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233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233A
KR20220028233A KR1020200108964A KR20200108964A KR20220028233A KR 20220028233 A KR20220028233 A KR 20220028233A KR 1020200108964 A KR1020200108964 A KR 1020200108964A KR 20200108964 A KR20200108964 A KR 20200108964A KR 20220028233 A KR20220028233 A KR 2022002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ntrol switch
outriggers
vehicle
swi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광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20010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233A/ko
Priority to CN202110994992.4A priority patent/CN114108723B/zh
Priority to EP21193563.0A priority patent/EP3960935B1/en
Publication of KR2022002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4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means of movable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8Tractor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overturning or t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Ground-engaging fitting for supporting the machines while working, e.g. outriggers, le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7Vehicle levelling or 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수평 제어에 관한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차량; 상기 차량에 배치된 복수의 아웃트리거; 상기 아웃트리거의 높낮이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 및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가 제 1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상기 차량의 수평선이 연직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수평 제어에 관한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 기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 타입 굴삭기에는 중량이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지지할 때 차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체에 아웃트리거(Outrigger)가 장착된다.
이러한 아웃트리거는 차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굴삭기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작업할 경우 굴삭기를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아웃트리거는 필요시에만 전개하여 사용하고, 주행중과 같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차체 쪽으로 집어넣을 수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공개특허 제 10-2009-0071205호 (공개일: 2009년07월01일)
본 발명은 차량 기계의 수평 제어에 관한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는, 차량; 상기 차량에 배치된 복수의 아웃트리거; 상기 아웃트리거의 높낮이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 및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가 제 1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상기 차량의 수평선이 연직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가 제 2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상기 차량의 수평선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가 제 3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동시에 제어된다.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의 모드는 4단계의 토글 방식으로 전환된다.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는 한 번씩 눌러질 때 마다 오프 모드, 제 1 동작 모드, 제 2 동작 모드 및 제 3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는 모드 제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건설 기계의 기울기를 근거로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건설 기계의 수평 제어에 관한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설 기계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어느 하나의 아웃트리거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배치된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모드 제어 스위치가 경사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건설 기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모드 제어 스위치가 수평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건설 기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설 기계에 대한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체(20), 그 주행체(20)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선회체(30), 그 주행체의 측면에 설치된 아웃트리거(outrigger), 그리고 선회체(30)에 설치된 운전실(50)과 프론트 작업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체(20)는 선회체(30)를 지지하고,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굴삭기와 같은 건설 기계(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주행체(20)는 주행 휠들을 포함하는 휠 타입의 주행체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주행체(20)는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무한궤도식 타입의 주행체일 수 있다. 선회체(30)는 베이스로서의 상부 프레임(32)을 구비하고, 주행체(20) 상에서 지면(G)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회전하여 작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운전실(50)은 상부 프레임(32)의 좌측 전방부에 설치되고, 프론트 작업 장치(60)는 상부 프레임(32)의 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 작업 장치(60)는 붐(70), 암(80) 및 버켓(90)을 포함할 수 있다. 붐(70)과 상부 프레임(32) 사이에는 붐(7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붐 실린더(72)가 설치될 수 있다. 붐(70)과 암(80) 사이에는 암(8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암 실린더(8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암(80)과 버켓(90) 사이에는 버켓(9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버켓 실린더(92)가 설치될 수 있다. 붐 실린더(72), 암 실린더(82) 및 버켓 실린더(92)가 신장 또 는 수축함에 따라 붐(70), 암(80) 및 버켓(90)은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고, 프론트 작업장치(60)는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붐 실린더(72), 암 실린더(82) 및 버켓 실린더(92)는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휠 타입 굴삭기에는 중량이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지지할 때 차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체에 아웃트리거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아웃트리거는 차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굴삭기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작업할 경우 굴삭기를 지면(G)에 대해 수평으로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아웃트리거는 필요시에만 전개하여 사용하고, 주행중과 같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차체 쪽으로 집어넣을 수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아웃트리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체의 전방 좌측면에 배치된 제 1 아웃트리거(OT1), 그 주행체의 전방 우측면에 배치된 제 2 아웃트리거(OT2), 그 주행체의 후방 좌측면에 배치된 제 3 아웃트리거(OT3) 및 그 주행체의 후방 우측면에 배치된 제 4 아웃트리거(OT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어느 하나의 아웃트리거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아웃트리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 레그부재(3), 푸트부재(8), 실린더(6), 보호커버(5) 및 힌지핀(1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은 건설 기계의 차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이 프레임(1)의 선단에 레그부재(3)가 회전가능하게 피봇핀(4)으로 연결된다.
