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901A -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901A
KR20220029901A KR1020200111436A KR20200111436A KR20220029901A KR 20220029901 A KR20220029901 A KR 20220029901A KR 1020200111436 A KR1020200111436 A KR 1020200111436A KR 20200111436 A KR20200111436 A KR 20200111436A KR 20220029901 A KR20220029901 A KR 20220029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light
driving unit
control signal
sens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주
안형주
문수용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20011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9901A/ko
Publication of KR2022002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광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광등; 상기 경광등에 연결된 구동부; 및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제어 신호 및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Construction machinery and its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광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대한 것이다.
건설 기계는 작업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광등을 포함한다. 이 경광등은 광을 출사함으로써 건설 기계가 작업 중임을 외부에 알린다.
종래의 경광등의 각도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경광등은 작업자에 의해 수직 자세 및 수평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경광등이 수직 자세로 배치된 경우, 건설 기계가 그 경광등보다 더 낮은 천장 높이를 갖는 터널을 통과할 경우 그 경광등이 터널의 천장과 충돌할 수 있다.
반면, 경광등이 수평 자세로 배치된 경우, 그 경광등의 접점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수분에 취약하다. 예를 들어, 빗방울이 접점을 통해 경광등의 내부로 침투할 경우 경광등에 전기적인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건설 기계의 경광등 관련 선행 기술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69867호 (공개일: 2012년 6월 29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경광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 기계 및 건설 기계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는, 경광등; 상기 경광등에 연결된 구동부; 및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제어 신호 및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경광등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상향 조작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경광등이 수직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하향 조작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경광등이 수평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경광등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상기 수평 자세로 유지될 때, 상기 차량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경고를 출력하는 게이지 패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레인 센서 및 장애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레인 센서로부터 감지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경광등이 수직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장애물 센서로부터 감지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경광등이 수평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의 구 동 방법은,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제어 신호 및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신호를 근거로, 경광등에 연결된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상향 조작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경광등이 수직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하향 조작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경광등이 수평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경광등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상기 수평 자세로 유지될 때,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레인 센서 및 장애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레인 센서로부터 감지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경광등이 수직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장애물 센서로부터 감지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경광등이 수평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외부 상황에 따라 자동적으로 경광등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경광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2은 도 1의 운전실 및 경광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경광등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경광등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 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설 기계(10)는 하부 주행체(20), 하부 주행체(20)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상부 선회체(30), 및 상부 선회체(30)에 설치된 운전실(50)과 프론트 작업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주행체(20)는 상부 선회체(30)를 지지하고,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굴삭기와 같은 건설 기계(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하부 주행체(20)는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무한궤도식 타입의 주행체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하부 주행체(20)는 주행 휠들을 포함하는 휠 타입의 주행체일 수 있다. 상부 선회체(30)는 베이스로서의 상부 프레임(32)을 구비하고, 하부 주행체(20) 상에서 지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회전하여 작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운전실(50)은 상부 프레임(32)의 좌측 전방부에 설치되고, 프론트 작업 장치(60)는 상부 프레임(32)의 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 작업 장치(60)는 붐(70), 암(80) 및 버켓(90)을 포함할 수 있다. 붐(70)과 상부 프레임(32) 사이에는 붐(7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붐 실린더(72)가 설치될 수 있다. 붐(70)과 암(80) 사이에는 암(8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암 실린더(8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암(80)과 버켓(90) 사이에는 버켓(9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버켓 실린더(92)가 설치될 수 있다. 