시간에 따른 요금 정보를 계산하여 주차요금관리정보를 생성하는 시간매칭요금설정모듈,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또는 미리 설정한 주차 요금에 도달한 경우 상기 주차요금관리정보를 표시하는 알람설정모듈,
    상기 주차요금관리정보와 상기 주차장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요금감면정보를 계산하는 감면요금설정모듈,
    상기 단말기의 위치 영역 또는 인접 영역의 영업점들 고유의 와이파이들 각각의 감도를 확인하여 와이파이 접속 가능한 영업점들의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와이파이감도확인모듈,
    상기 주차요금관리정보를 상기 와이파이 접속 가능한 제1 및 제2 영업점들 각각의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업점으로부터 제1 서비스제공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영업점으로부터 제2 서비스제공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서비스제공정보를 상기 제2 영업점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비스제공정보를 상기 제1 영업점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업점으로부터 제1 업데이트서비스제공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영업점으로부터 제2 업데이트서비스제공정보를 수신하는 서비스제공정보송수신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서비스제공정보는 매장 이용, 특정 제품 구매, 일정 금액 이상의 제품 구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주차요금 감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업데이트서비스제공정보는 상기 일정 금액을 조정한 정보인
    차량에 설치되는 주차위치전송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는 상기 주차장진입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 장치로 카메라촬영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카메라촬영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동작의 감지를 통해 상기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감지하면, 주차브레이크동작감지신호를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는 상기 주차브레이크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영중단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주차위치정보전송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는 상기 촬영중단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촬영요청신호 수신 후 그리고 상기 촬영중단요청신호 수신 전까지의 촬영 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주차위치정보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주차장진입시점부터 상기 촬영중단요청신호 수신 시점까지의 차량의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에 따른 시간대별 차량의 위치 정보인 주차위치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제어장치는 수신한 촬영정보와 수신한 주차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위치확인맵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운전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차위치전송장치.
KR1020160063268A 2016-05-24 2016-05-24 주차위치전송장치 KR101844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68A KR101844311B1 (ko) 2016-05-24 2016-05-24 주차위치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68A KR101844311B1 (ko) 2016-05-24 2016-05-24 주차위치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43A KR20170132443A (ko) 2017-12-04
KR101844311B1 true KR101844311B1 (ko) 2018-04-02

Family

ID=6092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268A KR101844311B1 (ko) 2016-05-24 2016-05-24 주차위치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906B1 (ko) * 2019-06-13 2021-04-20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차량의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7251513B2 (ja) * 2020-04-08 2023-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バレー駐車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KR102531722B1 (ko) * 2020-08-31 2023-05-12 주식회사 디에이치오토웨어 차량 단말을 이용한 주차위치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5902A (ja) * 2005-08-30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駐車位置探索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5902A (ja) * 2005-08-30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駐車位置探索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43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2921B2 (en) Route computation for navigation system using data exchanged with ticket vending machines
KR101586706B1 (ko)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US20230127521A1 (en) System for monitoring arrival of a vehicle at a given location and associated methods
CN108717801B (zh) 停车管理系统、停车方法以及停车管理方法
KR102585581B1 (ko) 주차관리시스템
KR101844311B1 (ko) 주차위치전송장치
JP2017204022A (ja) 駐車情報処理装置、駐車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9142740A1 (ja) 運転支援システム
KR20200144616A (ko) 자율주행차량을 위한 주차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US9020762B2 (en) Method for providing road data in a motor vehicle, and ground-based device
EP3933804A1 (en)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US2017020012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ssisting in the delivery of products
US11455838B2 (en) System for monitoring arrival of a vehicle at a given loca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150044052A (ko)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321726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serv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in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object detected from video
KR20200109680A (ko) IoT 무선 차량 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91505B2 (ja) サービスステーションでサービスを享受するためのパラメータ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
CN110400155A (zh) 整车服务平台和汽车服务的推荐方法、系统
JP6561923B2 (ja) 駐車待ち時間予測システム
CN110751846A (zh) 自动驾驶的终端
KR20200079181A (ko) 영상으로부터 검출되는 객체에 기반하여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 및 서버와 그의 동작 방법
JP7365092B1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EP2423644A2 (en) Detected arrival at navigated destination automatically triggers relevant information processing
WO2017123449A2 (en) System for monitoring arrival of a vehicle at a given location and associ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