이 레그부재(3)의 선단에 푸트부재(8)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푸트부재는 지면(G)과 맞닿아 차체 중량을 지지한다.
프레임(1)과 레그부재(3) 사이에는 실린더(6)가 연결되는 바, 이 실린더(6)가 신장 또는 수축 동작함에 따라 레그부재(3)가 피봇핀(4)을 중심으로 지면(G)쪽으로 또는 지면(G) 위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6)의 피스톤로드(6a)의 신장 또는 수축에 의해 레그부재(3)가 피봇핀(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6)의 동작에 따라 레그부재(3)가 피봇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며, 그 레그부재(3)의 위치에 따라 그 레그부재(3)와 프레임 간의 각도가 결정된다. 레그부재(3)와 프레임(1) 사이의 각이 작을수록 지면(G)으로부터 프레임까지의 높이가 증가하며, 반면 레그부재(3)와 프레임(1) 사이의 각이 클수록 지면(G)으로부터 프레임까지의 높이가 감소한다.
보호커버(5)는, 이물질 침입에 의한 피스톤로드(6a)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1)과 레그부재(3)사이의 틈새를 덮는다. 이 보호커버(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선단이 프레임(1)의 선단에 힌지핀(12)으로 힌지결합되어 레그부재(3)가 상승할 때에는 함께 상승하고, 레그부재(3)가 하강할 때에는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프레임(1)과 레그부재(3)사이 틈새를 덮는다.
도 4는 도 1의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배치된 조작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조작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300)는 제 1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1), 제 2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2), 제 3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3), 제 4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4) 및 모드 제어 스위치(CSW)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1)가 온(on)되면 제 1 아웃트리거(OT1)가 활성화되며, 제 2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2)가 온되면 제 2 아웃트리거(OT2)가 활성화되며, 제 3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3)가 온되면 제 3 아웃트리거(OT3)가 활성화되며, 그리고 제 4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4)가 온되면 제 4 아웃트리거(OT4)가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들이 함께 온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아웃트리거가 함께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활성화된 아웃트리거는 조작 레버를 통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아웃트리거(OT1) 및 제 2 아웃트리거(OT2)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레버를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미는 동작을 수행할 때, 제 1 및 제 2 아웃트리거(OT2)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반면, 제 1 아웃트리거(OT1) 및 제 2 아웃트리거(OT2)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레버를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당기는 동작을 수행할 때, 제 1 및 제 2 아웃트리거(OT1, OT2)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제어 스위치(CSW)는 4단계의 토글(toggl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모드 제어 스위치(CSW)의 모드는 4단계의 토글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제어 스위치(CSW)는 한 번씩 눌러질 때 마다 오프 모드, 자유 동작 모드, 경사 동작 모드 및 수평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예로서, 오프 모드 상태의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한 번 눌러지면(G) 그 오프 모드의 모드 제어 스위치(CSW)는 그 다음 모드인 자유 동작 모드로 전환되며, 자유 동작 모드 상태의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한 번 눌러지면(G) 그 자유 동작 모드의 모드 제어 스위치(CSW)는 그 다음 모드인 경사 동작 모드로 전환되며, 경사 동작 모드 상태의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한 번 눌러지면(G) 그 경사 동작 모드의 모드 제어 스위치(CSW)는 그 다음 모드인 수평 동작 모드로 전환되며, 그리고 수평 동작 모드 상태의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한 번 눌러지면(G) 그 수평 동작 모드의 모드 제어 스위치(CSW)는 그 다음 모드인 오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모드 제어 스위치(CSW)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제 1 표시부(501), 제 2 표시부(502) 및 제 3 표시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표시부(502)는 제 1 표시부(501)와 제 3 표시부(5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표시부들(501, 502, 503)은 각각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자유 동작 모드로 전환될 때, 제 1 표시부(501)가 점등되고 제 2 및 제 3 표시부들(502, 503)은 소등된다.
전술된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경사 동작 모드로 전환될 때, 제 2 표시부(502)가 점등되고, 제 1 및 제 3 표시부들(501, 503)은 소등된다.
전술된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수평 동작 모드로 전환될 때, 제 3 표시부(503)가 점등되고, 제 1 및 제 2 표시부들(501, 502)이 소등된다.
한편, 전술된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오프 모드로 전환될 때, 제 1 내지 제 3 표시부(501, 502, 503)는 모두 소등된다.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오프 모드로 전환된 상태일 때,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가 모두 비활성화된다.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가 비활성화되면, 조작 레버가 조작되더라도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가 동작하지 않는다.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자유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일 때,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가 모두 활성화된다.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가 활성화되면, 조작 레버가 조작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자유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일 때, 운전자가 조작 레버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미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높이가 모두 낮아진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는 모두 동일한 변위량으로 그 높이가 제어된다. 반면,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자유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일 때, 운전자가 조작 레버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당기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높이가 모두 높아진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는 모두 동일한 변위량으로 그 높이가 제어된다.