붐 실린더(72), 암 실린더(82) 및 버켓 실린더(92)가 신장 또 는 수축함에 따라 붐(70), 암(80) 및 버켓(90)은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고, 프론트 작업장치(60)는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붐 실린더(72), 암 실린더(82) 및 버켓 실린더(92)는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도 2은 도 1의 운전실 및 경광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경광등의 확대도이고, 그리고 도 4는 도 3의 경광등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된 경광등(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경광등(100)은 건설 기계(10)가 작업 중임을 외부에 알림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광등(100)은 특정 색상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때, 경광등(100)은 일정 주기로 점멸을 반복하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경광등(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300)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경광등(100)의 일측 단부는 구동 모터의 구동 축(30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경광등(100)은, 예를 들어, 브라켓(500)을 통해 운전실(50)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브라켓(5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구동부(300)는 브라켓(500)에 고정될 수 있다.
경광등(100)은 구동부(300)에 구비된 구동 모터의 구동 축(300a)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광등(100)은 수직 자세로 유지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경광등(100)이 수직 자세로 위치할 때, 그 경광등(100)과 지면은 90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광등(100)은 수평 자세로 유지되도록 시게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경광등(100)이 수평 자세로 위치할 때, 그 경광등(100)과 지면은 180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경광등(100)의 회전은 건설 기계(10)의 운전실에 배치된 조작 스위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 기계(10)의 운전자는 운전실(50)의 조작부에 배치된 조작 스위치를 상향 조작 또는 하향 조작할 수 있는 바, 조작 스위치가 상향 조작될 때 경광등(100)은 도 4의 (a)와 같은 수직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스위치가 상향 조작될 때 그 조작 스위치로부터 상향 조작 제어 신호가 출력되며, 그 출력된 상향 조작 제어 신호는 건설 기계(10)의 차량 제어부로 공급되며, 그리고 그 상향 조작 제어 신호를 공급받은 차량 제어부는 그 경광등(100)이 수직 자세로 유지되도록 구동부(300)의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조작 스위치가 하향 조작될 때 경광등(100)은 도 4의 (b)와 같은 수평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스위치가 하향 조작될 때 그 조작 스위치로부터 하향 조작 제어 신호가 출력되며, 그 출력된 하향 조작 제어 신호는 건설 기계(10)의 차량 제어부로 공급되며, 그리고 그 하향 조작 제어 신호를 공급받은 차량 제어부는 그 경광등(100)이 수평 자세로 유지되도록 구동부(300)의 회전을 제어한다.
한편, 센서는 레인 센서 및 장애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물 감지 센서는 초음파 변위 센서일 수 있다.
레인 센서는 운전실(50)의 윈도우(200)에 낙하하는 빗방울의 빈도를 감지한다. 빗방울을 감지한 레인 센서는 레인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 레인 센서로부터의 레인 감지 신호는 차량 제어부로 공급되며, 그 레인 센서로부터의 레인 감지 신호를 공급받은 차량 제어부는 경광등(100)이 수직 자세로 유지되도록 구동부(300)의 회전을 제어한다. 비가 올 때 경광등(100)이 수직 자세로 유지됨에 따라, 그 경광등(100)의 접점부의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빗방울의 침투에 따른 경광등(100)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장애물 센서는 건설 기계(10)의 전방의 장애물을 센싱하여 그 장애물의 높이가 수직 자세에서의 경광등(100)의 높이보다 낮을 때 장애물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 장애물 센서로부터의 장애물 감지 신호는 차량 제어부로 공급되며, 그 장애물 센서로부터의 장애물 감지 신호를 공급받은 차량 제어부는 경광등(100)이 수평 자세로 유지되도록 구동부(30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건설 기계(10)의 이동 중 경광등(100)이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 기계(10)가 그 경광등(100)보다 낮은 천장 높이를 갖는 터널을 향해 이동 중일 때, 전술된 장애물 센서에 의해 경광등(100)이 수평 자세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경광등(100)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수평 자세로 유지될 때, 건설 기계(10)의 게이지 패널은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광등(100)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수평 자세로 유지될 때, 이를 감지한 차량 제어부는 게이지 패널로 하여금 경고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 경고는 팝업 창 형태로 게이지 패널에 출력될 수 있다. 이 경고는 현재 경광등(100)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수평 자제로 유지되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이 경고를 통해 현재 경광등(100)이 수평 자세로 유지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현재 건설 기계(10)가 작업 중이라면 작업자는 안전을 위해 경광등(100)을 수직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조작 스위치로부터 조작 제어 신호 및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동시에 입력되고 그 조작 제어 신호와 감지 신호가 서로 반대의 조작을 지시할 때, 차량 제어부는 조작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감지 신호를 근거로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로부터 하향 조작 제어 신호 및 레인 센서로부터 레인 감지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때, 차량 제어부는 레인 감지 신호에 따라 경광등(100)이 수직 자세로 유지되도록 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조작 스위치로부터 상향 조작 제어 신호 및 장애물 센서로부터 장애물 감지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때, 차량 제어부는 장애물 감지 신호에 따라 경광등(100)이 수평 자세로 유지되도록 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감지 신호들(예를 들어, 레인 감지 신호 및 장애물 감지 신호)이 동시에 입력될 때, 차량 제어부는 레인 감지 신호를 무시하고 장애물 감지 신호를 근거로 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전술된 실시예와 달리, 서로 반대의 조작을 지시하는 조작 제어 신호 및 감지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때, 차량 제어부는 감지 신호를 무시하고 조작 제어 신호를 근거로 구동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 한 순서도이다.
건설 기계(10)의 키 홀에 키가 삽입되어 키 온 신호가 입력된다(S1). 이 키 온 신호의 입력에 의해 건설 기계(800)가 시동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조작 스위치가 하향 조작될 때(S2), 하향 조작 제어 신호가 구동부로 출력된다(S3).
그 하향 조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부는 경광등(100)의 자세를 수평 자세로 전환한다(S5). 한편, 경광등(100)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수평 자세로 유지될 때, 건설 기계(10)의 게이지 패널은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경광등(100)이 수평 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조작 스위치가 상향 조작될 때(S6), 상향 조작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S8). 한편, 레인 센서가 빗방울을 감지할 때(S7), 레인 센서는 레인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S8).
그 상향 조작 제어 신호 또는 레인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부는 경광등의 자세를 수직 자세로 전환한다(S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경광등 300: 구동부
300a: 구동 축 500: 브라켓