한편,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경사 동작 모드 또는 수평 동작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의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경사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건설 기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수평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건설 기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이 소정 각도의 기울어진 경사면이고, 그러한 지면(G)에 건설 기계(10)가 배치된 경우 그 건설 기계(10)의 차량(30)의 수평면(H)은 실질적으로 그 지면(G)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수평면(H)은, 예를 들어, 건설 기계(10)의 선회체(30)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선회체(30)의 전방측과 후방측은, 그 건설 기계(10)가 지면(G)에 배치되었을 때, 그 지면(G)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지면(G)에 건설 기계(10)가 배치되고,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경사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차량의 수평면(H)이 지면(G)과 평행하도록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경사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레버를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당길 경우, 차량의 수평면(H)의 기울기가 θ2로 유지된 상태로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높이가 상승한다. 다시 말하여, 건설 기계(10)는 그 수평면(H)의 기울기가 유지된 상태로 그 지면(G)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승할 수 있다. 반면,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경사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레버를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밀 경우, 차량의 수평면(H)의 기울기가 θ2로 유지된 상태로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높이가 하강한다. 다시 말하여, 건설 기계(10)는 그 수평면(H)의 기울기(θ2)가 유지된 상태로 그 지면(G)을 향해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경사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건설 기계(10)의 기울기가 지면(G)의 기울기(θ2)와 동일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건설 기계(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지면(G)에 건설 기계(10)가 배치되고,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수평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차량의 수평면(H)이 연직 방향과 수직하도록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수평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레버를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당길 경우, 차량의 수평면(H)이 연직 방향과 수직하도록 유지된 상태에서 건설 기계(10)는 그 지면(G)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승할 수 있다. 반면,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수평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레버를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밀 경우, 차량의 수평면(H)이 연직 방향과 수직하도록 유지된 상태에서 건설 기계(10)는 그 지면(G)을 향해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수평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지면(G)의 기울기(θ2)와 무관하게, 건설 기계(10)의 기울기가 실질적으로 0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그 건설 기계(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건설 기계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부(600), 보조 제어부(700), 제 1 솔레노이드 밸브(801), 제 2 솔레노이드 밸브(802), 제 3 솔레노이드 밸브(803), 제 4 솔레노이드 밸브(80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600)는 각도 센서를 포함하며, 차량의 수평면(H)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600)는 차량의 수평면(H)이 기울기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기울기 정보를 보조 제어부(700)로 전송한다.
보조 제어부(700)는 조작부(300)로부터의 조작 신호 및 차량 제어부(600)로부터의 기울기 정보를 근거로 제 1 내지 제 4 솔레노이드 밸브(801 내지 804)를 제어한다. 여기서, 조작 신호는, 예를 들어, 제 1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1), 제 2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2), 제 3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3), 제 4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SW4), 모드 제어 스위치(CSW) 및 조작 레버(900)로부터의 조작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솔레노이드 밸브(801 내지 804)는 전술된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1 솔레노이드 밸브(801)는 제 1 아웃트리거(OT1)의 실린더(6)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하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802)는 제 2 아웃트리거(OT2)의 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하고, 제 3 솔레노이드 밸브(803)는 제 3 아웃트리거(OT3)의 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하고, 그리고 제 4 솔레노이드 밸브(804)는 제 4 아웃트리거(OT4)의 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한다. 이 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각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에 구비된 실린더의 피스톤로드(6a)의 길이가 제어되며, 이 피스톤로드(6a)의 길이에 따라 각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경사 동작 모드로 전환되고, 조작 레버가 당기는 방향으로 조작된 것으로 판단될 때, 보조 제어부(700)는 차량 제어부(600)로부터의 기울기 정보를 근거로 제 1 내지 제 4 솔레노이드 밸브(801 내지 804)를 제어함으로써, 차량 기울기가 지면(G)의 기울기(예를 들어, θ2)와 동일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건설 기계(10)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 내지 OT4)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모드 제어 스위치(CSW)가 수평 동작 모드로 전환되고, 조작 레버가 미는 방향으로 조작된 것으로 판단될 때, 보조 제어부(700)는 차량 제어부(600)로부터의 기울기 정보(즉, 0도)를 근거로 제 1 내지 제 4 솔레노이드 밸브(801 내지 804)를 제어함으로써, 차량 기울기가 실질적으로 0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건설 기계(10)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제 1 내지 제 4 아웃트리거(OT1내지 OT4)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제어부(700)는 트레일러 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 5 솔레노이드 밸브(805)의 동작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00: 조작부 SW1: 제 1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
SW2: 제 2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 SW3: 제 3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
SW4: 제 4 아웃트리거 제어 스위치 CSW: 모드 제어 스위치
501: 제 1 표시부 502: 제 2 표시부
503: 제 3 표시부 504: 제 4 표시부

Claims (5)

  1. 차량;
    상기 차량에 배치된 복수의 아웃트리거;
    상기 아웃트리거의 높낮이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 및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가 제 1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상기 차량의 수평선이 연직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가 제 2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상기 차량의 수평선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건설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가 제 3 동작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될 때,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동시에 제어되는 건설 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의 모드는 4단계의 토글 방식으로 전환되는 건설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 스위치는 한 번씩 눌러질 때 마다 오프 모드, 제 1 동작 모드, 제 2 동작 모드 및 제 3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되는 건설 기계.
KR1020200108964A 2020-08-28 2020-08-28 건설 기계 KR20220028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964A KR20220028233A (ko) 2020-08-28 2020-08-28 건설 기계
CN202110994992.4A CN114108723B (zh) 2020-08-28 2021-08-27 工程机械
EP21193563.0A EP3960935B1 (en) 2020-08-28 2021-08-27 Construction machinery with outrigger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964A KR20220028233A (ko) 2020-08-28 2020-08-28 건설 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33A true KR20220028233A (ko) 2022-03-08

Family

ID=7808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964A KR20220028233A (ko) 2020-08-28 2020-08-28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60935B1 (ko)
KR (1) KR20220028233A (ko)
CN (1) CN1141087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3128B1 (en) * 2018-12-06 2023-10-04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205A (ko) 2007-12-27 2009-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휠 타입 굴삭기의 접지위치 가변형 아웃트리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4866A (en) * 1969-09-18 1971-09-14 Oak Electro Netics Corp Four-way toggle switch with improved joystick control mechanism
JP4409210B2 (ja) * 2003-06-05 2010-02-03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クローラクレーンの油圧装置
JP5064879B2 (ja) * 2007-05-08 2012-10-31 古河ユニック株式会社 アウトリガ張出し状態調整装置
CN102019911A (zh) * 2010-12-09 2011-04-20 北京市三一重机有限公司 履带式工程机械及其履带式支腿装置
US9624649B2 (en) * 2012-10-19 2017-04-1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heel type working vehicle
US10184295B2 (en) * 2014-10-02 2019-01-22 Caterpillar Inc. Machine leveling assembly and method
JP6011948B2 (ja) * 2014-10-24 2016-10-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GB2531766A (en) * 2014-10-29 2016-05-04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JP6809067B2 (ja) * 2016-09-13 2021-01-06 株式会社タダノ 作業車両のアウトリガジャッキ動作制御装置
JP6924669B6 (ja) * 2017-10-16 2021-09-29 古河ユニック株式会社 アウトリガ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205A (ko) 2007-12-27 2009-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휠 타입 굴삭기의 접지위치 가변형 아웃트리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0935A1 (en) 2022-03-02
CN114108723A (zh) 2022-03-01
CN114108723B (zh) 2023-07-25
EP3960935B1 (en)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6855B2 (en) Material handling machine with bucket shak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587519B1 (ko) 작업기계, 정보처리장치
KR20190095287A (ko) 접이식 리프트 아암을 갖는 로더
JP6663404B2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JP6625575B2 (ja) 建設機械
US7117952B2 (en) Automated attachment vibration system
JP2004143668A (ja) スキッドステアローダ
US10151080B2 (en) Valve assembly for work attachment
KR20220028233A (ko) 건설 기계
WO2022190650A1 (ja) 建設機械
JP6899799B2 (ja) 作業車
JP6338922B2 (ja) 軌陸両用掘削機
JP6770013B2 (ja) クランプアームを備えた解体機械
JP7527944B2 (ja) 高所作業車
JP7042781B2 (ja) 作業車両
JP4190811B2 (ja) 高所作業車
JP2003129477A (ja) 建設機械の作業用アタッチメント格納装置
JP2001303526A (ja) 散水装置を備えた車両
JP2009143662A (ja) 高所作業装置
JPH0771057A (ja) バックホウ
US10934687B2 (en) Hydraulic power prioritization
JP6882214B2 (ja) 建設機械
JP4538309B2 (ja) 軌陸作業車
NL2011536C2 (nl) Bestratingmachine, zoals bandensteller en bedrijfswerkwijze.
JPH0533359A (ja) 全旋回型の小型バツクホウ