Claims (15)

  1. 경광등;
    상기 경광등에 연결된 구동부; 및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제어 신호 및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경광등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건설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상향 조작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경광등이 수직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건설 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하향 조작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경광등이 수평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건설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상기 수평 자세로 유지될 때, 상기 차량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경고를 출력하는 게이지 패널을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레인 센서 및 장애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센서로부터 감지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경광등이 수직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건설 기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센서로부터 감지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경광등이 수평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건설 기계.
  9.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제어 신호 및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신호를 근거로, 경광등에 연결된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상향 조작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경광등이 수직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구동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하향 조작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경광등이 수평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구동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상기 수평 자세로 유지될 때,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구동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레인 센서 및 장애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구동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센서로부터 감지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경광등이 수직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구동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센서로부터 감지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경광등이 수평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구동 방법.








KR1020200111436A 2020-09-02 2020-09-02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20029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436A KR20220029901A (ko) 2020-09-02 2020-09-02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436A KR20220029901A (ko) 2020-09-02 2020-09-02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901A true KR20220029901A (ko) 2022-03-10

Family

ID=8081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436A KR20220029901A (ko) 2020-09-02 2020-09-02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99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3104A1 (ja) ホイールローダおよびホイールローダの制御方法
WO2018043091A1 (ja) ホイールローダおよびホイールローダの制御方法
JP7258613B2 (ja) 作業機械
KR102412577B1 (ko) 작업기계
JP4597914B2 (ja) 作業機械
JPWO2018123001A1 (ja)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
KR20220056156A (ko) 건설기계
JP2015140637A (ja) 建設機械
KR20220029901A (ko) 건설 기계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20007866A (ja) 旋回式作業機械の安全装置
JP2020159045A (ja) 建設機械
JP7042781B2 (ja) 作業車両
WO2021029253A1 (ja) 作業機械
JP2003129477A (ja) 建設機械の作業用アタッチメント格納装置
KR20220028233A (ko) 건설 기계
JP6695288B2 (ja) 建設機械
JP2009235798A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EP3974585B1 (en) Construction machine
JP6861177B2 (ja) 建設機械
JPH10299035A (ja) ショベル系建設機械
WO2020202784A1 (ja) 作業機械用操作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WO2020202783A1 (ja) 作業機械用操作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2520159B2 (ja) バックホウのバックホウ装置操作構造
JPH0820975A (ja) 建設機械の監視装置
JP2024078922A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